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6142A - 터치 패널 멀티 진공 합착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패널 멀티 진공 합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6142A
KR20120096142A KR1020110015360A KR20110015360A KR20120096142A KR 20120096142 A KR20120096142 A KR 20120096142A KR 1020110015360 A KR1020110015360 A KR 1020110015360A KR 20110015360 A KR20110015360 A KR 20110015360A KR 20120096142 A KR20120096142 A KR 20120096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nel
window
process chamber
touch
d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규
Original Assignee
이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규 filed Critical 이세규
Priority to KR1020110015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6142A/ko
Publication of KR20120096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1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패널 진공 합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패널 셀과 상기 터치 패널 셀을 보호하기 위한 윈도우를 진공상태에서 합착함으로써 대기 상태에서 합착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기포 발생을 제거하고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 패널 진공 합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터치 패널 멀티 진공 합착 방법 {Mathod For Attaching Of Touch Panel}
본 발명은 터치 패널 멀티 진공 합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패널 셀과 상기 터치 패널 셀을 보호하기 위한 윈도우를 진공상태에서 합착함으로써 대기압 상태에서 합착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기포 발생을 억제하고 접착력 및 UV 레진에 대한 블리드 인/아웃(Bleed in/Out)을 제로화 시킬 수 있으며, 멀티로 터치 패널을 합착함으로써 택-타임을 획기적으로 절감시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터치 패널 멀티 진공 합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 패널은 패널 상에 디스플레이된 표시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표시에 대응되어 미리 정해진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수단으로써 편리성으로 인해 모든 디스플레이 장치에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터치 패널은 정전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표면 초음파 방식, 적외선 방식 등에 의해 터치 패널에 가압된 부분의 좌표를 추출하고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터치 패널은 패널 상에 손이나 전자펜 등이 접촉하여 좌표를 인식하는 방식이므로 패널 손상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상기 터치 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윈도우를 터치 패널 상에 합착하여 제조한다.
종래의 터치 패널과 윈도우의 합착 방법은 광학적 접착제(OCA 테이프)를 이용하거나 UV 경화성 레진을 이용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광학적 접착제를 이용하는 방식은 접착제 자체 두께로 인해 패널의 전체 두께가 증가하고, 접착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UV 경화성 레진을 이용한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UV 경화성 레진을 이용한 합착 방식은 대기압 상태에서 터치패널 셀과 윈도우를 합착함으로써 대기 중의 반응을 통해 기포가 발생하며 Bleed in, Out이 발생하여 셀 측면으로 UV 경화성 레진이 흘러내려 추가로 흘러내린 레진을 닦아주는 공정이 필요함으로 불량률이 증가하여 공정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터치 패널을 한번에 한장씩 합착할 경우 제조에 드는 택-타임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패널 셀과 윈도우를 진공 상태에서 합착함으로써 기포 발생을 억제 및 블리드 인/아웃(Bleed in/Out)을 제로화 하여 수율을 높일 수 있는 터치 패널 멀티 진공 합착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을 멀티로 진공 합착함으로서 제조에 소요되는 택-타임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터치 패널 멀티 진공 합착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 멀티 진공 합착 방법은 로딩된 터치 패널 셀을 다수 개의 멀티 터치 패널 셀로 정렬하는 단계와 로딩된 윈도우를 다수 개의 멀티 윈도우로 정렬하여 상기 멀티 윈도우에 UV 레진을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멀티 터치 패널 셀과 UV 레진이 도포된 멀티 윈도우를 공정챔버로 이송하여 진공합착하는 단계와 상기 진공합착된 멀티 터치 패널을 UV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멀티 터치 패널 셀과 멀티 윈도우는 같은 갯수로 설정되되, 2개 ~ 10개 중 선택된 갯수로 세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치 패널 셀과 윈도우가 보호 필름으로 커버된 경우 상기 다수 개의 멀티 터치 패널 셀과 멀티 윈도우로 정렬 전에 상기 보호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터치 패널 셀의 보호 필름이 제거된 경우 버퍼부에서 정렬된 멀티 터치 패널 셀을 상하 반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UV 레진을 도포하는 단계는 댐 도포부에서 멀티 윈도우 테두리에 UV 레진으로 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형성된 댐을 가경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댐 내부에 UV 레진으로 도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형성된 도트를 가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도트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댐 내부에 점 형태의 도트점을 일정 간격마다 형성하거나, 상기 댐 내부에 선 형태의 도트 라인을 일정 간격마다 형성하거나, 상기 댐 내부를 면 형태로 채우는 도트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합착하는 단계는 2단으로 구성된 로딩 로봇이 정렬된 멀티 터치 패널 셀과 터치 윈도우를 이송가이드를 따라 공정 챔버로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송된 멀티 터치 패널과 터치 윈도우를 얼라인하여 진공 상태에서 합착하는 단계와 상기 합착된 멀티 터치 패널을 언로딩 로봇이 검사부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로딩 로봇은 이동 가이드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공정 챔버로 멀티 터치 패널 셀과 터치 윈도우를 이송시킨 후 원 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언로딩 로봇은 이동 가이드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로딩 로봇이 원 위치로 복귀하고 공정 챔버에서 멀티 터치 패널 셀과 터치 윈도우가 합착되면, 상기 공정 챔버로 이동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합착된 멀티 터치 패널을 검사부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정 챔버의 압력은 대기 ~ 5 X 10-4torr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진공 상태에서 합착하는 단계는 공정챔버는 다수개로 구성되어 각 공정챔버 마다 멀티 터치 패널 셀과 멀티 윈도우가 이송되고, 공정챔버 내로 이송된 멀티 터치 패널과 터치 윈도우를 동시에 진공 합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합착된 멀티 터치 패널을 검사부로 이송시켜 육안검사를 통해 불량여부를 검사하고 양품의 터치 패널만을 UV 경화부로 이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 멀티 진공 합착 방법은 터치 패널 셀과 상기 터치 패널 셀을 보호하기 위한 윈도우의 합착시 진공상태에서 멀티로 합착 공정을 진행하므로 기포 발생을 억제하여 불량률을 최소화하여 수율을 향상시키고, 택-타임을 줄여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 멀티 합착 스테이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세 배치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배치에 따른 합착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UV 레진 도포부의 댐 도포부가 멀티 윈도우 테두리에 댐을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UV 레진 도포부의 도트 도포부가 댐 내부에 도트를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UV 도트 라인 형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UV 도트면 형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공정 챔버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치도이다.
도 9는 공정 챔버내에서 진공 합착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공정 챔버내에서 진공 합착시 얼라인 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 멀티 합착 스테이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세 배치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배치에 따른 합착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 합착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도 1에 표시된 스테이지의 각 부는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연결되거나, 반송 로봇을 통해 이송되는 방식 또는 컨베이어 벨트와 로봇 암이 조합되는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먼저 , 터치패널 셀이 스테이지에 로딩되면 보호필름 제거부(210)에서 필러를 통해 터치패널 셀로부터 보호 필름을 제거한다.
여기서, 상기 보호필름은 윈도우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낮은 점착력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점착력보다 큰 힘을 인가하여 상기 보호필름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필름은 인력에 의한 수작업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보호필름이 필러를 통해 제거되면, 버퍼부(220)에서 멀티 터치 패널 셀로 정렬된다. 여기서, 멀티 터치 패널 셀은 장치의 설계에 따라 2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설계된 개수의 터치 패널 셀을 상기 버퍼부(220)에서 정렬한다.
이 후의 반송 과정에서 이송 로봇은 상기 정렬된 멀티 터치 패널 셀을 한번에 다음 스테이지로 이송하도록 설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8개의 터치 패널이 멀티 터치 패널 셀을 구성해서 동시에 공정챔버에서 진공 합착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그리고 버퍼부(220)에 정렬된 멀티 터치 패널 셀은 반전부(230)를 통해 상하가 반전된다.
상기 터치패널 셀은 합착시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터치패널 상면이 하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야 하지만, 보호필름 제거부에 최초 로딩된 터치패널 셀은 패널의 상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로딩되므로 상면이 하부를 향하도록 로테이션시켜야 할 필요가 있으며 상기 반전부(230)에서는 회전장치 또는 로봇을 이용해 상기 터치패널 셀을 상하 반전시켜 공정 챔버 유닛(30)으로 이송시킨다.
한편, 윈도우가 스테이지에 로딩되면 윈도우 상에 보호필름이 부착된 경우 보호필름 제거부(110)에서 필러를 통해 윈도우로부터 보호필름이 제거된다.
상기와 같이 보호필름이 필러를 통해 제거되면, 버퍼부에서 멀티 윈도우로 정렬된다. 여기서, 멀티 윈도우는 상기 멀티 터치 패널 셀과 마찬가지로 장치의 설계에 따라 2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8개의 윈도우가 멀티 윈도우를 구성해서 동시에 UV 레진이 도포되고, 공정챔버에서 진공 합착된다.
상기 버퍼부(120)에서 설계된 갯수로 멀티 윈도우가 정렬되면 이송 로봇에 의해 UV 레진 도포부(130)의 댐 도포부(131)로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 로봇은 도 1과 같이 8개의 멀티 윈도우를 한번에 이송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멀티 윈도우가 댐 도포부(131)에 이송되면 도 4와 같이 윈도우 테두리부에 UV 레진을 도포하여 댐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댐을 형성하기 위해 디스펜서 타입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 타입은 댐 도포부(131)에서 멀티 윈도우 상면의 테두리 부분에 UV 레진을 도포하여 UV 댐을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댐 도포부(131)는 2축으로 이동이 가능한 댐 토출 노즐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로딩된 멀티 윈도우의 테두리부를 이동하면서 댐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멀티 윈도우는 도 4와 같이 2개가 하나의 쌍으로 4개의 쌍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댐 토출 노즐은 4개로 구성되어 각 댐 토출 노즐이 한 쌍의 윈도우에 댐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멀티 윈도우의 각 쌍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므로 상기 4개의 토출 밸브를 개별제어 하지 않고, 동일한 궤적으로 2축 이동하면서 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멀티 윈도우에 댐이 형성되면 이송 로봇에 의해 멀티 윈도우가 댐 가경화부(132)로 이동하여 UV램프가 댐에 대한 가경화를 수행한다.
상기 UV 레진이 경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윈도우가 이송될 경우 UV 레진이 주변으로 흘러서 UV 레진의 균일도 및 브리드 인/아웃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UV 레진 도포후 전체 접착력의 10 ~ 30% 정도로 가경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UV 댐 및 가경화가 수행되면, 도트 토출부(130)로 이송되어 UV 댐 내부에 UV 도트를 토출한다. 상기 UV 도트는 도 5와 같이 도트 토출 노즐이 설정된 간격에 따라 이동하면서 토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트 토출 노즐은 도 6a과 같이 멀티 노즐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도트 토출 노즐은 도 6b와 같은 UV 토트가 아닌 UV 토트라인을 UV 댐 내부에 도포하게 된다.
상기 멀티 노즐은 일정 간격(d)으로 배치되고, 상기 간격(d)은 노즐의 크기 및 UV 레진의 퍼짐 정도를 고려하여 설정되고, 상기 간격(d)이 지나치게 클 경우 이웃하는 UV 도트라인과의 공백으로 접합력이 떨어질 수 있으며, 간격(d)이 지나치게 좁을 경우 이웃하는 UV 도트라인이 오버랩 되어 UV 레진이 불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으므로 퍼짐에 의해 이웃하는 UV 도트라인이 미세하게 맞닿을 정도의 간격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트 토출 노즐은 기준점에 정렬되며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멀티 노즐을 통해 UV 레진을 도포하게 되고, 이에 따라 UV 댐 내부에 UV 도트라인이 형성된다.
상기 기준점은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 중 선택된 하나일 수 있으며, 기준점이 상면일 경우 도트 토출 노즐은 하부로 이동하면서 세로의 UV 토트라인을 형성하게 되고, 하면일 경우 도트 토출 노즐은 상부로 이동하면서 역시 세로의 UV 도트라인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기준점이 좌측면인 경우 도트 토출 유닛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가로의 UV 도트라인을 형성하게 되고, 우측면인 경우 도트 토출 유닛은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역시 가로의 UV 도트라인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트 토출 유닛은 도 7와 같이 장홈으로 형성된 슬릿 노즐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도트 토출 유닛은 도 7b와 같은 UV 토트가 아닌 UV 도트면을 UV 댐 내부에 도포하게 된다.
따라서, UV 댐 내부 전체에 UV 레진을 도포하여 밀실하고 균일한 UV 레진 도포가 가능하여 접합력을 높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트 토출은 기준선에 정렬되며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슬릿 노즐을 통해 UV 레진을 도포하게 되고, 이에 따라 UV 댐 내부에 UV 도트면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UV 댐 내부에 UV 도트가 토출되면 필요에 따라 도트 가경화부(134)를 더 포함시켜 UV 도트를 가경화시킬 수 있다.
상기 UV 레진은 댐에는 높은 접착력이 요구되므로 고점도용 UV 레진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도트/도트라인/도트면은 저점도용 UV 레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멀티 윈도우에 UV 레진이 도포되면 공정 챔버 유닛의 로딩 로봇(310)에 의해 상기 멀티 윈도우가 공정 챔버(320)에 로딩된다.
공정 챔버 유닛(30)은 상기 멀티 터치 패널 셀과 멀티 윈도우를 공정 챔버로 로딩하는 로딩 로봇(310)과 상기 로딩된 멀티 터치 패널 셀과 멀티 윈도우를 진공 합착하는 다수 개의 공정 챔버(320)와 상기 진공 합착된 멀티 터치 패널을 언로딩하는 언로딩 로봇(330)과 상기 로딩 로봇과 언로딩 로봇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동 가이드(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딩 로봇(310)은 2단 로봇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단 로봇은 멀티 터치 패널 셀을 공정 챔버로 로딩하고, 하단 로봇은 멀티 윈도우를 공정 챔버로 로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정 챔버 유닛(30)은 공정 챔버내에 동시에 합착되는 터치 패널의 수가 많은 경우 택타임을 줄이기 위해서 로딩 로봇(310)과 언로딩 로봇(330)이 구분되어 구성되지만, 중대형 터치 패널과 같이 동시에 합착되는 터치 패널의 수가 적은 경우에는 단일의 로딩/언로딩 로봇으로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정 챔버는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다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공정 챔버(제1 내지 4 공정챔버)로 구성된 경우이다.
상기 각 공정 챔버에는 멀티 터치 패널 셀과 멀티 윈도우가 로딩되므로 하나의 공정 챔버에서 8개의 터치 패널이 진공 합착된다.
상기 공정 챔버는 대기압 ~ 5 X 10-4 torr 범위가 되도록 진공 펌프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챔버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기 위한 진공 펌프를 구비하고, 상기와 같은 진공 상태에서 터치 패널 셀과 윈도우가 얼라인되어 합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공정챔버(320)에 멀티 터치패널 셀과 멀티 윈도우가 로딩되면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Vision System에 의해 터치패널 셀과 윈도우를 정확한 위치에 정렬하고 및 얼라인 한후, 진공 상태에서 터치패널 셀과 윈도우를 합착한다.
상기 공정챔버(320)는 도 8과 같이 진공 합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정챔버(320)는 고정수단, 얼라인 수단, 합착수단, 가경화 수단,Vision System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하단에서 터치패널 셀과 윈도우가 로딩되고, 윈도우가 고정되는 기판척과, 터치패널 셀의 상면이 하부를 향하도록 터치패널 셀의 배면을 고정하는 점착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얼라인 수단은 터치 패널 셀과 윈도우가 합착될 정확한 위치를 표시확인 및 제어를 하기 위해 카메라를 통해 위치를 확인하는 Vision System이다.
상기 Vision system은 얼라인 이미지의 정확한 파악을 위해 상기 얼라인 부위를 밝게 비추기 위한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점착패드는 터치패널 셀을 상부에 유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터치패널 셀을 지지할 수 있기 위해 점착력을 가진 합성고무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점착력이 지나치게 높을 경우 분리 시 터치패널 셀 표면에 손상을 줄 수 있으며, 점착력이 지나치게 낮을 경우 터치패널 셀이 윈도우와 합착 전에 분리되어 파손될 수 있으므로 터치패널 셀을 유지하면서 지나치게 큰 점착력이 작용하지 않는 범위의 점착력을 가지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400 ~ 5000 gf/cm2 범위의 점착력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가경화 수단은 공정 챔버 하부에 배치되어 합지된 터치패널 셀과 윈도우를 UV에 의해 가경화시키는 UV 램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공정 챔버에 멀티 터치 패널 셀이 기판척에 로딩되면 점착 패드를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터치 패널 셀을 점착 패드에 흡착한다.
이어서, 멀티 윈도우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터치 패널 셀을 상부로 이동 시킨다.
다음으로 멀티 윈도우가 기판척에 로딩되면, Vision system을 통해 얼라인을 확인한 후, 상기 멀티 터치 패널 셀을 하부로 이동시켜 멀티 터치패널 셀과 멀티 윈도우가 합지된 상태에서 최소한의 고정력을 부여하기 위해 가경화 공정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공정 챔버 하단에 UV 램프를 구비할 수 있으며, 터치패널 셀과 윈도우가 합지된 상태에서 UV 램프를 조사하여 터치패널 셀과 윈도우가 최소한의 고정력으로 합착될 수 있도록 가경화한다.
상기와 같이 가경화 과정을 통해 터치패널 셀과 윈도우가 가경화되면, 점착패드를 상부로 이동시켜 분리한다.
상기와 같이 공정 챔버를 통해 멀티 터치패널 셀과 멀티 윈도우가 진공상태에서 진공 합착되면 진공 합착된 멀티 터치패널이 반송챔버의 언로딩 로봇(330)에 의해 검사부로 이송된다.
여기서, 언로딩 로봇(330)은 로딩 로봇(310)이 원위치로 복귀한 상태에서 이동 가이드(340)를 따라 공정챔버로 이동하고 공정 챔버의 게이트를 개방하여 내부의 멀티 터치 패널을 파지하여 상기 이동 가이드(340)를 따라 원 위치로 복귀하여 검사부(40)로 이송한다.
상기 언로딩 로봇(330)은 로딩 로봇(310)과 달리 터치 패널 셀과 윈도우가 합착된 멀티 터치 패널을 이송시키므로 1단 로봇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검사부(40)로 이송된 멀티 터치 패널은 이물이나 기포 유무를 육안 검사를 통해 합착된 멀티 터치 패널의 상태를 검사하여 불량 여부를 판단하고, 양품인 멀티 터치 패널만을 경화부(50)로 이송한다.
상기 경화부(50)에서는 UV 램프를 조사하여 UV 레진을 완전 경화시키게 되고, 이를 통해 공정 챔버에서 합착된 터치패널 셀과 윈도우가 일체로 접착된다.
상기 경화부(50)는 스테이지의 길이와 이동 속도 및 UV 램프의 UV 조사강도를 고려하여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터치패널 셀과 윈도우가 경화부를 통해 완전 경화되면 언로딩되어 전 합착 공정이 종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210 : 보호필름 제거부 120, 220 : 버퍼부
130 : UV 레진 도포부 230 : 반전부
30 : 공정 챔버 유닛 310 : 로딩 로봇
320 : 공정챔버 330 : 언로딩 로봇
340 : 이동 가이드 40 : 검사부
50 : 경화부

Claims (11)

  1. 로딩된 터치 패널 셀을 다수 개의 멀티 터치 패널 셀로 정렬하는 단계와;
    로딩된 윈도우를 다수 개의 멀티 윈도우로 정렬하여 상기 멀티 윈도우에 UV 레진을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멀티 터치 패널 셀과 UV 레진이 도포된 멀티 윈도우를 공정챔버로 이송하여 진공합착하는 단계와;
    상기 진공합착된 멀티 터치 패널을 UV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멀티 진공 합착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터치 패널 셀과 멀티 윈도우는
    같은 갯수로 설정되되, 2개 ~ 10개 중 선택된 갯수로 세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멀티 진공 합착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 셀과 윈도우가 보호 필름으로 커버된 경우
    상기 다수 개의 멀티 터치 패널 셀과 멀티 윈도우로 정렬 전에 상기 보호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멀티 진공 합착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 셀의 보호 필름이 제거된 경우
    버퍼부에서 정렬된 멀티 터치 패널 셀을 상하 반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멀티 진공 합착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V 레진을 도포하는 단계는
    댐 도포부에서 멀티 윈도우 테두리에 UV 레진으로 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형성된 댐을 가경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댐 내부에 UV 레진으로 도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형성된 도트를 가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멀티 진공 합착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댐 내부에 점 형태의 도트점을 일정 간격마다 형성하거나, 상기 댐 내부에 선 형태의 도트 라인을 일정 간격마다 형성하거나, 상기 댐 내부를 면 형태로 채우는 도트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멀티 진공 합착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착하는 단계는
    2단으로 구성된 로딩 로봇이 정렬된 멀티 터치 패널 셀과 터치 윈도우를 이송가이드를 따라 공정 챔버로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송된 멀티 터치 패널과 터치 윈도우를 얼라인하여 진공 상태에서 합착하는 단계와;
    상기 합착된 멀티 터치 패널을 언로딩 로봇이 검사부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멀티 진공 합착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 로봇은 이동 가이드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공정 챔버로 멀티 터치 패널 셀과 터치 윈도우를 이송시킨 후 원 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언로딩 로봇은 이동 가이드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로딩 로봇이 원 위치로 복귀하고 공정 챔버에서 멀티 터치 패널 셀과 터치 윈도우가 합착되면, 상기 공정 챔버로 이동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합착된 멀티 터치 패널을 검사부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멀티 진공 합착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챔버의 압력은
    대기 ~ 5 X 10-4torr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멀티 진공 합착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상태에서 합착하는 단계는
    공정챔버는 다수개로 구성되어 각 공정챔버 마다 멀티 터치 패널 셀과 멀티 윈도우가 이송되고,
    공정챔버 내로 이송된 멀티 터치 패널과 터치 윈도우를 동시에 진공 합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멀티 진공 합착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착된 멀티 터치 패널을 검사부로 이송시켜 육안검사를 통해 불량여부를 검사하고 양품의 터치 패널만을 UV 경화부로 이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터치 패널 멀티 진공 합착 방법.
KR1020110015360A 2011-02-22 2011-02-22 터치 패널 멀티 진공 합착 방법 KR201200961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360A KR20120096142A (ko) 2011-02-22 2011-02-22 터치 패널 멀티 진공 합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360A KR20120096142A (ko) 2011-02-22 2011-02-22 터치 패널 멀티 진공 합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142A true KR20120096142A (ko) 2012-08-30

Family

ID=46886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360A KR20120096142A (ko) 2011-02-22 2011-02-22 터치 패널 멀티 진공 합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614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2192A (ko) * 2016-11-10 2018-05-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터치 패널 제조 방법
KR20200042998A (ko) * 2018-10-16 2020-04-27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패널 합착 방법
KR20210020349A (ko) * 2019-08-14 2021-02-24 (주)엘이티 다관절 로봇을 구비한 커버글라스 합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2192A (ko) * 2016-11-10 2018-05-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터치 패널 제조 방법
KR20200042998A (ko) * 2018-10-16 2020-04-27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패널 합착 방법
KR20210020349A (ko) * 2019-08-14 2021-02-24 (주)엘이티 다관절 로봇을 구비한 커버글라스 합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705B1 (ko)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시스템
TWI511225B (zh) Substrate transfer device and substrate assembly line
KR101449413B1 (ko) 터치 패널 진공 합착 시스템
JP5525190B2 (ja)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KR20150098594A (ko) 접착제 도포 장치,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및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
TWI595929B (zh) 塗布方法、塗布裝置、製造方法及製造裝置
JP6315630B2 (ja) 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装置及び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方法
CN102109702A (zh) 平板显示设备的制造方法及其粘合性树脂涂覆器械
KR101788367B1 (ko) 기판 접합 장치, 표시 패널 제조 장치 및 표시 패널 제조 방법
JP2016008985A (ja) 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装置及び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方法
KR101334406B1 (ko) 개선된 기판 합착 장치 및 합착 방법
KR20120096142A (ko) 터치 패널 멀티 진공 합착 방법
KR101449412B1 (ko) 유브이 레진 도포 장치 및 그 방법
KR101059952B1 (ko) 유리기판 합착방법 및 유리기판 합착장치
CN106313858A (zh) 贴合设备的制造装置及制造方法
KR20230160756A (ko) 패널 합착 장치 및 방법
KR102032721B1 (ko) 액정표시장치용 자동 접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접착방법
JP6049820B1 (ja) 貼合デバイス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N104961360B (zh) 制造方法及制造装置
KR101449414B1 (ko) 터치 패널 진공 합착 방법
JP6275589B2 (ja) 接着剤塗布装置、接着剤塗布方法、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装置及び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方法
JP2015194727A (ja) 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装置及び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方法
KR101957787B1 (ko) 터치 패널 제조 방법
KR20120069856A (ko) 터치 패널 진공 합착 장치
KR102058089B1 (ko) 변형을 이용한 저진공 합착장치 및 합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