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0734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0734A
KR20120090734A KR1020110041348A KR20110041348A KR20120090734A KR 20120090734 A KR20120090734 A KR 20120090734A KR 1020110041348 A KR1020110041348 A KR 1020110041348A KR 20110041348 A KR20110041348 A KR 20110041348A KR 20120090734 A KR20120090734 A KR 20120090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insulator
engagement
connector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8736B1 (ko
Inventor
나오키 키타가와
아키오 츠네무라
Original Assignee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0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측으로 돌출하는 피 걸림부를 구비한 박판상의 접속대상물이 생각지 않게 뽑혀지는 것을, 피 걸림부나 고정금구를 파손시킴이 없이,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박판상이고 적어도 어느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피 걸림부(81)를 가지는 접속대상물(80)이 삽입 및 탈출가능하게 회전기판(CB)과 대향하는 인슐레이터(20)와, 인슐레이터의 측벽(22)에 형성되고, 피걸림부가 걸어 맞추고 빠질 수 있는 걸어맞춤 오목부와(23)와, 측벽에 형성되고 걸어맞춤 오목부의 면이 상기 측벽에 의하여 덮어진 삽입용 오목부(33)와, 인슐레이터에 지지된 컨택트(40, 50)와, 삽입용 오목부에 끼워 맞추어지는 보강부(62)를 가지며 또 회로기판에 납땜 부착되는 고정금구(6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FPC나 FFC 등의 박판상의 접속대상물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일본 특개 제 4215265호 공보)은 박판상의 접속대상물(FPC나 FFC 등)을 접속할 수 있는 커넥터의 종래기술이다.
이 커넥터는 접속대상물을 끼우고 빼기가 가능하고 또 회로기판 상에 재치한 인슐레이터와, 인슐레이터에 나란히 고정하고 또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복수의 금속제의 컨택트와, 인슐레이터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판상의 수지제부재인 액츄에이터와, 일부를 회로기판에 납땜 부착한 상태에서 인슐레이터의 양 측부에 지지된 좌우 한 쌍의 고정금구를 구비하고 있다.
인슐레이터의 양 측부를 구성하는 측벽의 상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있고 이 오목부의 전면에는 걸림면이 형성되어있다. 좌우의 고정금구는 좌우의 측벽의 외측 면에 접촉하는 상태로 인슐레이터에 지지되어있다. 고정금구에는 상기 오목부와 좌우 방향으로 나란한 홈부가 형성되어있고 이 홈부의 전면에는 상기 걸림면과 좌우 방향으로 나란한 (연속하는) 판두께 면으로 되어있다.
특허문헌 1의 접속대상물(평형도체)은 그의 좌우 양측부에 외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피 걸림부를 가지고 있다. 액츄에이터가 인슐레이터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풀림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접속대상물을 인슐레이터에 삽입하면 접속대상물의 좌우의 피 걸림부가 좌우의 오목부와 홈부에 대하여 상방에서 걸어 맞추어진다.
이 상태에서 액츄에이터를 접속대상물의 탈출방향 측의 잠금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접속대상물과 컨택트의 접촉압력이 높아져서 접속대상물과 컨택트가 도통한다.
또한 접속대상물에 대하여 탈출방향의 힘이 뜻하지 않게 걸릴 때에는 접속대상물의 좌우의 피 걸림부가 좌우의 걸림면(오목부)과 판두께 면(홈 부)의 쌍방에 끼워 맞추어지기 때문에 접속대상물의 인슐레이터로부터의 의도하지 않는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커넥터는 이하의 결점이 있다.
즉, 접속대상물에 대하여 의도하지 않는 탈출방향의 힘이 걸렸을 때에 좌우의 피 걸림부가 좌우의 고정금구의 판두께 면(홈 부)에 강한 힘으로 집중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피 걸림부가 절단되거나 파손할 우려가 있다.
또한 고정금구의 인슐레이터에 대한 조립정밀도나 인슐레이터 및 고정금구의 성형정밀도가 적어도 떨어지면 인슐레이테의 걸림면과 고정금구의 판두께 면 사이에 위치 어긋남(단차)이 생기기 때문에 인슐레이터(걸림면)와 고정금구(판두께 면)에 의한 접속대상물(피 걸림부)의 유지력(뽑힘 방지력)을 안정시키는 것이 어렵다.
또한 고정금구의 외측 면이 노출되어 있기(인슐레이터에 의한 누름이 없기) 때문에 접속대상물을 자신이 위치하는 평면상에서 회전시킴으로써 피 걸림부로 부터 고정금구에 힘이 걸리면 고정금구가 외측으로 구부러질 우려가 있다.
또한 고정금구의 홈부 측(오목부 측)의 면이 노출되어있기 때문에 리플로에 의하여 회로기판과 고정금구를 납땜 부착할 때에 땜납이 고정금구로 전달되어 판두께 면까지 기어오를 우려가 있다. 이 경우는 기어오른 땜납에 의하여 오목부(의 일부)가 막히게 되어 접속대상물의 피 걸림부를 고정금구의 홈부에 끼워 맞출 수 없기 때문에 접속대상물의 인슐레이터로부터의 생각지 않은 탈락을 방지할 수 없게 되어버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측으로 돌출하는 피 걸림부를 구비하는 박판상의 접속대상물이 생각지 않게 뽑아지는 것을, 피 걸림부나 고정금구를 파손시키지 않고,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박판상이고 적어도 어느 쪽의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피 걸림부를 가지는 접속대상물이 삽입 및 탈출가능하고 두께방향의 한 쪽 면이 회로기판과 대칭하는 인슐레이터와,
이 인슐레이터의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피 걸림부가 상기 두께방향의 다른 측에서 탈출 가능한 걸어맞춤 오목부와,
상기 측벽의 상기 한 쪽 측의 면에 형성되고, 상기 피 걸어맞춤 오목부보다 접속대상물의 탈출방향 측에 위치되며 또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 측의 면이 상기 측벽에 의하여 덮어지는 삽입용 오목부와,
상기 인슐레이터에 지지되고, 이 인슐레이터에 삽입된 상기 접속대상물과 접촉하며 또 상기 회로기판과 도통하는 컨택트와,
상기 한 쪽의 면 측으로부터 상기 삽입용 오목부에 끼워 맞추는 보강부를 가지며 또 상기 회로기판에 납땜 부착되는 고정금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접속대상물의 끼우고 빼는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풀림위치와 상기 삽입방향과 탈출방향의 어느 쪽인가로 넘어지는 상기 접속대상물과 상기 컨택트의 접촉압력을 높이는 잠금 위치 사이를 회전가능하게 하여 상기 인슐레이터에 지지되고 또 상기 잠금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를 상기 두께 방향의 다른 쪽 측으로부터 막혀지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액츄에이터를 잠금 위치 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접속대상물과 컨택트의 접촉압력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잠금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액츄에이터가 걸어맞춤 오목부를 상기 두께방향의 다른 측으로부터 막히게 하기 때문에 접속대상물의 피 걸림부가 걸어맞춤 오목부에서 상기 다른 쪽 측으로 빠져 나오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된다.
상기 고정금구에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내에서 뻗어 나오는 안내편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안내편에 상기 두께방향의 상기 다른 쪽 측 방향으로부터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와 대향하고 또 상기 탈출방향 측으로 향하여 나감에 따라 상기 두께방향의 다른 쪽으로 뻗어있는 만곡면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접속대상물을 인슐레이터로 삽입할 때에 접속대상물의 피 걸림부가 안내편(만곡면)에 접촉하면 피걸림부는 안내면에 의하여 걸어맞춤 오목부 측으로 이동 안내되기 때문에 피 걸림부를 걸어맞춤 오목부에 끼워 맞추는 것이 쉽게 된다.
상기 액츄에이터에, 상기 잠금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두께방향의 다른 쪽 측으로부터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와 대향하는 빠짐 방지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의 내면에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에 걸어 맞추어진 상기 피 걸림부 보다 상기 두께방향의 다른 쪽 측에 위치하는 누름돌기를 돌출되게 설치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접속대상물의 피 걸림부가 걸어맞춤 오목부로부터 상기 두께방향의 다른 쪽 측에서 뽑혀 나오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도록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인슐레이터의 측벽의 삽입용 오목부에 고정금구의 보강부를 끼워 맞추기 때문에 측벽의 걸어맞춤 오목부보다 접속대상물의 탈출방향 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기계적 강도가 높다. 따라서 접속대상물에 대하여 의도하지 않는 탈출방향의 힘이 걸린 경우에는 측벽의 해당부분에 의하여 접속대상물의 인슐레이터로부터 탈락(피 걸림부의 걸어맞춤 오목부로부터 뽑힘)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보강부의 걸어맞춤 오목부 측의 부분이 측벽(인슐레이터)에 의하여 덮어져 있기(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접속대상물에 대하여 의도하지 않는 탈출방향의 힘이 걸려도 접속대상물(피 걸림부)가 절단되거나 파손되는 우려가 없다.
또한 접속대상물의 피 걸림부가 접촉하는 것은 고정금구의 인슐레이터에 대한 조립정밀도가 영향이 없는 측벽(걸어맞춤 오목부의 내면)만이고 고정금구(보강부)에는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측벽에 의한) 접속대상물(피 걸림부)의 유지력(빠짐 방지력)을 안정시키기가 쉽다.
또한 보강부의 걸어맞춤 오목부 측의 부분이 측벽(인슐레이터)에 의하여 덮어져 있기(노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리플로에 의하여 회로기판과 고정금구를 납땜 부착할 때에 땜납이 고정금구로 전달되어 뻗어 올라간다 하여도 뻗어 올라간 땜납이 걸어맞춤부 내에 위치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뻗어 올라간 땜납에 의하여 접속대상물의 피 걸림부를 걸어맞춤 오목부에 끼워 맞출 수 없게 되는 일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앞으로 경사지게 하여 상방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커넥터의 뒤로 경사지게 하여 하방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액츄에이터가 풀림위치에 위치하는 커넥터와 FPC의 앞으로 경사지게 하여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액츄에이터가 풀림위치에 위치하는 커넥터에 FPC를 삽입할 때의 앞으로 경사지게 하여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FPC를 커넥터에 삽입하고 액츄에이터를 잠금 위치에 위치할 때의 커넥터와 FPC의 앞으로 경사지게 하고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Ⅵ-Ⅵ화살표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액츄에이터가 잠금 위치에 위치할 때의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화살표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Ⅸ-Ⅸ화살표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Ⅹ-Ⅹ화살표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ⅩⅠ- ⅩⅠ화살표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 중 전후, 좌우, 및 상하의 방향은 도면 중의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는 큰 구성요소로 하여 인슐레이터(20), 제 1컨택트(40), 제 2컨택트(50), 고정금구(60), 및 액츄에이터(70)를 구비하고 있다.
인슐레이터(20)는 절연성이고 또 내열성의 합성수지 재료를 사출성형한 것이다. 인슐레이터(20)의 상면의 전부에는 FPC(80)와 거의 같은 폭의 FPC 삽입홈(21)이 오목하게 설치되어있다. 인슐레이터(20)의 전부의 좌우 양측부에는 FPC 삽입홈(21)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벽(22)이 형성되어있다. 좌우 측벽(22)의 중앙부의 상면에는 하방으로 향하여 오목하게 설치된 걸어맞춤 오목부(23)가 오목하게 설치되어있고 측벽(22)의 전단부(걸어맞춤 오목부(23)의 바로 앞에 위치하는 부분)는 걸어맞춤 돌출부(24)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FPC 삽입홈(21)의 저면(상면)의 좌우 양 측부 근방에는 좌우의 측벽(22)에서 내측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지지돌출부(25)가 상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있고 지지돌출부(25)의 상면의 후부는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평면(26)으로 되어있다. 인슐레이터(20)에는 합계 17본의 전후방향으로 뻗어있는 제 1컨택트 삽입홈(28)이 형성되어있다. 각 제 1컨택트 삽입홈(28)의 후부는 인슐레이터(20)의 후부(FPC 삽입홈(21)이 형성되어있지 않은 부분)에 형성되어있고 각 제 1컨택트 삽입홈(28)의 전부는 FPC 삽입홈(21)의 저면이 형성되어있다. 또한 인슐레이터(20)에는 서로 이웃하는 제 1컨택트 삽입홈(28)사이에 위치하는 합계 16본의 전후방향으로 뻗어있는 제 1컨택트 삽입홈(29)이 형성되어있다. 각 제 2컨택트 삽입홈(29)의 후부는 인슐레이터(20)의 후부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있고 각 제 2컨택트 삽입홈(29)의 전부는 FPC 삽입홈(21)의 저면에 형성되어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20)의 후부에는 각 제 2컨택트 삽입홈(29)의 후부 공간을 상하로 분리하는 중간 판부(30)가 형성되어있다. 또한 인슐레이터(20)의 후부의 상면의 좌우 양측부에는 하방으로 향하여 뻗어있는 상부 구멍(31)이 오목하게 설치되어있다.
인슐레이터(20)의 하면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 근방에는 전후방향으로 뻗어있는 금구 고정홈(32)이 상방향으로 오목하게 설치되어있다. 도시된 금구 고정홈(32)의 전단부는 상방으로 향하여 뻗어있고 또 걸어맞춤 돌출부(24)의 전면에 열려져 있는 삽입용 오목부(33)로 되어있다. 또한 금구 고정홈(32) 후단 근방부에는 상방으로 향하여 뻗어있는 좌우의 상부 구멍(31)과 각각 연통하는 걸림구멍(34)으로 되어있다. 또한 금구 고정홈(32)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는 좌우의 측벽(22)과 지지돌출부(25) 사이에서 열려져 있는 중간 개구부(35)가 형성되어있다.
합계 17본의 제 1컨택트(40)와 합계 16본의 제 2컨택트(50)는 스프링 탄성을 구비한 동합금(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동, 티탄동)이나 코르손계 동합금의 박판을 순차이송금형(스탬핑)을 사용하여 도시된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며, 표면에 니켈 도금의 하지를 형성한 후에 금도금을 실시하고 있다.
도 10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컨택트(40)는 후단부를 구성하고 상하방향으로 뻗어있는 기편(41)과 기편(41)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뻗어있는 고정편(42)과 기편(41)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뻗어있고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누름암(44)과 고정편(42)과 누름암(44) 사이에 위치하고 또 기판(41)에서 전방으로 뻗어있고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접촉암(46)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편(42)의 전단부에는 하방으로 뻗어있는 테일부(43)가 형성되어있고 누름암(44)의 하면의 전단 근방에는 지지오목부(45)가 오목하게 설치되어있다. 또한 접촉암(46)의 전단부에는 상방향으로 돌출하는 접촉돌출부(47)가 형성되어있다. 또한 기편(41)의 상단면에는 걸어맞춤돌기(48)가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있다.
각 제 1컨택트(40)는 인슐레이터(20)의 각 제 1컨택트 삽입홈(28)에 대하여 전방에서 삽입되어있다. 도 10에 도시되어있는 바와 같이 각 제 1컨택트(40)를 제 1컨택트 삽입홈(28)에 삽입하면 고정편(42)의 하면이 대응하는 제 1컨택트 삽입홈(28)의 저면에 접촉하고 테일부(43)가 인슐레이터(20)의 저부의 전단부에서 전방으로부터 걸어진다. 또한 기편(41)이 제 1컨택트 삽입홈(28)의 후부 내에 위치하고 각 걸어맞춤돌기(48)가 제 1컨택트 삽입홈(28)의 후부의 천정면으로 파고 들어간다. 그 때문에 제 1컨택트(40)를 제 1컨택트 삽입홈(28)에 부착하게 되면 테일부(43)와 걸어맞춤돌기(48)에 의하여 제 1컨택트(40)의 제 1컨택트 삽입홈(28)에 대한 전후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또한 누름암(44)의 전부(前部)가 FPC 삽입홈(21)내에 위치하고 테일부(43)의 하면이 인슐레이터(20)의 하면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도 1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컨택트(50)는 후단부를 구성하고 상하방향으로 뻗어있는 기편(51)과 기편(51)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뻗어있는 접촉암(52)과 기편(51)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뻗어있는 누름암(54)을 구비하고 있다. 접촉암(52)의 전단부에는 상방향으로 돌출하는 접촉돌출부(53)가 돌출되게 형성되어있고 접촉암(52)의 기단 근방의 상면에는 걸어맞춤돌기(55)가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있다. 또한 기편(51)의 하단부에는 모두 하방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테일부(56)와 후방 걸림부(57)가 설치되어있다.
각 제 2컨택트(50)는 인슐레이터(20)의 후방에서 각 제 2컨택트 삽입홈(29)에 삽입되어있다. 도 11에 도시되어있는 바와 같이 각 제 2컨택트(50)를 제 2컨택트 삽입홈(29)에 삽입하면 접촉암(52)의 하면의 후부가 대응하는 제 2컨택트 삽입홈(29)의 저면에 접촉하고 후방 걸림부(57)가 인슐레이터(20)의 저부의 후단부에 후방으로부터 걸어 맞추어 진다. 접촉암(52)의 후부는 제 2컨택트 삽입홈(29)의 저면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상하 방향으로 탄성변형 불능이지만 접촉암(52)의 전부는 제 2컨택트 삽입홈(29)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서로 떨어져 있기 때문에 상하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다. 또한 접촉돌출부(53)는 제 1컨택트(40)의 접촉돌출부(47)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도 10, 도 11 참조.) 또한 기편(51)이 제 2컨택트 삽입홈(29)의 후부에 위치하고 걸어맞춤돌기(55)가 중간 판부(3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부터 파 들어간다. 그 때문에 제 2컨택트(50)를 제 2컨택트 삽입홈(29)에 부착하게 되면 후방걸림부(57)와 걸어맞춤돌기(55)에 의하여 제 2컨택트(50)의 제 2컨택트 삽입홈(29)에 대한 전후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누름암(54)의 전부가 FPC 삽입홈(21) 내에 위치하고 테일부(56)의 하면이 인슐레이터(20)의 하면보다 하방에 위치하여 테일부(56)의 하면과 동일높이에 위치한다.
좌우 한 쌍의 고정금구(60)는 금속판의 프레스성형품이고 전후방향으로 뻗어있는 기편부(61)와 기편부(61)의 전단에서 상방으로 뻗어있는 보강부(62)와 기편부(61)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뻗어있는 빠짐방지 돌출부(63)과 기편부(61)의 중간부에서 상방으로 뻗어있는 중간 돌출부(65)를 구비하고 있다. 빠짐방지 돌출부(63)의 후면에는 걸림돌기(64)가 돌출되게 설치되어있다. 또한 중간 돌출부(65)의 상면은 수평면으로 되는 상단 지지면(66)으로 되어있고 중간 돌출부(65)의 전부에는 전측으로 향하여감에 따라 상방으로 향하여 만곡하면서 뻗어있으며 그의 전면이 만곡면(68)을 구성하는 안내편(67)이 돌출되게 설치되어있다. 또한 기편부(61)의 하면의 전부에는 테일부(69)가 하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있다.
각 고정금구(60)는 인슐레이터(20)의 좌우의 금구 고정홈(32)에 대하여 하방으로 눌러 넣어있다. 고정금구(60)를 금구 고정홈(32)에 눌러 넣으면 보강부(62)가 삽입용 오목부(33)로 눌러 넣어지게 된다. 또한 빠짐방지 돌출부(63)가 걸림구멍(34)에 눌러 넣어져 그의 상부가 중간 판부(30) 내에 위치하고 또 걸림돌기(64)가 걸림구멍(34)의 후면에 파고 들어가기 때문에 고정금구(60)의 인슐레이터(20)에 대한 전후 움직임 및 하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중간 돌출부(65)가 중간 개구부(35)를 상방으로 관통하고 안내편(67)(만곡면(68))이 걸어맞춤 오목부(23)내(안내편(67)의 상부는 걸어맞춤부(23)의 바로 위)에 위치한다. 또한 테일부(69)의 하면이 인슐레이터(20)의 하면보다 하방으로 위치하고 테일부(43) 및 테일부(56)의 하면과 동일 높이에 위치한다.
좌우 방향으로 뻗어있는 판상부재인 회전식 액츄에이터(70)는 내열성의 합성수지재를 금속제의 성형 틀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한 것이다. 좌우 양측면의 하단부에는 좌방과 우방으로 향하여 각각 뻗어있고 또 서로 동축을 이루는 회전 지지축(71)이 돌출되게 설치되어있다. 액츄에이터(70)의 하단부 근방에는 액츄에이터(70)를 판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합계 17개의 암 삽입용 관통구멍(72)이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있고 각 암 삽입용 관통구멍(72)의 바로 아래에는 암 삽입용 관통구멍(72)의 하단을 막는 피 걸림축(73)이 형성되어있다. 액츄에이터(70)의 이면(도 1, 도 3에서는 후면)의 하단부 근방에는 서로 이웃하는 암 삽입용 관통구멍(72) 사이에 위치하는 합계 16개의 암 빠짐용 오목부(74)가 오목하게 설치되어있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암 삽입용 관통구멍(72)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하면에는 합계 16개의 캠부(75)가 설치되어있고 액츄에이터(70)의 표면(도 1, 도 2에서는 전면)의 하부는 편평한 잠금 유지면(76)으로 되어있다. 또한 액츄에이터(70)의 좌우 양측면의 상단부에는 좌 방향과 우 방향으로 향하여 각각 뻗어있는 잠금 스토퍼(빠짐방지부)(77)가 돌출되게 설치되어있고 좌우의 회전 지지축(71)과 잠금 스토퍼(77) 사이에는 금구 빠짐용 오목부(78)가 각각 형성되어있다. 또한 액츄에이터(70)의 표면의 좌우 양측부에는 좌우 한 쌍의 편평한 잠금 스토퍼면(79)이 형성되어있다.
액츄에이터(70)는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70)에 대하여 대략 직교된 상태에서 전방으로부터 FPC 삽입홈(21) 내로 삽입하고 각 암 삽입용 관통구멍(72)에 대응하는 제 1컨택트(40)의 누름암(44)을 삽입하여 피 걸림축(73)에 지지오목부(45)를 걸어 맞춤과 동시에(도 10 참조), 각 암 빠짐용 오목부(74)에 대응하는 제 2컨택트(50)의 누름암(54)의 선단부를 삽입하며(도 11 참조), 또 좌우의 회전 지지축(71)을 좌우의 고정금구(60)의 상단 지지면(66)에 얹어 놓음으로써 인슐레이터(70) 및 고정금구(60)에 대하여 좌우의 회전 지지축(71)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있다. 이와 같이하여 액츄에이터(70)를 인슐레이터(20)에 부착하면 각 피 걸림축(73)이 제 1컨택트(40)의 지지오목부(45)에 걸어 맞추어지고 또 좌우의 회전 지지축(71)이 인슐레이터(20)의 후부와 고정금구(60)의 안내편(67)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도 6, 도 9 참조), 액츄에이터(70)의 인슐레이터(20) 및 고정금구(60)에 대한 전후이동은 소정범위로 제한된다. 또한 좌우의 회전 지지축(71)과 상단 지지면(66)에 의하여 액츄에이터(70)의 인슐레이터(20) 및 고정금구(60)에 대한 하방으로의 상대이동이 규제되고, 또 각 피 걸림축(73)의 상부와 지지오목부(45)의 천정면에 의하여 액츄에이터(70)의 인슐레이터(20) 및 고정금구(60)에 대한 상방으로의 상대이동이 규제된다. 그 때문에 액츄에이터(70)가 인슐레이터(20) 및 고정금구(60)에 대하여 생각지 않게 전방으로 뽑혀 나오는 일은 없다.
액츄에이터(70)는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고 인슐레이터(20)의 이면이 인슐레이터(20)의 후부에 접촉하는 풀림위치(도 3, 도 4, 도 6에 도시된 위치)와 대략 수평한 잠금위치(도 5, 도 7,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위치)와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다.
이상 구성의 커넥터(10)를 회로기판(CB)(도 6, 도 9 내지 도 11의 가상선 참조)의 상면(회로 형성면)에 실장하려면 커넥터(10)의 상방에 위치하는 흡인수단(도시 생략)에 의하여 인슐레이터(20)의 후부상면(중간 판부(30)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부분)을 흡착하여 이 흡착수단을 이동시킴으로써 각 제 1컨택트(40)의 테일부(43) 및 제 2컨택트(50)의 테일부(56)를 회로기판(CB)상의 소정 량의 납땜 페이스트를 도포한 회로패턴(도시 생략)에 얹어 놓고 좌우의 고정금구(60)의 테일부(69)를 회로기판(CB)상의 소정 량의 납땜 페이스트를 도포한 접지패턴(도시 생략)에 얹어 놓는다. 그리고 리플로 노에서 각 납땜 페이스트를 가열 용융하여 각 테일부(43), 테일부(56)를 상기 회로패턴에 납땜부착하고 각 테일부(69)를 상기 접지패턴에 납땜 부착한다.
접속대상물인 FPC(Flexible Printed Circuit)(80)는 탄성변형 가능한 박판상의 장척물이고 그의 두께는 액츄에이터(70)가 풀림위치에 위치할 때의 캠부(75)와 접촉돌출부(47)의 상하 간격 및 캠부(75)와 접촉돌출부(53)의 상하 간격보다 작다. FPC(80)는 복수의 박막재를 서로 접착하여 구성한 적층구조이고 FPC(80)의 하면에는 모두 FPC(80)의 연장방향에 따라 직선적으로 뻗어있는 합계 17본의 제 1회로패턴(도시생략)과 서로 이웃하는 제 1회로패턴 사이에 위치하고 또 그의 양 단부가 제 1회로패턴의 단부보다 후퇴한 합계 16본의 제 2회로패턴이 형성되어있으며 제 1회로패턴 및 제 2회로패턴의 양 단부를 제외한 부분의 하면은 절연커버 층에 의하여 덮어져 있다. 또한 FPC(80)의 길이방향의 적어도 한 쪽 단부의 좌우 양측부에는 외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한 쌍의 피 걸림부(81)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회로기판(CB)와 일체화한 커넥터(10)의 액츄에이터(70)가 도 3, 도 4, 도 6에 도시되어있는 풀림위치에 위치할 때 인슐레이터(20)의 FPC 삽입홈(21)에 대하여 FPC(80)의 단부를 전방으로 삽입 가능하다. 이 때 캠부(75)와 접촉돌출부(47)의 상하 간격 및 캠부(75)와 접촉돌출부(53)의 상하 간격은 FPC(80)의 두께보다 크게 되어있기 때문에 FPC(80) 단부는 제 1컨택트(40)의 누름암(44)와 접촉암(46)(접촉돌출부(47))의 사이 및 누름암(54)과 접촉암(52)(접촉돌출부(53))의 사이에 대하여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FPC(80)의 피 걸림부(81)의 후단면이 안내편(67)의 만곡면(68)에 접촉하면 피걸림부(81)는 만곡면(68)에 의하여 걸어맞춤 오목부(23)측으로 이동안내되기 때문에 좌우의 피 걸림부(81)에 대응하는 걸어맞춤 오목부(23)에 대하여 상방으로 원활하게 끼워 맞추어진다(도 4 참조).
이 상태에서 액츄에이터(70)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면 액츄에이터(70)의 각 캠부(75)에 의하여 FPC(80)의 상면이 하방으로 눌러지기 때문에 각 제 1컨택트(40)의 접촉돌출부(47)와 FPC(80)의 상기 제 1회로패턴이 확실하게 접촉되고 또한 제 2컨택트(50)의 접촉돌출부(53)와 상기 제 2회로패턴이 확실하게 접촉된다. 그래서 액츄에이터(70)가 도 5, 도 7,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잠금 위치까지 회전하면 금구빠짐용 오목부(78)가 고정금구(60)의 중간돌출부(65)(및 안내편(67))을 피하면서 잠금 스토퍼(77)가 걸어맞춤 돌출부(24)의 상면에 접촉함과 동시에 잠금 스토퍼면(79)의 하부(잠금 위치에 위치할 때는 후부)가 지지돌출부(25)의 지지평면(26)에 접촉하고 좌우의 잠금 스토퍼면(79)의 상부(잠금 위치에 위치할 때는 전부)가 좌우의 걸어맞춤 오목부(23)의 상면을 덮으며 또한 잠금 유지면(76)이 FPC(80)의 하부의 상면에 맞닿기 때문에 접촉돌출부(47)와 제 1회로패턴의 접촉 및 각 접촉돌출부(53)와 상기 제 2회로패턴의 접촉이 유지되고 또 FPC(80)가 잠금 위치로 유지된다. 따라서 각 제 1컨택트(40)와 제 2컨택트(50)를 개재하여 회로기판(CB)과 FPC(80)가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또한 잠금 스토퍼(77)의 후면은 걸어맞춤 돌출부(24)의 후면보다 후 측으로 위치한다(도 9 참조).
또한 잠금 스토퍼(77)와 걸어맞춤 돌출부(24)의 상면은 면끼리 접촉하기 때문에(혹은 간격을 가지고 대향되어 있어도 좋다) 액츄에이터(70)를 과잉으로 회전시켜도 액츄에이터(70)가 파손되기 어렵고 또 보강부(62)의 보호에도 유효하다.
이 잠금 상태에서 예를 들면 FPC(80)에 대하여 전방으로의 외력이 뜻하지 않게 걸려도 좌우의 피 걸림부(81)가 대응하는 걸어맞춤 오목부(23)의 전면(걸어맞춤 오목부(24)의 후면)에 걸어 맞추어진다. 커넥터(10)의 걸어맞춤 돌출부(24)의 내부에는 고정금구(60)의 보강부(62)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부분의 기계적인 강도가 높다. 따라서 FPC(80)가 인슐레이터(20)에서 탈락하는 것(피 걸림부(81)가 걸어맞춤 오목부(23)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보강부(62)의 후면이 걸어맞춤 돌출부(24)(인슐레이터(20))에 의하여 덮어지기(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이런 종류의 외력이 걸렸을 때 피 걸림부(81)가 금속제의 보강부(62)에 강한 힘으로 접촉하는 일은 없다. 이 때문에 FPC(80)(피 걸림부(81))가 절단된다거나 파손되는 우려는 없다.
또한 FPC(80)의 피 걸림부(81)가 접촉하는 것은 걸어맞춤 오목부(23)의 전면(걸어맞춤 돌출부(24)의 후면) 뿐이며 보강부(62)에는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걸어맞춤 오목부(23)의 전면(걸어맞춤 돌출부(24)의 후면)을 소정위치 및 소정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면(피 걸림부(81)) 소망의 유지력(빠짐 방지력)을 얻을 수 있고 또 FPC(80)을 확실하게 소망의 위치에서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접속대상물의 피걸림부를 인슐레이터와 고정금구의 쌍방으로 걸어 맞추는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FPC(80)(피 걸림부(81))의 유지력(빠짐 방지력)을 쉽게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피 걸림부(81)가 보강부(62)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FPC(80)에 대하여 외력이 결렸을 때에 보강부(62)(고정금구(60))가 구부러지는 우려가 없다.
또한 보강부(62)의 후부가 걸어맞춤 돌출부(24)(인슐레이터(20))에 의하여 덮어져 있기(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리플로에 의하여 회로기판(CB)과 고정금구(60)를 납땜 부착할 때 땜납이 고정금구(60)로 타고 기어오르게 되어도 기어오른 땜납이 걸어맞춤 오목부(23)내에 위치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기어오른 땜납에 의하여 FPC(80)의 피 걸림부(81)가 걸어맞춤 오목부(23)에 끼워 맞출 수 없게 되는 일은 없다.
게다가 액츄에이터(70)가 잠금 위치까지 회전한 때에 액츄에이터(70)(잠금 스토퍼면(79))이 걸어맞춤 오목부(23)의 상면을 막고 있고 또한 잠금 스토퍼(77)의 후면이 걸어맞춤 돌출부(24)의 후면보다 후방으로 위치되어있기 때문에 FPC(80)에 대하여 전방으로의 외력이 걸렸을 때에 FPC(80)의 피 걸림부(81)가 걸어맞춤 오목부(23)에서 상방으로 뽑혀 나오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70)를 풀림위치까지 회전시키고 좌우의 피 걸림부(81)를 대응하는 걸어맞춤 오목부(23)에서 상방으로 탈출시켜서 FPC(8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FPC(80)의 단부를 인슐레이터(20)에서 뽑아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상기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변형을 시행하면서 실시가능하다.
예를 들면 걸어맞춤 오목부(23)의 내면(전면 또는 후면)에 걸어맞춤 오목부(23)에 걸어 맞추어진 피 걸림부(81)의 상방에 위치하는 누름돌기(도시생략)을 돌출되게 설치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FPC(80)의 피 걸림부(81)가 걸어맞춤 오목부(23)에서 뽑혀 나오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FPC(80)가 한 쪽의 가장자리에만 피 걸림부(81)를 가지는 경우는 인슐레이터(20)의 좌우 측벽(22)의 한 쪽에만 걸어맞춤 오목부(23)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전체의 제 2컨택트 삽입홈(29)을 제 1컨택트 삽입홈(28)으로 변경하고 전체의 제 2컨택트(50)를 제 1컨택트(40)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액츄에이터(70) 대신에 전후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상측으로 회전하는) 풀림위치와 후방으로 넘어져서 대략 수평으로 되는 잠금 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한 액츄에이터(도시생략)를 인슐레이터(20)(및 고정금구(60))에 지지하여도 좋다.
또한 자유상태에서 누름암(44)과 접촉돌출부(47)의 상하 간극 및 누름암(54)과 접촉돌출부(53)의 상하 간극을 FPC(80)의 두께보다 적게 하고 커넥터(10)에서 액츄에이터(70)를 생략하여도 좋다.
또한 박판상의 접속대상물은 FPC 이외의 케이블, 예를 들면 플렉시블 플래트 케이블(FFC)로 하여도 좋다.
10 : 커넥터 20 : 인슐레이터
21 : FPC 삽입홈 22 : 측벽
23 : 걸어맞춤 오목부 24 : 걸어맞춤 돌출부
25 : 지지돌출부 26 : 지지 평면
28 : 제 1컨택트 삽입홈 29 : 제 2컨택트 삽입홈
30 : 중간 판부 31 : 상부구멍
32 : 금구 고정홈 33 : 삽입용 오목부
34 : 걸림구멍 35 : 중간 개구부
40 : 제 1컨택트 41 : 기편
42 : 고정편 43 : 테일부
44 : 누름암 45 : 지지오목부
46 : 접촉암 47 : 접촉돌출부
48 : 걸어맞춤돌기 50 : 제 2컨택트
51 : 기편 52 : 접촉암
53 : 접촉돌출부 54 : 누름암
55 : 걸어맞춤돌기 56 : 테일부
57 : 후방걸림부 60 : 고정금구
61 : 기판부 62 : 보강부
63 : 빠짐방지 돌출부 64 : 걸림돌기
65 : 중간 돌출부 66 : 상단 지지면
67 : 안내편 68 : 만곡면
69 : 테일부 70 : 회전식 액츄에이터
71 : 회전 지지축 72 : 암 삽입용 관통구멍
73 : 피 걸림축 74 : 암 빠짐용 오목부
75 : 캠부 76 : 잠금 유지면
77 : 잠금 스토퍼(빠짐 방지부) 78 : 금구 빠짐용 오목부
79 : 잠금 스토퍼 면 80 : FPC(접속대상물)
81 : 피 걸림부 CB : 회로기판

Claims (6)

  1. 박판상이고 적어도 어느 쪽인가의 가장자리에 외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피 걸림부를 가지는 접속대상물이 삽입 및 탈출가능하고 두께방향의 한쪽 면이 회로기판과 대향하는 인슐레이터와,
    상기 인슐레이터의 측벽에 형성하고 상기 피 걸림부가 상기 두께방향의 다른 쪽에서 걸어 맞추고 빠질 수 있는 걸어맞춤 오목부와,
    상기 측벽의 상기 한쪽 면에 형성하고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보다 접속대상물의 탈출방향 측에 위치하며 또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 측의 면이 상기 측벽에 의하여 덮어지는 삽입용 오목부와,
    상기 인슐레이터에 지지되고, 상기 인슐레이터에 삽입된 상기 접속대상물과 접촉하며 또 상기 회로기판과 도통하는 컨택트와,
    상기 한쪽 면 측에서 상기 삽입용 오목부에 끼워 맞추는 보강부를 가지며 또 상기 회로기판에 납땜 부착되는 고정금구와,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대상물의 끼우고 빼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풀림위치와 삽입방향과 탈출방향의 어느 것으로 넘어져서 상기 접속대상물과 상기 컨택트의 접촉압력을 높이는 잠금 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게 상기 인슐레이터에 지지되고 또 상기 잠금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를 상기 두께방향의 다른 쪽 측에서 덮어져 있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금구에,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 내에서 뻗어 나오는 안내편을 형성한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편에, 상기 두께방향의 다른 쪽 측에서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와 대향하고 또 상기 탈출방향 측으로 향하여 나감에 따라 상기 두께방향의 다른 쪽 측으로 뻗어있는 만곡면을 형성한 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에, 상기 잠금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방향의 다른 쪽에서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와 대향하는 빠짐방지부를 형성한 커넥터.
  6. 제 1항 내지 제 5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 내면에, 이 걸어맞춤 오목부에 걸어 맞추어진 상기 피 걸림부보다 상기 두께방향의 다른 쪽 측에 위치하는 누름 돌기를 돌출되게 설치한 커넥터.
KR1020110041348A 2011-02-08 2011-05-02 커넥터 KR1011987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24525 2011-02-08
JP2011024525 2011-0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734A true KR20120090734A (ko) 2012-08-17
KR101198736B1 KR101198736B1 (ko) 2012-11-12

Family

ID=46883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348A KR101198736B1 (ko) 2011-02-08 2011-05-02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190138B2 (ko)
KR (1) KR1011987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506B1 (ko) * 2012-02-27 2013-01-15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가요성 회로케이블용 커넥터
JP6452393B2 (ja) * 2014-11-13 2019-01-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48327B2 (ja) * 2014-11-25 2019-01-09 京セラ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6053980B2 (ja) * 2016-07-07 2016-12-27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WO2018025289A1 (ja) * 2016-08-02 2018-02-08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表示装置
CN112425009B (zh) * 2018-08-27 2023-09-15 株式会社藤仓 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1313A (ja) 2002-08-05 2004-03-04 Taiko Denki Co Ltd 扁平導体用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取付端子
KR200365051Y1 (ko) 2004-07-19 2004-10-15 (주)씨-넷 케이블용 커넥터
JP4215265B2 (ja) * 2006-04-28 2009-01-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及び平型導体付き電気コネクタ
JP5580622B2 (ja) * 2010-03-01 2014-08-2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コネクタ、及び、平型電線と当該平型電線が接続されるコネクタとを有する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
TWM388117U (en) * 2010-03-31 2010-09-01 Chief Land Electronic Co Ltd Connector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8736B1 (ko) 2012-11-12
JP2012182109A (ja) 2012-09-20
JP5190138B2 (ja) 201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736B1 (ko) 커넥터
US10181661B2 (en) Cable connector
JP5943774B2 (ja) コネクタ
US8147269B2 (en) Connector assembly
JP5645312B2 (ja) コネクタ
JP5154624B2 (ja) コネクタ
CN108695614B (zh) 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CN102403622B (zh) 用于保持可连接至具有致动器的连接器的连接物体的保持构件
US6036515A (en) Connector
KR101621311B1 (ko) 전기 커넥터
JP2006252975A (ja) コネクタ
JP6486477B2 (ja) コネクタ
WO2015063817A1 (ja) ソケット、そのソケットを用いたコネクタ、その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
KR101366052B1 (ko) 커넥터
KR101282731B1 (ko) 커넥터
JP5198990B2 (ja) コネクタ
JP2011060640A (ja) コネクタ
KR101230921B1 (ko) 커넥터
JP2013152802A (ja) コネクタ
JP6448327B2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WO2013111765A1 (ja) 電気接続用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KR101161261B1 (ko) 커넥터
JP7315404B2 (ja) 平型導体用コネクタ
JP5261608B1 (ja) コネクタ
JP7001965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