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1302A - 플레이트에 딥 드로잉된 리세스 - Google Patents

플레이트에 딥 드로잉된 리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1302A
KR20120091302A KR1020127014573A KR20127014573A KR20120091302A KR 20120091302 A KR20120091302 A KR 20120091302A KR 1020127014573 A KR1020127014573 A KR 1020127014573A KR 20127014573 A KR20127014573 A KR 20127014573A KR 20120091302 A KR20120091302 A KR 20120091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ss
base
wall
pleats
pl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4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4188B1 (ko
Inventor
크누트 라펠
트란 민흐 당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20091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6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 B62D43/1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and arrang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리세스 베이스(4')를 구비하고, 리세스 베이스(4') 그 자체가 리세스 벽(5')으로 전환되는, 차체, 특히 차량 차체의 플로어 플레이트(2')에 있는 리세스(1')가 제안되는바, 그 리세스(1')는 리세스 베이스(4')를 보강하는 하나 이상의 제1 베이스 주름들(3') 및 리세스 벽(5')을 보강하는 하나 이상의 제1 벽 주름들(6')을 구비하되, 적어도 하나의 제1 베이스 주름(3') 및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벽 주름(6')은 리세스 베이스(4')로부터 리세스 벽(5')으로의 전환 영역에서 제1 베이스 주름(3')의 프로파일 구조가 대응하는 제1 벽 주름(6')의 프로파일 구조에 연결되도록 공통의 수직 평면에 배치되어 몰딩되고, 제1 베이스 주름(3')이 리세스 내부를 향해 그리고 대응하는 제1 벽 주름(6')이 리세스 외부를 향해 몰딩되도록 또는 그 반대로 몰딩되도록 제1 벽 주름(6')의 몰딩이 제1 베이스 주름(3')의 몰딩과 대비하여 바뀐다.

Description

플레이트에 딥 드로잉된 리세스{DEEP?DRAWN RECESS IN A PANEL}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특징 조합에 따른, 플레이트, 특히 차량 차체의 플로어 플레이트에 있는 리세스에 관한 것이다.
차량, 특히 자동차의 차체에 예컨대 딥 드로잉(deep drawing)된, 예를 들어 트렁크 및 스페어 휠 리세스(spare wheel recess), 아울러 오일 팬(oil pan)과 같은 대형 리세스들은 한편으로 유효 적재량 및 오용 적재량에 의한 정적 하중을 견뎌낼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지배적 여기원(dominant excitation source)의 위쪽에 있는 충분히 높은 주파수 영역으로 플로어 고유 진동을 이동시켜 공진을 피할 수 있게 하는데 충분한 베이스 강성 및 강도를 가져야 한다.
그러한 요건에 부응하기 위해, 그러한 리세스의 리세스 베이스를 프로파일 빔들 또는 소위 별 모양 빔들에 의해 보강하는 것이 오래전부터 공지되어 있으나, 그것은 비용 상승을 수반하고, 특히 중량 증가까지도 수반하며, 따라서 차량 제조자 측에서 생태적인 이유로 얻고자 하는 경량 구조와 상치된다. 또한, 트렁크 플로어 플레이트를 보강판에 의해 보강하고, 보강판 그 자체를 트렁크 플로어 플레이트의 스페어 휠 리세스에 그 길이 방향 축을 가로질러 삽입하여 그와 용접하는 것이 DE 102 29 752 A1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또한, 차량의 차체 면들, 특히 플로어 면들을 그 플로어 면들에 주조되는, 그 자체 공지된 다수의 주름들(corrugations)에 의해 보강하고, 그 주름들을 베이스 주름들로서 플로어 면들의 수평 섹션들로부터 출발하여 예컨대 센터 터널(center tunnel)의 영역에 있는 플로어 면들의 수직 섹션들 또는 대략의 수직 섹션들 내에까지 연장시켜 벽 주름들을 형성하는 것이 JP 63043874 A, JP 11208520 A, 및 DE 103 61 045 A1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 특히 깊은 드로잉 깊이를 갖는 딥 드로잉된 리세스에서는 형성하려는 주름이 리세스 베이스로부터 리세스 벽으로 전환되는 영역에서 재료가 불균일하게 늘어나 결과적으로 균열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바로 전술한 깊은 리세스의 경우에 리세스 벽 및 특히 리세스의 수평 섹션으로부터 수직 섹션으로의 주름의 전환부가 서로 나란히 배치된 전술한 형태의 다수의 주름들에서 리세스의 수평 섹션 또는 리세스 베이스와 수직 섹션 또는 리세스 벽의 경계 영역이 소위 "아코디언"과 유사하게 형성되어 그 경계 영역에서 거의 강성이 발휘될 수 없도록 현저하게 작용하고, 그에 따라 전술한 주름 보강에도 불구하고 그 이상의 큰 보강 잠재력이 이용되지 못한 채 머물고 마는 것으로 실제 판명되었다. 후술할 본 발명은 여기에서 비롯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주름 보강의 이점들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간단하고 저렴한 조치들에 의해 플레이트, 특히 차량 차체의 플로어 플레이트에 있는 리세스의 강성 및 강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설정 과제는 플레이트, 특히 차량 차체의 플로어 플레이트에 있는 리세스로서, 리세스 베이스를 구비하고, 리세스 베이스 그 자체가 리세스 벽으로 전환되며, 리세스가 리세스 베이스를 보강하는 하나 이상의 제1 베이스 주름들 및 리세스 벽을 보강하는 하나 이상의 제1 벽 주름들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베이스 주름 및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벽 주름이 리세스 베이스로부터 리세스 벽으로의 전환 영역에서 제1 베이스 주름의 프로파일 구조가 대응하는 제1 벽 주름의 프로파일 구조에 연결되도록 공통의 수직 평면에 배치되어 몰딩되며, 제1 베이스 주름이 리세스 내부를 향해 그리고 대응하는 제1 벽 주름이 리세스 외부를 향해 몰딩되도록 또는 그 반대로 몰딩되도록 제1 벽 주름의 몰딩이 제1 베이스 주름의 몰딩과 대비하여 바뀌는 리세스에 의해 해결된다.
그러한 조치들에 의해, 제1 베이스 주름으로부터 제1 벽 주름으로의 전환 영역에서 리세스 베이스로부터 리세스 벽으로의 해당 전환 영역에 각각 소위 "지로 크로싱(zero crossoing)", 즉 인장 강성 및 압축 강성이 있는 미변형 영역이 리세스의 둘레 방향으로 제공되는데, 그러한 미변형 영역은 리세스의 강성 및 강도와 그 공진 거동에 매우 유리하게 작용한다.
종속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들 및 부가의 구성들을 기재하고 있다.
그에 따르면, 리세스는 리세스 베이스를 보강하는 하나 이상의 제2 베이스 주름들을 더 구비하고, 제2 베이스 주름들 그 자체는 제1 베이스 주름들을 가로질러 정렬되어 배치되는데, 적어도 하나의 제2 베이스 주름 및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벽 주름은 리세스 베이스로부터 리세스 벽으로의 전환 영역에서 제2 베이스 주름의 프로파일 구조가 대응하는 제2 벽 주름의 프로파일 구조에 연결되도록 공통의 수직 평면에 배치되어 몰딩되며, 제2 베이스 주름이 리세스 내부를 향해 그리고 대응하는 제2 벽 주름이 리세스 외부를 향해 몰딩되도록 또는 그 반대로 몰딩되도록 제2 벽 주름의 몰딩이 제2 베이스 주름의 몰딩과 대비하여 바뀐다. 그러한 조치들도 역시 바람직하게도 리세스의 강성 및 강도는 물론 그 공진 거동을 정해진 대로 설정하는데 기여한다.
바람직하게는, 인접하게 배치된 다수의 베이스 주름들 및 그 베이스 주름들과 대응하는 인접하게 배치된 다수의 벽 주름들이 마련될 경우, 인접한 베이스 주름들 및 인접한 벽 주름들이 각각 교대로 리세스 내부를 향해 또는 리세스 외부를 향해 몰딩되며, 그럼으로써 리세스 베이스 및 리세스 벽에 파형 횡단면들이 생성될 수 있거나 생성되는데, 파형 횡단면들 그 자체는 리세스의 인장 강성 및 압축 강성이 있는 미변형 경계 영역에서 서로 연결되고, 강성 인장-압축 스트립의 방식을 따라 리세스의 둘레 방향으로 동시에 고정된다.
본 발명이 또한 조치하는 바와 같이, 바람직한 제1 구성에 따라 다수의 제1 베이스 주름들 및 대응하는 벽 주름들과 다수의 제2 베이스 주름들 및 대응하는 벽 주름들이 각각 서로 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특히 주로 다각형의 밑면을 따르는 밑면을 갖는 리세스 베이스를 구비한 리세스가 바람직하게도 넓은 면적에 걸쳐 본 발명에 따른 주름 구조를 갖출 수 있다. 반면에, 방사형 또는 별 모양의 주름들 형태가 구현되고, 그럼으로써 특히 적어도 부분적으로 라운드 또는 원형 밑면을 갖는 리세스 베이스를 구비한 리세스가 바람직하게도 넓은 면적에 걸쳐 본 발명에 따른 주름 구조를 갖출 수 있도록 다수의 제1 베이스 주름들 및 대응하는 벽 주름들을 서로 정렬하여 배치하는 것도 적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매우 바람직한 구성에 있어서는, 제1 및/또는 제2 베이스 주름들 및 대응하는 벽 주름들이 다수일 경우에 리세스 베이스로부터 리세스 벽으로의 전환 영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전환 영역에 통합된 이미 전술한 인장-압축 스트립의 방식을 따라 리세스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고, 주름들 형태를 최적으로 구성하면서도 그 인장-압축 스트립이 리세스 베이스의 베이스면을 완전히 둘러싸서 소위 팽팽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주름들이 배치될 수 있다.
리세스에 있어서, 리세스는 금속, 플라스틱, 복합재, 또는 생각할 수 있는 다른 모든 적절한 재료로 이뤄진 플로어 플레이트에 일체로 몰딩될 수 있거나, 상기 재료들로 이뤄진 사전 제작된 별개의 장착 부품으로서 플로어 플레이트의 미리 제공된 개구부에 삽입되어 그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리세스는 공지의 딥 드로잉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1은 선행 기술에 따른 보강 주름들을 갖춘 서두에 전제된 타입의 리세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단면 I-I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해당 리세스의 리세스 베이스로부터 리세스 벽으로의 전환 영역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리세스에 하중이 걸리지 않은 상태와 하중이 걸린 상태에서의 도 2에 따른 리세스의 단면 II-II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리세스에 하중이 걸리지 않은 상태와 하중이 걸린 상태에서의 도 2에 따른 리세스의 단면 III-III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전방 측이 개방된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리세스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Z" 부분의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해당 리세스의 리세스 베이스로부터 리세스 벽으로의 전환 영역의 상세도이다.
도 9는 둘레를 둘러 폐쇄된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리세스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단면 IV-IV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둘레를 둘러 폐쇄된 제2 구성 형태에 따른 리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둘레를 둘러 폐쇄된 제3 구성 형태에 따른 리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들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판금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뤄진 플레이트로부터 그 자체 공지되어 있는,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지 않을 딥 드로잉 방법에 따라 제조된 리세스(1)를 도시하고 있는데, 리세스(1) 그 자체는 금속, 플라스틱, 복합재, 또는 생각할 수 있는 다른 모든 적절한 재료로 이뤄진 차체, 특히 차량 차체의 플로어 플레이트(2)에 일체로 몰딩된다.
그러나 상기 리세스(1)가 전술한 재료로 이뤄진 별개의 장착 부품으로서 플로어 플레이트(2)의 미리 제공된 개구부에 삽입되어 그에 고정되고/고정되거나, 예컨대 오일 팬으로서 플랜지에 의해 엔진 블록에 고정되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다(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음).
공지의 선행 기술(예컨대, 서두에 언급된 문헌 DE 103 61 045 A1 참조)에 따르면, 리세스(1)는 서로 축 방향으로 거의 평행하게 정렬되어 배치되는 베이스 주름들(3)을 구비하는데, 베이스 주름들(3) 그 자체는 리세스 베이스(4)로부터 리세스 벽(5)으로의 전환 영역에서 각각 동일한 수직 평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벽 주름(6)으로 직접 전환된다(도 1 내지 도 3 참조). 본 경우, 베이스 주름(3)은 양단에서 각각 벽 주름(6)으로 전환된다. 즉, 베이스 주름(3) 및 각각의 대응하는 벽 주름(들)(6)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고, 즉 리세스 내부를 향해 또는 리세스 외부를 향해 몰딩되고, 베이스 주름(3)의 프로파일 구조가 단절 없이 벽 주름(들)(6)의 프로파일 구조로 전환된다. 따라서 리세스 베이스(4)로부터 리세스 벽(5)으로의 전환 영역에서도 베이스 주름 및 벽 주름(들)(3, 6)의 각각의 프로파일 구조가 그대로 유지된다.
특히, 도 1 및 도 3에서 더욱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접하게 배치된 베이스 주름들(3) 및 인접하게 배치된 벽 주름들(6)은 각각 교대로 리세스 내부를 향해 또는 리세스 외부를 향해 몰딩된다. 즉, 인접한 베이스 주름들 및 벽 주름들(3, 6)의 몰딩이 주름마다 반전된다.
이미 서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행 기술에 따른 그러한 주름들 구조 또는 그러한 주름들 형태는 리세스 베이스(4)의 각각의 경계 영역의 리세스 베이스(4)로부터 리세스 벽(5)으로의 상대적으로 인장 및 압축에 약한 전환 영역을 발생시키는데, 그러한 전환 영역은 "아코디언"과 유사하게 유효 적재량 및/또는 오용 적재량에 의한 정적 하중으로 인해 변형이 증대되고 주행 운전 중에 플로어 고유 진동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단점이 있다. 그와 관련된 전술한 리세스(1)의 리세스 베이스(4)로부터 리세스 벽(5)으로의 인장 및 압축에 약한 상기 전환 영역 및 리세스 베이스(4)의 부하 상태들이 도 4 및 도 5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하중이 걸리지 않은 상태가 실선에 의해 그리고 하중이 걸린 상태가 점선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불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이제 도 6 내지 도 11에 따라 리세스 베이스(4')를 보강하는 하나 이상의 제1 베이스 주름들(3') 및 리세스 벽(5')을 보강하는 하나 이상의 제1 벽 주름들(6')을 구비하는, 차체, 특히 차량 차체의 플로어 플레이트(2')에 있는 리세스(1')가 제안되는데, 적어도 하나의 제1 베이스 주름(3') 및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벽 주름(6')은 리세스 베이스(4')로부터 리세스 벽(5')으로의 전환 영역에서 제1 베이스 주름(3')의 프로파일 구조가 대응하는 제1 벽 주름(6')의 프로파일 구조에 연결되도록 공통의 수직 평면에 배치되어 몰딩되면서도, 전술한 종래의 구성과는 반대로 제1 베이스 주름(3')이 리세스 내부를 향해 그리고 대응하는 제1 벽 주름(6')이 리세스 외부를 향해 몰딩되도록 또는 그 반대로 몰딩되도록 제1 벽 주름(6')의 몰딩이 제1 베이스 주름(3')의 몰딩과 대비하여 바뀐다. 각각의 대응하는 베이스 주름과 벽 주름(3', 6')의 몰딩이 소위 반전되거나 뒤집힌다.
도 6은 그와 같이 형성된 리세스(1')를 도시한 것으로, 그 리세스(1')는 본 경우에 차량의 플로어 플레이트(2')의 후방 영역에 일체로 몰딩되고, 후미 측에서 개방되어 트렁크 리세스를 형성하는데, 그 트렁크 리세스는 여기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그 자체 공지되어 있고 차량 횡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어 밸런스(rear valance)에 의해 폐쇄된다.
특히, 우선 서로 거의 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인접하여 각각 배치되고 차량 길이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게 뻗은 다수의 제1 베이스 주름들(3')이 차량 횡 방향(Y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교대로 리세스 내부를 향해 또는 리세스 외부를 향해 몰딩되는 주름들 형태를 보이고 있음을 도 6으로부터 알아볼 수 있다(특히, 도 7 및 도 8도 함께 참조).
선택된 제1 베이스 주름들(3')에는 본 발명에 따라 공통의 수직 평면에서 정면 측으로 제1 벽 주름(6')이 연결되는데, 그러한 연결은 전술한 리세스 베이스(4')로부터 리세스 벽(5')으로의 전환 영역에서 제공되고, 각각의 대응하는 베이스 주름과 벽 주름(3', 6')의 몰딩이 전술한 바와 같이 반전된다.
그러한 조치에 의해, 리세스 베이스(4')로부터 리세스 벽(5')으로의 전환 영역 또는 베이스 주름(3')으로부터 대응하는 벽 주름(6')으로의 전환 영역에 인장 및 압축 강성이 있는 거의 미변형의 섹션이 제공되는데, 그러한 미변형 섹션은 리세스(1')의 강성 및 강도와 그 공진 거동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나란히 배치된 다수의 베이스 주름들 및 대응하는 벽 주름들(3', 6')이 마련되는 경우, 바람직하게도 상기 전환 영역에 통합되는 강성의 인장-압축 스트립(7')이 제공되는데, 그 인장-압축 스트립(7')은 전환 영역을 따라, 즉 리세스(1')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고, 리세스(1')의 더욱 향상된 강성 및 강도를 구현한다.
도 6에 따라 리세스(1')의 리세스 베이스(4')기 대략 직사각형의 밑면, 즉 다각형의 밑면을 따르는 밑면을 갖는다는 사실에 의거하여, 제1 베이스 주름들(3')과 거의 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지금까지 보강되지 않았던, 리세스 베이스(4')로부터 리세스 벽(5')으로의 전환 영역에 상기 제1 베이스 주름들(3')을 가로질러 정렬되어 배치되는 제2 베이스 주름들(3")을 본 발명에 따른 대로 대응하는 벽 주름들(6")과 함께 마련하는 것이 제안된다. 그러한 조치에 의해, 리세스 베이스(4')로부터 리세스 벽(5')으로의 전환 영역의 거의 전체가 리세스(1')의 둘레 방향으로 강성의 인장-압축 스트립(7')으로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와 같은 한, 제1 베이스 주름 및 벽 주름(3', 6')을 주 주름들이라 지칭하고, 제2 베이스 주름 및 벽 주름(3", 6')을 보조 주름들이라 지칭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따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라 제1 및 제2 베이스 주름들 및 벽 주름들(3', 6')을 구비하고 둘레를 둘러 폐쇄된 리세스(1')가 도시되어 있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구별되는데, 여기서는 간단히 하려는 이유로 상이하게 몰딩되는 베이스 주름들 및 벽 주름들(3', 6', 3", 6")의 주름 궤적들이 단지 매우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즉, 리세스 내부를 향해 몰딩된 베이스 주름들 및 벽 주름들(3', 6', 3", 6")의 주름 궤적들이 실선 윤곽선에 의해 표시되어 있고, 리세스 외부를 향해 몰딩된 베이스 주름들 및 벽 주름들(3', 6', 3", 6")의 주름 궤적들이 점선 윤곽선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주름들 형태는 리세스 베이스(4')로부터 리세스 벽(5)으로의 전환 영역에서 둘레를 두르는 강성의 인장-압축 스트립(7')이 구현되도록 선택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각각 서로 거의 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정렬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베이스 주름들 및 대응하는 벽 주름들(3', 6', 3", 6')을 갖는 리세스(1')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러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방사형 또는 별 모양의 주름들 형태들도 역시 단독으로 또는 다수의 베이스 주름들 및 대응하는 벽 주름들(3', 6', 3", 6')의 거의 축 방향으로 평행한 정렬 및 배치가 제공되는 주름들 형태 1개 이상과의 조합(도시되지 않음)으로 포괄하고 있다.
예컨대, 원형의 밑면을 갖는 리세스(1')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데, 그러한 리세스(1')에서는 제1 베이스 주름들(3')이 리세스 베이스(4')의 중심 섹션으로부터 시작하여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본 발명에 따라 대응하는 벽 주름들(6')에 연결되는 별 모양의 주름들 형태가 유리하다. 여기서도 역시, 간단히 하려는 이유로 상이하게 몰딩되는 제1 베이스 주름들 및 벽 주름들(3', 6')의 주름 궤적들이 단지 매우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는데, 리세스 내부를 향해 몰딩된 베이스 주름들 및 벽 주름들(3', 6')의 주름 궤적들이 실선 윤곽선에 의해 표시되어 있고, 리세스 외부를 향해 몰딩된 베이스 주름들 및 벽 주름들(3', 6')의 주름 궤적들이 점선 윤곽선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주름들 형태는 리세스 베이스(4')로부터 리세스 벽(5)으로의 전환 영역에서 둘레를 두르는 강성의 인장-압축 스트립(7')이 구현되도록 선택된다.
또한, 첨부 도면들에는 리세스 베이스(4')로부터 리세스 벽(5')으로의 직선 전환 영역(특히, 도 6 내지 도 9 참조)에 대해 수직으로(90°의 각도로) 또는 리세스 베이스(4')로부터 리세스 벽(5')으로의 곡선 전환 영역(특히, 도 11 참조)에 접하는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접선에 대해 수직으로(90°의 각도로) 정렬되는 제1 또는 제2 베이스 주름들(3, 3")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나서, 본 발명에 따라 그러한 제1 또는 제2 베이스 주름들(3, 3")에 제1 또는 제2 벽 주름들(6', 6')이 연결된다.
끝으로, 도 12는 그 외곽이 일정(임의의) 다수의 곡률들을 갖는 자유 형태의 곡선에 의해 표시된 리세스 베이스(4')의 밑면의 평면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베이스 주름들(3')의 다수의 주름 궤적들이 리세스 베이스(4')의 에지 영역에 걸쳐 거의 균일하게 분포되어 배치되고, 리세스 베이스(4')로부터 리세스 벽(5')으로의 곡선 전환 영역에 접하는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접선에 대해 수직으로(90°의 각도로) 정렬된다.
그러나 그에 반해 제1 또는 제2 베이스 주름들(3', 3')이 전술한 리세스 베이스(4')로부터 리세스 벽(5')으로의 직선 전환 영역에 대해 수직으로부터 벗어난, 즉 90° 각도로부터 벗어난 각도로 또는 리세스 베이스(4')로부터 리세스 벽(5')으로의 곡선 전환 영역에 접하는 접선에 대해 수직으로부터 벗어난, 즉 90° 각도로부터 벗어난 각도로 정렬되고, 그럼으로써 또 다른 한계들의 특수한 보강 요건들을 감안할 수 있게 하는 것도 적절할 수 있다(도시되지는 않음).
1, 1': 리세스 2, 2': 플로어 플레이트
3: 베이스 주름 3': 제1 베이스 주름
3": 제2 베이스 주름 4, 4': 리세스 베이스
5, 5': 리세스 벽 6: 벽 주름
6': 제1 벽 주름 6": 제2 벽 주름
7': 인장-압축 스트립

Claims (11)

  1. 차량의 플레이트(2')에 있는 리세스(1')로서,
    리세스 베이스(4')를 구비하고, 리세스 베이스(4') 그 자체는 리세스 벽(5')으로 전환되며, 리세스(1')는 리세스 베이스(4')를 보강하는 하나 이상의 제1 베이스 주름들(3') 및 리세스 벽(5')을 보강하는 하나 이상의 제1 벽 주름들(6')을 구비하되, 적어도 하나의 제1 베이스 주름(3') 및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벽 주름(6')은 리세스 베이스(4')로부터 리세스 벽(5')으로의 전환 영역에서 제1 베이스 주름(3')의 프로파일 구조가 대응하는 제1 벽 주름(6')의 프로파일 구조에 연결되도록 공통의 수직 평면에 배치되어 몰딩되고, 제1 베이스 주름(3')이 리세스 내부를 향해 그리고 대응하는 제1 벽 주름(6')이 리세스 외부를 향해 몰딩되도록 또는 그 반대로 몰딩되도록 제1 벽 주름(6')의 몰딩이 제1 베이스 주름(3')의 몰딩과 대비하여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세스.
  2. 제1항에 있어서, 리세스(1')는 차체, 특히 차량 차체의 플로어 플레이트(2')에 배치되고, 리세스 베이스(4')를 구비하며, 리세스 베이스(4') 그 자체는 리세스 벽(5')으로 전환되고, 리세스(1')는 리세스 베이스(4')를 보강하는 하나 이상의 제1 베이스 주름들(3') 및 리세스 벽(5')을 보강하는 하나 이상의 제1 벽 주름들(6')을 구비하되, 적어도 하나의 제1 베이스 주름(3') 및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벽 주름(6')은 리세스 베이스(4')로부터 리세스 벽(5')으로의 전환 영역에서 제1 베이스 주름(3')의 프로파일 구조가 대응하는 제1 벽 주름(6')의 프로파일 구조에 연결되도록 공통의 수직 평면에 배치되어 몰딩되고, 제1 베이스 주름(3')이 리세스 내부를 향해 그리고 대응하는 제1 벽 주름(6')이 리세스 외부를 향해 몰딩되도록 또는 그 반대로 몰딩되도록 제1 벽 주름(6')의 몰딩이 제1 베이스 주름(3')의 몰딩과 대비하여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세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리세스 베이스(4')를 보강하는 하나 이상의 제2 베이스 주름들(3")을 더 구비하고, 제2 베이스 주름들(3") 그 자체는 제1 베이스 주름들(3')을 가로질러 정렬되어 배치되되, 적어도 하나의 제2 베이스 주름(3") 및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벽 주름(6")은 리세스 베이스(4')로부터 리세스 벽(5')으로의 전환 영역에서 제2 베이스 주름(3")의 프로파일 구조가 대응하는 제2 벽 주름(6")의 프로파일 구조에 연결되도록 공통의 수직 평면에 배치되어 몰딩되고, 제2 베이스 주름(3")이 리세스 내부를 향해 그리고 대응하는 제2 벽 주름(6")이 리세스 외부를 향해 몰딩되도록 또는 그 반대로 몰딩되도록 제2 벽 주름(6")의 몰딩이 제2 베이스 주름(3")의 몰딩과 대비하여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세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베이스 주름들(3'; 3")이 인접하게 배치되고, 그 베이스 주름들(3'; 3")과 대응하는 다수의 벽 주름들(6'; 6")이 인접하게 배치될 경우, 인접하게 배치된 베이스 주름들(3'; 3") 및 인접하게 배치된 벽 주름들(6'; 6")이 각각 교대로 리세스 내부를 향해 또는 리세스 외부를 향해 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세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제1 베이스 주름들 및 대응하는 벽 주름들(3', 6') 및/또는 다수의 제2 베이스 주름들 및 대응하는 벽 주름들(3", 6")은 각각 서로 거의 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정렬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세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제1 베이스 주름들 및 대응하는 벽 주름들(3', 6')은 방사형 또는 별 모양의 주름들 형태가 구현되도록 서로 정렬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세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세스 베이스(4')는 다각형의 밑면을 따르는 밑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세스.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세스 베이스(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라운드 또는 원형 밑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세스.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또는 제2 베이스 주름들 및 대응하는 벽 주름들(3', 6'; 3", 6")이 다수인 경우, 그 주름들(3', 6'; 3", 6")은 리세스 베이스(4')로부터 리세스 벽(5')으로의 전환 영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전환 영역에 통합된 강성의 인장-압축 스트립(7')의 방식으로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세스.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세스(1')는 금속, 플라스틱, 복합재, 또는 생각할 수 있는 다른 모든 적절한 재료로 이뤄진 플로어 플레이트(2')에 일체로 몰딩되거나, 상기 재료들로 이뤄진 별개의 장착 부품으로서 플로어 플레이트(2')의 미리 제공된 개구부에 삽입되어 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세스.
  11. 제10항에 있어서, 리세스(1')는 딥 드로잉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세스.
KR1020127014573A 2009-12-05 2010-11-26 플레이트에 딥 드로잉된 리세스 KR1013441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57169A DE102009057169A1 (de) 2009-12-05 2009-12-05 Mulde in einer Bodenplatte einer Karosserie
DE102009057169.8 2009-12-05
PCT/EP2010/007174 WO2011066924A1 (de) 2009-12-05 2010-11-26 Tiefgezogene mulde in einer plat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302A true KR20120091302A (ko) 2012-08-17
KR101344188B1 KR101344188B1 (ko) 2013-12-20

Family

ID=43551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573A KR101344188B1 (ko) 2009-12-05 2010-11-26 플레이트에 딥 드로잉된 리세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651549B2 (ko)
EP (1) EP2507115B1 (ko)
KR (1) KR101344188B1 (ko)
CN (1) CN102648120B (ko)
DE (1) DE102009057169A1 (ko)
PL (1) PL2507115T3 (ko)
WO (1) WO20110669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9958B2 (en) 2012-04-23 2017-01-10 Global Ip Holdings, Llc Assembly including a compression-molded, composite panel having a cellulose-based core and a hinged mounting flange
US9527268B2 (en) 2012-04-23 2016-12-27 Global Ip Holdings, Llc Method of making a sandwich-type composite panel having a cellulose-based core and a living hinge and panel obtained by performing the method
US9511690B2 (en) 2012-04-23 2016-12-06 Global Ip Holdings, Llc Cargo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vehicle load floor having a cellulose-based core and made by a composite, compression molding process and having a wood grain finish
FR2990592B1 (fr) * 2012-05-09 2014-05-1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upport pour onduleur de vehicule a transmission electrique
US11518136B2 (en) 2012-05-24 2022-12-06 Global Ip Holdings, Llc Marine decking with sandwich-type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US9567037B2 (en) 2012-05-24 2017-02-14 Global Ip Holdings, Llc Deep-drawn marine hull having a sandwich structure with a cellulose-based core and watercraft utilizing same
US20170267315A1 (en) 2012-05-24 2017-09-21 Global Ip Holdings, Llc Marine decking with sandwich-type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US9873488B2 (en) 2012-05-24 2018-01-23 Global Ip Holdings Llc Deep-drawn marine hull having a sandwich structure and watercraft utilizing same
US11214035B2 (en) 2012-05-24 2022-01-04 Global Ip Holdings, Llc Marine decking with sandwich-type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US9707725B2 (en) 2013-02-08 2017-07-18 Global Ip Holdings, Llc Method of making a sandwich-type, compression-molded, composite component having a cellulose-based core and improved surface appearance
US10532499B2 (en) 2013-02-08 2020-01-14 Global Ip Holdings, Llc Method of making a laminated trim component
US10166704B2 (en) 2013-02-08 2019-01-01 Global Ip Holdings, Llc Method of making a laminated trim component at a pair of spaced first and second molding stations
US9770849B2 (en) 2013-02-08 2017-09-26 Global Ip Holdings, Llc Method of making a sandwich-type, compression-molded, composite component having improved surface appearance
US10279512B2 (en) 2013-02-08 2019-05-07 Global Ip Holdings, Llc Method of making a laminated trim component at a molding station
US10618203B2 (en) 2013-02-08 2020-04-14 Global Ip Holdings, Llc Method of making a trimmed, laminated trim component
DE102013101395A1 (de) 2013-02-13 2014-08-1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mit karosserieseitiger Diagonalstrebenanordnung
JP6148134B2 (ja) * 2013-09-20 2017-06-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のフロアパネル構造
US9187136B1 (en) 2014-08-01 2015-11-17 Honda Motor Co., Ltd. Structural pan for automotive body/frame
CN112355153B (zh) * 2020-10-20 2023-01-31 北新建材(苏州)有限公司 一种直卡式龙骨卡牙模具
JP2023013130A (ja) * 2021-07-15 2023-01-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DE102022114342B3 (de) * 2022-06-08 2023-05-1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Gepäckraumboden für ein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5335A (en) * 1969-09-25 1971-07-27 Budd Co Front end vehicle body structure
JPH0775992B2 (ja) 1986-08-08 1995-08-16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フロア構造
JP2653248B2 (ja) * 1990-12-28 1997-09-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骨格部材、並びにサイドメンバ
US5860687A (en) 1997-12-19 1999-01-19 Chrysler Corporation Vehicle spare tire storage system having stiffening plate
JPH11208520A (ja) 1998-01-29 1999-08-03 Daihatsu Motor Co Ltd 自動車の車体におけるフロアクロスメンバ補強構造
JP2002302071A (ja) 2001-04-06 2002-10-15 Honda Motor Co Ltd 車両のフロアパネル
JP2003276530A (ja) * 2002-03-20 2003-10-02 Nissan Motor Co Ltd バッテリーブラケットの取付け構造
DE10229752B4 (de) 2002-07-03 2006-07-20 Adam Opel Ag Ladebodenblech mit Schottblech Boden hinten
JP4175107B2 (ja) 2002-12-27 2008-11-0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フロアパネル
DE102004034072B4 (de) * 2004-07-15 2007-10-11 Daimlerchrysler Ag Behälter
US7444748B2 (en) * 2004-10-29 2008-11-04 Macneil David F Close-conforming vehicle floor tray with reservoir
US7040691B1 (en) * 2004-12-06 2006-05-09 Material Sciences Corporation Vehicle floor tub having a laminated structure
FR2891800B1 (fr) * 2005-10-07 2008-01-25 Inoplast Sa Plancher de vehicule automobile au moins partiellement en matiere plastiqu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plancher
DE102007027782A1 (de) * 2007-06-16 2008-12-18 Wilhelm Karmann Gmbh Fahrzeug
DE102008054206A1 (de) * 2008-10-31 2010-05-12 Daimler Ag Bodenteil für einen Kraftfahrzeugladera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48120B (zh) 2016-11-09
WO2011066924A8 (de) 2012-10-18
EP2507115B1 (de) 2013-10-30
US8651549B2 (en) 2014-02-18
CN102648120A (zh) 2012-08-22
DE102009057169A1 (de) 2011-06-09
US20120299335A1 (en) 2012-11-29
WO2011066924A1 (de) 2011-06-09
KR101344188B1 (ko) 2013-12-20
EP2507115A1 (de) 2012-10-10
PL2507115T3 (pl)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4188B1 (ko) 플레이트에 딥 드로잉된 리세스
JP7181924B2 (ja) 車両側部構造
JP5768838B2 (ja) 車両の骨格構造
JP2018520036A (ja) 自動車用のキャリア装置
JP2018501139A (ja) 車両クロスメンバおよび関連の方法
JP6035730B2 (ja) 車両のフロアパネル制振構造
US9598123B1 (en) Hybrid spare tire receptacle for a vehicle
JP6903887B2 (ja) 車体構造
JP6409842B2 (ja) 車両用構造体
US20150353139A1 (en) Reinforcing agent frame structure and vehicle
JP2009120161A (ja) 車体フレーム構造
JP5510778B2 (ja) ダッシュパネル周辺の車体構造
CN109070629B (zh) 车辆用轮毂
JP6483324B2 (ja) 車両用ホイール
US11345408B2 (en) Body reinforcing apparatus for vehicle
US20150151659A1 (en) Backrest part for a seat, in particular a vehicle seat
EP2202133B1 (en) A stiffening element for the rear flanks of motor vehicle bodies
GB2548014A (en) Body component for a motor vehicle
JP6916139B2 (ja) 車両の車体後側部構造
WO2013080305A1 (ja) 車体前部構造
JP2014213751A (ja) 車体側部の連結構造
CN218907408U (zh) 车辆的前地板总成及车辆
US10933834B2 (en) Vehicle roof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vehicle roof structure
JP2013091458A (ja) センターピラー構造
KR20070031651A (ko) 차량의 플로워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