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1032A - 주사 바늘 조립체 및 약제 주사 장치 - Google Patents

주사 바늘 조립체 및 약제 주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1032A
KR20120091032A KR1020127008161A KR20127008161A KR20120091032A KR 20120091032 A KR20120091032 A KR 20120091032A KR 1020127008161 A KR1020127008161 A KR 1020127008161A KR 20127008161 A KR20127008161 A KR 20127008161A KR 20120091032 A KR20120091032 A KR 20120091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needle tube
syringe
inject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8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0356B1 (ko
Inventor
다까유끼 요꼬따
요이찌로오 이와세
요시노리 히시까와
쯔까사 다까하시
Original Assignee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1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61M5/347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rotatable, e.g. bayonet or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vaccinating or cleaning the skin previous to the vaccination
    • A61B17/205Vaccinating by means of needles or other punct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87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the body; Automatic needle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3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needl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61M5/349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using adhesive bond or glu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11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 A61M2005/31516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reducing dead-space in the syringe barrel after deliv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7/00Methods of manufacture, assembly or prod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depth of inser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늘 허브에 대한 바늘관의 기단부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정할 필요가 없는 구조에서 약제의 잔존량을 적게 하는 것이다. 주사 바늘 조립체(2)는, 피부에 천자되는 바늘 끝(5A)을 갖는 바늘관(5)과, 바늘 허브(6)와, 탄성 부재(7)를 구비한다. 바늘 허브(6)는, 바늘관(5)을 보유 지지하는 제1 부재(11)와, 시린지(3)의 배출부(52)를 끼워 넣는 제2 부재(12)를 갖고 있다. 탄성 부재(7)는, 제2 부재(12)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부재의 내면에 액밀하게 밀착되고, 바늘관(5)을 삽입 관통시키는 삽입 관통 구멍(45)을 갖는다.

Description

주사 바늘 조립체 및 약제 주사 장치{INJECTION NEEDLE ASSEMBLY AND DRUG INJECTION DEVICE}
본 발명은, 약제의 잔존량을 적게 하는 주사 바늘 조립체 및 약제 주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사기 등의 약제 주사 장치는, 바이알로부터 약제를 흡인하는 경우가 있다. 바이알은, 약제를 액상 또는 동결 건조시킨 상태에서 장기 보존할 수 있는 약제 보존 용기이다. 바이알의 개구부는, 통상 3 내지 5mm 정도의 두께를 갖는 고무 마개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이 고무 마개는, 바늘관으로 복수회 찔러도 약제가 새지 않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집단 접종이 많은 백신의 대부분은, 바이알로부터 흡인되고 있다.
바이알에서 시린지로 약제를 흡인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우선 22 게이지 정도의 흡인용 바늘관이 부착된 바늘 허브를 시린지에 접속한다. 이어서, 흡인용 바늘관을 바이알에 찔러서 약액을 시린지 내에 흡인한다. 그 후, 흡인용 바늘관이 부착된 허브를 시린지로부터 제거하고, 주사용 바늘관이 부착된 허브를 시린지에 부착한다. 이에 의해, 약제 주사 장치는, 약제의 주사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약제 주사 장치에 의해 약제를 생체에 주사(투여)한 후에, 바늘관 내, 허브 내 및 시린지의 선단부에 약제가 잔존한다.
피부는 표피와, 진피와, 피하 조직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표피는, 피부 표면으로부터 50 내지 200㎛ 정도의 층이며, 진피는 표피로부터 이어지는 1.5 내지3.5mm 정도의 층이다. 인풀루엔자 백신은, 일반적으로 피하 투여 혹은 근육 내 투여이기 때문에, 피부의 하층부 혹은 그보다도 깊은 부분에 투여되고 있다.
한편, 면역 담당 세포가 많이 존재하는 피부 상층부를 표적 부위로 해서, 인풀루엔자 백신을 투여함으로써, 백신의 투여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또한, 피부 상층부란, 피부 중 표피와 진피를 가리킨다. 이 피부 상층부로의 백신의 투여량은, 50 내지 300μL 정도, 바람직하게는 100μL 정도이다. 따라서, 약제의 잔존량이 많으면, 피부 상층부에 백신을 투여하여 얻어지는 항원량을 저감시킨다는 이점이 작아진다.
또한, 피부 상층부로의 약제의 투여는, 피하 투여에 비하여 높은 주입 압력이 필요하다. 그로 인해, 시린지와 허브의 결합 부분에 저류되는 공기의 잔존량이 많아지면, 그 잔존한 공기가 압력 간섭대가 되어, 정확한 투여량을 확보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약제의 잔존량을 적게 하는 기술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것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주사 바늘의 바늘 기부에는, 삽입 부재와, 정지 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 부재는, 탄력성을 갖는 합성 고무, 합성 수지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주사 바늘을 주사통에 접속시킴과 동시에, 주사통의 선단에 형성된 주사 바늘의 부착구(팁)의 데드 볼륨을 메우게 되어 있다. 정지 부재는 주사통의 팁에 끼워 맞춘다.
또한, 약제의 잔존량을 적게 하는 그 밖의 기술로서는,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것도 있다. 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주사기는, 주사 바늘과, 이 주사 바늘이 삽입되는 통 끝을 갖는 외통이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외통의 통 끝은, 그 개구부가 선단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고 있다. 그리고, 통 끝 내에 삽입된 주사 바늘은, 통 끝의 최소 직경부에 끼워 맞춰서 접촉하게 되어 있다.
일본 실용신안 공고 소 61-2862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16217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주사 바늘에서는, 주사통의 팁에 삽입 부재를 끼워 넣는 작업이 번잡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이알로부터 약제를 흡인할 경우에는, 외통에 대한 흡인용 바늘 및 주사용 바늘의 장착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그로 인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주사 바늘은, 바이알로부터 약제를 흡인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부적합했다.
한편,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주사기는, 외통의 통 끝에 형성된 개구부가 선단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고 있기 때문에, 허브부를 외통에 끼워 맞출 때에 주사 바늘을 통 끝 내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주사기는, 외통의 통 끝 내에 바늘관을 소정의 길이까지 삽입하고, 통 끝의 최소 직경부에 끼워 맞출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주사기에서는, 외통에 끼워 맞추는 허브부에 대하여 바늘관의 기단부(말단)를 정밀하게 위치 결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주사통과 주사 바늘을 테이퍼 끼워 맞춤시키는 경우에는, 주사통의 팁 선단부와 바늘관 사이에 데드 볼륨이 발생해버린다는 실정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바늘 허브에 대한 바늘관의 기단부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정할 필요가 없는 구조로 약제의 잔존량을 적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주사 바늘 조립체는, 피부에 천자되는 바늘 끝을 갖는 바늘관과, 바늘 허브와, 탄성 부재를 구비한다. 바늘 허브는 바늘관을 보유 지지하는 제1 부재와, 시린지의 배출부를 끼워 넣는 제2 부재를 갖는다. 탄성 부재는, 제2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어 그 제2 부재의 내면에 액밀하게 밀착되고, 바늘관을 삽입 관통시키는 삽입 관통 구멍을 갖는다.
본 발명의 약제 주사 장치는, 배출부를 갖는 시린지와, 피부에 천자되는 바늘 끝을 갖는 바늘관과, 바늘 허브와, 탄성 부재를 구비한다. 바늘 허브는 바늘관을 보유 지지하는 제1 부재와, 시린지의 배출부를 끼워 넣는 제2 부재를 갖는다. 탄성 부재는, 제2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어 그 제2 부재의 내면에 액밀하게 밀착된다. 이 탄성 부재는, 바늘관을 삽입 관통시키는 삽입 관통 구멍을 갖는다.
본 발명의 주사 바늘 조립체 및 약제 주사 장치에서는, 제2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에 바늘관을 삽입 관통시켜, 시린지의 배출부를 제2 부재에 끼워 넣는다. 이에 의해, 바늘 허브에 대한 바늘관의 기단부의 위치를 정밀하게 위치 결정하지 않아도, 시린지의 배출부와 바늘관을 연통시킬 수 있다. 또한, 시린지의 배출부의 선단과 탄성 부재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하거나 혹은 없앰으로써 바늘 허브 내의 데드 볼륨을 저감시킬 수 있고, 약제의 잔존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사 바늘 조립체 및 약제 주사 장치에 의하면, 바늘 허브에 대한 바늘관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정할 필요가 없는 구조로 약제의 잔존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약제 주사 장치의 제1 실시 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약제 주사 장치의 제1 실시 형태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약제 주사 장치의 제1 실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약제 주사 장치의 제1 실시 형태를 분해해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약제 주사 장치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부재에 바늘관을 보유 지지시킨 상태의 측면도, 도 5b는 바늘관을 보유 지지한 제1 부재에 제2 부재를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약제 주사 장치의 제2 실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약제 주사 장치의 제3 실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약제 주사 장치의 제3 실시 형태를 분해해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약제 주사 장치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부재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주사 바늘 조립체 및 약제 주사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공통인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1. 제1 실시 형태
[약제 주사 장치]
우선, 본 발명의 약제 주사 장치 및 주사 바늘 조립체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약제 주사 장치의 제1 실시 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약제 주사 장치의 제1 실시 형태의 분해도이다.
약제 주사 장치(1)는, 바늘 끝을 피부의 표면으로부터 천자하여, 피부 상층부에 약제를 주입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이 약제 주사 장치(1)는, 주사 바늘 조립체(2)와, 이 주사 바늘 조립체(2)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시린지(3)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사 바늘 조립체(2)는 바늘 구멍을 갖는 중공의 바늘관(5)과, 이 바늘관(5)이 고정되는 바늘 허브(6)와, 바늘 허브(6) 내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7)와, 바늘 허브(6)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캡(8)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바늘 허브(6)는 바늘관(5)을 보유 지지하는 제1 부재(11)와, 시린지(3)의 후술하는 배출부(52)를 끼워 넣는 제2 부재(12)로 이루어져 있다.
이어서, 주사 바늘 조립체(2) 및 시린지(3)에 대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약제 주사 장치(1)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약제 주사 장치(1)를 분해해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주사 바늘 조립체]
주사 바늘 조립체(2)의 바늘관(5)은, ISO의 의료용 바늘관의 기준[ISO9626: 1991/Amd. 1:2001(E)]에서 26 내지 33 게이지의 크기(외경 0.2 내지 0.45mm)인 것을 사용하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3 게이지인 것을 사용한다.
바늘관(5)의 일단부에는, 날면(5a)을 갖는 바늘 끝(5A)이 설치되어 있다. 이하, 바늘 끝(5A)과는 반대측인 바늘관(5)의 타단부를 「기단부(5B)」라고 한다. 날면(5a)에서의 바늘관(5)의 축 방향의 길이(이하, 「베벨 길이(B)」라고 한다)는, 후술하는 피부 상층부의 가장 얇은 두께인 1.4mm(성인) 이하이면 좋고, 또한, 33 게이지의 바늘관에 짧은 베벨을 형성했을 때의 베벨 길이인 약 0.5mm 이상이면 좋다. 즉, 베벨 길이(B)는, 0.5 내지 1.4mm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벨 길이(B)는, 피부 상층부의 가장 얇은 두께가 0.9mm(소아) 이하, 즉, 베벨 길이(B)이 0.5 내지 0.9mm의 범위이면 더욱 좋다. 또한, 짧은 베벨이란, 주사용 바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늘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18 내지 25°를 이루는 날면을 가리킨다.
바늘관(5)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을 들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티타늄, 티타늄 합금 기타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늘관(5)은, 스트레이트 바늘뿐만 아니라, 적어도 일부가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는 테이퍼 바늘을 사용할 수 있다. 테이퍼 바늘로서는, 바늘 끝 단부에 비하여 기단부가 큰 직경을 갖고 있으며, 그 중간 부분을 테이퍼 구조로 하면 좋다. 또한, 바늘관(5)의 단면 형상은, 원형뿐만 아니라, 삼각형 등의 다각형이라도 좋다.
이어서, 바늘 허브(6)에 대해서 설명한다.
바늘 허브(6)의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는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2 부재(12)는, 바늘관(5)을 보유 지지한 상태의 제1 부재(11)에 접속된다. 이들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의 재질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제1 부재(11)는, 베이스부(15)와, 조정부(16)와, 안정부(17)와, 가이드부(18)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부(15)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축 방향에 수직한 단부면(15a, 15b)을 갖고 있다. 조정부(16)는, 베이스부(15)의 단부면(15a)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고, 베이스부(15)의 축 방향으로 돌출된 원기둥 형상의 볼록부로 되어 있다. 이 조정부(16)의 축심은, 베이스부(15)의 축심과 일치하고 있다.
베이스부(15) 및 조정부(16)의 축심에는, 바늘관(5)이 관통하는 관통 구멍(2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15)에는, 관통 구멍(21)에 접착제(20: 도 3 참조)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용 구멍(22: 도 2 및 도 4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이 주입용 구멍(22)은, 베이스부(15)의 외주면에 개구되어 있고, 관통 구멍(21)에 연통하고 있다. 즉, 주입용 구멍(22)으로부터 관통 구멍(21)으로 주입된 접착제(20)에 의해, 바늘관(5)이 베이스부(15)에 고착된다.
바늘관(5)의 기단부(5B)측은, 베이스부(15)의 단부면(15b)으로부터 돌출된다. 베이스부(15)는 단부면(15b)측으로부터 제2 부재(12) 내에 삽입되고, 바늘관(5)의 기단부(5B)측이 탄성 부재(7)의 후술하는 삽입 관통 구멍(45)에 삽입 관통된다. 그리고, 베이스부(15)의 단부면(15b)이 탄성 부재(7)의 후술하는 단부면(41a)에 접촉된다.
베이스부(15)의 외주면에는, 접속편(2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접속편(24)은, 베이스부(15)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링 형상의 플랜지로서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부(15)의 축 방향에 대향하는 평면(24a, 24b)을 갖고 있다. 접속편(24)의 평면(24b)에는, 제2 부재(12)가 접속된다. 또한, 접속편(24)의 선단부는, 가이드부(18)로 되어 있다. 이 가이드부(18)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조정부(16)의 단부면은, 바늘관(5)의 바늘 끝(5A)측이 돌출하는 바늘 돌출면(16a)으로 되어 있다. 바늘 돌출면(16a)은 바늘관(5)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바늘 돌출면(16a)은, 바늘관(5)을 피부 상층부에 천자할 때에, 피부의 표면에 접촉해서 바늘관(5)을 천자하는 깊이를 규정한다. 즉, 바늘관(5)이 피부 상층부에 천자되는 깊이는, 바늘 돌출면(16a)으로부터 돌출하는 바늘관(5)의 길이[이하, 「돌출 길이(L)」라고 한다]에 따라서 결정된다.
피부 상층부의 두께는, 피부의 표면으로부터 진피층까지의 깊이에 상당하고, 대략 0.5 내지 3.0mm의 범위 내에 있다. 그로 인해, 바늘관(5)의 돌출 길이(L)는, 0.5 내지 3.0mm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런데, 백신은 일반적으로 상완부에 투여되지만, 피부 상층부에 투여하는 경우에는, 피부가 두꺼운 어깨 주변부, 특히 삼각근부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소아 19명과 어른 31명에 대해서, 삼각근의 피부 상층부의 두께를 측정했다. 이 측정은, 초음파 측정 장치[NP60R-UBM 소동물용 고해상도용 에코, 넷파진(주)]을 사용하여, 초음파 반사율이 높은 피부 상층부를 조영함으로써 행했다. 또한, 측정값이 대수 정규 분포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기하 평균에 의해 MEAN±2SD의 범위를 구했다.
그 결과, 소아의 삼각근에서의 피부 상층부의 두께는 0.9 내지 1.6mm이었다. 또한, 성인의 삼각근에서의 피부 상층부의 두께는, 원위부에서 1.4 내지 2.6mm, 중앙부에서 1.4 내지 2.5mm, 근위부에서 1.5 내지 2.5mm이었다. 이상으로부터, 삼각근에서의 피부 상층부의 두께는, 소아의 경우에 0.9mm 이상, 성인의 경우에 1.4mm 이상인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삼각근의 피부 상층부에서의 주사에 있어서, 바늘관(5)의 돌출 길이(L)는, 0.9 내지 1.4mm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 길이(L)를 이렇게 설정함으로써, 바늘 끝(5A)의 날면(5a)을 피부 상층부에 확실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날면(5a)에 개구된 바늘 구멍(약액 배출구)은, 날면(5a) 내의 어떠한 위치에 있어도, 피부 상층부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약액 배출구가 피부 상층부에 위치해도, 바늘 끝(5A)이 피부 상층부보다도 깊게 찔리면, 바늘 끝(5A) 단부의 측면과 절개된 피부 사이로부터 약액이 피하로 흘러버리기 때문에, 날면(5a)이 확실하게 피부 상층부에 있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26 게이지보다도 굵은 바늘관에서는, 베벨 길이(B)를 1.0mm 이하로 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바늘관(5)의 돌출 길이(L)를 바람직한 범위(0.9 내지 1.4mm)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26 게이지보다도 가는 바늘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늘 돌출면(16a)은, 주연으로부터 바늘관(5)의 외주면까지의 거리(S)가1.4mm 이하가 되도록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4mm의 범위로 형성한다. 이 바늘 돌출면(16a)의 주연으로부터 바늘관(5)의 둘레면까지의 거리(S)는, 피부 상층부에 약제를 투여함으로써 형성되는 수포에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고려해서 설정하고 있다. 즉, 바늘 돌출면(16a)은, 피부 상층부에 형성되는 수포보다도 충분히 작고, 수포의 형성을 방해하지 않는 크기로 설정하고 있다. 그 결과, 바늘 돌출면(16a)이 바늘관(5) 주위의 피부를 가압해도, 투여된 약제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안정부(17)는, 베이스부(15)에 설치한 접속편(24)의 평면(24a)으로부터 돌출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안정부(17)의 통 구멍에는, 바늘관(5) 및 조정부(16)가 배치되어 있다. 즉, 안정부(17)는, 바늘관(5)이 관통하는 조정부(16)의 주위를 덮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바늘관(5)의 바늘 끝(5A)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해서 설치되어 있다.
안정부(17)에는, 캡(8)이 착탈 가능하게 끼워 맞춰진다. 이 캡(8)은, 바늘관(5)의 바늘 끝(5A)을 덮는다. 이에 의해, 바늘 허브(6)를 시린지(3)에 장착하는 경우에, 바늘 끝(5A)이 사용자의 손끝 등에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완료된 약제 주사 장치(1) 혹은 주사 바늘 조립체(2)를 항상 안전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는, 안심하고 사용이 완료된 약제 주사 장치(1) 혹은 주사 바늘 조립체(2)의 폐기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정부(17)의 단부면(17a)은 조정부(16)의 바늘 돌출면(16a)보다도 바늘관(5)의 기단부(5B)측에 위치하고 있다. 바늘관(5)의 바늘 끝(5A)을 생체에 천자하면, 우선, 바늘 돌출면(16a)이 피부의 표면에 접촉하고, 그 후, 안정부(17)의 단부면(17a)에 접촉한다. 이때, 안정부(17)의 단부면(17a)이 피부에 접촉함으로써 약제 주사 장치(1)가 안정되어, 바늘관(5)을 피부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자세로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안정부(17)의 단부면(17a)은, 바늘 돌출면(16a)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시키거나, 또한 바늘 돌출면(16a)보다도 바늘관(5)의 바늘 끝(5A)측에 위치시키거나 해도, 바늘관(5)을 피부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안정부(17)를 피부에 가압했을 때, 피부의 융기를 고려하면, 안정부(17)의 단부면(17a)과 바늘 돌출면(16a)에서의 축 방향의 거리는, 1.3mm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정부(17)의 내경(d)은, 피부에 형성되는 수포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그보다도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안정부(17)의 내벽면으로부터 바늘 돌출면(16a)의 주연까지의 거리(T)가 4mm 내지 15mm의 범위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안정부(17)의 내벽면으로부터 수포에 압력이 인가됨으로써 수포 형성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안정부(17)의 내벽면으로부터 바늘 돌출면(16a)의 주연까지의 거리(T)는, 4mm 이상이면, 특히 상한은 없다. 그러나, 거리(T)를 크게 하면, 안정부(17)의 외경이 커지기 때문에, 소아와 같이 가는 팔에 바늘관(5)을 천자할 경우, 안정부(17)의 단부면(17a) 전체를 피부에 접촉시키는 것이 어려워진다. 그로 인해, 거리(T)는 소아의 팔이 가는 것을 고려해서 15mm를 최대로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늘 돌출면(16a)의 주연으로부터 바늘관(5)의 외주면까지의 거리(S)가 0.3mm 이상이면, 조정부(16)가 피부에 진입할 일은 없다. 따라서, 안정부(17)의 내벽면으로부터 바늘 돌출면(16a)의 주연까지의 거리(T: 4mm 이상) 및 바늘 돌출면(16a)의 직경(약 0.3mm)을 고려하면, 안정부(17)의 내경(d)은 9mm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안정부(17)의 형상은 원통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중심에 통 구멍을 갖는 4각 기둥이나 6각 기둥 등의 각통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가이드부(18)는, 접속편(24)에서의 안정부(17)보다도 선단측 부분이다. 이 가이드부(18)는 피부와 접촉하는 접촉면(18a)을 갖고 있다. 접촉면(18a)은 접속편(24)에서의 평면(24a)의 일부이며, 안정부(17)의 단부면(17a)과 대략 평행을 이루는 평면이다. 가이드부(18)의 접촉면(18a)이 피부에 접촉할 때까지 안정부(17)를 가압함으로써, 안정부(17) 및 바늘관(5)이 피부를 가압하는 힘을 항상 소정값이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바늘관(5)의 바늘 돌출면(16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부분[돌출 길이(L)에 상당]이 확실하게 피부 내에 천자된다.
가이드부(18)의 접촉면(18a)으로부터 안정부(17)의 단부면(17a)까지의 거리(이하, 「가이드부 높이」라고 한다: Y)는, 바늘관(5) 및 안정부(17)가 적정한 가압력으로 피부를 가압해 천자할 수 있도록 그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바늘관(5) 및 안정부(17)에 의한 피부로의 가압력을 가이드부(18)가 안내하여, 바늘관(5)의 바늘 끝[5A: 날면(5a)]을 피부 상층부에 확실하게 위치시킬 수 있고, 사용자에게 안심감을 줄 수 있다. 또한, 바늘관(5) 및 안정부(17)의 적정한 가압력은, 예를 들어 3 내지 20N이다.
가이드부 높이(Y)는, 안정부(17)의 내경(d)의 범위가 11 내지 14mm인 경우, 가이드부(18)의 선단면으로부터 안정부(17)의 외주면까지의 길이(이하, 「가이드부 길이」라고 한다: X)에 기초해서 적절히 결정된다. 예를 들어, 안정부(17)의 내경(d)이 12mm이고, 가이드부 길이(X)가 3.0mm일 때, 가이드부 높이(Y)는, 2.3 내지6.6mm의 범위로 설정된다.
이어서, 제2 부재(12)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부재(12)는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부재(12)의 축 방향의 일단부는, 제1 부재(11)의 베이스부(15)를 삽입하는 삽입부(31)로 되어 있고, 타단부는 시린지(3)의 배출부(52)를 끼워 넣는 끼워 넣기부(32)로 되어 있다.
삽입부(31)의 통 구멍(31a)은 제1 부재(11)의 베이스부(15)에 대응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삽입부(31)에는, 제1 부재(11)의 접속편(24)에 접속되는 고정편(34)이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편(34)은, 삽입부(31)의 선단에 연속해서 반경 외방향으로 돌출되는 링 형상의 플랜지로서 형성되어 있다. 고정편(34)에는, 제1 부재(11)에 설치된 접속편(24)의 평면(24b)이 접촉되어 고착된다. 고정편(34)과 접속편(24)의 고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접착제, 초음파 용착, 레이저 용착, 고정 나사 등을 들 수 있다.
끼워 넣기부(32)의 통 구멍(32a)은, 시린지(3)의 배출부(52)에 대응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고, 삽입부(31)측으로 갈수록 연속적으로 직경이 작아져 있다. 끼워 넣기부(32)의 내면에는, 시린지(3)의 배출부(52)를 나사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 홈(3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워 넣기부(32)의 외주면에는, 배출부(52)의 끼워 넣기가 완료된 것을 인식시키는 인식부로서, 허브측 표시부(36)가 설치되어 있다. 배출부(52)를 끼워 넣기부(32)에 끼워 넣은 경우에, 허브측 표시부(36)는, 배출부(52)에 설치된 후술하는 시린지측 표시부(54)와 제2 부재(12)의 둘레 방향에서 일치한다. 이에 의해, 배출부(52)의 끼워 넣기부(32)로의 끼워 넣기가 완료된 것을 인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늘 허브(6) 중 적어도 제2 부재(12)를 투명 혹은 반투명의 합성 수지로 형성하고, 끼워 넣기부(32)를 통하여 시린지측 표시부(54)를 시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인식부로서는, 나사부(53) 또는 나사 홈(35)의 한쪽 기단부에 볼록부를 설치하여, 그 볼록부에 결합되는 오목부를 다른 쪽 기단부에 설치함으로써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는, 볼록부와 오목부가 결합함으로써, 끼워 넣기부(32)에 대한 배출부(52)의 끼워 넣기가 완료된 것을 인식시킬 수 있다.
삽입부(31)와 끼워 넣기부(32) 사이에는, 탄성 부재(7)가 결합하는 결합부(37)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결합부(37)는, 제2 부재(12)의 내면으로부터 반경 내 방향으로 돌출하는 단차부로서 형성되어 있고, 제2 부재(12)의 축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결합면(37a, 37b)을 갖고 있다. 결합부(37)의 결합면(37a)에는, 탄성 부재(7)의 후술하는 플랜지부(42)가 결합되고, 결합면(37b)에는 탄성 부재(7)의 스토퍼 돌기부(43)가 결합된다.
이어서, 탄성 부재(7)에 대해서 설명한다.
탄성 부재(7)는, 바늘 허브(6)의 제2 부재(12) 내에 배치되어, 제1 부재(11)와 시린지(3) 사이에 개재된다. 그리고, 제1 부재(11)로부터 돌출된 바늘관(5)의 기단부(5B)측의 외주면과 제2 부재(12) 사이에 발생하는 간극을 액밀하게 메운다. 이 탄성 부재(7)는 본체부(41)와, 이 본체부(41)의 축 방향의 일단부에 설치된 플랜지부(42)와, 본체부(41)의 타단부에 설치된 스토퍼 돌기부(43)를 갖고 있다.
본체부(41)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축 방향에 수직한 단부면(41a, 4lb)을 갖고 있다. 본체부(41)의 단부면(41a)에는, 제1 부재(11)에 있어서의 베이스부(15)의 단부면(15b)이 접촉하고, 단부면(4lb)에는 시린지(3)에 설치된 배출부(52)의 선단이 접촉한다. 즉, 단부면(4lb)은 배출부(52)의 선단이 접촉하는 접촉면으로 되어 있다.
본체부(41)에는, 베이스부(15)의 단부면(15b)으로부터 돌출된 바늘관(5)의 기단부(5B)측이 삽입 관통되는 삽입 관통 구멍(4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삽입 관통 구멍(45)은, 본체부(41)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단부면(41a, 4lb)에 개구되어 있다. 본체부(41)의 내면은, 단부면측 이격부(46)와, 접촉면측 이격부(47)와, 밀착부(48)로 형성되어 있다.
단부면측 이격부(46)는, 단부면(41a)에 있어서의 삽입 관통 구멍(45)의 개구를 형성한다. 이 단부면측 이격부(46)는, 바늘관(5)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단부면(41a)으로 갈수록 삽입 관통 구멍(45)의 직경이 연속적으로 커지는 것 같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베이스부(15)의 단부면(15b)으로부터 돌출된 바늘관(5)의 기단부(5B)측을 삽입 관통 구멍(45)에 용이하게 삽입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삽입 관통 구멍(45)에 있어서의 단부면측 이격부(46)의 형상은, 바늘관(5)이 삽입 관통 구멍(45)에 삽입 관통되기 쉬운 형상이면, 테이퍼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촉면측 이격부(47)는, 단부면(접촉면: 4lb)에 있어서의 삽입 관통 구멍(45)의 개구를 형성한다. 이 접촉면측 이격부(47)는, 바늘관(5)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단부면(4lb)으로 갈수록 삽입 관통 구멍(45)의 직경이 연속적으로 커지는 것 같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 부재(7)에 접촉면측 이격부(47)를 설치함으로써, 본체부(41)의 단부면(4lb)측이 탄성 변형해서 바늘관(5)의 기단부(5B)를 덮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밀착부(48)는, 단부면측 이격부(46)과 접촉면측 이격부(47)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 밀착부(48)는 바늘관(5)의 외주면에 액밀하게 밀착된다. 이에 의해, 시린지(3) 내의 약제가 바늘관(5)과 탄성 부재(7) 사이에 침투하여, 바늘 허브(6)의 제1 부재(11)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밀착부(48)의 외주면은 제2 부재의 내면에 액밀하게 밀착된다.
플랜지부(42)는, 본체부(41)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외방향으로 돌출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42)의 외경은, 제1 부재(11)의 베이스부(15)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플랜지부(42)의 한쪽 평면은, 제2 부재(12)에 설치된 결합부(37)의 결합면(37a)과 접촉하고, 다른 쪽 평면은, 제1 부재(11)의 베이스부(15)의 단부면(15b)과 접촉한다. 탄성 부재(7)는, 제2 부재(12)의 결합부(37)와 제1 부재(11)의 베이스부(15)에 의해 플랜지부(42)가 끼움 지지됨으로써, 바늘 허브(6)에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 돌기부(43)는, 플랜지부(42)와 마찬가지로, 본체부(41)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외방향으로 돌출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 돌기부(43)는, 제2 부재(12)에 설치된 결합부(37)의 결합면(37b)에 결합된다. 탄성 부재(7)는 플랜지부(42) 및 스토퍼 돌기부(43)가 제2 부재(11)의 결합부(37)에 결합 됨으로써, 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약제가 탄성 부재(7)와 제2 부재(12) 사이에 침입해서 제1 부재(11)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내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탄성 부재(7)의 재질로서는, 천연 고무, 실리콘 고무, 이소부틸렌 고무와 같은 각종 고무 재료나, 폴리우레탄계, 스티렌계 등의 각종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혹은 그들의 혼합물 등의 탄성 재료를 들 수 있다.
[시린지]
시린지(3)는 시린지 본체(51)와, 이 시린지 본체(51)에 연속하는 배출부(52)를 구비하고 있다. 시린지 본체(51)는, 원형의 통체로 이루어져 있다. 배출부(52)는, 시린지 본체(51)의 축 방향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시린지 본체(51)보다도 작은 외경의 원형의 통체로 이루어져 있다. 이 배출부(52)는,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연속적으로 작아지는 것 같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출부(52)의 선단이 되는 단부면(52a)은, 축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이며, 탄성 부재(7)의 단부면(접촉면: 4lb)에 접촉한다.
배출부(52)의 외주면에는, 바늘 허브(6)의 제2 부재(12)에 나사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부(53)와, 시린지측 표시부(5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시린지측 표시부(54)는, 바늘 허브(6)에 설치한 끼워 넣기부(32)에 배출부(52)를 끼워 넣는 경우에, 바늘 허브(6)의 제2 부재(12)를 통하여 인식된다. 그리고, 바늘 허브(6)의 끼워 넣기부(32)에 대한 배출부(52)의 끼워 넣기가 완료하면, 바늘 허브(6)의 허브측 표시부(36)와 둘레 방향에서 일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제 주사 장치로서는, 허브측 표시부(36)와 시린지측 표시부(54)를 제2 부재(12)의 축 방향에서 일치시켜, 배출부(52)의 끼워 넣기가 완료한 것을 인식시키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어, 허브측 표시부(36)를 끼워 넣기부(32)의 선단에 설치하고, 시린지측 표시부(54)를 시린지 본체(51)의 배출부(52)측의 단부에 설치해도 좋다. 그 경우는, 제2 부재(12)를 투명 혹은 반투명하게 하지 않아도, 허브측 표시부(36)와 시린지측 표시부(54)가 제2 부재(12)의 축 방향에서 일치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시린지 본체(51) 내에는, 가스킷(도시하지 않음)이 수납되어 있다. 시린지 본체(51) 내의 공간은, 가스킷에 의해 액밀하게 구획되어 있고, 배출부(52)에 연통하는 한쪽 공간은, 배출부(52) 내의 공간과 함께 액실(56)을 형성하고 있다. 시린지 본체(51) 내의 다른 쪽의 공간에는, 플런저(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된다. 플런저는 가스킷에 접속되어 있고, 시린지 본체(51)의 타단부의 개구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 플런저를 조작함으로써, 가스킷이 시린지 본체(51) 내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액실(56)로의 약제의 흡인과, 액실(56)에 충전된 약제의 배출이 행해진다.
시린지 본체(51) 및 배출부(52)의 재질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유리 등을 사용해도 좋다.
[주사 바늘 조립체의 조립 방법]
이어서, 주사 바늘 조립체(2)의 조립 방법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는, 제1 부재(11)에 바늘관(5)을 보유 지지시킨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5b는, 바늘관(5)을 보유 지지한 제1 부재(11)에 제2 부재(12)를 접속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주사 바늘 조립체(2)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우선, 바늘관(5)을 제1 부재(11)에 설치한다. 제1 부재의 바늘 돌출면(16a)으로부터 돌출된 바늘관(5)의 바늘 끝(5A)측의 길이[돌출 길이(L)]는 0.9 내지 1.4mm의 범위로 설정된다. 그로 인해, 바늘관(5)을 제1 부재(11)에 설치할 때, 바늘관(5)의 바늘 끝(5A)측을 보유 지지하면, 바늘관(5)을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하는 것이 어렵다. 그 결과, 바늘관(5)의 설치 작업이 번잡해져버린다.
한편, 바늘관(5)의 기단부(5B)측은, 그 후 제2 부재(12)에 의해 둘러싸여지기 때문에, 돌출 길이(L)보다도 긴 임의의 길이로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부면(15b)으로부터 돌출된 바늘관(5)의 기단부(5B)측의 길이(M)가, 돌출 길이(L)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따라서, 바늘관(5)을 제1 부재(11)에 설치할 때는, 제1 부재(11)에 있어서의 베이스부(15)의 단부면(15b)으로부터 돌출된 바늘관(5)의 기단부(5B)측을 보유 지지한다. 이에 의해, 바늘관(5)을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어, 제1 부재(11)에 대한 바늘관(5)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1 부재(11)에 바늘관(5)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제1 부재(11)의 관통 구멍(21: 도 3 참조)에 바늘관(5)을 관통시켜, 돌출 길이(L)를 조정한다. 그 후, 주입용 구멍(22)으로부터 관통 구멍(21)에 접착제(20: 도 3 참조)를 주입하고, 바늘관(5)을 제1 부재(11)의 베이스부(15)에 고착한다. 이에 의해, 바늘관(5)의 설치 작업이 완료하고, 제1 부재(11)가 바늘관(5)을 보유 지지한 상태가 된다.
또한, 바늘관(5)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1 부재(11)에 설치할 수도 있다. 그 경우는, 바늘관(5)의 바늘 끝(5A)측 및 기단부(5B)측을 성형형으로 보유 지지한다. 이에 의해, 바늘관(5)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어,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바늘관(5)을 보유 지지한 제1 부재(11)에, 탄성 부재(7)가 결합된 제2 부재(12)를 접속한다. 즉, 제1 부재(11)의 베이스부(15) 및 바늘관(5)의 기단부(5B)측을, 제2 부재(12)의 삽입부(31)에 삽입하고, 제1 부재(11)의 접속편(24)을 제2 부재(12)의 고정편(34)에 접촉시킨다. 이때, 바늘관(5)의 기단부(5B)측은, 제2 부재(12) 내에 배치된 탄성 부재(7)의 삽입 관통 구멍(45)에 삽입 관통되어, 밀착부(48)와 액밀하게 밀착된다(도 3 참조). 그 후, 제2 부재(12)의 고정편(34)을 제1 부재(11)의 접속편(24)에 접착제, 초음파 용착, 레이저 용착, 고정 나사 등의 고착 방법으로 고착한다.
이에 의해, 주사 바늘 조립체(2)가 조립된다. 주사 바늘 조립체(2)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바늘관(5)의 기단부(5B)측은, 탄성 부재(7)에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 제2 부재(12)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바늘 허브(6)를 시린지(3: 도 2 참조)에 장착할 때에, 손가락 등이 바늘관(5)의 기단부(5B)측에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바늘관의 기단부 측을 바늘 허브로부터 돌출시키지 않는 주사 바늘 조립체를 제조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바늘관의 선단측을 보유 지지한다. 그런데, 바늘관의 선단측이 바늘 허브로부터 돌출된 길이를 0.5 내지 3.0mm 정도로 짧게 할 경우에는, 바늘관을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할 수 없게 되어, 작업이 매우 번잡해서 비효율적으로 되어버린다.
본 실시 형태의 주사 바늘 조립체(2) 및 약제 주사 장치(1)에서는, 바늘관(5)을 보유 지지한 상태의 제1 부재(11)에 제2 부재(12)를 접속한다. 그리고, 제1 부재(11)는, 바늘관의 양단부[바늘 끝(5A)측 및 기단부(5B)측]가 돌출되도록 바늘관(5)을 보유 지지한다. 따라서, 바늘관(5)의 바늘 끝(5A)측이 바늘 허브(6)로부터 돌출된 길이를 짧게 해도, 바늘관(5)의 기단부(5B)측을 보유 지지함으로써, 바늘관(5)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어, 바늘관(5)을 바늘 허브(6)에 설치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약제 주사 장치의 조립 방법]
이어서, 약제 주사 장치(1)의 조립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주사 장치(1)는 시린지(3)에 주사 바늘 조립체(2)를 장착함으로써 조립된다. 시린지(3)에 주사 바늘 조립체(2)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우선, 주사 바늘 조립체(2)의 끼워 넣기부(32)에 시린지(3)의 배출부(52)를 삽입한다. 그리고, 배출부(52)에 설치한 나사부(53)를 끼워 넣기부(32)의 나사 홈(35)에 나사 결합시켜, 배출부(52)의 시린지측 표시부(54)를 주사 바늘 조립체(2)의 허브측 표시부(36)에 둘레 방향에서 일치시킨다. 이에 의해, 시린지(3)에 대한 주사 바늘 조립체(2)의 장착이 완료된다.
약제 주사 장치(1)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배출부(52)의 선단인 단부면(52a)은, 주사 바늘 조립체(2)에 설치한 탄성 부재(7)의 단부면(접촉면: 4lb)에 수직으로 접촉하여 그 단부면(4lb)을 가압한다. 이에 의해, 배출부(52)의 단부면(52a)과 탄성 부재(7)의 단부면(4lb)이 액밀하게 밀착되고, 바늘관(5)의 바늘 구멍과 시린지(3)의 액실(56)이 연통한다. 그 결과, 배출부(52)의 선단과 바늘관(5)의 기단부(5B)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약제의 잔존량을 적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시린지(3)의 액실(56)에 충전된 약제가 주사 바늘 조립체(2)의 바늘 허브(6) 내로 누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소정 양의 약제를 바늘관(5)의 바늘 끝(5A)으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배출부(52)의 단부면(52a)을 탄성 부재(7)의 단부면(4lb)에 수직으로 접촉시켜서 양자를 액밀하게 밀착시키기 때문에, 주사 바늘 조립체(2)의 바늘 허브(6)에 대한 바늘관(5)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바늘 허브(6)와 바늘관(5)의 조립 작업을 단순화할 수 있어,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바늘관(5)의 기단부(5B)측과 바늘 허브(6) 사이를 탄성 부재(7)로 시일하므로, 약제를 바이알 등으로부터 흡인(프라이밍)할 때, 바늘관(5)의 기단부(5B)측의 외주면과 바늘 허브(6)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바늘관(5)의 기단부(5B)측의 외주면과 바늘 허브(6)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경우는, 액실(56)에 충전된 약제를 바늘관(5)의 바늘 끝(5A)으로부터 배출할 때, 약제를 배출하기 위한 압력에 의해 공간부 내의 공기가 압축되어, 압력이 완충됨으로써 약제가 공간부에 저류되어버린다. 따라서, 바늘관(5)의 기단부(5B)측의 외주면과 바늘 허브(6)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약제의 투여량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주사 바늘 조립체(2) 및 약제 주사 장치(1)에 의하면, 탄성 부재(7)에 접촉면측 이격부(47)를 설치했다. 그로 인해, 배출부(52)의 단부면(52a)에 가압된 탄성 부재(7)의 단부면(4lb)이 배출부(52) 내로 들어오는 것과 같이 탄성 변형할 가능성이 없어, 탄성 부재(7)가 바늘관(5)에서의 기단부(5B)측의 바늘 구멍을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약제 주사 장치의 사용 방법]
이어서, 약제 주사 장치(1)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바늘관(5)의 바늘 끝(5A)을 생체에 천자하기 위해서는, 우선 안정부(17)의 단부면(17a)을 피부에 대향시킨다. 이에 의해, 바늘관(5)의 바늘 끝(5A)이 천자되는 피부에 대향된다. 이어서, 약제 주사 장치(1)를 피부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이동시키고, 바늘 끝(5A)을 피부에 천자하는 동시에 안정부(17)의 단부면(17a)을 피부에 가압한다. 이때, 바늘 돌출면(16a)이 피부에 접촉해서 피부를 평평하게 변형시킬 수 있어, 바늘관(5)의 바늘 끝(5A)측을 돌출 길이(L)만큼 피부에 천자할 수 있다.
이어서, 가이드부(18)의 접촉면(18a)이 피부에 접촉할 때까지 안정부(17)의 단부면(17a)을 가압한다. 여기서, 가이드부 높이(Y: 도 3 참조)는 바늘관(5) 및 안정부(17)가 적정한 가압력으로 피부에 천자할 수 있도록 그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그로 인해, 안정부(17)에 의해 피부를 가압하는 힘이 소정의 값이 된다.
그 결과, 안정부(17)의 적정한 가압력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고, 바늘관(5)의 바늘 끝(5A) 및 날면(5a)을 확실하게 피부 상층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18)가 안정부(17)의 적정한 가압력을 인식시키는 표시가 됨으로써, 사용자가 안심하고 약제 주사 장치(1)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안정부(17)가 피부에 접촉함으로써, 약제 주사 장치(1)의 자세가 안정되어, 바늘관(5)을 피부에 대하여 똑바로 천자할 수 있다. 또한, 천자 후에 바늘관(5)에 발생하는 떨림을 방지할 수 있어, 약제의 안정된 투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0.5mm 정도의 지극히 짧은 돌출 길이의 바늘관에서는, 바늘 끝을 피부에 접촉시켜도 피부에 찔리지 않을 경우가 있다. 그러나, 안정부(17)에 가압된 피부가 수직 방향으로 아래로 눌림으로써, 안정부(17)의 내측의 피부가 인장되어서 피부에 장력이 가해진 상태가 된다. 그로 인해, 바늘관(5)의 바늘 끝(5A)에 대하여 피부가 벗어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안정부(17)를 설치함으로써, 피부에 바늘 끝(5A)을 더욱 천자하기 쉽게 한다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바늘관(5)의 바늘 끝(5A)측을 피부에 천자한 후, 플런저(도시하지 않음)를 눌러서 가스킷(도시하지 않음)을 배출부(52)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시린지(3)의 액실(56)에 충전된 약제는, 배출부(52)로부터 압출되어, 바늘관(5)의 바늘 구멍을 통해서 바늘 끝(5A)으로부터 피부 상층부에 주입된다. 이때, 배출부(52)의 선단과 바늘관(5)의 기단부(5B)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약제의 잔존량을 적게 할 수 있다.
2. 제2 실시 형태
[약제 주사 장치]
이어서, 본 발명의 약제 주사 장치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약제 주사 장치의 제2 실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주사 장치(61)는 주사 바늘 조립체(62)와, 이 주사 바늘 조립체(62)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시린지(3)로 구성되어 있다. 주사 바늘 조립체(6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주사 바늘 조립체(2)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이 주사 바늘 조립체(62)가 주사 바늘 조립체(2)와 다른 곳은, 바늘 허브(63)의 제2 부재(65)에 안정부(67) 및 가이드부(68)를 설치한 점이다. 그로 인해, 여기서는, 안정부(67) 및 가이드부(68)에 대해서 설명하고, 주사 바늘 조립체(2)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해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바늘 허브(63)는, 바늘관(5)을 보유 지지하는 제1 부재(64)와, 시린지(3)의 배출부(52)를 끼워 넣는 제2 부재(65)로 되어 있다. 제1 부재(64)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부재(11)와 다른 곳은, 베이스부(15)의 접속편(24)에 안정부(17)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점이다. 제1 부재(64)의 기타 구성은, 제1 부재(11)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2 부재(65)에 설치한 고정편(34)의 선단에는, 안정부(67) 및 가이드부(68)가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다. 안정부(67)는, 제2 부재(65)의 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바늘관(5)이 관통하는 조정부(16)의 주위를 덮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바늘관(5)의 바늘 끝(5A)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 안정부(67)에는, 캡(8: 도 1 참조)이 착탈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진다.
안정부(67)의 단부면(67a)은, 조정부(16)의 바늘 돌출면(16a)보다도 바늘관(5)의 기단부(5B)측에 위치하고 있지만, 바늘 돌출면(16a)과 동일 평면 상이나, 바늘 돌출면(16a)보다도 바늘관(5)의 바늘 끝(5A)측에 위치시켜도 좋다. 또한, 안정부(67)의 내경(d)과, 안정부(67)의 내벽면으로부터 바늘 돌출면(16a)의 주연까지의 거리(T)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설정되어 있다.
가이드부(68)는, 제2 부재(65)의 둘레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피부와 접촉하는 접촉면(68a)을 갖고 있다. 접촉면(68a)은 안정부(67)의 단부면(67a)과 대략 평행을 이루는 평면이다. 가이드부(68)의 접촉면(68a)으로부터 안정부(67)의 단부면(67a)까지의 거리(이하, 「가이드부 높이」라고 한다: Y)와, 가이드부(68)의 선단면으로부터 안정부(67)의 외주면까지의 길이(이하, 「가이드부 길이」라고 한다: X)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설정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주사 바늘 조립체(62) 및 약제 주사 장치(61)에 있어서도, 바늘 허브(63)에 대한 바늘관(5)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정할 필요가 없어, 약제의 잔존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안정부(67)에 의해 피부를 가압하는 힘을 소정의 값으로 할 수 있어, 가이드부(68)가 안정부(67)의 적정한 가압력을 인식시키는 표시가 되어, 사용자가 안심하고 약제 주사 장치(61)를 사용할 수 있다.
3.제3 실시 형태
[약제 주사 장치]
이어서, 본 발명의 약제 주사 장치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약제 주사 장치의 제3 실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약제 주사 장치의 제3 실시 형태를 분해해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주사 장치(71)는, 주사 바늘 조립체(72)와, 이 주사 바늘 조립체(72)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시린지(3)로 구성되어 있다. 주사 바늘 조립체(7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주사 바늘 조립체(2)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다. 이 주사 바늘 조립체(72)가 주사 바늘 조립체(2)와 다른 곳은, 탄성 부재(74)만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탄성 부재(74)에 대해서 설명하고, 주사 바늘 조립체(2)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해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약제 주사 장치(71)의 주사 바늘 조립체(72)는 바늘 구멍을 갖는 중공의 바늘관(5)과, 이 바늘관(5)이 고정되는 바늘 허브(6)와, 바늘 허브(6) 내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74)와, 바늘 허브(6)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캡(8: 도 1 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탄성 부재(74)는 바늘 허브(6)의 제2 부재(12) 내에 배치되고, 제1 부재(11)와 시린지(3) 사이에 개재된다. 이 탄성 부재(74)는 본체부(41)와, 이 본체부(41)의 축 방향의 일단부에 설치된 플랜지부(42)와, 본체부(41)의 타단부에 설치된 스토퍼 돌기부(43)를 갖고 있다.
본체부(41)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축 방향에 수직한 단부면(41a, 4lb)을 갖고 있다. 본체부(41)의 단부면(41a)에는, 제1 부재(11)에 있어서의 베이스부(15)의 단부면(15b)이 접촉하고, 단부면(4lb)에는 시린지(3)에 설치된 배출부(52)의 선단이 접촉한다. 즉, 단부면(4lb)은 배출부(52)의 선단이 접촉하는 접촉면으로 되어 있다.
본체부(41)에는, 베이스부(15)의 단부면(15b)으로부터 돌출된 바늘관(5)의 기단부(5B)측이 삽입 관통되는 삽입 관통 구멍(4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삽입 관통 구멍(45)은, 본체부(41)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단부면(41a, 4lb)에 개구되어 있다. 본체부(41)의 내면은 단부면측 이격부(46)와, 접촉면측 이격부(47)와, 밀착부(48)로 형성되어 있다.
접촉면측 이격부(47)에는 바늘측 밸브체부(7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바늘측 밸브체부(75)는, 바늘관(5)의 외주를 덮는 통 형상의 돌기부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바늘측 밸브체부(75)의 외주면은,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연속적으로 작아지는 것 같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촉면측 이격부(47)에 약액이 흐르면, 그 약액에 의해 바늘측 밸브체부(75)가 가압되어, 바늘관(5)에 밀착하도록 변형해서 내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플랜지부(42)는, 본체부(41)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외방향으로 돌출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42)의 외경은, 제1 부재(11)의 베이스부(15)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플랜지부(42)의 한쪽 평면(42a)은, 본체부(41)의 단부면(41a)과 동일한 평면으로 되어 있다. 이 평면(42a)에는, 링 돌기부(44)가 설치되어 있다. 링 돌기부(44)는 제1 부재(11)의 베이스부(15)의 단부면(15b)에 접촉해서 찌부러진다. 플랜지부(42)의 다른 쪽 평면(42b)은, 제2 부재(12)에 설치한 결합부(37)의 결합면(37a)에 접촉한다. 탄성 부재(74)는 제2 부재(12)의 결합부(37)와 제1 부재(11)의 베이스부(15)에 의해 플랜지부(42)가 끼움 지지됨으로써, 바늘 허브(6)에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 돌기부(43)는, 플랜지부(42)와 마찬가지로, 본체부(41)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외방향으로 돌출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 돌기부(43)는, 제2 부재(12)에 설치한 결합부(37)의 결합면(37b)에 결합한다. 탄성 부재(74)는 플랜지부(42) 및 스토퍼 돌기부(43)가 제2 부재(12)의 결합부(37)에 결합 함으로써, 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약액이 탄성 부재(74)와 제2 부재(12) 사이에 침입해서 제1 부재(11)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내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탄성 부재(74)의 재질로서는, 천연 고무, 실리콘 고무, 이소부틸렌 고무와 같은 각종 고무 재료나, 폴리우레탄계, 스티렌계 등의 각종 열가소성 에스트러머, 혹은 그들의 혼합물 등의 탄성 재료를 들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주사 바늘 조립체(72) 및 약제 주사 장치(71)에서도, 바늘 허브(6)에 대한 바늘관(5)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정할 필요가 없어, 약제의 잔존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안정부(17)에 의해 피부를 가압하는 힘을 소정의 값으로 할 수 있고, 가이드부(18)가 안정부(17)의 적정한 가압력을 인식시키는 표시가 되어, 사용자가 안심하고 약제 주사 장치(61)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주사 바늘 조립체(72) 및 약제 주사 장치(71)에 의하면, 시린지(3)의 배출부(52)로부터 배출된 약제가 접촉면측 이격부(47)로 누설된 경우라도, 그 누설된 약제가 바늘측 밸브체부(75)를 가압하기 때문에, 바늘측 밸브체부(75)가 바늘관(5)의 외주면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해, 바늘관(5)과 탄성 부재(74) 사이의 내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약제가 바늘 허브(6)의 제1 부재(11)측으로 누설되기 어렵게 되어, 피부 상층부에 투여하는 약제의 양을 안정시킬 수 있다.
4.제4 실시 형태
[주사 바늘 조립체]
이어서, 본 발명의 주사 바늘 조립체 및 약제 주사 장치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주사 바늘 조립체 및 약제 주사 장치의 제4 실시에 관한 탄성 부재의 단면도이다.
주사 바늘 조립체 및 약제 주사 장치의 제4 실시 형태는, 제3 실시 형태의 주사 바늘 조립체(72) 및 약제 주사 장치(71)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다. 이 주사 바늘 조립체 및 약제 주사 장치의 제4 실시 형태가 주사 바늘 조립체(72) 및 약제 주사 장치(71)와 상이한 점은, 탄성 부재(81)만이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탄성 부재(8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부재(81)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부재(74)의 바늘측 밸브체부(75) 이외에 제2 부재측 밸브체부(8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2 부재측 밸브체부(83) 이외의 구성은, 탄성 부재(74)와 동일하기 때문에, 탄성 부재(74)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해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제2 부재측 밸브체부(83)는, 플랜지부(42)의 다른 쪽 평면(42b)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부재측 밸브체부(83)는, 평면(42b)의 외측 테두리부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시린지(3)의 배출부(52)로부터 배출된 약액이 탄성 부재(81)와 제2 부재(12)의 내면 사이에 침입하면, 그 약액에 의해 제2 부재측 밸브체부(83)가 가압되어, 제2 부재(12)의 내면과 액밀하게 밀착한다. 이에 의해, 탄성 부재(81)와 제2 부재(12)의 내면 사이의 내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81)의 재질은, 제1 실시 형태의 탄성 부재(74)와 같다.
주사 바늘 조립체 및 약제 주사 장치의 제4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접촉면측 이격부(47)로 누설된 약액이 바늘측 밸브체부(75)를 가압함으로써, 바늘측 밸브체부(75)가 바늘관(5)의 외주면으로 가압되고, 바늘관(5)에 밀착하도록 변형된다. 이에 의해, 바늘관(5)과 탄성 부재(81) 사이의 내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부(41)와 제2 부재(12) 사이에 누설된 약액이 제2 부재측 밸브체부(83)를 제2 부재(12)의 내면으로 가압한다. 이에 의해, 제2 부재측 밸브체부(83)가 제2 부재(12)의 내면에 밀착하도록 변형되어, 제2 부재(12)와 탄성 부재(81) 사이의 내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약액이 바늘 허브(6)의 제1 부재(11)측으로 누설되기 어렵게 되어, 피부 상층부에 투여하는 약제의 양을 안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제4 실시 형태에서는, 탄성 부재(81)의 플랜지부(42)에 제2 부재측 밸브체부(83)를 설치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제2 부재(12)의 내면으로 가압되는 밸브체로서는, 탄성 부재(81)에 있어서의 본체부(4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해도 좋다.
5. 내압 성능의 실험예
이어서, 본 발명의 주사 바늘 조립체 및 약제 주사 장치의 탄성 부재에 의한 내압 성능을 확인한 실험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험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부재(74: 도 8 참조)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부재(81: 도 9 참조)와,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부재(7: 도 4 참조)에 대해서 행하였다.
실험에서는, 바늘관(5)으로서 33 게이지의 스트레이트 바늘을 사용하고, 그 바늘관(5)을 광 경화성 접착제로 바늘 허브(6)의 제1 부재(11)에 고정했다. 또한,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 사이에 탄성 부재를 개재시켜, 바늘관(5)이 탄성 부재를 관통한 상태에서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를 초음파 융착으로 접합해서 탄성 부재 종류별로 주사 바늘 조립체를 조립했다. 계속해서, 각 주사 바늘 조립체에 시린지(3)를 장착해서 탄성 부재 종류별로 약제 주사 장치를 조립했다.
이어서, 시린지(3)의 액실(56)에 액체를 충전하고, 바늘관(3)의 선단을 밀봉했다. 계속해서, 정적 시험 장치(오토그래프)에 의해, 플런저를 50mm/min(분)로 눌러 각 탄성 부재의 파탄을 검출했다. 각 탄성 부재의 파탄의 검출은, 정적 시험 장치에 의해 얻어지는 강도- 스트로크 곡선으로부터 검출하여, 이 검출 결과로부터 각 탄성 부재의 파단 강도를 측정했다. 이어서, 파단 강도와, 시린지(3)의 배출부(52)에 있어서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적으로부터 각 탄성 부재에 가해진 압력(내압 성능)을 산출했다.
또한, 실험은, 약제 주사 장치의 조립 오차나 치수 오차를 고려하여, 탄성 부재 종류마다 10회 행했다. 그리고, 탄성 부재에 가해진 압력의 최소값, 최대값, 평균값을 산출했다. 이 실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늘측 밸브체부(75)를 설치한 탄성 부재(74)를 사용하면, 3.0 내지 5.0MPa 정도의 내압 성능이 얻어지고, 바늘측 밸브체부(75) 및 제2 부재측 밸브체부(83)를 설치한 탄성 부재(81)를 사용하면, 3.5 내지 5.0MPa 정도의 내압 성능이 얻어졌다. 한편, 밸브체(63, 83)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탄성 부재(7)를 사용하면, 0.7 내지 1.0MPa 정도의 내압 성능이 얻어졌다. 따라서, 바늘측 밸브체부(75)를 설치한 탄성 부재(74)와, 바늘측 밸브체부(75) 및 제2 부재측 밸브체부(83)를 설치한 탄성 부재(81)는, 밸브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탄성 부재(7)보다도, 내압이 높아지는(내압 성능이 향상된다)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표 1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바늘측 밸브체부(75)를 설치한 탄성 부재(74)는, 제2 부재측 밸브체부(83)만 설치한 탄성 부재보다도 내압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이에 의해, 제2 부재(12)의 내면으로 가압되는 밸브체를 설치하는 것보다도, 바늘관(5)의 외주면으로 가압되는 밸브체를 설치한 쪽이, 내압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약제 주사 장치 및 주사 바늘 조립체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그 작용 효과도 포함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주사 바늘 조립체 및 약제 주사 장치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한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상술한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시린지(3)에 있어서의 배출부(52)의 단부면(52a)을 탄성 부재[7(74, 81)]의 단부면(4lb)에 수직으로 접촉시켜서 양자를 액밀하게 밀착시키고 있다.
그러나, 배출부(52)의 단부면(52a)이 탄성 부재[7(74, 81)]의 단부면(4lb)에 접촉하지 않아도, 시린지(3)의 액실(56)과 바늘관(5)을 연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배출부의 단부면은, 탄성 부재의 단부면에 반드시 접촉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시린지(3), 제2 부재(12) 또는 탄성 부재(7)의 치수의 편차나, 사용자의 조립 방법의 편차가 발생하면, 배출부(52)의 단부면(52a)이 탄성 부재(7)의 단부면(4lb)에 접촉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이들의 편차를 허용하고, 고정밀도에 의한 위치 결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데드 볼륨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단부면(52a)과 단부면(4lb)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하거나 혹은 없애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바늘관(5)의 기단부(5B)가 시린지(3)의 배출부(52) 내에 삽입되도록 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약제 주사 장치로서는, 바늘관(5)의 기단부(5B)가 시린지(3)의 배출부(52) 내에 삽입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바늘관(5)의 기단부(5B)는, 배출부(52)의 단부면(52a)과 대략 동일 평면 상에 위치시켜도 좋다.
상술한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시린지(3)의 배출부(52)를 바늘 허브[6(63)]의 끼워 넣기부(32)에 나사 결합시키도록 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약제 주사 장치로서는, 배출부(52)를 끼워 넣기부(32)에 끼워 맞추는 것만으로 접속시켜도 좋다. 그 경우는,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와 같이, 배출부(52)를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연속적으로 작아지는 것 같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면 좋다. 그 결과, 배출부(52) 및 끼워 넣기부(32)의 치수에 제조상의 편차가 발생해도, 배출부(52)의 단부면(52a)과 탄성 부재[7(74, 81)]의 단부면(4lb)을 액밀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상술한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바늘 허브[6(63)]에 안정부[17(67)] 및 가이드부[18(68)]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약제 주사 장치 및 주사 바늘 조립체로서는, 시린지에 안정부 및 가이드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1, 61, 71: 약제 주사 장치
2, 62, 72: 주사 바늘 조립체
3: 시린지
5: 바늘관
5A: 바늘 끝
5B: 기단부
5a: 날면
6, 63: 바늘 허브
7, 74, 81: 탄성 부재
8: 캡
11, 64: 제1 부재
12, 65: 제2 부재
15: 베이스부
16: 조정부
16a: 바늘 돌출면
17, 67: 안정부
18, 68: 가이드부
20: 접착제
21: 관통 구멍
24: 접속편
31: 삽입부
32: 끼워 넣기부
34: 고정편
35: 나사 홈
36: 허브측 표시부(인식부)
37: 결합부
41: 본체부
41a: 단부면
4lb: 단부면(접촉면)
42: 플랜지부
43: 스토퍼 돌기부
45: 삽입 관통 구멍
46: 단부면측 이격부
47: 접촉면측 이격부
48: 밀착부
51: 시린지 본체
52: 배출부
52a: 단부면(선단)
53: 나사부
54: 시린지측 표시부
56: 액실
75: 바늘측 밸브체부
83: 제2 부재측 밸브체부

Claims (17)

  1. 피부에 천자되는 바늘 끝을 갖는 바늘관과,
    상기 바늘관을 보유 지지하는 제1 부재와, 시린지의 배출부를 끼워 넣는 제2 부재를 갖는 바늘 허브와,
    상기 제2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부재의 내면에 액밀하게 밀착되고, 상기 바늘관이 삽입 관통되는 삽입 관통 구멍을 갖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바늘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시린지의 배출부의 선단과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바늘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접촉면에서의 상기 삽입 관통 구멍의 개구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바늘관의 둘레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접촉면측 이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바늘 조립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접촉면에 대향하는 단부면과, 상기 단부면에서의 상기 삽입 관통 구멍의 개구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바늘관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단부면측 이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바늘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에 의해 끼움 지지되는 플랜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바늘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에는, 상기 시린지의 배출부로부터 배출된 약액에 가압되어 상기 바늘관의 외주면으로 가압되는 바늘측 밸브체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바늘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에는, 상기 시린지의 배출부로부터 배출된 약액에 가압되어 상기 제2 부재의 내면으로 가압되는 제2 부재측 밸브체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바늘 조립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바늘관의 양단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바늘관을 보유 지지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바늘관을 보유 지지한 상태의 상기 제1 부재에 접속되며, 상기 제1 부재로부터 돌출된 상기 바늘관의 상기 바늘 끝측과는 반대인 기단부측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바늘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바늘관의 바늘 끝측의 길이는, 상기 제1 부재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바늘관 기단부측의 길이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바늘 조립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에는, 상기 시린지를 나사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바늘 조립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에는, 상기 시린지의 끼워 넣기가 완료된 것을 인식시키는 인식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바늘 조립체.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관의 바늘 끝측의 주위에 설치되고, 상기 바늘관의 상기 바늘 끝을 생체에 천자할 경우에 피부와 접촉하는 바늘 돌출면이 형성된 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바늘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제1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바늘 조립체.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허브에는, 상기 바늘관의 상기 바늘 끝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해서 배치되고, 상기 바늘관의 상기 바늘 끝을 생체에 천자할 경우에 피부와 접촉하는 안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바늘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부는, 상기 제1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바늘 조립체.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관은, 26 내지 33 게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바늘 조립체.
  17. 배출부를 갖는 시린지와,
    피부에 천자되는 바늘 끝을 갖는 바늘관과,
    상기 바늘관을 보유 지지하는 제1 부재와, 상기 시린지의 배출부를 끼워 넣는 제2 부재를 갖는 바늘 허브와,
    상기 제2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부재의 내면에 액밀하게 밀착되고, 상기 바늘관이 삽입 관통되는 삽입 관통 구멍을 갖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주사 장치.
KR1020127008161A 2009-09-30 2010-09-17 주사 바늘 조립체 및 약제 주사 장치 KR1016903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28545 2009-09-30
JPJP-P-2009-228544 2009-09-30
JP2009228545 2009-09-30
JP2009228544 2009-09-30
JPJP-P-2010-082585 2010-03-31
JP2010082585 2010-03-31
PCT/JP2010/066133 WO2011040263A1 (ja) 2009-09-30 2010-09-17 注射針組立体及び薬剤注射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032A true KR20120091032A (ko) 2012-08-17
KR101690356B1 KR101690356B1 (ko) 2016-12-27

Family

ID=43781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8161A KR101690356B1 (ko) 2009-09-30 2010-09-17 주사 바늘 조립체 및 약제 주사 장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8636705B2 (ko)
EP (1) EP2484398B1 (ko)
JP (1) JP5667571B2 (ko)
KR (1) KR101690356B1 (ko)
CN (1) CN102470215B (ko)
AU (1) AU2010301852B2 (ko)
BR (1) BR112012004393B1 (ko)
CA (1) CA2770829C (ko)
ES (1) ES2549165T3 (ko)
MX (1) MX2012002516A (ko)
MY (1) MY159863A (ko)
RU (1) RU2546417C2 (ko)
SG (1) SG177466A1 (ko)
TW (1) TWI449552B (ko)
WO (1) WO2011040263A1 (ko)
ZA (1) ZA20110920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3466A (ko) * 2017-10-31 2020-07-08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시린지 및 프리필드 시린지
KR20220053139A (ko) * 2020-10-22 2022-04-29 주식회사 머다 주사약 투여 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23307A1 (en) 2008-05-20 2009-11-25 Hexal Ag Method for reducing leachables and extractables in syringes
WO2011112916A1 (en) 2010-03-12 2011-09-15 Sid Technologies, Llc Assembly for use with a syringe
EP2489379B1 (en) 2011-01-21 2020-09-23 SID Technologies, LLC Intradermal pen adapter
WO2012147415A1 (ja) * 2011-04-28 2012-11-01 テルモ株式会社 注射針組立体及び薬剤注射装置
CN103501846B (zh) * 2011-04-28 2016-02-10 泰尔茂株式会社 注射针组装体及药剂注射装置
JP5955838B2 (ja) * 2011-04-28 2016-07-20 テルモ株式会社 注射針組立体及び薬剤注射装置
WO2012157323A1 (ja) * 2011-05-17 2012-11-22 テルモ株式会社 注射針組立体及び薬剤注射装置
WO2012160855A1 (ja) * 2011-05-20 2012-11-29 テルモ株式会社 注射針組立体及び薬剤注射装置
EP2982401B1 (en) * 2013-04-05 2020-03-25 Terumo Kabushiki Kaisha Drug injection syringe
US9474865B2 (en) 2013-04-25 2016-10-25 West Pharmaceutical Services, Inc. Needle shield for disposable syringe with annular ring
US11577030B2 (en) * 2013-12-04 2023-02-14 Embecta Corp. Pen needle attachment mechanisms
SG10201709784VA (en) 2013-12-06 2018-01-30 Genentech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low-volume medicament delivery
WO2016117164A1 (ja) * 2015-01-20 2016-07-28 テルモ株式会社 注射針組立体及びそれを備えた皮膚上層部への薬液注入用注射器
JP6636503B2 (ja) * 2015-03-27 2020-01-29 テルモ株式会社 注射針組立体および薬剤注射装置
US10821053B2 (en) * 2016-10-07 2020-11-0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yringe with connector
WO2019212884A1 (en) * 2018-04-30 2019-11-0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Pen needle assembly
JPWO2021200946A1 (ko) * 2020-03-31 2021-10-07
CN112336423B (zh) * 2020-10-20 2022-08-23 深圳尚奥医疗科技有限公司 穿刺辅助组件和穿刺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35616A (en) * 1959-08-19 1962-05-22 Clark H Hamilton Syringe
JPS6128629A (ja) 1984-07-17 1986-02-08 Hakko Co Ltd 地下管路の補修工法
US5964737A (en) * 1998-06-25 1999-10-1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dication transfer connector and connection
JP2001299909A (ja) * 2000-04-26 2001-10-30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用注射針
JP2005087521A (ja) * 2003-09-18 2005-04-07 Terumo Corp 薬液注入装置
JP2006116217A (ja) 2004-10-25 2006-05-11 Jms Co Ltd 注射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14557A1 (de) * 1977-04-01 1978-10-12 Zimmermann K Dr Med Automatische absperrvorrichtung fuer einmalkanuelen, und fuer zwischenstuecke auf venenverweilkanuelen und venenkathetern
JPS618056U (ja) 1984-06-21 1986-01-18 民主 的場 注射針
JPS6128629U (ja) 1984-07-27 1986-02-20 リンテツク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系樹脂フイルム成膜用支持体
JPH01135949U (ko) * 1988-03-11 1989-09-18
DE29602173U1 (de) * 1996-02-08 1997-06-26 B. Braun Melsungen Ag, 34212 Melsungen Applikationsvorrichtung für medizinische Flüssigkeiten
IT1298087B1 (it) * 1998-01-08 1999-12-20 Fiderm S R L Dispositivo per il controllo della profondita' di penetrazione di un ago, in particolare applicabile ad una siringa per iniezioni
US7241275B2 (en) * 1999-10-14 2007-07-1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ntradermal needle
US6776776B2 (en) * 1999-10-14 2004-08-1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Prefillable intradermal delivery device
US7544189B2 (en) * 2000-10-10 2009-06-09 Meridian Medical Technologies, Inc. Needle and hub assembly for automatic injector
US20030040720A1 (en) * 2001-08-22 2003-02-27 Steube Gregory Alan Needle hub assembly
US8998848B2 (en) * 2004-11-12 2015-04-07 Vidacare LLC Intraosseous device and methods for accessing bone marrow in the sternum and other target areas
EP1933906B1 (en) * 2005-10-13 2016-02-1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Disposable needle and hub assembly
US7842008B2 (en) * 2005-11-21 2010-11-3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ntradermal delivery device
WO2009043000A1 (en) * 2007-09-27 2009-04-0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artridge for powder and liquid dru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35616A (en) * 1959-08-19 1962-05-22 Clark H Hamilton Syringe
JPS6128629A (ja) 1984-07-17 1986-02-08 Hakko Co Ltd 地下管路の補修工法
US5964737A (en) * 1998-06-25 1999-10-1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dication transfer connector and connection
JP2001299909A (ja) * 2000-04-26 2001-10-30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用注射針
JP2005087521A (ja) * 2003-09-18 2005-04-07 Terumo Corp 薬液注入装置
JP2006116217A (ja) 2004-10-25 2006-05-11 Jms Co Ltd 注射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3466A (ko) * 2017-10-31 2020-07-08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시린지 및 프리필드 시린지
KR20220053139A (ko) * 2020-10-22 2022-04-29 주식회사 머다 주사약 투여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0301852A1 (en) 2012-01-19
TWI449552B (zh) 2014-08-21
MX2012002516A (es) 2012-04-10
MY159863A (en) 2017-02-15
TW201113060A (en) 2011-04-16
AU2010301852B2 (en) 2015-08-06
US20110077602A1 (en) 2011-03-31
CA2770829C (en) 2017-05-16
EP2484398A1 (en) 2012-08-08
BR112012004393A8 (pt) 2016-10-04
WO2011040263A1 (ja) 2011-04-07
JP5667571B2 (ja) 2015-02-12
ZA201109203B (en) 2013-02-27
RU2012110406A (ru) 2013-11-10
ES2549165T3 (es) 2015-10-23
EP2484398A4 (en) 2013-05-29
KR101690356B1 (ko) 2016-12-27
BR112012004393B1 (pt) 2020-05-26
SG177466A1 (en) 2012-02-28
EP2484398B1 (en) 2015-07-29
RU2546417C2 (ru) 2015-04-10
CA2770829A1 (en) 2011-04-07
US8636705B2 (en) 2014-01-28
BR112012004393A2 (pt) 2016-03-22
CN102470215A (zh) 2012-05-23
CN102470215B (zh) 2014-08-13
JPWO2011040263A1 (ja) 201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1032A (ko) 주사 바늘 조립체 및 약제 주사 장치
JP6284595B2 (ja) 注射針組立体及び薬剤注射装置
TWI619523B (zh) 藥劑投入器具以及藥劑注射裝置
EP2484397B1 (en) Syringe needle assembly and medication syringe device
JP5756793B2 (ja) 注射針組立体及び薬剤注射装置
EP2484400B1 (en) Syringe needle assembly and medication injection device
WO2011040222A1 (ja) 注射針組立体及び薬剤注射装置
WO2012157318A1 (ja) 注射針組立体及び薬剤注射装置
WO2012160852A1 (ja) 注射針組立体及び薬剤注射装置
JP5270424B2 (ja) 薬剤注射装置および注射針組立体
JP2012010970A (ja) 薬剤注射装置
WO2012147415A1 (ja) 注射針組立体及び薬剤注射装置
WO2012157323A1 (ja) 注射針組立体及び薬剤注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