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1877A - Gallic acid를 포함하는 밤 내피 추출물의 항균 항산화성 미백 활성에 의한 피부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Gallic acid를 포함하는 밤 내피 추출물의 항균 항산화성 미백 활성에 의한 피부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1877A
KR20120091877A KR1020110011953A KR20110011953A KR20120091877A KR 20120091877 A KR20120091877 A KR 20120091877A KR 1020110011953 A KR1020110011953 A KR 1020110011953A KR 20110011953 A KR20110011953 A KR 20110011953A KR 20120091877 A KR20120091877 A KR 20120091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stnut
ethyl acetate
skin
compositio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호진
정창호
김지혜
어우석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농업회사법인 (주)알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농업회사법인 (주)알토리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11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1877A/ko
Publication of KR20120091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8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9Fagaceae (Beech family), e.g. oak or chestn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5Liquid-liquid separation; Phase sepa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밤 내피(栗皮)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활성물질로 gallic acid가 포함되도록 추출된 밤 내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항산화성 미백 활성을 갖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개선용 조성물은 항산화성 미백용, 피부상재균에 대한 항균용, 여드름 개선용일 수 있으며, 밤 내피 추출물은 밤 내피를 물로 추출한 후 비극성 유기용매로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한 밤 내피 물 추출물의 유기용매 분획물일 수 있다.

Description

Gallic acid를 포함하는 밤 내피 추출물의 항균 항산화성 미백 활성에 의한 피부 개선용 조성물{An antioxidative whitening effect of chestnut inner skin extract including gallic acid}
본 발명은 밤 내피(栗皮)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활성물질로 gallic acid가 포함되도록 추출된 밤 내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항산화성 미백 활성을 갖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천연 재료에 대한 관심의 확산에 따라 천연 유래 원료를 이용한 기능성 제품, 특히 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주로 한의학적 문헌 및 원리에 의거한 한약재를 사용한 기능성 제품이 시판되고 있으며, 하지만 그 재료가 한정되어 있고 과학적 활성 검정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과학적 토대에 의해 활성이 검정된 새로운 식물자원의 도출 및 제시가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최근 천연 재료를 이용한 각종 기능성 화장품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이에 부응하는 새로운 자원의 도출 및 이의 과학적 연구가 시급하다.
한편, 멜라닌은 자외선 등으로 인한 피부의 손상에 대항하여 생성되며 피부를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멜라닌의 합성 과정은 도 1과 같은데, 보는 바와 같이 tyrosinase에 의한 tyrosine의 산화로 시작되어 DOPA와 DOPAchrome 등이 생성된 후 DHICA와 DHI를 거쳐 이루어지며 현재까지 DHI-eumelanin, DHICA-eumelanin, pheomelanin 등의 3종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의 흑화는 피부 세포 내에 존재하는 멜라닌 생성세포(melanocyte)에서 생성된 멜라닌이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로 전달되어 피부 표피층에 축적되면서 과침착됨에 따라 일어나게 된다.
피부의 멜라닌 색소 과침착은 기미, 주근깨, 검은 반점 등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는데, 이를 예방 및 개선하기 위해 도 2와 같이 kojic acid, arbutin, vitamin C 유도체 등이 미백제로 개발되었다. 하지만 kojic acid는 in vitro상의 tyrosinase 억제효과에 비해 세포상이나 in vivo상의 멜라닌 생성억제효과가 미비한 실정이며 또한 장기 사용시 간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보고가 최근에 있었다. 또한 arbutin은 hydroquinone계열이 갖는 세포독성의 문제점이 있으며, vitamin C 역시 화학적 안정성에 대한 문제가 있어 장기 보관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미백 활성물질의 부작용 등이 보고됨에 따라 그 대체 원료로 여러 천연물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미백화장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그 결과 상백피, 행인, 천화분 추출물 등이 미백 원료로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들 미백 원료들은 그 효능이나 독성에 대한 확실한 검증이 충분치 못하고 또한 아직까지 임상적 효과도 만족스럽지 못한 상황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가진 소재를 탐색하고 이를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 소재화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임산물 중 하나인 밤 내피로부터 다양한 항산화활성, 타이로시네이스(tyrosinase) 저해활성, 그리고 멜라닌 생성세포(B16/F10 melanoma cell) 성장억제활성 등을 갖는 소재를 탐색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다시 말해 본 발명자들은 일반적으로 폐기되는 밤 내피에서 피부 개선에 효과적인 활성물질을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은 천연 재료로부터 피부에 유용한 활성물질을 모색하고자 개발된 것으로, 밤 내피 추출물에서 항균 항산화성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활성물질을 찾아내고 이로부터 밤 내피 추출물의 피부 개선용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활성물질로 gallic acid가 포함되도록 추출된 밤 내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갖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피부 개선용 조성물은 항산화성 미백용, 피부상재균에 대한 항균용, 여드름 개선용일 수 있으며, 상기 밤 내피 추출물은 밤 내피를 물로 추출한 후 비극성 유기용매로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한 밤 내피 물 추출물의 유기용매 분획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밤 내피 추출물이 항균, 항산화, 미백효과 등과 같은 피부 개선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하였는바, 밤 내피 추출물을 기능성 화장품 소재는 물론 기능성 건강 식품 소재로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둘째, 현재 폐기되고 있는 밤 내피의 새로운 산업적 활용방안을 제안하기 때문에 자원낭비를 방지하고, 밤 생산 농가의 소득 증대 및 지역 경제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타이로신(tyrosine)에서 멜라닌이 생성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2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미백제를 나타낸다.
도 3은 밤 내피로부터 활성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밤 내피 물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한 활성물질 동정 결과로 HPLC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다.
도 5는 밤 내피 물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한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낸다.
도 6은 밤 내피 물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한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낸다.
도 7은 밤 내피 물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한 금속이온을 환원시키는 환원력을 나타낸다.
도 8은 밤 내피 물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한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을 나타낸다.
도 9는 밤 내피 물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한 mushroom tyrosinase 저해활성을 나타낸다.
도 10은 밤 내피 물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한 B16/F10 멜라노마 세포의 세포생존율을 나타낸다.
도 11은 밤 내피 물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한 멜라닌 생성억제 활성을 나타낸다.
도 12는 밤 내피 물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한 tyrosinase 단백질 발현량 변화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활성물질로 gallic acid가 포함되도록 추출된 밤 내피 추출물의 항균, 항산화, 미백, 여드름 등에 대한 피부 개선용도를 제안한다. 이는 하기 실시예와 실험예를 통해 gallic acid를 포함하도록 추출된 밤 내피 추출물이 DPPH, ABTS 라디칼 소거활성, 환원력,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FRAP), 마우스 뇌 조직을 이용한 지질과산화 억제활성과 같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나아가 멜라닌 생성 저해활성과 같은 미백활성, 항균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밤 내피(율피)"는 참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인 밤나무(Castanea crenata S.) 열매에서 과육(노란색)과 외피를 제외한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 밤나무에는 천연, 잡종, 변종 식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밤 내피 추출물은 활성물질로 gallic acid가 포함되도록 추출하기만 하면 추출용매와 추출방법은 무관하다. 다시 말해, 공지된 바와 같은 냉침 추출, 가열 추출, 초음파 추출, 냉각 추출 등 다양한 추출방법과, 물,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 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 (DMSO), 1,3-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등의 다양한 추출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추출용매와 추출방법으로 물추출 후 비극성 유기용매에 의한 분획을 제안하는데, 이 분획물을 분리 동정한 결과 활성물질로 gallic acid가 주요하게 분석되었다. 물추출물의 분획을 위한 비극성 유기용매로는 헥산, 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이 있으며, 가장 바람직한 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이다.
이하에서는 실시예와 실험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살펴본다. 다만, 실시예와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1 ] 밤 내피 물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도 3에서와 같은 과정을 통해 밤 내피 물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얻었다.
구체적으로 2009년 9월 경남 진주시 집현면에서 재배되고 있는 밤을 구입하여 선별 및 세척하여 외피를 제거한 후 속껍질을 제거한 다음 벗겨낸 속껍질을 다시 선별, 세척한 후 열풍건조기를 이용 40℃의 온도로 건조하여 수분을 10% 이하가 되게 하고, 건조한 속껍질을 분쇄하여 밤 내피 분말을 얻고, 이 밤 내피 분말 50g에 물 500mL을 첨가하여 환류 냉각 추출한 다음 추출물을 No.2 여과지(Whatman plc., Kent, UK)로 여과한 후 동량의 에틸아세테이트 용매를 분액여두에 첨가하여 3회 반복 추출하는 것으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얻었다. 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동결건조기로 동결건조하고 이를 하기 [실험예1~10]에서 시료로 사용하였다.
[ 실험예1 ] HPLC 분석에 의한 분리 및 동정
[실시예1]에서 얻은 밤 내피 물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해 활성물질을 동정하기 위해 HPLC(Ultimate 3000, Dionex, U.S.A.)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조건 중 column은 C18 column(4.6mm×250mm, 5μm, Shiseido Co., Tokyo, Japan)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은 pH 3.0인 0.01M potassium phosphate buffer(A)와 100% MeOH(B)를 사용하였고, 분석시간은 25분으로 하였다. 시료의 주입량은 20μL, 이동상 유속은 1.5mL/min이며, UV 검출장치의 파장은 280nm에서 분석하였다.
HPLC 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밤 내피 물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을 탐색한 결과는 도 4와 같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gallic acid (머무름 시간 : 3.94분)가 주요 화합물로 동정되었고, 그 외에도 catechin (머무름 시간 : 8.23 분)과 epicatechin (머무름 시간 : 10.167분)이 함유되어 있었다.
[ 실험예2 ] ABTS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
[실시예1]에서 얻은 밤 내피 물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해 항산화활성 중의 하나인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2.5mM ABTS[2,2'-azino-bis(3-ethylbenzthi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와 1.0mM AAPH(2,2'-azobis-(2-amidinopropane) HCl)을 100mM Phosphate buffer(pH 7.4)에 혼합하여 734nm에서 control group의 흡광도 값이 0.7±0.002가 되도록 조정한 ABTS solution을 사용하였으며, 시료 20μL와 ABTS solution 980μL를 혼합하여 10분간 반응시키고 UV-spectrophotometer(UV-1601, Shimadzu Co., Japan)를 이용하여 734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라디칼 소거활성을 계산하였다.
밤 내피 물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한 ABTS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 결과는 도 5와 같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밤 내피 물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알 수 있으며, 특히 250μg/mL의 농도에서 98.83%의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확인할 수 있다.
[ 실험예3 ]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
[실시예1]에서 얻은 밤 내피 물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해 항산화활성 중의 하나인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농도별 시료 0.1mL에 100% 메탄올로 용해시킨 1.5×10-4 M DPPH 용액 2.9mL를 가한 후 vortex mixer로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라디칼 소거활성을 계산하였다.
밤 내피 물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한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 결과는 도 6과 같다. 밤 내피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500μg/mL의 농도에서 94.57%의 매우 높은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냈다.
[ 실험예4 ] 환원력 측정
[실시예1]에서 얻은 밤 내피 물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해 항산화 활성 중의 하나인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FRAP assay는 colored ferrous tripyridyl triazine complex에 의해 ferric ion이 ferrous로 전환되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시료 내의 총 항산화력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시약은 300mM sodium acetate buffer(pH 3.6)와 2,4,6-tri(2-pyridyl)-1,3,5-triazine(TPTZ) reagent, 그리고 20mM FeCl3을 사용하였으며, TPTZ reagent은 10mM의 TPTZ를 40mM HCl에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Acetate buffer, TPTZ reagent 및 FeCl3 solution을 10:1:1(v/v/v)로 혼합하여 37℃에서 10~15분간 incubation시키고, 시료 50μL와 pre-warmed working FRAP reagent 1.5mL를 혼합하여 15분간 빛이 들지 않는 곳에서 반응시켜 593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밤 내피 물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한 총 항산화력 측정 결과는 도 7과 같다. 보는 바와 같이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흡광도 역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라디칼 소거활성과 유사한 경향이다. 특히 농도 1,000μg/mL에서는 3.12의 매우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 실험예5 ] 지질과산화 억제활성 측정
[실시예1]에서 얻은 밤 내피 물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해 마우스 뇌 조직을 이용한 지질과산화 생성물인 malondialdehyde(MDA)의 생성 억제활성을 측정하였다. 뇌 부위 조직에 10 volume의 ice cold Tris-HCl buffer(20mM, pH 7.4)에 균질화시킨 후 4℃에서 15분간 12,000g으로 원심분리하고, 상등액 0.1mL에 10μM FeSO4 0.1mL, 0.1mM ascorbic acid 0.1mL 및 시료 0.2mL를 첨가하여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으며, 이 반응액에 28% trichloroacetic acid 0.1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다음 1% thiobarbituric acid 0.3mL를 첨가하여 80℃에서 30분간 가열한 후 53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밤 내피 물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한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밤 내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62μ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약 80%의 말론다이알데하이드 생성 저해활성을 나타냈다.
[ 실험예6 ] Mushroom tyrosinase 활성 억제율 측정
[실시예1]에서 얻은 밤 내피 물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해 mushroom tyrosinase 활성 저해효과를 측정하였다. 96well에 0.1M sodium phosphate buffer(pH 6.8)를 넣고, 시료와 0.1M sodium phosphate buffer(pH 6.8)에 녹인 tyrosinase(1100 units/mL, Sigma chemical Co., U.S.A) 1.5mM의 L-tyrosine를 순서대로 넣은 다음 37℃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뒤 ELISA microplate reader(680, Bio-rad, Japan)로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tyrosinase 활성 억제율(%)을 측정하였다. 자외선 또는 ROS등과 같은 주변 환경 등의 영향으로 tyrosinase가 활성을 갖게 되면 tyrosine 또는 DOPA가 중간생성 단계인 DOPA chrome의 생성경로를 거쳐 자동 산화 반응에 의해 멜라닌 고분자로 변화하는데, 본 [실험예6]은 L-tyrosine을 기질로 하여 중간 단계인 DOPA chrome의 생성여부를 흡광도를 측정하여 tyrosinase inhibition(%)으로 나타낸 것이다.
밤 내피 물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한 mushroom tyrosinase 저해율 측정 결과는 도 9와 같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IC50값은 175μg/mL으로 나타내었으며, 농도 250μg/mL에서 88.00%의 매우 높은 저해율을 보였다.
[ 실험예7 ] MTT 분석에 의한 세포 생존율 측정
[실시예1]에서 얻은 밤 내피 물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해 MTT 분석에 의한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실험 세포주(B16/F10 cell line)를 2-4× 105cell1/mL의 농도가 되도록 조절한 후 96well microplate에 100μL/well씩 분주하고, 이것을 37℃, 5% CO2 세포 배양기에서 12시간 배양하여 세포를 부착시킨 다음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72시간 동안 배양시킨 후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용액을 첨가하고 배양기에서 반응시키고, 이어 DMSO를 이용하여 세포를 용해시켜 ELISA microplate reader(680, Bio-rad, Japan)에서 570nm(determination)와 630nm(reference wave)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의 생존율은 시료 무첨가군을 100% 하여 상대적인 세포 성장률로 측정하였다.
밤 내피 물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한 세포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는 도 10과 같다. 보는 바와 같이 농도 차이에 따라 세포 생존율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 125μg/mL 이하의 농도에서 시료 자체의 독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 실험예8 ] 멜라닌 합성 저해활성 측정
[실시예1]에서 얻은 밤 내피 물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해 멜라닌 합성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B16/F10 melanoma 세포를 6well plate에 1×106 cells 3mL로 분주한 후 10% FBS이 함유된 DMEM 용액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시료와 1μM의 α-MSH를 처리하여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나고 난 후 1%(w/v) phosphate buffered saline(PBS)로 3회 수세하고, 이를 2,0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한 다음, 물에 불용성을 나타내는 멜라닌의 액화를 일으키기 위하여 1N NaOH 200μL를 가하고 80℃에서 1시간 끓여 멜라닌을 완전히 녹인 후 96well plate에 100μL를 옮기고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α-MSH만을 첨가하였을 때와 시료와 함께 첨가하였을 때 나타내는 melanin 합성의 상대적 변화량을 조사하였다.
밤 내피 물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한 멜라닌 합성 저해활성을 조사한 결과는 도 11과 같다. 보는 바와 같이 melanogenesis stimulating agent인 α-MSH만을 처리한 경우에 B16/F10 melanoma 세포에 의해 생성된 멜라닌 농도가 control에 비해서 약 21% 증가하였으며, α-MSH와 10, 50 및 100μg/mL 농도별로 시료를 함께 처리한 경우에 멜라닌 합성 억제를 확인한 결과 100μg/mL에서는 α-MSH 대비 약 91% 정도 30% 이하의 높은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를 보였다.
[ 실험예9 ] Western bolt analysis
[실시예1]에서 얻은 밤 내피 물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해 western bolt analysis을 하였다. [실험예7,8]을 통해 밤 내피 물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멜라닌 생성을 유도하는 tyrosinase 활성을 감소시키고 세포내 melanin 생성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러한 결과가 멜라닌 생성에 관련된 단백질 발현과도 연관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tyrosinase 항체를 이용한 western blot으로 관련 단백질의 발현량 변화에 대하여 조사한 것이다.
시료를 48시간 처리한 B16/F10 melanoma 세포를 pro-prep protein 추출 kit(iNtRON, biotechnology)를 사용하여 용해한 후 원심분리하고, 여기서 얻은 상층액의 단백질 함량을 Quant-iTTM protein assay kit(Invitrogen,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어 상층액을 12% SDS-PAGE를 이용해 전기영동하고 이를 nitrocellulose membrane으로 이전시킨 다음 10% skim milk 가 함유된 tris-buffer에서 tyrosinase(sc-7833), β-actin(sc-1616) 항체와 각각 반응시킨 후, TBST로 3회 세척하여 이차항체인 donkey anti-goat IgG-HRP, Goat anti mouse IgG HRP 항체와 상온에서 1시간 반응시키고 ECL solution을 이용하여 x-ray film에 감광시켰다.
밤 내피 물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한 western bolt analysis 결과는 도 12와 같다. 밤 내피 물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tyrosinase의 발현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냈는데, 이는 α-MSH에 의한 세포신호전달 경로 중 지속적인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ERK) 활성화를 저해함으로써 tyrosinase와 TRP-1의 발현을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실험예10 ] 피부 상재균에 대한 생육 억제율 측정
[실시예1]에서 얻은 밤 내피 물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해 대표적인 피부 미생물 4종을 대상으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Propionibacterium acnes (ATCC 6919), Staphylococcus epidermids (ATCC 12228), Malassezia furfur (ATCC 14521) 및 Proteus rettgeri (ATCC 29944) 균주를 이용하였으며 각 균주는 한국 미생물 보존센터(KCCM)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Paper disc(Φ 8mm)를 이용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각 균주용 agar 배지를 petri dish에 분주하여 평판 고형화시키고, 24시간 배양한 균 100μL를 멸균봉으로 도말하여 시료를 농도별로 흡수시킨 후 용매를 증발시킨 paper disc를 평판배지 위에 올려놓고 각 균주의 배양조건에 따라 배양하여 disc주위의 clear zone 직경을 측정하였다.
밤 내피 물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피부상재균에 대한 항균활성
Strains Ampicillin conc.
(1mg/paper disc)
EtOAc fraction conc.
(mg/paper disc)
2.5 5 10 20
Propionibacterium acnes 41.5 20.25 22.8 23.4 25.7
Staphylococcus epidermids 31.1 21.0 22.2 22.9 24.6
Malassezia furfur -1) -1) 12 13.7 19.4
Proteus rettgeri - 16.1 18 21.7 25.5
1)저해하지 못함.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시료는 모든 균주에 대하여 농도 의존적인 항균활성을 보였다. 특히 여드름의 원인균인 Propionibacterium acnes 균주에 대하여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밤 내피 물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이용하여 화장품을 제조할 경우 방부효과와 더불어 여드름 개선효과를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화장품에 이용되는 방부제나 항균제는 필수적이지만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합성물질들은 피부에 알러지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인체에 무해한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한데, 밤 내피 물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화장품에 재료로 이용할 경우 천연 재료로서 인체에 무해한 방부제 내지 항균제로 역할을 할 것이다.

Claims (6)

  1. 활성물질로 gallic acid가 포함되도록 추출된 밤 내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갖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서,
    상기 조성물은, 항산화성 미백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3. 제1항에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상재균에 대한 항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4. 제1항에서,
    상기 조성물은, 여드름 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밤 내피 추출물은, 밤 내피를 물로 추출한 후 비극성 유기용매로 분획한 밤 내피 물추출물의 유기용매 분획물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6. 제5항에서,
    상기 비극성 유기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110011953A 2011-02-10 2011-02-10 Gallic acid를 포함하는 밤 내피 추출물의 항균 항산화성 미백 활성에 의한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200918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953A KR20120091877A (ko) 2011-02-10 2011-02-10 Gallic acid를 포함하는 밤 내피 추출물의 항균 항산화성 미백 활성에 의한 피부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953A KR20120091877A (ko) 2011-02-10 2011-02-10 Gallic acid를 포함하는 밤 내피 추출물의 항균 항산화성 미백 활성에 의한 피부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877A true KR20120091877A (ko) 2012-08-20

Family

ID=46884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953A KR20120091877A (ko) 2011-02-10 2011-02-10 Gallic acid를 포함하는 밤 내피 추출물의 항균 항산화성 미백 활성에 의한 피부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187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0470A3 (fr) * 2014-03-18 2016-01-21 Greenpharma Applications cosmétiques et pharmaceutiques de l'acide gallique et de dérivés de l'acide gallique
FR3031455A1 (fr) * 2015-01-14 2016-07-15 Greenpharma Sas Compose derive de l’acide gallique et applications
KR102247777B1 (ko) * 2020-12-02 2021-05-04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천태오약, 자귀나무 및 밤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23140746A1 (en) * 2022-01-18 2023-07-27 Uniwersytet Mikołaja Kopernika W Toruniu Cosmetic preparation for skin car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0470A3 (fr) * 2014-03-18 2016-01-21 Greenpharma Applications cosmétiques et pharmaceutiques de l'acide gallique et de dérivés de l'acide gallique
FR3031455A1 (fr) * 2015-01-14 2016-07-15 Greenpharma Sas Compose derive de l’acide gallique et applications
KR102247777B1 (ko) * 2020-12-02 2021-05-04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천태오약, 자귀나무 및 밤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23140746A1 (en) * 2022-01-18 2023-07-27 Uniwersytet Mikołaja Kopernika W Toruniu Cosmetic preparation for skin ca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iang et al. Neonauclea reticulata (Havil.) Merr stimulates skin regeneration after UVB exposure via ROS scavenging and modulation of the MAPK/MMPs/collagen pathway
US20110212041A1 (en) Skin-Whitening Agent, Anti-Aging Agent and Skin-Care Cosmetic Agent
AU2017324360B2 (en) Aqueous extract of prunus persica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Zhou et al. Moringa oleifera stem extract protect skin keratinocytes against oxidative stress injury by enhancement of antioxidant defense systems and activation of PPARα
KR101669359B1 (ko) 멜라닌 합성 촉진용 조성물
Kolakul et al. Phytochemicals and anti-aging potentials of the extracts from Lagerstroemia speciosa and Lagerstroemia floribunda
JP2010006708A (ja) 皮膚外用剤、美白剤、抗老化剤および抗酸化剤
CN102370591A (zh) 石榴皮提取方法及其提取物的应用
KR20160009752A (ko) 자생석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기능성 식품 및 한방 화장품
Saad et al. Evaluation of anti-melanogenesi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five Artocarpus species for cosmeceutical applications
KR20120091877A (ko) Gallic acid를 포함하는 밤 내피 추출물의 항균 항산화성 미백 활성에 의한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22068B1 (ko) 유용성분의 파괴가 적은 아세로라 열매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58013B1 (ko) 미성숙 잣구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93104B1 (ko) 꾸지뽕잎 및 뽕잎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unlatat et al. Antioxidative and melanin production inhibitory effects of Syzygium cumini extracts.
KR20100018139A (ko) 돌나물 추출물 및 리포익산-peg 콘쥬게이트를 함유하는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80078869A (ko) Dhpv를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07704A (ko) 4'-o-메틸알피눔 이소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10134589A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hew et al. Garcinia mangostana pericarp extracts and α-mangostin in hair care: an insight into their potential as functional ingredients and the biological properties
KR20180093560A (ko) 적과자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수렴 또는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957435B1 (ko)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누에고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114479A (ko)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2489463B1 (ko) 마이크로파 처리된 황칠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434163B1 (ko) 칡 지상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및 미백 효능을 지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