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8445A - 반도체 칩,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칩 패키지 - Google Patents

반도체 칩,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칩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8445A
KR20120088445A KR1020110009802A KR20110009802A KR20120088445A KR 20120088445 A KR20120088445 A KR 20120088445A KR 1020110009802 A KR1020110009802 A KR 1020110009802A KR 20110009802 A KR20110009802 A KR 20110009802A KR 20120088445 A KR20120088445 A KR 20120088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well
semiconductor substrate
interface member
semi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3541B1 (ko
Inventor
서지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9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3541B1/ko
Priority to US13/219,631 priority patent/US20120193746A1/en
Priority to CN201110434859XA priority patent/CN102623432A/zh
Publication of KR20120088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1Internal lead connections, e.g. via connections, feedthrough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02Containers; Seals
    • H01L23/04Containers; Sea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ontainer or parts, e.g. caps, walls
    • H01L23/043Containers; Sea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ontainer or parts, e.g. caps, walls the container being a hollow construction and having a conductive base as a mounting as well as a lead for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045Containers; Sea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ontainer or parts, e.g. caps, walls the container being a hollow construction and having a conductive base as a mounting as well as a lead for the semiconductor body the other leads having an insulating passage through the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02Containers; Seals
    • H01L23/04Containers; Sea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ontainer or parts, e.g. caps, walls
    • H01L23/053Containers; Sea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ontainer or parts, e.g. caps, walls the container being a hollow construction and having an insulating or insulated base as a mounting for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055Containers; Sea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ontainer or parts, e.g. caps, walls the container being a hollow construction and having an insulating or insulated base as a mounting for the semiconductor body the leads having a passage through the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6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5/0657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3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3001Core members of the bump connector
    • H01L2224/1302Disposition
    • H01L2224/1302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being disposed on a via connection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3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 H01L2224/1614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the bodies being stacked
    • H01L2224/16146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the bodies being stacked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to a via connection in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04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06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06503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01L2225/06513Bump or bump-like direct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devices, e.g. flip-chip connection, solder bu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04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06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06503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01L2225/06541Conductive via connections through the device, e.g. vertical interconnects, through silicon via [TSV]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3Rectifying Diode
    • H01L2924/12032Schottky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반도체 칩은,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외부의 신호 전달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부재, 상기 반도체 칩과 상기 인터페이스 부재 사이에 기생적으로 형성되는 역방향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칩,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칩 패키지{Semiconductor Chip and Multi Chip Packag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TSV(Through Silicon Via)를 구비하는 반도체 칩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칩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부분의 전자 시스템에서 기억 장치로서 이용되고 있는 반도체 메모리는 그 용량 및 속도가 모두 증대하고 있는 추세이다. 아울러, 더 좁은 면적내에서 더 많은 용량의 메모리를 실장하고, 실장된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근래 들어, 반도체 메모리의 집적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존의 평면 배치 방식에서 복수의 메모리 칩을 적층한 입체 구조 배치 기술이 응용되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은 3차원 입체 배치는 반도체 패키지 분야에서도 적용되고 있으며, 현재에는 적층된 반도체 칩들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칩내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TSV(Through silicon via)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TSV는 반도체 칩내에 그것을 관통하는 비아 홀을 형성하고, 상기 비아홀내에 도전 물질을 매립시켜 형성된다. 이때, 반도체 칩과 TSV간의 쇼트(short)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반도체 칩과 TSV 사이에 라운딩 절연막(rounding oxide)을 형성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TSV와 반도체 칩 사이에 절연막이 형성되기 때문에, TSV 주변에 의도치 않은 기생 캐패시터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TSV 신호 전송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신호 전송 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반도체 칩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칩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칩은,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외부의 신호 전달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부재, 상기 반도체 칩과 상기 인터페이스 부재 사이에 기생적으로 형성되는 역방향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칩 패키지는 적층 배치된 복수의 반도체 칩, 상기 반도체 칩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반도체 칩 각각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 부재, 및 상기 적층 배치된 복수의 반도체 칩내의 상기 인터페이스 부재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외부 접속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반도체 칩에 내장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 부재는 절연막의 개재없이 상기 반도체 칩과 직접 접촉되어 있다.
상기 반도체 칩과 상기 인터페이스 부재 각각은 제 1 및 제 2 전압이 각각 인가되어, 일정 전압 이하에서 전자가 이동되지 않는 전위 장벽이 구축되어 있다.
본 발명은 실리콘으로 된 반도체 칩과 TSV와 같은 인터페이스 부재간의 절연을 위해 절연막을 형성하는 대신, 역방향 다이오드가 형성되도록 바이어스 인가 조건을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반도체 칩과 인터페이스 부재가 직접 접촉되더라도, 실리콘-금속 장벽으로 인해 전자의 이동이 차단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반도체 칩과 인터페이스 부재간의 기생 캐패시턴스가 발생되지 않아, 칩 내부는 물론 멀티칩 패키지를 구성하는 다층 칩간의 신호 전달 속도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칩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판 및 인터페이스 부재에 제공되는 전압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칩 패키지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칩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칩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배선(interconnections)이라 함은 수평 방향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전도체를 의미하고, 비아(via)라 함은 수직 방향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전도체를 의미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모양과 상관없이, 배선은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비아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비아는 플러그(plugs)와 홀(holes)을 포함한다. 비아 플러그는 비아 홀의 내부를 채우는 기둥형 전도체를 의미하고, 비아 홀은 비아 플러그가 채워지기 위한 속이 빈 구조체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칩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반도체 칩은 반도체 기판(100) 및 그것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인터페이스 부재(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반도체 기판(100)은 회로층, 금속 배선층 및 보호층이 형성되어 있는 실리콘 칩 구조물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로층은 다양한 전기적 동작을 위한 반도체 회로들이 포함되어 있는 층일 수 있다. 상기 금속 배선층은 전기적 신호들을 외부로부터 회로층으로 전달하거나, 회로층으로부터 외부로 전달하는 층들일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질화물, 또는 다양한 폴리이미드 등의 절연물을 이용하여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부재(150)는 관통 비아(v) 및 상기 관통 비아(v)내에 매립되는 비아 플러그(150, 이하, TSV)를 포함할 수 있다. TSV(150)는 반도체 기판은 물론, 상기 회로층, 금속 배선층 및 보호층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구리(Cu) 또는 알루미늄(Al)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서는 생략되었지만, 반도체 기판(100)과 TSV(150) 사이에는 접착력 개선을 위한 장벽 금속막이 개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구리 또는 도금 방법으로 전도성 패턴들이 형성될 경우, 씨드층이 형성되고, 이어서 도금 공정이 수행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즉, 별도의 설명이 없어도 구리 또는 도금 방법을 이용하여 전도성 패턴들을 형성한다는 설명들은 씨드층을 형성하는 공정이 선행되고,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등의 공정이 후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리는 증착 방법으로 형성될 수 없고 도금 방법으로 형성된다. 또, 식각으로 패터닝되지 않기 때문에 CMP 방법으로 패터닝된 다.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 구리라고 한정하는 것은, 증착 방법 및 식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다른 금속들과 구별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도체 기판(100)과 TSV(150) 사이에 절연을 위한 절연막이 개재되지 않는다. 대신, 반도체 기판(100)과 TSV(150) 사이의 도통을 방지하기 위해, 즉, 상호 간의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도록 반도체 기판(100)과 TSV(150) 사이에 역방향 다이오드(160)를 형성한다. 상기 역방향 다이오드(160)는 반도체 기판(100) 및 TSV(150)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압의 조절에 의해 별도의 제작 공정 없이 형성된다. 또한, 반도체 기판(100)이 실리콘 물질이고, TSV(150)가 금속 물질이기 때문에, 상기 역방향 다이오드(160)는 쇼트키 다이오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역방향 쇼트키 다이오드(160)는 반도체 기판(100)이 p형의 실리콘 기판이라 가정할 때, 반도체 기판(100)에 가해지는 전압(이하, 제 1 전압, V1)이 TSV(150)에 인가하는 전압(이하, 제 2 전압, V2)보다 약간 낮도록 조절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압(V1)이 Vss 전압이라면, 제 2 전압(V2)는 Vss 이상의 전압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압(V1)으로 Vss 전압의 - 스윙 레벨(A)이 공급될 수 있고, 제 2 전압(V2)으로 Vss 전압의 + 스윙 레벨(B)이 공급될 수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역방향 쇼트키 다이오드인 경우, 항복 전압이 PN 다이오드의 경우보다 낮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전압(V1,V2)간의 차가 작음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역방향 쇼트키 다이오드(160)가 TSV(150)와 반도체 기판(100) 사이에 형성됨에 따라, 항복 전압 이상의 강한 역방향 바이어스가 인가되어 소자가 파괴되기 전에는, 반도체 기판(100)과 TSV(150) 사이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도 4는 본 실시예와 같이 형성된 TSV를 갖는 반도체 기판들을 포함하는 멀티 칩 패키지(100)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과 직접 접촉되는 TSV(150)를 구비한 반도체 칩(100a,100b,100c)은 동일 신호를 인가받도록 설계된 TSV들(150a,150b,150c)간이 서로 대치되도록 적층된다.
적층된 서로 다른 칩(100a,100b,100c)의 TSV(150a,150b,150c)는 범프(bump)와 같은 외부 접속 단자(120)에 의해 서로 간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TSV와 같이 반도체 칩내에 내장되는 인터페이스 부재 제작시, 인터페이스 부재와 반도체 칩 사이에 역방향 다이오드가 발생되도록 바이어스를 인가한다. 이에 따라, 반도체 칩와 인터페이스 부재 사이에 절연막을 형성하지 않아도, 실리콘과 금속간의 전위 장벽으로 인해 서로 간의 전자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칩과 인터페이스 부재간의 기생 캐패시턴스의 발생을 방지하여, 신호 전달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TSV(150)는 웰(110)에 의해 둘러싸여 있을 수 있다. 상기 웰(110)은 반도체 기판(100)이 P형의 반도체 기판인 경우, N웰일 수 있으며, TSV(150)와 웰(110) 사이 및 웰(110)과 반도체 기판(100) 사이에는 어떠한 절연막도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반도체 기판(100)과 웰(110) 사이에는 역방향 PN 다이오드(165)가 생성되도록 소정의 바이어스를 인가하는 한편, TSV(150)와 상기 웰(110) 사이에는 순방향 쇼트키 다이오드(170)가 생성되도록 바이어스를 인가한다.
즉, 반도체 기판(100)에는 제 1 전압(V11)이 인가되고, TSV(150)에는 상기 제 1 전압(V11)보다 큰 제 2 전압(V12)이 인가되고, 상기 웰(110)에는 제 2 전압(V12)보다 큰 제 3 전압(V13)이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압(V11)으로는 VBB 전압이 이용되고, 제 2 전압(V12)으로는 VSS 전압이 이용되고, 제 3 전압(V13)으로는 VDD 또는 VPP 전압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내지 제 3 전압(V11,V12,V13)이 반도체 기판(100), TSV(150) 및 웰(110)에 각각 인가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00)과 웰(110) 사이에 역방향 PN 다이오드(165)가 형성되고, 웰(110)과 TSV(150) 사이에는 순방향 쇼트키 다이오드(170)가 형성된다.
알려진 바와 같이, 역방향 쇼트키 다이오드보다 역방향 PN 다이오드(170)가 누설 전류 측면에서 안정하다. 그러므로, TSV(150) 외측에 웰(110)을 형성한 경우, 보다 안정적으로 전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웰(110)을 반도체 기판(100) 전체 두께에 대해 형성하는 공정시, 장시간의 이온 주입 공정 및 확산 공정이 요구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TSV(150)의 일정 깊이만큼만 웰(115)을 형성하고, 웰(115) 하부 영역의 반도체 기판(100)과 TSV(150) 사이에 절연막(12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웰(115)이 일정 깊이만큼 형성되어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절연막(120)의 면적은 전체 TSV(150)의 표면적에 비해 협소하다. 그러므로, 반도체 기판(100)과 TSV(150)간의 기생 캐패시턴스 역시 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만큼 수준이 되어, 신호 전달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때, 반도체 기판(100), 웰(115) 및 TSV(150)에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1 전압(V11), 제 2 전압(V12) 및 제 3 전압(V13)이 인가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실리콘으로 된 반도체 칩과 TSV와 같은 인터페이스 부재간의 절연을 위해 절연막을 형성하는 대신, 역방향 다이오드가 형성되도록 바이어스 인가 조건을 변경한다.
이에 따라, 반도체 칩과 인터페이스 부재가 직접 접촉되더라도, 실리콘-금속 장벽으로 인해 전자의 이동이 차단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반도체 칩과 인터페이스 부재간의 기생 캐패시턴스가 발생되지 않아, 칩 내부는 물론 멀티칩 패키지를 구성하는 다층 칩간의 신호 전달 속도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반도체 기판 110,115 : 웰
120 : 절연막 150 : 인터페이스 부재

Claims (20)

  1.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외부의 신호 전달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부재; 및
    상기 반도체 기판과 상기 인터페이스 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역방향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반도체 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과 상기 인터페이스 부재는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반도체 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다이오드는 상기 반도체 기판 및 상기 인터페이스 부재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압의 조절에 의해 기생적으로 발생되는 반도체 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은 도전형을 갖는 실리콘 기판이고,
    상기 인터페이스 부재는 금속 물질로 된 TSV(through- silicon-via)인 반도체 칩.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다이오드는 역방향 쇼트키 다이오드인 반도체 칩.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에 제 1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부재에 상기 제 1 전압보다 큰 제 2 전압이 인가되는 반도체 칩.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압의 레벨은 Vss 전압의 - 스윙 전압 대역에 해당하고,
    상기 제 2 전압의 레벨은 상기 Vss 전압의 + 스윙 전압 대역에 해당하는 반도체 칩.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TSV 주변을 감싸는 웰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칩.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웰은 상기 반도체 기판과 반대의 도전 타입을 갖는 반도체 칩.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과 웰 사이에는 역방향 다이오드가 형성되도록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웰과 상기 TSV 사이에는 순방향 다이오드 형성되도록 전압이 인가되는 반도체 칩.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에 제 1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TSV에 상기 제 1 전압 보다 큰 제 2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웰에 상기 제 2 전압 보다 큰 제 3 전압이 인가되는 반도체 칩.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압은 VBB 전압이고,
    상기 제 2 전압은 Vss 전압이고,
    상기 제 3 전압은 VDD 또는 VPP 전압인 반도체 칩.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웰은 상기 TSV의 일정 깊이만큼만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웰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TSV의 외측에는 절연막이 형성되는 반도체 칩.
  14. 적층 배치된 복수의 반도체 칩;
    상기 반도체 칩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반도체 칩 각각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 부재; 및
    상기 적층 배치된 복수의 반도체 칩내의 상기 인터페이스 부재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외부 접속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반도체 칩에 내장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 부재는 직접 접촉되어 있는 멀티 칩 패키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과 상기 인터페이스 부재 각각은 제 1 및 제 2 전압이 각각 인가되어, 일정 전압 이하에서 전자가 이동되지 않는 전위 장벽이 구축되어 있는 멀티 칩 패키지.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압은 상기 제 2 전압보다 낮은 멀티 칩 패키지.
  17. 적층 배치된 복수의 반도체 칩;
    상기 반도체 칩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반도체 칩 각각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 부재;
    상기 적층 배치된 복수의 반도체 칩내의 상기 인터페이스 부재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외부 접속 단자; 및,
    상기 인터페이스 부재 주변을 감싸도록 상기 반도체 기판과 반대 도전 타입의 웰을 포함하는 멀티 칩 패키지.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과 상기 웰 사이에 역방향 다이오드가 형성되도록 제 1 전압 및 제 3 전압이 각각 인가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부재와 상기 웰 사이에 순방향 다이오드가 형성되도록 제 2 및 상기 제 3 전압이 인가되는 멀티 칩 패키지.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압은 상기 제 1 전압보다 크고,
    상기 제 3 전압은 상기 제 2 전압 보다 큰 멀티 칩 패키지.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웰은 상기 인터페이스 부재의 일정 깊이만큼만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웰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인터페이스 부재의 외측에는 절연막이 형성되는 멀티칩 패키지.
KR1020110009802A 2011-01-31 2011-01-31 반도체 칩,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칩 패키지 KR101223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802A KR101223541B1 (ko) 2011-01-31 2011-01-31 반도체 칩,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칩 패키지
US13/219,631 US20120193746A1 (en) 2011-01-31 2011-08-27 Semiconductor chip and multi-chip package having the same
CN201110434859XA CN102623432A (zh) 2011-01-31 2011-12-22 半导体芯片和具有半导体芯片的多芯片封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802A KR101223541B1 (ko) 2011-01-31 2011-01-31 반도체 칩,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칩 패키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445A true KR20120088445A (ko) 2012-08-08
KR101223541B1 KR101223541B1 (ko) 2013-01-21

Family

ID=46563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802A KR101223541B1 (ko) 2011-01-31 2011-01-31 반도체 칩,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칩 패키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20193746A1 (ko)
KR (1) KR101223541B1 (ko)
CN (1) CN10262343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366B1 (ko) * 2013-11-14 2020-08-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집적 회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반도체 패키지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2820B2 (ja) * 2005-01-05 2010-07-14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チップ及び半導体装置
US20080174927A1 (en) * 2007-01-22 2008-07-2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Esd protection scheme for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dummy pads
KR100861209B1 (ko) * 2007-04-12 2008-09-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서브 워드 라인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KR100871381B1 (ko) * 2007-06-20 2008-12-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관통 실리콘 비아 칩 스택 패키지
US7994543B2 (en) 2007-07-26 2011-08-09 Oracle America, Inc. Via antenna fix in deep sub-micron circuit designs
ITMI20072341A1 (it) * 2007-12-14 2009-06-15 St Microelectronics Srl Contatti profondi di dispositivi elettronici integrati basati su regioni inpiantate attraverso solchi
US8334170B2 (en) * 2008-06-27 2012-12-1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thod for stacking devices
TWI372457B (en) * 2009-03-20 2012-09-11 Ind Tech Res Inst Esd structure for 3d ic tsv device
US8264065B2 (en) * 2009-10-23 2012-09-11 Synopsys, Inc. ESD/antenna diodes for through-silicon vias
US8502338B2 (en) * 2010-09-09 2013-08-0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Through-substrate via wavegui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93746A1 (en) 2012-08-02
KR101223541B1 (ko) 2013-01-21
CN102623432A (zh) 2012-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06377A1 (en) Multi-chip modules formed using wafer-level processing of a reconstituted wafer
KR102618755B1 (ko) 더미 접합 콘택트 및 더미 인터커넥트를 사용한 하이브리드 접합
KR101193370B1 (ko) 칩 스택 및 3차원 회로를 위한 열 전도
US8558345B2 (en) Integrated decoupling capacitor employing conductive through-substrate vias
US11842967B2 (en) Semiconductor devices with backside power distribution network and frontside through silicon via
US9870980B2 (en) Semiconductor package with through silicon via interconnect
CN111211102A (zh) 半导体装置及半导体封装
KR102618756B1 (ko) 더미 접합 콘택트를 사용한 하이브리드 접합
US9177923B2 (en) Through-substrate via shielding
US9818842B2 (en) Dynamic threshold MO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10312181B2 (en) Advanced through substrate via metallization in three dimensional semiconductor integration
US20220223498A1 (en) Backside or frontside through substrate via (tsv) landing on metal
US20130154109A1 (en) Method of lowering capacitances of conductive apertures and an interposer capable of being reverse biased to achieve reduced capacitance
KR101223541B1 (ko) 반도체 칩,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칩 패키지
US20240071970A1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volumetrically-expanded side-connected interconnects
US20240113078A1 (en) Three dimensional heterogeneous integration with double-sided semiconductor die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CN111769089A (zh) 半导体结构及其制造方法
TW201426957A (zh) 降低導電孔之電容的方法及可被反向偏壓以達成降低之電容的內插物
KR20120084698A (ko) 칩 스택 및 3차원 회로를 위한 열 전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