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1171A - 밀봉 장치 - Google Patents

밀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1171A
KR20120091171A KR1020127011215A KR20127011215A KR20120091171A KR 20120091171 A KR20120091171 A KR 20120091171A KR 1020127011215 A KR1020127011215 A KR 1020127011215A KR 20127011215 A KR20127011215 A KR 20127011215A KR 20120091171 A KR20120091171 A KR 20120091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ring
circumferential
cut
ring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1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8719B1 (ko
Inventor
토시유키 마에다
요시유키 아베
Original Assignee
에누오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누오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누오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1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 F16J15/3208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provided with tension elements, e.g. elastic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68Mounting of sealing rings
    • F16J15/3272Mounting of sealing rings the rings having a break or opening, e.g. to enable mounting on a shaft otherwise than from a shaft e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9/00Piston-rings, e.g. non-metallic piston-rings, seats therefor; Ring sealings of similar construction
    • F16J9/26Piston-rings, e.g. non-metallic piston-rings, seats therefor; Ring sealings of similar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9/00Piston-rings, e.g. non-metallic piston-rings, seats therefor; Ring sealings of similar construction
    • F16J9/28Piston-rings, e.g. non-metallic piston-rings, seats therefor; Ring sealings of similar construction of non-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25Preventing defects on the moulded article, e.g. weld lines, shrinkage marks
    • B29C2045/0034Mould parting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9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after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45/0055Shaping

Abstract

(과제) 슬라이드 링 표면의 형 분할선에서 기인하는 버클링의 손상부가, 슬라이드 링의 관통 절단부에서 기인하는 손상부와 연통되어 누설 유로를 형성하지 않는 밀봉 장치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수지제의 슬라이드 링(2)과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버클링(3)을 갖고, 축 구멍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축 구멍에 삽입되는 축과의 환상 간극을 밀봉하는 밀봉 장치(1)로서, 상기 슬라이드 링(2)은, 둘레 방향 절단부(22A)와, 그 둘레 방향 절단부의 양 단부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축 방향 절단부(22B)로 이루어지는 관통 절단부(22)와, 둘레 방향을 따르는 복수의 형 분할부에 의해 분할되는 성형 형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되고, 상기 성형 형의 형 분할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링(2) 표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형 분할선(23A, 23B)을 갖고, 상기 형 분할선(23A, 23B)은, 상기 슬라이드 링(2)에 있어서의 상기 버클링(3)과의 접합면에 드러나는 상기 둘레 방향 절단부(22A)와, 길이 방향에 걸쳐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밀봉 장치 {SEAL DEVICE}
본 발명은 밀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수지제의 슬라이드 링과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버클링을 조합하여 유공압 기기가 서로 슬라이드하는 상대 부재 사이로부터의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피스톤 시일이나 로드 시일 등과 같이, 축 구멍을 갖는 하우징과 이 축 구멍에 삽입되어 하우징과 상대 이동하는 축 사이의 환상 간극을 밀봉할 때, 슬라이드면에 맞닿는 슬라이드 부재인 슬라이드 링과, 이 슬라이드 링의 슬라이드면과는 반대면(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접합되고, 슬라이드 링에 대해서 소정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버클링을 조합한 조합 시일로 이루어지는 밀봉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특허문헌 1, 2).
이러한 밀봉 장치는 슬라이드 링측이 타측 부재와의 슬라이드면에 접하도록, 환상 간극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된 환상 오목홈 내에 끼워져 장착된다.
슬라이드 링은 특히 슬라이드 링 재료로서 고강도의 재료를 사용할 경우, 환상 오목홈 내에 끼워서 장착하기가 곤란해진다. 이 때문에, 슬라이드 링에는 둘레 방향을 횡단하는 관통 절단부를 형성함으로써, 슬라이드 링을 이 관통 절단부에서 확대하여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도 6 은 이와 같은 밀봉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 밀봉 장치(100)는 슬라이드 링(200)의 내주면측에 버클링(300)을 접합시킴으로써 조합 시일을 구성하고 있다.
관통 절단부(201)는 시일성을 고려하여 슬라이드 링(200)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1 개의 둘레 방향 절단부(201A)와, 이 둘레 방향 절단부(201A)의 양 단부로부터 슬라이드 링(200)의 축 방향(도면 중의 X 방향)을 따라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축 방향 절단부(201B, 201B)로 이루어지는 스텝 커트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드 링(200)은 일반적으로 슬라이드 링 형상에 상당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성형 형을 사용하고, 이 성형 형 내에 수지 재료를 압입함으로써 저비용으로 제작되고 있다.
도 7 은 슬라이드 링(200)을 사출 성형할 때 사용되는 종래의 성형 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성형 형(400)은 내부에 슬라이드 링 형상에 상당하는 캐비티(401)를 갖고 있다. 성형 형(400)은 성형 후의 슬라이드 링(200)을 형에서 용이하게 빼내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슬라이드 링(200)의 축 방향의 대략 중앙 부위의 외주측과 내주측의 양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둘레 방향을 따르는 형 분할부(402A, 402B)를 형성하고, 이 형 분할부(402A, 402B)에 의해 성형 형(400)을 2 개의 형(400A, 400B)으로 분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드 링(200)의 축 방향으로 형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실용신안 등록공보 제2523646호 특허문헌 2 : 실용신안 등록공보 제2587026호
슬라이드 링(200)을 이와 같은 성형 형(400)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하면, 성형품에 형 분할부(402A, 402B)를 따르는 단차나 버가 발생한다. 단차는 형(400A, 400B)의 정밀도 편차에서 기인하는 형 분할부(402A, 402B)의 어긋남에 의해 형성된다. 또, 버는 캐비티(401)내에 수지 재료가 압입될 때, 수지 재료가 형 분할부(402A, 402B)의 간극으로 비집고 들어감으로써 형성된다. 이들 단차나 버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 분할부(402A, 402B)에 대응하는 성형 후의 슬라이드 링(200)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르는 형 분할선(202A, 202B)을 구성한다.
이들 단차나 버로 이루어지는 형 분할선(202A, 202B)이 큰 경우(직경 방향의 높이가 높은 경우), 슬라이드 링(200)이 버클링(300)과 접합되어 밀봉 장치가 되고, 이것이 장기간 사용되었을 때 슬라이드 링(200)의 버클링(300)과의 접합면에 위치하는 형 분할선(202B)(단차나 버)이 그 버클링(300)의 표면을 마모시켜 버리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클링(300)에서의 슬라이드 링(200)과의 접합면(301)에 형 분할선(202B)을 따르는 손상부(마모)(302)를 형성해 버린다.
이 버클링(300)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링(200)과의 접합면(301)에는 슬라이드 링(200)에 형성되는 관통 절단부(201)의 축 방향 절단부(201B, 201B)를 따라서, 그 축 방향 절단부(201B, 201B)에 의해 받는 마모, 손상에 의한 손상부(마모)(303, 303)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축 방향 절단부(301B, 301B)는 환상 오목홈 내에 끼워져 장착된 사용 상태에서 간극이나 단차가 발생하기 쉽고, 둘레 방향 절단부(201A)에 비해 버클링(300)의 표면을 공격하기 쉽기 때문이다.
이 때, 슬라이드 링(200)에 형성되는 형 분할선(202B)이,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링(200)의 표면에 형성되는 관통 절단부(201)의 둘레 방향 절단부(201A)와, 그 길이 방향에 걸쳐서 서로 중첩되도록 위치하고 있으면, 형 분할선(202B)을 따르는 손상부(302)가 축 방향 절단부(201B, 201B)를 따르는 2 개의 손상부(303, 303)를 함께 걸치거나, 손상부(302)가 2 개의 손상부(303, 303)의 양측과 접하여 형성되어 버리고, 축 방향 절단부(201B, 201B)를 따르는 손상부(303, 303)가 형 분할선(202B)을 따르는 손상부(302)에 의해 연통되어 버림으로써, 도면 중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일부를 횡단하는 누설 유로(304)가 발생되어 시일성이 저하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사출 성형에 의해서, 슬라이드 링 표면에 형성되는 형 분할선에서 기인하는 버클링의 손상부가, 슬라이드 링의 스텝 커트 형상의 관통 절단부에서 기인하는 손상부와 연통되어 누설 유로를 형성해 버리지 않고, 장기에 걸쳐서 시일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밀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이하의 기재에 의해 분명해진다.
상기 과제는 이하의 각 발명에 의해 해결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수지제의 슬라이드 링과 그 슬라이드 링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접합된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버클링을 갖고, 축 구멍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축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대 이동하는 축 사이의 환상 간극을 밀봉하는 밀봉 장치로서, 상기 슬라이드 링은,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1 개의 둘레 방향 절단부와, 그 둘레 방향 절단부의 양 단부로부터 상기 슬라이드 링의 축 방향을 따라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축 방향 절단부로 이루어지는 스텝 커트 형상의 관통 절단부와, 둘레 방향을 따르는 복수의 형 분할부에 의해 복수로 분할되는 성형 형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됨으로써, 상기 성형 형의 형 분할에 의해 그 슬라이드 링 표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복수 개의 형 분할선을 갖고, 상기 형 분할선은, 상기 슬라이드 링에 있어서의 상기 버클링과의 접합면에 드러나는 상기 둘레 방향 절단부와, 길이 방향에 걸쳐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복수 개의 상기 형 분할선 중, 상기 버클링과의 접합면에 형성된 상기 형 분할선은, 상기 둘레 방향 절단부에 대해서 축 방향의 단부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밀봉 장치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모든 상기 형 분할선은, 상기 슬라이드 링에 있어서의 상기 버클링과의 접합면 이외의 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밀봉 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출 성형함으로써 슬라이드 링 표면에 형성되는 형 분할선에서 기인하는 버클링의 손상부가, 슬라이드 링의 스텝 커트 형상의 관통 절단부에서 기인하는 손상부와 연통되어 누설 유로를 형성해 버리는 것이 회피되어, 장기간에 걸쳐서 시일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밀봉 장치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장치의 버클링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링과의 접합면을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장치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링을 사출 성형하기 위한 성형 형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장치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링을 사출 성형하기 위한 성형 형의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성형 형에 의해 사출 성형된 슬라이드 링을 갖는 밀봉 장치의 버클링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링과의 접합면을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
도 6은 종래의 밀봉 장치의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밀봉 장치의 슬라이드 링을 사출 성형하기 위한 성형 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종래의 버클링의 슬라이드 링과의 접합면을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장치는, 수지제의 슬라이드 링과 그 슬라이드 링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접합된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버클링을 갖는 조합 시일로 이루어지는 시일링을 구성한다. 이러한 밀봉 장치는, 축 구멍을 갖는 하우징과 이 축 구멍에 삽입되어 하우징과 상대 이동하는 축 사이에 형성되는 환상 간극을 밀봉할 수 있도록, 상기 축 구멍의 내주면 또는 상기 축의 외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환상 오목홈 내에, 버클링측이 홈 바닥측에 위치하도록 끼워져 장착되고, 슬라이드 링이 타측 부재와의 슬라이드면에 대해서 슬라이드함으로써 시일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링은, 성형 형을 사용하여 성형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는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성형된다. 슬라이드 링의 수지 재료로는 일반적으로 PTFE(4불화 에틸렌 수지), PA(폴리아미드 수지) 등이 사용되고, 특히 고압 용도에는 고강도재인 나일론(PA) 등이 예시된다.
한편, 버클링은 전체 둘레에 걸쳐서 엔드리스 형상으로 성형된 탄성체로 이루어진다. 버클링 재료로는 일반적으로 NBR(니트릴 고무), PU(폴리우레탄) 등의 고무 재료(탄성체)가 예시된다.
슬라이드 링을 사출 성형할 때 사용되는 성형 형은, 둘레 방향을 따르는 복수의 형 분할부에 의해 복수로 분할되고, 슬라이드 링의 축 방향으로 형이 개방됨으로써 내부의 슬라이드 링 성형품이 형에서 꺼내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링은, 이러한 성형 형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됨으로써, 형 분할에 의해 슬라이드 링 표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형 분할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단차나 버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형 분할선이 형성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링은, 조립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1 개의 둘레 방향 절단부와, 그 둘레 방향 절단부의 양 단부로부터 슬라이드 링의 축 방향을 따라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축 방향 절단부로 이루어지는 스텝 커트 형상의 관통 절단부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드 링은 관통 절단부의 부위에서 확대되어 개방될 수 있게 된다. 관통 절단부는 사출 성형시에 성형 형에 의해 동시에 성형되도록 해도 되고, 엔드리스 형상의 슬라이드 링을 사출 성형하여 얻은 후에 적절한 절단 가공 수단에 의해 후가공해도 된다.
관통 절단부는 슬라이드 링의 외주면과 내주면을 연통하도록 관통하기 때문에, 이들 외주면 및 내주면에 관통 절단부가 드러난다. 따라서, 버클링이 슬라이드 링의 외주면 및 내주면의 어느 면에 접합되어도, 버클링은 관통 절단부의 축 방향 절단부에 의한 마모, 손상의 영향을 받아 슬라이드 링과의 접합면에 그 축 방향 절단부에서 기인하는 손상부(마모)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 슬라이드 링에 있어서의 버클링과의 접합면에 드러나는 둘레 방향 절단부와, 성형 형의 형 분할부에 의해 슬라이드 링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단차나 버로 이루어지는 형 분할선이, 길이 방향에 걸쳐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형 분할선은 슬라이드 링의 표면에 형성되는 둘레 방향 절단부와, 적어도 둘레 방향 절단부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는 형성되지 않고, 슬라이드 링의 표면에 형성되는 형 분할선이 2 개의 축 방향 절단부를 함께 걸치거나, 2 개의 축 방향 절단부의 양측과 접하거나 하는 경우는 없다.
이로써, 슬라이드 링 표면의 형 분할선에서 기인하는 손상부는, 슬라이드 링의 축 방향 절단부에서 기인하여 버클링 표면에 형성되는 2 개의 손상부를 함께 걸치거나, 이 2 개의 손상부의 양측과 접하거나 하는 위치에는 형성되지 않고, 형 분할선을 따르는 손상부와 축 방향 절단부를 따르는 손상부가 연통되어 시일부를 횡단하는 누설 유로를 발생시키는 사태가 회피된다. 따라서, 장기간에 걸쳐서 시일성을 유지할 수 있다.
슬라이드 링의 표면에 형성되는 형 분할선의 배치는, 성형 형의 형 분할부의 위치에 따라서 결정된다. 성형 형의 형 분할부는, 일반적으로는 성형 형을 2 분할하여 축 방향으로 형이 개방될 수 있도록 둘레 방향을 따라서 2 개 형성되지만, 둘레 방향을 따르는 3 개 이상의 형 분할부로 함으로써 슬라이드 링 표면에 둘레 방향을 따르는 3 개 이상의 형 분할선이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어떠한 형 분할선도 접합면에 드러나는 둘레 방향 절단부와 길이 방향에 걸쳐서 서로 중첩되지 않고, 2 개의 축 방향 절단부를 함께 걸치거나, 이 2 개의 축 방향 절단부의 양측과 접하거나 하는 위치에 형성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링은, 이와 같이 버클링과의 접합면에 드러나는 둘레 방향 절단부와, 형 분할선이 길이 방향에 걸쳐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성형 형의 형 개방에 지장이 없는 한, 형 분할선을 슬라이드 링 표면의 어느 위치에 배치해도 된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링에 있어서 버클링과의 접합면에 형성되는 형 분할선을, 둘레 방향 절단부에 대해서 축 방향의 단부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시킴으로써, 둘레 방향 절단부와 형 분할선의 중첩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슬라이드 링의 표면에 형성되는 모든 형 분할선을 슬라이드 링에 있어서의 버클링과의 접합면 이외의 면에 배치시킴으로써, 둘레 방향 절단부와 형 분할선의 중첩을 회피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슬라이드 링의 버클링과의 접합면에는 형 분할선이 전혀 존재하지 않게 되어, 형 분할선에 의해 버클링을 마모시켜 버리는 현상 자체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슬라이드 링 표면의 형 분할선은, 관통 절단부의 둘레 방향 절단부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어긋나 있으면 된다. 따라서, 관통 절단부가 사출 성형시에 동시에 성형되는 경우에는, 성형 형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링의 버클링과의 접합면에 대응하는 위치의 형 분할부를, 둘레 방향 절단부의 성형 위치에 대해서 축 방향의 단부측으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하거나, 그 둘레 방향 절단부의 성형 위치를 형 분할부에 대해서 축 방향의 단부측으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하도록 하면 된다. 또, 관통 절단부가 사출 성형 후에 후가공되는 경우에는, 후가공되는 둘레 방향 절단부의 위치를, 이미 슬라이드 링에 형성되어 있는 형 분할선에 대해서 축 방향의 단부측으로 어긋나게 하여 형성하도록 하면 된다.
다음으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밀봉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 밀봉 장치(1)는, 축 구멍에 삽입되어 슬라이드하는, 예를 들어 피스톤 시일과 같은 축의 외주에 형성된 환상 오목홈에 끼워져 장착되는 양태의 밀봉 장치로서,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성형된 수지제의 슬라이드 링(2)과, 이 슬라이드 링(2)의 내주면측에 접합된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버클링(3)을 갖고 있다.
슬라이드 링(2)은, 둘레 방향을 따라서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1 개의 둘레 방향 절단부(22A)와, 이 둘레 방향 절단부(22A)의 양 단부로부터 슬라이드 링(2)의 축 방향(도면 중 X 방향)을 따라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축 방향 절단부(22B, 22B)로 이루어지는 스텝 커트 형상의 관통 절단부(22)를 갖고 있고, 이 관통 절단부(22)가 버클링(3)과의 접합면 (21)에 드러나 있다. 여기서는 둘레 방향 절단부(22A)는 슬라이드 링(2)의 축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 이 슬라이드 링(2)의 표면은, 성형시에 성형 형의 형 분할부에 의해 형성된 단차나 버로 이루어지는 2 개의 형 분할선(23A, 23B)을 갖고 있고, 이 중 일측의 형 분할선(23B)이 버클링(3)과의 접합면 (21)에 배치되어 있다.
이 버클링(3)과의 접합면 (21)에 배치된 형 분할선(23B)은, 동일하게 버클링(3)과의 접합면 (21)에 드러나는 관통 절단부(22) 중 둘레 방향 절단부(22A)에 대해서 축 방향의 단부측(도 1 중의 우측)으로 어긋난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형 분할선(23B)은, 관통 절단부(22) 중 일측의 축 방향 절단부(22B)만을 걸쳐서 교차할 뿐으로, 2 개의 축 방향 절단부(22B, 22B)의 양측을 함께 걸치거나 접하는 경우는 없고, 또 둘레 방향 절단부(22A)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서로 중첩되어 일치하는 경우도 없다.
이 밀봉 장치(1)를 장기간 사용하면, 버클링(3)의 슬라이드 링(2)과의 접합면(31)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링(2)의 관통 절단부(22)의 축 방향 절단부(22B, 22B)에 의해 형성되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손상부(32, 32)와, 형 분할선(23B)에 의해 형성되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손상부(33)가 형성되는데, 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손상부(33)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손상부(32, 32)끼리를 연통시켜 버리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 시일성을 저하시키는 누설 유로가 형성되는 경우는 없어 장기간에 걸쳐서 시일성이 유지된다.
도 3은 이 밀봉 장치(1)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링(2)을 사출 성형할 때 사용되는 성형 형의 단면도이다.
성형 형(4)은 내부에 슬라이드 링(2)의 형상에 상당하는 캐비티(41)를 갖고, 형 분할부(42A, 42B)에 의해 2 개의 형(4A, 4B)으로 분할할 수 있게 되고, 슬라이드 링(2)의 축 방향으로 형이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성형되는 슬라이드 링(2)의 표면에는, 이들 형 분할부(42A, 42B)에 의해 둘레 방향을 따르는 형 분할선(23A, 23B)이 형성되지만, 슬라이드 링(2)의 버클링(3)과의 접합면 (21)에 대응하는 캐비티 면(43)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 분할부(42B)는, 캐비티(41)의 축 방향의 중앙 (c)보다 그 캐비티(41)의 축 방향의 단부측(도면 중 우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있다. 이로써,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링(2)의 축 방향의 중앙부 (C)에 둘레 방향 절단부(22A)가 배치되도록 관통 절단부(22)가 형성되는 경우, 슬라이드 링(2)의 버클링(3)과의 접합면 (21)에는, 둘레 방향 절단부(22A)에 대해서 축 방향의 단부측으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형 분할선(23B)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이에 의해 성형되는 슬라이드 링(2)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형 분할선(23B)이 관통 절단부(22) 중 일측의 축 방향 절단부(22B)만을 걸쳐서 교차할 뿐으로, 2 개의 축 방향 절단부(22B, 22B)의 양측을 함께 걸치거나 접하는 경우는 없고, 또 둘레 방향 절단부(22A)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서로 중첩되어 일치하는 경우도 없기 때문에, 버클링(3)에 시일성을 저하시키는 누설 유로가 형성되는 경우는 없어 장기간에 걸쳐서 시일성이 유지된다.
게다가, 이 도 3에 나타내는 성형 형(4)을 사용하는 양태에 의하면, 슬라이드 링(2)의 버클링(3)과의 접합면 (21)에 대응하는 캐비티 면(43)에 있어서의 형 분할부(42B)를, 캐비티(41)의 축 방향의 중앙 c보다 그 캐비티(41)의 축 방향의 단부측으로 어긋나게 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성형 형(4)의 형 개방도 종래와 전혀 다르지 않게 행할 수 있고, 성형 후의 슬라이드 링(2)을 형에서 꺼내는 것도 종래와 거의 다르지 않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성형 형의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성형 형(4)은, 2 개의 형(40A, 40B)으로 분할하기 위한 형 분할부(42A, 42B)의 어느 것도 슬라이드 링(2)의 버클링(3)과의 접합면 (21)에 대응하는 캐비티 면(43)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는, 캐비티 면(43)에 가까운 쪽인 형 분할부(42B)는, 슬라이드 링(2)의 축 방향의 일측 단부의 단면에 대응하는 캐비티 면(44)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캐비티 면(43)과의 교차선(45)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모든 형 분할부(42A, 42B)는 슬라이드 링에 있어서의 버클링과의 접합면 이외의 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내는 성형 형(4)을 사용하여 성형된 슬라이드 링은, 모든 형 분할선이 버클링과의 접합면 이외의 면에 배치되게 되므로, 버클링과의 접합면에 도 1에서 볼 수 있는 둘레 방향을 따르는 형 분할선(23B)이 형성되는 경우는 없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은 슬라이드 링과 조합되는 버클링(3)의 외주면에는, 장기간 사용해도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절단부(22)의 축 방향 절단부(22B, 22B)에 의한 손상부(32, 32)가 형성될 뿐으로, 형 분할선에 의한 손상부는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도 4에 나타내는 성형 형(4)을 사용하는 양태에 의하면, 슬라이드 링에 있어서의 버클링과의 접합면에는, 시일성을 저하시키는 누설 유로를 발생시키는 형 분할선 자체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서 시일성을 유지하는 효과를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슬라이드 링(2)의 슬라이드면측(여기서는 외주면측)에 배치되는 형 분할선 (23A)(성형 형(4)에서의 형 분할부 (42A))은, 여기서는 축 방향의 거의 중앙 (C)에 배치되어 있으나, 이 형 분할선 (23A)은 버클링(3)을 공격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그 위치는 형 개방에 지장이 없는 한 중앙 (C)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밀봉 장치
2:슬라이드 링
21:버클링과의 접합면
22:관통 절단부
22A:둘레 방향 절단부
22B:축 방향 절단부
23A, 23B:형 분할선
3:버클링
31:슬라이드 링과의 접합면
32, 33:손상부
4:성형 형
4A, 4B:형
41:캐비티
42A, 42B:형 분할부
43, 44:캐비티 면
45:교차선

Claims (3)

  1. 수지제의 슬라이드 링과 그 슬라이드 링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접합된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버클링을 갖고, 축 구멍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축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대 이동하는 축 사이의 환상 간극을 밀봉하는 밀봉 장치로서,
    상기 슬라이드 링은,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1 개의 둘레 방향 절단부와, 그 둘레 방향 절단부의 양 단부로부터 상기 슬라이드 링의 축 방향을 따라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축 방향 절단부로 이루어지는 스텝 커트 형상의 관통 절단부와, 둘레 방향을 따르는 복수의 형 분할부에 의해 복수로 분할되는 성형 형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됨으로써, 상기 성형 형의 형 분할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링 표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복수 개의 형 분할선을 갖고,
    상기 형 분할선은, 상기 슬라이드 링에 있어서의 상기 버클링과의 접합면에 드러나는 상기 둘레 방향 절단부와, 길이 방향에 걸쳐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형 분할선 중, 상기 버클링과의 접합면에 형성된 상기 형 분할선은, 상기 둘레 방향 절단부에 대해서 축 방향의 단부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모든 상기 형 분할선은, 상기 슬라이드 링에 있어서의 상기 버클링과의 접합면 이외의 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KR1020127011215A 2009-10-02 2010-09-22 밀봉 장치 KR1016787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30932 2009-10-02
JPJP-P-2009-230932 2009-10-02
PCT/JP2010/066400 WO2011040305A1 (ja) 2009-10-02 2010-09-22 密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171A true KR20120091171A (ko) 2012-08-17
KR101678719B1 KR101678719B1 (ko) 2016-11-22

Family

ID=43826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1215A KR101678719B1 (ko) 2009-10-02 2010-09-22 밀봉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59655B2 (ko)
EP (1) EP2484942B1 (ko)
JP (1) JP5621779B2 (ko)
KR (1) KR101678719B1 (ko)
CN (1) CN102575770B (ko)
WO (1) WO20110403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3288A1 (en) * 2014-07-04 2016-01-07 Seal Engineering As Pressure released wiper assembly
JP6934387B2 (ja) * 2017-10-04 2021-09-15 Nok株式会社 密封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3646B2 (ja) 1987-06-15 1996-08-14 バブコツク日立株式会社 クリンカ灰輸送システム
JP2587026B2 (ja) 1990-07-25 1997-03-05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流れ閉塞装置
DE19611673A1 (de) * 1996-03-25 1997-10-02 Orenstein & Koppel Ag Kolbenstangendichtung
JP2000179695A (ja) * 1998-12-18 2000-06-27 Nec Eng Ltd 防水パッキン
JP2001004032A (ja) * 1999-06-18 2001-01-09 Ntn Corp 樹脂製シールリン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52507A (en) * 1956-01-25 1960-10-26 Pioneer Oilsealing & Mouldin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ealing rings
FR1165678A (fr) * 1957-01-24 1958-10-28 Luxembourg Brev Participations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procédés pour le moulage d'éléments toriques tels que les joints en matière élastique ou plastique
US3653670A (en) * 1970-05-11 1972-04-04 Cascade Corp Spring-loaded seal with symmetrical cross section
US3885800A (en) * 1973-04-23 1975-05-27 Ato Inc Seal ring system
SE375591B (ko) * 1973-08-28 1975-04-21 Skega Ab
DE3413927A1 (de) * 1983-04-16 1984-10-25 Busak + Luyken GmbH & Co, 7000 Stuttgart Kolbendichtung
CA2076912C (en) * 1991-08-28 1999-05-04 Jerry F. Carlin Hydraulic cylinder and improved wear ring assembly for use therein
JP2587026Y2 (ja) 1993-08-12 1998-12-14 株式会社阪上製作所 シールリング
JP2002005298A (ja) * 2000-06-23 2002-01-09 Nok Corp 有端リングおよびその成形方法
JP2002006298A (ja) * 2000-06-26 2002-01-09 Cosina Co Ltd 投射型カラー画像表示装置
US6502826B1 (en) * 2000-10-30 2003-01-07 Caterpillar Inc Hydraulic cylinder piston seal
DE102005059926A1 (de) * 2005-12-13 2007-06-21 Carl Freudenberg Kg Dichtring und Dichtungsanordnung sowie deren Verwendung
CN101451614B (zh) * 2007-12-04 2010-07-07 龙小红 O型圈及其制造模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3646B2 (ja) 1987-06-15 1996-08-14 バブコツク日立株式会社 クリンカ灰輸送システム
JP2587026B2 (ja) 1990-07-25 1997-03-05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流れ閉塞装置
DE19611673A1 (de) * 1996-03-25 1997-10-02 Orenstein & Koppel Ag Kolbenstangendichtung
JP2000179695A (ja) * 1998-12-18 2000-06-27 Nec Eng Ltd 防水パッキン
JP2001004032A (ja) * 1999-06-18 2001-01-09 Ntn Corp 樹脂製シールリン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59655B2 (en) 2013-06-11
EP2484942A1 (en) 2012-08-08
CN102575770B (zh) 2015-04-08
US20120235360A1 (en) 2012-09-20
KR101678719B1 (ko) 2016-11-22
EP2484942B1 (en) 2018-08-15
CN102575770A (zh) 2012-07-11
EP2484942A4 (en) 2016-02-24
JP5621779B2 (ja) 2014-11-12
WO2011040305A1 (ja) 2011-04-07
JPWO2011040305A1 (ja) 201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2253B1 (ko) 실 링
JP4962062B2 (ja) シールリングおよびシールリング製造方法
US11028925B2 (en) Seal ring
CA2881850A1 (en) Seal ring
KR20120091171A (ko) 밀봉 장치
US20180045314A1 (en) Seal ring
US10641396B2 (en) Seal ring and sealing structure
US10690248B2 (en) Injection molded seal ring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US20150290851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aling device, and sealing device
JP6219971B2 (ja) ピストンリング及びそれを用いた圧縮機
EP2090417B1 (en) Seal ring
EP3327321B1 (en) Seal ring
JP2007078041A (ja) 樹脂製シールリング
JP2007078029A (ja) 樹脂製波形保持器およびこの保持器を用いた玉軸受、ならびに樹脂製波形保持器の製造方法
JP2008064157A (ja) 合成樹脂製保持器
JP2007255652A (ja) シールリングおよびシールリング製造方法
JP2009085415A (ja) シールリング
EP3655224B1 (en) A rotary diaphragm positive displacement pump
JP2017166634A (ja) 密封装置
JP6527046B2 (ja) 管路ブロック接続用コネクタ部材
US11933401B2 (en) Plunger, instrument, and mold
JP5702580B2 (ja) オイルシール用金型
JP2019018417A (ja) パイプ構造
JP2587026Y2 (ja) シールリング
JP2021014884A (ja) シールリ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