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7874A - 의료영상 정합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영상 정합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7874A
KR20220087874A KR1020200178325A KR20200178325A KR20220087874A KR 20220087874 A KR20220087874 A KR 20220087874A KR 1020200178325 A KR1020200178325 A KR 1020200178325A KR 20200178325 A KR20200178325 A KR 20200178325A KR 20220087874 A KR20220087874 A KR 20220087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ross
registration
image
referenc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옥
조상형
김종문
김진웅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8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7874A/ko
Publication of KR20220087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8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29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 A61B6/5247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combining images from an ionising-radiation diagnostic technique and a non-ionising radiation diagnostic technique, e.g. X-ray and ultra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Device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rised tomographs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4Applications or adaptations for dentistry
    • A61B6/5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electing the right implanting element, e.g. templat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1Computer-aided simulation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2Modelling of surgical devices, implants or prosth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8Computer aided selection or customisation of medical implants or cutting guides

Abstract

의료영상 정합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영상 정합 방법 및 그 장치는 두 영상 데이터 간 정합결과 화면을 제공할 때, 복수의 기준점을 이용하여 각 기준점을 중심으로 생성되는 복수 개의 단면영상을 통해 정합된 데이터의 정합결과를 제공함에 따라, 정합결과의 정확도 및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영상 정합 방법 및 그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superimposition of medical images}
본 발명은 의료영상 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 의료영상을 정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비전에서 하나의 장면이나 대상을 다른 시간이나 관점에서 촬영할 경우, 서로 다른 좌표계에 따른 영상이 얻어지게 된다. 영상 정합은 이와 같은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영상을 동일한 좌표계에 표시하기 위한 과정을 의미한다. 영상 정합을 통하여 서로 다른 방식으로 획득한 영상의 대응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영상 정합의 예로, 환자의 CT 데이터와 스캔 데이터를 정합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과정에서, 환자의 CT 데이터는 픽스쳐를 포함한 임플란트 구조물의 식립 위치를 결정하여 수술 계획을 수립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스캔 데이터는 가상 크라운의 위치 결정 및 가이드의 생성 영역을 결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가이드 형상을 디자인하는 과정에서 스캔 데이터 상에 생성되는 드릴링 홀(Drilling Hole)은 픽스쳐의 위치를 기준으로 홀의 위치와 방향이 결정된다. 따라서, CT 데이터와 스캔 데이터를 정합하여 두 데이터의 좌표 정보를 동일하게 맞추고, 가이드 수술 계획 수립과 디자인을 진행한다. CT 데이터와 스캔 데이터의 정합결과는 출력된 가이드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정합 오차가 발생하면 실제 수술결과가 수술계획과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두 영상 데이터 간 정합결과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정합결과 확인 또는 정합 미세조정을 위한 사용자 조작을 최소화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의료영상 정합 방법 및 그 장치를 제안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영상 정합 방법은, 정합 대상이 되는 제1 영상 데이터 및 제2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두 영상 데이터를 정합하는 단계와, 두 영상 데이터를 대상으로 복수의 동일한 기준점을 설정하는 단계와, 설정된 각 기준점을 중심으로 생성된 복수의 단면영상을 통해 정합된 데이터의 정합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동일한 기준점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각 치아를 분할한 정보를 이용하여 분할된 치아의 중심축의 소정의 지점을 기준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정합결과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각 기준점 별로 악궁라인에 수직한 MA(Mesio-Distal Axis) 단면영상과, MA 단면영상과 수직인 BA(Bucco-Lingual Axis) 단면영상과, 악궁라인이 생성된 단면을 기준으로 적층된 AA(Arch Axis) 단면영상을 각각 정합결과로 표시할 수 있다.
정합결과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전치부의 제1-1 기준점을 중심으로 정합 데이터의 MA, BA, AA 단면영상을 표시하고, 우측 구치부의 제1-2 기준점을 중심으로 정합 데이터의 MA, BA, AA 단면영상을 표시하며, 좌측 구치부의 제1-3 기준점을 중심으로 정합 데이터의 MA, BA, AA 단면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정합결과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우측 전치부의 제2-1 기준점을 중심으로 정합 데이터의 MA, BA, AA 단면영상을 표시하고, 좌측 전치부의 제2-2 기준점을 중심으로 정합 데이터의 MA, BA, AA 단면영상을 각각 표시하고, 우측 구치부의 제2-3 기준점을 중심으로 정합 데이터의 MA, BA, AA 단면영상을 표시하며, 좌측 구치부의 제2-4 기준점을 중심으로 정합 데이터의 MA, BA, AA 단면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정합결과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두 영상 데이터의 각 기준점의 좌표정보와, 각 기준점 별 두 영상 데이터 간 3D 직선상 최단거리를 단면영상들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정합결과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 값에 따라 각 기준점의 3D 직선상 최단거리를 식별 가능한 시각정보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의료영상 정합 방법은, 악궁라인을 따라 생성된 MA, BA, AA 단면영상 별로 단면영상들을 라이트 박스 형태로 표현함에 따라, 라이트 박스를 통해 단일 화면에 전체영역의 단면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의료영상 정합 방법은, 정합결과에 대하여 사용자 조작신호 입력에 의한 미세조정을 통해 두 데이터를 재정합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재정합 하는 단계에서, 사용자 조작신호에 의해 정합 포인트를 다시 입력 또는 수정하는 방식과, 정합 데이터에서 스캔 데이터를 조정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재정합 할 수 있다.
정합 데이터에서 스캔 데이터를 조정하는 방식은, 소정의 기준점을 중심으로 생성한 복수의 단면영상 또는 이들을 확대 처리한 단면영상을 대상으로 매니퓰레이터를 이용하여 스캔 데이터를 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재정합 하는 단계에서, 재정합 시 각 기준점의 3D 직선상 최단거리가 미리 설정된 허용 가능한 정합오차를 벗어나면 식별 가능한 시각정보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료영상 처리장치는, 정합 대상이 되는 제1 영상 데이터 및 제2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와, 획득된 두 영상 데이터를 정합하고, 두 영상 데이터를 대상으로 복수의 동일한 기준점을 중심으로 복수의 단면영상을 생성하는 제어부와, 생성된 복수의 단면영상을 통해 정합된 데이터의 정합결과를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각 기준점 별로 악궁라인에 수직한 MA 단면영상과, MA 단면영상과 수직인 BA 단면영상과, 악궁라인이 생성된 단면을 기준으로 적층된 AA 단면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출력부는, 두 영상 데이터의 각 기준점의 좌표정보와, 각 기준점 별 두 영상 데이터 간 3D 직선상 최단거리를 단면영상들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정합결과에 대하여 사용자 조작신호 입력에 의한 미세조정을 통해 두 데이터를 재정합 할 수 있고, 미세조정을 통한 데이터 재정합은, 사용자 조작신호에 의해 정합 포인트를 다시 입력 또는 수정하는 방식과, 정합 데이터에서 스캔 데이터를 조정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영상 정합 방법 및 그 장치에 따르면, 두 영상 데이터 간 정합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을 이용한 자동 방식 또는 사용자가 정합 포인트를 입력하는 수동 방식으로 정합된 데이터 정합 결과를, 3D 영상에서 제공하는 기본 컬러 맵 정보와 복수의 2D 단면영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두 영상 데이터의 정합결과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때, 정합결과 확인을 위한 2D 단면영상을 복수의 기준점을 이용하여 복수 개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영상 데이터의 정합결과 확인을 위한 화면을 Axial(AA), Cross(MA), Parallel(BA) 단면영상으로 제공하고, 기준점을 3 포인트 또는 4 포인트 이상으로 사용함에 따라, 사용자가 정합결과를 다방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하나의 단면영상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 개의 기준점을 이용하여 각 기준점 별로 복수 개의 단면영상을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가 정합 데이터의 전체영역에 대한 정합결과를 확인하기에 용이하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영역 확인을 위해 사용자가 마우스 조작 등을 통하여 영상 슬라이스를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도 해결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정합 미세조정을 위한 조작을 편리하게 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차가 발생한 영역에 대한 수치 및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추가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이를 확인해 가면서 미세조정 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허용 가능한 정합오차를 벗어난 경우에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식별 가능한 시각정보로 구분하여 제공함에 따라, 오차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가 미세조정 할 수 있어서 정합결과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영상 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영상 정합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초기 획득한 CT 데이터 및 스캔 데이터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T 데이터의 좌표 축을 기준으로 두 데이터를 정합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정합을 위한 정합 포인트 입력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캔 데이터를 기준으로 두 데이터를 정합한 결과를 확인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합결과를 컬러 맵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악궁라인을 기준으로 생성하는 2D 단면영상들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개의 기준점을 중심으로 생성된 정합 데이터의 2D 단면영상들을 정합결과 확인화면으로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4개의 기준점을 중심으로 생성된 정합 데이터의 2D 단면영상들을 정합결과 확인화면으로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4개의 기준점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A 단면영상을 라이트 박스(Light box) 형태로 표시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정합 미세조정을 위한 매니퓰레이터를 제공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2D 단면영상에서 단면영상을 확대한 후 미세조정을 수행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합 포인트의 최단거리가 미리 설정된 허용 가능한 정합오차를 벗어난 경우 기준점을 식별 가능한 시각정보로 구분하여 표현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영상 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의료영상 처리장치(1)는 의료영상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 가능한 전자장치이다. 전자장치는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PC, 스마트폰, 휴대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이 있다. 의료영상 처리 프로그램은 가이드 디자인 프로그램, 스캔 프로그램, CAD 프로그램 등이 있다. 또한,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이외에 다른 일반적인 의료영상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프로그램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자 하나, 영상처리가 가능하면 다른 프로그램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의료영상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한 영상처리 과정은 상용화된 제품별로 차이는 있지만, 수술 환자 등록, 등록된 환자의 CT 데이터 및 스캔 데이터 획득, CT 데이터 및 스캔 데이터의 정합, 정합된 영상 데이터에서 악궁 라인 생성 및 악궁 라인을 이용한 파노라믹 영상(Panoramic image) 생성, CT 데이터에서 픽스쳐를 포함한 임플란트 구조물의 식립 위치 결정, 스캔 데이터에서 크라운 모델의 위치 결정 및 가이드 생성 영역 결정, 최종 가이드 출력을 포함한 과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위 과정 중에서 CT 데이터와 스캔 데이터 정합 과정에 관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환자의 CT 데이터는 픽스쳐를 포함한 임플란트 구조물의 식립 위치를 결정하여 수술 계획을 수립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스캔 데이터는 크라운의 위치 결정 및 가이드의 생성영역을 결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가이드 형상을 디자인하는 과정에서 스캔 데이터 상에 생성되는 드릴링 홀은 픽스쳐의 위치를 기준으로 홀의 위치와 방향이 결정되기 때문에, CT 데이터와 스캔 데이터를 정합하여 두 데이터의 좌표정보를 동일하게 맞추고 가이드 수술계획 수립과 디자인을 진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CT 데이터와 스캔 데이터의 정합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두 영상 데이터를 정합하는 다른 기술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캔 데이터-스캔 데이터, 자기공명영상(MRI) 데이터-CT 데이터 등과 같이 2D-2D 영상, 2D-3D 영상, 3D-3D 영상의 다양한 조합에 대해서도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정합 방법에 의해서 정합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영상 처리장치(1)는 데이터 획득부(10), 저장부(12), 제어부(14), 입력부(16) 및 출력부(18)를 포함한다.
데이터 획득부(10)는 정합 대상이 되는 두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환자의 손상된 대상 치아를 포함하는 치아들로부터 CT 데이터와 스캔 데이터를 획득한다. 영상 데이터는 2D, 3D 형태일 수 있다. 데이터 획득부(10)는 환자의 CT 데이터와 스캔 데이터를 정합하기 위해 CT 데이터와 스캔 데이터를 소프트웨어에서 실행하거나 웹 페이지 및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로딩한다.
스캔 데이터는 손상된 치아를 포함한 실제 치아들의 정보를 가진 데이터이다. 스캔 데이터는 환자의 구강을 본떠 생성한 석고 모형을 3D 스캐너(3D Scanner)로 스캐닝하여 획득하는 치아 모델 스캔 데이터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구강 내 3D 스캐너(3D Intra-oral scanner)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 내부를 스캐닝하여 획득하는 구강 스캔 데이터일 수 있다. 획득된 스캔 데이터는 저장부(12)에 저장될 수 있다.
CT 데이터는 CT(Computed Tomography, 컴퓨터 단층 촬영)를 사용하여 환자의 두부 단층 이미지들을 생성하고, 각각의 단층 이미지에서 치아 부분의 경계를 분할(Segmentation)한 후 하나로 취합함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이러한 스캔 데이터와 CT 데이터는 환자가 입을 벌린 상태에서 상악 치아 아래에서 상악 치아를 촬영하여 얻은 영상, 입을 벌린 상태에서 하악 치아 위에서 하악 치아를 촬영하여 얻은 영상, 입을 다문 상태에서 국소부위를 촬영하여 얻은 영상, 구강 방사선 사진 등을 포함한다. 획득된 CT 데이터는 저장부(12)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12)에는 의료영상 처리장치(1)의 동작 수행을 위해 필요한 정보와 동작 수행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 등의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12)에는 개별 환자의 스캔 데이터와 CT 데이터가 저장되고, 치과 치료 시뮬레이션 시 전체 스캔 데이터들 및 CT 데이터들 중에서 특정 환자의 스캔 데이터 및 CT 데이터를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어부(14)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2)에는 개별 환자의 상측 치열의 영상 및 하측 치열의 영상이 저장되어 있고, 특정 환자의 스캔 데이터 및 CT 데이터에 매칭되는 상측 치열의 영상 및 하측 치열의 영상을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어부(14)에 제공할 수 있다.
입력부(16)는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는다. 예를 들어, 입력부(16)는 정합 또는 재정합을 위한 정합 포인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정합 결과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매니퓰레이터를 통한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어부(14)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한 제어를 통하여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제어부(14)는 출력부(18)를 통해 화면에 보이는 화면정보를 관리하고, 치과 영상에 가상의 픽스쳐 객체를 식립하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가상의 픽스쳐 객체가 식립되는 치과 영상은 임플란트 시술 계획 수립을 위해 생성된 환자의 치아 배열이 나타난 2D, 3D 등의 다차원 영상을 의미한다. 임플란트 시술 계획에는 X-ray, CT, MRI, 파노라믹 영상, 구강 스캔 영상, 재구성을 통해 생성된 영상, 복수의 영상을 정합한 영상 등 다양한 종류의 영상이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는 두 영상 데이터, 예를 들어, 임플란트 식립 계획 수립을 위해 환자의 CT 데이터 및 스캔 데이터를 정합한다. 그리고 두 영상 데이터를 대상으로 복수의 동일한 기준점을 중심으로 복수의 단면영상을 생성한다. 기준점은 사용자 조작을 통해 설정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서 자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기준점은 복수 개로서, 예를 들어, 3개 또는 4개의 기준점 또는 그 이상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각 기준점 별로 정합 데이터의 MA(Mesio-Distal Axis) 단면영상과, MA 단면영상과 수직인 BA(Bucco-Lingual Axis) 단면영상과, 악궁라인이 생성된 단면을 기준으로 적층된 AA(Arch Axis) 단면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두 영상 데이터의 정합결과 확인을 위한 화면을 Axial(AA), Cross(MA), Parallel(BA) 단면영상으로 제공하고, 기준점을 3 포인트 또는 4 포인트 이상으로 사용함에 따라, 사용자가 정합결과를 다방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하나의 단면영상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 개의 기준점을 이용하여 각 기준점 별로 복수 개의 단면영상을 제공함에 따라 정합 데이터의 전체영역에 대한 정합결과를 확인하기에 용이하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영역 확인을 위해 사용자가 마우스 조작 등을 통하여 영상 슬라이스를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도 해결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정합결과에 대하여, 입력부(16)로부터 사용자 조작신호를 수신하여 미세조정을 통해 두 데이터를 재정합 할 수 있다. 미세조정을 통한 데이터 재정합은, 정합 포인트를 사용자가 다시 입력 또는 수정하는 방식과, 정합 데이터에서 스캔 데이터를 조정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8)는 화면에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출력부(18)는 생성된 복수의 단면영상을 통해 정합된 데이터의 데이터 정합결과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두 영상 데이터의 각 기준점의 좌표정보와, 각 기준점 별 두 영상 데이터 간 3D 직선상 최단거리를 단면영상들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출력부(18)는 재정합 시 정합 데이터에서 스캔 데이터를 조정하는 방식의 경우, 사용자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매니퓰레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출력부(18)는 재정합 시 각 기준점의 3D 직선상 최단거리가 미리 설정된 허용 가능한 정합오차를 벗어나면 식별 가능한 시각정보로 구분하여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영상 정합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의료영상 처리장치는 정합 대상이 되는 제1 영상 데이터 및 제2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S21).
이어서, 의료영상 처리장치는 획득된 두 영상 데이터를 정합한다(S22). 두 영상 데이터 간 정합은 사용자의 정합 포인트 지정을 통한 수동 정합 방식과,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이용한 자동 정합 방식과, 또는 이들을 혼합한 방식 등이 있다.
이어서, 의료영상 처리장치는 두 영상 데이터를 대상으로 복수의 동일한 기준점을 설정한다(S23). 예를 들어, 각 치아를 분할(Segmentation)한 정보를 이용하여 분할된 치아의 중심축의 소정의 지점(예를 들어, 최하방점 또는 최상방점)을 기준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의료영상 처리장치는 설정된 각 기준점을 중심으로 생성되는 복수의 단면영상을 통해 정합 데이터의 정합결과를 표시한다(S24).
정합결과 표시 단계(S24)에서, 의료영상 처리장치는 각 기준점 별로 악궁라인에 수직한 MA 단면영상과, MA 단면영상과 수직인 BA 단면영상과, 악궁라인이 생성된 단면을 기준으로 적층된 AA 단면영상을 각각 정합결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치부의 제1-1 기준점을 중심으로 정합 데이터의 MA, BA, AA 단면영상을 표시하고, 우측 구치부의 제1-2 기준점을 중심으로 정합 데이터의 MA, BA, AA 단면영상을 표시하며, 좌측 구치부의 제1-3 기준점을 중심으로 정합 데이터의 MA, BA, AA 단면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우측 전치부의 제2-1 기준점을 중심으로 정합 데이터의 MA, BA, AA 단면영상을 표시하고, 좌측 전치부의 제2-2 기준점을 중심으로 정합 데이터의 MA, BA, AA 단면영상을 각각 표시하고, 우측 구치부의 제2-3 기준점을 중심으로 정합 데이터의 MA, BA, AA 단면영상을 표시하며, 좌측 구치부의 제2-4 기준점을 중심으로 정합 데이터의 MA, BA, AA 단면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의료영상 처리장치는 3개의 기준점을 중심으로 정합 데이터의 MA, BA, AA 단면영상을 표시하는 화면을 기본 화면으로 제공하고, 4개의 기준점을 중심으로 정합 데이터의 MA, BA, AA 단면영상을 표시하는 화면을 추가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정합결과 표시 단계(S24)에서, 의료영상 처리장치는 두 영상 데이터의 각 기준점의 좌표정보와, 각 기준점 별 두 영상 데이터 간 3D 직선상 최단거리를 단면영상들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기준 값에 따라 각 기준점의 3D 직선상 최단거리를 식별 가능한 시각정보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의료영상 처리장치는 악궁라인을 따라 생성된 MA, BA, AA 단면영상 별로 단면영상들을 라이트 박스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라이트 박스를 통해 단일 화면에 전체영역의 단면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의료영상 처리장치는 정합결과에 대하여 사용자 조작신호 입력에 의한 미세조정을 통해 두 데이터를 재정합 할 수 있다(S25). 재정합 하는 단계(S25)에서, 정합 포인트를 사용자가 다시 입력 또는 수정하는 방식과, 정합 데이터에서 스캔 데이터를 조정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재정합 할 수 있다.
정합 데이터에서의 스캔 데이터 조정방식에 따르면, 소정의 기준점을 중심으로 생성한 복수의 단면영상 또는 이를 확대한 단면영상을 대상으로 매니퓰레이터를 이용하여 스캔 데이터를 조정할 수 있다.
재정합 하는 단계(S25)에서, 의료영상 처리장치는 각 기준점의 3D 직선상 최단거리가 미리 설정된 허용 가능한 정합오차를 벗어나면 식별 가능한 시각정보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초기 획득한 CT 데이터 및 스캔 데이터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는 CT 데이터(31)의 초기 획득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스캔 데이터(32)의 초기 획득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c)는 CT 데이터 및 스캔 데이터의 초기 획득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환자의 CT 데이터와 스캔 데이터를 초기에 획득했을 때,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데이터의 좌표정보가 불일치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T 데이터의 좌표 축을 기준으로 두 데이터를 정합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의료영상 처리장치는 수술 계획 수립을 위한 환자의 CT 데이터(31)와 스캔 데이터(32)를 소프트웨어 상에서 정합한다. 예를 들어, CT 데이터(31)와 스캔 데이터(32)를 정합하기 위하여 좌표정보를 가지고 있는 CT 데이터(31)를 기준 축으로 스캔 데이터(32)의 위치와 방향을 이동함에 따라 CT 데이터(31)의 좌표와 일치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CT 데이터(31)를 기준좌표로 활용하지만, 스캔 데이터(32)를 기준으로 CT 데이터(31)의 좌표축을 변경하여 스캔 데이터(32)의 좌표와 일치시킬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정합을 위한 정합 포인트 입력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의료영상 처리장치는 CT 데이터(31)와 스캔 데이터(32)를 정합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각 데이터(31, 32)에 3개 이상의 정합 포인트를 입력 받아, 입력된 정합 포인트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정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데이터(31, 32)의 정면과 양 측면의 정합 포인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5에서는 정면 방향의 정합 포인트(310, 320)를 도시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정합 포인트 입력 없이, 동일 형상을 가지는 영역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방식으로 자동정합도 가능하다.
이후, 정합결과 미세조정을 통한 재정합 시 정합 포인트를 다시 입력하거나 수정하는 방식으로 재정합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캔 데이터를 기준으로 두 데이터를 정합한 결과를 확인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의료영상 처리장치는 사용자의 수동방식 또는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이용한 자동방식을 통해 두 데이터 간을 정합하고, 정합 결과를 화면을 통해 제공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정합이 완료되면, 도 4를 참조로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CT 데이터(31)와 스캔 데이터(32)의 정합결과를 3D 영상을 통해 하나의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합결과를 컬러 맵으로 확인이 용이하도록 스캔 데이터(32) 중심의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컬러 맵의 예는 도 7을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합결과를 컬러 맵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의료영상 처리장치는 정합결과를 컬러 맵을 통해 영역별로 구분된 색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합 결과가 좋은 영역을 녹색으로 표현하여 정합결과를 보여줄 수 있다.  도 7의 컬러 맵과 같이, CT 데이터와 스캔 데이터의 중첩영역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1.0 mm) 이내에 대한 정보를 색상으로 표현하며, 미리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0.25 mm) 이내의 영역에 대해서는 허용 가능한 정합 오차를 의미하는 색상(예를 들어, 녹색)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때 빨간색 및 파란색 영역은 CT 데이터를 기준 축으로 하였을 때 스캔 데이터가 CT 데이터의 안쪽영역으로 위치하였는지 또는 바깥쪽 영역으로 위치하였는지를 0mm 기준으로 분류하여 색상으로 표현된 것이고, 안쪽 및 바깥쪽에 관계없이 0.25 mm 이내인 영역은 녹색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7의 컬러 맵의 색상 및 영역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로 표현하였으며, 사용자 설정을 통하여 변경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악궁라인을 기준으로 생성하는 2D 단면영상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세부적으로, 도 8의 (a)는 단면영상 생성의 기준이 되는 악궁라인(80)이 표시되는 영상들을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악궁라인(80)을 기준으로 생성된 Cross 단면영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c)는 악궁라인(80)을 기준으로 생성된 Parallel 단면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며, (d)는 악궁라인(80)을 기준으로 생성된 Axial 단면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의료영상 처리장치는 정합결과 확인을 위해 악궁라인(80)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2D 단면영상을 생성한다. 악궁라인(80)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도 8의 (a) 화면에서, 도면부호 82는 악궁라인(80)이 생성되는 잇몸평면 단면 위치를 표시한 것이고, 도면부호 84는 잇몸평면 단면영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궁라인(80)을 기준으로 하여 선택된 영역의 Cross 단면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Cross 단면영상은 악궁라인(80)에 수직인 단면영상이다.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영역의 Parallel 단면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Parallel 단면영상은 Cross 단면에 수직인 단면영상이다. 또한, 도 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영역의 Axial 단면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Axial 단면영상은 악궁라인(80)이 생성된 단면을 기준으로 적층된 단면영상이다. 이때, 단면은 잇몸평면 단면(82)일 수 있다. 각 단면영상의 명칭은 도면 상에 MA(Mesio-Distal Axis), BA(Bucco-Lingual Axis), AA(Arch Axis)로 표현하였으며, MA 단면(86)은 Cross 단면과, BA 단면(88)은 Parallel 단면과, AA 단면은 Axial 단면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개의 기준점을 중심으로 생성된 정합 데이터의 2D 단면영상들을 정합결과 확인화면으로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의료영상 처리장치는 도 8을 참조로 하여 전술한 2D 단면영상들을 이용하여 정합결과 확인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면(Anterior) 방향의 제1-1 기준점을 중심으로 정합 데이터의 MA, BA, AA 단면영상(90)과, 우측(Right) 방향의 제1-2 기준점을 중심으로 정합 데이터의 MA, BA, AA 단면영상(92)과, 좌측(Left) 방향의 제1-3 기준점을 중심으로 정합 데이터의 MA, BA, AA 단면영상(94)을 각각 제공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로 하여 전술한 스캔 데이터에 표현된 단면과 같이, 정면(Anterior)은 전치부의 우측 1번 치아, 우측(Right)은 우측 구치부의 6번 치아, 좌측(Left)은 좌측 구치부의 6번 치아를 기준으로 단면을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소프트웨어상에서 각 치아를 분할(Segmentation)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치아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치아를 정의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합결과 확인을 위한 2D 단면영상의 배경(Background) 영상은 CT 데이터(96)로 하고, 스캔 데이터는 식별 가능한 색상(예를 들어, 노란색)의 라인(98)의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3D 영상에서 컬러 맵이 표현되는 라인 영역은 컬러 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4개의 기준점을 중심으로 생성된 정합 데이터의 2D 단면영상들을 정합결과 확인화면으로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4개의 기준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의료영상 처리장치는 4개의 기준점(111, 112, 113, 114)을 기준으로 정합결과 확인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캔 데이터에서 분할된 우측 구치부의 6번 치아(111), 우측 전치부의 3번 치아(112), 좌측 전치부의 3번 치아(113) 및 좌측 구치부의 6번 치아(114)의 중심축의 소정의 지점(예를 들어, 최하방점)을 각각 기준점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영상 데이터의 각 기준점의 X, Y, Z 좌표정보(102)와 각 기준점 별로 두 영상 데이터 간 3D 직선상 최단거리(100)를 표시할 수 있다. 3D 직선상 최단거리(100)는 미리 설정된 기준 값에 따라 식별 가능한 시각정보(예를 들어, 색상)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0.25 mm 이내의 경우 녹색으로 표현하고, 0.25 mm 이상인 경우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다른 색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때, 시각정보는 색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형태, 크기, 굵기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은 조정 가능하다.
의료영상 처리장치는 도 9를 참조로 하여 전술한 3개의 기준점 중심의 MA, BA, AA 단면영상을 기본화면으로 표시하고, 도 10을 참조로 하여 전술한 4개의 기준점 중심의 MA, BA, AA 단면영상을 추가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A 단면영상을 라이트 박스(Light box) 형태로 표시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의료영상 처리장치는 MA, BA, AA 단면영상 중에서, 선택된 단면영상을 라이트 박스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도 12에서는 MA 단면을 예로 도시하고 있다. 라이트 박스 형태의 단면영상은 악궁라인을 기준으로 생성된 전체 MA 단면을 표현하고 있다. 라이트 박스를 통해 단일 화면에 전체영역의 단면영상을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가 2D 단면영상에서 하나의 단면에 마우스 휠 또는 다른 방식의 매니퓰레이터(Manipulator) 등을 이용하여 이미지 슬라이스를 확인하지 않고도, 단일 화면 내에서 전체영역의 단면영상을 통해 정합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정합 미세조정을 위한 매니퓰레이터를 제공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세부적으로 도 13의 (a)는 데이터 정합 미세조정을 위한 매니퓰레이터(130)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2D 단면영상에 매니퓰레이터를 적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의료영상 처리장치는 정합결과에 대하여 사용자 조작을 통해 미세조정을 수행하여 CT 데이터와 스캔 데이터를 재정합 할 수 있다. 정합 결과 미세조정 방식은, 정합 포인트를 사용자가 다시 입력 또는 수정하는 방식과, 2D 단면영상에서 스캔 데이터를 조정하는 방식 등이 있다. 오차 영역이 큰 경우는 정합 포인트 재입력 또는 수정 방식을, 오차 영역이 작은 경우는 2D 단면영상 상에서 스캔 데이터를 조정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정합 포인트 재입력 또는 수정을 통한 재정합 방식은, 도 5를 참조로 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사용자가 정합 포인트를 다시 입력하거나, 이미 입력된 정합 포인트의 위치를 이동시킨 후 재정합 하는 방식이다.
2D 단면영상에서의 스캔 데이터 조정을 통한 재정합 방식은, 단면영상의 스캔 데이터 라인을 사용자가 이동하거나 회전하여 영상의 배경이 되는 CT 데이터와 맞추는 방식이다. 스캔 데이터 미세조정은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니퓰레이터(130)를 이용하여 위치 및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매니퓰레이터(130)는 위치 이동 조정자(1301)와 방향 회전 조정자(1302)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이동(Location: L) 및 방향 회전(Angle: A)은 사용자 설정을 통하여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위치이동 버튼 클릭 시 0.1mm 이동하고, 각도회전 버튼 클릭 시 1degree 회전하도록 정의한다.
도 13의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로 표현하였으며, 위치 이동 및 방향회전 버튼을 포함한 매니퓰레이터를 사용할 수 있고, 드래그 앤 드롭 방식 및 클릭 방식 등을 이용한 위치 및 방향 조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정합 라인의 한 포인트와 CT 데이터의 한 포인트를 클릭하여 라인과 CT 데이터를 맞추는 등의 방식으로 위치 및 방향 조정이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2D 단면영상에서 단면영상을 확대한 후 미세조정을 수행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세부적으로 도 14의 (a)는 3개의 기준점 중심의 2D 단면영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b)는 미세조정을 위해 정면(Anterior) 방향의 단면영상을 확대한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2D 단면영상에서의 미세조정은 도 8을 참조로 하여 전술한 2D 단면영상 화면(a)을 대상으로 소정의 영상을 선택하여 정면(Anterior), 우측(Right), 좌측(Left)에서 각각 제공하는 단면영상을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화면으로 확대한 후 매니퓰레이터를 이용하여 미세조정이 가능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합 포인트의 최단거리가 미리 설정된 허용 가능한 정합오차를 벗어난 경우 기준점을 식별 가능한 시각정보로 구분하여 표현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4개의 기준점을 중심으로 생성한 2D 단면영상에서의 미세조정의 경우, 3개의 기준점의 예와 동일한 매니퓰레이터를 이용하여 위치 및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이때, 각 기준점의 최단거리가 미리 설정된 허용 가능한 정합오차(예를 들어, 0.25mm)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하는 기준점의 최단거리(150)를 식별 가능한 시각정보(예를 들어, 색상)로 구분하여 표현함에 따라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미세조정을 하여 스캔 데이터의 좌표정보가 변경되면, X, Y, Z축의 좌표정보가 실시간으로 변경되며, 이에 따른 최단거리 정보도 실시간으로 변경하여 표현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정합 대상이 되는 제1 영상 데이터 및 제2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두 영상 데이터를 정합하는 단계;
    두 영상 데이터를 대상으로 복수의 동일한 기준점을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각 기준점을 중심으로 생성되는 복수의 단면영상을 통해 정합된 데이터의 정합결과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 정합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동일한 기준점을 설정하는 단계는
    각 치아를 분할한 정보를 이용하여 분할된 치아의 중심축의 소정의 지점을 기준점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 정합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정합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는
    각 기준점 별로 악궁라인에 수직한 MA(Mesio-Distal Axis) 단면영상과, MA 단면영상과 수직인 BA(Bucco-Lingual Axis) 단면영상과, 악궁라인이 생성된 단면을 기준으로 적층된 AA(Arch Axis) 단면영상을 각각 정합결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 정합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정합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는
    전치부의 제1-1 기준점을 중심으로 정합 데이터의 MA, BA, AA 단면영상을 표시하고, 우측 구치부의 제1-2 기준점을 중심으로 정합 데이터의 MA, BA, AA 단면영상을 표시하며, 좌측 구치부의 제1-3 기준점을 중심으로 정합 데이터의 MA, BA, AA 단면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 정합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정합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는
    우측 전치부의 제2-1 기준점을 중심으로 정합 데이터의 MA, BA, AA 단면영상을 표시하고, 좌측 전치부의 제2-2 기준점을 중심으로 정합 데이터의 MA, BA, AA 단면영상을 각각 표시하고, 우측 구치부의 제2-3 기준점을 중심으로 정합 데이터의 MA, BA, AA 단면영상을 표시하며, 좌측 구치부의 제2-4 기준점을 중심으로 정합 데이터의 MA, BA, AA 단면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 정합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정합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는
    두 영상 데이터의 각 기준점의 좌표정보와, 각 기준점 별 두 영상 데이터 간 3D 직선상 최단거리를 단면영상들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 정합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정합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기준 값에 따라 각 기준점의 3D 직선상 최단거리를 식별 가능한 시각정보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 정합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의료영상 정합 방법은
    악궁라인을 따라 생성된 MA, BA, AA 단면영상 별로 단면영상들을 라이트 박스 형태로 표현함에 따라, 라이트 박스를 통해 단일 화면에 전체영역의 단면영상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 정합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의료영상 정합 방법은
    정합결과에 대하여 사용자 조작신호 입력에 의한 미세조정을 통해 두 데이터를 재정합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재정합 하는 단계는, 사용자 조작신호에 의해 정합 포인트를 다시 입력 또는 수정하는 방식과, 정합 데이터에서 스캔 데이터를 조정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재정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 정합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정합 데이터에서 스캔 데이터를 조정하는 방식은
    소정의 기준점을 중심으로 생성한 복수의 단면영상 또는 이들을 확대 처리한 단면영상을 대상으로 매니퓰레이터를 이용하여 스캔 데이터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 정합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재정합 하는 단계는
    재정합 시 각 기준점의 3D 직선상 최단거리가 미리 설정된 허용 가능한 정합오차를 벗어나면 식별 가능한 시각정보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 정합 방법.
  12. 정합 대상이 되는 제1 영상 데이터 및 제2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획득된 두 영상 데이터를 정합하고, 두 영상 데이터를 대상으로 복수의 동일한 기준점을 중심으로 복수의 단면영상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생성된 복수의 단면영상을 통해 정합된 데이터의 정합결과를 표시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 처리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각 기준점 별로 악궁라인에 수직한 MA 단면영상과, MA 단면영상과 수직인 BA 단면영상과, 악궁라인이 생성된 단면을 기준으로 적층된 AA 단면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 처리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출력부는
    두 영상 데이터의 각 기준점의 좌표정보와, 각 기준점 별 두 영상 데이터 간 3D 직선상 최단거리를 단면영상들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 처리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정합결과에 대하여 사용자 조작신호 입력에 의한 미세조정을 통해 두 데이터를 재정합 하고,
    미세조정을 통한 데이터 재정합은 사용자 조작신호에 의해 정합 포인트를 다시 입력 또는 수정하는 방식과, 정합 데이터에서 스캔 데이터를 조정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 처리장치.
KR1020200178325A 2020-12-18 2020-12-18 의료영상 정합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0878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325A KR20220087874A (ko) 2020-12-18 2020-12-18 의료영상 정합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325A KR20220087874A (ko) 2020-12-18 2020-12-18 의료영상 정합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874A true KR20220087874A (ko) 2022-06-27

Family

ID=82247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325A KR20220087874A (ko) 2020-12-18 2020-12-18 의료영상 정합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787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4435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플래닝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JP2019103831A (ja) 口腔内画像の選択及びロック
EP3524139B1 (en) Mobile apparatus-linked implant evaluation system
KR102314890B1 (ko) 의료영상 정합 방법 및 그 장치
JP6313024B2 (ja) スカウト画像内でローカライザを自動的に決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2236359B1 (ko) 파노라믹 영상을 이용한 치아번호 선택방법 및 이를 위한 의료영상 처리장치
KR102248604B1 (ko) 최적화된 어버트먼트 및 보철물 수복 유형 설계를 위한 임플란트 식립 설계장치 및 그 방법
KR102314891B1 (ko)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제공 방법
KR102138919B1 (ko) 보철물 파라미터 조정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보철 캐드 장치
KR102239358B1 (ko) 임플란트 중심선을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 계획 수립 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KR20220126665A (ko) 안면 이미지 매칭 기반의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2346199B1 (ko) 파노라믹 영상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영상 처리장치
KR102350098B1 (ko) 악궁라인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KR20220087874A (ko) 의료영상 정합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084982A (ko) 위험 인자를 고려한 픽스쳐 자동 식립이 가능한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계획 방법 및 그 장치
KR102234425B1 (ko) 의료영상 정합 방법 및 그 장치
KR102404189B1 (ko) 삽입로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보철물 설계 장치
KR102138922B1 (ko) 보철물 설계 시 컨택 방향 설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보철물의 주변치와의 컨택 거리 표시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보철 캐드 장치
KR102205427B1 (ko) 신경 위치 보정 방법 및 장치
KR102210341B1 (ko) 영상처리 및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신경관 자동 검출방법 및 그 장치
KR102197309B1 (ko) 상악동 리프팅을 위한 픽스쳐 침범영역 분할이 가능한 의료영상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2474298B1 (ko) 보철물 모델 설계 방법 및 그 장치
KR102413696B1 (ko) 지대치 모델 마진라인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KR102573907B1 (ko) 아치라인 수정방법 및 그 치아 배열 디자인 장치
KR102615791B1 (ko) 파노라믹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