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9464A - 전기화학 전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기화학 전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9464A
KR20120089464A KR1020127007049A KR20127007049A KR20120089464A KR 20120089464 A KR20120089464 A KR 20120089464A KR 1020127007049 A KR1020127007049 A KR 1020127007049A KR 20127007049 A KR20127007049 A KR 20127007049A KR 20120089464 A KR20120089464 A KR 20120089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electrochemical cell
molded part
current conductor
m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7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라우스-루페르트 호헨타너
옌스 마인?
Original Assignee
리-텍 배터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텍 배터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리-텍 배터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089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94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9Processes for forming or storing electrodes in the battery contai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퍼레이터에 의하여 분리된 2개 이상의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 스택(5), 2개 이상의 부품(4)으로 이루어지고 액체 불투과성인 케이싱(2) 및 상기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싱(2)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는 2개 이상의 전류 전도체(3)를 구비한 전기화학 전지(1)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에서는, 제1 단계에서 상기 전류 전도체(3)가 캐스팅 공정에 의하여 성형 부품(6, 7, 8)에 연결되고, 제2 단계에서 상기 성형 부품(6, 7, 8)이 상기 케이싱(2)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전기화학 전지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OCHEMICAL CELL}
본 발명은 전기화학 전지, 특히 평면형 배터리 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전기화학 전지에 관한 것이다.
DE 600 29 123 T2호는 갈바닉 전지를 개시한다. 여기서 전기 전지는 금속 상자 내부에 롤 팩의 형태로 수용된다. 이것은 롤 팩의 전극에 연결되는 양극 및 음극 전도체가 제공된다. 금속 상자의 양극 단자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고리형 플라스틱 요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기화학 전지의 개선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과제는 제1항에 따른 전기화학 전지의 제조방법 및 제7항에 따른 전기화학 전지에 의하여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 및 개량은 종속 청구항들에 기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화학 전지는 세퍼레이터에 의하여 서로 분리된 2개 이상의 전극을 갖는 전극 스택을 포함하거나 또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전기화학 전지는 2개 이상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액체 불투과성(Liquid-tight manner)으로 밀폐된 케이싱을 갖는다. 이것에는 2개 이상의 전류 전도체가 제공되며, 상기 전류 전도체는 상기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싱(2)을 통해 외부로 연장된다. 제1 방법 단계에서, 상기 전류 전도체는 캐스팅 공정(shaping process)에 의하여 성형 부품과 결합한다. 제2 방법 단계에서, 상기 성형 부품은 상기 케이싱과 결합한다. 전류 전도체는 바람직하게는 케이싱의 개구부에서 케이싱을 관통한다. 상기 케이싱의 개구부는 바람직하게는 케이싱의 2개 이상의 부품 사이의 이음새에 형성된다. 상기 성형 부품은 특히 전류 전도체와 함께 케이싱의 개구부를 밀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성형 부품은 케이싱의 개구부에서 케이싱과 결합하고, 특히 성형 부품이 특히 전류 전도체와 함께 개구부를 완전히 및/또는 액체 불투과성으로 밀봉하도록 개구부와 결합한다. 성형 부품 및 케이싱의 부품 사이의 물질적 결합이 형성될 수 있다.
전류 전도체란 전극으로부터의 전자가 전기 소모기의 방향으로 흐르도록 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전류 전도체는 또한 반대 전류 방향으로도 작용할 수 있다. 전류 전도체는 전기적으로 전극 또는 전극 스택의 활성 전극 매스에 연결될 수 있고 연결 케이블에도 연결될 수 있다. 전류 전도체의 형상은 전극 스택의 형상에 맞추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류 전도체는 판형 또는 호일형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전극 스택의 각 전극이 별도의 전류 전도체를 갖거나 또는 동일한 극성의 전극들이 공통의 전류 전도체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케이싱이란 전극 스택을 외부 환경에 대하여 분리할 수 있는 적어도 부분적인 경계를 의미한다. 케이싱은 바람직하게는 기체 불투과성 및 액체 불투과성이어서, 외계와의 물질 교환이 일어날 수 없다. 전극 스택은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된다. 1 개 이상의 전류 전도체, 특히 2 개의 전류 전도체가 케이싱 밖으로 연장되어 나와 전극 스택의 연결에 이용된다. 그러나, 또한 다수의 전류 전도체, 특히 2개 또는 4개의 전류 전도체가 케이싱 밖으로 연장되어 나올 수 있다. 외부로 연장되는 전류 전도체는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전기화학 전지의 양극 배선 및 음극 배선이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전극 스택이란 화학 에너지의 저장 및 전기 에너지의 방출을 위한 갈바닉 전지 또는 전기화학 전지의 어셈블리로서 이용되는 장치를 의미한다. 전극 스택은 다수의 판형 소자, 2 이상의 전극, 즉 애노드 및 캐소드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해질을 수용하는 세퍼레이터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1 이상의 애노드, 세퍼레이터 및 캐소드는 적층되어 배치되거나 또는 스택킹되며, 여기서 세퍼레이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애노드 및 캐소드 사이에 배치된다. 이 애노드, 세퍼레이터 및 캐소드의 순서가 전극 스택의 내부에서 임의로 종종 반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판형 소자는 전극 코일로 감긴다. 이하에서 "전극 스택"이란 용어는 전극 코일에 대해서도 사용된다. 전기 에너지의 방출 전에, 저장된 화학 에너지는 전기 에너지로 변환된다. 충전 동안, 전극 스택에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가 화학 에너지로 변환되어 저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전극 스택은 다수의 전극쌍 및 세퍼레이터를 갖는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개개의 전극은 상하로 특히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캐스팅 공정은 적어도 몰딩 공정, 특히 사출성형 공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몰딩 공정은 사출성형 공정이다. 바람직하게는 절연성 물질, 특히 플라스틱이 몰드로서 사용된다.
성형 부품은, 몰딩법에 의한 성형 부품의 제조에 의해, 몰딩 공정에 대해 어느 정도의 경도를 갖는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전기화학 전지의 케이싱의 밀봉은 종종 이음새에서의 압력 인가를 수반한다. 압력이 성형 부품에도 인가될 수 있으므로, 일정한 경도를 갖는 성형 부품이 캐스팅 공정의 응력에 대하여 더 강하다.
바람직하게는 캐스팅 공정 동안 적어도 하나의 전류 전도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성형 부품에 의하여 둘러싸이거나 또는 삽입 몰딩된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삽입 몰딩된다는 것은 캐스팅 공정 동안 전류 전도체가 성형 부품에 의하여 적어도 고리형으로 둘러싸이거나 또는 삽입 몰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류 전도체는 바람직하게는 두면, 특히 모든 면이 바람직하게는 단일 부재 성형 부품에 의하여 적어도 고리형으로 둘러싸인다. 성형 부품은 바람직하게는 고리형의 닫힌 재킷을 형성하며, 이것은 특히 전기화학 전지의 케이싱의 개구부에 대한 접촉면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성형 부품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케이싱의 개구부 영역에서 케이싱의 적어도 일부 및 전류 전도체 사이에 절연층을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전류 전도체의 단부는 몰딩 과정 동안 및 몰딩 후에 성형 부품으로부터 돌출되어 나올 수 있다. 돌출되어 나오는 단부는 특히 제작된 전기화학 전지에서 전기화학 전지의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는 전류 전도체 영역이다. 또한, 특히 돌출되어 나오는 전류 전도체의 다른 단부는 제작된 전기화학 전지에서 전기화학 전지의 케이싱 외부에 배치되는 전류 전도체 영역이다. 특히 캐스팅법이 몰딩법, 특히 사출성형법인 경우, 캐스팅 공정 동안 전류 전도체는 성형 부품에 의하여 삽입 몰딩될 수 있다. 1개의 전류 전도체, 특히 2개 이상의 전류 전도체가 몰드에 삽입되고, 이어서 캐스팅 슬립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이거나, 특히 삽입 몰딩될 수 있다.
몰딩 공정 동안 적어도 2개의 전류 전도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한 성형 부품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특히 삽입 몰딩되는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전기화학 전지의 전류 전도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한 성형 부품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동일한 성형 부품"이란 성형 부품이 하나의 바디, 즉 단일 부재 성형 부품을 형성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동일한 성형 부품의 모든 재료는 공간적으로도 바디에 있어서도 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성형 부품이 2개 이상의 전류 전도체를 둘러싼다. 성형 부품은 바람직하게는 두 전류 전도체를 서로에 대하여 절연한다. 성형 부품은 바람직하게는 두 전류 전도체를 서로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유지할 수 있으므로 간격 유지체로서 작용할 수 있다. 성형 부품은 두 전류 전도체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성형 부품은 밀봉 밴드의 형태로 형성된다. 밀봉 밴드는 특히 하나의 전류 전도체만을 고리형으로 둘러싸서 특히 하나의 둘레면을 형성하며, 상기 둘레면은 전기화학 전지의 케이싱의 개구부의 접촉에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에서 성형 부품은 밀봉바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밀봉바는 특히 2개 이상의 전류 전도체를 둘러싸고 각각 바람직하게는 고리형으로 특히 둘레면을 형성하며, 상기 둘레면은 전기화학 전지의 케이싱의 개구부의 접촉에 이용될 수 있다.
밀봉바가 다수의 전류 전도체를 둘러쌀 수 있음으로써, 특히 인접 배치되는 두 전류 전도체 사이의 영역에서의 케이싱의 고정 플랜지에서 협착부가 회피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개별적으로 형성된 밀봉 수단의 제조가 통합될 수 있다.
다른 대안적 실시형태에서, 성형 부품은 주위 밀봉 프레임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밀봉 프레임은 특히 2개 이상의 전류 전도체를 둘러싼다. 밀봉 밴드는 2 개의 전류 전도체와 특히 물질적으로 바람직하게는 고정 결합된다. 또한, 밀봉 프레임은 그 자체로 주위가 밀폐된 형태이며, 여기에 케이싱의 2개의 반쪽이 두 상이한 측으로부터 각각 플랜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밀봉 프레임은 2개의 특히 셸 형태의 케이싱 반쪽들 또는 셸들의 이음새이다. 이러한 밀봉 프레임의 장점은 이음새가 리세스의 형태로 3차원적으로 구부러지는 일 없이 전체 이음새가 케이싱 반쪽들에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장착을 용이하게 하고 더 양호한 밀봉 작용에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성형 부품은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형성된다. 성형 부품은 특히 전도체 전도 영역에서 전류 전도체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성형 부품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밀봉 영역에서 케이싱 위로 돌출한다. 돌출한다는 것은 성형 부품이 전류 전도체를 따라 전지 내부로부터 전지 외부로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케이싱보다 더 전지 외부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성형 부품은 개구부 영역에서 케이싱의 다른 영역에서보다 기본적으로 더 길게 형성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성형 부품은 개구부 외부에 배치되어 케이싱 부품과 접촉하지 않는 섹션을 갖는다. 이와는 다르게 또는 이와 조합하여, 케이싱은 개구부 영역에서 케이싱의 다른 영역에 비하여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더 길거나 또는 더 짧다는 것은 전지 내부로부터 전지 외부의 방향으로, 또한 개구부의 관통 방향으로, 케이싱 또는 성형 부품의 연장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전기화학 전지를
a) 사시도로
b) 파단도로
c) 삽입 몰딩된 밀봉 밴드를 갖는 전류 전도체를 상세히
d) 횡단면도로
e) 밀봉 영역을 확대된 횡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제2 실시형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전기화학 전지를
a) 사시도로
b) 파단도로
c) 삽입 몰딩된 밀봉바를 갖는 전류 전도체를 상세히
d) 밀봉 영역을 확대된 횡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제3 실시형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전기화학 전지를
a) 사시도로
b) 파단도로
c) 삽입 몰딩된 밀봉 프레임을 갖는 전류 전도체를 상세히
d) 밀봉 영역을 확대된 횡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전기화학 전지(1)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전기화학 전지는 케이싱(2) 내부에 배치된 전극 스택(5)을 갖는다. 상기 전극 스택(5)의 전극에는 2개의 전류 전도체(3)가 부착되며, 이것은 케이싱(2)을 관통하므로 전기화학 전지(1)의 외부 배선이 된다. 상기 케이싱(2)은 2개의 동일하게 제작된 케이싱 부품, 즉 셸(4)로부터 형성된다.
각 셸(4)은 주위 고정 플랜지(15)를 갖는다. 양쪽 셸(4)은 상기 고정 플랜지(15)에서 서로 접촉하여 서로 고정된다. 상기 셸(4)은 상기 고정 플랜지(15)에 각각 2개의 리세스(10, recess)를 갖는다. 상기 셸(4)의 결합 상태에서 두 리세스(10)는 서로 겹쳐 각각 케이싱(2)의 개구부(11)를 형성한다. 개구부(11)가 제공되는 케이싱(2)의 영역은 밀봉 영역(9)으로서 표현된다. 전류 전도체(3)는 상기 개구부(11)를 통하여 전지의 내부에서 외부로 연장된다.
전류 전도체(3)를 상기 셸(4)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하여, 전류 전도체(3)는 밀봉 영역(9)에 성형 부품을 가지며, 상기 성형 부품은 이 실시형태에서 각각 밀봉 밴드(6)의 형태로 제작된다. 상기 밀봉 밴드(6)는 플라스틱으로부터 제조되고 사출 성형 공정에서 전류 전도체(3) 주위에 도포, 즉 전류 전도체 주위에 분사된다. 우선, 전류 전도체가 몰드에 삽입되고, 이후 사출 성형 재료에 의하여 삽입 몰딩된다. 각 전류 전도체(3)에 대하여 별도의 밀봉 밴드(6)가 제공되며, 이것은 전류 전도체를 고리형으로 둘러싼다. 밀봉 밴드(6)는 전류 전도체(3)와 함께 각각 개구부(11)를 채우고 셸(4)의 리세스(10) 및 전류 전도체(3) 사이의 고리형 공간을 밀봉한다.
셸(4)은 다층 재료로부터 제조되며 알루미늄으로 제조되는 제1층(12)을 갖는다. 상기 알루미늄층(12)의 내부에 제공되는 제2층(13)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므로, 플라스틱층(13)이다. 특히 도 1b)에서, 두 리세스(10) 사이에 각각 하나의 협착부(14)가 두 셸(4)의 고정 플랜지(15)에 제공됨을 알 수 있다. 두 셸(4)의 두 협착부(14)는 전기화학적 전지가 닫힐 경우 서로 접촉한다. 따라서, 두 협착부(14)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추가의 수단은 제공되지 않는다. 셸(4)은 딥드로잉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밀봉 밴드(6)는 전류 전도체(3)의 배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관통 방향을 따라 셸(4) 위로 돌출한다. 상기 밀봉 밴드(6)는 셸(4)보다 개구부(11) 밖으로 더 연장된다. 이것은 전류 전도체(3) 및 셸(4) 사이의 절연성을 개선시킨다.
도 2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 실시형태에 상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화학 전지(1)의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논의한다.
특히 도 2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리세스(10)만이 셸(4)의 고정 플랜지(15)에 제공되며, 이것을 통해 두 전류 전도체(3)가 케이싱(2)을 관통하여 연장된다. 또한, 성형 부품은 사출성형 부품으로서 두 전류 전도체(3) 주위에 배치되는 밀봉바(7)의 형태임을 알 수 있다. 먼저 두 전류 전도체가 몰드 안에 삽입되고, 이후 사출성형 재료에 의하여 삽입 몰딩된다. 밀봉바(7)가 전류 전도체(3)를 각각 고리형으로 둘러싼다. 상기 밀봉바(7)는 전류 전도체(3)를 셸(4)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상기 밀봉바(7)는 두 전류 전도체(3)와 함께 개구부(11)를 채운다. 하나의 개구부만이 제공되어, 이를 통과하여 두 전류 전도체(3)가 동시에 연장되므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싱(2)에서는 두 개구부(11) 사이에 협착부(14)가 존재하지 않는다. 제2 실시형태에서도 밀봉바(7)가 개구부(11) 영역에서 셸(4) 위로 돌출된다.
도 3은 제3 실시형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전기화학 전지(1)를 도시한 것이다. 제3 실시형태는 대체로 제2 실시형태에 상응하므로, 이하에서는 제2 실시형태와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논의한다.
특히 도 3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밀봉 수단은 주위 밀봉 프레임(8)의 형태이며, 이것은 전체 프레임 영역에 걸쳐 일정한 단면두께(D)를 갖는다. 상기 밀봉 프레임(8)은 상기 두 전류 전도체(3)를 고리형으로 둘러싼다. 상기 밀봉 프레임(8)은 주위의 밀폐 형태를 가지며, 여기에 각각 상이한 두 측으로부터 두 셸(4)이 그 각각의 고정 플랜지(15)에 의하여 플랜지 장착된다. 상기 밀봉 프레임(8)은 전체 둘레에 걸쳐 일정한 단면두께(D)를 갖는다. 밀봉 프레임(8)과 접촉하는 상기 셸(4)에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어떠한 리세스도 제공되지 않는다. 달리 말해서, 케이싱(5)의 셸(4) 사이에 주위 개구부(11)가 형성되며, 이것은 두 셸(4) 사이의 일정한 임의의 갭으로 표시된다. 상기 갭은 전체 둘레에 걸쳐 일정한 단면두께(D)를 가지며 주위의 밀봉 프레임(8)에 의하여 완전히 밀봉된다. 상기 밀봉 프레임(8)은 그 연장부에서 케이싱(2)의 고정 플랜지(15)의 연장부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케이싱(2)의 두 셸(4) 사이의 주위 고정 플랜지(15)의 전체 영역에 걸쳐 배치된다. 고정 셸(4) 사이의 주위 개구부(11)는 두 셸(4)을 서로 이격 배치함으로써 제작되며, 이것은 밀봉 프레임(8)에 의하여 또는 밀봉 프레임(8)을 둘러싸는 전류 전도체(3)에 의하여 채워진다.
1 전기화학 전지
2 케이싱
3 전류 전도체
4 셸
5 전극 스택
6 밀봉 밴드
7 밀봉바
8 밀봉 프레임
9 밀봉 영역
10 리세스
11 개구부
12 알루미늄층
13 플라스틱층
14 협착부
15 고정 플랜지
D 단면두께

Claims (13)

  1. 세퍼레이터에 의하여 서로 분리된 2개 이상의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 스택(5), 2개 이상의 부품(4)으로 이루어지고 액체 불투과성으로 밀폐된 케이싱(2) 및 상기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싱(2)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는 2개 이상의 전류 전도체(3)를 구비한 전기화학 전지(1)의 제조방법으로서,
    제1 단계에서 상기 전류 전도체(3)가 캐스팅 공정에 의하여 성형 부품(6, 7, 8)에 연결되고,
    제2 단계에서 상기 성형 부품(6, 7, 8)이 상기 케이싱(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부품(6, 7, 8)이 상기 케이싱(2)의 개구부(11)에서 상기 케이싱(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팅 공정이 적어도 몰딩 공정, 특히 사출 성형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전류 전도체(3), 특히 2개 이상의 전류 전도체(3)가 몰드로 삽입되고, 이후 캐스팅 슬립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것, 특히 삽입 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전류 전도체(3)가 캐스팅 공정 동안 적어도 부분적으로 성형 부품(6, 7, 8)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것, 특히 삽입 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전류 전도체(3)가 동일한 성형 부품(7, 8)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것, 특히 삽입 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전기화학 전지(1).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부품이 밀봉 밴드(6)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전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부품이 밀봉바(7)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전지.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부품이 주위 밀봉 프레임(8)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전지.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부품(6, 7, 8)이 특히 전류 전도체(3)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사출 성형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전지.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성형 부품(6, 7, 8)이 적어도 상기 개구부(11) 영역에서 상기 케이싱(2) 위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전지.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화학 전지(1)를 적어도 1개 구비하는 배터리 장치.
KR1020127007049A 2009-08-18 2010-08-17 전기화학 전지의 제조방법 KR201200894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37849.9 2009-08-18
DE102009037849A DE102009037849A1 (de) 2009-08-18 2009-08-18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Elektrochemischen Zelle
PCT/EP2010/005042 WO2011020595A1 (de) 2009-08-18 2010-08-17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elektrochemischen zel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9464A true KR20120089464A (ko) 2012-08-10

Family

ID=42989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7049A KR20120089464A (ko) 2009-08-18 2010-08-17 전기화학 전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20208077A1 (ko)
EP (1) EP2467887A1 (ko)
JP (1) JP2013502676A (ko)
KR (1) KR20120089464A (ko)
CN (1) CN102484225A (ko)
BR (1) BR112012003773A2 (ko)
DE (1) DE102009037849A1 (ko)
WO (1) WO20110205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20187A1 (de) 2011-12-05 2013-06-06 Audi Ag Spacer für prismatische Batteriezelle, prismatische Batterie mit dem Space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prismatischen Batterie
DE102012001440A1 (de) * 2012-01-26 2013-08-01 Li-Tec Battery Gmbh Elektrochemische Energiewandlereinrichtung mit einem Zellgehäuse, Batterie mit zumindest zwei dieser elektrochemischen Energiewandlereinrichtungen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elektrochemischen Energiewandlereinrichtung.
KR101547403B1 (ko) 2013-01-11 2015-08-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일체형 양극 리드 및 음극 리드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2017004883A (ja) * 2015-06-15 2017-01-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電池
US9954255B2 (en) * 2015-10-16 2018-04-24 Chroma Ate Inc. Measurement fixture for a battery cell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6161A (ja) * 1985-03-08 1986-09-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形鉛蓄電池
JPH0689705A (ja) * 1992-09-04 1994-03-29 Ricoh Co Ltd 扁平型固体電池
MY129554A (en) * 1998-03-10 2007-04-30 Samsung Display Devices Co Ltd Secondary battery with sealing materials coated onto electrode tabs
KR100619654B1 (ko) * 1998-10-30 2006-09-05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비수 전해질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ATE332014T1 (de) 1999-11-05 2006-07-15 Thomas Steel Strip Corp Galvanische zelle mit metallischem gehäuse und herstellungsverfahren für solch eine zelle
CA2363111C (en) * 1999-12-17 2010-11-09 Dai Nippon Printing Co., Ltd. Packaging material for polymer cel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8146963A (ja) * 2006-12-08 2008-06-26 Sony Corp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非水電解質二次電池及び電池パック
KR100917734B1 (ko) * 2007-07-19 2009-09-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CN101359728A (zh) * 2008-08-19 2009-02-04 龙计明 一种负压型塑壳球阀锂离子电池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08077A1 (en) 2012-08-16
BR112012003773A2 (pt) 2016-04-12
EP2467887A1 (de) 2012-06-27
JP2013502676A (ja) 2013-01-24
WO2011020595A1 (de) 2011-02-24
DE102009037849A1 (de) 2011-02-24
CN102484225A (zh) 201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84894B2 (ja) キャップ組立体、これを具備した2次電池及び、キャップ組立体の製造方法
US8197962B2 (en) Assembled battery and battery module
EP2228848B1 (en) Cylinder type secondary battery with electrode tab protection
US20150214516A1 (en) Secondary battery
EP2677563A1 (en) Rechargeable battery and module of the same
JP2007179793A (ja) 密閉型電池用蓋体
JP2006019292A (ja) 二次電池および二次電池の製造方法
US10033026B2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an external terminal and module thereof
CN106560936B (zh) 可再充电电池
US20160218328A1 (en) Method for producing a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KR20120089464A (ko) 전기화학 전지의 제조방법
KR102275545B1 (ko) 배터리 셀 및 그 제조 방법
EP3555935B1 (en) A battery module casing, a battery module and a battery
US10388936B2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048463B2 (en) Pouch-cell battery arrangement and corresponding production method and use
KR101230994B1 (ko) 중대형 배터리
CN210156500U (zh) 锂离子电池
KR101022634B1 (ko) 개선된 구조의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CN100466360C (zh) 可再充电圆柱锂电池
JP5482565B2 (ja) 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055992A (ja) 密閉型電池
JP2012094249A (ja) 密閉型電池
JP5423431B2 (ja) 蓄電モジュールの連結構造及び蓄電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2013506967A (ja) 電気化学的電池およびこのような電池の製造方法
JP5650567B2 (ja) 扁平形電池及び封口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