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9545A - 조립성, 정밀성 및 구조강성을 개선한 연결구를 갖는 조립식 가로등주 - Google Patents

조립성, 정밀성 및 구조강성을 개선한 연결구를 갖는 조립식 가로등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9545A
KR20120099545A KR1020110008612A KR20110008612A KR20120099545A KR 20120099545 A KR20120099545 A KR 20120099545A KR 1020110008612 A KR1020110008612 A KR 1020110008612A KR 20110008612 A KR20110008612 A KR 20110008612A KR 20120099545 A KR20120099545 A KR 20120099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lange
connector
coupled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7573B1 (ko
Inventor
조성진
Original Assignee
(주)청산가로등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산가로등주 filed Critical (주)청산가로등주
Priority to KR1020110008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573B1/ko
Publication of KR20120099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9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성, 정밀성 및 구조강성을 개선한 연결구를 갖는 조립식 가로등주에 관한 것이다.
<목 적>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등기구 및 등기구 아암을 갖는 상부지주와 하부지주가 조립식으로 결합되도록 유도하는 가로등주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하부지주의 개구된 상단에 결합되되, 이종 직경 또는 이종 재질의 상부지주가 결합시 하부지주에 대해 정확(정밀)한 상하 수직도를 갖으면 조립되도록 함은 물론 깔대기형 구조의 지지대로 하여금 작업자의 용이한 조립성을 개선하며, 특히 상부지주가 결합된 후에는 상측 지지플랜지와 하측 보조플랜지로 인해 2점 지지가 이루어져 상부지주가 풍압 등으로부터 좌우 및 사방으로 유동되는 것을 견고하게 지탱하여 현저한 구조강성이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 성>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이종 직경, 이종 재질의 상부지주(10)와 하부지주(20)가 조립되어 가로등주를 구성하도록 하는 연결구(J)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J)는 상부에 설정된 직경(D1)을 갖는 지지플랜지(100)가 형성되되, 상기 지지플랜지(100)의 하부에는 상광하협의 깔대기 형상을 갖는 지지대(20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200)의 하부에는 하방향으로 연장된 지지관(300)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관(300)의 외주면에는 상기 지지플랜지(100)와 대응되도록 수평으로 결합되되 설정된 직경(D2)을 갖는 보조플랜지(400)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플랜지(100)와 보조플랜지(400)의 사이에는 이격된 이들의 공간부를 연결하며 직하방향 구조강성을 개선하는 한편, 상하 플랜지(100,400)들의 결합공차(L)를 정밀하게 확보하도록 다수개의 보강리브(500)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효 과>
따라서, 본 발명은 8~10m 이상의 장축인 상부지주를 하부지주에 결합함에 있어서, 깔대기형 구조의 지지대로 인해 작업자의 조립 편의성을 개선하고, 상측 및 하측의 복수의 플랜지들로 하여금 2점 지지를 통해 정밀한 직하방향 수직도와 견고한 구조강성을 확보 및 보강할 수 있음은 물론 상하지주의 재질을 임의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가격의 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성, 정밀성 및 구조강성을 개선한 연결구를 갖는 조립식 가로등주{A street lamp pole with Joint}
본 발명은 등기구 및 등기구 아암을 갖는 상부지주와 하부지주가 조립식으로 결합되도록 유도하는 가로등주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하부지주의 개구된 상단에 결합되되, 이종 직경 또는 이종 재질의 상부지주가 결합시 하부지주에 대해 정확(정밀)한 상하 수직도를 갖으면 조립되도록 함은 물론 깔대기형 구조의 지지대로 하여금 작업자의 용이한 조립성을 개선하며, 특히 상부지주가 결합된 후에는 상측 지지플랜지와 하측 보조플랜지로 인해 2점 지지가 이루어져 상부지주가 풍압 등으로부터 좌우 및 사방으로 유동되는 것을 견고하게 지탱하여 현저한 구조강성이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 정밀성 및 구조강성을 개선한 연결구를 갖는 조립식 가로등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주(통칭 '가로등')는 길이가 길고 무겁기 때문에 지주의 길이를 상부와 하부로 나누어 제조한 후, 분리된 지주를 설치될 장소에서 서로 연결시켜 설치 시공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통상의 가로등주는 상부지주보다 하부지주의 직경이 더 크게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종래의 가로등(6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지주(61)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62)에 의하여 하부지주(61)가 지면(7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지주(61)의 상단에는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작어지는 형태를 갖는 상부지주(63)의 하부가 별도의 테이퍼 형태를 갖는 연결부재(64)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지주(63)의 상단에는 등기구(65)가 결합된 등기구 아암(66)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이러한 가로등(60)은 하부지주(61)의 상부에 상부지주(63)의 하단이 별도의 연결부재(64)를 통해 연결되는 과정에서 상부지주(63)와 하부지주(61)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 있음으로써, 하부지주(61)의 상부 중심에 연결부재(64)를 이용하여 상부지주(63)의 중심을 일치시키는 작업의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분리형으로 제작시에는 중심을 일치시키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별도의 지지구를 이용하여 상부지주(63)의 하단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연결부재(64)의 용접이음 작업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작업이 번거롭고 그에 따른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하부지주(61)와 상부지주(63) 및 연결부재(64)가 용접으로 연결됨에 따라 이종재질의 사용이 불가능하며, 획일적인 재질로 이루어져 미관을 저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설치된 후 파손 및 손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부분적인 교체가 불가능함과 동시에 그 호환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작업자의 숙련도 부족이나 부주위로 인하여 중심이 일치하지 않았을 경우 풍압 등에 의해 일치하지 부분이 틀어지거나 심지어 구부려지는 등 사후 안전상 적지않은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등기구 및 등기구 아암을 갖는 상부지주와 하부지주가 조립식으로 결합되도록 유도하는 가로등주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하부지주의 개구된 상단에 결합되되, 이종 직경 또는 이종 재질의 상부지주가 결합시 하부지주에 대해 정확(정밀)한 상하 수직도를 갖으면 조립되도록 함은 물론 깔대기형 구조의 지지대로 하여금 작업자의 용이한 조립성을 개선하며, 특히 상부지주가 결합된 후에는 상측 지지플랜지와 하측 보조플랜지로 인해 2점 지지가 이루어져 상부지주가 풍압 등으로부터 좌우 및 사방으로 유동되는 것을 견고하게 지탱하여 현저한 구조강성이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 정밀성 및 구조강성을 개선한 연결구를 갖는 조립식 가로등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종 직경, 이종 재질의 상부지주(10)와 하부지주(20)가 조립되어 가로등주를 구성하도록 하는 연결구(J)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J)는 상부에 설정된 직경(D1)을 갖는 지지플랜지(100)가 형성되되, 상기 지지플랜지(100)의 하부에는 상광하협의 깔대기 형상을 갖는 지지대(20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200)의 하부에는 하방향으로 연장된 지지관(300)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관(300)의 외주면에는 상기 지지플랜지(100)와 대응되도록 수평으로 결합되되 설정된 직경(D2)을 갖는 보조플랜지(400)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플랜지(100)와 보조플랜지(400)의 사이에는 이격된 이들의 공간부를 연결하며 직하방향 구조강성을 개선하는 한편, 상하 플랜지(100,400)들의 결합공차(L)를 정밀하게 확보하도록 다수개의 보강리브(500)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지지플랜지(100)와 보조플랜지(400)는 하부지주(20)의 내주면에 결합되되, 상기 지지플랜지(100)는 하부지주 내에서 제1지지점(P1)을 형성하고, 상기 보조플랜지(400)는 하부지주 내에서 제2지지점(P2)을 형성하여 상부에서 인입된 상부지주(10)가 상기 지지플랜지 및 보조플랜지에 의하여 2점 지지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점(P1)과 제2지지점(P2)은 하부지주(20)의 내주면에 용착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강리브(500)는 지지대의 원주방향을 따라 최소한 3군데 이상 등간격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구(J)는 일체형으로서 주물 가공되거나, 스테인레스를 포함한 철재를 이용하여 지지플랜지, 지지대, 보조플랜지, 보강리브를 각각 정밀 가공한 후 용접하여 결합하도록 하는 것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보조플랜지(400)는 지지관(300)에 결합시 상하방향으로 하나 이상 결합되어, 상측 지지플랜지(100)와 함께 3점 지지 이상의 지지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8~10m 이상의 장축인 상부지주를 하부지주에 결합함에 있어서, 깔대기형 구조의 지지대로 인해 작업자의 조립 편의성을 개선하고, 상측 및 하측의 복수의 플랜지들로 하여금 2점 지지를 통해 정밀한 직하방향 수직도와 견고한 구조강성을 확보 및 보강할 수 있음은 물론 상하지주의 재질을 임의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가격의 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가로등주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가 상부지주와 하부지주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일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플랜지 및 지지관을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하부측 지지관에 결합되는 보조플랜지와, 상기 지지플랜지와 보조플랜지의 이격된 사이 공간부를 연결하며 정밀 공차 확보 및 보강구조를 확보하도록 하는 보강리브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의 연결구(J)는 이종 직경, 이종 재질의 상부지주(10)와 하부지주(20)가 조립되어 가로등주를 구성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구(J)는 상부에 설정된 직경(D1)을 갖는 지지플랜지(100)가 형성되되, 상기 지지플랜지(100)의 하부에는 상광하협의 깔대기 형상을 갖는 지지대(20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200)의 하부에는 하방향으로 연장된 지지관(300)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관(300)의 외주면에는 상기 지지플랜지(100)와 대응되도록 수평으로 결합되되 설정된 직경(D2)을 갖는 보조플랜지(400)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플랜지(100)와 보조플랜지(400)의 사이에는 이격된 이들의 공간부를 연결하며 직하방향 구조강성을 개선하는 한편, 상하 플랜지(100,400)들의 결합공차(L)를 정밀하게 확보하도록 다수개의 보강리브(500)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연결구는 지지플랜지와 보조플랜지로 하여금 하부지주에 삽입 결합시 2점 지지를 도모하도록 하면서 보강리브로 인해 상하측 지지플랜지와 보조플랜지의 길이방향 결합공차(L:수평도)를 정밀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하부지주의 내주면과 정밀한 결합을 도모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설정된 직경(D1,D2)은 동일한 직경을 갖는 것으로, 이는 하부지주의 내주면에서 동일한 지지력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상기 지지플랜지(100)와 보조플랜지(400)는 하부지주(20)의 내주면에 결합되되, 상기 지지플랜지(100)는 하부지주 내에서 제1지지점(P1)을 형성하고, 상기 보조플랜지(400)는 하부지주 내에서 제2지지점(P2)을 형성하여 상부에서 인입된 상부지주(10)가 상기 지지플랜지 및 보조플랜지에 의하여 2점 지지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점(P1)과 제2지지점(P2)은 하부지주(20)의 내주면에 용착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대는 깔대기 형상에 의해 하부가 좁은 직경을 갖는 것으로, 상부지주의 하단부 직경 보다 좁게 형성되어 지지대로 상부지주가 삽입되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직경에 의해 상부지주가 용이하게 기립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강리브는 지지대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최소한 3군데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작 규격에 따라 3군데 이상 등간격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의 연결구(J)는 필요에 따라 주물로도 제작이 가능하고, 스테인레스 또는 기타 일반 철재를 정밀 가공하여 각 구성품을 용접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보조플랜지(400)는 지지관(300)에 결합시 상하방향으로 하나 이상 결합되어, 상측 지지플랜지(100)와 함께 3점 지지 이상의 지지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보조플랜지는 지지관에 대하여 직교된 방향으로 결합되어 지지플랜지와 함께 2점 지지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상부지주의 높이(길이)와 직경에 따라 보강된 지지력이 요구되는 바, 상기 지지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된 지지관의 선단에 하나 이상인 다수의 보조플랜지를 결합하여 3점 지지 이상의 지지력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상부지주 20 ... 하부지주
30 ... 상부폴 지지관
100 ... 지지플랜지 200 ... 지지대
300 ... 지지관 400 ... 보조플랜지
500 ... 보강리브

Claims (5)

  1. 이종 직경, 이종 재질의 상부지주(10)와 하부지주(20)가 조립되어 가로등주를 구성하도록 하는 연결구(J)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J)는 상부에 설정된 직경(D1)을 갖는 지지플랜지(100)가 형성되되, 상기 지지플랜지(100)의 하부에는 상광하협의 깔대기 형상을 갖는 지지대(20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200)의 하부에는 하방향으로 연장된 지지관(300)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관(300)의 외주면에는 상기 지지플랜지(100)와 대응되도록 수평으로 결합되되 설정된 직경(D2)을 갖는 보조플랜지(400)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플랜지(100)와 보조플랜지(400)의 사이에는 이격된 이들의 공간부를 연결하며 직하방향 구조강성을 개선하는 한편, 상하 플랜지(100,400)들의 결합공차(L)를 정밀하게 확보하도록 다수개의 보강리브(50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 정밀성 및 구조강성을 개선한 연결구를 갖는 조립식 가로등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랜지(100)와 보조플랜지(400)는 하부지주(20)의 내주면에 결합되되, 상기 지지플랜지(100)는 하부지주 내에서 제1지지점(P1)을 형성하고, 상기 보조플랜지(400)는 하부지주 내에서 제2지지점(P2)을 형성하여 상부에서 인입된 상부지주(10)가 상기 지지플랜지 및 보조플랜지에 의하여 2점 지지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점(P1)과 제2지지점(P2)은 하부지주(20)의 내주면에 용착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 정밀성 및 구조강성을 개선한 연결구를 갖는 조립식 가로등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500)는 지지대의 원주방향을 따라 최소한 3군데 이상 등간격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 정밀성 및 구조강성을 개선한 연결구를 갖는 조립식 가로등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J)는 일체형으로서 주물 가공되거나, 스테인레스를 포함한 철재를 이용하여 지지플랜지, 지지대, 보조플랜지, 보강리브를 각각 정밀 가공한 후 용접하여 결합하도록 하는 것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 정밀성 및 구조강성을 개선한 연결구를 갖는 조립식 가로등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플랜지(400)는 지지관(300)에 결합시 상하방향으로 하나 이상 결합되어, 상측 지지플랜지(100)와 함께 3점 지지 이상의 지지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 정밀성 및 구조강성을 개선한 연결구를 갖는 조립식 가로등주.
KR1020110008612A 2011-01-28 2011-01-28 조립성, 정밀성 및 구조강성을 개선한 연결구를 갖는 조립식 가로등주 KR101187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612A KR101187573B1 (ko) 2011-01-28 2011-01-28 조립성, 정밀성 및 구조강성을 개선한 연결구를 갖는 조립식 가로등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612A KR101187573B1 (ko) 2011-01-28 2011-01-28 조립성, 정밀성 및 구조강성을 개선한 연결구를 갖는 조립식 가로등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9545A true KR20120099545A (ko) 2012-09-11
KR101187573B1 KR101187573B1 (ko) 2012-10-04

Family

ID=47109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612A KR101187573B1 (ko) 2011-01-28 2011-01-28 조립성, 정밀성 및 구조강성을 개선한 연결구를 갖는 조립식 가로등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5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382B1 (ko) 2012-07-27 2012-10-29 조성진 쐐기형 조립식 지주를 갖는 가로등주
KR101400988B1 (ko) * 2013-10-07 2014-05-28 이레엔지니어링(주)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보조장치
WO2015053522A1 (ko) * 2013-10-07 2015-04-16 이레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보조장치
KR101504706B1 (ko) 2013-12-26 2015-03-2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플랜트용 연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553B1 (ko) 2006-05-08 2006-08-10 서한전기공업(주) 가로등지주의 연결구조
KR100891318B1 (ko) 2008-12-19 2009-03-31 (주)청산가로등주 이종 및 이경 파이프 연결용 조립링을 갖는 가로등주
KR100928945B1 (ko) 2009-09-23 2009-11-30 (주)청산가로등주 상부지주의 회전 방지수단을 갖는 가로등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7573B1 (ko) 201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7573B1 (ko) 조립성, 정밀성 및 구조강성을 개선한 연결구를 갖는 조립식 가로등주
KR100863974B1 (ko)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
US9624684B2 (en) Wind turbine tower assembly
US20150252581A1 (en) Base angle attachment assemblies
KR101176941B1 (ko) 밴드형 신호등 부착대
KR20160052944A (ko) 고강도 다각형 콘크리트채움 철강 튜브기둥과 철골보의 접합구조
KR200464661Y1 (ko) 조립식 가로등주
WO2017195233A1 (ja) 支保工
CN210558761U (zh) 一种加装电梯井道的对接节点
KR101087985B1 (ko) 아암 지주와 폴대지주의 조립성, 직선도 개선과 제조 생산성을 개선한 림 타입 유니언을 갖는 가로등주
KR20140023062A (ko) 조립식 가로등주
CN216552703U (zh) 一种装配式集成钢筋笼结构柱
KR200456278Y1 (ko) 조립식 캐노피 구조체
KR20200033296A (ko) 풍력 터빈-타워용 풍력 터빈-강철 타워 섹션 및 그 제조 방법
JP2019060082A (ja) 支保工
JP2007154536A (ja) コンクリート充填鋼管柱を用いた柱梁架構
KR20010069576A (ko) 교통신호등용 철주
KR101292793B1 (ko) 가로등용 아암 연결구
KR101314058B1 (ko)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교통시설물 철주
CN206503284U (zh) 一种半圆锥顶与曲面顶组合篷房
KR100492719B1 (ko)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
KR101195382B1 (ko) 쐐기형 조립식 지주를 갖는 가로등주
KR20060072759A (ko) 테이퍼폴의 이음 구조
KR20210078119A (ko)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가설 지지구
KR20120073181A (ko) 가설공사용 비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