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1531A - 방향조절기능을 갖는 나사 연결구 - Google Patents

방향조절기능을 갖는 나사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1531A
KR20120091531A KR1020110011340A KR20110011340A KR20120091531A KR 20120091531 A KR20120091531 A KR 20120091531A KR 1020110011340 A KR1020110011340 A KR 1020110011340A KR 20110011340 A KR20110011340 A KR 20110011340A KR 20120091531 A KR20120091531 A KR 20120091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ember
installation
connecting body
fastening
installation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2318B1 (ko
Inventor
박강훈
Original Assignee
박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강훈 filed Critical 박강훈
Priority to KR1020110011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318B1/ko
Publication of KR20120091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4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조절기능을 갖는 나사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대상물(수도꼭지 등)의 설치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구조물을 연결몸체의 제1확관부내에 위치시킴으로써, 설치대상물의 설치방향을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고, 특히 설치대상물을 견고하게 지지하게 되어 설치대상물의 흔들림이나 한쪽으로 쏠림 현상을 방지하고, 이로인해 누수 및 설치대상물의 이탈도 방지할 수 있는 방향조절기능을 갖는 나사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향조절기능을 갖는 나사 연결구{SCREW CONNECTOR HAVING DIRECTION ADJUSTING FUNCTION}
본 발명은 방향조절기능을 갖는 나사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대상물(수도꼭지 등)의 설치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구조물을 연결몸체의 제1확관부내에 위치시킴으로써, 설치대상물의 설치방향을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고, 특히 설치대상물을 견고하게 지지하게 되어 설치대상물의 흔들림이나 한쪽으로 쏠림 현상을 방지하고, 이로인해 누수 및 설치대상물의 이탈도 방지할 수 있는 방향조절기능을 갖는 나사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일, 가스, 냉온수를 포함한 물 등의 유체는 배관을 통해 흐르는데, 상기 유체의 이용 방법에 따라 배관 구조도 다양하게 설계하고 있다.
일예로, 시공 장소의 환경에 따라 단일의 배관을 사용하지 못하고, 배관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이들 사이를 별도의 연결구로써 나사 구조로 연결하여 유체가 흐르도록 하거나, 배관과 배관 사이에 수동으로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는 개폐밸브를 연결구에 나사결합하거나, 배관의 끝단부에 연결구를 나사 결합한 다음 이 연결구에 수도꼭지를 나사 결합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연결구에 유체의 흐름 상황을 측정하는 압력 게이지를 나사 결합하기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는 배관 분야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대부분 나사 방식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개폐밸브나 압력게이지 또는 수도꼭지와 같은 설치대상물을 사용자가 사용하기 쉬운 위치가 되도록 방향을 조절하면서 조립하기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출원인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국내 특허 등록번호 제721502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을 간략히 설명하면, 연결구 몸체의 유출구 끝단부에 상기 설치대상물과 나사결합된 대상물 체결부재를 안착시키고, 상기 유출구의 외주면에는 조임너트를 나사결합하여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를 유출구측에 고정한다.
또한,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와 상기 조임너트의 사이에는 상기 설치대상물의 설치방향을 조절하도록 방향조절수단이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설치대상물을 간단히 회전시키면, 상기 방향조절수단에 의해 설치대상물의 설치방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을 본 발명의 출원인이 장기간 사용해본 결과, 아래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
상기 방향조절 기능을 갖는 대상물 체결부재가 상기 유출구의 끝단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설치대상물을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대상물을 잡아주는 지지력이 약하게 되고, 이로인해 상기 설치대상물이 흔들리거나 한쪽으로 쏠리게 되면서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상기 설치대상물이 심하게 흔들릴 경우에는 설치대상물이 이탈하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목적은 설치대상물(수도꼭지 등)의 설치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구조물(대상물 체결부재의 제1체결부 및 방향조절수단)을 연결몸체의 제1확관부내에 위치시킴으로써, 설치대상물의 설치방향을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고, 특히 설치대상물을 견고하게 지지하게 되어 설치대상물의 흔들림이나 한쪽으로 쏠림 현상을 방지하고, 이로인해 누수 및 설치대상물의 이탈도 방지할 수 있는 방향조절기능을 갖는 나사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나사연결부를 갖는 설치대상물이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설치대상물의 설치방향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방향조절기능을 갖는 나사 연결구에 있어서, 내부에 유체가 통과하도록 유체통로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유체통로의 일단부에는 상기 유체통로와 단차지는 제1확관부 및 상기 제1확관부와 단차지는 제2확관부가 형성된 연결몸체와, 일단부는 상기 연결몸체의 제1확관부내로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설치대상물의 나사연결부와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내부에는 상기 유체통로와 상기 설치대상물의 내부를 연통시키도록 연통로가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몸체의 제1확관부와 상기 연결부재의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나사결합된 설치대상물의 정방향 회전시에는 일정간격으로 걸림감이 들도록 하여 설치대상물의 설치방향을 조절하고, 역방향 회전시에는 상기 설치대상물이 나사 풀림되도록 하는 방향조절수단과, 일단부는 상기 연결몸체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부재에 걸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연결몸체에 고정하는 조임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설치대상물(수도꼭지 등)의 설치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구조물이 연결몸체의 제1확관부내에 위치하도록, 대상물 체결부재의 제1체결부를 상기 연결몸체의 제1확관부내로 삽입되게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1체결부와 제1확관부의 마주하는 면에 방향조절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설치대상물의 설치방향을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고, 특히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가 상기 연결몸체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에 나사결합되는 상기 설치대상물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장기간 사용시에도 상기 설치대상물의 흔들림이나 한쪽으로 쏠림 현상이 방지되고, 이로인해 누수 및 설치대상물의 이탈도 방지된다.
또한,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의 제1체결부의 일단부를 복수개로 분할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체결부에 형성된 제2톱니부가 상기 제1확관부에 형성된 제1톱니부에 탄력적으로 맞물리게 되어 상기 제1톱니부와 제2톱니부가 뭉개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몸체의 제2확관부내에 실링부재를 삽입함과 아울러 상기 제2확관부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과 마주하는 제2체결부의 일측면에 각각 상기 실링부재와 접촉하는 제1돌기부 및 제2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결몸체와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간에 실링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몸체와 대상물 체결부재간에 마찰력이 증가되어 사용자가 상기 설치대상물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마찰력으로 인해 설치대상물이 빡빡하게 회전하게 되고, 이로인해 상기 설치대상물의 설치방향 조절을 완료한 후에도 상기 마찰력으로 인해 설치대상물의 설치방향이 변경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조절기능을 갖는 나사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연결몸체와 실링부재 및 대상물 체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조절기능을 갖는 나사 연결구에서 조임너트의 나사조임 전 및 설치대상물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조절기능을 갖는 나사 연결구에서 조임너트를 완전히 나사조임한 후 설치대상물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향조절기능을 갖는 나사 연결구(1)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 등록번호 제721502호를 개량한 기술로서, 나사연결부(51)를 갖는 설치대상물(50)이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설치대상물(50)의 설치방향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나사 연결구(1)에 결합되는 설치대상물(50)로는, 개폐밸브나 압력게이지 또는 수도꼭지 등과 같이, 사용자가 사용하기 쉬운 위치로 설치방향을 조절해야하는 물품들이 적용된다.
한편, 상기 설치대상물(50)로서 상기 개폐밸브나 압력게이지 또는 수도꼭지 뿐만 아니라 설치방향의 조절이 필요한 모든 제품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나사 연결구(1)는, 연결몸체(10)와, 대상물 체결부재(20)와, 방향조절수단(15)과, 조임너트(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몸체(10)는, 내부에 유체가 통과하도록 유체통로(11)가 관통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유체통로(11)의 일단부에는 상기 유체통로(11)와 단차지는 제1확관부(12) 및 상기 제1확관부(12)와 단차지는 제2확관부(1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확관부(12)는 유체통로(11)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확관부(13)는 상기 제1확관부(12)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확관부(12)에는 후술하는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의 제1체결부(21)가 삽입되고, 상기 제2확관부(13)에는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의 제2체결부(22)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조임너트(40)와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연결몸체(10)의 일단부 외주면에는 나사부(1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상기 연결몸체(10)의 형상은 일예를 나타낸 것이며, 상기 연결몸체(10)는 밸브, 엘보, 티 등 적용되는 제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는, 일단부는 상기 연결몸체(10)의 제1확관부(12)내로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설치대상물(50)의 나사연결부(51)와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내부에는 상기 유체통로(11)와 상기 설치대상물(50)의 내부를 연통시키도록 연통로(20a)가 형성된다.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결몸체(10)의 제1확관부(12)내로 삽입됨과 아울러 일단부에 상기 방향조절수단(15)의 제2톱니부(23)가 형성된 제1체결부(21)와, 상기 제1체결부(21)의 타단부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확관부(13)내로 삽입됨과 아울러 내부의 연통로(20a)에는 나사부(26)가 형성되어 상기 설치대상물(50)의 나사연결부(51)와 나사결합되는 제2체결부(2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의 연통로(20a) 내주면에는 상기 설치대상물(50)의 나사연결부(51) 끝단을 지지하는 지지부(27)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27)의 일측면에는 오링안착홈(27a)이 형성되고, 상기 오링안착홈(27a)에는 오링(28)이 안착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의 나사부(26)에 상기 설치대상물(50)을 나사결합하게 되면, 상기 설치대상물(50)의 나사연결부(51) 끝단이 상기 지지부(27)에 안착된 오링(28)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체결부(22)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몸체(10)의 일단부에 안착되도록 안착부(25)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임너트(40)는, 일단부는 상기 연결몸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4)에 나사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에 걸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를 연결몸체(10)에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임너트(40)의 타단부에는 걸림부(41)가 형성되며, 상기 조임너트(40)의 걸림부(41)가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안착부(25)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조임너트(40)를 나사조임하게 되면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가 상기 연결몸체(10)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방향조절수단(15)은, 상기 연결몸체(10)의 제1확관부(12)와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의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와 나사결합된 설치대상물(50)의 정방향(시계방향) 회전시에는 일정간격으로 걸림감이 들도록 하여 설치대상물(50)의 설치방향을 조절하고, 역방향(반시계방향) 회전시에는 상기 설치대상물(50)이 대상물 체결부재(20)로부터 나사 풀림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방향조절수단(15)은, 상기 연결몸체(10)의 제1확관부(12)의 내주면에 톱니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톱니부(16)와,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의 외주면에 톱니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톱니부(16)와 맞물리는 제2톱니부(2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톱니부(16)와 제2톱니부(23)는 각각 직삼각형 형태의 톱니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것이며, 서로 맞물려 있다.
또한, 상기 제2톱니부(23)는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의 제1체결부(21)의 일단부 외주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톱니부(23)가 형성된 상기 제1체결부(21)의 일단부는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분할 형성되어, 상기 제2톱니부(23)가 상기 제1톱니부(16)에 탄력적으로 맞물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체결부(21)의 일단부에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절개홈(24)이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부(21)의 일단부가 복수개로 분할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체결부(21)의 일단부를 복수개로 분할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체결부(21)에 형성된 제2톱니부(23)가 일정 탄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체결부(21)의 제2톱니부(23)가 상기 제1확관부(12)의 제1톱니부(16)에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설치대상물(5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1체결부(21)에 형성된 제2톱니부(23)가 상기 제1확관부(12)에 형성된 제1톱니부(16)를 탄력적으로 타고 넘어가게 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일정간격(제1,2톱니부의 톱니 한개 간격)으로 걸림감이 들도록 하게 된다.
이로인해, 사용자는 상기 설치대상물(5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일정간격으로 걸림감이 들기 때문에 설치대상물(50)의 설치방향을 간편하고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2톱니부(23)가 상기 제1톱니부(16)에 일정 탄력으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설치대상물(5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일정 이상의 힘이 필요하다.
한편, 도 5와 같이, 상기 제2톱니부(23)와 제1톱니부(16)는 각각 복수개의 직삼각형 형태 톱니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것이므로, 상기 설치대상물(5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때는 상기 제2톱니부(23)의 각 톱니 경사면이 제1톱니부(16)의 각 톱니 경사면을 타고 원활하게 넘어가게 되며, 반대로 상기 설치대상물(5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킬려고 하게 되면, 상기 제2톱니부(23)의 각 톱니 직각면이 제1톱니부(16)의 각 톱니 직각면에 걸리게 되어 회전시킬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설치대상물(50)을 역방향으로 힘주어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설치대상물(50)이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로부터 풀리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체결부(21)의 일단부를 복수개로 분할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상기 설치대상물(50)을 과도한 힘으로 정방향 회전시킬 경우 상기 제1톱니부(16)와 제2톱니부(23)가 뭉개지게 되므로, 상기 제1체결부(21)의 일단부를 복수개로 분할해야 상기 제1톱니부(16)와 제2톱니부(23)가 뭉개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확관부(13)의 바닥면(13a)에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1돌기부(17)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돌기부(17)와 마주하는 상기 제2체결부(22)의 일측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2돌기부(29)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돌기부(17)와 제2돌기부(29)의 사이에는 상기 연결몸체(10)와 대상물 체결부재(20)간의 기밀을 유지함과 동시에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실링부재(30)가 설치된다.
상기 제1돌기부(17)와 제2돌기부(29)는 연결몸체(10)의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제2확관부(13)의 바닥면(13a)에 형성된 제1돌기부(17)는 상기 바닥면(13a)의 내경과 외경 사이의 반경방향 길이를 L이라고 할 경우, L 보다 작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L/2 길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돌기부(17)는 상기 바닥면(13a)의 내경과 외경 사이 구간에서 내경측 방향의 일부 구간이 삭제된다. 즉, 상기 제2확관부(13)의 바닥면(13a)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제1돌기부(17)의 길이를 일부 삭제하여 짧게 형성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1돌기부(17)와 제2돌기부(29)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실링부재(30)의 상측면은 상기 제2돌기부(29)와 접촉하고, 하측면 중 일부는 상기 제1돌기부(17)와 접촉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2확관부(13)의 바닥면(13a)에 면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몸체(10)의 제2확관부(13)내에 상기 실링부재(30)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 및 조임너트(40)를 조립하게 되면, 상기 연결몸체(10)와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 사이에서 실링부재(30)가 원활하게 면접촉하게 되어 실링성을 향상함과 동시에 상기 실링부재(30)의 상,하측면에 상기 제1돌기부(17)와 제2돌기부(29)가 접촉하게 되어 상기 연결몸체(10)와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간에 마찰력이 증가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연결몸체(10)와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간에 마찰력이 증가되면, 사용자가 상기 설치대상물(5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마찰력으로 인해 설치대상물(50)이 빡빡하게 회전하게 되며, 이로인해 상기 설치대상물(50)의 설치방향 조절을 완료한 후에도 상기 마찰력으로 인해 설치대상물(50)의 설치방향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의 제1체결부(21)가 상기 연결몸체(10)의 제1확관부(12)내로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의 제2체결부(22)의 일단부도 상기 연결몸체(10)의 제2확관부(13)내로 삽입되어 지지되기 때문에, 즉,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가 상기 연결몸체(10)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에 나사결합되는 상기 설치대상물(5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장기간 사용시에도 상기 설치대상물(50)의 흔들림이나 한쪽으로 쏠림 현상을 방지하고, 이로인해 누수 및 설치대상물(50)의 이탈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향조절기능을 갖는 나사 연결구(1)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연결몸체(10)의 제2확관부(13)내에 실링부재(30)를 삽입하고,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를 연결몸체(10)에 조립한다.
이때,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의 제1체결부(21)는 상기 연결몸체(10)의 제1확관부(12)내로 삽입되고, 제2체결부(22)의 일단부는 상기 연결몸체(10)의 제2확관부(13)내로 삽입되며,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안착부(25)는 상기 연결몸체(10)의 일단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의 내주면에 형성된 지지부(27)에는 오링(28)을 설치한다.
이후, 상기 조임너트(40)를 상기 연결몸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4)에 나사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조임너트(40)의 걸림부(41)가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안착부(25)게 걸리게 되므로 상기 조임너트(40)의 나사결합시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를 함께 끌고 들어가게 된다.
상기 조임너트(40)의 나사조임이 완료되면,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의 안착부(25)는 상기 연결몸체(10)의 일단부에 안착된 상태가 되며, 상기 연결몸체(10)의 제2확관부(13)내에 삽입된 실링부재(30)는 상기 연결몸체(10)와 대상물 체결부재(20)의 사이에서 압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실링부재(30)의 상측면은 대상물 체결부재(20)측 제2돌기부(29)와 접촉하고 하측면은 연결몸체(10)측 제1돌기부(17)와 접촉하여 상기 연결몸체(10)와 대상물 체결부재(20)간에 마찰력이 증대되게 된다.
또한,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의 제1체결부(21)에 형성된 제2톱니부(23)는 상기 연결몸체(10)의 제1확관부(12)내에 형성된 제1톱니부(16)와 맞물리게 된다.
이후, 상기 설치대상물(50)의 나사연결부(51)를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의 나사부(26)에 나사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는 회전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로 있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설치대상물(50)과 대상물 체결부재(20)간에 나사결합이 완료된 후, 상기 설치대상물(50)의 설치방향을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설치대상물(50)을 나사결합시의 방향(정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설치대상물(50)을 나사결합시의 방향(정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가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설치대상물(50)이 상기 방향조절수단(15)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걸림감이 들면서 빡빡하게 회전하게 되므로 설치대상물(50)의 설치방향을 간편하고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상기 설치대상물(50)이 걸림감이 들면서 빡빡하게 회전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한편, 상기 설치대상물(50)과 대상물 체결부재(20)간에 나사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설치대상물(50)의 나사연결부(51) 단부가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의 지지부(27)에 안착된 오링(28)에 접촉하게 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설치대상물(5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가 상기 방향조절수단(15)에 의해 역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결국 상기 설치대상물(50)이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로부터 풀리게 되어 설치대상물(50)의 분리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1: 나사 연결구 10: 연결몸체
11: 유체통로 12: 제1확관부
13: 제2확관부 14: 나사부
15: 방향조절수단 16: 제1톱니부
17: 제1돌기부 20: 대상물 체결부재
20a: 연통로 21: 제1체결부
22: 제2체결부 23: 제2톱니부
24: 절개홈 25: 안착부
26: 나사부 27: 지지부
28: 오링 29: 제2돌기부
30: 실링부재 40: 조임너트
41: 걸림부 50: 설치대상물
51: 나사연결부

Claims (5)

  1. 나사연결부(51)를 갖는 설치대상물(50)이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설치대상물(50)의 설치방향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방향조절기능을 갖는 나사 연결구에 있어서,
    내부에 유체가 통과하도록 유체통로(11)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유체통로(11)의 일단부에는 상기 유체통로(11)와 단차지는 제1확관부(12) 및 상기 제1확관부(12)와 단차지는 제2확관부(13)가 형성된 연결몸체(10)와,
    일단부는 상기 연결몸체(10)의 제1확관부(12)내로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설치대상물(50)의 나사연결부(51)와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내부에는 상기 유체통로(11)와 상기 설치대상물(50)의 내부를 연통시키도록 연통로(20a)가 형성된 대상물 체결부재(20)와,
    상기 연결몸체(10)의 제1확관부(12)와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의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와 나사결합된 설치대상물(50)의 정방향 회전시에는 일정간격으로 걸림감이 들도록 하여 설치대상물(50)의 설치방향을 조절하고, 역방향 회전시에는 상기 설치대상물(50)이 나사 풀림되도록 하는 방향조절수단(15)과,
    일단부는 상기 연결몸체(10)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에 걸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를 연결몸체(10)에 고정하는 조임너트(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조절기능을 갖는 나사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절수단(15)은,
    상기 연결몸체(10)의 제1확관부(12)의 내주면에 톱니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톱니부(16)와,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의 외주면에 톱니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톱니부(16)와 맞물리는 제2톱니부(2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조절기능을 갖는 나사 연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톱니부(23)가 형성된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의 일단부는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분할 형성되어, 상기 제2톱니부(23)가 상기 제1톱니부(16)에 탄력적으로 맞물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조절기능을 갖는 나사 연결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 체결부재(20)는,
    상기 연결몸체(10)의 제1확관부(12)내로 삽입됨과 아울러 일단부에 상기 제2톱니부(23)가 형성된 제1체결부(21)와,
    상기 제1체결부(21)의 타단부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확관부(13)내로 삽입됨과 아울러 내부의 연통로(20a)에는 나사부(26)가 형성되어 상기 설치대상물(50)의 나사연결부(51)와 나사결합되는 제2체결부(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조절기능을 갖는 나사 연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확관부(13)의 바닥면(13a)에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1돌기부(17)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돌기부(17)와 마주하는 상기 제2체결부(22)의 일측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2돌기부(29)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돌기부(17)와 제2돌기부(29)의 사이에는 상기 연결몸체(10)와 대상물 체결부재(20)간의 기밀을 유지함과 동시에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실링부재(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조절기능을 갖는 나사 연결구.
KR1020110011340A 2011-02-09 2011-02-09 방향조절기능을 갖는 나사 연결구 KR101232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340A KR101232318B1 (ko) 2011-02-09 2011-02-09 방향조절기능을 갖는 나사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340A KR101232318B1 (ko) 2011-02-09 2011-02-09 방향조절기능을 갖는 나사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531A true KR20120091531A (ko) 2012-08-20
KR101232318B1 KR101232318B1 (ko) 2013-02-13

Family

ID=46883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340A KR101232318B1 (ko) 2011-02-09 2011-02-09 방향조절기능을 갖는 나사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231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734B1 (ko) * 2012-09-05 2013-12-10 주식회사 새롬테크 이중관형 파이프 연결구
KR101440572B1 (ko) * 2013-06-17 2014-09-15 코오롱글로벌 (주)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수전의 연결구조
KR101509645B1 (ko) * 2013-12-05 2015-04-08 우명배 수전 연결기구 및 이를 갖는 수전 연결기구 어셈블리
KR101534212B1 (ko) * 2013-03-20 2015-07-08 박강훈 밸브용 나사연결구
KR20150112718A (ko) * 2014-03-27 2015-10-07 박강훈 방향조절기능을 갖는 나사 연결구
EP3318682A4 (en) * 2015-06-30 2018-08-29 Idin Lab, Inc. Faucet coupling structure
KR20200061024A (ko) * 2018-11-23 2020-06-02 서옥민 조명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971B1 (ko) * 2015-07-24 2016-07-27 이도경 수전의 설치구조
KR101785995B1 (ko) * 2016-05-03 2017-10-18 박강훈 방향조절기능을 갖는 나사 연결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542B1 (ko) * 2005-08-19 2007-08-29 박강훈 파이프와 대상물의 연결구조
KR100915412B1 (ko) * 2006-04-21 2009-09-03 박강훈 파이프 연결구
KR100721502B1 (ko) 2006-05-11 2007-05-25 박강훈 설치 대상물의 방향 조절 기능을 갖는 연결구
KR101170603B1 (ko) * 2009-04-24 2012-08-01 박장희 파이프 연결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734B1 (ko) * 2012-09-05 2013-12-10 주식회사 새롬테크 이중관형 파이프 연결구
KR101534212B1 (ko) * 2013-03-20 2015-07-08 박강훈 밸브용 나사연결구
KR101440572B1 (ko) * 2013-06-17 2014-09-15 코오롱글로벌 (주)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수전의 연결구조
KR101509645B1 (ko) * 2013-12-05 2015-04-08 우명배 수전 연결기구 및 이를 갖는 수전 연결기구 어셈블리
KR20150112718A (ko) * 2014-03-27 2015-10-07 박강훈 방향조절기능을 갖는 나사 연결구
EP3318682A4 (en) * 2015-06-30 2018-08-29 Idin Lab, Inc. Faucet coupling structure
KR20200061024A (ko) * 2018-11-23 2020-06-02 서옥민 조명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2318B1 (ko) 201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2318B1 (ko) 방향조절기능을 갖는 나사 연결구
WO2007066452A1 (ja) 管継手ロック装置
KR100721502B1 (ko) 설치 대상물의 방향 조절 기능을 갖는 연결구
KR101534212B1 (ko) 밸브용 나사연결구
KR20130086908A (ko) 파이프 연결구
KR101703030B1 (ko) 방향조절기능을 갖는 나사 연결구
KR20100024790A (ko) 급수 개폐 장치
JP2008531882A (ja) 一体式給水遮断バルブを備えた蛇口アセンブリ
KR101232319B1 (ko) 파이프 연결구
KR101785995B1 (ko) 방향조절기능을 갖는 나사 연결구
JP5631518B1 (ja) 水栓蛇口
JP6441758B2 (ja) 湯水混合栓への給水および給湯ホース組付け機構
AU2017101338A4 (en) Rigid Thread Extender
WO2012173527A2 (ru) Регулятор давления
EA024410B1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й коллектор
KR101397464B1 (ko) 배관 연결기구
KR200409780Y1 (ko) 배관 연결구
KR101195895B1 (ko) 벽면설치용 수전
JP3164589U (ja) 簡易弁
JP2015055119A (ja) 水栓蛇口及び水栓の壁取付構造
JP6985075B2 (ja) 水栓と壁裏側の配管との接続構造
JP5594279B2 (ja) フラッシュバルブの接続構造
JP7105479B2 (ja) 減圧弁ユニットおよび減圧弁ユニットセット
US20090045369A1 (en) Plumbing Fitting
AU2013242783B2 (en) A Gas or Water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