KR20120100396A - 유체 토출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토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0396A
KR20120100396A KR1020110019256A KR20110019256A KR20120100396A KR 20120100396 A KR20120100396 A KR 20120100396A KR 1020110019256 A KR1020110019256 A KR 1020110019256A KR 20110019256 A KR20110019256 A KR 20110019256A KR 20120100396 A KR20120100396 A KR 20120100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high pressure
air
spa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2370B1 (ko
Inventor
정영주
Original Assignee
정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주 filed Critical 정영주
Priority to KR1020110019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370B1/ko
Publication of KR20120100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2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parts of the machine
    • B23Q11/121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parts of the machine with lubricating effect for reducing friction
    • B23Q11/122Lubricant suppl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18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 B05B7/0025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with a compressed gas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38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using cutting liquids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e.g. flow rate, quality
    • B23Q11/1046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using cutting liquids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e.g. flow rate, quality using a minimal quantity of lubri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F16N7/3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the oil being fed or carried along by another fluid
    • F16N7/32Mist lubr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분사체의 출구측으로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감압으로 유체저장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유체를 끌어당겨 노즐을 통해 유체를 사용처로 배출시키도록 한 유체 토출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구멍이 관통 형성되며, 그 하단에는 상기 구멍과 연결하여 통하는 수직구멍이 관통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수직구멍에 연결블럭으로 연결 구성되며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저장탱크와, 상기 바디부의 구멍에 공간부를 사이에 두고 조립되며 후방으로는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호스가 연결 구성된 고압분사체와, 상기 고압분사체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고압분사체에 연결되어 있는 에어호스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에어를 통과시키는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는 그 입구에서 출구쪽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적으로 좁혀지도록 구성하여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에어의 속도를 높혀 상기 바디부의 구멍과 고압분사체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감압시켜 상기 유체저장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유체가 상기 공간부로 빨려들어가도록 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유체 토출장치{APPARATUS FOR DISCHARGING FLUID}
본 발명은 유체 토출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분사체의 출구측으로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감압으로 유체저장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유체를 끌어당겨 노즐을 통해 유체를 사용처로 배출시키도록 한 유체 토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반, 밀링 등 공작기계에서 공작물을 가공함에 있어서는 가공 부위에 유체(윤활유)를 공급하면서 절삭가공을 하게 되며, 아울러 열간단조, 온간단조 및 알류미늄샤시등을 압출성형시에 금형의 적정온도유지, 금형 성형부의 마모에 따른 손상방지 및 성형제품의 결육발생 방지를 위해 금형의 성형부로 윤활유를 분사하게 되며, 이외에 스팀세차목적의 세정제 공급, 물과 공기를 사용하는 이액형 수용화 시스템, 청소용기 등의 세정제 공급부위 등에 윤활유가 아닌 세정제를 분사시키게 되는 데, 이러한 분사장치를 통상 유체 토출장치라 칭하고 있다.
유체 토출장치와 관련한 일반적인 기술은 산업체에서 사용되는 에어 컴프레셔를 이용하여 합성수지 호스관을 연결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액체를 정량 제어 밸브를 설정하고,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면, 밸브 내의 에어 존재공간 부분에서 감압작용으로 인해 유체가 끌어 당겨짐으로 에어와 유체가 동시에 분사 공급되는 데, 에어 컴프레셔의 공기를 타임 별 공급과 중단을 반복시키면, 가공 타임 별 적시정량의 유체 공급 행정이 반복되게 되는 유체 이송과 공급 분사가 한 행정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구성한 밸브를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산업체에서 사용되는 T자형 밸브의 경우 힘이 양방으로 분산됨으로 역류현상이 심하여 불순물이 유체탱크로 역류되는 문제가 있고, 힘의 분산으로 분사의 힘이 부족한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경우 내부에 별도 노즐관을 설치하여 유체 유입구의 상부에서 일 방향으로 에어를 가압 분사함으로서 유체 유입관내로 역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만족한 분사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과, 에어 존재 공간부에는 다시 유체가 당겨져 적정량이 채워짐으로 역류방지와 분사효과가 최대화되는 행정이 이뤄진다.
본 원리는 에어공간 부위의 적정공간의 설정이 중요하고 본 공간의 설정 없이는 본 원리가 이뤄지지 않는다.
본 고안의 원리는 어떠한 관내의 에어의 존재공간을 설정하고, 내부 노즐관을 삽입하여 타 유입구의 상부에 거리를 두어 고압의 에어를 분사함으로서 관내 에어 존재 공간부에서 감압이 발생되어 유체 유입구를 통해 유체가 당겨오게 하여 공간을 채워주게 되며, 공기압에 의해 계속적으로 작업이 이뤄지거나, 에어를 타임별 공급할 경우 타임별 행정이 반복되면서 작업이 이뤄질 수 있는 유체 공급최단 부위에 장치될 수 있는 밸브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압분사체의 출구측으로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감압으로 유체저장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유체를 끌어당겨 노즐을 통해 유체를 사용처로 배출시키도록 한 유체 토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유체의 역류를 차단하도록 구성한 유체 토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체 토출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구멍이 관통 형성되며, 그 하단에는 상기 구멍과 연결하여 통하는 수직구멍이 관통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수직구멍에 연결블럭으로 연결 구성되며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저장탱크와, 상기 바디부의 구멍에 공간부를 사이에 두고 조립되며 후방으로는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호스가 연결 구성된 고압분사체와, 상기 고압분사체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고압분사체에 연결되어 있는 에어호스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에어를 통과시키는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는 그 입구에서 출구쪽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적으로 좁혀지도록 구성하여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에어의 속도를 높혀 상기 바디부의 구멍과 고압분사체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감압시켜 상기 유체저장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유체가 상기 공간부로 빨려들어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블럭의 내부에는 상기 공간부로 빨려들어간 유체의 역류를 차단하는 역류방지용 스토퍼밸브가 더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바디부의 내부에 공간부를 사이에 두고 고압분사체를 결합하고, 상기 고압분사체의 내부에는 입구에서 출구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은 직경을 가지는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유로의 출구쪽 좁은 직경을 공기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빨라진 속도로 인해 공간부의 압력이 감압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유체저장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유체가 상기 공간부로 빨려들어간 후, 노즐을 통해 외부 사용처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별도의 구동원없이 에어의 압력으로 유체를 사용처로 배출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구현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토출장치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유체 토출장치의 내부구조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에서는 바디부의 내부에 공간부를 사이에 두고 고압분사체를 결합하고, 상기 고압분사체의 내부에는 입구에서 출구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은 직경을 가지는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유로의 출구쪽 좁은 직경을 공기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빨라진 속도로 인해 공간부의 압력이 감압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유체저장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유체가 상기 공간부로 빨려들어간 후, 노즐을 통해 외부 사용처로 배출되도록 한 유체 토출장치를 구현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토출장치의 구성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체 토출장치(100)는 크게 바디부(10)와, 유체저장탱크(20) 그리고 고압분사체(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바디부(10)는 유체 토출장치(100)의 외형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사각 단면 형태를 가지며 내부에는 고압분사체(30)가 끼워지기 위한 구멍(12)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구멍(12)의 앞쪽과 뒷쪽에는 노즐(14)과 고압분사체 연결구(16)가 나사식으로 체결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10)의 하단에는 상기 구멍(12)과 연결하여 통하는 수직구멍(18)이 더 관통 형성되며, 상기 수직구멍(18)으로는 유체저장탱크(20)에 구비되어 있는 유량조절밸브(24)가 바디부(1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블럭(26)이 나사식으로 체결 구성된다.
상기 유체저장탱크(20)는 공작기계에서 공작물을 가공하는 절삭가공 때 사용되는 윤활유나 세정작용에 사용되는 세정제 등의 유체를 저장하는 탱크로서, 그 상단에는 유체공급관(22)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유체공급관(22)의 타단에는 유량조절밸브(24)가 연결 구성된다. 상기 유량조절밸브(24)는 상기 유체공급관(22)을 통해 유체저장탱크(20)에서 바디부(10)로 공급되는 유체의 공급량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유량조절밸브(24)에는 연결블럭(26)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연결블럭(26)의 타단은 전술한 바디부(10)의 수직구멍(18)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며, 상기 유량조절밸브(24)를 통과한 유체를 바디부(10)와 고압분사체(30) 사이 공간부(40)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연결블럭(26)의 내부에는 역류방지용 스토퍼밸브(28)가 설치되며, 상기 역류방지용 스토퍼밸브(28)는 바디부(10)와 고압분사체(30) 사이 공간부(40)로 빨려 들어간 유체가 공기의 배출 속도 차이로 인해 상기 연결블럭(26)을 통해 유체저장탱크(20)로 역류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공간부(40)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유체저장탱크(2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고압분사체(30)는 상기 바디부(10)의 구멍(12)에 끼워지되, 상기 구멍(12)과 고압분사체(30) 사이로 일정 틈새의 공간부(40)가 형성되도록 끼워지는 것으로서, 내부에는 유로(32)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고압분사체(30)의 후방에는 고압분사체 연결구(16)가 조립되며, 상기 고압분사체 연결구(16)는 바디부(10)의 구멍(12) 뒤쪽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며 고압분사체(30)를 바디부(10)의 구멍(12)내에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고압분사체 연결구(16)에는 에어호스(36)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에어를 제어하는 개폐밸브(34)가 더 연결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압분사체(30)의 유로(32)는 상기 개폐밸브(34)의 동작에 따라 개방된 에어호스(36)를 통해 공급되는 노즐(14)로 통과시키는 것으로서, 이때 상기 유로(32)는 그 입구(32a)쪽에서 출구(32b)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단계적으로 테이퍼지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유로(32)의 출구(32b)쪽 좁은 직경을 에어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좁아진 직경에 비례하여 그 속도가 빨라지도록 하여 상기 유로(32)의 출구(32b)를 에어가 통과할 때, 상기 바디부(10)와 고압분사체(30) 사이 공간부(40)의 압력이 감압되도록 하여 유체저장탱크(20)에 저장되어 있는 유체가 상기 공간부(40)로 빨려들어간 후, 노즐(14)을 통해 외부 사용처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압분사체(30)의 구멍(12) 앞쪽 내주면에는 노즐(14)이 체결되며, 상기 노즐(14)은 상기 공간부(40)로 빨려들어 온 유체를 공기와 함께 외부 사용처로 분사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체 토출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유체저장탱크(20)에 저장되어 있는 유체를 사용처로 분사시키고자 할 때에는 먼저, 개폐밸브(34)를 개방시키게 되면 에어호스(36)를 통해 고압의 에어가 고압분사체(30) 내부 유로(32)로 공급되어 지는 데, 이때 에어는 유로(32)의 출구(32b)쪽으로 갈수록 좁아진 직경을 통해 그 속도가 빨라진 상태에서 유로(32)의 출구(32b)를 통과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바디부(10)와 고압분사체(30) 사이 공간부(40)의 압력이 감압되어 짐으로서 유체저장탱크(20)에 저장되어 있는 유체는 공간부(40)로 빨려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공간부(40)로 빨려들어간 유체는 연결블럭(26)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역류방지용 스토퍼밸브(28)를 통해 다시 유체저장탱크(20)로 역류하지 않게 된다.
상기 공간부(40)로 빨려들어간 유체는 에어와 함께 바디부(10)의 구멍(12) 앞쪽에 체결되어 있는 노즐(14)을 통해 외부 사용처로 분사되어 진다.
10: 바디부 12: 구멍
14: 노즐 16: 고압분사체 연결구
18: 수직구멍 20: 유체저장탱크
26: 연결블럭 28: 역류방지용 스토퍼밸브
30: 고압분사체 32: 유로
36: 에어호스 40: 공간부

Claims (2)

  1. 유체 토출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구멍(12)이 관통 형성되며, 그 하단에는 상기 구멍(12)과 연결하여 통하는 수직구멍(18)이 관통 형성된 바디부(10)와;
    상기 바디부(10)의 수직구멍(18)에 연결블럭(26)으로 연결 구성되며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저장탱크(20)와;
    상기 바디부(10)의 구멍(12)에 공간부(40)를 사이에 두고 조립되며 후방으로는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호스(36)가 연결 구성된 고압분사체(30)와;
    상기 고압분사체(30)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고압분사체(30)에 연결되어 있는 에어호스(36)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에어를 통과시키는 유로(32)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32)는 그 입구(32a)에서 출구(32b)쪽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적으로 좁혀지도록 구성하여 상기 유로(32)를 통과하는 에어의 속도를 높혀 상기 바디부(10)의 구멍(12)과 고압분사체(3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40)를 감압시켜 상기 유체저장탱크(20)에 저장되어 있는 유체가 상기 공간부(40)로 빨려들어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토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블럭(26)의 내부에는 상기 공간부(40)로 빨려들어간 유체의 역류를 차단하는 역류방지용 스토퍼밸브(28)가 더 설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토출장치.
KR1020110019256A 2011-03-04 2011-03-04 유체 토출장치 KR101222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256A KR101222370B1 (ko) 2011-03-04 2011-03-04 유체 토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256A KR101222370B1 (ko) 2011-03-04 2011-03-04 유체 토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396A true KR20120100396A (ko) 2012-09-12
KR101222370B1 KR101222370B1 (ko) 2013-01-16

Family

ID=47110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256A KR101222370B1 (ko) 2011-03-04 2011-03-04 유체 토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23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032B1 (ko) * 2021-11-08 2022-03-10 김동선 절연 스팀 발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2493A (en) 1998-02-26 2000-05-16 Abplanalp; Robert Henry Sprayer for liquids and nozzle insert
JP2007000837A (ja) 2005-06-27 2007-01-11 Soft99 Corporation 洗浄泡噴射ポン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032B1 (ko) * 2021-11-08 2022-03-10 김동선 절연 스팀 발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2370B1 (ko)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16281B (zh) 高壓流體噴射系統之流體分配元件
JP6210846B2 (ja) マイクロバブルスプレー装置
KR102005607B1 (ko) 정류기 및 유체 노즐
JP2012157956A (ja) アブレシブウォータージェット加工機
KR102118070B1 (ko) 액체 재료 토출 장치의 세정 장치 및 세정 방법
JP4360407B2 (ja) 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KR100815850B1 (ko) 절삭유 분사장치
KR101520876B1 (ko) 배관세척시스템
KR101802172B1 (ko) 질소를 이용한 배관 세척 장치
KR101634243B1 (ko) 약액 분사장치
JP6727518B2 (ja) スプレー装置および塗布液の沈殿防止方法
KR101222370B1 (ko) 유체 토출장치
JP5956760B2 (ja) 洗浄ノズル
JP4748247B2 (ja) 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KR101386999B1 (ko) 액체 재료의 토출 방법 및 장치
KR100841406B1 (ko) 유체 혼합용 2상 유체 분사 노즐
KR20160066382A (ko) 초음파 세정 시스템
KR101819613B1 (ko) 유체 분사장치
JP2012040672A (ja)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機の加工液ノズル装置
JP6588780B2 (ja) 噴射ノズル及びこの噴射ノズルを備えた噴射装置
JP2008136903A (ja) ノズルヘッダ
JP2013103191A (ja) 洗浄ノズルおよびホースの洗浄方法
CN202479068U (zh) 防漏雾化喷头
JP6938003B2 (ja) マイクロバブル生成具およびマイクロバブル生成装置
JP2016215172A (ja) ノズル及び噴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