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3977A -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표시 방향 조정 장치 및 조정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표시 방향 조정 장치 및 조정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3977A
KR20120093977A KR1020127013285A KR20127013285A KR20120093977A KR 20120093977 A KR20120093977 A KR 20120093977A KR 1020127013285 A KR1020127013285 A KR 1020127013285A KR 20127013285 A KR20127013285 A KR 20127013285A KR 20120093977 A KR20120093977 A KR 20120093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edical
display
dimensional
dimension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3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준
Original Assignee
이마그노시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마그노시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마그노시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3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39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6/465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adapted to display user selection data, e.g. graphical user interface, icons or men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6/463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characterised by displaying multiple images or images and diagnostic data on one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6/466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adapted to display 3D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7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iagnosis of the head, e.g. neuroimaging or crani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29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 A61B6/5247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combining images from an ionising-radiation diagnostic technique and a non-ionising radiation diagnostic technique, e.g. X-ray and ultrasou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33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 A61B5/0035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adapted for acquisition of images from more than one imaging mode, e.g. combining MRI and optical tom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62Arrangements for scanning
    • A61B5/0064Body surface sc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 G06T2219/2016Rotation, translation, sca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eur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표시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표시 방향 조정 장치를 제공한다. 사용자에 의한 관찰 방향 변경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제어부(1)는 지정되어 있는 화면 표시축을 중심으로 하여, 표시 화상 전체를 관찰 방향 변경 조작에 따른 방향으로 소정량 만큼 회전 이동시킨다. 회전 이동에 의한 정면 방향 조정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제어부(1)는 머리 부분 화상(11)을, 지정되어 있는 기준축(회전이동용 지정 기준축)을 중심으로 하여, 이 조정 조작에 따른 방향으로 소정량 만큼 회전이동시킨다. 제어부(1)는 지정되어 있는 기준축, 지정된 회전이동 방향 및 회전이동량에 기초하여, 작업 메모리 상에서 기준 좌표계의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를 수정한다.

Description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표시 방향 조정 장치 및 조정 프로그램{MEDICAL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ORIENTATION ADJUSTMENT DEVICE AND ADJUSTMENT PROGRAM}
본 발명은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표시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치과 또는 성형 외과 분야에서 턱의 왜곡을 수반하는 턱 변형증 치료 등을 행할 때에, 턱 안면의 기능상 및 심미상의 문제를 파악하기 위하여, 턱 안면 형태의 진단은 중요하다. 종래에는, 머리 부분 규격 X선 사진이 턱 안면의 형태 진단의 주요한 자료였지만, X선 사진에서는 상의 확대나 왜곡 등을 일으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얼굴 측면의 X선 사진에서는, 좌우 대칭의 구조물의 중선을 취함으로써, 좌우 구조물 투영 상의 확대율의 차이를 보완할 수 있기 때문에, 큰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얼굴 정면의 X선 사진에서는, 전후 방향으로 X선을 조사하기 때문에, 좌우 구조물의 확대율의 차이를 보완할 수 없고, 머리 위치의 오차에 의해 촬영 시에 촬영 화상은 좌우 확대율이 상이한 상이 되어, 얼굴의 좌우 대칭성의 평가가 곤란하였다.
또한, 머리 부분 X선 규격 촬영법에서는, 이어로드로 불리는 봉을 좌우 외이도에 대어 머리 위치를 규격한 상태로 촬영을 행하지만, 좌우의 귀가 반드시 좌우 대칭이라고는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좌우 귀가 얼굴의 정면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절대적인 요소라고는 말할 수 없다. 그러나, 종래의 촬영법에서는, 이어로드를 이용하는 것 이외의 머리 위치의 위치 결정 수단이 없고, 이어로드에 기초한 정면 방향밖에 규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8-131403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출원 공개 제 2002-360564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허출원 공개 제 2007-130240호 공보
최근, 3차원 CT(Computed Tomography) 데이터를 바탕으로 입체 구축한 CT 화상을 얼굴의 정면 평가에 응용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CT 촬영은 규격 촬영은 아니기 때문에, CT 화상을 이용하여 얼굴의 좌우 대칭성을 평가할 때에는, 우선, 임상적 재현성 및 근거성이 낮은 촬영시의 CT 화상의 좌표계를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형태 평가에 바람직한 정면 방향으로, 좌표계를 다시 위치 결정할 필요가 있었다. 좌표계를 다시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는, 가능한 한, 턱 안면 상에 있는 해부학 특징점(이하, 「랜드마크」라고 한다)을 다수 반영할 수 있고, 다양한 정면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위치 결정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자는 CT 화상 상의 랜드마크에 기초하여, 해부학상 또는 형태학상의 기준면을 설정함으로써, 얼굴의 정면 방향을 설정하는 방법이나, 한 번 설정된 얼굴의 정면 방향을, 더욱 소망하는 랜드마크를 참고점으로서 이용하여 수정하는 방법을 이미 개발하고, 특허 출원하고 있다(상기 특허 문헌 2, 3 참조). 이러한 방법에 의해, CT 화상을 형태 진단에 활용할 때에 요구되는 재현성, 근거성이 높은 모든 방향의 설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랜드마크의 다수가 X선 사진상에서의 형태 계측용으로서 정의된 것이기 때문에, 이 2차원적으로 정의된 랜드마크를 3차원적으로 특정할 때에 오차가 생기거나, 예를 들어, 안협부 등과 같이, 형상상, 랜드마크를 설정할 수 없는 영역을 위치 결정에 반영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에 더하여, CT 촬영 데이터의 최소 구성 단위(복셀)의 한 변의 길이는 최소이어도 0.5 mm 정도이기 때문에, CT 촬영 데이터 상에서 랜드마크를 고정밀도로 지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 때문에, 랜드마크 지정에 의존하지 않는 위치 결정 방법이나, 랜드마크 지정에 의한 위치 결정 오차를 보정할 방법이 요구된다.
또한, 과거에 CT 화상의 평가 방향의 위치 결정이 행해진 동일 환자에 대하여 새롭게 CT 촬영을 행하고, 그 사이의 변화를 정량 평가하기 위해서는, 과거에 행해진 위치 결정 방향을 고정밀도로 재현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또한, 환자 자신이 인식 또는 희망하는 얼굴의 방향을 카메라 또는 3차원 카메라로 촬영하여 두고, CT 화상을 이용하여 턱 안면 골격의 대칭성을 평가할 때, CT 화상의 방향을 카메라 촬영한 방향과 고정밀도로 일치시킬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CT 화상을 형태 진단에 활용하면 할수록, 더욱 다양한 방향의 설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의료용 3차원 화상의 위치 결정의 변동, 정밀도, 조작성을 더욱 높임으로써, 한층 더 진단, 치료의 적확성(적절하고 정확한 성능)을 높이는 것에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소정의 3차원 기준 좌표계(Xo, Yo, Zo)를 따르는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의료용 3차원 화상(11)을 표시 수단(2)에 표시시키는 수단(1)과, 상기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표시 방향의 조정에 참고가 되는 참고 화상(12)을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수단(1)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화상의 관찰 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한 관찰 방향 변경 지령을 입력하기 위한 관찰 방향 변경 지령 입력 수단(4, 50)과, 상기 관찰 방향 변경 지령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관찰 방향 변경 지령에 따라서, 상기 의료용 3차원 화상 및 상기 참고 화상을 포함하는 표시 화상 전체를 이동시키는 관찰 방향 변경 수단(1)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의료용 3차원 화상 및 상기 참고 화상 중에서, 상기 의료용 3차원 화상만을, 상기 3차원 기준 좌표계의 화상 기준축 중으로부터 지정된 제 1 화상 기준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시키기 위한 지령을 입력하기 위한 표시 방향 변경 지령 입력 수단(4, 60)과, 상기 표시 방향 변경 지령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표시 방향 변경 지령에 따라서, 상기 의료용 3차원 화상만을 상기 제 1 화상 기준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시키는 표시 방향 변경 수단(1)과, 상기 표시 방향 변경 수단에 의한 상기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회전이동에 따라서, 상기 3차원 기준 좌표계의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를 수정하는 제 1 수정 수단(1)을 포함하는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표시 방향 조정 장치이다. 또한, 괄호 내의 영숫자는 후술하는 실시 형태에서의 대응 구성 요소 등을 나타낸다. 이하, 이 항에 있어서 동일하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소정의 3차원 기준 좌표계를 따르는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의료용 3차원 화상이 표시 수단에 표시됨과 동시에,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표시 방향을 조정할 때에 참고가 되는 참고 화상이 표시 수단에 표시된다. 참고 화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참고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설정 또는 지정된 화상 기준축(이하, 「제 3 화상 기준축」이라고 한다)에 직교하는, 평면, 격자무늬 또는 얼굴 대칭 모델 외형선, 제 3 화상 기준축 방향으로 투영한 등고선이나 모아레(moire)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제 3 화상 기준축에 직교하는 평면상에, 환자 본인의 얼굴 사진 또는 그 얼굴 사진으로부터 추출한 얼굴 특징 외형선을 참고 화상으로서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전에 촬영되는 한편, 표시 방향의 위치 결정이 행해진 화상으로서, 이번에 촬영된 의료용 3차원 화상에 대하여 제 3 화상 기준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화상을, 이 화상 기준축에 직교하는 평면상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참고 화상을 제 3 화상 기준축에 직교하는 평면 위에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의료용 3차원 화상의 관찰 방향에 따른 방향의 참고 화상(예를 들어, 사진, 2차원 화상, 외형선 등)을, 그 관찰 방향(시점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상에 표시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관찰 방향 변경 지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관찰 방향 변경 지령에 따라서, 의료용 3차원 화상 및 참고 화상을 포함하는 표시 화상 전체가 이동된다. 표시 방향 변경 지령이 입력되면, 표시 방향 변경 수단에 의해, 입력된 표시 방향 변경 지령에 따라서, 의료용 3차원 화상만이, 지정된 화상 기준축(제 1 화상 기준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동된다. 표시 방향 변경 수단에 의한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회전이동에 따라서, 3차원 기준 좌표계의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가 수정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표시 방향의 조정에 참고가 되는 참고 화상이 표시되므로,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표시 방향의 조정을 행하기 쉬워진다. 예를 들어, 머리 부분 화상의 얼굴의 정면 방향을 조정하는 경우에는, 얼굴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화상 기준축(Yo 축)에 직교하는, 평면, 격자무늬 또는 얼굴 대칭 모델 외형선, 이 화상 기준축 방향으로 투영한 등고선이나 모아레 등을, 참고 화상으로서 표시함으로써, 얼굴의 좌우 대칭성에 기초한 얼굴의 정면 방향의 조정이 행하기 쉬워진다.
또한, 이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관찰 방향으로부터,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표시 방향을 조정할 수가 있으므로, 표시 방향을 더욱 정확하게 조정할 수가 있다. 또한, 이 발명에 의하면, 표시 방향 변경 수단에 의한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회전이동에 따라서, 3차원 기준 좌표계를 따르는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가 수정되므로, 정확하게 지정하는 것이 곤란한 랜드마크를 지정할 필요가 없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 1 수정 수단은, 상기 제 1 화상 기준축과, 상기 표시 방향 변경 수단에 의한 상기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회전이동의 방향 및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지정된 1개의 화상 기준축을 제외한 다른 2개의 화상 기준축을 수정하는 것인 청구항 1에 기재된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표시 방향 조정 장치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화상 기준축과, 표시 방향 변경 수단에 의한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회전이동의 방향 및 크기에 기초하여, 지정된 1개의 화상 기준축을 제외한 다른 2개의 화상 기준축이 수정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의료용 3차원 화상을, 상기 3차원 화상 기준축 중으로부터 지정된 제 2 화상 기준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평행이동시키기 위한 평행이동 지령을 입력하기 위한 평행이동 지령 입력 수단(4, 60)과, 상기 평행이동 지령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평행이동 지령에 따라서,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의료용 3차원 화상을, 상기 제 2 화상 기준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평행이동시키는 평행이동 수단(1)과, 상기 평행이동 수단에 의한 평행이동에 따라서, 상기 3차원 기준 좌표계의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를 수정하는 제 2 수정 수단(1)을 더 포함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표시 방향 조정 장치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평행이동 지령이 입력되면, 평행이동 수단에 의해, 입력된 평행이동 지령에 따라서, 표시 수단에 표시되어 있는 의료용 3차원 화상이, 지정된 화상 기준축(제 2 화상 기준축)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평행이동된다. 그리고, 평행이동 수단에 의한 평행이동에 따라서, 3차원 기준 좌표계의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가 수정된다. 예를 들어, 제 2 화상 기준축이 Yo 축인 경우에는, Yo 축이 통과하는 원점을, Xo-Zo 평면상에서, 의료용 3차원 화상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화상 기준축이 Zo 축인 경우에는, Zo 축이 통과하는 원점을, Xo-Yo 평면상에서, 의료용 3차원 화상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고, 제 2 화상 기준축이 Xo 축인 경우에는, Xo 축이 통과하는 원점을, Yo-Zo 평면상에서, 의료용 3차원 화상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이 발명에 의하면, 의료용 3차원 화상을 지정한 화상 기준축에 대하여 평행이동시킴으로써, 표시 방향의 조정을 행할 수가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컴퓨터(1)를, 소정의 3차원 기준 좌표계(Xo, Yo, Zo)를 따르는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의료용 3차원 화상(11)을 표시 수단(2)에 표시시키는 수단, 상기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표시 방향의 조정에 참고가 되는 참고 화상(12)을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수단, 주어진 바의 관찰 방향 변경 지령에 따라서, 상기 의료용 3차원 화상 및 상기 참고 화상을 포함하는 표시 화상 전체를 이동시키는 관찰 방향 변경 수단, 주어진 바의 표시 방향 변경 지령에 따라서,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의료용 3차원 화상 및 상기 참고 화상 중에서, 상기 의료용 3차원 화상만을, 상기 3차원 기준 좌표계의 화상 기준축 중으로부터 지정된 제 1 화상 기준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시키는 표시 방향 변경 수단, 및 상기 표시 방향 변경 수단에 의한 상기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회전이동에 따라서, 상기 3차원 기준 좌표계의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를 수정하는 제 1 수정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표시 방향 조정 프로그램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도,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 1 수정 수단은, 상기 제 1 화상 기준축과, 상기 표시 방향 변경 수단에 의한 상기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회전이동의 방향 및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화상 기준축을 제외한 다른 2개의 화상 기준축을 수정하는 것인 청구항 4에 기재된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표시 방향 조정 프로그램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서도, 청구항 2에 기재의 발명과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컴퓨터를, 주어진 바의 평행이동 지령에 따라서,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의료용 3차원 화상을, 상기 3차원 화상 기준축 중으로부터 지정된 제 2 화상 기준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평행이동시키는 평행이동 수단, 및 상기 평행이동 수단에 의한 평행이동에 따라서, 상기 3차원 기준 좌표계의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를 수정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는 청구항 4 또는 5에 기재된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표시 방향 조정 프로그램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서도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이 발명에 의하면,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표시 방향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화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표시기에 표시되는 의료용 3차원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얼굴의 정면 방향의 조정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평행이동에 의한 정면 방향 조정 조작에 기초한 평행이동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는 회전이동에 의한 정면 방향 조정 조작에 기초한 회전이동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은 관찰 방향 변경 조작에 기초한 회전이동 처리와, 회전이동에 의한 정면 방향 조정 조작에 기초한 회전이동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6의 회전이동에 의한 정면 방향 조정 조작에 기초한 회전이동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은 회전이동에 의한 정면 방향 조정 조작에 기초한 회전이동 처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관찰 방향 변경 조작에 기초한 회전이동 처리와, 회전이동에 의한 정면 방향 조정 조작에 기초한 회전이동 처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회전이동에 의한 정면 방향 조정 조작에 기초한 회전이동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이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도 1은 이 발명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화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화상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PC) 등의 컴퓨터에 의해 실현된다. 화상 처리 장치는, CPU, ROM, RAM 및 하드 디스크 등을 구비한 제어부(1)를 포함하고 있다. 제어부(1)에는, 표시기(모니터)(2), 키보드(3), 마우스(4) 등이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1)의 하드 디스크에는, 예를 들어, 이 발명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표시 방향 조정 프로그램이 기억된 기억 매체(5)등으로부터, 이 표시 방향 조정 프로그램이 인스톨된다.
또한, 하드 디스크에는, 소정의 3차원 기준 좌표계(보티 좌표계:3차원 도형의 어딘가에 기준점을 두고, 그것을 원점으로 하는 좌표계)를 따르는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소정의 3차원 기준 좌표계를 따르는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는, 예를 들어, CT(Computed Tomography) 데이터로부터 작성되는 한편, 화상 내의 해부학적 특징점(랜드마크)을 기준으로 하여 정의된 3차원 기준 좌표계를 따르는 3차원 화상 데이터 또는 후술하는 표시 방향 조정 처리에 의해 수정된 3차원 화상 데이터이다. 3차원 기준 좌표계의 각 좌표축을 기준축(화상 기준축)이라고 하고, Xo, Yo, Zo로 나타낸다.
또한, 소정의 3차원 기준 좌표계를 따르는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는, 3차원 CT 데이터가 가지는 좌표계(촬영시에 구축된 좌표계)를 3차원 기준 좌표계로 하는 데이터이어도 좋고, 촬영시에 구축된 좌표계의 데이터를 랜드마크나 기준면 등을 이용하여 수정된 좌표계를 3차원 기준 좌표계로 하는 데이터이어도 좋다. 또한, 소정의 3차원 기준 좌표계를 따르는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는, 촬영 마커에 기초하여 구축된 마커 좌표계 등, 시스템이 읽어들이는 CT 데이터 그 자체가 가지는 좌표계를 3차원 기준 좌표계로 하는 데이터이어도 좋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표시기(2)에 표시되는 의료용 3차원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의료용 3차원 화상은 인체 머리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에는, 이 3차원 화상의 방향 및 기준 좌표계의 좌표축인 기준축 Xo, Yo, Zo가 함께 표시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기준축 Xo, Yo, Zo는 랜드마크에 기초하여 설정되어 있다.
랜드마크에 기초한 기준축 Xo, Yo, Zo의 설정 방법은,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일본 특개평8-13140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할 수가 있다. 특허 문헌 1에서는, 원점을 좌우의 귓구멍을 연결하는 선분의 중점, Xo 축을 좌우 안구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에 평행한 직선, Yo 축을 좌우 안구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과 Z축에 수직인 직선, Zo 축을 좌우 안구 중심을 통과하고, 원점을 지나는 면에 수직인 직선으로 하는 룰에 따라서, 기준축 Xo, Yo, Zo가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기준축 Xo는 인체 머리 부분을 거의 좌우 방향으로 관통한 직선이 되어, 기준축 Yo는 인체 머리 부분을 거의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 직선이 되어, 기준축 Zo는 인체 머리 부분을 거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 직선이 된다.
기준축인 Xo 축, Yo 축, Zo 축을, 전술한 바와 같이, 랜드마크에 기초하여 설정함으로써, 그 기준축을 따라서 표시되는 의료용 3차원 화상은, 복수의 화상을 평가할 때에, 각 화상을 거의 같은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계측이나 평가를 올바르게 행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치열의 정중앙을 얼굴의 정중앙에 맞출 때나, 얼굴의 좌우 대칭성을 진단, 치료할 때에는, 얼굴의 정면 방향의 설정이 중요해진다. 얼굴의 피부 상의 랜드마크를 지정함으로써, 얼굴의 정면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랜드마크의 대부분이 X선 사진상에서의 형태 계측용으로서 정의된 것이기 때문에, 이 2차원적으로 정의된 랜드마크를 3차원적으로 특정할 때에 오차가 생긴다거나, 예를 들어, 안협부 등과 같이, 형상상, 랜드마크를 설정할 수 없는 영역을 위치 결정에 반영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에 더하여, CT 촬영 데이터의 최소 구성 단위(복셀)의 한 변의 길이는 최소이어도 0.5 mm 정도이기 때문에, CT 촬영 데이터로 랜드마크를 고정밀도로 지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랜드마크의 지정만에 의해, 얼굴의 정면 방향을 정확하게 설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 얼굴의 정면 방향을 조정하도록 하고 있다. 우선, 3차원 기준 좌표계(Xo, Yo, Zo)를 따르는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체 머리 부분의 의료용 3차원 화상(이하, 「머리 부분 화상」이라고 한다)을 기준축과 함께 표시기(2)에 표시함과 함께, 얼굴의 정면 방향을 조정할 때에 참고가 되는 참고 화상을 표시기(2)에 표시시킨다. 사용자는 표시기(2)에 표시된 머리 부분 화상, 참고 화상 및 기준축을 포함하는 표시 화상 전체를, 표시 화면에 수직 또는 평행이 되도록 설정된 화면 표시축(화면 표시축) Xd, Yd, Zd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은, 여러 가지 시점 방향으로부터 본 3차원 화상에 기초하여, 얼굴의 정면 방향의 조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화면 표시축 Xd, Yd, Zd는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다. Yd 축은 의료용 3차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영역(이하, 「화상 표시 영역」이라고 하는, 도 4에 부호 41로 나타내는 영역)의 중심을 통과함과 동시에, 화상 표시 영역의 깊이 방향(화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과 일치하도록 설정된다. Xd 축은 화상 표시 영역의 중심을 통과함과 동시에, 화상 표시 영역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에 대하여 평행이 되도록 설정된다. Zd 축은 화상 표시 영역의 중심을 통과함과 동시에, 화상 표시 영역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에 대하여 평행이 되도록 설정된다.
사용자는 평행이동의 기준이 되는 축으로서 지정된 1개의 기준축(이하, 「평행이동용 지정 기준축」이라고 한다」)에 대하여, 의료용 3차원 화상만을 평행이동시킨다거나, 회전 중심 축으로서 지정된 1개의 기준축(이하, 「회전이동용 지정 기준축」이라고 한다」)을 중심으로 하여, 의료용 3차원 화상만을 회전이동시킨다거나 함으로써, 얼굴의 정면의 방향을 조정한다. 얼굴의 정면 방향이 조정되면, 그 조정 결과에 따라서, 3차원 기준 좌표계의 3차원 화상 데이터가 수정된다. 바꾸어 말하면, 3차원 화상에 대한 기준축 Xo, Yo, Zo의 위치가 수정된다.
도 4는 인체 머리 부분의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표시기(2)로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표시기(2)의 표시 화면 영역(40)에는, 머리 부분 화상(의료용 3차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표시 영역(41)과, 화상 표시 영역(41)의 좌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각종 조작 버튼이 표시되는 조작 영역(42)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 영역(42)에는, 관찰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관찰 방향 변경용 조작부(50), 화상 기준축에 대한 평행이동 또는 회전을 수반하는 표시 방향의 변경을 행하기 위한 표시 방향 변경용 조작부(60), 조정 종료 버튼(70) 등이 설치되어 있다.
관찰 방향 변경용 조작부(50)는 화면 표시축 Xd, Yd, Zd 중으로부터, 표시 화상 전체를 회전시키는 중심이 되는 화면 표시축을 사용자에 의해 지정시키기 위한 화면 표시축 지정용 버튼(51, 52, 53)과, 지정된 화면 표시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표시 화상 전체를 소정량 만큼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관찰 방향 변경 버튼(54)과, 선택된 화면 표시축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화상 전체를 소정량 만큼 회전시키기 위한 제 2 관찰 방향 변경 버튼(55)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반시계 방향 및 시계 방향은, 예를 들어, 지정된 화면 표시축을 정방향으로 본 경우의 회전 방향을 말한다. 3개의 화면 표시축 지정용 버튼(51, 52, 53) 중에서, 어느 1개의 버튼이 지정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관찰 방향 변경 버튼(54) 또는 제 2 관찰 방향 변경 버튼(55)이 클릭되면, 지정되어 있는 화면 표시축을 중심으로 하여, 클릭된 관찰 방향 변경 버튼에 따른 회전 방향으로 표시 화상 전체가 회전된다.
표시 방향 변경용 조작부(60)는 3개의 기준축 Xo, Yo, Zo 중으로부터, 화상을 평행이동 또는 회전이동시키기 위한 기준이 되는 기준축을 사용자에 의해 지정시키기 위한 기준축 지정용 버튼(61, 62, 63)과, 회전이동 모드 또는 평행이동 모드를 사용자에 의해 지정시키기 위한 이동 모드 지정용 버튼(64, 65)과, 4개의 표시 방향 변경 버튼(66 ~ 69)을 포함하고 있다. 한쪽의 이동 모드 지정용 버튼(64)은 회전이동 모드를 지정하기 위한 버튼이고, 다른 쪽의 이동 모드 지정용 버튼(65)은 평행이동 모드를 지정하기 위한 버튼이다. 3개의 기준축 지정용 버튼(61, 62, 63) 중의 어느 하나가 지정된 상태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2개의 이동 모드 선택 버튼(64, 65) 중의 어느 한쪽이 지정된 상태로 되어 있다.
4개의 표시 방향 변경 버튼(66 ~ 69)은 평행이동 모드시에 있어서, 평행이동용 지정 기준축에 대하여 머리 부분 화상을 평행이동할 때의 이동 방향을 지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예를 들어, Yo 축에 대하여 머리 부분 화상을 평행이동할 때에는, 이동 방향으로서, +Xo, -Xo, +Zo, -Zo의 4 방향을 각각 표시 방향 변경 버튼(66 ~ 69)에 의해 지정할 수 있다. 또한, 표시 방향 변경 버튼(66, 67)은 회전이동 모드시에 있어서, 회전이동용 지정 기준축을 중심으로 하여 머리 부분 화상을 회전이동시키기 위해서도 이용된다. 한쪽의 표시 방향 변경 버튼(66)이 조작되면, 회전이동용 지정 기준축을 중심으로 하여, 머리 부분 화상이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량 만큼 회전되고, 다른 쪽의 표시 방향 변경 버튼(67)이 조작되면, 회전이동용 지정 기준축을 중심으로 하여, 머리 부분 화상이 시계 방향으로 소정량 만큼 회전된다.
도 3은 얼굴의 정면 방향의 조정 처리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제어부(1)는 예를 들어,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조정 대상의 머리 부분 화상(11)과, 머리 부분 화상(11)의 기준축 Xo, Yo, Zo와, 머리 부분 화상(11)의 얼굴의 정면 방향의 조정에 참고가 되는 참고 화상(12)을 표시기(2)의 화상 표시 영역(41)에 표시시킨다(단계 S1). 조정 대상의 머리 부분 화상(11)은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에 기억되어 있는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 중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된다.
조정 대상의 머리 부분 화상(11)을 표시기(2)에 표시할 경우에는, 제어부(1)는 우선, 하드 디스크로부터 해당하는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를 RAM 등의 작업용 메모리 내의 소정의 영역(이하 「기준 좌표계 데이터 기억 영역」이라고 한다)에 읽어들인다. 다음으로, 제어부(1)는 기준 좌표계 데이터 기억 영역에 읽어들인 기준 좌표계 Xo, Yo, Zo의 3차원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기준 좌표계 Xo, Yo, Zo의 3차원 화상 데이터를 도시하지 않은 시점 좌표계 Xs, Ys, Zs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것에 의해, 시점 좌표계 Xs, Ys, Zs로 머리 부분 화상이 정의된다. 그리고, 제어부(1)는 시점 좌표계로 정의된 머리 부분 화상을 소정의 표시면(스크린 면)에 투영한다. 이 처리를 「투영 처리」라는 것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3차원 화상 데이터가 2차원 화상 데이터로 변환된다. 얻어진 2차원 화상 데이터를 표시면에 표시한다.
시점 좌표계 Xs, Ys, Zs는 시점을 원점으로 한 좌표계이며, 시선 방향으로 Zs축이 취해지고, Zs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Xs축 및 Ys축이 취해지고 있는 것으로 한다. 시점 좌표계에서, 전술한 화면 표시축 Yd는 시점 좌표축 Zs와 평행이 되어 있거나 또는 동일한 축 상에 있으며, 전술한 화면 표시축 Xd, Zd는 시점 좌표축 Xs, Ys축에 각각 평행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4의 (a)의 예에서는, 머리 부분 화상(11)의 기준 좌표계 Xo, Yo, Zo에 의해 규정되는 정면 관측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즉, 도 4의 (a)의 예에서는, 머리 부분 화상(11)은, 그 기준축 Yo, Xo, Zo의 Yo 축이 시점 좌표계의 시선 방향축 Zs와 일치하고, 기준축 Xo, Zo가 시점 좌표축 Xs, Ys와 각각 평행하게 되도록 한 자세로 표시되어 있다. 단계 S1에서 머리 부분 화상이 표시되었을 때에는, 작업 메모리의 기준 좌표계 데이터 기억 영역 내의 기준 좌표계 Xo, Yo, Zo의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는 미수정 상태이다.
얼굴의 정면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참고 화상(12)은 머리 부분 화상(11)을 거의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기준축 Yo에 직교하는 반투명의 채색된 평면으로서, 그 평면과 머리 부분 화상의 얼굴 표면과의 교점이 등고선으로서 나타내어져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모든 기준축 Xo, Yo, Zo가 화상 표시 영역(41)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표시 화상의 관찰 방향을 변경하기 위하여, 표시 화상 전체(머리 부분 화상(11), 참고 화상(12) 및 기준축 Xo, Yo, Zo)를, 화면 표시축 Xd, Yd, Zd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동시키기 위한 조작(이하, 「관찰 방향 변경 조작」이라고 한다)을 행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얼굴의 정면 방향을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기준축(평행이동용 지정 기준축)에 대하여 머리 부분 화상(11)을 평행이동시키기 위한 조작(이하, 「평행이동에 의한 정면 방향 조정 조작」이라고 한다)을 행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얼굴의 정면 방향을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기준축(회전이동용 지정 기준축)을 중심으로 하여, 머리 부분 화상(11)만을 회전이동시키기 위한 조작(이하, 「회전이동에 의한 정면 방향 조정 조작」이라고 한다)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정면 방향의 조정 조작이 종료한 것을 제어부(1)에 통지하기 위한 조정 종료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1)는 관찰 방향 변경 조작이 행해진 것인지 아닌지(단계 S2), 평행이동에 의한 정면 방향 조정 조작이 행해진 것인지 아닌지(단계 S3), 회전이동에 의한 정면 방향 조정 조작이 행해진 것인지 아닌지(단계 S4), 조정 종료 조작이 행해진 것인지 아닌지(단계 S5)를 감시한다.
상기 단계 S2의 관찰 방향 변경 조작이 행해진 것인지 아닌지는, 관찰 방향 변경 버튼(54 또는 55)이 클릭된 것인지 아닌지에 기초하여 판별된다. 상기 단계 S3의 평행이동에 의한 정면 방향 조정 조작이 행해진 것인지 아닌지는, 평행이동 모드를 지정하기 위한 이동 모드 지정용 버튼(65)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어느 것인가의 표시 방향 변경 버튼(66 ~ 69)이 클릭된 것인지 아닌지에 기초하여 판별된다. 상기 단계 S4의 회전이동에 의한 정면 방향 조정 조작이 행해진 것인지 아닌지는, 회전이동 모드를 지정하기 위한 이동 모드 지정용 버튼(64)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표시 방향 변경 버튼(66 또는 67)이 클릭된 것인지 아닌지에 기초하여 판별된다. 상기 단계 S5의 조정 종료 조작이 행해진 것인지 아닌지는, 조정 종료 버튼(70)이 클릭된 것인지 아닌지에 기초하여 판별된다.
사용자에 의한 관찰 방향 변경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단계 S2에서 "예"), 제어부(1)는 표시축 지정용 버튼(51, 52, 53)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화면 표시축을 중심으로 하여, 표시 화상 전체를 관찰 방향 변경 조작에 따른 방향으로 소정량 만큼 회전이동시킨다(단계 S6). 이러한 회전이동은 시점 좌표계에서, 3차원 도형 전체를 지정된 화면 표시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동시킨 후, 상기 투영 처리를 행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단계 S3으로 이행한다.
평행이동에 의한 정면 방향 조정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단계 S3에서 "예"), 제어부(1)는 머리 부분 화상(11)만을, 기준축 지정용 버튼(61, 62, 63)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기준축(평행이동용 지정 기준축)을 기준으로 하여, 이 조정 조작에 따른 방향으로 소정량 만큼 평행이동시킨다(단계 S7). 이러한 평행이동은 시점 좌표계에서, 머리 부분 화상을 평행이동용 지정 기준축에 대하여 지정된 방향으로 소정량 만큼 평행이동시킨 후, 상기 투영 처리를 행함으로써 달성된다.
이 경우에는, 제어부(1)는 평행이동용 지정 기준축, 지정된 평행이동 방향 및 평행이동량에 기초하여, 작업 메모리의 기준 좌표계 데이터 기억 영역 내의 기준 좌표계의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를 수정한다(단계 S8). 이것에 의해, 작업 메모리의 기준 좌표계 데이터 기억 영역 내의 기준 좌표계의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가 갱신된다. 이 경우, 기준 좌표계의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의 수정 결과는, 머리 부분 화상을 고정하여 두고, 머리 부분 화상을 평행이동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평행이동용 지정 기준축을 소정량 만큼 평행이동시킨 것과 등가가 된다.
회전이동에 의한 정면 방향 조정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단계 S4에서 "예"), 제어부(1)는 머리 부분 화상(11)만을, 기준축 지정용 버튼(61, 62, 63)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화상 기준축(회전이동용 지정 기준축)을 중심으로 하여, 이 조정 조작에 따른 방향으로 소정량 만큼 회전이동시킨다(단계 S9). 이러한 회전이동은 시점 좌표계에서, 머리 부분 화상을 회전이동용 지정 기준축을 중심으로 하여, 지정된 방향으로 소정량 만큼 회전이동시킨 후, 상기 투영 처리를 행함으로써 달성된다.
이 경우에는, 제어부(1)는 회전이동용 지정 기준축, 지정된 회전이동 방향 및 회전이동량에 기초하여, 작업 메모리의 기준 좌표계 데이터 기억 영역 내의 기준 좌표계의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를 수정한다(단계 S10). 이것에 의해, 작업 메모리의 기준 좌표계 데이터 기억 영역 내의 기준 좌표계의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가 갱신된다. 이 경우, 기준 좌표계의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의 수정 결과는, 머리 부분 화상을 고정하여 두고, 회전이동용 지정 기준축 이외의 다른 2개의 기준축을, 회전이동용 지정 기준축을 중심으로 하여 머리 부분 화상을 회전시킨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소정량 만큼 회전이동시킨 것과 등가가 된다.
조정 종료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단계 S5에서 "예"), 제어부(1)는 기준 좌표계 데이터의 갱신 처리를 행한다(단계 S11). 구체적으로는, 작업 메모리의 기준 좌표계 데이터 기억 영 역내의 기준 좌표계의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를, 하드 디스크 내의 원래의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와 치환한다. 이것에 의해, 하드 디스크 내의 대응하는 기준 좌표계의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가 갱신된다. 그리고,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 단계 S7의 머리 부분 화상의 평행이동 처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표시기(2)의 화상 표시 영역(41)에는, 예를 들어,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사용자는 참고 화상(12)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등고선을 참고로 하여, Zo 축을 중심으로 하여 얼굴의 좌우(좌우 양측의 등고선)가 대칭으로 나타나도록, 머리 부분 화상을 Yo 축에 대하여 평행이동시키기 위한 지령을 입력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는 기준축 지정용 버튼(62)을 클릭함으로써 Yo 축을 지정함과 동시에, 이동 모드 지정용 버튼(65)에 의해 평행이동 모드를 지정한다. 그리고, 표시 방향 조정 버튼(66 ~ 69)을 클릭한다.
도 4의 (a)의 머리 부분 화상(11)에서는, Yo 축이 코의 좌우 중심에 대하여 정면으로부터 보아서 우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있다. 따라서, 코의 좌우 중심을 Yo 축과 일치시키기 위하여, 머리 부분 화상(11)을, Yo 축에 대하여 우측 방향(+Xo 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 방향 조정 버튼(67)을 클릭한다. 그러면, 머리 부분 화상(11)만이 Yo 축에 대하여 우측 방향(+Xo 방향)으로 소정량 만큼 평행이동된다. 또한, 표시 방향 조정 버튼(66)을 클릭하면, 머리 부분 화상(11)만이 Yo 축에 대하여 좌측 방향(-Xo 방향)으로 소정량 만큼 평행이동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조작을 반복하여 행함으로써, 즉, 단계 S3, S7, S8의 처리가 반복하여 행해짐으로써,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의 좌우 중심을 Yo 축과 일치시킨다. 이 경우, 단계 S8의 처리에 의해, 작업 메모리의 기준 좌표계 데이터 기억 영역 내의 기준 좌표계의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는, 평행이동에 의한 정면 방향 조정 후의 머리 부분 화상(11)과 기준축 Xo, Yo, Zo와의 위치 관계(도 4의 (b)에 나타낸 위치 관계)에 대응하는,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로 수정된다.
단계 S9의 머리 부분 화상(11)의 회전이동 처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Yo 축을 중심으로 하여 머리 부분 화상을 회전시킴으로써, 얼굴의 정면 방향을 조정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시기(2)의 화상 표시 영역(41)에는, 예를 들어,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사용자는 참고 화상(12)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등고선을 참고로 하여, Zo 축을 중심으로 하여 얼굴의 좌우(좌우 양측의 등고선)가 대칭으로 나타나도록, 머리 부분 화상을 Yo 축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지령을 입력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는 기준축 지정용 버튼(62)을 클릭함으로써 Yo 축을 지정함과 동시에, 이동 모드 지정용 버튼(64)에 의해 회전이동 모드를 지정한다. 그리고, 표시 방향 조정 버튼(66 또는 67)을 클릭한다.
버튼(66)이 클릭되면, 머리 부분 화상(11)만이 Yo 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량 만큼 회전이동된다. 또한, 버튼(67)이 클릭되면, 머리 부분 화상(11)만이 Yo 축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소정량 만큼 회전이동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조작을 반복하여 행함으로써, 즉, 단계 S4, S9, S10의 처리가 반복하여 행해짐으로써,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Zo 축을 중심으로 하여 얼굴의 좌우(좌우 양측의 등고선)가 대칭으로 나타나도록 한다. 이 경우, 단계 S10의 처리에 의해, 작업 메모리의 기준 좌표계 데이터 기억 영역 내의 기준 좌표계의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는, 회전이동에 의한 정면 방향 조정 후의 머리 부분 화상(11)과 기준축 Xo, Yo, Zo와의 위치 관계(도 5의 (b)에 나타내는 위치 관계)에 대응한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로 수정된다. 이 결과, 머리 부분 화상에 대하여, 회전이동용 지정 기준축 Yo 이외의 2개의 기준축 Xo, Zo의 위치가 수정된 것으로 된다.
관찰 방향을 변경한 후에, Yo 축을 중심으로 하여 머리 부분 화상을 회전시킴으로써, 얼굴의 정면 방향을 조정하는 경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표시기(2)의 화상 표시 영역(41)에는, 예를 들어,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사용자는 관찰 방향을 변경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관찰 방향 변경용 조작부(50) 내의 버튼을 조작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표시축 지정용 버튼(51)을 클릭함으로써 화면 표시축 Xd를 지정한 후, 제 1 관찰 방향 변경 버튼(54)을 클릭한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는, 단계 S6에서는, 표시 화상 전체(머리 부분 화상(11), 참고 화상(12) 및 기준축 Xo, Yo, Zo)가 화면 표시축 Xd를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량 만큼 회전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표시 화상은 예를 들어,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상이 된다. 도 6의 (a)에서는, 기준축 Xo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머리 부분 화상(11)은 얼굴의 전방 기울기 하방 위치로부터 얼굴을 본 것과 같은 화상이 된다.
사용자는 참고 화상(12)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등고선을 참고로 하여, Zo 축을 중심으로 하여 얼굴의 좌우(좌우 양측의 등고선)가 대칭으로 나타나도록, 머리 부분 화상을 Yo 축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지령을 입력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는 기준축 지정용 버튼(62)을 클릭함으로써 Yo 축을 지정함과 동시에, 이동 모드 지정용 버튼(64)에 의해 회전이동 모드를 지정한다. 그리고, 표시 방향 조정 버튼(66 또는 67)을 클릭한다.
버튼(66)이 클릭되면, 머리 부분 화상(11)만이 Yo 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량 만큼 회전이동된다. 또한, 버튼(67)이 클릭되면, 머리 부분 화상(11)만이 Yo 축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소정량 만큼 회전이동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조작을 반복하여 행함으로써, 즉, 단계 S4, S9, S10의 처리가 반복하여 행해짐으로써,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Zo 축을 중심으로 하여 얼굴의 좌우(좌우 양측의 등고선)가 대칭으로 나타나도록 한다. 또한, 도 6의 (b)에서는, 기준축 Xo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또한, 도 6의 (a)와 같이 관찰 방향이 변화한 경우에는, 회전이동용 지정 기준축 Yo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에 대하여 수직이 아니라 경사진 상태가 된다. 도 7 내의 Yd는 화면에 수직인 화면 표시축 Yd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Zo 축을 중심으로 하여 머리 부분 화상을 회전시킴으로써, 얼굴의 정면 방향을 조정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시기(2)의 화상 표시 영역(41)에는, 예를 들어,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사용자는 참고 화상(12)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등고선을 참고로 하여, Zo 축을 중심으로 하여 얼굴의 좌우(좌우 양측의 등고선)가 대칭으로 나타나도록, 머리 부분 화상을 Zo 축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지령을 입력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는 기준축 지정용 버튼(63)을 클릭함으로써 Zo 축을 지정함과 동시에, 이동 모드 지정용 버튼(64)에 의해 회전이동 모드를 지정한다. 그리고, 표시 방향 조정 버튼(66 또는 67)을 클릭한다.
버튼(66)이 클릭되면, 머리 부분 화상(11)만이, Zo 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량 만큼 회전이동된다. 또한, 버튼(67)이 클릭되면, 머리 부분 화상(11)만이 Zo 축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소정량 만큼 회전이동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조작을 반복하여 행함으로써, 즉, 단계 S4, S9, S10의 처리가 반복하여 행해짐으로써,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Zo 축을 중심으로 하여 얼굴의 좌우(좌우 양측의 등고선)가 대칭으로 나타나도록 한다. 이 경우, 단계 S10의 처리에 의해, 작업 메모리의 기준 좌표계 데이터 기억 영역 내의 기준 좌표계의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는, 회전이동에 의한 정면 방향 조정 후의 머리 부분 화상(11)과 기준축 Xo, Yo, Zo와의 위치 관계(도 8의 (b)에 나타낸 위치 관계)에 대응한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로 수정된다. 이 결과, 머리 부분 화상에 대하여, 회전이동용 지정 기준축 Zo 이외의 2개의 기준축 Xo, Yo의 위치가 수정된 것으로 된다.
관찰 방향을 변경한 후에, Zo 축을 중심으로 하여 머리 부분 화상을 회전시킴으로써, 얼굴의 정면 방향을 조정하는 경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표시기(2)의 화상 표시 영역(41)에는, 예를 들어,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사용자는 관찰 방향을 변경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관찰 방향 변경용 조작부(50) 내의 버튼을 조작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표시축 지정용 버튼(51)을 클릭함으로써 화면 표시축 Xd를 지정한 후, 제 1 관찰 방향 변경 버튼(54)을 클릭한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는, 단계 S6에서는, 표시 화상 전체가 화면 표시축 Xd를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량 만큼 회전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표시 화상은 예를 들어, 도 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상이 된다. 도 9의 (a)에서는, 기준축 Xo, Yo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머리 부분 화상(11)은 얼굴의 전방 기울기 하방 위치로부터 얼굴을 본 것과 같은 화상이 된다.
사용자는 참고 화상(12)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등고선을 참고로 하여, Zo 축을 중심으로 하여 얼굴의 좌우(좌우 양측의 등고선)가 대칭으로 나타나도록, 머리 부분 화상을 Zo 축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지령을 입력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는 기준축 지정용 버튼(63)을 클릭함으로써 Zo 축을 지정함과 동시에, 이동 모드 지정용 버튼(64)에 의해 회전이동 모드를 지정한다. 그리고, 표시 방향 조정 버튼(66 또는 67)을 클릭한다.
버튼(66)이 클릭되면, 머리 부분 화상(11)만이 Zo 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량 만큼 회전이동된다. 또한, 버튼(67)이 클릭되면, 머리 부분 화상(11)만이 Zo 축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소정량 만큼 회전이동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조작을 반복하여 행함으로써, 즉, 단계 S4, S9, S10의 처리가 반복하여 행해짐으로써,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Zo 축을 중심으로 하여 얼굴의 좌우(좌우 양측의 등고선)가 대칭으로 나타나도록 한다. 또한, 도 9의 (b)에서는, 기준축 Xo, Yo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또한, 도 9의 (a)와 같이 관찰 방향이 변화한 경우에는, 회전이동용 지정 기준축 Zo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에 평행이 아니라 경사진 상태로 된다. 도 10 내의 Zd는 화면에 평행한 화면 표시축 Zd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사용자는 기준축 Xo를 중심으로 하여 머리 부분 화상(11)만을 회전시킬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는 기준축 지정용 버튼(61)을 클릭함으로써 Xo 축을 지정함과 동시에, 이동 모드 지정용 버튼(64)에 의해 회전이동 모드를 지정한다. 그리고, 표시 방향 조정 버튼(66 또는 67)을 클릭하면 좋다. 기준축 Xo를 중심으로 하여 머리 부분 화상(11)을 회전시킨 경우에는, 머리 부분 화상에 대하여, 회전이동용 지정 기준축 Xo 이외의 2개의 기준축 Yo, Zo의 위치가 수정되는 것으로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의하면, 머리 부분 화상(의료용 3차원 화상)(11)의 얼굴의 정면 방향을 조정할 때에는, 얼굴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준축(Yo 축)에 직교하는 평면 등의 참고 화상(12)이 표시되므로, 머리 부분 화상(11)의 얼굴의 정면 방향의 조정을 행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관찰 방향으로부터, 머리 부분 화상(11)의 얼굴의 정면 방향을 조정할 수가 있으므로, 얼굴의 정면 방향을 더욱 정확하게 조정할 수가 있다. 즉, 정면, 상면, 하면으로 한정된 방향뿐만 아니라, 관찰 방향을 바꾸어, 기울기 아래, 기울기 위 등으로부터, 머리 부분 화상과 참고 화상을 비교할 수 있으므로, 요철이 있는 턱 안면 형태의 모든 형상을 참고로 하여, 머리 부분 화상을 적확하게 위치 결정할 수가 있다.
정면, 좌측면, 우측면, 상면, 하면 등의 화면 축에 직교하는 방향이 기본적인 관찰 방향으로 되지만, 입체상은 요철이 있고, 시점 방향에 의해, 필요한 부위가 은닉되어 위치 결정에 이용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러나,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관찰 방향을 머리 부분 화상과 참고 화상과 함께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가 있으므로, 이 문제를 해소할 수가 있다.
조정 대상의 데이터는 3차원 화상 데이터이어도,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은 2차원 화상이기 때문에, 좌우 동시에 표시되는 방향은 정면과, 상면과, 하면밖에 없다. 이 세 방향에서 머리 부분 화상을 위치 결정할 때에, 참고로 할 수 있는 영역은 한정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머리 부분 화상을 자유롭게 360도 회전시킴으로써, 복수의 시점 방향에서 머리 부분 화상과 참고 화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되기 때문에, 실제로 입체적인 위치 결정이 가능해진다. 제 3 화상 기준축 방향으로 투영한 등고선 또는 모아레는, 머리 부분 화상만을 평행이동 또는 회전이동시켰을 때에, 등고선 또는 모아레 형상이 변화함으로써, 등고선 또는 모아레 형상이 가장 대칭이 되는 위치, 방향을 참고하여, 머리 부분 화상이 가장 좌우 대칭이 되도록 머리 부분 화상의 위치 결정을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의하면, 평행이동용 지정 기준축에 대한 머리 부분 화상(11)의 평행이동 결과나, 회전이동용 지정 기준축을 중심으로 한 머리 부분 화상(11)의 회전이동 결과에 기초하여, 지정 회전 중심축을 제외한 다른 2개의 기준축이 수정되므로, 정확하게 지정하는 것이 곤란한 랜드마크를 지정할 필요가 없다. 랜드마크의 지정이 불필요하므로, 머리 부분 화상의 해상도, 랜드마크를 지정할 때의 오차, 랜드마크를 정의할 수 없는 영역을 위치 결정에 사용할 수 없는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상, 이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 발명은 한층 더 다른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관찰 방향을 바꾸기 위하여 표시 화상 전체를 화면 표시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 설치되어 있지만, 그것에 대신하여 또는 그것에 부가하여 표시 화상 전체를 화면 표시 축에 대하여 평행이동시키는 수단을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참고 화상으로서, 참고 화상을 위하여 설정 또는 지정된 소정의 화상 기준축(이하, 제 3 화상 기준축이라고 하는, 얼굴의 정면 방향을 조정하는 경우에는 Yo 축)에 직교하는 참고 평면 외에, 제 3 화상 기준축에 직교하는 격자무늬, 얼굴 대칭 모델 외형선, 제 3 화상 기준축 방향으로 투영한 등고선이나 모아레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또한, 제 3 화상 기준축에 직교하는 평면, 격자무늬 등의 참고 화상을, 제 3 화상 기준축에 대하여 평행이동시킬 수가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참고 화상의 투명도나 색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참고 화상과 머리 부분 화상과의 위치 관계가 알기 쉽게 되도록, 참고 화상의 위치나 표시 형태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참고 화상의 위치나 표시 형태의 조정 후에, 참고 평면과 머리 부분 화상과의 겹치는 영역의 형상이나 격자무늬, 좌우 대칭 모델 외형선을 참고로 함으로써, 머리 부분 화상이 가장 좌우 대칭이 되는 위치를 특정할 수가 있다.
또한, 제 3 화상 기준축에 직교하는 평면 위에, 환자 본인의 얼굴 사진 또는 그 얼굴 사진으로부터 추출한 얼굴 특징 외형선을 참고 화상으로서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얼굴 사진을 촬영하였을 때의 얼굴의 방향으로 머리 부분 화상을 위치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마찬가지로, 이전에 촬영하는 한편, 위치 결정한 CT 상에 기초하여, 제 3 화상 기준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화상을 평면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이전에 평가한 표시 방향으로 머리 부분 화상을 위치 결정할 수 있도록 되기 때문에, 그 사이의 변화를 정량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정면 사진, 좌우 측면 사진과는 별도로, 정면으로부터 우측 10도 기울기, 20도 기울기, 30도 기울기, 좌측 10도 기울기, 20도 기울기, 30도 기울기 등의 복수 방향의 사진과, 그 사진 방향을 등록하여 두고, 머리 부분 화상의 관찰 방향이 지정되었을 때에, 그 시점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위에, 그 관찰 방향으로 대응하는 방향의 사진을 참고 화상으로서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정면, 측면 방향의 사진뿐만 아니라, 기울기의 방향으로부터도 참고도와의 위치 관계를 확인하면서 위치 결정할 수 있으므로, 더욱 입체적인 방향의 조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경우에도, 참고 화상의 투명도나 색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참고가 되는 사진 화상으로부터 외형선 추출 등의 화상 처리를 시행하고, 추출한 외형선을 참고 화상으로서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사진 대신에, 이전 촬영한 CT 상 데이터나, MRI 데이터, 또는 3차원 카메라 사진 데이터 등의 3차원 정보를 활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미리 참고 자료로서 등록된 3차원 정보로부터, 머리 부분 화상의 관찰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의 화상을 2차원 화상으로서 만들고, 머리 부분 화상의 관찰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위에 이 2차원 화상을 참고 화상으로서 표시할 수가 있다. 이 방법은 과거의 진단 평가로 이미 위치 결정된 동일한 환자의 CT 상 등이 있는 경우, 또한, 3차원 카메라 상 등, 입체 형상 정보를 가진 참고 자료가 있는 경우에 유효하다.
참고 화상이 표시되는, 제 3 화상 기준축에 직교하는 평면 또는 관찰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은, 제 3 화상 기준축 또는 관찰 방향을 따라 평행이동시킨다든지, 그 평면에 표시되는 CT 상, 3D 사진 상 등의 참고 자료의 색이나 투명도를 조정시킨다거나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참고 자료의 외형선을 추출하여 상기 평면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머리 부분 화상과 참고 화상과의 위치 관계를 알기 쉽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참고 자료가 3차원 정보이어도, 참고 화상으로서 표시되는 것은 2차원 화상이므로, 전술한 참고 화상의 색이나 투명도의 조정이나 외형선 추출 등의 조작이 용이하고, 처리 시간도 짧게 완료된다.
3차원 화상끼리를 그대로 중첩시킨 경우에는, 중첩되는 부분의 깊이 영역이 (앞에 있는 영역이 표시되고, 그 내부의 상은 은닉되고, 깊이의 겹침을 알기 어렵다) 보이지 않게 되기 때문에, 2개의 상의 깊이 방향의 위치 관계가 딱 맞는지, 헐렁한지 등의 파악이 어렵고, 정확한 위치 결정이 곤란하였다. 전술한 방법에서는, 관찰 방향이 지정됨으로써, 그 시점 방향에 대응한 참고 화상이 작성되고, 그 참고 화상이 관찰 방향에 직교한 평면에 2차원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이와 같이, 3차원 화상인 머리 부분 화상과 2차원 화상인 참고 화상과의 중첩을 복수 방향에서 행하고 있기 때문에, 3차원 화상끼리를 중첩시킬 때에 생기는 문제가 해소되고, 입체적이고, 동시에, 정확한 위치 결정을 행할 수가 있다.
머리 부분 화상의 얼굴의 정면 방향의 설정에 의해, 대칭성 평가는 바뀌기 때문에, 그 방향의 설정이 치료 결과를 결정하는 중요 사항이다. 그 때문에, 정면 방향의 모든 정의에 대응할 수 있는 적확성과, 반복 재현할 수 있는 정확성이 중요해진다. 따라서, 환자 자신이 거울 앞에서 희망 정면 방향을 결정하고, 그 방향에서의 대칭성의 달성을 희망하는 경우, 그 방향에서 촬영된 3차원 카메라 사진을 촬영하고, 그 데이터를 위치결정 참고 화상 작성용의 참고 자료로서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머리 부분 화상을, 3차원 카메라 사진과 일치한 방향으로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정면, 측면, 상하면은, 그 방향의 화상이 화면에 평행한 평면에 표시되는 것은 물론이고, 참고 자료는 입체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것 이외의 시점 방향에서도 참고 화상을 작성할 수가 있다. 따라서, 관찰 방향이 결정되는 것에 따라서, 그 시점 방향의 2차원 얼굴 사진(참고 화상)을 작성하고, 관찰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 표시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CT 화상 등의 3차원 화상 촬영시에는, 어려운 환자 희망의 정면 방향을 다른 수단, 예를 들어, 환자 실체상에서 위치 결정된 3차원 자료를 기초로 위치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외에,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설계 변경을 시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제어부 2 : 표시기
3 : 키보드 4 : 마우스
5 : 기억 매체 11 : 머리 부분 화상
12 : 참고 화상 50 : 관찰 방향 변경용 조작부
60 : 표시 방향 변경용 조작부

Claims (6)

  1. 소정의 3차원 기준 좌표계를 따르는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의료용 3차원 화상을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수단과,
    상기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표시 방향의 조정에 참고가 되는 참고 화상을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화상의 관찰 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한 관찰 방향 변경 지령을 입력하기 위한 관찰 방향 변경 지령 입력 수단과,
    상기 관찰 방향 변경 지령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관찰 방향 변경 지령에 따라서, 상기 의료용 3차원 화상 및 상기 참고 화상을 포함하는 표시 화상 전체를 이동시키는 관찰 방향 변경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의료용 3차원 화상 및 상기 참고 화상 중에서, 상기 의료용 3차원 화상만을, 상기 3차원 기준 좌표계의 화상 기준축 중으로부터 지정된 제 1 화상 기준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시키기 위한 지령을 입력하기 위한 표시 방향 변경 지령 입력 수단과,
    상기 표시 방향 변경 지령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표시 방향 변경 지령에 따라서, 상기 의료용 3차원 화상만을 상기 제 1 화상 기준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시키는 표시 방향 변경 수단과,
    상기 표시 방향 변경 수단에 의한 상기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회전이동에 따라서, 상기 3차원 기준 좌표계의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를 수정하는 제 1 수정 수단을 포함하는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표시 방향 조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정 수단은, 상기 제 1 화상 기준축과, 상기 표시 방향 변경 수단에 의한 상기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회전이동의 방향 및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화상 기준축을 제외한 다른 2개의 화상 기준축을 수정하는 것인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표시 방향 조정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의료용 3차원 화상을, 상기 3차원 화상 기준축 중으로부터 지정된 제 2 화상 기준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평행이동시키기 위한 평행이동 지령을 입력하기 위한 평행이동 지령 입력 수단과,
    상기 평행이동 지령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평행이동 지령에 따라서,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의료용 3차원 화상을, 상기 제 2 화상 기준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평행이동시키는 평행이동 수단과,
    상기 평행이동 수단에 의한 평행이동에 따라서, 상기 3차원 기준 좌표계의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를 수정하는 제 2 수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표시 방향 조정 장치.
  4. 컴퓨터를, 소정의 3차원 기준 좌표계를 따르는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의료용 3차원 화상을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수단, 상기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표시 방향의 조정에 참고가 되는 참고 화상을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수단, 주어진 바의 관찰 방향 변경 지령에 따라서, 상기 의료용 3차원 화상 및 상기 참고 화상을 포함하는 표시 화상 전체를 이동시키는 관찰 방향 변경 수단, 주어진 바의 표시 방향 변경 지령에 따라서,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의료용 3차원 화상 및 상기 참고 화상 중에서, 상기 의료용 3차원 화상만을, 상기 3차원 기준 좌표계의 화상 기준축 중으로부터 지정된 제 1 화상 기준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시키는 표시 방향 변경 수단, 및 상기 표시 방향 변경 수단에 의한 상기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회전이동에 따라서, 상기 3차원 기준 좌표계의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를 수정하는 제 1 수정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표시 방향 조정 프로그램.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정 수단은, 상기 제 1 화상 기준축과, 상기 표시 방향 변경 수단에 의한 상기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회전이동의 방향 및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화상 기준축을 제외한 다른 2개의 화상 기준축을 수정하는 것인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표시 방향 조정 프로그램.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컴퓨터를, 주어진 바의 평행이동 지령에 따라서,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의료용 3차원 화상을, 상기 3차원 화상 기준축 중으로부터 지정된 제 2 화상 기준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평행이동시키는 평행이동 수단, 및 상기 평행이동 수단에 의한 평행이동에 따라서, 상기 3차원 기준 좌표계의 의료용 3차원 화상 데이터를 수정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는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표시 방향 조정 프로그램.
KR1020127013285A 2009-11-13 2010-11-08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표시 방향 조정 장치 및 조정 프로그램 KR201200939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60077 2009-11-13
JPJP-P-2009-260077 2009-11-13
JPJP-P-2009-268620 2009-11-26
JP2009268620 2009-11-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3977A true KR20120093977A (ko) 2012-08-23

Family

ID=43991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3285A KR20120093977A (ko) 2009-11-13 2010-11-08 의료용 3차원 화상의 표시 방향 조정 장치 및 조정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235993A1 (ko)
EP (1) EP2499972B1 (ko)
JP (1) JP5665761B2 (ko)
KR (1) KR20120093977A (ko)
CN (1) CN102665561A (ko)
WO (1) WO201105894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0400A1 (ko) * 2015-03-05 2016-09-09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3차원 생물학적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3234757A1 (ko) * 2022-06-03 2023-12-07 주식회사 링커버스 손톱 분석을 위해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1550B2 (en) 2010-12-27 2017-10-31 Joseph Ralph Ferrantelli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anatomical dimensions from a digital photograph on a mobile device
US9788759B2 (en) * 2010-12-27 2017-10-17 Joseph Ralph Ferrantelli Method and system for postural analysis and measuring anatomical dimensions from a digital three-dimensional image on a mobile device
CA2794898C (en) 2011-11-10 2019-10-29 Victor Yang Method of rendering and manipulating anatomical images on mobile computing device
US20140063220A1 (en) * 2012-08-29 2014-03-06 Ossur Hf Method and Device for Ordering a Custom Orthopedic Device
JP6369078B2 (ja) * 2014-03-20 2018-08-08 富士通株式会社 画像補正装置、画像補正方法及び画像補正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172860B2 (en) * 2014-05-06 2021-11-16 Peacs Investments B.V. Estimating distribution fluctuation and/or movement of electrical activity through a heart tissue
US10779743B2 (en) 2014-05-06 2020-09-22 Peacs B.V. Estimating distribution, fluctuation and/or movement of electrical activity through a heart tissue
US11289207B2 (en) 2015-07-09 2022-03-29 Peacs Investments B.V. System for visualizing heart activation
US11458320B2 (en) 2016-09-06 2022-10-04 Peacs Investments B.V. Method of cardiac resynchronization therapy
US11207040B2 (en) * 2016-12-22 2021-12-28 Trophy Dental imaging apparatus with improved patient positioning
US11314981B2 (en) 2017-05-17 2022-04-26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displaying assistance information for assisting in creation of a marker
US11017547B2 (en) 2018-05-09 2021-05-25 Posture Co., Inc. Method and system for postural analysis and measuring anatomical dimensions from a digital image using machine learning
US11610305B2 (en) 2019-10-17 2023-03-21 Postureco, Inc. Method and system for postural analysis and measuring anatomical dimensions from a radiographic image using machine learning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4371A (en) * 1993-11-29 1995-10-03 London Health Associ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structing and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s
JPH08131403A (ja) 1994-11-09 1996-05-28 Toshiba Medical Eng Co Ltd 医用画像処理装置
US6167296A (en) * 1996-06-28 2000-12-26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Method for volumetric image navigation
US6245017B1 (en) * 1998-10-30 2001-06-12 Kabushiki Kaisha Toshiba 3D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US6888546B1 (en) * 1999-06-30 2005-05-03 Han-Joon Kim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isplay method, program for display
US6563941B1 (en) * 1999-12-14 2003-05-13 Siemens Corporate Research, Inc. Model-based registration of cardiac CTA and MR acquisitions
US6599244B1 (en) * 1999-12-23 2003-07-29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Ultrasound system and method for direct manipulation interface
JP4603195B2 (ja) 2001-06-05 2010-12-22 イマグノーシス株式会社 医用三次元画像の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用プログラム
CN100350881C (zh) * 2001-10-31 2007-11-28 画像诊断株式会社 医用图像处理装置、方法以及处理程序
JP4282939B2 (ja) * 2002-03-19 2009-06-24 東芝医用システム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超音波診断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6991605B2 (en) * 2002-12-18 2006-01-31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Three-dimensional pictograms for use with medical images
JP4638330B2 (ja) 2005-11-10 2011-02-23 イマグノーシス株式会社 医用三次元画像の表示方向修正装置、修正方法および修正用プログラム
JP4732925B2 (ja) * 2006-03-09 2011-07-27 イマグノーシス株式会社 医用画像の表示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EP2074595A1 (en) * 2006-10-17 2009-07-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isualization of 3d images in combination with 2d projection images
US20100328304A1 (en) * 2006-12-14 2010-12-30 Imagnosis Inc. Display direction correcting device, correcting method, and correction program for medical 3d image
US8340375B2 (en) * 2007-02-02 2012-12-25 Kabushiki Kaisha Toshiba Medical diagnostic imaging apparatus, medical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WO2008120136A1 (en) * 2007-03-30 2008-10-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2d/3d image registration
US20080266326A1 (en) * 2007-04-25 2008-10-30 Ati Technologies Ulc Automatic image reorientation
US20080300477A1 (en) * 2007-05-30 2008-12-04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on of automated image registration
WO2009040681A2 (en) * 2007-09-04 2009-04-02 Lg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orientation of an image in a display device
JP2009294728A (ja) * 2008-06-02 2009-12-17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表示処理装置、表示処理方法、表示処理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0400A1 (ko) * 2015-03-05 2016-09-09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3차원 생물학적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3234757A1 (ko) * 2022-06-03 2023-12-07 주식회사 링커버스 손톱 분석을 위해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35993A1 (en) 2012-09-20
CN102665561A (zh) 2012-09-12
JP5665761B2 (ja) 2015-02-04
EP2499972A4 (en) 2015-07-01
WO2011058948A1 (ja) 2011-05-19
EP2499972A1 (en) 2012-09-19
EP2499972B1 (en) 2017-10-11
JPWO2011058948A1 (ja) 201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5761B2 (ja) 医用三次元画像の表示向き調整装置および調整プログラム
US11918292B2 (en) Orthopedic fixation control and manipulation
US11154379B2 (en) Method for implant surgery using augmented visualization
JP4607399B2 (ja) 三次元画像の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US7787586B2 (en) Display method of X-ray CT image of maxillofacial area, X-ray CT apparatus and X-ray image display apparatus
JP2011125568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US808601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08259822A (ja) 歯顎顔面のx線ct画像の表示方法、x線ct断層撮影装置、およびx線画像表示装置
JP2007151965A (ja) 医用画像処理装置、医用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医用画像処理方法
JP2017225835A (ja) 画像処理装置
JP4603195B2 (ja) 医用三次元画像の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用プログラム
JP4429709B2 (ja) X線断層撮影装置
JPH03231643A (ja) 画像表示装置
JP2022526540A (ja) 整形外科的固定制御及び可視化
JP2013169359A (ja) X線ct装置
EP3595527B1 (en) Computed tomography and positioning of a volume to be imaged
JPWO2019065700A1 (ja) 歯科用観察装置及び歯科用画像の表示方法
US11334997B2 (en) Hinge detection for orthopedic fixation
JP6373937B2 (ja) X線ct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KR20220087874A (ko) 의료영상 정합 방법 및 그 장치
JPH0542134A (ja) 3次元画像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