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0128A -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0128A
KR20120090128A KR1020100140805A KR20100140805A KR20120090128A KR 20120090128 A KR20120090128 A KR 20120090128A KR 1020100140805 A KR1020100140805 A KR 1020100140805A KR 20100140805 A KR20100140805 A KR 20100140805A KR 20120090128 A KR20120090128 A KR 20120090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olyester resin
resin composition
terephthalat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40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혁
구본창
명성현
Original Assignee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40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0128A/ko
Publication of KR20120090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12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3Terephtha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5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63/187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condensed aromatic rings
    • C08G63/189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condensed aromatic rings containing a naphthalen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83Nucleating agents promoting the crystallisation of the polymer matri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7Cyclic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유리 섬유, 미네랄 보강재, 비스 2,4-디-터셔리-부틸페닐-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 글리세릴 몬타네이트, 핵제 및 카보닐 비스 카프로락탐을 포함하여, 성형성이 개선되고 가열시 냄새 발생을 최소화한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Molding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터 수지는 비교적 높은 결정화도를 가지고, 기계적 성질과 내열성이 뛰어나며, 온도의 변화에 대해 우수한 치수안정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또한 수분흡수율이 적어서 고온다습한 환경에서도 비교적 장시간 동안의 사용이 가능하고 내약품성과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여러 가지 용도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반면 결정화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성형 시간이 길고 단독 사출재료로 사용하기에는 까다로운 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타수지와 적절하게 용융 혼합하는 기술이 많이 개발 되었는데 한국 공개 특2002-0062403에서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한국 제1993-8192호에서는 저분자량의 폴리아미드와 혼합하여 성형성을 개선하였다. 특히,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용융 혼합하는 기술은 높은 금형 온도 조건에서 사출 성형해야 하는 단점을 낮은 온도에서도 성형 가공이 가능하게끔 한다. 또한 결정화 속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많은 기술이 개발 되었는데, 미국 특허 4401792호, 미국 특허 4486561호는 에폭시화 가소제 첨가하여 표면 및 결정화 속도를 증진 시켰고, 한국 공개 10-2004-0059910는 핵제로 과불소화 알칸 술포네이트 염류를, 미국 특허 4429067호는 벤조에이트올리고머, 미국 특허 4448913호는 나트륨 벤조에이트와 폴리알파올레핀과 같은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사용하여 결정화 속도를 개선 폴리에스터 성형성을 개선하였다. 또한 미국 특허 4067852호, 미국 특허 4083829호, 미국 특허 4130545호, 미국 특허 4318842호는 폴리에스터에 옥시벤조일폴리에스터를 혼합하여 유동성 개선 통한 표면 특성을 향상 시켰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상세히 검토해 보면, 단순히 각각의 제안하는 특성 강화를 위해서는 충분한 기술적 가치가 있으나, 폴리에스터 수지의 장점인 내열성을 유지하면서 본질적인 단점인 결정화 속도와 성형성, 표면을 경제적으로 보완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많다. 특히, 가열 상태에서의 냄새 개선 관련 기술은 전무하다. 성형성 개선을 위하여 타수지를 혼합하는 기술은 성형성 및 표면은 개선 가능하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장점인 내열성의 저하를 가져오고, 사출 성형시 느린 계량 속도를 개선하지 못하여 제품의 생산성을 결정짓는 성형 싸이클 시간 단축을 도모하지 못한다. 또한 결정화 속도 개선을 위하여 과불소화 알칸 술포네이트 염류, 벤조에이트올리고머, 나트륨 벤조에이트와 폴리알파올레핀과 같은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을 사용한 경우에는 빠른 성형 싸이클로 인하여 성형성을 개선하였지만 표면 특성 저하 및 가격 상승으로 경제성이 떨어진다. 또한 에폭시화 가소제 및 옥시벤조일폴리에스터를 혼합하여 유동성 개선을 통한 표면 특성 향상 기술은 기계적 특성 저하 및 고온 상태에서의 냄새를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 수지의 장점인 내열성, 기계적 성질, 치수안정성과 같은 물성은 유지하면서, 폴리에스터 수지의 단점인 성형성을 개선하고 가열상태에서 냄새 발생을 최소화한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바람직한 제1 구현예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 내지 60 중량부; 유리 섬유 10 내지 50 중량부; 미네랄 보강재 10 내지 50 중량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비스 2,4-디-터셔리-부틸페닐-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 0.2 내지 5 중량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글리세릴 몬타네이트 0.2 내지 5 중량부; 핵제 0.2 내지 3중량부; 및 카보닐 비스 카프로락탐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R1은 2,4-디-터셔리-부틸페닐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여기서, R2는 탄소수 27개의 선형 알킬기이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독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90중량% 이상 함유하는 결정성 수지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그 고유점도가 0.8 내지 1.4 dL/g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은 140℃ 오븐에서 1,000hr동안 에이징(aging) 후 ASTM D 638 평가법에 의한 인장강도가 초기 대비 85% 이상이고, MS 300-34 평가 방법에 의한 냄새 등급이 2등급 이하이고, ASTM D 955에 의한 성형수축율이 0.7% 이고, 사출 성형을 위한 수지의 계량성을 동일 조건 하에서 1.5배 이상 단축 시킨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바람직한 제2 구현예로서,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터 수지 성형품을 제공한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폴리에스터 수지 성형품은 전기밥솥 베이스 플레이트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그 성형품의 표면특성 및 내열특성이 우수하고, 가열상태에서의 냄새가 없으며, 치수안정성이 우수하고, 사출성형시 계량 시간이 단축되어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 이러한 물성들을 요구하는 전기/전자 및 자동차 부품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종래 폴리에스터 수지의 단점인 성형성을 개선하여, 폴리에스터 수지 고유의 우수한 기계적 성질, 내열성, 치수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성형성은 물론, 가열시 냄새 발생을 최소화한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 내지 60 중량부; 유리 섬유 10 내지 50 중량부; 미네랄 보강재 10 내지 50 중량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비스 2,4-디-터셔리-부틸페닐-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 0.2 내지 5 중량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글리세릴 몬타네이트 0.2 내지 5 중량부; 핵제 0.2 내지 3중량부; 및 카보닐 비스 카프로락탐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여기서, R1은 2,4-디-터셔리-부틸페닐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4
여기서, R2는 탄소수 27개의 선형 알킬기이다.
본 발명에서는 주 원료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당분야에서 잘 알려진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우선, 교반기가 장착된 반응용기에 산 성분과 글리콜 성분, 그리고 촉매 및 각종 안정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투입하고, 반응관의 온도를 200~230℃로 유지하면서 저분자량의 에스터 축합 부산물을 계외로 제거함과 동시에 에스터 반응을 진행시키는데, 이 에스터 반응의 전환율은 저분자량 에스터 부산물의 이론 유출량의 통상 95% 이상이 유출된 시점을 기준으로 반응을 종결하고, 상기 에스터 반응이 종결되면 관내 온도를 250~280℃로 상승시키면서 관내 압력을 1mmHg 이하로 감소시켜 폴리에스터 축중합을 유도한다. 그리고 이렇게 축중합을 진행시키다가 적당한 교반 부하에서 반응을 중단하고, 질소로서 진공을 파괴하고 반응물을 토출하여 폴리에스터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폴리에스터 수지의 제조에 있어서, 산 성분으로 주로 테레프탈산을 글리콜 성분으로는 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며, 촉매로는 주로 안티몬의 산화물 또는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 등과 같은 유기티탄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통상의 방법이고, 그 외 유기 주석화합물 단독 또는 이들과 유기티탄화합물과의 혼합물, 알칼리금속이나 아세테이트화물 등도 사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유기티탄화합물을 사용할 때에는 마그네슘아세테이트 혹은 리튬아세테이트 등을 공촉매로 사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주성분과 촉매 이외에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각종 첨가제 등과 같은 부원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 수지는 최종 수지 조성물 제조를 위하여, 칩(chip) 형태로 만들어 제습형 건조기에서 충분히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독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90중량% 이상 함유하는 결정성 수지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수지의 고유점도가 0.8 내지 1.4 dL/g인 것일 수 있다. 고유점도가 0.8 dL/g 이상은 되어야 산업용으로서 적합한 물성이 나타날 수 있으며, 고유점도가 1.4 dL/g 이하인 것이 성형 가공에 용이하다.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첨가량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60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10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사출 성형시 계량시간 개선 효과가 미비 하고 60중량부 초과하는 경우에는 140℃ 1,000hr 에이징 후 인장 강도 유지율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리섬유는 촙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직경이 10~13㎛이고 길이는 3~3.5㎜이며, 표면은 커플링 처리제로 처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커플링 처리제는 비닐기, 에폭시기, 머캅탄기, 아민기 등의 유기 관능기를 갖는 실란계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유리섬유의 첨가량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50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섬유의 첨가량이 10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강성부여 효과가 미미하고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표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는 G 또는 K 글래스라고 불리는 유리섬유로서, 산화칼슘(CaO), 이산화규소(SiO2), 산화알루미늄(Al2O3)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으며, 통상 산화칼슘이 10~20중량%, 이산화규소가 50~70중량%, 산화알루미늄이 2~15중량% 포함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미네랄 보강재는 판상 또는 직육면체 형태의 클레이, 마이카로 그 크기가 100~400mesh인 것일 수 있다. 미네랄 보강재의 크기가 100mesh 미만이면 표면 특성이 좋지 않고 400 mesh를 초과하면 작업성 및 인장강도가 좋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강도 보강만을 위한다면 유리섬유 함량을 증가시키면 되지만 그럴 경우 유동성, 표면 특성이 좋지 않고 성형수축율이 높아 미네랄 보강재를 사용해야 한다. 상기 미네랄 보강재는 비닐기, 에폭시기, 머캅탄기, 아민기 등의 유기 관능기로 표면 처리된 것을 사용한다면 폴리에스터와 상용성이 좋아 더 효과가 크고 본 발명에서 첨가량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400 mesh 크기의 미네랄 보강재 10 내지 50중량부를 첨가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비스 2,4-디-터셔리-부틸페닐-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는 내열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5
여기서, R1은 2,4-디-터셔리-부틸페닐이다.
상기 비스 2,4-디-터셔리-부틸페닐-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2 내지 5중량부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첨가량이 0.2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내열 특성 저하로 인하여 인장강도 유지율이 좋지 않고 5중량부 초과일 경우에는 표면 특성 저하 및 가격 대비 충분한 효과를 발현 할 수 없다. 또한 상기 내열제를 사용하지 않으면 MS 300-34 평가 방법에 의한 냄새 평가에서 2등급 이하를 확보할 수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글리세릴 몬타네이트를 표면개선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6
여기서, R2는 탄소수 27개의 선형 알킬기이다
상기 글리세릴 몬타네이트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2 내지 5중량부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첨가량이 0.2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표면 특성이 좋지 않고 5중량부 초과일 경우에는 가격 대비 충분한 효과를 발현할 수 없으며 가스 발생으로 표면이 좋지 않다. 또한 상기 표면개선제를 사용하지 않으면 MS 300-34 평가 방법에 의한 냄새 평가에서 2등급 이하를 확보할 수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핵제는 0.5 내지 5 ㎛의 탈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핵제는 0.2 내지 3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0.2중량부 미만을 사용할 때는 결정화 속도가 느려져 성형 특성이 좋지 않고 3중량부 초과를 사용할 때 역시 결정화 속도가 너무 빨라져 성형품의 표면 특성이 좋지 않고 140℃ 1,000hr 내열 aging 실험 후 인장강도 유지율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카보닐 비스 카프로락탐를 증점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카카보닐 비스 카프로락탐은 1 내지 3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1 중량부 미만을 사용할 때는 140℃ 1,000hr 내열 aging 실험 후 인장강도 유지율이 저하되고 3중량부 초과 사용할 때는 가격 대비 충분한 효과를 발현할 수 없으며 성형성이 저하되어 표면이 좋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 내지 60중량부, 유리 섬유 10 내지 50중량부, 미네랄 보강재 10 내지 50중량부, 비스 2,4-디-터셔리-부틸페닐-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 0.2 내지 5중량부, 글리세릴 몬타네이트 0.2 내지 5중량부, 핵제 0.2 내지 3중량부, 카보닐 비스 카프로락탐 1 내지 3중량부를 첨가한 후에 용융 혼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에에 따르면, 전술한 각 구성 성분은 압출기를 사용하여 압출함으로써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조성물의 혼련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혼합기로는 2축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여 260℃ 내지 275℃에서 혼련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수지 조성물의 혼련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투입구가 2개인 압출기를 이용하여 1차 투입구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비스 2,4-디-터셔리-부틸페닐-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 글리세릴 몬타네이트, 0.5 내지 5마이크로 미터 크기의 핵제, 카보닐 비스 카프로락탐을 2차 투입구에 유리 섬유, 미네랄 보강재를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용융 혼련시에 조성물의 열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체류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본 조성물에서 분산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스크류 회전수 조절이 필요한데 200 ~ 300 rpm 정도의 회전수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제조된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터 수지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성형품은 전기/전자 및 자동차 부품 소재로 사용될 수 있는데 주로 전기밥솥 베이스 플레이트 및 커넥터류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은 그 성형품의 표면 및 내열 특성이 우수하고, 가열 상태에서의 냄새가 없고 치수안정성이 우수하고, 사출 성형시 계량 시간이 단축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은 전기밥솥 베이스 플레이트 부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SPESIN® KP270, (주)코오롱 인더스트리),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KOPET® KP130, (주)코오롱 인더스트리) 유리섬유 (CS-321, 금강화학社), 미네랄 보강재로서 클레이(Tonsil L80 FF, Sud-Chemie AG)와 마이카(Sericite SL, Presperse Inc), 내열제로서 비스 2,4-디-터셔리-부틸페닐-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 (PEP 24, ADK Stab.), 표면개선제로서 글리세릴 몬타네이트(STRUTOL® WAX E, STRUTOL Company), 핵제(SW 3000, 신원), 증점제로서 카보닐 비스 카프로락탐 (ALLINCO® CBC, DSM)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8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의 각 성분들을 275℃로 가열된 이축 압출기내에서 용융 혼련한 후 칩(Chip)상태로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10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에 따라, 상기 실시예 1~8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물성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을 130 ℃, 6 시간 제습형 건조기에서 건조하여 가열된 스크류식 사출기를 통해, 용융 혼련 때와 동일한 온도로 각각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상기 시편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는 다음 표 2 및 표 4에 각각 나타내었다.
1) 표면 특성 : 용융 혼련 후 만든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칩(chip) 상태로 하여 제습형 건조기를 이용하여 130℃ 에서 6시간 건조한 후 150톤급 사출성형기로 가로 350mm, 세로 100mm, 두께 2.8mm인 캐비티(Cavity)에 지름 7mm 길이 80mm인 다이렉트(Direct) 게이트 형태의 사각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 온도 275℃, 몰드(Mold) 온도를 50℃로 고정한 후 보압없이 1차 사출압만 1,100kg/cm2, 사출시간 5초 냉각시간 20초 조건으로 하여 이형되어 나오는 성형품 중 특히 게이트 부위의 유리섬유 내지 미네랄 표출 현상 및 플로우 마크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상기 시험편을 140℃ oven에서 1,000hr aging 실험한 후 표면의 변형, 변퇴색, 균열 등의 변화가 있는지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 : 표면 아주 우수, ○ : 표면 우수, X : 표면 불량)
2) 인장강도 유지율: ASTM D 638 평가법에 의거 1/8 inch 시편을 제작하여 140℃ oven에서 1,000hr aging 실험한 후 초기 인장강도 값 대비 유지율을 측정하였다. (인장강도 85% 이상일 경우 양호)
3) 냄새 평가 : ASTM D 638 평가법에 의거 1/8 inch 시편을 제작한 후 MS 300-34 평가 방법에 의한 냄새를 측정하였다.
(1, 2급 일 경우 양호)
4) 성형수축율 : ASTM 평가법 D 955에 의해 1/8 inch 원판시험편 흐름방향으로의 성형수축율을 측정하였다.
(0.7% 이하일 때 양호)
5) 사출 성형 계량성 : 스크류 직경 40mm의 150톤급 사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계량 속도 60%, 배압 20%의 조건으로 계량거리 100mm의 계량 시간을 평가하였다. 수지 중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독 적용 조성을 1로 보고 계량 시간 단축 정도를 배수로 표기하였다.
(최소 1.5배 이상 일 때 양호)
(단위: 중량부)
구  분 폴리에틸렌-
테레-
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
프탈레이트
유리
섬유
미네랄
보강재
내열제 표면
개선제
핵제 증점제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30
30
30
30
30
30
30
55
30
10
50
30
30
30
30
30
30
10
50
30
30
30
30
30
3
3
3
0.5
3
3
3
3
2
2
2
2
5
2
2
2
1
1
1
1
1
0.5
1
1
2
2
2
2
2
2
3
2
구  분 표면 인장강도유지율
(%)
냄새 등급 성형수축율
(%)
계량성
(배)
초기 내열 시험 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89
86
90
85
87
88
90
85
2
2
2
2
2
2
2
2
0.5
0.7
0.3
0.5
0.5
0.5
0.5
0.4
1.8
1.5
1.7
1.8
1.6
1.7
1.9
2.0
(단위: 중량부)
구 분 폴리에틸렌-
테레-
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
프탈레이트
유리
섬유
미네랄
보강재
내열제 표면
개선제
핵제 증점제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30
30
30
30
30
30
30
30
5
65
50
0
30
30
30
30
30
30
30
30
0
50
30
30
30
30
30
30
30
30
3
3
0.1
3
3
3
3
3
3
3
2
2
2
2
0.1
2 2
2
2
2
2
1
1
1
1
1
1
4
1
1
1
2
2
2
2
2
2
2
4
2
2
1 : Phenolics type AO-80 내열제 (제조사 ADK Stab.)
2 : PE-wax L-518 (제조사 SFC)
구 분 표면 인장강도유지율
(%)
냄새 등급 성형수축율
(%)
계량성
(배)
초기 내열 시험 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X


X





X

X
X

89
82
82
82
84
85
82
86
88
81
2
2
2
4
2
4
2
2
2
2
0.8
0.4
0.5
0.5
0.5
0.5
0.5
0.5
0.4
0.3
1.7
1.5
1.6
1.6
1.7
1.6
1.5
1.7
1.2
2.1
물성평가결과,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제조된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은 그 시편이 표면특성, 인장강도유지율, 냄새등급, 성형수축율, 사출 성형 계량성이 모두 우수하거나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에서 제조된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은 표면특성, 인장강도유지율, 냄새등급, 성형수축율, 사출 성형 계량성이 동시에 우수하거나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지는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의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은 표면특성, 인장강도유지율, 냄새등급, 성형수축율, 계량성을 포함하는 물성이 모두 우수할 것이 요구되는 전기, 전자, 자동차 부품 소재에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 내지 60 중량부;
    유리 섬유 10 내지 50 중량부;
    미네랄 보강재 10 내지 50 중량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비스 2,4-디-터셔리-부틸페닐-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 0.2 내지 5 중량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글리세릴 몬타네이트 0.2 내지 5 중량부;
    핵제 0.2 내지 3중량부; 및
    카보닐 비스 카프로락탐 1 내지 3 중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7
    여기서, R1은 2,4-디-터셔리-부틸페닐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8

    여기서, R2는 탄소수 27개의 선형 알킬기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독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90중량% 이상 함유하는 결정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그 고유점도가 0.8 내지 1.4 dL/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140℃ 오븐에서 1,000hr동안 에이징(aging) 후 ASTM D 638 평가법에 의한 인장강도가 초기 대비 85% 이상이고,
    MS 300-34 평가 방법에 의한 냄새 등급이 2등급 이하이고,
    ASTM D 955에 의한 성형수축율이 0.7% 이고,
    사출 성형을 위한 수지의 계량성을 동일 조건 하에서 1.5배 이상 단축 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수지 조성물.
  5. 제 1 항에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터 수지 성형품.
  6. 제 4 항에 있어서,
    전기밥솥 베이스 플레이트인 폴리에스터 수지 성형품.

KR1020100140805A 2010-12-31 2010-12-31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1200901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805A KR20120090128A (ko) 2010-12-31 2010-12-31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805A KR20120090128A (ko) 2010-12-31 2010-12-31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128A true KR20120090128A (ko) 2012-08-17

Family

ID=46883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40805A KR20120090128A (ko) 2010-12-31 2010-12-31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01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58705B2 (ja) 流動性が向上した全芳香族液晶ポリエステル樹脂コンパウンド
JP2014532772A (ja) 帯電防止特性を有する全芳香族液晶ポリエステル樹脂コンパウンド及びその物品
JPH01225660A (ja) 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
KR20210049226A (ko) 우수한 내가수분해성과 레이저 투과율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0846861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20020040807A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이의 성형품 및 이의성형방법
KR20150032246A (ko) 개선된 용융 유동성을 갖는 아민-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방법
JP6325457B2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
JP2000256545A (ja) 難燃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その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90128A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817359B1 (ko) 고강도의 전방향족 액정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전자제품 소자
KR101488858B1 (ko)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
JPH0473461B2 (ko)
JPS586745B2 (ja) ネツアンテイカポリエステルソセイブツ
KR102362662B1 (ko)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JPH01101364A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
JPH07107133B2 (ja) 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
JP6705204B2 (ja) 樹脂組成物、樹脂成形体、及び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KR101438862B1 (ko)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KR20160083643A (ko)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성형체 제조
JP6846990B2 (ja) 均一延伸性を有するポリエチレンナフタレート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KR100824781B1 (ko) 인성이 향상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JPH0138818B2 (ko)
JP2021152133A (ja) ポリエチレンナ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からなる成形品
KR20130078773A (ko)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