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7633A -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이를 포함하는 통신 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의료 시스템 - Google Patents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이를 포함하는 통신 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의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7633A
KR20120087633A KR1020110008959A KR20110008959A KR20120087633A KR 20120087633 A KR20120087633 A KR 20120087633A KR 1020110008959 A KR1020110008959 A KR 1020110008959A KR 20110008959 A KR20110008959 A KR 20110008959A KR 20120087633 A KR20120087633 A KR 20120087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wirelessly
patch
module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8190B1 (ko
Inventor
김한규
오영교
Original Assignee
김한규
오영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규, 오영교 filed Critical 김한규
Priority to KR1020110008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190B1/ko
Publication of KR20120087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2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s
    • A61B5/6833Adhesive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6Measuring bloo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6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6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 A61B2562/166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the sensor is mounted on a specially adapted printed circuit board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이를 포함하는 근거리 또는 원거리 통신 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의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됨 없이 지속적인 자가 진단 및 자가 치료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의료 전문가의 관리 하에 지속적인 진단 및 치료를 받을 수 있어서 사용자의 건강 증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이를 포함하는 통신 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의료 시스템{Body-patch type module, communication med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remote medical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진단 및 치료를 위하여 몸체에 부착되는 패치형 모듈, 이를 포함하는 통신 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의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기술은 다양한 산업 분야,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 기술은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어 사용자들 간 일반적인 통화뿐만 아니라 실시간 인터넷 검색, 사진 전송, 은행 업무, 게임, 티비(TV) 시청, 라디오 청취 등에 활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의료 분야, 구체적으로는 진단 및 치료 분야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기술의 적용 가능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종래 의료 분야에서 환자는 진단 및 치료를 위하여 직접 의료 기관에 방문하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원격 진단 및 치료는 그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활용도가 미비한 상태이다. 그에 따라, 손쉬운 진단 및 간단한 치료가 요구되는 환자들, 지속적으로 몸 상태를 확인하고 치료를 받아야 하는 환자들, 거동이 불편하고 지적 수행 능력이 부족한 아동 또는 노인 환자들 등도 여전히 의료 기관에 빈번하게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한 이들이 의료 기관에 빈번하게 방문해야 할 경우 본인뿐만 아니라 주변 가족들에게도 큰 부담이 아닐 수 없다. 또한, 환자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들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도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환자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됨 없이 쉽고 편리하게 진단 및 치료를 지속적으로 받을 수 있고, 사용 방법이 편리하여 접근성이 개선되고, 환자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긴급 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구현된 원격 의료 장치 및 의료 시스템을 고안하였다.
본 발명은 진단 및 치료를 목적으로 사용자 몸체에 손쉽게 부착될 수 있는 패치형 모듈,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과 양방향으로 근거리 또는 원거리 통신이 가능하도록 편리성이 개선된 통신 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의료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몸체 표면의 일 부분에 부착되는 부착 면을 구비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부착 면에 배치되고 몸체 표면의 일 부분에 물리적 자극을 제공하는 자극 제공부; 상기 기판의 부착 면에 배치되고 몸체 표면의 일 부분으로부터 발생하는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생체 신호 감지부; 상기 자극 제공부 및 생체 신호 감지부와 구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자극 제공부에 자극 제공 신호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생체 신호 감지부로부터 측정된 아날로그 생체 신호를 디지털 생체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처리부와 구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자극 제공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를 외부에 무선으로 송신하는 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자극 제공부, 생체 신호 감지부, 상기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신호 송수신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고정형 기판 또는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PCB(Printed Circuit Board) 또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부착 면은 몸체에 존재하는 경혈점 부위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에 있어서, 상기 자극 제공부는 상기 기판의 부착 면에 배치되고, P형 반도체 전극 및 N형 반도체 전극을 구비하는 1 이상의 반도체 소자, 및 상기 기판의 부착 면에 배치되되 상기 1 이상의 반도체 소자의 일방 전극과 타방 전극 상호 간을 전기적으로 소통가능하게 연결하는 전기적 연결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전류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소자는 SMD(Surface Mounted Device)형 반도체 소자 또는 DIP(Dual Inline Package)형 반도체 소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전류 제공부는 2 이상의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2 이상의 반도체 소자 중 제1 반도체 소자는 상기 기판의 부착 면 중 제1 위치에 부착되고, 상기 2 이상의 반도체 소자 중 제2 반도체 소자는 상기 제1 반도체 소자와 이격 배치되되 상기 기판의 부착 면 중 제2 위치에 부착되고, 상기 제1 반도체 소자의 일방 전극은 상기 제2 반도체 소자의 타방 전극과 2 이상의 전기적 연결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소통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부착면 중 제1 위치 및 제2 위치는 몸체의 표면에 존재하는 2 이상의 경혈점 부위 중 제1 경혈점 부위와 제2 경혈점 부위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에 있어서, 상기 자극 제공부는 표면 압력 발생기, 열 발생기, 미세전류 발생기, 저주파 펄스 발생기, 원적외선 발생기, 레이저 발생기, 밀리미터파 발생기, 음이온 발생기 및 자기력 발생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에 있어서, 상기 생체 신호 감지부는 몸체 표면의 일 부분으로부터 발생하는 열 신호, 혈류량 신호, 박동수 신호, 및 전자기적 신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및 상기 자극 제공 신호를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수신부에 무선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를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수신부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하는 휴대용 신호 제어기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 의료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체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의료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신호 제어기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신부에 상기 자극 제공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명령하는 자극 지시 입력부, 및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신부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된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를 표시하는 생체 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체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의료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전원부는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유도 전원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신호 제어기는 상기 유도 전원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 전력 공급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체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의료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신호 제어기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수신부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된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분석 결과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생체 신호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체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의료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신호 제어기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및 상기 자극 제공 신호를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수신부에 무선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자극 제공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를 포함하는 원거리 통신 의료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원거리 통신 의료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는 상기 자극 제공 신호를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하면 직접(directly)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수신부에 무선으로 송신하고,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를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수신부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하면 직접(directly)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무선으로 송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원거리 통신 의료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는 상기 자극 제공 신호를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수신부에 무선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자극 제공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상태를 표시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원거리 통신 의료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전원부는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유도 전원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원 공급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유도 전원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 전력 공급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및 상기 자극 제공 신호를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수신부에 무선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로부터 상기 자극 제공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에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를 포함하는 원거리 통신 의료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체예에 따른 원거리 통신 의료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는 상기 자극 제공 신호를 상기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하면 직접(directly)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수신부에 무선으로 송신하고,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를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수신부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하면 직접(directly) 상기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에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체예에 따른 원거리 통신 의료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는 상기 자극 제공 신호를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수신부에 무선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로부터 상기 자극 제공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에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상태를 표시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체예에 따른 원거리 통신 의료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생체 신호를 휴대용 단말기 또는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에 송신하거나, 및/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또는 상기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자극 제공 신호를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수신부에 송신하는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에 의해,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과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 간,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과 상기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 간, 또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과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 간 양 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원격 의료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됨 없이 지속적인 자가 진단 및 자가 치료가 가능하고, 의료 전문가의 관리 하에 지속적인 진단 및 치료를 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긴급 상황 발생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하여 국민 건강 증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자극 제공부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자극 제공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이 몸체의 다양한 부위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의료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자극 지시 입력부 및 생체 신호 출력부가 구비된 휴대용 신호 제어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의료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유도 전원이 구비된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및 무선 전력 공급원이 구비된 휴대용 신호 제어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의료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생체 신호 분석부가 구비된 휴대용 신호 제어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의료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휴대용 신호 제어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의료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통신 의료 장치를 도시한다.
도 11은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통신 의료 장치를 도시한다.
도 12는 출력부가 구비된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통신 의료 장치를 도시한다.
도 13은 유도 전원이 구비된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및 무선 전력 공급원이 구비된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통신 의료 장치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통신 의료 장치를 도시한다.
도 15는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통신 의료 장치를 도시한다.
도 16은 출력부가 구비된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통신 의료 장치를 도시한다.
도 17은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통신 의료 장치를 도시한다.
도 18은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 및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에 의해 구현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의료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을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한 수단일 뿐이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따르면,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70) 모듈(1)은 기판(10), 자극 제공부(20), 생체 신호 감지부(30), 신호 처리부(40), 신호 송수신부(50) 및 전원부(60)를 포함한다.
상기 패치(70)는 상기 기판(10), 자극 제공부(20), 생체 신호 감지부(30), 신호 처리부(40), 신호 송수신부(50) 및 전원부(60)가 부착 고정되고, 상기 모듈(1)이 사용자 몸체 표면(예를 들어, 몸체의 피부 표면을 말한다. 이하 같다)의 일 부분에 부착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패치(70)의 일 면에는 접착 부재, 예를 들어 접착제 등이 처리되어, 상기 기판(10), 자극 제공부(20), 생체 신호 감지부(30), 신호 처리부(40), 신호 송수신부(50) 및 전원부(60)가 배치됨과 동시에 사용자 몸체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패치(70)는 다양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고, 사용자 몸체 표면에 적절하게 접착될 수 있는 재질로서 피부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재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치(70)는 사용자 몸체 표면의 접착 부위의 면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구현될 수 있고, 사용자 몸체 표면의 접착 부위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치(70)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원형, 사각형, 직사각형, 마름모형, 십자형, 굽은 형 또는 알파벳 X자형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은 사용자 몸체의 일 부분에 부착되는 부착 면(15)을 구비하고, 상기 자극 제공부(20), 생체 신호 감지부(30), 신호 처리부(40), 신호 송수신부(50) 및 전원부(6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기판(10)의 일 면 또는 다른 면에 상기 자극 제공부(20), 생체 신호 감지부(30), 신호 처리부(40), 신호 송수신부(50) 및 전원부(60)가 배치된다. 상기 기판(10)은 비록 도 1에 따르면 판 형상을 띠고 있으나 다양한 형상, 재질, 크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은 PCB(Printed Circuit Board) 또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일 수 있다. 상기 기판(10)은 사용자 몸체 표면의 형상 또는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은 형상이 고정된 부동형 재질로 구현된 고정형 기판 또는 탄력성 재질로 구현된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10)은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이 사용자 몸체 표면의 비교적 작은 범위를 차지하는 부위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고정형 기판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자 몸체 표면의 비교적 넓은 범위를 차지하는 부위 또는 움직임에 따라 몸체 표면의 단면 변화가 큰 피부 표면 부위 또는 수분(예를 들어, 땀 등과 같은 체액)이 많이 분비되는 피부 표면 부위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탄력성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기판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렉서블 기판은 몸체 표면에 부착된 상태로 적절한 범위에서 형상 변형이 가능한 재질이면 어떤 재질이어도 무방하고, 예를 들어, 고무, 합성 수지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의 부착 면(15)은 사용자 몸체 표면의 일 부분이라면 어디에든 부착될 수 있지만, 사용자 몸체에 존재하는 경혈점 부위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혈점 부위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자극 제공부(20)에 의해 물리적 자극이 제공되는 부위 또는 생체 신호 감지부(30)에 의해 생체 신호가 감지되는 부위로서, 상기 물리적 자극 제공에 의해 상기 경혈점 부위의 혈류 순환이 활성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경혈점 부위의 체온, 혈류량, 박동수, 전자기적 신호 등이 손쉽게 확인될 수 있다. 상기 경혈점이란 사람의 인체에 질환이 발생했을 때 그 질환 발생 부위에 해당하는 경락 부위에서 일정한 병리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락 부위 중 병리 현상이 매우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인체의 특정 부위를 말한다(상기 경혈점은 혈자리, 공혈 또는 혈 등으로 명명되기도 함. 이하 동일한 기술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에서는 경혈점으로 통칭함). 상기 경혈점 부위는 한방 의학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일 예로서, 몸체의 등 부위에는 유혈이라는 경혈점 부위가 있는데, 상기 유혈이란 몸체 내부의 장기로 기가 들어가는 혈자리로서, 모든 유혈은 등의 방광경맥에 위치하고, 척추를 중심으로 두 줄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혈은 구체적으로, 폐장의 유혈로서 흉추 3-4번 사이에 위치하는 폐유, 심포의 유혈로서 흉추 4-5번 사이에 위치하는 궐음유, 심장의 유혈로서 흉추 5-6번 사이에 위치하는 심유, 간장의 유혈로서 흉추 6-7번 사이에 위치하는 간유, 담낭의 유혈로서 흉추 7-8번 사이에 위치하는 담유, 비장의 유혈로서 흉추 8-9번 사이에 위치하는 비유, 위장의 유혈로서 흉추 9-10번 사이에 위치하는 위유, 삼초의 유혈로서 요추 1-2번 사이에 위치하는 삼초유, 신장의 유혈로서 요추 2-3번 사이에 위치하는 신유, 대장의 유혈로서 요추 4-5번 사이에 위치하는 대장유, 소장의 유혈로서 선골 1-2번 사이에 위치하는 소장유, 및 방광의 유혈로서 선골 2-3번 사이에 위치하는 방광유가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몸체의 목 부위에는 목의 뒷 부분 중앙의 머리뼈에 위치하고 머리카락이 나기 시작하는 부위에서 약 3 cm 위에 위치한 오목한 부위를 풍부혈, 목의 뒷 부분 중앙의 머리뼈와 목이 만나는 부분에서 약 1 cm 아래에 위치한 오목한 부위, 즉 제1 경추와 제2 경추 사이로서 상기 풍부혈보다 약 2 cm 아래에 위치하는 부위를 아문혈, 상기 풍부혈의 좌우 방향으로 약 1.5 cm 정도 떨어진 부위를 풍지혈, 상기 아문혈의 좌우 방향으로 약 1.5 cm 정도 떨어지고, 뒷목을 지탱하는 승모근 바로 바깥 경계부에 위치하는 오목한 부위를 천주혈과 같은 경혈점 부위가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은 상기 예시된 경혈점 부위를 포함하여 다른 경혈점 부위에도 부착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상기 경혈점 부위는 질환이 발생하는 경우 즉각적으로 반응하여 여러 가지 병리 현상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고, 한의학 분야에서는 상기 병리 현상은 상기 경혈점 부위에 침 또는 뜸 등과 같은 물리적 자극을 일정 기간 동안 가하게 되면 유효한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자극 제공부(20)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이 사용자 몸체 표면의 일 부분에 부착된 경우 그 몸체 표면의 일 부분에 물리적 자극, 예를 들어 치료 목적의 물리적 자극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기판(10)의 부착 면(15)에 배치되고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2에 따르면, 상기 자극 제공부(20)는 반도체 전류 제공부(23)일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전류 제공부(23)는 상기 기판(10)의 부착 면(15)에 배치되고, P형 반도체 전극 및 N형 반도체 전극을 구비하는 1 이상의 반도체 소자(21) 및 상기 기판(10)의 부착 면(15)에 배치되되 상기 1 이상의 반도체 소자(21)의 일방 전극과 타방 전극 상호 간을 전기적으로 소통가능하게 연결하는 전기적 연결부(22)를 포함한다. 상기 반도체 소자(21) 및 전기적 연결부(22)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제조시 그 용도 및 제조의 편의를 위해 각각 별도의 구성 부재로 구현되거나 또는 일체형 부재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소자(21)는 P형 반도체 및 N형 반도체로 구성되고, 상기 P형 반도체 및 상기 N형 반도체는 서로 반대되는 전극으로 구현된다. 상기 P형 반도체는 순수한 반도체 물질, 예를 들어, 규소 등에 불순물, 예를 들어 알루미늄, 붕소, 갈륨, 인듐 등과 같은 3가 원소를 첨가하여 전하 캐리어(carrier)로서 정공(hole)이 증가된 반도체를 의미하고, 상기 N형 반도체는 순수한 반도체 물질, 예를 들어, 규소 등에 불순물, 예를 들어 인, 비소, 안티몬 등과 같은 5가 원소를 첨가하여 전하 캐리어(carrier)로서 자유전자가 증가된 반도체를 의미하며, 상기 P형 반도체 및 상기 N형 반도체를 제조하여 서로 반대되는 전극으로 구현하는 것은 공지된 기술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P형 반도체 전극 및 상기 N형 반도체 전극을 구비한 반도체 소자(21)는 DIP(Dual Inline Package)형 반도체 소자 또는 SMD(Surface Mounted Device)형 반도체 소자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반도체 소자(21)는 제너 타입(Zener type), SOT-323 타입 등일 수 있다. 상기 DIP(Dual Inline Package)는 이중 직렬 패키지라고도 명명되고, 내부 회로와 연결 도선이 양 옆에 두 줄로 수직하게 부착되는 반도체 칩 부품 유형 중 하나이다. 상기 SMD(Surface Mounted Device)는 표면 실장 부품이라고도 명명되고, 인쇄 기판의 표면에 실장하는 전자 부품의 총칭으로서 표면 실장 기술을 이용하여 인쇄 기판의 한 면 또는 양 면에 서로 다른 부품을 실장할 수 있으며, 기판에 탑재할 수 있는 부품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어서 고밀도 실장이 가능한 반도체 부품 유형 중 하나이다. 따라서, 상기 반도체 소자(21)는 초소형 및 초고밀도 집적이 가능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체 신호 감지부(30), 신호 처리부(40), 신호 송수신부(50) 및 전원부(60)와의 동시 구현을 위해 SMD형 반도체 소자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전기적 연결부(22)는 상기 반도체 소자(21)의 일방 전극과 타방 전극 상호 간을 전기적으로 소통가능하게 연결하는 부분이다. 상기 반도체 소자(21)의 일방 전극과 타방 전극은 예를 들어, P형 반도체 전극이 일방 전극이면 N형 반도체 전극이 타방 전극이고, N형 반도체 전극이 일방 전극이면 P형 반도체 전극이 타방 전극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기적 연결부(22)는 전기적으로 소통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재질이면 족하고, 예를 들어 은, 구리 등의 금속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기적 연결부(22)는 상기 반도체 소자(21)의 일방 전극과 타방 전극을 전기적으로 소통가능하게 연결하면 족하고, 상기 기판(10) 내에서 어떠한 배치로 연결되는지 또는 어떠한 형상으로 구현되는지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에 따르면, 상기 전기적 연결부(22)는 원형으로 구현되어 일방 전극 및 타방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용도 및 제조 편의를 위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전류 제공부(23)는 몸체 표면에서 생체 전류를 유도할 수 있다. 몸체는 미세한 생체 전류가 흐르는 일종의 전자기체이다. 특히, 몸체를 구성하는 세포는 세포막 등을 경계로 하여 상이한 농도의 이온 물질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양 경계를 기준으로 전위차가 발생하여 고유한 미세 전류가 흐르는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혈관을 통하여 흐르는 혈류량에 의해 상기 생체 전류가 발생할 수도 있고, 정상적인 혈액의 이동은 일정한 생체 전류량을 유지하도록 하지만, 몸체의 특정 부위에 질환이 발생하면 혈류량의 변화(증가 또는 감소)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경혈점 부위에서는 질환 발생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기 때문에 혈류량의 변화량, 특히 혈류량의 감소량이 급격하며, 이는 질환 발생 부위 및 이와 관련된 경혈점 부위에 비정상적인 생체 전류의 변화를 야기한다. 따라서, 한의학 분야에서는 이러한 질환 발생에 의한 혈류량의 변화를 인지하고, 상기 혈류량의 변화와 관계된 경혈점 부위를 침 또는 뜸 치료 등에 의해 자극하여 상기 질환을 치료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반도체 전류 제공부(23)는 몸체 표면의 일 부분에 부착되도록 구현되고, 상기 반도체 전류 제공부(23)가 상기 혈류량 변화 부위, 즉 경혈점 부위에 부착되면 상기 부착 부위의 미세한 생체 전류는 상기 반도체 소자(21)의 P형 반도체 전극 및 N형 반도체 전극에 자유전자 또는 정공의 비대칭 분포를 유도하여 전위차를 발생시켜 상기 전기적 연결부(22)를 통해 전류의 순환을 유도한다. 예를 들어, 비정상적인 혈류량의 감소에 따른 생체 전류의 미세한 감소는 상기 반도체 전류 제공부(23)의 전류 순환을 유도하고, 그에 따라 유도된 전류는 다시 몸체 표면의 미세한 생체 전류를 자극하여 비정상적인 생체 전류의 순환을 정상적인 생체 전류의 순환으로 유도하여 결과적으로 정상적인 혈류량의 순환으로 회복시킨다. 또한, 도 3에 따르면, 상기 반도체 전류 제공부(23)는 2 이상의 반도체 소자(211, 212, 21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a에 따르면, 상기 반도체 전류 제공부(23)는 2개의 반도체 소자(211, 212)를 포함하고, 도 3b에 따르면, 상기 반도체 전류 제공부(23)는 3개의 반도체 소자(211, 212, 213)를 포함한다. 도 3a에 따르면,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은 상기 반도체 전류 제공부(23)에 2개의 반도체 소자(211, 212)를 포함하되, 상기 2개의 반도체 소자(211, 212) 중 제1 반도체 소자(211)는 상기 기판(10)의 부착 면(15) 중 제1 위치(111)에 부착되고, 상기 2개의 반도체 소자(211, 212) 중 제2 반도체 소자(212)는 상기 제1 반도체 소자(211)와 이격 배치되되 상기 기판(10)의 부착 면(15) 중 제2 위치(112)에 부착되고, 상기 제1 반도체 소자(211)의 일방 전극은 상기 제2 반도체 소자(212)의 타방 전극과 2 이상의 전기적 연결부(221, 222)를 통해 전기적으로 소통가능하게 연결되고, 도 3b에 따르면,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은 상기 반도체 전류 제공부(23)에 3개의 반도체 소자(211, 212, 213)를 포함하되, 상기 3개의 반도체 소자(211, 212, 213) 중 제1 반도체 소자(211)는 상기 기판(10)의 부착 면(15) 중 제1 위치(111)에 부착되고, 상기 3개의 반도체 소자(211, 212, 213) 중 제2 반도체 소자(212)는 상기 제1 반도체 소자(211)와 이격 배치되되 상기 기판(10)의 부착 면(15) 중 제2 위치(112)에 부착되고, 상기 3개의 반도체 소자(211, 212, 213) 중 제3 반도체 소자(213)는 상기 제2 반도체 소자(212)와 이격 배치되되 상기 기판(10)의 부착 면(15) 중 제3 위치(113)에 부착되고, 상기 제1 반도체 소자(211)의 일방 전극은 상기 제2 반도체 소자(212)의 타방 전극과 2 이상의 전기적 연결부(221, 222)를 통해 전기적으로 소통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반도체 소자(212)의 일방 전극은 상기 제3 반도체 소자(213)의 타방 전극과 2 이상의 전기적 연결부(223, 224)를 통해 전기적으로 소통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기판(10)의 부착면(15) 중 제1 위치(111) 및 제2 위치(112)(또는 제3 위치(113) 포함)는 몸체에 존재하는 2 이상의 경혈점 부위 중 제1 경혈점 부위와 제2 경혈점 부위(또는 제3 경혈점 부위 포함)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따르면,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은 다양한 형상 또는 크기로 구현되어 몸체 표면의 2 이상의 다양한 부위를 연결하도록 부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피부 표면, 특히 피부 표면에 존재하는 2 이상의 경혈점 부위를 연결하도록 부착됨으로써 사용자는 생체 전류 유도 및/또는 다양한 치료적인 자극 제공에 의해 원하는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극 제공부(20)는 상기 반도체 전류 제공부(23) 이외에도 다양한 물리적 자극을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극 제공부(20)는 표면 압력 발생기, 열 발생기, 미세전류 발생기, 저주파 펄스 발생기, 원적외선 발생기, 레이저 발생기, 밀리미터파 발생기, 음이온 발생기 및 자력 발생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용도 및 필요에 따라 소형 또는 박막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자극 제공부(20)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은 한의학 분야의 고전적 치료 방법 중 하나인 침 또는 뜸과 동일한 효과를 구현해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면 압력 발생기는 침을 대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다양한 형상의 압봉에 의한 피부 지압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 발생기, 미세전류 발생기, 저주파 펄스 발생기, 원적외선 발생기, 레이저 발생기, 밀리미터파 발생기 또는 음이온 발생기는 뜸을 대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저항선을 포함하는 히터 및 반도체 온도센서, 예를 들어 AD90과 같은 부품 등에 의해 체온 대비 약 2 ℃ 이상의 가열 뜸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기력 제공부는 자력 치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자석을 이용한 치료는 N극과 S극으로 구성된 자석을 이용하는 치료법으로서, 종래부터 잘 알려져 있다. 이는 눈에 보이지 않는 자력선이 N극에서 나와 S극으로 끊임없이 유동하면서 N극에서 방출되는 자력선이 인체 내의 생체 전류 및 혈액 중의 헤모글로빈에 작용하여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자석 치료법에 사용되는 실시예들은 다양하다. 예를 들어, 파스의 접착면에 몸체와 접촉가능한 소형 자석을 부착한 형태의 자석 파스, 자석이 함몰 구성되어 있는 팔찌, 목걸이 등이 있다. 상기 자석 파스의 경우 주로 섬유 등으로 구성되는 밴드의 이면에 인체에 무해한 접착층 또는 파스(PAS, Para-Amino-Saycylic Acid) 층을 형성하고, 이의 중앙으로 소형 자석을 접착한 구성으로 되어져 있어 인체의 원하는 부위에 용이하게 접착시켜 자기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자극 제공부(20)는 상기 기판(10)의 부착 면(15)에 배치되는 패턴 또는 크기에 따라 다양한 위치 또는 크기로 2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반도체 전류 제공부(23)는 상기 기판(10)의 부착 면(15)에 원형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반도체 전류 제공부(23)를 경계로 하여 원형 경계 내부에 공간이 생기며, 상기 공간 내부에 상기 반도체 전류 제공부(23)를 제외한 나머지 자극 제공부, 예를 들어 상기 원형 경계 내부의 공간에 압봉 또는 (히터 및 반도체형 온도센서로 구현된) 열 발생기가 배치되면 사용자는 상기 반도체 전류 제공부(23)에 의한 생체 전류 유도 효과뿐만 아니라 상기 원형 경계 내부의 공간에 배치된 압봉 또는 열 발생기에 의해 지압 또는 뜸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그 결과 사용자의 경혈점 부위와 관련된 질환을 더욱 용이하게 치료할 수 있다. 상기 자극 제공부(20)는 이하 상세하게 설명될 신호 처리부(40) 및 신호 송수신부(50)에 의해 자극 제공 여부 및 자극 제공 정도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생체 신호 감지부(30)는 사용자 몸체 표면의 일 부분으로부터 발생하는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기판(10)의 부착 면(15)에 배치된다. 상기 생체 신호 감지부(30)는 사용자 몸체 표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생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바람직하게는 열 신호, 혈류량 신호, 박동수 신호, 및 전자기적 신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상기 생체 신호 감지부(30)는 열 감지 센서, 진동 감지 센서, 유체 감지 센서, 전자기 감지 센서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 감지 센서는 약 1 ℃ 이내 범위에서 체온 변화를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진동 감지 센서는 인체의 맥박 진동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부(40)는 상기 자극 제공부(20)에 자극 제공 신호를 제공하거나 및/또는 상기 생체 신호 감지부(30)에 의해 측정된 아날로그 생체 신호를 디지털 생체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신호 처리부(40)는 상기 자극 제공부(20)가 몸체 표면의 일 부분에 부착되어 있을 때, 외부로부터 수신된 자극 제공 신호를 상기 자극 제공부(20)에 제공 또는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몸체 표면의 일 부분에 물리적 자극을 가하게 하거나 제어하고, 및/또는 상기 생체 신호 감지부(30)가 몸체 표면의 일 부분에 부착되어 있을 때, 상기 생체 신호 감지부(30)에 의해 측정된 아날로그 형식의 생체 신호를 연산 처리 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신호 처리부(40)는 상기 자극 제공부(20) 및 상기 생체 신호 감지부(30)와 구동가능하게 배치, 즉 전기적 신호 교환이 가능하도록 연결 배치된다.
상기 신호 송수신부(50)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내외부 간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신호 송수신부(50)는 상기 신호 처리부(40)와 구동가능하게 배치, 즉 전기적 신호 교환이 가능하도록 연결 배치된다. 상기 신호 송수신부(50)는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자극 제공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 처리부(40)에 전달하고 뒤이어 상기 자극 제공부(20)에 전달하거나, 및/또는 상기 생체 신호 감지부(30)에서 아날로그 형식으로 측정되어 뒤이어 상기 신호 처리부(40)에서 디지털 형식으로 전환된 생체 신호를 외부에 무선으로 송신한다. 상기 신호 송수신부(50)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내외부 간, 예를 들어,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과 이하 상세하게 설명될 휴대용 신호 제어기(80) 또는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90, 95) 간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신호 송수신부(50)는 약 10 내지 20 미터(m) 범위 내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한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 기반의 소형 및 저전력을 특징으로 하는 RF(radio frequency) 안테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60)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이 작동하는데 요구되는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자극 제공부(20), 생체 신호 감지부(30), 상기 신호 처리부(40) 및 상기 신호 송수신부(50)가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에 상기 반도체 전류 제공부(23)가 적용된 경우 상기 전원부(60)는 몸체 표면에서 발생하는 생체 전류와 함께 상기 반도체 전류 제공부(23)에 대한 추가 전력 공급원이 될 수 있고, 상기 생체 전류에 의한 전력 공급과는 별도로 상기 반도체 전류 제공부(23)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반도체 전류 제공부(200)의 생체 전류 유도를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에 상기 표면 압력 발생기, 열 발생기, 미세전류 발생기, 저주파 펄스 발생기, 원적외선 발생기, 레이저 발생기, 밀리미터파 발생기, 음이온 발생기 및 자력 발생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적용된 경우 상기 전원부(60)는 상기 자극 제공부(20)에 전기적 구동력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부(60)는 자체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독립 전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아서 전력을 공급하는 유도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60)가 독립 전원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독립 전원은 이미 축전된 전하량이 유지되는 동안 전력 공급원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전원부(60)가 유도 전원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유도 전원은 축전된 전하량이 모두 소실되더라도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지속적으로 전력 공급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독립 전원은 일반적인 전지일 수 있고, 상기 유도 전원은 무선 충전이 가능한 소자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도 기전력에 의해 충전이 가능한 자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 전원은 예를 들어, 약 2 와트(w) 이하 및 약 860 내지 960 메가헤르쯔(Mhz) 범위 내에서 전력을 공급 및/또는 유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의료 장치(2)에 관한 것이다.
도 5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통신 의료 장치(2)는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 및 휴대용 신호 제어기(8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은 상기 도 1 내지 4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사용자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자극 제공 기능과 생체 신호 감지 기능을 상기 휴대용 신호 제어기(80)를 통해 근거리, 예를 들어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을 중심으로 약 10 내지 20 미터(m) 이내에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신호 제어기(80)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과 양방향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것으로서,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과는 독립적으로 구현된다. 상기 휴대용 신호 제어기(80)는 자극 제공 신호(51)를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신호 송수신부(50)에 무선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디지털 생체 신호(52)를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신호 송수신부(50)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하도록 구현된다. 상기 휴대용 신호 제어기(80)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이 사용자의 몸체 표면의 일 부분에 부착되어 있을 때, 사용자의 자극 제공 지시 또는 자극 제어 지시에 따른 상기 자극 제공 신호(51)를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신호 송수신부(50)에 무선으로 송신하여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자극 제공부(20)를 작동시켜 물리적 자극을 제공 또는 제어하게 하고, 및/또는 사용자 몸체 표면의 일 부분으로부터 발생되어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생체 신호 감지부(30)에 의해 아날로그 방식으로 측정되고, 상기 신호 처리부(40)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변환된 생체 신호(52)를 상기 신호 송수신부(50)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신호 제어기(80)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과 상기 자극 제공 신호(51) 및/또는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52)의 양방향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인터페이스 수단,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신호 제어기(80)는 약 10 내지 20 미터(m) 범위 내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한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 기반의 소형 및 저전력을 특징으로 하는 RF(radio frequency) 안테나 등을 포함하고, 상기 자극 제공 신호(51)를 지시하기 위한 입력 수단,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52)를 연산 처리하기 위한 제어 수단, 및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52)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신호 제어기(80)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신호 송신부(50)에 상기 자극 제공 신호(51)를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명령하는 자극 지시 입력부(81), 및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신호 송신부(50)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된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52)를 표시하는 생체 신호 출력부(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극 지시 입력부(81) 및 상기 생체 신호 출력부(82)는 상기 설명된 기능 이외에도 사용자 편의를 위한 정보 교환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8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신호 제어기(80)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신호 송수신부(50)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된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52)를 분석하여 상기 분석 결과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생체 신호 분석부(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생체 신호 분석부(84)에서 분석된 의료 정보를 상기 자극 지시 입력부(81)를 통해 가공 처리할 수 있고, 상기 가공 처리된 정보는 상기 생체 신호 출력부(82)를 통해 다양하게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자극 지시기 입력부(81) 및 상기 생체 신호 출력부(82)는 필요에 따라 하나의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7에 따르면,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은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유도 전원(60)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신호 제어기(80)는 상기 유도 전원(60)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 전력 공급원(8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휴대용 신호 제어기(80)의 조작을 통해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전원이 전부 소모된 경우 전력을 재공급하거나 및/또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전원이 일부 소모된 경우 전력을 추가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휴대용 신호 제어기(80)는 상기 무선 전력 공급원(83)에 내장된 자체 전원을 통해 자체 전력을 공급하거나 및/또는 내장된 충전 포트를 통해 외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공급원(83)은 예를 들어, 약 2 와트(w) 이하 및 약 860 내지 960 메가헤르쯔(Mhz) 범위 내에서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유도 전원에 유도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신호 제어기(80)는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50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자극 지시 입력부(81)는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500)의 키패드로 대체될 수 있고, 상기 생체 신호 출력부(82)는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500)의 표시부로 대체될 수 있고, 상기 생체 신호 분석부(84)는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500)에 내장된 연산 처리 장치로 대체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전력 공급원(83)은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500)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10 내지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통신 의료 장치(3)에 관한 것이다.
도 10에 따르면, 상기 원거리 통신 의료 장치(3)는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 및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9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은 상기 도 1 내지 4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사용자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자극 제공 기능과 생체 신호 감지 기능을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500)로부터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90)를 경유하여 원거리, 예를 들어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을 중심으로 무선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90)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500)와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 간 각각 양방향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것으로서,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과는 독립적으로 구현된다.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90)는 상기 자극 제공 신호(51)를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신호 송수신부(50)에 무선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신호 송수신부(50)로부터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52)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500)로부터 상기 자극 제공 신호(51)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500)에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52)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이 사용자의 몸체 표면의 일 부분에 부착되어 있을 때,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90)는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500)의 자극 제공 지시에 따른 상기 자극 제공 신호(51)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신호 송수신부(50)에 무선으로 송신하여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자극 제공부(20)를 작동시켜 물리적 자극을 제공 또는 제어하게 하고, 및/또는 사용자의 몸체 표면의 일 부분으로부터 발생되어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생체 신호 감지부(30)에 의해 아날로그 방식으로 측정되고, 상기 신호 처리부(40)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변환된 생체 신호(52)를 상기 신호 송수신부(50)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500)에 무선으로 송신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도 11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90)는 상기 자극 제공 신호(51)를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500)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하면 직접(directly)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신호 송수신부(50)에 무선으로 송신하고,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52)를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신호 송수신부(50)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하면 직접(directly)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500)에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90)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예를 들어 착용 또는 소지하고 있는 의류, 지갑, 가방 등에 위치하거나 또는 생활 업무 공간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소지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500)를 통해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90)는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500) 및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과 상기 자극 제공 신호(51) 및/또는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52)의 각각 양방향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인터페이스 수단, 예를 들어, 약 10 내지 20 미터(m) 범위 내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한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 기반의 소형 및 저전력을 특징으로 하는 RF(radio frequency) 안테나 및 원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 소형 및 저전력을 특징으로 하는 RF(radio frequency) 안테나 등을 포함하고, 상기 자극 제공 신호(51)를 지시하기 위한 입력 수단,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52)를 연산 처리하기 위한 제어 수단, 및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52)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90)는 상기 자극 제공 신호(51)를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신호 송수신부(50)에 무선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신호 송수신부(50)로부터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52)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500)로부터 상기 자극 제공 신호(51)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500)에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52)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상태를 표시하는 출력부(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92)는 상기 설명된 기능 이외에도 사용자 편의를 위한 정보 교환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90)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신호 송수신부(50)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된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52)를 분석하여 상기 분석 결과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생체 신호 분석부(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생체 신호 분석부에서 분석된 의료 정보를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500)을 통해 가공 처리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9에 따르면,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전원부(60)는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유도 전원(60)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90)는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500)로부터 전원 공급 신호(53)를 수신하면 상기 유도 전원(60)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 전력 공급원(9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500)의 조작을 통해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전원이 전부 소모된 경우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에 전력을 재공급하거나 및/또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전원이 일부 소모된 경우 전력을 추가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90)는 상기 무선 전력 공급원(93)에 내장된 자체 전원을 통해 자체 전력을 공급하거나 및/또는 내장된 충전 포트를 통해 외부 전력을 공급하거나 및/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500)로부터 무선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유도 전원(60) 및 상기 무선 전력 공급원(93)은 예를 들어, 약 2 와트(w) 이하 및 약 860 내지 960 메가헤르쯔(Mhz) 범위 내에서 전력 공급받거나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90)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에 의해 위치 추적이 가능한 LBS(Location Based Service) 구현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항시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을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90)를 소지하고 있다면, 의료 기관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수시로 모니터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즉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14 내지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통신 의료 장치(4)에 관한 것이다.
도 14에 따르면, 상기 원거리 통신 의료 장치(4)는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 및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95)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은 상기 도 1 내지 4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의료 기관은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자극 제공 기능과 생체 신호 감지 기능을 상기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700)로부터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95)를 경유하여 원거리, 예를 들어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을 중심으로 무선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95)는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700)와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 간 각각 양방향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것으로서,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과는 독립적으로 구현된다.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95)는 상기 자극 제공 신호(51)를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신호 송수신부(50)에 무선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신호 송수신부(50)로부터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52)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700)로부터 상기 자극 제공 신호(51)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700)에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52)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이 사용자의 몸체 표면의 일 부분에 부착되어 있을 때,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95)는 상기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700)의 자극 제공 지시에 따른 상기 자극 제공 신호(51)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신호 송수신부(50)에 무선으로 송신하여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자극 제공부(20)를 작동시켜 사용자 몸체 표면의 일 부분에 물리적 자극을 제공 또는 제어하게 하고, 및/또는 사용자의 몸체 표면의 일 부분으로부터 발생되어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생체 신호 감지부(30)에 의해 아날로그 방식으로 측정되고, 상기 신호 처리부(40)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변환된 생체 신호(52)를 상기 신호 송수신부(50)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하고, 상기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700)에 무선으로 송신하여 상기 의료 기관에 전달하게 한다. 도 15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95)는 상기 자극 제공 신호(51)를 상기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700)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하면 직접(directly)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신호 송수신부(50)에 무선으로 송신하고,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52)를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신호 송수신부(50)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하면 직접(directly) 상기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700)에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 기관은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95)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700)를 통해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90)는 상기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700) 및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과 상기 자극 제공 신호(51) 및/또는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52)의 각각 양방향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인터페이스 수단, 예를 들어, 약 10 내지 20 미터(m) 범위 내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한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 기반의 소형 및 저전력을 특징으로 하는 RF(radio frequency) 안테나 및 원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 소형 및 저전력을 특징으로 하는 RF(radio frequency) 안테나 등을 포함하고, 상기 자극 제공 신호(51)를 지시하기 위한 입력 수단,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52)를 연산 처리하기 위한 제어 수단, 및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52)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95)는 상기 자극 제공 신호(51)를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신호 송수신부(50)에 무선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신호 송수신부(50)로부터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52)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700)로부터 상기 자극 제공 신호(51)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700)에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52)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상태를 표시하는 출력부(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96)는 상기 설명된 기능 이외에도 사용자 편의를 위한 정보 교환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95)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신호 송수신부(50)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된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52)를 분석하여 상기 분석 결과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생체 신호 분석부(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의료 기관은 상기 생체 신호 분석부에서 분석된 의료 정보를 상기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700)를 통해 가공 처리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도 17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95)는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50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90)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에 의해 위치 추적이 가능한 LBS(Location Based Service) 구현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항시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을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90)를 소지하고 있다면, 의료 기관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수시로 모니터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즉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의료 시스템(5)에 관한 것이다.
도 18에 따르면, 상기 원격 의료 시스템(5)은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신호 송수신부(5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생체 신호(52)를 휴대용 단말기(500) 또는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700)에 송신하거나, 및/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500) 또는 상기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70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자극 제공 신호(51)를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의 신호 송수신부(50)에 송신하는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90, 95)에 의해,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과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500) 간,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과 상기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700) 간, 또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과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500) 및 상기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700) 간 양 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 및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90, 95)를 통한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과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500) 간, 및/또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과 상기 의료 기관의 원격 의료 서버 간 양 방향 무선 통신 제어 방식은 상기 도 1 내지 17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상기 원격 의료 시스템(5)에 따르면,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을 몸체 표면의 일 부분에 부착시키고,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90, 95)를 소지하고 있는 환자는 다양한 의료 서비스를 쉽고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은 실시예들이 가능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만을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자극 제공부(20)를 통해 물리적 자극을 제공받아 지속적인 치료 효과를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환자는 상기 자극 제공부(20)에 의해 생체 유도 전류 치료, 압봉 치료, 자기력 치료 등을 지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을 상기 환자의 몸체 표면의 일 부분에 부착하고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90, 95)를 소지한 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90, 95)를 스스로 제어함으로써 생체 신호를 측정 및/또는 분석하는 자가 진단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자가 진단 결과 및 그에 따른 의료 프로토콜에 따라 물리적 자극을 제공하는 자가 치료가 가능하다.
또한, 제3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을 상기 환자의 몸체 표면의 일 부분에 부착하고,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90, 95)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500)를 소지한 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500)를 스스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자가 진단 및 자가 치료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생체 신호 측정 결과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500)를 통해 상기 의료 기관의 원격 의료 서버(700)에 전송하여 의료 전문가의 적절한 진단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 전문가는 적절한 처방을 직접(directly)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에 전송하여 상기 환자를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가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을 상기 환자의 몸체 표면의 일 부분에 부착하고,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90, 95)를 소지한 상태에서 의료 전문가는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90, 95)를 통해 직접(directly) 상기 환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 및/또는 분석하고, 적절한 처방을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에 전송하여 상기 환자를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제5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가 항시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1)을 상기 환자의 몸체 표면의 일 부분에 부착하고,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90, 95)를 소지한 상태에서 상기 환자의 건강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환자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할 경우 상기 환자의 건강 상태를 즉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치 추적이 가능하여 상기 환자에게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Claims (24)

  1. 몸체 표면의 일 부분에 부착되는 부착 면을 구비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부착 면에 배치되고 몸체 표면의 일 부분에 물리적 자극을 제공하는 자극 제공부;
    상기 기판의 부착 면에 배치되고 몸체 표면의 일 부분으로부터 발생하는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생체 신호 감지부;
    상기 자극 제공부 및 생체 신호 감지부와 구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자극 제공부에 자극 제공 신호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생체 신호 감지부로부터 측정된 아날로그 생체 신호를 디지털 생체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처리부와 구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자극 제공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를 외부에 무선으로 송신하는 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자극 제공부, 생체 신호 감지부, 상기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신호 송수신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는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고정형 기판 또는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PCB(Printed Circuit Board) 또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부착 면은 몸체에 존재하는 경혈점 부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제공부는 상기 기판의 부착 면에 배치되고, P형 반도체 전극 및 N형 반도체 전극을 구비하는 1 이상의 반도체 소자, 및 상기 기판의 부착 면에 배치되되 상기 1 이상의 반도체 소자의 일방 전극과 타방 전극 상호 간을 전기적으로 소통가능하게 연결하는 전기적 연결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전류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소자는 SMD(Surface Mounted Device)형 반도체 소자 또는 DIP(Dual Inline Package)형 반도체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전류 제공부는 2 이상의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2 이상의 반도체 소자 중 제1 반도체 소자는 상기 기판의 부착 면 중 제1 위치에 부착되고, 상기 2 이상의 반도체 소자 중 제2 반도체 소자는 상기 제1 반도체 소자와 이격 배치되되 상기 기판의 부착 면 중 제2 위치에 부착되고, 상기 제1 반도체 소자의 일방 전극은 상기 제2 반도체 소자의 타방 전극과 2 이상의 전기적 연결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소통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부착면 중 제1 위치 및 제2 위치는 몸체의 표면에 존재하는 2 이상의 경혈점 부위 중 제1 경혈점 부위와 제2 경혈점 부위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제공부는 표면 압력 발생기, 열 발생기, 미세전류 발생기, 저주파 펄스 발생기, 원적외선 발생기, 레이저 발생기, 밀리미터파 발생기, 음이온 발생기 및 자기력 발생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신호 감지부는 몸체 표면의 일 부분으로부터 발생하는 열 신호, 혈류량 신호, 박동수 신호, 및 전자기적 신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및
    상기 자극 제공 신호를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수신부에 무선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를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수신부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하는 휴대용 신호 제어기;
    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 의료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신호 제어기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신부에 상기 자극 제공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명령하는 자극 지시 입력부, 및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신부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된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를 표시하는 생체 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 의료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전원부는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유도 전원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신호 제어기는 상기 유도 전원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 전력 공급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 의료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신호 제어기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수신부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된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분석 결과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생체 신호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 의료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신호 제어기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 의료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및
    상기 자극 제공 신호를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수신부에 무선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자극 제공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
    를 포함하는 원거리 통신 의료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는 상기 자극 제공 신호를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하면 직접(directly)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수신부에 무선으로 송신하고,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를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수신부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하면 직접(directly)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무선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 통신 의료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는 상기 자극 제공 신호를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수신부에 무선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자극 제공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상태를 표시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 통신 의료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전원부는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유도 전원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원 공급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유도 전원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 전력 공급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 통신 의료 장치.
  20.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및
    상기 자극 제공 신호를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수신부에 무선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로부터 상기 자극 제공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에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
    를 포함하는 원거리 통신 의료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는 상기 자극 제공 신호를 상기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하면 직접(directly)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수신부에 무선으로 송신하고,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를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수신부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하면 직접(directly) 상기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에 무선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 통신 의료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는 상기 자극 제공 신호를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수신부에 무선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로부터 상기 자극 제공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에 상기 디지털 생체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상태를 표시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 통신 의료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 통신 의료 장치.
  24.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생체 신호를 휴대용 단말기 또는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에 송신하거나, 및/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또는 상기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자극 제공 신호를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의 신호 송수신부에 송신하는 휴대용 신호 중계 제어기에 의해,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과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 간,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과 상기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 간, 또는 상기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과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의료 기관의 원격 진료 서버 간 양 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원격 의료 시스템.
KR1020110008959A 2011-01-28 2011-01-28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이를 포함하는 통신 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의료 시스템 KR101248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959A KR101248190B1 (ko) 2011-01-28 2011-01-28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이를 포함하는 통신 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의료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959A KR101248190B1 (ko) 2011-01-28 2011-01-28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이를 포함하는 통신 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의료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633A true KR20120087633A (ko) 2012-08-07
KR101248190B1 KR101248190B1 (ko) 2013-03-27

Family

ID=46873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959A KR101248190B1 (ko) 2011-01-28 2011-01-28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이를 포함하는 통신 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의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190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766B1 (ko) * 2012-04-25 2014-01-14 전형태 척주 측만 무선 교정 보조기
WO2016105154A1 (ko) * 2014-12-24 2016-06-30 주식회사 파이오메드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
KR20160096055A (ko) * 2016-07-28 2016-08-12 이태규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WO2016144021A1 (ko) * 2015-03-11 2016-09-15 주식회사 파이오메드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KR20160121153A (ko) * 2015-04-10 2016-10-19 (주)신생활화장품 적외선 조사 장치 및 적외선 조사 방법
KR20160121155A (ko) * 2015-04-10 2016-10-19 (주)신생활화장품 적외선 조사 장치
KR20160143381A (ko) * 2015-06-05 2016-12-14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의료용 진단 패치
KR20170000590A (ko) 2015-06-24 2017-01-03 주식회사 창림 체온 알림장치 및 그 방법
WO2017023035A1 (ko) * 2015-07-31 2017-02-09 재단법인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안테나가 구비된 복합패치전극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58961A (ko) * 2017-11-22 2019-05-30 주식회사 와이에이치에이 생체 신호 감지 및 치료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의류
WO2019164028A1 (ko) * 2018-02-21 2019-08-29 박지만 사물인터넷 패치형 센서장치 그리고 이것을 이용한 센싱정보 모니터링시스템과 센싱정보 모니터링방법
US11738191B2 (en) 2017-12-12 2023-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dical devic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547B1 (ko) 2013-05-13 2014-08-11 주식회사 웨이전스 우울증 치료, 스트레스 해소 및 집중력 향상을 위한 헤드 셋
KR101942049B1 (ko) * 2016-03-29 2019-04-12 한국과학기술원 피에이치(pH) 센서, 무선전력전송 및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한 창상 감염 모니터링용 스마트드레싱 및 스마트드레싱 시스템
KR101752619B1 (ko) * 2017-02-01 2017-06-29 신동성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69204B1 (ko) 2017-10-23 2022-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진동자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588072B1 (ko) 2018-08-27 2023-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솔 제조 방법
KR102514651B1 (ko) 2018-08-27 2023-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솔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KR102604085B1 (ko) 2018-12-12 2023-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신발형 장치 및 신발형 장치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2632B1 (ko) * 1993-10-12 1999-01-15 유태우 전자 온열구
KR100509887B1 (ko) * 2003-02-05 2005-08-25 주식회사 헬스피아 경혈점 자극 치료 시스템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766B1 (ko) * 2012-04-25 2014-01-14 전형태 척주 측만 무선 교정 보조기
WO2016105154A1 (ko) * 2014-12-24 2016-06-30 주식회사 파이오메드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
WO2016144021A1 (ko) * 2015-03-11 2016-09-15 주식회사 파이오메드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KR20160121155A (ko) * 2015-04-10 2016-10-19 (주)신생활화장품 적외선 조사 장치
KR20160121153A (ko) * 2015-04-10 2016-10-19 (주)신생활화장품 적외선 조사 장치 및 적외선 조사 방법
KR20160143381A (ko) * 2015-06-05 2016-12-14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의료용 진단 패치
KR20170000590A (ko) 2015-06-24 2017-01-03 주식회사 창림 체온 알림장치 및 그 방법
WO2017023035A1 (ko) * 2015-07-31 2017-02-09 재단법인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안테나가 구비된 복합패치전극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96055A (ko) * 2016-07-28 2016-08-12 이태규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58961A (ko) * 2017-11-22 2019-05-30 주식회사 와이에이치에이 생체 신호 감지 및 치료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의류
US11738191B2 (en) 2017-12-12 2023-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dical devic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WO2019164028A1 (ko) * 2018-02-21 2019-08-29 박지만 사물인터넷 패치형 센서장치 그리고 이것을 이용한 센싱정보 모니터링시스템과 센싱정보 모니터링방법
KR20190100749A (ko) * 2018-02-21 2019-08-29 박지만 사물인터넷 패치형 센서장치 그리고 이것을 이용한 센싱정보 모니터링시스템과 센싱정보 모니터링방법
US11957430B2 (en) 2018-02-21 2024-04-16 Ji Man PARK Internet-of-Things patch-type sensor device and sensing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and sensing information monitoring method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8190B1 (ko) 2013-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8190B1 (ko)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이를 포함하는 통신 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의료 시스템
US10993661B1 (en) Wireless charging of a wrist-mounted sensor platform
US11724106B2 (en) Systems and apparatus for gait modulation and methods of use
CN105307719B (zh) 局部神经刺激仪
US20170113059A1 (en) Wrist worn sensor
US10799706B2 (en) Garment for positioning midfield transmitter relative to implanted receiver
KR102166290B1 (ko) 스마트 웨어러블 미세전류 치료기
US20200139106A1 (en) Wireless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US20200179691A1 (en) Wireless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CN212730713U (zh) 提供电子脉冲的可穿戴设备
KR101551550B1 (ko) 스마트 전열식 뜸 시술 장치
KR20160072709A (ko) 맞춤형 건강정보 제공기능을 갖는 스마트기기용 웨어러블 모듈
KR20200063532A (ko) 저주파 근육자극장치
KR20190008005A (ko) 저주파 자극 운동기기
TWM517619U (zh) 可刺激穴位之穿戴裝置
CN110124195A (zh) 中低频治疗仪的主机装置
US20220379133A1 (en) Treatment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KR20170022378A (ko) 맞춤형 건강정보 제공기능을 갖는 스마트기기용 웨어러블 모듈
KR20120071978A (ko) 반도체를 포함하는 인체 부착 패치형 자극 장치
CA3163727A1 (en) Wireless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