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1327A - 강도 맞춤식 시트 구성물 - Google Patents

강도 맞춤식 시트 구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1327A
KR20120091327A KR1020127014747A KR20127014747A KR20120091327A KR 20120091327 A KR20120091327 A KR 20120091327A KR 1020127014747 A KR1020127014747 A KR 1020127014747A KR 20127014747 A KR20127014747 A KR 20127014747A KR 20120091327 A KR20120091327 A KR 20120091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trength
structures
seat
internal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4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니엘 제이. 사키넨
올넬라 제카비카
로날드 지. 베드로
프레데릭 티. 윈터스
니콜라스 엘. 페터우호프
안토니 엠. 케스티안
Original Assignee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filed Critical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120091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3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6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particular articles not mentioned be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C21D1/19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by interrupted quenching
    • C21D1/22Martemp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C21D1/25Hardening, combined with annealing between 300 degrees Celsius and 600 degrees Celsius, i.e. heat refining ("Vergü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2Bai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21/00Treating localised areas of an articl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7/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 C21D7/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cold working
    • C21D7/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cold working of the surface
    • C21D7/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cold working of the surface by shot-peening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rings; for bearing r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부의 구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시트-구조의 부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차량 내부의 구성물을 제조하는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강도 맞춤식 시트 구성물{Seat Structural Component Tailored for Strength}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의 구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시트-구조의 부품(part)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내부의 구성물을 생산하는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내부의 부품들은, 특히 차량 시트 및 그것의 구조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차량-시트는 시트 베이스(seat base) 및 시트 백(seat back)을 포함한다. 시트 백은 대부분의 경우 리클라이너(recliner)에 의해 시트 베이스에 부착된다. 시트 베이스뿐만 아니라, 시트 백 각각은, 대부분의 경우, 시트 커버에 의해 둘러싸인 쿠션에 의해 덮여진, 구조, 예를 들어 프레임(frame)을 포함한다.
내부의 부품들, 특히 시트 구조의 부품들은 복잡한 형상인, 종종 스탬핑된(stamped), 구성물이고, 이는, 특히 충돌 하중(crash load)을 감당하기 위해, 반드시 매우 높은 강도를 가져야만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구성물들을 높은 강도의 재료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높은 강도의 재료는 스탬핑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구성물을 사용에 적합하지않도록 하는 쪼개짐(split) 또는 균열(crack)이 스탬핑 동안에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복잡한 형상이고 높은 강도인 차량 내부-구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잡한 형상이고 높은 강도인 차량 내부-구성물을 생산하는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점들은, 우선, 형성된 이후에, 차량-내부-구성물의 재료 강도를 수정하기 위하여, 전체적으로 및/또는 부분적으로 처리되는, 금속으로 제조된 차량-내부-구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해결된다.
상기 문제점들은 또한, 우선, 형성된 이후에, 차량-내부-구성물의 재료 강도를 전체적으로 및/또는 부분적으로 수정하기 위하여 처리되는, 금속으로 제조된 차량-내부-구성물의 처리 프로세스에 의해 해결된다.
후술 되는 개시내용은 발명의 대상인 구성물에 적용되고, 마찬가지로, 발명의 대상인 프로세스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 안에 위치되는 구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 구성물은 어떠한 차량-내부-부품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구성물은 차량 시트의 구조의 일부이다. 즉, 시트 베이스 구조 및/또는 시트 백 구조의 일부이고,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프레임(frame) 또는 프레임(frame)의 일부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구성물은 측면-부재 및/또는 연결 요소이고, 두 측면 부재 및 두 연결 부재가 시트 베이스 또는 시트 백의 프레임(frame)을 형성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성물은 시트 조정기(seat adjuster)의 일부이고, 특히, 시트의 전/후 조정을 위한 두 개의 레일 중 적어도 하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는 한 명 또는 그 이상의 차량 탑승자를 위한 착석 공간을 제공하는, 차량 내의 어떠한 시트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시트는 벤치일 수도 있다.
구성물은 금속으로 제조되고, 바람직하게는 강철, 예를 들어, 붕소 처리된 강철로 제조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적절하게 롤링 된 강철-판으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강철은 낮거나 중간 정도의 강도를 갖는 것이 선택된다. 예를 들어, 400-600 Mpa에서 0.02-0.07의 변형률을 갖는 붕소강(boron steel, DB 200)이다.
이러한 구성물은 우선, 바람직하게는, 삼차원적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성물의 재료는 냉간 성형에 의해, 구성물의 원하는 형태로 변화되는데, 특히, 예를 들어 강철판은 "압연 상태로(as-rolled)" 성형된다.
냉간 성형은 스탬핑으로 실행될 수 있다.
활용되는 재료가 낮거나 중간 정도의 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재료를 요구되는 형상, 특히, 복잡한 형상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성형 이전에, 성형 동안에 또는 성형 이후에, 구멍들이 구성물의 재료에 삽입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드릴링 또는 펀칭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구성물의 바람직하게 요구되는 두께는, 금속으로 제조되는 경우, 0.8 내지 1.5mm이다.
성형 이후에, 구성물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재료 강도를 변경하기 위하여, 처리된다. 바람직하게는, 재료 강도는 부분적으로 증가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체 구성물의 재료 강도는 증가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구성물의 강도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증가하고, 이후, 부분적으로 다시 감소한다.
처리된 영역에서 목표 되는 재료 특성치는 바람직하게는 항복 강도 1000 내지 1200 Mpa 이고, 파괴 강도 1300 내지 1500 Mpa이다.
부분적인 강도를 증가시키는 처리는, 예를 들어, 다음의 프로세스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어닐링(annealing), 오스템퍼링(austempering), 침탄질화(carbonitriding), 침탄(carburizing), 표면 경화(case hardening), 재래적 경화(예를 들어, 퀀칭(quenching) 및 템퍼링(tempering), 균질화(homogenizing), 열간 정수압 소결법(hot isostatic pressing), 마르템퍼링(martempering), 노멀라이징(normalizing), 에이징(aging), 숏피닝(shot peening), 블라스팅(blasting), 고용화 열처리(solution treating), 안정화(stabilizing) 및/또는 응력 제거(stress relieving).
발명의 대상인 구성물을 처리하는데 유용한 장비는, 바람직하게는 보호성 분위기, 염욕(salt bath) 및/또는 진공을 갖는 노(furnace), 불꽃/토치(flame/torch), 레이져 및/또는 전자빔이다.
인덕션 히팅은 발명의 대상인 구성물을 처리하는, 특히, 부분적으로 처리하는 다른 대안이다.
차량-내부-구성물을 부분적 또는 전면적으로 열처리하는 바람직한 일 방법은 인덕션 경화이다. 인덕션 경화에 있어서, 전자기장은 공정 대상물 내에 와상 전류(eddy currents)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되어, 저항성 히팅 효과가 발생되도록 한다. 히팅은 적절한 인덕션 코일 디자인을 통해 히팅 영역을 국부화 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히팅 속도는 다른 히팅 방법에 비하여 매우 빠르다. 강철이 충분한 온도까지 가열 되었을 때, 인덕션은 중단된다.
바람직하게는, 히팅 이후에, 구성물은, 처리되지 않은 재료에 비해 강도 레벨이 크게 향상하는 마르텐사이트 및/또는 베이나이트로의 강철의 미세구조 변화를 보조하기에 충분한 빠르기의 속도로 냉각된다.
인덕션 히팅을 사용하는 이점은, 히팅 패턴이, 특히, 부분적으로, 매우 세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는 열처리 된 구성물의 구역들이 비교적 가까운 영역들에서 열처리 되지 않은 상태로 남겨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구성물의 강도는 요구되는 위치에서 높은 강도이고 다른 영역에서 낮은 강도이나 높은 연성이 되도록 맞추어 질 수 있다.
낮은 강도 영역들은, 예를 들어, 충둘 시에, 그것들의 변형으로 인해 에너지를 흡수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시트의 하부 측면 부재는 구성물 전체적으로 높은 강도인 것으로부터 이점을 얻을 수 있는 구성물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물 전체에 걸쳐 다양한 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높은 강도가 요구되는 영역은 리클라이너(recliner) 부착 영역의 주변 영역이다. 재료의 낮거나 중간 정도인 초기 강도에 기인하여, 구성물은 깊은 구역을 갖도록 성형 될 수 있다.
성형 이후에, 리클라이너(recliner) 부착 주변 영역은, 예를 들어, 히팅, 특히 인덕션 히팅, 및 바람직하게는 이후의 퀀칭에 의해 강화된다.
더 높은 강도가 요구될 수 있는 영역은 측면 부재 구성물의 전방 구역 내에 있다. 재료의 낮거나 중간 정도인 초기 강도에 기인하여, 구성물은 깊은 구역을 갖도록 성형될 수 있다.
성형 이후에, 리클라이너(recliner) 부착 주변 영역은, 예를 들어, 히팅, 특히 인덕션 히팅, 및 바람직하게는 이후의 퀀칭에 의해 강화된다.
바람직하게는, 측면 부재의 중앙 구역은 부드럽고 연성인 상태가 되도록 남겨진다. 이는 구성물의 강도를 관리함에 있어서, 이점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돌 상황 동안에, 구조물로 전달되는 에너지를 관리함에 있어서도 이점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차량 내부 구성물은 시트의 종방향 조절을 위한 두 개의 레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레일들 사이에서, 보통, 롤링(rolling) 요소들이 마찰을 줄이기 위하여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레일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히, 롤링 요소와 접촉하는 영역에서, 예를 들어, 내구력 및/ 또는 평활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경화된다.
경화를 위한 다른 바람직한 영역은 두 레일의 걸림이 발생하는, 두 레일의 영역이다. 여기서, 국부적인 강도가 바람직하게 향상된다.
이하에서, 발명은 도 1 내지 도 6에 따라 더 자세하게 설명된다.
이러한 설명들은 보호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발명의 대상인 구성물을 포함하는 시트를 갖는 차량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발명의 대상인 구성물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발명의 대상인 구성물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의 등받이의 프레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4h는 본 발명의 대상인 구성물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 및 그 것이 어떻게 제조되는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5b는 시트 조정기의 상부 레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시트 조정기의 하부 레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도면들을 전반적으로 참조하면, 특히,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다.
차량은 차량의 탑승자를 위해 제공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차량 시트를 포함한다.
차량 시트 구조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다.
도시된 차량은 4-도어 세단이지만, 이러한 시트는 미니-밴, SUV(sport utility vehicle) 또는, 사무실 좌석 및 운송 분야로부터 비행기 및 우주 여행 분야까지의 모든 분야 그리고 그 사이의 모든 분야를 포함하는 모든 적용분야(application) 또는 시장(market)으로 어떤 물건을 운반하거나 이송하기 위한 또는 누군가가 타고 이동하기 위한 기타의 모든 수단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시된 차량 시트는 시트 백, 시트 베이스, 그리고 시트 백 및 시트 베이스에 결합되는 리클라이너 또는 연결 부재를 구비한다. 차량 시트는 또한 머리 받이 및 베이스부를 더 구비한다. 머리 받이는 시트 백으로부터 위로 연장하며, 승객의 머리를 받치도록 구성된다. 베이스부(예를 들어 트랙 조립체(track assembly))는 시트를 차량 본체에 결합시키며, 차량 본체에 대해 시트가 (수동 또는 모터 구동식으로)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차량 시트의 프레임(frame)을 도시한다.
이 프레임(frame)은 시트 백의 프레임(1)을 포함한다. 차량 시트는 레일(9, 10)에 의해 종방향으로 조절가능하다. 프레임(1)은 두 개의 측면 부재(2)를 포함하고, 측면 부재(2)는 상부 및 하부 연결 부재(3)에 의해 연결되어 프레임을 형성한다. 프레임의 하부에서, 프레임은 측면 충격 튜브(4) 및 두 개의 리클라이너(recliner, 5)를 포함하고, 그것들은 시트 백을 시트 베이스에 연결한다. 시트 베이스는 또한 측면 부재(6)를 포함하고, 측면 부재(6)는 연결 부재들과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면 충격 튜브(4)뿐만 아니라 측면 부재(2, 6)는, 그것들의 강도를 부분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하여 이제 부분적으로 처리된다. 측면 부재들은, 예를 들어, 리클라이너(recliner)가 측면 부재들과 연결되는 영역(7) 내에서 처리된다. 측면 충격 튜브(4)는, 그것의 내좌굴력(buckling resistance)을 요구되는 강도까지 증가시키기 위하여, 영역 8 내에서 처리된다. 필요하다면, 측면 부재(2, 6) 전체의 강도 및 측면 충격 튜브(4) 전체의 강도도 증가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강도의 부분적 증가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 부분적인 열 처리에 의해 강화가 수행되었다. 처리에 기인하여, 파괴 강도(Rm) 및 항복 강도(Rp) 0.2 는 적어도 100%까지, 바람직하게는 150%까지, 더 바람직하게는 200%까지 증가되었다.
도 4a 내지 4h는 시트 베이스의 측면 부재(6)를 도시한다.
시트 베이스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된 두 측면 부재(6)는, 시트 베이스 구조의 일부이고, 특히, 시트베이스 프레임의 일부이다. 프레임은, 대부분의 경우에, 상부 트랙(9)에 연결되고, 시트의 위치를 종방향으로 조정하기 위하여, 상부 트랙(9)은 자동차의 몸체에 연결된 하부 트랙(10)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차량 시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수단 또한, 시트 베이스의 측면 부재에 부착될 수 있다. 측면 부재는, 그것의 영역(A)에서, 리클라이너(recliner)를 위한 연결 수단을 갖는다. 도 4a에서 음영으로 처리된 영역으로 지시된, 이러한 제한된 구역에서, 측면-부재-재료의 강도는, 예를 들어 이 영역을 히팅하고, 특히, 인덕션 히팅하고, 이후 퀀칭(quenching)함으로써 증가되었다. 이 영역은 구성물 내에서 가장 높은 강도가 요구되는 영역이다. 왜냐하면, 이 영역은 리클라이너(recliner)가 측면 부재와 연결되는 영역이기 때문이다.
상기 내용에서 이미 강조한 바와 같이, 강도가 증가되는 영역의 형상은 신중하게 제어될 수 있다.
도 4와 비교하면, 도 4b에 따른 실시예에서 처리된 영역은 증가되었다. 상기 영역은, 예를 들어, 인덕션 히팅에 의해 처리된다.
도 4c에 따른 구성물은 두 영역(A1, A2) 내에서 처리되고, 두 영역(A1, A2) 내의 측면 부재(6)의 기계적 강도는 증가된다. 이러한 영역들 내에서, 모든 기계적 하중들은 측면 부재 내로 전달 되고, 이에 따라, 높은 기계적 강도가 요구된다. 두 영역(A1, A2) 모두는 열처리된다. 두 영역(A1, A2) 사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기계적 강도(이러한 강도는 측면 부재가 만들어졌을 때로부터의 본래의 재료의 강도 일 수 있다)를 갖는 영역이거나, 기계적 강도가 두 영역(A1, A2)에 비해 적게 증가된 영역일 수 있다. 영역(A1, A2) 사이의 "부드러운" 영역은 특히, 충돌 시 에너지 흡수에 이로울 수 있다.
도 4d는 도 4c에 따른 측면 부재를 어떻게 제조하는 지에 관한 예를 상세히 도시한다.
측면 부재는 우선 측면 부재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전체적으로 열처리 되고, 이후, 재료 강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영역(B)에서 다시 연화된다. 중앙 구역 내의 강도의 감소는 선택적인 어닐링, 예를 들어 강도를 줄이는 가스 불꽃 히팅(gas flame heating)과 같은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4e에 따른 실시예는 도 4b의 실시예에 대한 대안적 실시예로서, 두 단부 구역은 열처리되나, 다른 강도 레벨로 열처리된다.
도 4e에 따른 실시예에서, A' 및 A'' 두 영역들은 그것들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처리, 여기서는 열처리 된다. 그러나 처리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것은 A' 영역에서 더 높은 강화를 야기하고, A'' 영역에서 더 낮은 강화를 야기한다.
도 4f에 따른 실시예에서, 부품을 통한 적절한 부하 흐름을 촉진하기 위하여, 트러스(truss) 형상의 열처리 패턴이 선택된다.
도 4g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한된 길이(도시됨) 및/ 또는 최대 길이(미도시)에 대한 플랜지 영역(Af) 및 제한된 영역(A)의 처리, 여기서는 열처리가 수행된다.
도 4h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특히 테두리(flange) 만이 아니라, 부품(16)의 주변이 열처리 되었다.
도 5a는 시트 베이스에 연결되는, 현 기술 수준에 따른 상부 레일(9)을 세 개의 도면으로 도시한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라 변경된, 도 5a에 도시된 레일을 도시한다.
볼 레이스(ball races)의 영역(A)은 그것들의 재료 특성, 특히, 그것들의 내구력 및/ 또는 그것들의 평활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열처리 되었다. 걸림(latching) 영역은 또한, 재료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부분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도 6a는, 시트 베이스와 연결되는, 현 기술 수준에 따른 하부 레일(10)을 세 개의 도면으로 도시한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라서 변경된, 도 6a에 도시된 레일을 도시한다.
볼 레이스의 영역(A)은 그것들의 재료 특성, 특히, 그것들의 내구성 및/ 또는 그 것들의 평활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열처리 되었다. 걸림(latching) 영역은 또한, 재료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부분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1: 시트백의 프레임 2: 시트백의 측면 부재
3: 연결 부재 4: 측면 충격 부재
5: 리클라이너 6: 시트 베이스의 측면 부재
7: 재료 강도가 증가된 영역 8: 재료 강도가 증가된 영역
9: 상부 레일 10: 하부 레일
A: 높은 강도를 갖는 영역 A1: 높은 강도를 갖는 영역
A2: 높은 강도를 갖는 영역 A': 높은 강도를 갖는 영역
A'': 높은 강도를 갖는 영역 Af: 높은 강도를 갖는 영역
B: 무르게 처리된 영역

Claims (14)

  1. 금속으로 제조된 차량-내부-구성물(1, 2, 3, 4, 6)로서,
    상기 차량-내부-구성물(1, 2, 3, 4, 6)은 성형된 이후에, 상기 차량-내부-구성물(1, 2, 3, 4, 6)의 재료 강도를 수정하기 위하여, 전체적으로 및/또는 부분적으로 처리되는,
    차량-내부-구성물(1, 2, 3, 4, 6).
  2. 제1 항에 있어서,
    재료 강도가 증가하는, 바람직하게는, 부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내부-구성물(1, 2, 3, 4, 6).
  3. 제1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내부-구성물(1, 2, 3, 4, 6)은 붕소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내부-구성물(1, 2, 3, 4, 6)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처리되는 영역에 대한, 상기 증가된 재료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항복강도가 1000 내지 1200 MPa 및/또는 파괴 강도가 1300-1500 M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내부-구성물(1, 2, 3, 4, 6).
  5. 제1 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처리되지 않은 영역의 상기 재료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항복 강도가 600 내지 800MPa 및/또는 파괴 강도가 900 내지 1100 M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내부-구성물(1, 2, 3, 4, 6).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내부-구성물(1, 2, 3, 4, 6)은 차량의 시트의 부분이고, 특히, 측면 부재 및/또는 연결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내부-구성물(1, 2, 3, 4, 6).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내부-구성물(1, 2, 3, 4, 6)은 차량 시트의 종방향 조정을 위한 레일(9,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내부-구성물(1, 2, 3, 4, 6).
  8. 제7 항에 있어서,
    볼 레이스(ball race) 및/또는 걸림 영역이 그 재료 강도에 있어서 수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내부-구성물(1, 2, 3, 4, 6).
  9. 금속으로 제조된 차량-내부-구성물(1, 2, 3, 4, 6)의 처리 프로세스로서,
    먼저 상기 차량-내부-구성물(1, 2, 3, 4, 6)이 성형되고, 이후에, 상기 차량-내부-구성물(1, 2, 3, 4, 6)의 재료 강도를 전체적으로 및/또는 부분적으로 수정하기 위하여,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프로세스.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는 어닐링(annealing), 오스템퍼링(austempering), 침탄질화(carbonitriding), 침탄(carburizing), 표면 경화(case hardening), 균질화(homogenizing), 열간 정수압 소결법(hot isostatic pressing), 마르템퍼링(martempering), 노멀라이징(normalizing), 에이징(aging), 숏피닝(shot peening)/블라스팅(blasting), 고용화 열처리(solution treating), 안정화(stabilizing) 및/또는 응력 제거(stress reliev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11. 제9항 또는 제10 항에 있어서,
    처리-장비는 불꽃/토치(flame/torch), 레이져 및/또는 전자 빔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는 보호성 분위기, 염욕(salt bath) 및/또는 진공을 갖는 노(furnac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프로세스.
  12. 제9 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물은 인덕션 히팅으로, 특히 부분적으로, 열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프로세스.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물 내로 와상 전류(eddy current)를 유도하는 전자기장이 사용되어, 저항성 히팅 효과가 발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프로세스.
  14. 제9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물은 마르텐사이트 및/또는 베이나이트로의 강철의 미세구조 변화를 보조하기에 충분히 빠른 속도로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프로세스.
KR1020127014747A 2009-11-06 2010-11-04 강도 맞춤식 시트 구성물 KR201200913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5876809P 2009-11-06 2009-11-06
US61/258,768 2009-11-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327A true KR20120091327A (ko) 2012-08-17

Family

ID=43301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747A KR20120091327A (ko) 2009-11-06 2010-11-04 강도 맞춤식 시트 구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79166B2 (ko)
EP (1) EP2496723A1 (ko)
JP (1) JP5645945B2 (ko)
KR (1) KR20120091327A (ko)
CN (1) CN102906284B (ko)
WO (1) WO201105692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171A (ko) * 2012-10-08 2015-06-05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차량 시트 구조물 및 구성요소에 대한 열 처리
US10207611B2 (en) 2013-09-09 2019-02-19 Sitech Sitztechnik Gmbh Method for stabilizing and/or for reducing tensions occurring within the wall-like structure by means of laser weld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96723A1 (en) 2009-11-06 2012-09-12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eat structural component tailored for strength
JP5589144B2 (ja) * 2010-11-23 2014-09-10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メタルズ アンド メカニズムス ゲーエムベーハー アンド カンパニー カーゲー 車両シートの長手方向調整装置の摺動レール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EP2562034B1 (de) * 2011-08-25 2017-10-04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Profilbauteil für einen Fahrzeugsitz,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Profilbauteils
KR101119173B1 (ko) * 2011-09-30 2012-02-22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레이저 열처리를 이용한 이종강도를 갖는 강 제품 제조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열처리 경화강
DE102011086650A1 (de) * 2011-11-18 2013-05-2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Strukturbauteile für Fahrzeugsitze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EP2807052B8 (en) * 2012-01-26 2017-08-3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Method for manufacturing a one-piece seat back structure
JP5966713B2 (ja) * 2012-07-19 2016-08-1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DE102013209948A1 (de) 2013-05-28 2014-12-1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rfahren zur Bearbeitung oder Umformung hochbelastbarer Bauteile in Kraftfahrzeugen
CA2930313C (en) 2013-11-25 2022-05-31 Magna International Inc. Structural component including a tempered transition zone
EP3145654A4 (en) * 2014-05-23 2018-01-17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In-process laser hardening/forming of vehicle seat structures and components
US9994927B2 (en) * 2015-02-12 2018-06-12 L&W Engineering Lightweight boron tubular structure support integrated into seat structure
US10611280B2 (en) * 2015-07-29 2020-04-07 Ts Tech Co., Ltd. Vehicle seat frame
US11021768B2 (en) 2016-11-30 2021-06-01 L&W Engineering Shaped boron tubular structure support
CN106741205A (zh) * 2016-12-27 2017-05-31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发动机罩锁及发动机罩锁的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6452A (en) 1970-02-02 1971-09-20 United States Steel Corp Vehicle seat
US4593957A (en) 1984-11-26 1986-06-10 Nippon Thompson Co., Ltd. Rolling bearing made by thin steel plates for providing a rectilinear movement
DE9017895U1 (ko) * 1989-10-26 1993-02-04 Mannesmann Ag, 4000 Duesseldorf, De
DE4238486A1 (de) * 1992-04-27 1993-10-28 Hammerstein Gmbh C Rob Längsführung für Längsverstelleinrichtungen von Fahrzeugsitzen
RU2040552C1 (ru) * 1992-07-14 1995-07-25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а Установка для закалки рельсовых подкладок
DE9416771U1 (de) * 1994-10-18 1995-02-16 F Innenhochdruck Verfahren Mbh Sitzrahmen
SE9800883L (sv) 1998-03-17 1999-07-05 Accra Teknik Ab Ram till en fordonsstol
JP2003239018A (ja) * 2001-12-13 2003-08-27 Kikuchi Co Ltd プレス成形品の焼入れ方法及び焼入れ装置
EP1536898B1 (de) * 2002-09-13 2006-05-31 DaimlerChrysl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ressgehärteten bauteils
JP2007313907A (ja) 2004-08-23 2007-12-06 Delta Tooling Co Ltd シートフレーム、シート構造及びシートフレームの製造方法
US20060201227A1 (en) * 2004-10-01 2006-09-14 Copperweld Canada Inc. Vehicle structural components made from tubular members and method therefor
JP4934283B2 (ja) * 2005-03-02 2012-05-16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車体補強用部材
JP2007169761A (ja) * 2005-12-26 2007-07-05 Delta Kogyo Co Ltd リクライニング部品の製造方法
KR100780841B1 (ko) 2006-06-23 2007-11-29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프레스타입의 국부 열처리용 지그장치
JP4959245B2 (ja) * 2006-07-08 2012-06-20 株式会社デルタツーリング 高強度金属部材の製造方法
EP2147271B1 (en) * 2007-04-18 2017-06-1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Tailor welded seat and components
EP2341799A4 (en) 2008-10-16 2012-04-04 Johnson Controls Tech Co SEAT STRUCTURE OF A SINGLE STRENGTH AND METHOD USING COLD FORMING TO CREATE SEAT STRUCTURES
CN102333675B (zh) 2009-01-30 2015-02-18 江森自控科技公司 座椅结构以及制造座椅结构的方法
JP5565785B2 (ja) * 2009-03-05 2014-08-06 株式会社デルタツーリング 構造材
EP2496723A1 (en) 2009-11-06 2012-09-12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eat structural component tailored for strengt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171A (ko) * 2012-10-08 2015-06-05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차량 시트 구조물 및 구성요소에 대한 열 처리
US10207611B2 (en) 2013-09-09 2019-02-19 Sitech Sitztechnik Gmbh Method for stabilizing and/or for reducing tensions occurring within the wall-like structure by means of laser wel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79166B2 (en) 2016-03-08
JP2013510044A (ja) 2013-03-21
EP2496723A1 (en) 2012-09-12
CN102906284A (zh) 2013-01-30
JP5645945B2 (ja) 2014-12-24
CN102906284B (zh) 2015-05-20
WO2011056923A1 (en) 2011-05-12
US20120273089A1 (en) 201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9166B2 (en) Seat structural component tailored for strength
JP5380458B2 (ja) 車両用bピラー及びbピラーの製造方法
JP3305952B2 (ja) センターピラーリーンフォースの高周波焼入れ強化方法
CN109072322B (zh) 具有至少两个强度不同的区域的汽车组件的制备方法
KR101149728B1 (ko) 차량용 멤버 제작방법
US11359254B2 (en) Heat treatment method and heat treatment device
CN107107959A (zh) 具有不同板厚度和强度的加压淬火的金属板成型件
JP2023182665A (ja) 車両用シートフレーム
KR101125387B1 (ko) 자동차 부품의 충돌성능 향상을 위한 국부강화 핫스탬핑 방법
MX2013000222A (es) Propiedades adaptadas mediante post-procedimiento de formacion en caliente.
KR101671691B1 (ko) 차량 시트 구조물 및 구성요소에 대한 열 처리
US11702715B2 (en) Lightweight door beam, composition thereof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118239B2 (en) Heat treatment method and heat treatment device
KR101124239B1 (ko) 고강도 자동차 시트 레일 및 이의 제조 방법
US6994350B2 (en) Crush zone and method for introducing crush zone into vehicle structure
CN114555453A (zh) 一种用于车辆框架的成形钣金部件和相应的生产方法
KR20120132836A (ko) 핫 스탬핑 성형체 및 그 제조 방법
DE202018103368U1 (de) Fahrzeugunterbodenkomponentenschutzbaugruppe
KR101383393B1 (ko) 국부 핫스탬핑 성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핫스탬핑 성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904

Effective date: 20160317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201003204;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REQUESTED 20160517

Effective date: 2016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