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6716A - 스크린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6716A
KR20120096716A KR1020110015978A KR20110015978A KR20120096716A KR 20120096716 A KR20120096716 A KR 20120096716A KR 1020110015978 A KR1020110015978 A KR 1020110015978A KR 20110015978 A KR20110015978 A KR 20110015978A KR 20120096716 A KR20120096716 A KR 20120096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handle
sliding door
door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5272B1 (ko
Inventor
김병우
Original Assignee
(주)동우자동도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우자동도어 filed Critical (주)동우자동도어
Priority to KR1020110015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272B1/ko
Publication of KR20120096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요시에 역사 내의 승객이 슬라이딩 도어를 수동으로 열 수 있는 스크린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 고정 도어 및 상기 고정 도어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는 스크린 도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도어에 장착된 제 1 록킹부;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장착되며, 상기 제 1 록킹부와 결합하여 슬라이딩 도어를 고정시키는 제 2 록킹부;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장착된 핸들 및 상기 제 2록킹부와 연결되어 상기 핸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록킹부와 상기 제 2 록킹부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스크린 도어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스크린 도어 장치{Screen door device}
본 발명은 스크린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 또는 철도의 역사 내에는 전동차 또는 철도 차량의 선로와 승강장을 격리하는 스크린 도어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 도어 장치의 슬라이딩 도어는 평상시, 즉, 철도 차량이 주행하지 않을 때와 철도 차량이 승강장으로 진입할 때 또는 승강장을 출발한 후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지만, 철도 차량이 승강장에 완전히 진입하여 정차한 후에는 승객의 승하차를 위하여 슬라이딩 도어는 개방된다.
위와 같은 조건에서 작동하는 스크린 도어 시스템은 승강장에 있는 승객이 선로로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하고 또한 철도 차량의 진입시 승강장으로 유입되는 열차풍을 차단하는 기능(효과)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스크린 도어 장치는 점차적으로 모든 지하철 역사 및 철도 역사의 승강장에 설치되고 있다. 또한 스크린 도어 장치는 실내(지하) 역사에 설치되는 완전 밀폐형과 실외(지상) 역사에 설치되는 난간형으로 나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스크린 도어 장치는 자동으로 작동된다. 하지만 스크린도어 장치에 결함이 발생하여 슬라이딩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지 않는 것을 대비하여 또는 역사 내의 화재 등과 같은 비상시에 다양한 대피 통로 제공을 위하여 승강장 쪽의 승객 또는 선로 쪽의 승객이 슬라이딩 도어를 수동으로 열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역사 내의 승객이 필요시에 슬라이딩 도어를 수동으로 열 수 있는 스크린도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도어 장치는 고정 도어 및 상기 고정 도어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는 스크린 도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도어에 장착된 제 1 록킹부;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장착되며, 상기 제 1 록킹부와 결합하여 슬라이딩 도어를 고정시키는 제 2 록킹부;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장착된 핸들 및 상기 제 2록킹부와 연결되어 상기 핸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록킹부와 상기 제 2 록킹부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록킹부는 상기 고정 도어에 상하 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일부에 록킹 홀이 형성된 록킹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록킹부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연장된 록킹 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록킹 핀은 상기 록킹 홀과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핸들과 연결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며 상기 핸들 작동에 의해 상기 록킹 플레이트를 상부로 밀어 올려 상기 록킹 플레이트와 상기 록킹 핀을 분리시키는 작동 유닛;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 도어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작동 유닛은 상기 제 2 록킹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는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에 상기 록킹 플레이트와 접촉되어 상기 록킹 플레이트를 상향 이동시키는 푸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는 한 단부가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는 제 1 부재; 상기 제 1 부재의 다른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1 부재와 직교하는 제 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부재와 제 2 부재가 접한 부분이 상기 제 2 록킹부의 베이스 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푸쉬 부재는 봉 형상으로 한 단부가 상기 제 2 부재의 단부와 연결되되, 상기 푸쉬 부재는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핸들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선로측 면에 장착되는 제 1 핸들,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승강장측 면에 장착되는 제 2 핸들 및 상기 제 1 핸들 및 제 2 핸들과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부재에는 상기 케이블이 상기 제 1 핸들 또는 제 2 핸들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감기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장치는 필요시에 역사 내의 승객이 슬라이딩 도어를 수동으로 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장치의 선로측면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장치의 고정 도어의 선로측 면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장치의 슬라이딩 도어의 선로측면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장치의 작동부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스크린도어 장치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장치의 선로측면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장치의 고정 도어의 선로측면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장치의 슬라이딩 도어의 선로측면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도어 장치의 작동부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장치(100)는 고정 도어(110), 슬라이딩 도어(130), 제 1 록킹부(150), 제 2 록킹부(170) 및 작동부(19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도어(110)는 역사 내에 장착되어 승강장과 선로 사이를 차단한다. 또한 상기 고정 도어(110) 중 선로측 면에는 구동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슬라이딩 도어(130)의 개폐에 관여하는 솔레노이드밸브(12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130)는 고정 도어(110) 사이에서 고정 도어(110)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딩함으로써 개폐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도어(130)는 사람이 직접 슬라이딩 도어(130)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핸들(손잡이)(1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131)은 슬라이딩 도어(130)의 선로측 면에 장착되는 제 1핸들(132) 및 슬라이딩 도어(130)의 승강장측 면에 장착되는 제 2 핸들(133)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연결부재(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핸들(132)과 제 2 핸들(133)은 슬라이딩 도어(13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34)는 제 1 핸들(132)과 제 2 핸들(133) 사이에 위치하고 각각과 연결되어 제 1 핸들(132)과 제 2 핸들(133) 중 어느 한 핸들의 회전(작동) 시에 나머지 하나의 핸들도 어느 한 핸들의 회전과 대응되도록 회전(작동)하게 한다.
상기 스크린 도어 장치(100)의 고정 도어(110)와 슬라이딩 도어(130)는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록킹부(150)는 고정 도어(110)에 장착된다. 상기 제 1 록킹부(150)는 고정 도어(110)에 대하여 상하 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일부에 록킹 홀(151a)이 형성된 록킹 플레이트(151) 일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록킹 플레이트(151)는 고정 도어(110)에 장착된 솔레노이드 밸브(120)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록킹 플레이트(151)는 솔레노이드 밸브(120)(솔레노이드 밸브는 직선 왕복운동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이해 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솔레노이드 밸브(120)의 움직임에 따라서 일정 범위 내에서 상하 운동이 가능하다.
상기 제 2 록킹부(170)는 슬라이딩 도어(130)에 장착되며, 제 1 록킹부(150)와 결합하여 슬라이딩 도어(130)를 고정시킨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2 록킹부(170)는 베이스 부재(171)와 록킹 핀(17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171)는 고정 도어(110) 쪽으로 돌출된 슬라이딩 도어(130)의 프레임(130a) 하부 상에 위치하되, 슬라이딩 도어(130)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제 1 록킹부(150)와 대응되도록 위치된다.
상기 록킹핀(172)은 베이스 부재(171)로부터 상향 연장되며 록킹 플레이트(151)의 록킹홀(151a)과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록킹핀(172)은 록킹 홀(151a)에 끼워진다. 그러므로 상기 슬라이딩 도어(130)는 고정된다.
상기 작동부(190)는 슬라이딩 도어(130)의 핸들(131) 및 제 2 록킹부(170)와 연결되어 핸들(131)의 작동(회전)에 따라 제 1 록킹부(150)와 제 2 록킹부(170)의 결합을 해제시킨다.
상기 작동부(190)는 케이블(191)과 작동 유닛(19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191)의 일단은 핸들(131)과 연결된다. 즉, 상기 케이블(191)은 슬라이딩 도어(130)의 프레임(130a) 내부에 위치하며, 케이블(191)의 일단은 핸들(131)의 연결 부재(134)에 제 1 핸들(132) 및 제 2 핸들(133)의 회전(작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더하여, 상기 슬라이딩 도어(130)의 프레임(130a) 내부에는 케이블(191)을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고정부재(미도시)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 유닛(192)은 케이블(191)과 연결되며, 핸들(131) 회전(작동)에 의해 록킹 플레이트(151)를 상부로 밀어 올려 록킹 플레이트(151)와 록킹 핀(172)의 결합을 분리시킨다.
상기 작동 유닛(192)은 회전 부재(193)와 푸쉬(push) 부재(19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193)는 제 2 록킹부(17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케이블(191)의 타단과 연결된다.
보자 자세하게는, 상기 회전 부재(193)는 제 1 부재(193a)와 제 2 부재(19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재(193a)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한 단부가 케이블(191)과 연결된다. 상기 제 1 부재(193a)와 케이블(191)의 연결은 제 1 부재(193a) 상에서 케이블(191)이 회전축을 갖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결합 핀 등을 이용하여 가능)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부재(193b)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 1 부재(193a)의 다른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1 부재(193a)와 직교한다. 즉, 상기 회전 부재(193)는 전체적으로 ‘ㄱ’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상기 ‘ㄱ’의 형상이란 것은 이해를 돕기 위해 표현한 것이고 회전 부재(193)는 회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ㄱ’형상으로 고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1 부재(193a)와 제 2 부재(193b)가 접한 부분은 제 2 록킹부(170)의 베이스 부재(17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즉, 회전 부재(193)는 핀 등에 의해 베이스 부재(171)와 연결되어 축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푸쉬 부재는(194)는 회전 부재(193)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회전 부재(193)의 회전 시에 록킹 플레이트(151)와 접촉되어 록킹 플레이트(151)를 상향 이동시킨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푸쉬 부재(194)는 봉 형상으로 한 단부가 제 2부재(193b)의 단부와 연결되되, 제 2 부재(193b)와 푸쉬 부재(194)는 서로 직교하도록 연결되며, 푸쉬 부재(194)는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또한 푸쉬 부재(194)는 록킹 플레이트(151)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130)가 닫힌 상태에서 솔레노이드 밸브(120)는 솔레노이드 밸브(120) 및 솔레노이드 밸브(120)의 하부에 연결된 록킹 플레이트(151)의 자중에 의해 아래로 처지게 되어, 록킹 플레이트(151)의 록킹 홀(151a)은 록킹 핀(172)이 관통된다. 즉, 록킹 플레이트(151)와 록킹 홀(151a)은 결합하게 된다. 그러므로 슬라이딩 도어(130)는 슬라이딩 되지 않고 고정된다.
상기 스크린 도어 장치(100)의 자동 작동의 경우, 상기 스크린 도어 장치(100)에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어 솔레노이드 밸브(120)가 작동하게 되고, 솔레노이드 밸브(120)과 연결된 록킹 플레이트(151)는 솔레노이드 밸브(120)를 따라 상향 이동된다. 이로 인해 록킹 홀(151a)은 록킹 핀(172)과 분리되고,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130)는 슬라이딩 되어 열리게 된다.
상기 스크린 도어 장치(100)의 수동 작동의 경우,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 도어(130)에 장착된 손잡이(131)를 회전(작동) 시키면 손잡이(131)에 연결된 케이블(191) 또한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케이블에 장력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케이블(191)은 제 1부재(193a)를 왼쪽으로(도면상의 왼쪽) 잡아당기게 된다. 상기 케이블(191)은 제 1 부재(193a)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또한 회전 부재(193) 역시 제 2 록킹부(170)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부재(19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 2 회전 부재(193b)와 연결된 푸쉬 부재(194)는 록킹 플레이트(151)의 하면과 접촉하여 록킹 플레이트(151)를 상향 이동시킨다. 그러므로 록킹 플레이트(151)의 록킹 홀(151a)은 록킹 핀(172)과 분리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130)를 옆으로 밀음으로써 슬라이딩 도어(130)는 열릴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스크린 도어 장치에 결함이 발생하여 슬라이딩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지 않는 경우 또는 역사 내의 화재 등과 같은 비상시에 역사 내에 있는 승객들이 슬라이딩 도어를 직접 열 수 있어 안전사고를 대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도어 장치는 완전 밀폐형 또는 난간형의 스크린 도어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 : 스크린 도어 장치 110 : 고정 도어
130 : 슬라이딩 도어 150 : 제 1 록킹부
170 : 제 2록킹부 190 : 작동부

Claims (8)

  1. 고정 도어 및 상기 고정 도어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는 스크린 도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도어에 장착된 제 1 록킹부;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장착되며, 상기 제 1 록킹부와 결합하여 슬라이딩 도어를 고정시키는 제 2 록킹부;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장착된 핸들 및 상기 제 2록킹부와 연결되어 상기 핸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록킹부와 상기 제 2 록킹부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도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록킹부는 상기 고정 도어에 상하 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일부에 록킹 홀이 형성된 록킹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록킹부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연장된 록킹 핀을 포함하며,
    상기 록킹 핀은 상기 록킹 홀과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도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핸들과 연결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며 상기 핸들 작동에 의해 상기 록킹 플레이트를 상부로 밀어 올려 상기 록킹 플레이트와 상기 록킹 핀을 분리시키는 작동 유닛;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도어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 도어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도어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유닛은
    상기 제 2 록킹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는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에 상기 록킹 플레이트와 접촉되어 상기 록킹 플레이트를 상향 이동시키는 푸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도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한 단부가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는 제 1 부재;
    상기 제 1 부재의 다른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1 부재와 직교하는 제 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부재와 제 2 부재가 접한 부분이 상기 제 2 록킹부의 베이스 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도어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부재는 봉 형상으로 한 단부가 상기 제 2 부재의 단부와 연결되되,
    상기 푸쉬 부재는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도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선로측 면에 장착되는 제 1 핸들,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승강장측 면에 장착되는 제 2 핸들 및 상기 제 1 핸들 및 제 2 핸들과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부재에는 상기 케이블이 상기 제 1 핸들 또는 제 2 핸들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감기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도어 장치.
KR1020110015978A 2011-02-23 2011-02-23 스크린 도어 장치 KR101265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978A KR101265272B1 (ko) 2011-02-23 2011-02-23 스크린 도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978A KR101265272B1 (ko) 2011-02-23 2011-02-23 스크린 도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716A true KR20120096716A (ko) 2012-08-31
KR101265272B1 KR101265272B1 (ko) 2013-05-16

Family

ID=46886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978A KR101265272B1 (ko) 2011-02-23 2011-02-23 스크린 도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527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774Y1 (ko) 2003-07-11 2003-11-01 최선일 여닫이문
JP2005207055A (ja) 2004-01-21 2005-08-04 Nabtesco Corp プラットホームドアの非常解錠装置
JP4837491B2 (ja) 2006-08-23 2011-12-14 ナブテスコ株式会社 非常解錠装置及び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5272B1 (ko) 201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39133B (zh) 电梯层站门解锁系统
KR100984073B1 (ko)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록킹장치
KR101798543B1 (ko) 스크린 도어 시스템에 구비된 미닫이 도어의 여닫이식 보조비상 도어
US11192755B2 (en) Device for actuating a car or shaft door of an elevator system
EP3421700B1 (en) Door operator system, emergency release device and door isolation lock for a transit vehicle door
US10822201B2 (en) Elevator landing door unlocking system
KR100776334B1 (ko)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 수동 개방장치
CN216034337U (zh) 一种单轨双开屏蔽门
US20190337764A1 (en) Openable elevator car wall panels
CN105019789B (zh) 轨道交通车辆应急逃生窗户及轨道交通车辆
KR100867153B1 (ko) 스크린도어의 도어개방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스크린도어
KR101265272B1 (ko) 스크린 도어 장치
KR101591186B1 (ko) 철도 차량용 도어 시스템
KR101220394B1 (ko) 차량용 도어 록킹 어셈블리
US20150014101A1 (en) Elevator car door drive mechanism
KR101044446B1 (ko)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장치
CN106081818A (zh) 电梯轿门锁装置以及电梯
KR200435056Y1 (ko)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 수동 개방장치
KR101874470B1 (ko) 가동도어용 캠타입 개폐장치
CN114174143A (zh) 站台屏蔽
KR102228877B1 (ko) 가동문 양측에 비상문이 설치되는 스크린도어 및 그 비상문 개방 방법
CN113635922A (zh) 一种单轨双开屏蔽门
KR101303408B1 (ko) 전동식 도어용 잠금장치
KR200398549Y1 (ko)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 수동 개방장치
CN208534228U (zh) 一种轨道交通站台安全门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