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6243A -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6243A
KR20120096243A KR1020110015535A KR20110015535A KR20120096243A KR 20120096243 A KR20120096243 A KR 20120096243A KR 1020110015535 A KR1020110015535 A KR 1020110015535A KR 20110015535 A KR20110015535 A KR 20110015535A KR 20120096243 A KR20120096243 A KR 20120096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key
vehicle
start button
ecu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경희
Original Assignee
한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희 filed Critical 한경희
Priority to KR1020110015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6243A/ko
Publication of KR20120096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2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ft warning signal, e.g. visual or audible signals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24Key distinguishing mar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03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itiating engine start or s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을 통해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서 분실된 스마트키의 위치를 확인하여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 분실된 스마트키를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 시스템은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엔진 구동을 위하여 조작되는 시동 버튼과;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사용자 인증을 실행하는 이모빌라이저와 ECU를 내장하고, LF송신기와 RF수신기를 가지는 스마트키 모듈과; 상기 스마트키 모듈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차량의 엔진 구동을 위한 인증 코드를 구비한 트랜스폰더와 마이크로컨트롤러를 내장하며, LF수신기와 RF송신기를 가지는 무선리모컨식의 스마트키와; 운전자의 감각에 의해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키에 설치되는 위치확인부와; 상기 스마트키 모듈의 ECU에 설치되고, 상기 시동 버튼의 조작을 감지하여 상기 위치확인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SYSTEM FOR CONFIRMING LOCATION OF A SMART KEY}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에 분실된 스마트키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을 통해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서 분실된 스마트키의 위치를 확인하여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 분실된 스마트키를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키 시스템(Smart Key System)은 운전자 또는 차량의 소유주가 기계적인 키를 이용하지 않고도 차량에 근접한 위치에서 무선으로 차량을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현재, 차량의 도어(Door) 개방(Unlock) 및 폐쇄(Lock), 차량의 시동 등에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기존의 키 실린더 대신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 측에 엔진 시동을 위한 시동 버튼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엔진 시동을 위하여 시동 버튼을 누르면, 스마트키 시스템은 무선리모컨식의 스마트키를 검색하여 사용자 인증을 실시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 인증 결과가 등록된 사용자임이 확인되면, 엔진 시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엔진 ECU(Electronic Control Unit)으로 출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엔진은 시동이 걸리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종래의 일반적인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을 보인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은 사용자가 시동 버튼(100)을 누르면, 엔진 시동(START) 표시부가 발광되면서 무선리모컨식의 스마트키(300)를 온(On)시키게 되고, 스마트키 모듈(200)은 스마트키(300)를 검색하면서 사용자 인증 코드를 수신받아 무선 인증을 실시하게 된다.
여기서, LF송신기(203)는 차량의 각 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스마트키(300)를 검색하기 위하여, 스마트키 모듈(200)의 ECU(202)로부터의 LF 인증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스마트키(300)는 상기 LF 인증 요청 신호를 LF수신기(303)를 통하여 받게 되고, 마이크로컨트롤러(302)에서는 LF 인증 요청 신호에 따라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RF송신기(304)를 통하여 다시 상기 스마트키 모듈(200)로 송신하는 것이다.
따라서, 스마트키 모듈(200)의 RF수신기(204)에서 RF 신호를 받고, 스마트키 모듈(200)에서 인증이 완료되면, 엔진의 시동을 거는 제어 신호를 ECU(202)에서 엔진 ECU(E)로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무선 인증에 의해 운전자는 상기 스마트키(300)를 차량의 내부나 근접된 곳에 지니고 있으면 시동 버튼(100)을 통해 차량의 시동을 걸거나 끌 수 있게 된다.
도 5에서 미설명된 부호(201)는 스마트키 모듈(200)에 마련된 이모빌라이저이고, (301)은 스마트키(300)에 마련된 트랜스폰더이다. 상기 이모빌라이저(201)는 차량의 사용자 인증을 실행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트랜스폰더(301)는 차량의 엔진 구동을 위한 인증 코드를 구비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스마트키는 보통 그 크기가 작거나 얇은 형태로 구비되어 통상적으로 운전자가 몸에 지니고 다니는 것으로, 차량의 내부에서는 시동이나 도어 개폐 등에 별도로 사용되지 않으므로,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서 스마트키를 분실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와 같이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서 스마트키를 분실한 경우에, 운전자는 시동 버튼을 통해 차량의 시동을 걸거나 끌 수 있지만 차량의 외부에서 도어를 잠글 수 없어 차량의 내부에서 분실된 스마트키를 반드시 찾아야 하는 등의 사용상의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스마트키는 그 크기가 작거나 얇은 형태로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시트나 구조물 등의 틈에 끼인 상태로 분실된 경우에 운전자가 스마트키를 찾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을 통해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서 분실된 스마트키의 위치를 확인하여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 분실된 스마트키를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스마트키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시각이나 청각에 의해 분실된 스마트키의 위치가 손쉽게 확인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전자의 시동 버튼 조작에 따라 차량의 내부에서 스마트키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여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 분실된 스마트키를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은,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엔진 구동을 위하여 조작되는 시동 버튼과;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사용자 인증을 실행하는 이모빌라이저와 ECU를 내장하고, LF송신기와 RF수신기를 가지는 스마트키 모듈과; 상기 스마트키 모듈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차량의 엔진 구동을 위한 인증 코드를 구비한 트랜스폰더와 마이크로컨트롤러를 내장하며, LF수신기와 RF송신기를 가지는 무선리모컨식의 스마트키와; 운전자의 감각에 의해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키에 설치되는 위치확인부와; 상기 스마트키 모듈의 ECU에 설치되고, 상기 시동 버튼의 조작을 감지하여 상기 위치확인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의 상기 위치확인부는, 상기 스마트키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제어부에 의해 발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어 점등되는 엘이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의 상기 위치확인부는, 상기 스마트키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제어부에 의해 발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어 음향이 발생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은,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시동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차량의 내부에서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의 상기 위치표시부는, 상기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ECU와 전기 신호상으로 연결되는 엘시디창과, 상기 ECU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내부에서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부와, 상기 ECU에 설치되고 상기 시동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위치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정보를 상기 엘시디창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기존의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을 통해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서 분실된 스마트키의 위치를 확인하여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 분실된 스마트키를 손쉽게 찾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차량의 내부에서 스마트키의 분실에 따른 사용상의 불편함이 해소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스마트키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시각이나 청각에 의해 분실된 스마트키의 위치가 손쉽게 확인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본 시스템의 제작 및 설치가 보다 간편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의 시동 버튼 조작에 따라 차량의 내부에서 스마트키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여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 분실된 스마트키를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종래의 스마트키 시스템을 보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은 차량에 구비되는 시동 버튼(10)과, 상기 시동 버튼(10)과 전기 신호상으로 연결되는 스마트키 모듈(20)과, 상기 스마트키 모듈(20)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스마트키(30)와, 상기 스마트키(30)에 설치되는 위치확인부(40)와, 상기 위치확인부(40)를 작동시키는 작동제어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시동 버튼(10)은 차량에 설치되는 것으로, 운전자가 엔진 시동과 정지를 위한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 공지의 버튼이다. 상기 시동 버튼(10)은 차량에 설치되는 상기 스마트키 모듈(20)과 전기 신호상으로 연결된다.
상기 스마트키 모듈(20)은 차량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모빌라이저(21)와 ECU(22)를 내장하고 LF송신기(23)와 RF수신기(24)를 가진다. 상기 이모빌라이저(21)는 차량의 사용자 인증을 실행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ECU(22)는 상기 시동 버튼(10)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와 상기 스마트키(30)에 의해 무선으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이모빌라이저(21)를 포함하는 상기 스마트키 모듈(20)에 설치된 제반 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LF송신기(23)는 상기 ECU(22)로부터의 LF 인증 요청 신호를 송신하여 차량의 내부나 주위에 스마트키(30)가 있는지를 검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RF수신기(24)는 스마트키(30)에서 RF 신호로 송신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마트키(30)는 상기 스마트키 모듈(2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트랜스폰더(31)와 마이크로컨트롤러(32)를 내장하고 LF수신기(33)와 RF송신기(34)를 가진다. 상기 트랜스폰더(31)는 차량의 엔진 구동을 위한 인증 코드를 구비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2)는 신호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등 상기 스마트키(30)에 설치된 제반 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LF수신기(33)는 상기 LF송신기(23)로부터 발송되는 LF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RF송신기(34)는 LF 인증 요청 신호에 따라 사용자 정보에 대한 RF 신호를 스마트키 모듈(20)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위치확인부(40)는 상기 스마트키(30)에 설치되는 것으로,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감각에 의해 차량의 내부에서 분실된 상기 스마트키(3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위치확인부(40)는 상기 스마트키(30)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제어부(50)에 의해 발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2)에 의해 제어되어 점등되는 엘이디(41)를 포함한다. 상기 엘이디(41)는 전원의 공급에 의해 발광되는 LED(light-emitting diode)소자로 이루어진 램프로서, ECU(22)에 설치되는 상기 작동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스마트키(30)의 외부로 광을 조사하도록 점등되거나 깜빡거리도록 점멸됨으로써, 운전자가 상기 스마트키(30)의 위치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작동제어부(50)는 상기 스마트키 모듈(20)의 ECU(22)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시동 버튼(10)의 조작을 감지하여 상기 위치확인부(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서 시동을 걸기 위해 상기 시동 버튼(10)을 누르면 스마트키 모듈(20)과 스마트키(30)의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고,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ECU(22)에서 엔진의 시동을 위한 신호를 엔진 ECU(E)로 보내서 차량의 엔진을 시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제어부(50)가 운전자에 의해 조작된 시동 버튼(10)의 조작신호를 감지하면 LF송신기(23)를 통해 상기 엘이디(41)의 점등을 위한 제어 신호를 스마트키(30)로 송신하게 되고, 상기 스마트키(30)는 LF수신기(33)를 통해 상기 엘이디(41)의 점등을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2)로 입력하며, 상기 엘이디(41)의 점등을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2)는 상기 엘이디(41)를 제어하여 상기 엘이디(41)가 일정 시간 동안 점등되거나 점멸되게 한다.
이와 같이 운전자가 시동 버튼(10)을 조작할 때, 즉 차량의 시동을 걸 때, 스마트키(30)에 설치되는 엘이디(41)가 자동으로 점등되거나 점멸되면서 운전자는 상기 스마트키(30)가 어디에 있는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운전자가 상기 시동 버튼(10)을 조작하여 차량의 엔진을 정지시킬 때도 마찬가지로, 상기 작동제어부(50)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된 시동 버튼(10)의 조작신호를 감지하면 LF송신기(23)를 통해 상기 엘이디(41)의 점등을 위한 제어 신호를 스마트키(30)로 송신하게 되고, 상기 스마트키(30)는 LF수신기(33)를 통해 상기 엘이디(41)의 점등을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2)로 입력하며, 상기 엘이디(41)의 점등을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2)는 상기 엘이디(41)를 제어하여 상기 엘이디(41)가 일정 시간 동안 점등되거나 점멸되게 한다.
이와 같이 운전자가 시동 버튼(10)을 조작할 때, 즉 차량의 시동을 끌 때도, 스마트키(30)에 설치되는 엘이디(41)가 자동으로 점등되거나 점멸되면서 운전자는 상기 스마트키(30)가 차량의 내부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본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은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 버튼(10)을 조작할 때마다 상기 스마트키(30)에 설치된 엘이디(41)가 일정 시간동안 점등되거나 점멸되어 차량의 내부에서 상기 스마트키(30)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그 분실 시에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은 차량에 구비되는 시동 버튼(10)과, 상기 시동 버튼(10)과 전기 신호상으로 연결되는 스마트키 모듈(20)과, 상기 스마트키 모듈(20)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스마트키(30)와, 상기 스마트키(30)에 설치되는 위치확인부(40)와, 상기 위치확인부(40)를 작동시키는 작동제어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시동 버튼(10)은 차량에 설치되는 것으로, 운전자가 엔진 시동과 정지를 위한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 공지의 버튼이다. 상기 시동 버튼(10)은 차량에 설치되는 상기 스마트키 모듈(20)과 전기 신호상으로 연결된다.
상기 스마트키 모듈(20)은 차량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모빌라이저(21)와 ECU(22)를 내장하고 LF송신기(23)와 RF수신기(24)를 가진다. 상기 이모빌라이저(21)는 차량의 사용자 인증을 실행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ECU(22)는 상기 시동 버튼(10)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와 상기 스마트키(30)에 의해 무선으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이모빌라이저(21)를 포함하는 상기 스마트키 모듈(20)에 설치된 제반 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LF송신기(23)는 상기 ECU(22)로부터의 LF 인증 요청 신호를 송신하여 차량의 내부나 주위에 스마트키(30)가 있는지를 검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RF수신기(24)는 스마트키(30)에서 RF 신호로 송신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마트키(30)는 상기 스마트키 모듈(2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트랜스폰더(31)와 마이크로컨트롤러(32)를 내장하고 LF수신기(33)와 RF송신기(34)를 가진다. 상기 트랜스폰더(31)는 상기 차량의 엔진 구동을 위한 인증 코드를 구비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2)는 신호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등 상기 스마트키(30)에 설치된 제반 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LF수신기(33)는 상기 LF송신기(23)로부터 발송되는 LF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RF송신기(34)는 LF 인증 요청 신호에 따라 사용자 정보에 대한 RF 신호를 스마트키 모듈(20)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위치확인부(40)는 상기 스마트키(30)에 설치되는 것으로,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감각에 의해 차량의 내부에서 분실된 상기 스마트키(3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위치확인부(40)는 상기 스마트키(30)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제어부(50)에 의해 발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2)에 의해 제어되어 음향이 발생되는 스피커(42)를 포함한다. 상기 스피커(42)는 전원의 공급에 의해 부저음과 같은 음향이 발생되는 소형 전자기기로서, ECU(22)에 설치되는 상기 작동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스마트키(30)의 외부로 부저음과 같은 음향을 발생시킴으로써, 운전자가 상기 스마트키(30)의 위치를 청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작동제어부(50)는 상기 스마트키 모듈(20)의 ECU(22)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시동 버튼(10)의 조작을 감지하여 상기 위치확인부(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서 시동을 걸기 위해 상기 시동 버튼(10)을 누르면 스마트키 모듈(20)과 스마트키(30)의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고,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ECU(22)에서 엔진의 시동을 위한 신호를 엔진 ECU(E)로 보내서 차량의 엔진을 시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제어부(50)가 운전자에 의해 조작된 시동 버튼(10)의 조작신호를 감지하면 LF송신기(23)를 통해 상기 스피커(42)의 작동제어 신호를 스마트키(30)로 송신하게 되고, 상기 스마트키(30)는 LF수신기(33)를 통해 상기 스피커(42)의 작동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2)로 입력하며, 상기 스피커(42)의 작동제어 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2)는 상기 스피커(42)를 제어하여 상기 스피커(42)에서 일정 시간 동안 부저음과 같은 음향이 발생되게 한다.
이와 같이 운전자가 시동 버튼(10)을 조작할 때, 즉 차량의 시동을 걸 때, 스마트키(30)에 설치되는 스피커(42)에서 자동으로 부저음과 같은 음향이 발생되면서 운전자는 상기 스마트키(30)가 어디에 있는지 청각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운전자가 상기 시동 버튼(10)을 조작하여 차량의 엔진을 정지시킬 때도 마찬가지로, 상기 작동제어부(50)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된 시동 버튼(10)의 조작신호를 감지하면 LF송신기(23)를 통해 상기 스피커(42)의 작동제어 신호를 스마트키(30)로 송신하게 되고, 상기 스마트키(30)는 LF수신기(33)를 통해 상기 스피커(42)의 작동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2)로 입력하며, 상기 스피커(42)의 작동제어 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2)는 상기 스피커(42)를 제어하여 상기 스피커(42)에서 일정 시간 동안 부저음과 같은 음향이 발생되게 한다.
이와 같이 운전자가 시동 버튼(10)을 조작할 때, 즉 차량의 시동을 끌 때도, 스마트키(30)에 설치되는 스피커(42)에서 자동으로 음향이 발생되면서 운전자는 상기 스마트키(30)가 차량의 내부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 청각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본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은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 버튼(10)을 조작할 때마다 상기 스마트키(30)에 설치된 스피커(42)에서 일정 시간동안 부저음과 같은 음향이 발생되어 차량의 내부에서 상기 스마트키(30)의 위치를 청각으로 확인하여 그 분실 시에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은 상기 차량(V)에 설치되는 위치표시부(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위치표시부(60)는 상기 시동 버튼(1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차량(V)의 내부에서 상기 스마트키(30)의 위치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위치표시부(60)는 운전자가 차량(V)의 내부의 어느 곳에 스마트키(30)가 위치하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위치표시부(60)는 차량(V)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ECU(22)와 전기 신호상으로 연결되는 엘시디창(61)과, 상기 ECU(22)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V)의 내부에서 상기 스마트키(30)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부(62)와, 상기 ECU(22)에 설치되고 상기 시동 버튼(1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위치검출부(62)에 의해 검출된 정보를 상기 엘시디창(61)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제어부(63)를 포함한다.
상기 엘시디창(61)은 차량(V) 내부의 형상이 이미지로 표시되면서 그 이미지에 스마트키(30)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여 운전자가 육안으로 차량(V) 내부의 어느 곳에 상기 스마트키(30)가 위치하는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엘시디창(6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V) 내부의 중앙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V)의 계기판이나 기타 적절한 부위에 설치되는 어떤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위치검출부(62)는 스마트키 모듈(20)의 LF송신기(23)와 RF수신기(24) 그리고 스마트키(30)의 LF수신기(33)와 RF송신기(34)에 의한 무선 신호를 통해 차량(V)의 내부에서 상기 스마트키 모듈(20)에서 상기 스마트키(30)까지의 거리 및 각도를 산출하여 상기 스마트키 모듈(20)을 기준으로 상기 스마트키(30)의 위치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표시제어부(63)는 상기 위치검출부(62)에 의해 검출된 상기 스마트키(30)의 위치 정보를 상기 엘시디창(61)에 입력하여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표시제어부(63)는 운전자에 의한 시동 버튼(10)의 조작 신호가 입력될 때만 일정 시간 동안 위치정보를 상기 엘시디창(61)에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차량(V)의 내부에서 시동을 걸거나 끄기 위해 상기 시동 버튼(10)을 누르면 스마트키 모듈(20)과 스마트키(30)의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고,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ECU(22)에서 엔진의 시동을 위한 신호를 엔진 ECU(E)로 보내서 차량(V)의 엔진을 시동하거나 정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제어부(50)가 운전자에 의해 조작된 시동 버튼(10)의 조작신호를 감지하면 LF송신기(23)를 통해 상기 엘이디(41)의 제어 신호를 스마트키(30)로 송신하게 되고, 상기 스마트키(30)는 LF수신기(33)를 통해 상기 엘이디(41)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2)로 입력하며, 상기 엘이디(41)의 제어 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2)는 상기 엘이디(41)를 제어하여 상기 엘이디(41)가 일정 시간 동안 점등되거나 점멸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엘이디(41)가 점등되거나 점멸됨과 동시에 운전자에 의해 시동 버튼(10)을 조작을 상기 표시제어부(63)가 감지하면 상기 위치검출부(62)가 상기 스마트키 모듈(20)과 스마트키(30) 사이의 무선 신호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신호의 거리와 방향을 통해, 상기 스마트키 모듈(20)에서 상기 스마트키(30)의 거리와 각도, 즉 상기 스마트키(30)의 위치를 검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검출부(62)에 의해 검출된 위치 정보는 상기 표시제어부(63)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 모듈(20)과 전기 신호상으로 연결되는 엘시디창(61)에 일정 시간 동안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차량(V)의 시동 버튼(10)을 조작하기만 하면 상기 엘이디(41)의 점등이나 점멸을 통해 스마트키(30)의 위치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되면서 동시에 상기 엘시디창(61)을 통해 상기 스마트키(30)가 차량(V)의 내부에서 어느 곳에 위치하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운전자는 상기 엘이디(41)의 점등이나 점멸에도 불구하고 상기 스마트키(30)를 찾지 못하는 경우에도 상기 엘시디창(61)을 통해 손쉽게 상기 스마트키(30)의 위치를 확인하여 보다 신속하게 찾을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엘이디(41) 대신에 상기 위치확인부(40)로 스피커(42)가 상기 스마트키(30)에 구비되어도 운전자의 시동 버튼(10) 조작으로 엘시디창(61)을 통한 스마트키(30)의 위치 정보의 표시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쉽게 인지될 수 있는 사실이다.
아울러, 상기 위치표시부(60)의 작동은 운전자에 의한 시동 버튼(10)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별도의 조작 버튼을 차량에 구비하고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엘시디창(61)에 스마트키(30)의 위치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시동 버튼
20 : 스마트키 모듈
21 : 이모빌라이저 22 : ECU
23 : LF송신기 24 : RF수신기
30 : 스마트키
31 : 트랜스폰더 32 : 마이크로컨트롤러
33 : LF수신기 34 : RF송신기
40 : 위치확인부
41 : 엘이디 42 : 스피커
50 : 작동제어부
60 : 위치표시부
61 : 엘시디창 62 : 위치검출부
63 : 표시제어부

Claims (5)

  1.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엔진 구동을 위하여 조작되는 시동 버튼(10)과;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사용자 인증을 실행하는 이모빌라이저(21)와 ECU(22)를 내장하고, LF송신기(23)와 RF수신기(24)를 가지는 스마트키 모듈(20)과;
    상기 스마트키 모듈(2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차량의 엔진 구동을 위한 인증 코드를 구비한 트랜스폰더(31)와 마이크로컨트롤러(32)를 내장하며, LF수신기(33)와 RF송신기(34)를 가지는 무선리모컨식의 스마트키(30)와;
    운전자의 감각에 의해 상기 스마트키(3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키(30)에 설치되는 위치확인부(40)와;
    상기 스마트키 모듈(20)의 ECU(22)에 설치되고, 상기 시동 버튼(10)의 조작을 감지하여 상기 위치확인부(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제어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확인부(40)는,
    상기 스마트키(30)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제어부(50)에 의해 발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2)에 의해 제어되어 점등되는 엘이디(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확인부(40)는,
    상기 스마트키(30)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제어부(50)에 의해 발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2)에 의해 제어되어 음향이 발생되는 스피커(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시동 버튼(1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차량의 내부에서 상기 스마트키(30)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부(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표시부(60)는,
    상기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ECU(22)와 전기 신호상으로 연결되는 엘시디창(61)과,
    상기 ECU(22)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내부에서 상기 스마트키(30)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부(62)와,
    상기 ECU(22)에 설치되고 상기 시동 버튼(1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위치검출부(62)에 의해 검출된 정보를 상기 엘시디창(61)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제어부(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
KR1020110015535A 2011-02-22 2011-02-22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 KR201200962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535A KR20120096243A (ko) 2011-02-22 2011-02-22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535A KR20120096243A (ko) 2011-02-22 2011-02-22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243A true KR20120096243A (ko) 2012-08-30

Family

ID=46886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535A KR20120096243A (ko) 2011-02-22 2011-02-22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624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619B1 (ko) * 2013-06-13 2015-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 키 위치 안내 시스템
KR20150029833A (ko) * 2013-09-10 2015-03-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Nfc를 이용한 포브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GB2533108A (en) * 2014-12-09 2016-06-15 Denso Corp Contactless key localisation
CN108638964A (zh) * 2018-04-12 2018-10-12 金龙联合汽车工业(苏州)有限公司 一种商用车紧急制动系统的报警提示方法
KR20200108160A (ko) * 2019-03-07 2020-09-17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포브 키 탐지 장치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619B1 (ko) * 2013-06-13 2015-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 키 위치 안내 시스템
KR20150029833A (ko) * 2013-09-10 2015-03-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Nfc를 이용한 포브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GB2533108A (en) * 2014-12-09 2016-06-15 Denso Corp Contactless key localisation
GB2533108B (en) * 2014-12-09 2018-09-05 Denso Corp Contactless key localisation
CN108638964A (zh) * 2018-04-12 2018-10-12 金龙联合汽车工业(苏州)有限公司 一种商用车紧急制动系统的报警提示方法
KR20200108160A (ko) * 2019-03-07 2020-09-17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포브 키 탐지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442B1 (ko) 차량 탑재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3901034B2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US9646436B1 (en) Gesture controls for remote vehicle access systems
JP6612781B2 (ja) 組立体モジュール
US20150262436A1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closing element
JP5102192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EP2338704B1 (en) Tire condition monitoring apparatus with keyless entry function
MX2014015058A (es) Deteccion de proximidad del usuario para activar funciones de comodidad del vehiculo.
US7065439B2 (en) Vehicle door locking and unlocking system
WO2005124066A1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JP2006009352A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JP2010007457A (ja) 車両用スマートキーシステム
JP5618887B2 (ja) 車両用制御装置
JP2016094723A (ja) スマートエントリシステム
JP2015190273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KR20120096243A (ko) 스마트키 위치 확인 시스템
KR101394036B1 (ko)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09179998A (ja)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
KR101588972B1 (ko) 지문인식 자동차 시동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2015059398A (ja) 車両制御装置
KR20190062742A (ko) 스마트키 시스템
US20150015423A1 (en) Vehicle key
JP5480418B2 (ja) 施解錠操作検出装置
KR101480619B1 (ko) 스마트 키 위치 안내 시스템
US9672675B1 (en) Lock-unlock system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