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9581A - 유체 작동식 로터리 드라이브 - Google Patents

유체 작동식 로터리 드라이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9581A
KR20120099581A KR1020120009763A KR20120009763A KR20120099581A KR 20120099581 A KR20120099581 A KR 20120099581A KR 1020120009763 A KR1020120009763 A KR 1020120009763A KR 20120009763 A KR20120009763 A KR 20120009763A KR 20120099581 A KR20120099581 A KR 20120099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bearing ring
drive housing
housing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르겐 귀켈
울리히 디에너
외르크 비처
하바 이지트
Original Assignee
페스토 악티엔 게젤샤프트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스토 악티엔 게젤샤프트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페스토 악티엔 게젤샤프트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20099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95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2Mechanical layou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nverting the movement of the fluid-actuated element into movement of the finally-operated member
    • F15B15/06Mechanical layou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nverting the movement of the fluid-actuated element into movement of the finally-operated member for mechanically converting rectilinear movement into non- rectilinear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2Mechanical layou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nverting the movement of the fluid-actuated element into movement of the finally-operated member
    • F15B15/06Mechanical layou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nverting the movement of the fluid-actuated element into movement of the finally-operated member for mechanically converting rectilinear movement into non- rectilinear movement
    • F15B15/065Mechanical layou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nverting the movement of the fluid-actuated element into movement of the finally-operated member for mechanically converting rectilinear movement into non- rectilinear movement the motor being of the rack-and-pin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58Raceways; Race rings
    • F16C33/583Details of specific parts of r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4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5/06Mounting or dismounting of ball or roller bearings; Fixing them onto shaft or in housing
    • F16C35/067Fixing them in a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0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 F16C19/0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with a single row or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6/00Joining parts; Fastening; Assembling or mounting parts
    • F16C2226/50Positive connections
    • F16C2226/60Positive connections with threaded parts, e.g. bolt and nut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터리 드라이브 (1) 에 관한 것으로, 상기 로터리 드라이브는 회전축 (45) 둘레로 회전될 수 있는 출력 유닛 (38) 을 구비하며, 상기 출력 유닛은 베어링링 (44)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링은 나사결합부 (51) 를 통해 드라이브 하우징 (2) 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출력 유닛 (38) 은 1 개 또는 2 개의 드라이브 유닛 (24a, 24b) 을 통해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드라이브 유닛은 각각 드라이브 챔버 (15a, 15b) 안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 나사결합부 (51) 는, 베어링링 (44) 이 그의 중심 (86) 과 관련하여 동심적인 고정 나사산 (57) 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 나사산과 함께 상기 베어링링이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 (2) 에 형성되어 있는 상호 보완적인 대응 나사산 (58) 안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실현되어 있다.

Description

유체 작동식 로터리 드라이브 {FLUID-OPERATED ROTARY DRIVE}
본 발명은 유체 작동식 로터리 드라이브에 관한 것으로, 상기 로터리 드라이브는 주축 (main axis) 을 따라 뻗어 있는 드라이브 하우징 (drive housing) 을 구비하며,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 안에는 중간벽 (intermediate wall) 에 의해 서로 분리된 2 개의 장방형 챔버 (chamber) 가 상기 주축에 대해 평행인 세로축과 함께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상기 챔버 중 적어도 하나는 드라이브 챔버 (drive chamber) 를 형성하며, 상기 드라이브 챔버 안에는 제어된 유체 적용 (fluid application) 을 통해 선형으로 (linear) 이동될 수 있는 드라이브 유닛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드라이브 유닛은 상기 중간벽을 향해 있는 그의 세로 방향 측면에 드라이브 톱니부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로터리 드라이브는 상기 주축에 대해 직각인 회전축 둘레로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에 대해 회전될 수 있는 출력 유닛 (output unit) 을 구비하고, 상기 출력 유닛은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 유닛의 상기 드라이브 톱니부와 맞물려 있는 출력 톱니바퀴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출력 유닛은 그를 둘러싸는 베어링링 (bearing ring)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링은 아랫면과 함께 먼저,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방향지어진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의 제 1 외면의 영역에서 조립되어 있으며, 그리고 이때 나사결합부를 이용해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다.
EP 2 093 432 A1 에 공지된 이러한 유형의 로터리 드라이브는 회전운동을 하도록 구동될 수 있는 출력 유닛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출력 유닛은 구름 베어링 수단의 중간 삽입 (interposition) 하에 베어링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링은 아랫면과 함께 먼저 로터리 드라이브의 드라이브 하우징의 제 1 외면에 부착되며, 그리고 나사결합을 통해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나사결합은 다수의 고정 스크류 (fastening screw) 를 이용해 실현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스크류는 플랜지 연결에서와 유사하게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쪽으로부터 상기 베어링링 안에 삽입되어 있고, 그리고 나사 보어 (threaded bore) 안에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 보어는 상기 출력 유닛 둘레에 로터리 드라이브의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 안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스크류의 나사 헤드는 깊이 박혀 상기 베어링링 안에 수용되어 있으며, 이는 상기 베어링링의 환상 바디 (annular body) 가 비교적 넓게 설계되어야 하는 단점을 수반한다. 이는 로터리 드라이브의 크기 감소를 저지한다.
JP 2007127160 A 에 공지된 로터리 드라이브도 비교할 만한 상황에 관한 것이다.
DE 19803819 B4 에 공지된 로터리 드라이브는 출력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출력 유닛은 2 개의 별도의 구름 베어링에 의해서만 드라이브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구름 베어링은 드라이브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지지의 이러한 유형은 공간 절약적이긴 하나, 베어링 장치에의 접근이 어렵고, 많은 노력을 들여야만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의 출력 유닛이 간단하게 그리고 공간 절약적으로 회전 지지되어 있는, 도입부에 언급된 유형의 로터리 드라이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베어링링 (bearing ring) 은 그의 중심 (center) 과 관련하여 동심적인 (concentric) 고정 나사산 (fastening thread) 을 구비하며, 그리고 드라이브 하우징에는 상기 고정 나사산에 대해 상호 보완적인 대응 나사산이 배치되어 있고, 이때 상기 베어링링은 상기 고정 나사산과 상기 대응 나사산의 상호 나사결합을 통해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과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베어링링은 추가적인 고정 스크류 (fastening screw) 없이 매우 간단하게 그리고 정확히 로터리 드라이브의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조립하기 위해, 상기 베어링링은 단지 그의 아랫면과 함께 먼저 상기 대응 나사산의 영역에서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의 제 1 외면에 부착되어야 하고, 그리고 후속하여 상기 고정 나사산을 비틀음으로써 상기 대응 나사산 안에 나사결합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경우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 나사산이 상기 베어링링에 회전 불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면, 나사결합은 전체 베어링링을 간단히 비틀음으로써 문제없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링을 고정시키기 위해 별도의 고정 스크류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나사결합을 실현하기 위한 재료 비용이 매우 적고, 핸들링 비용이 최소화된다. 별도의 고정 스크류가 없으면, 상기 고정 스크류를 수용하는데 쓰이는 상기 베어링링 안의 구멍도 생략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베어링링의 환상 바디 (annular body) 의 방사상 폭이 매우 작을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베어링링은 전체적으로 비교적 작은 바깥지름을 가질 수 있고, 그리고 할당된 드라이브 하우징은 슬림한 구조를 갖고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형태는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다.
목적에 부합하여, 상기 두 장방형 챔버의 각각은 드라이브 챔버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드라이브 챔버 안에는 제어된 유체 작용을 통해 선형으로 이동될 수 있는 드라이브 유닛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드라이브 유닛은 상기 중간벽을 향해 있는 그의 세로 방향 측면에 드라이브 톱니부를 구비한다. 이 경우, 출력 톱니바퀴가 목적에 부합하여 상기 두 드라이브 유닛 사이에 맞물림으로써 상기 두 드라이브 유닛은 동시에 상기 출력 톱니바퀴와 맞물려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출력 유닛에서의 특히 높은 토크가 초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나사산 (fastening thread) 은 목적에 부합하여 상기 베어링링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베어링링과 상기 고정 나사산은 한편으로는 매우 비용 절감적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또한 매우 정밀하게 - 정확히 동축적인 (coaxial) 할당과 함께 -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대응 나사산은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에 바람직하게는 마찬가지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또한 간단하지만 정밀한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고정 나사산 및/또는 상기 대응 나사산은 각각 할당된 구성요소에 별도의 부품으로서 부착될 수도 있다. 이 조치는 나사산을 위해 특히 적합한 재료가 상기 베어링링 및/또는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의 재료와 상관 없이 선택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고정 나사산은 외부 나사산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대응 나사산은 내부 나사산으로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나사결합이 가장 간단히 실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어링링의 고정 조치는 상기 고정 나사산을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에 배치되어 있는 대응 나사산 안에 나사결합시키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나사산은 방사상 바깥으로 방향지어진 상기 베어링링의 주변 (peripheral) 외부 둘레 (outer circumference) 에 위치해 있으며, 따라서 상기 고정 나사산은 비교적 큰 지름을 가질 수 있고, 이는 나사산의 강도를 위해 - 특히 틸팅력에 의해 부하를 받을 때 - 유리하다.
상기 베어링링이 그의 축방향 높이의 적어도 일 부분과 함께,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에서의 제 1 외면의 영역에 형성된 수용 오목부 안에 수용되어 있으면, 바람직하게 작은 높이를 가진 로터리 드라이브가 실현될 수 있다. 이 이외에, 상기 베어링링은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의 인접한 외면을 넘어 돌출하지 않거나 또는 단지 비교적 조금 돌출한다.
상기 베어링링이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의 수용 오목부 안에 삽입되어 있으면, 상기 고정 나사산과 협력하는 대응 나사산은 목적에 부합하여 이 수용 오목부의 주변 (peripheral) 내부 둘레 (inner circumference) 에 위치해 있다. 상기 대응 나사산은 상기 수용 오목부의 상기 주변 내부 둘레 안에 특히 일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목적에 부합하여 원형 외부 윤곽을 가진 상기 베어링링은 목적에 부합하여 외부 둘레에 고정 나사산 (fastening thread) 을 구비한 나사산 섹션, 및 아랫면과 대향하는 상기 베어링링의 윗면을 향한 방향으로 이 나사산 섹션에 이어지는 상부 단부섹션 (end section) 을 구비하며, 상기 단부섹션의 외부 둘레에는 나사산이 제공되어 있지 않다. 이때, 나사산을 갖지 않은 상기 상부 단부섹션은 특히 나사결합을 이용한 조립 동안 상기 베어링링을 붙잡는데 매우 적합하다. 예컨대 수리를 목적으로 상기 베어링링이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에서 제거되어야 하면, 상기 베어링링은 나사산을 갖지 않은 이 상부 단부섹션에서 잘 붙잡힐 수 있다. 베어링링의 조립된 상태에서, 나사산을 갖지 않은 상기 상부 단부섹션은 목적에 부합하여 상기 베어링링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의 외부에 놓여 있다.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과 관련된 상기 베어링링의 나사 끼워맞춤 길이 (length of thread engagement) 를 명확히 정의하는 스톱 수단 (stop means) 이 존재하면 유리하다. 이를 통해, 상기 베어링링에 회전 지지되어 있는 출력 유닛의 출력 톱니바퀴가 상기 드라이브 유닛에 배치된 드라이브 톱니부와 관련된 희망 (desired) 상대위치를 차지하는 것이 특히 보장되어 있다.
상기 스톱 수단은 목적에 부합하여 상기 베어링링에 배치된, 그리고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을 향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톱면 (stop surface) 을 구비하며, 상기 스톱면은 특히 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베어링링에 대해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희망 (desired) 나사 끼워맞춤 길이를 정해주기 위해,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에 배치된 그리고 상기 스톱면을 향해 있는 대응 스톱면에 밀착한다. 이 대응 스톱면도 목적에 부합하여 링 모양으로 설계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톱면은 특히 바로 인접하여 또는 상기 고정 나사산에 대한 일종의 간격을 갖고 상기 베어링링의 아랫면에 위치해 있을 수 있다. 이때, 할당된 대응 스톱면은 목적에 부합하여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 안에 형성된 수용 오목부의 베이스면 (base surface) 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수용 오목부 안으로 상기 베어링링은, 그의 스톱면이 대응 스톱면으로서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수용 오목부의 베이스면에 밀착될 때까지 나사결합 가능하다.
스톱 수단을 실현하기 위한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가능성은, 링 모양인 그리고 상기 베어링링에 대해 동심적인 스톱면을 상기 베어링링의 아랫면에 대한 또한 윗면에 대한 간격을 갖고 상기 고정 나사산 위쪽에 제공하는 것이며, 이때 할당된 대응 스톱면은 이 경우에는 특히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의 제 1 외면의 표면 섹션 (surface section) 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표면 섹션은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의 수용 오목부를 빙 둘러싸며, 상기 수용 오목부 안에는 상기 베어링링이 부분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수용되어 있다.
통틀어 볼 때, 상기 베어링링의 본 발명에 따른 나사고정은 상기 베어링링을 고정하는데 쓰이는 나사 수용 채널이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 안에 형성될 필요가 없다는 장점도 가지며, 따라서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은 재료 절약적으로 작은 벽두께 및 콤택트한 치수를 갖고 실현될 수 있다. 이 이외에, 로터리 드라이브의 유체 작동을 위해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 안에 통합되어야 하는 유체 채널 시스템의 통합에 대한 침해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베어링링의 환상 바디 (annular body) 가 축방향으로 뚫린 구멍이 없이 형성되어 있으면 유리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바깥으로 구멍이 뚫리지 않은 (unperforated), 그러므로 불순물이 잘 들어올 수 없는 베어링링이 실현될 수 있다. 이 이외에, 구멍이 뚫리지 않은 베어링링은 특히 높은 구조강성을 가지며, 그리고 불순물이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 안으로 침투하는 것을 저지한다.
로터리 드라이브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출력 유닛과 상기 베어링링은 자체 지지하는 (self-supporting), 그리고 단단히 결합된 조립체를 형성하며, 상기 조립체는 출력 조립체라고 불리운다. 이 출력 조립체는 사전 조립된 상태로 유닛으로서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에 조립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출력 유닛과 상기 베어링링 사이에는, 상기 출력 유닛은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과 나사결합되어 있는 상기 베어링링에 의해서만,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게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는 방식의 연결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상기 출력 조립체는 상기 고정 나사산을 상기 대응 나사산 밖으로 풀어낸 후 또한 유닛으로서 다시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에서 떼어내질 수 있으며, 이는 어쩌면 있을 수 있는 정비 및 수리 작업을 매우 간단하게 한다.
상기 출력 유닛과 상기 베어링링 간의 결속은 목적에 부합하여 상기 두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된 베어링 수단에 의해 보장되어 있으며, 상기 베어링 수단은 특히 구름 베어링 수단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베어링 수단은 상기 출력 유닛과 상기 베어링링 간의 바람직하게는 형상 끼워맞춤식 연결을 제공한다.
상기 출력 조립체는 그의 길이의 적어도 일 부분과 함께 카트리지 유형으로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 안에 삽입될 수 있고, 그리고 이에 상응하여 매우 간단하게 다시 정반대의 운동진행을 통해 전체로서 인출될 수 있다고 말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출력 유닛을 위해서는, 상기 출력 유닛이 상기 베어링링에 의해 동심적으로 둘러싸인, 바깥이 특히 원형인 출력 플레이트 (output plate) 를 구비하는 구조가 제안되며, 상기 출력 플레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인터페이스 (fastening interface) 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인터페이스에는, 회전운동을 하도록 구동되어야 하는 외부 구성요소가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구성요소는 예컨대 물체를 핸들링하기 위해 유용한 그립핑 장치 (gripping device) 일 수 있다.
상기 출력 플레이트는 목적에 부합하여 출력 샤프트 (output shaft) 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출력 샤프트는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상기 출력 플레이트로부터 멀리 뻗어 있고, 그리고 아래로 상기 베어링링을 넘어 돌출한다.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출력 샤프트는 상기 중간벽의 영역에서 상기 두 장방형 챔버 사이로 가라앉는다. 상기 출력 샤프트는 출력 톱니바퀴를 지니고 있으며, 상기 출력 톱니바퀴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 샤프트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통틀어 볼 때, 상기 출력 플레이트와 상기 출력 샤프트와 상기 출력 톱니바퀴를 비용 절감적으로 제조 및 조립 가능한 일체형 부품의 형태로 실현하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상기 드라이브 유닛의 구성을 위해서는, 목적에 부합하여 각각 2 개의 단부면쪽 헤드 섹션 (head section), 및 이 두 헤드 섹션 사이에 뻗어 있고 드라이브 톱니부를 지니고 있는 래크 섹션 (rack section) 을 제공하는 것이 추천된다. 각각의 드라이브 톱니부는 바람직하게는 래크 유형으로 선형 연장부를 갖고 형성 및 배치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위를 향해 있는 드라이브 하우징의 제 1 외면 (그의 영역 안에는 베어링링이 조립되어 있다) 을 바라본 투시적 도면으로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드라이브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도 2 는 드라이브 하우징의, 그리고 베어링링과 출력 유닛을 포함한 출력 조립체의 분해 조립도로 나타낸 도 1 로부터의 배열체,
도 3 은 도 1 및 도 5 로부터의 절단선 III-III 에 따른 출력 유닛의 회전축에 대해 직각인 평면에서의 로터리 드라이브의 세로 방향 단면도,
도 4 는 출력 유닛의 회전축에 대해 평행인 평면에서의, 그리고 도 1, 도 3 및 도 5 로부터의 절단선 IV-IV 에 따른 로터리 드라이브의 세로 방향 단면도,
도 5 는 회전축의 영역에서의, 그리고 도 1 및 도 3 으로부터의 절단선 V-V 에 따른 로터리 드라이브의 횡단면이다.
전체적으로 참조부호 1 로 표시되어 있는 로터리 드라이브는 유체력을 이용한 작동을 위해 설계되어 있으며, 그리고 유체 (fluidic), 바람직하게는 가스 형태의 압력매체를 이용해 구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압축공기가 구동매체로서 제공되어 있다.
로터리 드라이브 (1) 는 바람직하게는 장방형의, 그리고 특히 금속으로 구성된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드라이브 하우징 (drive housing, 2) 이라 불리운다.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은 일점쇄선으로 암시되어 있는 가상의 주축 (main axis, 3) 을 따라 뻗어 있으며, 상기 주축은 목적에 부합하여 드라이브 하우징 (2) 의 세로축이다. 도 5 에서 주축 (3) 은 도면 평면에 대해 직각으로 뻗어 있다.
드라이브 하우징 (2) 은 주축 (3) 이외에, 상기 주축 (3) 에 대해 직각인 가로축 (4), 및 상기 주축 (3) 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상기 가로축 (4) 에 대해 직각인 수직축 (vertical axis, 5) 을 갖는다. 주축 (3) 과 가로축 (4) 은 함께 주 평면 (main plane, 6) 이라고 불리우는 평면을 펼친다.
드라이브 하우징 (2) 은 그의 외측에 다수의 외면을 구비한다. 특히,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은 수직축 (5) 의 축방향으로 방향지어진 제 1 외면 (7), 및 이와 관련하여 대향하는 제 2 외면 (8) 을 구비한다. 제 1 외면 (7) 은 드라이브 하우징 (2) 의 윗면에 위치해 있고, 제 2 외면 (8) 은 아랫면에 위치해 있다. 로터리 드라이브 (1) 는 임의의, 그리고 또한 변화하는 정렬과 함께 작동될 수 있으며, 따라서 예컨대 제 1 외면 (7) 에 의해 형성된 윗면이 아래를 향해 있을 수도 있다.
주축 (3) 에 대해 직각으로 드라이브 하우징 (2) 은 특히 장방형 횡단면을 갖는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과 유사한 횡단면이며, 그의 보다 긴 쪽은 제 1 및 제 2 외면 (7, 8) 에 의해 정의된다. 상기 횡단면의 좁은 쪽은 가로축 (4) 의 축방향으로 방향지어져 있으며, 그리고 일례적으로 드라이브 하우징 (2) 의 서로 대향하는 2 개의 측부 외면 (12, 13) 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면은 볼록하게 바깥으로 나와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또는 두 측부 외면 (12, 13) 안에는, 주축 (3) 의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고정 그루브 (fastening groove, 14) 가 형성되어 있으며, 추가 구성요소가 상기 고정 그루브에 고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 그루브 (14) 는 목적에 부합하여 적어도 하나의 위치검출장치 (position detection device) 를 고정시키기에 적합하며, 상기 위치검출장치는 목적에 부합하여 적어도 하나의 위치센서 (position sensor) 를 구비한다. 이러한 위치검출장치를 이용해, 특히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또는 제 2 드라이브 유닛 (drive unit, 24a, 24b) 의, 드라이브 하우징 (2) 과 관련하여 차지된 상대위치가 검출될 수 있고, 상기 드라이브 유닛은 상기 위치검출장치를 비접촉식으로 활성화시키는 작동 요소 (9) 를 갖추고 있을 수 있다.
드라이브 하우징 (2) 의 내부에는, 각각 세로 방향 연장부를 구비한 2 개의 제 1 및 제 2 챔버 (15a, 15b) 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챔버는 그의 기능을 근거로 하기에서 드라이브 챔버 (15a, 15b) 라고도 불리운다. 이 드라이브 챔버 (15a, 15b) 는 서로 평행으로 뻗어 있고, 그리고 각각 세로축 (16a, 16b) 을 가지며, 상기 세로축은 주축 (3) 에 대해 평행으로 정렬되어 있다.
두 드라이브 챔버 (15a, 15b) 는 가로축 (4) 의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그 사이에 뻗어 있는, 특히 드라이브 하우징 (2) 에 속해 있는 중간벽 (intermediate wall, 17) 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중간벽 (17) 은 특히 드라이브 하우징 (2) 의 일체형 구성요소이다. 두 드라이브 챔버 (15a, 15b) 의 세로축 (16a, 16b) 은 목적에 부합하여 주 평면 (6) 에 놓여 있다.
특히 도 5 에서 알 수 있듯이, 각각의 드라이브 챔버 (15a, 15b) 는 목적에 부합하여 둥근, 바람직하게는 원형의 횡단면을 가진다. 즉, 특히 원통형의, 바람직하게는 원형 원통형의 드라이브 챔버 (15a, 15b) 이다.
드라이브 하우징 (2) 은 목적에 부합하여 두 드라이브 챔버 (15a, 15b) 를 완전한 길이에 걸쳐 포함하고 있는 하우징 본체 (18), 및 주축 (3) 의 축방향으로 향해 있는 하우징 본체 (18) 의 단부면에 부착되어 있는 2 개의 제 1 및 제 2 하우징 커버 (22, 23) 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는 하우징 본체 (18) 와 바람직하게는 나사결합되어 있다. 중간벽 (17) 은 목적에 부합하여 하우징 본체 (18) 의 일체형 구성요소이다.
제 1 드라이브 챔버 (15a) 안에, 제 1 드라이브 유닛 (24a) 은 할당된 세로축 (16a) 의 축방향으로 선형으로 (linear)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비교 가능한 방식으로, 제 2 드라이브 챔버 (15b) 는 제 2 드라이브 유닛 (24b) 을 할당된 세로축 (16b) 의 축방향으로 선형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다. 두 드라이브 유닛 (24a, 24b) 의 선형운동은 상기에서 이미 언급된 유체 구동매체를 이용한 제어된 유체 적용을 통해 초래될 수 있다.
각각의 드라이브 유닛 (24a, 24b) 은 목적에 부합하여 세로축 (16a, 16b) 의 축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2 개의 헤드 섹션 (head section, 25, 26) 을 구비하며, 상기 헤드 섹션은 그 사이에 뻗어 있는 래크 섹션 (rack section, 27) 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래크 섹션 (27) 은 중간벽 (17) 을 향해 있는 그의 세로 방향 측면에, 특히 래크 유형으로 형성된 드라이브 톱니부 (28) 를 구비하며, 상기 드라이브 톱니부는 각각 할당된 세로축 (16a, 16b) 의 축방향으로 뻗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드라이브 톱니부 (28) 는 하나의 공통의 평면에 배치된, 그리고 세로축 (16a, 16b) 의 축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톱니로 구성되며, 상기 톱니는 각각 상기 언급된 세로축 (16a, 16b) 에 대해 가로질러, 그리고 특히 직각으로 뻗어 있다.
목적에 부합하여 각각의 드라이브 톱니부 (28) 는 할당된 래크 섹션 (27) 의 일체형 구성요소이다. 하지만, 그것은 별도의 바디 (body) 로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리고 임의의 고정수단을 이용해 래크 섹션 (27) 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각각의 헤드 섹션 (25, 26) 은 그에 의해 받쳐져 있는 링형 실링 배열체 (sealing arrangement, 32) 에 의해, 할당된 드라이브 챔버 (15a, 15b) 의 주변 (peripheral) 벽과 동적 (dynamic) 밀봉 접촉하에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드라이브 챔버 (15a, 15b) 는 유체 기밀식으로 2 개의 작업 챔버 (working chamber, 33, 34) 로 나뉘어지며, 상기 작업 챔버는 파선으로만 암시되어 있는 내부 유체 채널 시스템 (fluid channel system, 35) 을 통해, 드라이브 하우징 (2) 의 외부 표면쪽으로 통해 있는 연결부 개구 (36) 와 연통한다. 목적에 부합하여, 연결부 개구 (36) 는 두 하우징 커버 (22) 중 하나에 위치해 있다.
로터리 드라이브 (1) 를 작동시키기 위해 연결부 개구 (36) 는 컨트롤 밸브 장치가 중간 삽입된 도시되어 있지 않은 유체 라인을 통해, 구동매체를 제공하는 압력소스 (pressure source) 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밸브 장치의 상응하는 작동을 통해, 작업 챔버 (33, 34) 는 두 드라이브 유닛 (24a, 24b) 이 동기적으로 (synchronously) 반대 방향으로 선형운동을 실행하도록 서로에 대해 맞춰진 방식으로 유체의 작용을 받거나 또는 압력이 해제될 수 있다.
유체 적용을 통해 초래될 수 있는 두 드라이브 유닛 (24a, 24b) 의 선형운동은 로터리 드라이브 (1) 의 기어 수단 (37) 을 통해 출력 유닛 (38) 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된다. 이 회전운동은 이중 화살표에 의해 43 에 암시되어 있다. 회전운동 (43) 의 회전 방향은 드라이브 유닛 (24a, 24b) 의 운동 방향에 좌우되며, 그리고 선택적으로 시계 방향으로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수행된다. 드라이브 유닛 (24a, 24b) 이 왕복 선형운동을 하도록 구동됨으로써, 출력 유닛 (38) 에서는 진동 (oscillating) 회전운동 (43) 이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와는 달리, 로터리 드라이브 (1) 의 서로 평행인 두 장방형 챔버 (15a, 15b) 중 단 하나만 드라이브 챔버로서 형성되며, 그리고 하나의 드라이브 유닛을 갖추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출력 유닛 (38) 은 단지 하나의 드라이브 유닛에 의해 구동된다. 그러면, 다른 장방형 챔버는 비어 있을 수 있거나 또는 다른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회전운동 (43) 을 편안히 인출할 수 있기 위해, 출력 유닛 (38) 은 목적에 부합하여 적어도 하나의 고정 인터페이스 (fastening interface, 42) 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고정 인터페이스는 일례적으로 다수의 고정 구멍에 의해 표현되고, 그리고 상기 고정 인터페이스에는, 특히 회전적으로 움직여져야 하는 외부 구성요소는 특히 탈착 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외부 구성요소는 예컨대 물체를 핸들링하기 위해 이용되는 핸들링 장치, 예컨대 그립핑 장치 (gripping device) 의 구성요소이다.
출력 유닛 (38) 은 그의 회전운동 (43) 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그와 관련하여, 그리고 드라이브 하우징 (2) 과 관련하여 독립적인 베어링링 (bearing ring, 44) 의 중간 삽입 (interposition) 하에 드라이브 하우징 (2)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회전 지지를 통해, 회전운동 (43) 을 위한 회전축 (45) 이 정의되며, 상기 회전축은 목적에 부합하여 드라이브 하우징 (2) 의 수직축 (5) 과 똑같이 정렬되어 있다. 그러므로, 회전축 (45) 은 주축 (3) 에 대해 직각으로, 그리고 목적에 부합하여 상기 정의된 주 평면 (6) 에 대해서도 직각으로 뻗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출력 유닛 (38) 은 본질적으로 디스크 모양인 출력 플레이트 (46) 를 구비하며, 상기 출력 플레이트의 세로축은 회전축 (45) 과 서로 같다. 상기 출력 플레이트에는 목적에 부합하여 고정 인터페이스 (42) 가 위치해 있다.
이 이외에, 출력 유닛 (38) 은 목적에 부합하여 출력 플레이트 (46) 에 대해 동축적인 (coaxial) 출력 샤프트 (47) 를 구비하며, 상기 출력 샤프트는 회전 불가능하게, 그리고 특히 출력 플레이트 (46) 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출력 샤프트는 출력 플레이트 (46) 의 아랫면에서 돌출되어 있다.
출력 샤프트 (47) 는 동심적인 배열로 출력 톱니바퀴 (48) 를 지니고 있다. 이 출력 톱니바퀴 (48) 는 출력 샤프트 (47) 의 외부 둘레에 위치해 있으며, 그리고 출력 샤프트 (47) 를 빙 둘러 뻗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출력 톱니바퀴 (48) 는 기어휠 (gear wheel) 또는 피니언 기어 (pinion gear) 의 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출력 톱니바퀴는 특히 직선 모양의 톱니부를 구비하며, 이때 그의 톱니는 각각 회전축 (45) 에 대해 평행으로 정렬되어 있다.
출력 톱니바퀴 (48) 가 출력 샤프트 (47) 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면 바람직한데, 본 실시예가 그러하다. 출력 플레이트 (46) 와 출력 샤프트 (47) 와 출력 톱니바퀴 (48) 가 단 하나의 부품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드라이브 유닛 (38) 의 구조형태가 특히 비용을 절감시킨다.
드라이브 하우징 (2) 은 하우징 리세스 (housing recess, 52) 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 리세스는 하기에서 보다 잘 구분하기 위해 제 1 리세스 구멍 (53) 이라고 불리우는 구멍을 통해 제 1 외면 (7) 쪽으로, 즉 드라이브 하우징 (2) 의 윗면쪽으로 통해 있다. 이 제 1 리세스 구멍 (53) 으로부터 시작하여, 하우징 리세스 (52) 는 드라이브 하우징 (2) 의 내부 속으로 뻗어 있고, 이때 상기 하우징 리세스는 두 드라이브 챔버 (15a, 15b) 사이에 뻗어 있다. 수직축 (5) 과 서로 같은 하우징 리세스 (52) 의 세로축은 특히, 상기 세로축이 수직축 (5) 의 축방향에 있어서 중간벽 (17) 안으로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일례적으로, 하우징 리세스 (52) 의 길이는, 상기 하우징 리세스가 드라이브 하우징 (2) 을, 그리고 또한 중간벽 (17) 을 드라이브 하우징 (2) 의 수직 방향에 있어서 완전히 관통하며, 그리고 제 1 리세스 구멍 (53) 과 대향하는 제 2 리세스 구멍 (54) 과 함께 드라이브 하우징 (2) 의 아랫면에서의 제 2 외면 (8) 쪽으로 통해 있도록 선택되어 있다. 하지만, 하우징 리세스 (52) 는 제 1 리세스 구멍 (53) 과 대향하는 그의 단부 영역에서 닫혀있을 수 있는데, 특히 그것이 제 2 외면 (8) 에 도달하기 전에 블라인드홀 (blind hole) 의 유형으로 드라이브 하우징 (2) 의 내부에서 끝남으로써 닫혀있을 수 있다.
하우징 리세스 (52) 의 횡단면은 적어도 두 드라이브 챔버 (15a, 15b) 의 높이에서, 가로축 (4) 의 축방향으로 측정된 중간벽 (17) 의 폭보다 크다. 이러한 방식으로, 두 드라이브 챔버 (15a, 15b) 는 하우징 리세스 (52) 로부터, 서로 향해 있는 내부 세로 방향 측면에서 절삭된다. 그러므로, 하우징 리세스 (52) 를 관통하여 두 드라이브 챔버 (15a, 15b) 간의 가로 방향 연결이 생성된다.
하지만 하우징 리세스 (52) 의 횡단면 치수는, 하우징 리세스 (52) 가 두 드라이브 유닛 (24a, 24b) 의 축방향 위치와 상관없이 두 작업 챔버 (33, 34) 중 하나와 결코 연결되지 않도록 선택되어 있다. 두 헤드 섹션 (25, 26) 의 실링 배열체 (32) 는, 하우징 리세스 (52) 에 의해 형성된 중간벽 (17) 의 벽 관통구멍 (55) 이 항상 각각의 드라이브 유닛 (24a, 24b) 의 두 헤드 섹션 (25, 26) 의 실링 배열체 (32) 사이에 안착되도록 축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업 챔버 (33, 34) 로부터 하우징 리세스 (52) 안으로의 유체 유출이 불가능하다.
출력 유닛 (38) 은 - 아래로 돌출하는 그의 출력 샤프트 (47) 와 함께 먼저 - 제 1 외면 (7) 에 할당된 윗면으로부터 하우징 리세스 (52) 안에 맞물린다. 이때, 출력 톱니바퀴 (48) 는 벽 관통구멍 (55) 의 영역에서 두 드라이브 유닛 (24a, 24b) 사이에 안착되며, 그리고 두 드라이브 유닛 (24a, 24b) 의 드라이브 톱니부 (28) 와 맞물린다. 이러한 방식으로 출력 톱니바퀴 (48) 는 기어 수단 (37) 의 구성요소이며, 이때 드라이브 유닛 (24a, 24b) 의 선형운동으로 인해 출력 톱니바퀴 (48) 는, 그리고 따라서 전체 출력 유닛 (38) 은 회전축 (45) 둘레의 회전운동 (43) 을 하도록 구동된다.
로터리 드라이브 (1) 가 단지 하나의 드라이브 유닛을 갖추고 있는 경우에는, 출력 톱니바퀴 (48) 자체는 물론 단지 그의 드라이브 톱니부와 맞물린다.
제 1 외면 (7) 의 영역에서, 출력 유닛 (38) 은 베어링링 (44)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베어링링은 움직일 수 없게 드라이브 하우징 (2) 에 고정되어 있다.
베어링링 (44) 은 서로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축방향 단부면 (49, 50) 을 구비하며, 상기 단부면 중 제 1 단부면 (49) 은 베어링링 (44) 의 윗면을 형성하고 제 2 단부면 (50) 은 아랫면을 형성한다. 그의 아랫면 또는 제 2 단부면 (50) 과 함께 먼저, 베어링링 (44) 은 제 1 외면 (7) 의 영역에서 - 즉, 드라이브 하우징 (2) 의 윗면에 - 단단히 조립되어 있다. 이는 나사결합부 (51) 를 이용해 수행된다.
베어링링 (44) 은 출력 유닛 (38) 을 동축적인 배열로 둘러싼다. 실시예에서와 같이 출력 유닛 (38) 이 출력 플레이트 (46) 를 구비하면, 베어링링 (44) 은, 그가 하나의 공통의 평면에 출력 플레이트 (46) 와 함께 놓이고, 그리고 이것을 동심적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공통의 평면은 회전축 (45) 에 대해, 그리고 이것과 서로 같은 하우징 리세스 (52) 의 세로축에 대해 직각으로 뻗어 있다.
동심적으로 (concentrically) 베어링링 (44) 과, 출력 유닛 (38) 또는 출력 플레이트 (46) 사이에는, 목적에 부합하여 베어링 수단 (62) 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베어링 수단을 통해 출력 유닛 (38) 은 베어링링 (44) 과 관련하여 방사상 방향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에서도, 상기 출력 유닛이 베어링링 (44) 에 대해 그의 회전축 (45) 둘레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어링 수단 (62) 은 베어링링 (44) 의 내부 둘레뿐만 아니라 출력 플레이트 (46) 의 외부 둘레와도 형상 끼워맞춤으로 맞물려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베어링링 (44) 과 출력 플레이트 (46) 는 목적에 부합하여 축방향으로 두 방향에 있어서 서로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없도록 고정되어 있으며, 하지만 동시에 서로 상대적으로 비틀려질 수 있다.
베어링 수단 (62) 은 바람직하게는 구름 베어링 수단이다. 그는 목적에 부합하여 방사상으로 베어링링 (44) 과 출력 플레이트 (46) 사이에 배치된, 그리고 화환 모양으로 출력 플레이트 (46) 의 외부 둘레를 따라 분배된 다수의 구름 베어링 요소 (63) - 예컨대 볼 또는 롤러 - 를 구비하며, 상기 구름 베어링 요소는 출력 유닛 (38) 의 회전운동 (43) 시 출력 유닛 (38) 에서뿐만 아니라 베어링링 (44) 에서도 굴러갈 수 있다. 목적에 부합하여 구름 베어링 요소 (63) 는 케이지 요소 (cage element) 에 의해 결속되어 있다.
일례적으로, 베어링 수단 (62) 은, 출력 유닛 (38) 과 베어링링 (44) 이 바람직한 방식으로 자체 지지 (self-supporting) 출력 조립체 (output assembly, 64) 가 되도록 결합되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출력 조립체는 사전 조립된 유닛으로서 드라이브 하우징 (2) 에 조립 가능하며 또는 조립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 는 드라이브 하우징 (2) 에 배치하기 전에 사전 조립된 출력 조립체 (64) 가 어떻게 로터리 드라이브 (1) 의 조립시 수직축 (5) 의 축방향과 서로 같은 조립 방향 (65) 에 있어서 제 1 외면 (7) 의 영역에서 드라이브 하우징 (2) 에 부착될 수 있는 지를 매우 잘 도시하고 있다. 이 부착시, 베어링링 (44) 을 넘어 그의 아랫면 (50) 에서 돌출하는 출력 샤프트 (47) 는 제 1 리세스 구멍 (53) 을 관통하여 하우징 리세스 (52) 안으로 가라앉으며, 이때 출력 톱니바퀴 (48) 는 두 드라이브 유닛 (24a, 24b) 의 드라이브 톱니부 (28) 와 맞물린다.
조립 방향 (65) 에 있어서 발생하는 삽입 과정은, 출력 조립체 (64) 가 조립 방향 (65) 에 있어서 방향지어진 스톱면 (stop surface, 59) 과 함께, 특히 드라이브 하우징 (2) 의 제 1 외면 (7) 의 표면 섹션 (surface section) 에 의해 형성된 대응 스톱면 (60) 에 밀착하게 되면 끝난다. 이러한 방식으로, 출력 톱니바퀴 (48) 의 가라앉음 깊이 (immersion depth) 도 정의되어 있으며, 상기 가라앉음 깊이는 출력 톱니바퀴 (48) 가 두 드라이브 톱니부 (28) 와 동일한 높이에서 이 드라이브 톱니부 (28) 사이에 안착되도록 선택되어 있다.
목적에 부합하여, 드라이브 하우징 (2) 은 제 1 외면 (7) 의 영역에, 제 1 리세스 구멍 (53) 에 동축적으로 이어지는 수용 오목부 (66) 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수용 오목부는 드라이브 하우징 (2) 과 대향하는 윗면쪽으로 열려 있고, 그리고 그의 지름 또는 횡단면은 제 1 리세스 구멍 (53) 의 영역에서의 하우징 리세스 (52) 의 지름보다 크다. 수용 오목부 (66) 는 축방향으로 위를 향해 있는 베이스면 (base surface, 67) 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면은 제 1 리세스 구멍 (53) 을 빙 둘러싼다.
드라이브 하우징 (2) 에 조립된 출력 조립체 (64) 의 상태에서, 베어링링 (44) 은 그의 축방향 높이의 적어도 일 부분과 함께 수용 오목부 (66) 안으로 가라앉는다. 이때, 상기 베어링링의 아랫면 또는 제 2 축방향 단부면 (50) 은 스톱면 (59) 을 형성하며, 상기 스톱면과 함께 상기 베어링링은 대응 스톱면 (60) 으로서 기능을 수행하는 수용 오목부 (66) 의 베이스면 (67) 에 밀착된다.
조립된 상태에서, 베어링링 (44) 의 스톱면 (59) 은 목적에 부합하여 회전축 (45) 의 축방향에 있어서, 드라이브 하우징 (2) 에 배치된 대응 스톱면 (60) 과 함게 클램핑되어 있다.
주변에서 (peripherally), 수용 오목부 (66) 는 특히 빙 둘러 닫혀 있는, 그리고 방사상으로 방향지어진 측벽 (68) 에 의해 한정되어 있다. 상기 측벽은 수용 오목부 (66) 의 주변 (peripheral) 내부 둘레를 정의한다. 조립된 베어링링 (44) 은 방사상 바깥으로 방향지어진 그의 주변 외부 둘레 (78) 에서의 측벽 (68) 에 의해, 방사상 방향에 있어서 모든 쪽으로 움직일 수 없게 하우징에 고정되어 지지된다.
목적에 부합하여 본 경우에서와 같이 베어링링 (44) 이 수용 오목부 (66) 와 맞물리는 길이 섹션에서 원형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측벽 (68) 은 목적에 부합하여 이에 대해 상호 보완적인 원형 원통형 윤곽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베어링링 (44) 은 그의 전체 축방향 길이를 넘어 원통형 외부 윤곽을 갖추고 있다.
베어링링 (44) 을 드라이브 하우징 (2) 에 고정시키기 위해 존재하는 나사결합부 (51) 의 특이함은, 상기 나사결합부는 별도의 고정 스크류 없이도 해낼 수 있다는 점에 있다. 베어링링 (44) 은 그의 중심 (center) 과 관련하여 동심적으로 배치된 고정 나사산 (fastening thread, 57) 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고정 나사산과 함께 그는 드라이브 하우징 (2) 에 배치된 상호 보완적인 대응 나사산 (58) 과 나사결합되어 있다. 즉, 나사결합부 (51) 는 상호 보완적인 단지 2 개의 나사산을 필요로 하며, 상기 나사산 중 하나는 - 고정 나사산 (57) - 베어링링 (44) 에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다른 하나는 - 대응 나사산 (58) - 드라이브 하우징 (2) 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나사산은 상호 나사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베어링링 (44) 과 드라이브 하우징 (2) 간의 직접적인 나사결합이 추가적인 고정 스크류 없이 발생한다.
목적에 부합하여, 고정 나사산 (57) 은 외부 나사산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는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나사산이 베어링링 (44) 의 주변 (peripheral) 외부 둘레 (78) 에 위치해 있는 경우이다. 이때, 대응 나사산 (58) 은 내부 나사산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대응 나사산은 실시예에서 수용 오목부 (66) 의 내부에, 그의 측벽 (68) 에 또는 그의 주변 (peripheral) 내부 둘레에 배치되어 있다.
고정 나사산 (57) 은 베어링링 (44) 에 목적에 부합하여 축방향에 있어서 단단히 배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 불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 나사산은 나사 링 (threaded ring) 으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나사 링은 적합한 고정 조치를 통해, 예컨대 용접을 통해 또는 접착을 통해 베어링링 (44) 과 단단히 연결되어 있다. 하지만 고정 나사산 (57) 이 베어링링 (44) 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실시예에 따른 구조형태가 특히 목적에 부합한다.
베어링링 (44) 과 관련된 고정 나사산 (57) 의 회전 불가능한 배치는, 베어링링 (44) 을 그의 중심 (86) 둘레로 간단히 비틀음으로써 나사결합이 발생되거나 또는 다시 풀릴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조립시 베어링링 (44) 은, 그가 스톱면 (59) 과 함께 대응 스톱면 (60) 에 밀착되기까지 비틀려지고, 그리고 수용 오목부 (66) 안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나사결합은 필요시 임의의 방식으로, 예컨대 나사결합 전에 접착제가 나사산 턴 상에 도포됨으로써 더욱 안전해질 수 있다.
고정 나사산 (57) 이 나사 링 (threaded ring) 에 형성되어 있는 대안적인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나사 링은 베어링링 (44) 에 축방향으로 단단히, 그리고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따라서 나사결합은 상기 나사 링을 단순히 비틀음으로써 발생되며, 그리고 베어링링 (44) 자체는 나사결합을 발생시키기 위해 회전운동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대응 나사산 (58) 은 드라이브 하우징 (2) 과 관련하여 독립적인 나사 바디 (threaded body) 의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상기 나사 바디는 드라이브 하우징 (2) 에 고정되어 있다. 하지만 대응 나사산 (58) 과 드라이브 하우징 (2) 의 일체형 구현형태가 특히 바람직하다. 대응 나사산 (58) 은 특히 일체로 측벽 (68) 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베어링링 (44) 은 세로축 (69) 을 가지며, 상기 세로축은 회전축 (45) 과 서로 같다. 베어링링 (44) 의 중심 (86) 은 상기 언급된 세로축 (69) 상에 놓여 있다.
베어링링 (44) 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형태가 실시예에서 실현되어 있다. 이 경우, 베어링링 (44) 은 고정 나사산 (57) 을 구비한 나사산 섹션 (70), 및 윗면 (49) 을 향한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상기 나사산 섹션에 이어지는, 외부 둘레에 나사산 없이 형성된 상부 단부섹션 (end section, 71) 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두 섹션 (70, 71) 은 특히 언더컷의 유형으로 설계된 환상 그루브 (annular groove, 87) 에 의해 서로 대조를 이루며, 상기 환상 그루브는 세로축 (69) 에 대해 동심적으로 베어링링 (44) 의 외부 둘레 (78) 에 형성되어 있다. 나사산을 갖지 않은 상부 단부섹션 (71) 이, 윗면을 형성하는 제 1 축방향 단부면 (49) 안으로 곧바로 병합되면 목적에 부합한다.
드라이브 하우징 (2) 에 조립된 상태에서, 베어링링 (44) 은 목적에 부합하여 전체 나사산 섹션 (70) 과 함께 수용 오목부 (66) 안으로 가라앉으며, 반면 나사산을 갖지 않은 상부 단부섹션 (71) 은 바람직하게는 드라이브 하우징 (2) 의 제 1 외면 (7) 의 수용 오목부 (66) 를 빙 둘러싸는 표면 섹션을 넘어 돌출한다. 그러므로, 이 상부 단부섹션 (71) 은 상기 베어링링의 조립 및 분해를 위해 편안히 손으로 붙잡힐 수 있다.
베어링링 (44) 이 특히 나사산을 갖지 않은 단부섹션 (71) 의 적합한, 그리고 접근하기가 쉬운 부위에 적어도 하나의 공구 부착 섹션 (88), 예컨대 오목부를 구비하면 목적에 부합하며, 상기 베어링링을 고정시키기 위해 또는 풀기 위해 상기 베어링링 (44) 안으로 토크를 도입시킬 수 있기 위해 상기 오목부에는 공구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공구 부착 섹션 (88) 은 목적에 부합하여 베어링링 (44) 의 외부 둘레 (78) 에 제공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직접적으로 베어링링 (44) 의 아랫면 (50) 은 스톱면 (59) 으로서 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베어링링 (44) 의 아랫면 (50) 과 윗면 (49) 사이의 고정 나사산 (57) 위쪽에 배치되는 스톱면 (59a) 을 제공하는 것이 전적으로 가능하다. 여기에서는 특히 나사산 섹션 (70) 보다 큰 바깥지름을 가진 상부 단부섹션 (71) 을 형성하는 가능성이 존재하며, 따라서 계단부가 발생하고, 그리고 상부 단부섹션 (71) 의 나사산 섹션 (70) 을 향해 있는 링형 단부면은 스톱면 (59a) 으로서 유용하다. 이 스톱면 (59a) 과 협력하는 대응 스톱면으로서는, 특히 수용 오목부 (66) 를 빙 둘러싸는 드라이브 하우징 (2) 의 제 1 외면 (7) 의 표면 섹션이 기능을 수행한다.
실시예에서 수용 오목부 (66) 의 베이스면 (67) 과 협력하는 스톱면 (59) 은 목적에 부합하여 축방향 간격을 갖고 나사산 섹션 (70)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를 위해, 베어링링 (44) 은, 축방향으로 아래로 나사산 섹션 (70) 에 동축적인 정렬로 이어지는 링 또는 슬리브 모양의 스톱 섹션 (stop section, 89) 을 구비하며, 상기 스톱 섹션의 바깥지름은 나사산 섹션 (70) 의 바깥지름보다 작고, 그리고 상기 스톱 섹션의 나사산 섹션 (70) 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단부면은 스톱면 (59) 을 형성하며, 그리고 동시에 또한 베어링링 (44) 의 하부 축방향 단부면 (50) 을 형성한다.
베어링링 (44) 이 추가적인 고정 스크류 없이 드라이브 하우징 (2) 에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그의 환상 바디 (annular body) 는 방사상 방향에 있어서 비교적 슬림하게 형성될 수 있고, 이는 특히 작은 폭을 가진 드라이브 하우징 (2) 을 형성하는 가능성을 열게 한다.
베어링링 (44) 의 상기 환상 바디는 축방향에 있어서 목적에 부합하여 뚫려있지 않다. 이러한 방식으로 그는 높은 안정성을 갖는다. 이 이외에, 이러한 방식으로, 외부로부터의 액체 불순물이 베어링링 (44) 을 관통하여 하우징 리세스 (52) 안으로 들어오는 것이 효과적으로 저지된다.
밀봉 품질에 대한 특히 높은 요구가 존재하면, 베어링링 (44) 의 외부 둘레 (78) 와 수용 오목부 (66) 의 측벽 (68) 사이에 실링링 (sealing ring) 이 결합될 수도 있다.
출력 유닛 (38) 을 틸팅 부하에 대해 특히 잘 지지하기 위해, 베어링링 (44) 에 대해 추가적으로, 이와 관련하여 회전축 (45) 의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있는 그 밖의 피벗 베어링 장치 (pivot bearing device, 84) 가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피벗 베어링 장치는 특히 구름 베어링 장치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그 밖의 피벗 베어링 장치 (84) 는 본 실시예에서 존재하며, 상기 피벗 베어링 장치는 제 2 리세스 구멍 (54) 의 근처에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회전축 (45) 의 축방향으로, 출력 톱니바퀴 (48) 의 한쪽에는 베어링링 (44) 이 위치해 있으며, 그리고 대향하는 쪽에는 그 밖의 피벗 베어링 장치 (84) 가 위치해 있다.
목적에 부합하여 출력 샤프트 (47) 는, 출력 플레이트 (46) 와 대향하는 단부면에서 출력 톱니바퀴 (48) 에 이어지는 베어링 돌기부 (85) 를 구비하며, 상기 베어링 돌기부는 동축적으로 그 밖의 피벗 베어링 장치 (84) 안에 맞물리고, 상기 피벗 베어링 장치는 하우징 리세스 (52) 의 내부 둘레에 방사상으로 지지된다. 출력 조립체 (64) 가 하우징 리세스 (52) 안으로 도입되면, 베어링 돌기부 (85) 는 이미 드라이브 하우징 (2) 안에 사전 조립되어 있는 그 밖의 피벗 베어링 장치 (84) 안으로 가라앉는다.

Claims (16)

  1. 유체 작동식 로터리 드라이브로서, 상기 로터리 드라이브는 주축 (3) 을 따라 뻗어 있는 드라이브 하우징 (2) 을 구비하며,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 안에는 중간벽 (17) 에 의해 서로 분리된 2 개의 장방형 챔버 (15a, 15b) 가 상기 주축 (3) 에 대해 평행인 세로축 (16a, 16b) 과 함께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상기 챔버 중 적어도 하나는 드라이브 챔버 (drive chamber) 를 형성하며, 상기 드라이브 챔버 안에는 제어된 유체 적용 (fluid application) 을 통해 선형으로 (linear) 이동될 수 있는 드라이브 유닛 (24a, 24b) 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드라이브 유닛은 상기 중간벽 (17) 을 향해 있는 그의 세로 방향 측면에 드라이브 톱니부 (28) 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로터리 드라이브는 상기 주축 (3) 에 대해 직각인 회전축 (45) 둘레로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 (2) 에 대해 회전될 수 있는 출력 유닛 (38) 을 구비하고, 상기 출력 유닛은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 (2) 의 내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 유닛 (24a, 24b) 의 상기 드라이브 톱니부 (28) 와 맞물려 있는 출력 톱니바퀴 (48) 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출력 유닛은 그를 둘러싸는 베어링링 (bearing ring, 44)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링은 아랫면 (50) 과 함께 먼저, 상기 회전축 (45) 의 축방향으로 방향지어진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 (2) 의 제 1 외면 (7) 의 영역에서 조립되어 있으며, 그리고 이때 나사결합부 (51) 를 이용해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 (2) 에 고정되어 있는 유체 작동식 로터리 드라이브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링 (44) 은 그의 중심 (86) 과 관련하여 동심적인 (concentric) 고정 나사산 (fastening thread, 57) 을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 (2) 에는 상기 고정 나사산 (57) 에 대해 상호 보완적인 대응 나사산 (58) 이 배치되어 있고, 이때 상기 베어링링 (44) 은 상기 고정 나사산 (57) 과 상기 대응 나사산 (58) 의 상호 나사결합을 통해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 (2) 과 나사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작동식 로터리 드라이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장방형 챔버 (15a, 15b) 의 각각은 드라이브 챔버를 형성하며, 상기 드라이브 챔버 안에는 제어된 유체 적용을 통해 선형으로 이동될 수 있는 드라이브 유닛 (24a, 24b) 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드라이브 유닛은 상기 중간벽 (17) 을 향해 있는 그의 세로 방향 측면에 드라이브 톱니부 (28) 를 구비하며, 이때 상기 두 드라이브 유닛 (24a, 24b) 은 상기 출력 톱니바퀴 (48) 와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작동식 로터리 드라이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나사산 (57) 은 상기 베어링링 (44) 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작동식 로터리 드라이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나사산 (58) 은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 (2) 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작동식 로터리 드라이브.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나사산 (57) 은 외부 나사산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대응 나사산 (58) 은 내부 나사산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작동식 로터리 드라이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링 (44) 은 방사상 바깥으로 방향지어진 주변 (peripheral) 외부 둘레 (78) 를 가지며, 이때 상기 고정 나사산 (57) 은 이 주변 외부 둘레 (78) 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작동식 로터리 드라이브.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 (2) 은 제 1 외면 (7) 의 영역에 수용 오목부 (66) 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 오목부 안에는 상기 베어링링 (44) 이 그의 축방향 높이의 적어도 일 부분과 함께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작동식 로터리 드라이브.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나사산 (58) 은 상기 수용 오목부 (66) 의 주변 (peripheral) 내부 둘레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작동식 로터리 드라이브.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링 (44) 은 상기 고정 나사산 (57) 을 구비한 나사산 섹션 (70), 및 아랫면 (50) 과 대향하는 상기 베어링링의 윗면 (49) 을 향한 방향으로 상기 나사산 섹션에 이어지는, 외부 둘레에 나사산을 갖지 않은 상부 단부섹션 (end section, 71) 을 구비하며, 이때 상기 상부 단부섹션 (71) 은 목적에 부합하여 상기 베어링링 (44) 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 (2) 의 수용 오목부 (66) 의 외부에 놓여 있고, 그리고 상기 수용 오목부 (66) 를 빙 둘러싸는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 (2) 의 상기 제 1 외면 (7) 의 표면 섹션 (surface section) 을 넘어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작동식 로터리 드라이브.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링 (44) 은 회전축 (45) 의 축방향으로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 (2) 을 향해 있는, 그리고 특히 링 모양인 스톱면 (stop surface, 59, 59a) 을 구비하며, 상기 스톱면은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 (2) 과 관련하여 차지된, 상기 베어링링 (44) 의 나사 끼워맞춤 길이 (length of thread engagement) 를 정해주기 위해,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 (2) 에 배치된 대응 스톱면 (60) 에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작동식 로터리 드라이브.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톱면 (59) 은 상기 베어링링 (44) 의 아랫면 (50) 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때 할당된 대응 스톱면 (60) 은 상기 베어링링 (44) 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 (2) 의 수용 오목부 (66) 의 베이스면 (base surface, 67) 에 형성되어 있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톱면 (59a) 은 상기 베어링링 (44) 의 아랫면 (50) 과 윗면 (49) 사이의 고정 나사산 (57) 위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때 할당된 대응 스톱면은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 (2) 의 제 1 외면 (7) 의 표면 섹션 (surface section) 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표면 섹션은 상기 베어링링 (44) 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 (2) 의 수용 오목부 (66) 를 빙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작동식 로터리 드라이브.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링 (44) 은 상기 고정 나사산 (57) 을 지니고 있는 환상 바디 (annular body) 를 구비하며, 상기 환상 바디는 뚫린 구멍이 없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작동식 로터리 드라이브.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유닛 (38) 과 상기 베어링링 (44) 은 자체 지지 (self-supporting) 출력 조립체 (64) 가 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출력 유닛 (38) 은 목적에 부합하여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 (2) 과 나사결합되어 있는 상기 베어링링 (44) 에 의해서만,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 (2) 과 관련하여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게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작동식 로터리 드라이브.
  14. 제 13 항에 있어서, 동심적으로 (concentrically) 상기 출력 유닛 (38) 과 상기 베어링링 (44) 사이에는, 상기 출력 유닛 (38) 뿐만 아니라 상기 베어링링 (44) 과도 협력하는 베어링 수단 (62) 이 존재하며, 상기 베어링 수단은 목적에 부합하여 다수의 구름 베어링 요소 (63)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작동식 로터리 드라이브.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유닛 (38) 은 상기 베어링링 (44) 에 의해 동심적으로 둘러싸인,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 인터페이스 (fastening interface, 42) 를 갖추고 있는 출력 플레이트 (46), 및 상기 출력 플레이트 (46) 와 특히 일체로 연결된, 상기 출력 톱니바퀴 (48) 를 지니고 있는 출력 샤프트 (47) 를 구비하며, 이때 상기 출력 톱니바퀴 (48) 는 목적에 부합하여 상기 출력 샤프트 (47) 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작동식 로터리 드라이브.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드라이브 유닛 (24a, 24b) 은 축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둔, 그리고 드라이브 챔버로서 형성된 상기 할당된 장방형 챔버 (15a, 15b) 의 벽에 밀봉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밀착하는 2 개의 헤드 섹션 (head section, 25, 26), 및 상기 두 헤드 섹션 (25, 26) 사이에 뻗어 있고 상기 드라이브 톱니부 (28) 를 구비한 래크 섹션 (rack section, 27)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작동식 로터리 드라이브.
KR1020120009763A 2011-03-01 2012-01-31 유체 작동식 로터리 드라이브 KR201200995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001686.2A EP2495451B1 (de) 2011-03-01 2011-03-01 Fluidbetätigte Drehantriebsvorrichtung
EP11001686.2 2011-03-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9581A true KR20120099581A (ko) 2012-09-11

Family

ID=44201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763A KR20120099581A (ko) 2011-03-01 2012-01-31 유체 작동식 로터리 드라이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495451B1 (ko)
KR (1) KR20120099581A (ko)
CN (1) CN1026541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827B1 (ko) 2017-06-27 2018-10-18 박병준 불판의 기름 배출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73871B1 (de) 2013-11-14 2017-09-13 FESTO AG & Co. KG Fluidbetätigte drehantriebsvorrichtung
DE102017206171A1 (de) * 2017-04-11 2018-10-11 Zf Friedrichshafen Ag Getriebe mit einem Stau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8595A (en) * 1963-05-21 1964-09-15 Ohio Oscillator Company Fluid motor actuator
DE19803819B4 (de) 1998-01-31 2004-05-13 Festo Ag & Co Fluidbetätigte Drehantriebsvorrichtung
ITVI20030109A1 (it) * 2003-06-06 2004-12-07 Giancarlo Brun Cuscinetto.
JP2007127160A (ja) 2005-11-01 2007-05-24 Koganei Corp ロータリアクチュエータ
JP4994020B2 (ja) 2006-12-21 2012-08-08 株式会社コガネイ ロータリアクチュエー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827B1 (ko) 2017-06-27 2018-10-18 박병준 불판의 기름 배출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95451A1 (de) 2012-09-05
EP2495451B1 (de) 2013-05-15
CN102654150A (zh)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2228B2 (en) Filter device
EP2093432B1 (en) Rotary actuator
KR20120099581A (ko) 유체 작동식 로터리 드라이브
US8443684B2 (en) Rotary drive device
CN107110330B (zh) 传动机构以及用于调整所述传动机构的转动间隙的方法
JP5887327B2 (ja) プッシャーのモジュール式組付け方法及びモジュール式プッシャー
RU2703433C9 (ru) Гидро(пневмо)цилиндр
JP5779194B2 (ja) 位置決め装置
EP2682734B1 (en) Tire holding member for tire testing machine
EP3073113A1 (en) Diaphragm pump
JP6260793B2 (ja) 流体圧機器の接続装置
KR102189093B1 (ko) 유체 작동식 회전 드라이브 장치 및 관련 아웃풋 어셈블리
JPWO2011030445A1 (ja) エアシリンダ
JP4877787B2 (ja) 位置決め装置およびその装置を備えた位置決めシステム
KR20090021197A (ko) 파워 조향 시스템용 기어 펌프
WO2010082550A1 (ja) 流体圧シリンダ
CN109424732B (zh) 螺纹传动机构
WO2011037091A1 (ja) ネジ係合式クランプ装置及びクランピングシステム並びに流体圧アクチュエータ
CN102678655B (zh) 流体操纵的旋转驱动装置
CN201241895Y (zh) 具有流量调节机构的夹具用缸
KR102058614B1 (ko) 조립식 압력 용기 유닛
KR101458359B1 (ko) 서보 프레스 장치
JP2005168189A (ja) 電動機
WO2023185997A1 (zh) 一种电动阀
CN116928369A (zh) 一种电动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