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9535A -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 및 광섬유 융착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 및 광섬유 융착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9535A
KR20120099535A KR1020127022497A KR20127022497A KR20120099535A KR 20120099535 A KR20120099535 A KR 20120099535A KR 1020127022497 A KR1020127022497 A KR 1020127022497A KR 20127022497 A KR20127022497 A KR 20127022497A KR 20120099535 A KR20120099535 A KR 20120099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fiber
cover part
sleev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1873B1 (ko
Inventor
마사카즈 후쿠다
류이치로 사토
히사오 유이
히로시 다카야나기
Original Assignee
에스이아이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이아이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이아이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9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9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3Splicing machines, e.g. optical fibre fusion splic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8Reinforcement of splice joi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6)는 베이스부(12)를 갖고, 베이스부(12)에는, 광섬유의 융착 접속부에 씌워진 섬유 보강 슬리브를 수용하는 슬리브 수용 홈을 덮는 덮개부(23)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덮개부(23)의 양단측에는, 광섬유를 보지 또한 고정하는 한쌍의 섬유 홀더(19)가 마련되어 있다. 섬유 홀더(19)는 섬유 수용부(31)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며, 광섬유를 섬유 수용부(31)에 대하여 가압하는 덮개부(33)를 갖고 있다. 덮개부(33)의 상면에는, 슬리브 수용 홈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전환 레버(34)가 마련되어 있다. 덮개부(33)에는, 전환 레버(34)와 연동하여 이동하는 핀(36)이 내장되어 있다. 덮개부(23)의 내부에는, 핀(36)과 결합하는 연결 구멍(37)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 및 광섬유 융착 접속 장치{HEATING DEVICE FOR OPTICAL-FIBER REINFORCEMENT, AND OPTICAL-FIBER FUSION SPLICING DEVICE}
본 발명은 광섬유의 융착 접속부에 씌워진 섬유 보강 슬리브를 가열 수축시키는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 및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를 구비한 광섬유 융착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 융착 접속 장치의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는 광섬유의 융착 접속부에 씌워진 섬유 보강 슬리브를 수용하는 슬리브 수용 홈을 갖고, 섬유 보강 슬리브를 가열하는 가열대대와, 슬리브 수용 홈을 덮는 개폐 가능한 제 1 덮개부와, 가열대의 양단에 마련되어, 광섬유를 가압하는 개폐 가능한 제 2 덮개부를 갖는 한쌍의 심선 가압부를 구비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7-65026 호 공보
그런데, 광섬유의 융착 접속부에 씌워진 섬유 보강 슬리브를 가열 수축시키는 작업을 실행할 때, 작업 상황이나 희망 등에 의해서, 슬리브 수용 홈을 덮는 제 1 덮개부와 광섬유를 가압하는 제 2 덮개부를 함께 개폐시키는 것을 원하는 작업자도 있으면, 제 1 덮개부와 제 2 덮개부를 따로 따로 개폐시키는 것을 원하는 작업자도 있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그러한 2개의 개폐 형태 중 어느 한쪽 밖에 선택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슬리브 수용 홈을 덮는 제 1 덮개부 및 광섬유를 가압하는 제 2 덮개부의 개폐 형태를 작업자 자신이 선택할 수 있는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 및 광섬유 융착 접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는, 광섬유의 융착 접속부에 씌워진 섬유 보강 슬리브를 가열 수축시키는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이다. 이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는 섬유 보강 슬리브를 수용하는 슬리브 수용 홈을 갖는 베이스부와, 슬리브 수용 홈을 덮는 개폐 가능한 제 1 덮개부와, 슬리브 수용 홈의 양단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광섬유를 가압하는 개폐 가능한 제 2 덮개부를 갖고, 광섬유를 보지 또한 고정하는 한쌍의 섬유 홀더와, 제 1 덮개부와 제 2 덮개부를 일체로 개폐 동작시키는 상태와, 제 1 덮개부와 제 2 덮개부를 개별로 개폐 동작시키는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를 이용하여, 광섬유의 융착 접속부에 씌워진 섬유 보강 슬리브를 가열 수축시키는 경우는, 베이스부의 슬리브 수용 홈에 섬유 보강 슬리브를 수용한 상태에서, 제 1 덮개부를 닫고 슬리브 수용 홈을 덮는 동시에, 각 섬유 홀더의 제 2 덮개부를 닫고 광섬유를 가압하여 고정한 후, 섬유 보강 슬리브를 가열한다. 이 때, 예를 들면 섬유 보강 슬리브를 슬리브 수용 홈의 중앙부에 정확하게 수용하거나, 섬유 홀더에 의해 광섬유를 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전환 수단에 의해서 제 1 덮개부와 제 2 덮개부를 개별로 개폐 동작시키는 상태로 설정한다. 한편, 섬유 보강 슬리브의 수축 작업을 신속히 실행하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전환 수단에 의해서 제 1 덮개부와 제 2 덮개부를 일체로 개폐 동작시키는 상태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제 1 덮개부 및 제 2 덮개부의 개폐 형태를 작업자 자신이 선택할 수 있다.
상기의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에 있어서, 전환 수단은 제 2 덮개부의 상면에 마련되고, 제 1 덮개부와 제 2 덮개부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전환 레버와, 제 2 덮개부에 내장되어, 전환 레버와 연동하여 제 1 덮개부와 제 2 덮개부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하는 핀과, 제 1 덮개부에 형성되어 전환 레버를 제 1 덮개부측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핀이 들어가는 연결 구멍을 갖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전환 레버를 제 1 덮개부측으로 이동 조작하면, 핀이 전환 레버에 연동해서 제 1 덮개부측으로 이동하여, 연결 구멍에 삽입된다. 이 때문에, 제 1 덮개부와 제 2 덮개부가 연결되게 되며, 제 1 덮개부와 제 2 덮개부를 일체로 개폐 동작시키는 상태가 된다. 전환 레버를 제 1 덮개부의 반대측으로 이동 조작하면, 핀이 전환 레버에 연동해서 제 1 덮개부의 반대측으로 이동하여, 연결 구멍으로부터 빠져 나오기 때문에, 제 1 덮개부와 제 2 덮개부의 연결이 해제되게 되며, 제 1 덮개부와 제 2 덮개부를 개별로 개폐 동작시키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전환 수단을 간단한 구조로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섬유 융착 접속 장치는 광섬유를 융착 접속하는 융착 접속기와, 상기의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광섬유 융착 접속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의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덮개부 및 제 2 덮개부의 개폐 형태를 작업자 자신이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리브 수용 홈을 덮는 제 1 덮개부 및 광섬유를 가압하는 제 2 덮개부의 개폐 형태를 작업자 자신이 선택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섬유 보강 슬리브나 광섬유 세트 작업을 적절히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또는 작업 공정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융착 접속 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방풍 커버가 열린 상태의 광섬유 융착 접속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전환 레버를 슬리브 수용 홈측으로 움직인 상태에 있어서의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의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의 주요부 단면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한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의 덮개부를 연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도 3에 도시한 전환 레버를 슬리브 수용 홈의 반대측으로 움직인 상태에 있어서의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의 평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한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의 주요부 단면 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도시한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 및 광섬유 융착 접속 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융착 접속 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융착 접속 장치(1)는 상자 형상의 하우징(2)을 구비하고 있다. 이 하우징(2)의 상부에는, 융착 접속기(4)(도 2 참조)와, 2개의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6)가 마련되어 있다. 융착 접속기(4)는 2개의 광섬유(3)의 선단끼리를 융착 접속한다.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6)는 각 광섬유(3)의 융착 접속부에 씌워진 섬유 보강 슬리브(5)를 가열 수축시킨다. 또한, 광섬유 융착 접속 장치(1)는 모니터(7)를 구비하고 있다. 모니터(7)는 하우징(2)의 내부에 배치된 카메라(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촬상된 각 광섬유(3)의 융착 접속의 상황을 표시한다.
융착 접속기(4)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섬유 홀더(8)와, 한쌍의 섬유 위치 결정부(9)와, 한쌍의 방전 전극(10)을 갖고 있다. 한쌍의 섬유 홀더(8)는 2개의 광섬유(3)를 각각 보지 또한 고정한다. 한쌍의 섬유 위치 결정부(9)는 각 섬유 홀더(8) 사이에 배치되어, 각 광섬유(3)의 선단부를 각각 위치 결정한다. 한쌍의 방전 전극(10)은 각 섬유 위치 결정부(9) 사이에 배치되어, 아크 방전에 의해서 각 광섬유(3)의 선단부를 융착하기 위한 전극이다. 이와 같은 융착 접속기(4)는 방풍 커버(11)에 의해서 개폐 가능하게 덮여 있다.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6)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12)를 갖고 있다. 베이스부(12)는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6)의 하우징을 구성하고 있으며,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6)의 저면 부분 뿐만 아니라, 측면 부분 등에도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12)는 하우징(2)과는 다른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하우징(2)과 일체화되어 있어도 좋다. 베이스부(12)에는, 섬유 보강 슬리브(5)를 수용하는 슬리브 수용 홈(13)(도 7 및 도 8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12)에는, 슬리브 수용 홈(13)에 수용된 섬유 보강 슬리브(5)를 가열하는 히터(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되어 있다.
베이스부(12)에는, 슬리브 수용 홈(13)을 덮는 덮개부(23)(제 1 덮개부)가 회동축(도시하지 않음)을 거쳐서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덮개부(23)는, 예를 들면 섬유 보강 슬리브(5)의 수축 상황이 육안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투명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 수용 홈(13)[덮개부(23)]의 양단측에는, 융착 접속기(4)에 의해서 융착 접속된 각 광섬유(3)를 보지 또한 고정하는 한쌍의 섬유 홀더(19)가 마련되어 있다. 섬유 홀더(19)는 광섬유(3)를 수용하는 섬유 수용부(31)와, 이 섬유 수용부(31)에 회동축(32)을 거쳐서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고, 광섬유(3)를 섬유 수용부(31)에 대하여 가압하는 덮개부(33)(제 2 덮개부)로 구성되어 있다.
덮개부(33)의 상면에는, 슬리브 수용 홈(13)의 길이 방향[슬리브 수용 홈(13) 및 섬유 홀더(19)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전환 레버(34)가 마련되어 있다.
전환 레버(34)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33)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걸림고정편(35)을 갖고, 이 걸림고정편(35)의 선단부(하단부)에는 갈고리부(35a)가 마련되어 있다. 덮개부(33)에는, 슬리브 수용 홈(1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36)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 핀(36)에는, 걸림고정편(35)의 갈고리부(35a)와 결합하는 걸림고정 오목부(36a)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고정 오목부(36a)에 갈고리부(35a)가 끼워짐으로써, 전환 레버(34)와 핀(36)이 고정 상태가 되기 때문에, 전환 레버(34)에 연동하여 핀(36)이 슬리브 수용 홈(13)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덮개부(23)의 내부에는, 핀(36)과 결합하는 연결 구멍(37)이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환 레버(34)를 덮개부(23)측[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전환 레버(34)에 연동하여 핀(36)이 덮개부(23)측으로 이동하여,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36)이 연결 구멍(37)에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덮개부(23)와 덮개부(33)가 연결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23)와 덮개부(33)를 일체로 개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환 레버(34)를 덮개부(23)의 반대측[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전환 레버(34)에 연동하여 핀(36)이 덮개부(23)의 반대측으로 이동하여,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36)이 연결 구멍(37)으로부터 빠져나온다. 이것에 의해, 덮개부(23)와 덮개부(33)의 연결이 해제된 상태가 되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23)와 덮개부(33)를 개별(독립)로 개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것은, 한쪽의 덮개부(33)가 덮개부(23)와 연결되며, 다른 한쪽의 덮개부(33)가 덮개부(23)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2회의 액션으로 덮개부(23, 33)의 개폐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덮개부(23)와 연결되는 덮개부(33)는, 예를 들면 작업의 실행하기 용이함이나 작업자의 잘 쓰는 쪽 손 등에 따라서 결정하면 좋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것은, 양쪽의 덮개부(33)가 덮개부(23)와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1회의 액션으로 덮개부(23, 33)의 개폐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환 레버(34), 핀(36) 및 연결 구멍(37)은 덮개부(23)와 덮개부(33)를 일체로 개폐 동작시키는 상태와, 덮개부(23)와 덮개부(33)를 개별로 개폐 동작시키는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광섬유 융착 접속 장치(1)를 이용하여 융착 접속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는, 우선 작업자는 융착 접속기(4)에 의해서 2개의 광섬유(3)끼리를 융착 접속한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자는 한쪽의 광섬유(3)를 미리 섬유 보강 슬리브(5)에 통과하여 둔다. 그리고, 작업자는 방풍 커버(11)를 연 상태로, 각 섬유 위치 결정부(9)에 있어서 각 광섬유(3)의 선단끼리를 맞대는 동시에, 각 섬유 홀더(8)에 의해 각 광섬유(3)를 보지 또한 고정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방풍 커버(11)를 닫고, 각 방전 전극(10)에 의해 각 광섬유(3)의 선단끼리를 방전 융착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융착 접속된 광섬유(3)를 융착 접속기(4)로부터 취출하고,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6)에 의해서 섬유 보강 슬리브(5)를 가열 수축함으로써, 광섬유(3)의 융착 접속부를 보강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덮개부(23) 및 각 덮개부(33)를 함께 연 상태에서, 섬유 보강 슬리브(5)를 광섬유(3)의 융착 접속부까지 이동시켜 베이스부(12)의 슬리브 수용 홈(13)에 수용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덮개부(23)를 닫고, 덮개부(23)에 의해 슬리브 수용 홈(13)을 덮어 막는 동시에, 각 덮개부(33)를 닫고, 덮개부(33)에 의해 광섬유(3)를 섬유 수용부(31)에 대하여 가압하여 고정한다. 그 상태에서, 작업자는 히터(도시하지 않음)를 통전함으로써, 섬유 보강 슬리브(5)를 가열하여 수축한다.
이 때, 히터를 통전하면, 슬리브 수용 홈(13)의 중앙 부분의 온도가 가장 높아져, 슬리브 수용 홈(13)의 단부를 향하여 서서히 온도가 낮아지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섬유 보강 슬리브(5)를 슬리브 수용 홈(13)의 중앙 부분에 세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쪽의 덮개부(33)와 덮개부(23)를 연결하고, 다른 한쪽의 덮개부(33)와 덮개부(23)를 연결하지 않는 상태로 했을 경우에는, 2회의 액션으로 덮개부(23, 33)의 개폐 동작이 실행되게 되므로, 섬유 보강 슬리브(5)를 슬리브 수용 홈(13)의 중앙 부분에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수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섬유 보강 슬리브(5)가 히터에 의해 효과적으로 가열되기 때문에, 섬유 보강 슬리브(5) 내에 공기가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섬유 보강 슬리브(5) 내의 공기의 열팽창에 의해 광섬유(3)의 유리부가 파손하는 것 및 절단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2회의 액션으로 덮개부(23, 33)의 개폐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광섬유(3)를 휘게 하지 않고 텐션을 가한 상태로, 덮개부(33)에 의해 광섬유(3)를 가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광섬유(3)의 접속 손실의 증대가 억제된다.
한편,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쪽의 덮개부(33)를 덮개부(23)와 연결한 상태로 했을 경우에는, 1회의 액션으로 덮개부(23, 33)의 개폐 동작이 실행되게 되므로, 작업 공정수를 줄여, 작업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환 레버(34)와 연동하여 슬리브 수용 홈(13)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핀(36)이 덮개부(33)에 마련되는 동시에, 핀(36)과 결합하는 연결 구멍(37)이 덮개부(23)에 마련된다. 이 때문에, 전환 레버(34)를 움직이는 방향을 바꿈으로써, 덮개부(23)와 덮개부(33)를 일체로 개폐 동작시키는 상태와, 덮개부(23)와 덮개부(33)를 개별로 개폐 동작시키는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작업 상황이나 작업자의 희망 등에 따라서, 덮개부(23, 33)를 어떤 형태로 개폐시킬 것인지를 작업자 자신이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에게 있어서 유효한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6)가 하우징(12)의 상면에 마련되지만, 1개의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6)만이 마련되어도 좋고, 복수의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6)가 마련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광섬유 융착 접속 장치(1)는 단심의 광섬유(3)끼리를 융착 접속하는 것이지만, 다심의 광섬유끼리를 일괄하여 융착 접속하는 것이어도 좋다.
1 : 광섬유 융착 접속 장치 3 : 광섬유
4 : 융착 접속기 5 : 섬유 보강 슬리브
6 :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 12 : 베이스부
13 : 슬리브 수용 홈 19 ; 섬유 홀더
23 : 덮개부(제 1 덮개부) 33 : 덮개부(제 2 덮개부)
34 : 전환 레버 36 : 핀
37 : 연결 구멍

Claims (3)

  1. 광섬유의 융착 접속부에 씌워진 섬유 보강 슬리브를 가열 수축시키는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에 있어서,
    상기 섬유 보강 슬리브를 수용하는 슬리브 수용 홈을 갖는 베이스부와,
    상기 슬리브 수용 홈을 덮는 개폐 가능한 제 1 덮개부와,
    상기 슬리브 수용 홈의 양단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광섬유를 가압하는 개폐 가능한 제 2 덮개부를 갖고, 상기 광섬유를 보지 또한 고정하는 한쌍의 섬유 홀더와,
    상기 제 1 덮개부와 상기 제 2 덮개부를 일체로 개폐 동작시키는 상태와, 상기 제 1 덮개부와 상기 제 2 덮개부를 개별로 개폐 동작시키는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구비하는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제 2 덮개부의 상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덮개부와 상기 제 2 덮개부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전환 레버와,
    상기 제 2 덮개부에 내장되어, 상기 전환 레버와 연동하고 상기 제 1 덮개부와 상기 제 2 덮개부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하는 핀과,
    상기 제 1 덮개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환 레버를 상기 제 1 덮개부측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상기 핀이 들어가는 연결 구멍을 구비하는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
  3. 광섬유를 융착 접속하는 융착 접속기와,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를 구비하는
    광섬유 융착 접속 장치.
KR1020127022497A 2010-12-24 2011-12-19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 및 광섬유 융착 접속 장치 KR101211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88354A JP5272180B2 (ja) 2010-12-24 2010-12-24 光ファイバ補強用加熱器及び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JPJP-P-2010-288354 2010-12-24
PCT/JP2011/079399 WO2012086598A1 (ja) 2010-12-24 2011-12-19 光ファイバ補強用加熱器及び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9535A true KR20120099535A (ko) 2012-09-10
KR101211873B1 KR101211873B1 (ko) 2012-12-13

Family

ID=46313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497A KR101211873B1 (ko) 2010-12-24 2011-12-19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 및 광섬유 융착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992101B2 (ko)
EP (1) EP2657736B1 (ko)
JP (1) JP5272180B2 (ko)
KR (1) KR101211873B1 (ko)
CN (1) CN102893190B (ko)
BR (1) BR112013013939B1 (ko)
CA (1) CA2814387C (ko)
WO (1) WO20120865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9811A (ko) * 2019-10-24 2021-05-06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융착 접속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24937B2 (en) 2011-12-20 2014-05-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iber to wafer interface
US8534927B1 (en) 2012-03-23 2013-09-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lexible fiber to wafer interface
WO2013146138A1 (ja) * 2012-03-29 2013-10-03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CN202870340U (zh) * 2012-08-30 2013-04-10 一诺仪器(威海)有限公司 可方便拆卸的加热槽固定夹具
US9243784B2 (en) 2012-12-20 2016-01-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miconductor photonic package
US9400356B2 (en) 2013-03-14 2016-07-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iber pigtail with integrated lid
US8923665B2 (en) 2013-03-15 2014-12-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terial structures for front-end of the line integration of optical polarization splitters and rotators
JP6554734B2 (ja) * 2015-03-10 2019-08-07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方法および融着接続装置
JP6628247B2 (ja) * 2016-05-19 2020-01-08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融着接続部の補強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融着接続機
JP1582501S (ko) * 2017-01-12 2017-07-31
CN107045159A (zh) * 2017-06-08 2017-08-15 诺仪器(中国)有限公司 光纤熔接机用新型高效加热槽及光纤熔接机
CN111492280A (zh) 2017-12-22 2020-08-04 Sei光学前沿株式会社 熔接机、无线信息终端、熔接连接系统和熔接连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9901493D0 (sv) * 1999-04-26 1999-04-26 Ericsson Telefon Ab L M Fibersvetsningsapparat med uppvärmningsanordning
DE10017008C1 (de) * 2000-04-05 2001-08-23 Siemens Ag Einrichtung zur Klappenbetätigung bei Lichtwellenleiter-Spleissgeräten
US7212718B2 (en) * 2003-11-12 2007-05-0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treatment of optical fiber reinforcing member and optical fiber fusion splicing apparatus
JP2005321644A (ja) * 2004-05-10 2005-11-17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の補強スリーブ加熱装置
WO2006132182A1 (ja) 2005-06-09 2006-12-14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加熱補強処理装置、その加熱補強処理装置を含む融着接続器、および融着接続方法
JP4161984B2 (ja) * 2005-06-09 2008-10-0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加熱補強処理装置及び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並びに融着接続方法
JP2007065026A (ja) 2005-08-29 2007-03-1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熱収縮スリーブ加熱装置、それを用いた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及び光ファイバ融着接続補強方法
DE102006036330A1 (de) * 2006-08-03 2008-02-07 Ccs Technology Inc., Wilmington Vorrichtung zum Spleißen von Lichtwellenleiterabschnitten
JP4752730B2 (ja) * 2006-11-07 2011-08-1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加熱補強処理装置及び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DE102007019796A1 (de) 2007-04-26 2008-10-30 CCS Technology, Inc., Wilmington Spleißgerät für Lichtleitfasern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pleißgerätes für Lichtleitfasern
WO2013146138A1 (ja) * 2012-03-29 2013-10-03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9811A (ko) * 2019-10-24 2021-05-06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융착 접속기
US11892679B2 (en) 2019-10-24 2024-02-06 Fujikura Ltd. Fusion splic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57736A1 (en) 2013-10-30
EP2657736A4 (en) 2014-05-21
JP5272180B2 (ja) 2013-08-28
CN102893190A (zh) 2013-01-23
BR112013013939B1 (pt) 2021-10-19
CN102893190B (zh) 2014-07-09
CA2814387A1 (en) 2012-06-28
CA2814387C (en) 2018-07-10
EP2657736B1 (en) 2017-06-14
JP2012137538A (ja) 2012-07-19
WO2012086598A1 (ja) 2012-06-28
US20130230286A1 (en) 2013-09-05
US8992101B2 (en) 2015-03-31
KR101211873B1 (ko) 2012-12-13
BR112013013939A2 (pt) 201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873B1 (ko)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 및 광섬유 융착 접속 장치
KR100859070B1 (ko) 가열 보강 처리 장치,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융착 접속기,및 융착 접속 방법
JP5810463B2 (ja) 融着接続機
JP5309403B2 (ja) 光ファイバ補強用加熱器及び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KR20100113988A (ko) 광 케이블 홀더, 그 홀더를 포함하는 융착 접속기 및 그 홀더를 사용하는 융착 접속 방법
JP4161984B2 (ja) 光ファイバの加熱補強処理装置及び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並びに融着接続方法
JP5407540B2 (ja) ホルダ、融着接続機及び融着接続方法
KR20190007431A (ko) 광 파이버 융착 접속부의 보강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융착 접속기
CN112711095B (zh) 熔接机
JP4477526B2 (ja) 光ファイバ融着接続部の補強用加熱装置および補強方法
CN112748494B (zh) 熔接机
JP4752730B2 (ja) 光ファイバの加熱補強処理装置及び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WO2021079950A1 (en) Fusion splicer
CN112711096A (zh) 熔接机
AU2006235914A1 (en) Splice protection heater, fusion splicer including the splice protection heater, and fusion splic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