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766B1 - 척주 측만 무선 교정 보조기 - Google Patents

척주 측만 무선 교정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766B1
KR101351766B1 KR1020120042965A KR20120042965A KR101351766B1 KR 101351766 B1 KR101351766 B1 KR 101351766B1 KR 1020120042965 A KR1020120042965 A KR 1020120042965A KR 20120042965 A KR20120042965 A KR 20120042965A KR 101351766 B1 KR101351766 B1 KR 101351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gnetic field
treatment
spinal column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0021A (ko
Inventor
전형태
Original Assignee
전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형태 filed Critical 전형태
Priority to KR1020120042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766B1/ko
Publication of KR20130120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4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for correcting spinal deformities, e.g. scoli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02Using electric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4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주 측만 무선 교정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에 송신부를 구비하고 신체에 부착하는 신체부착 치료부에 수신부를 구비하여 경추, 흉추, 요추, 골반 등에 저주파, 미세전류, 고주파 등의 전류 및 자기장 등의 전자기 에너지와, 초음파와 같은 음향 에너지를 제공함으로써, 척추 개개의 관절과 척추 관절면을 이어주는 인대와 척추 관절을 움직여주는 근육의 기능을 조절하고, 흉곽 내부와 복강 내의 내장기 또는 척주의 비정상적인 변형을 유발하는 구조물 등을 교정 또는 소실시킬 수 있으며, 콜셋 교정기와 같은 보존요법이나 침습적인 방법에 비해 환자에게 시간적, 비용적, 심리적인 측면에서 유리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휴대성을 극대화하고 무선화하여 환자가 일상생활을 영위하면서 치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척주 측만 무선 교정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제너레이터(generator) 부, 상기 전기에너지를 고주파, 초음파를 포함한 전파로 변환시키는 변환부, 상기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전파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전파와 동류 자기장의 신호를 수신하여 신체 부착 부위에 직접 작용하도록 신체에 부착되는 신체부착 치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주 측만 무선 교정 보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척주 측만 무선 교정 보조기{Wireless device for rectifying and curing scoliosis}
본 발명은 척주 측만 무선 교정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에 송신부를 구비하고 신체에 부착하는 신체부착 치료부에 수신부를 구비하여 경추, 흉추, 요추, 골반 등에 저주파, 미세전류, 고주파 등의 전류 및 자기장 등의 전자기 에너지와, 초음파와 같은 음향 에너지를 제공함으로써, 척추 개개의 관절과 척추 관절면을 이어주는 인대와 척추 관절을 움직여주는 근육의 기능을 조절하고, 흉곽 내부와 복강 내의 내장기 또는 척주의 비정상적인 변형을 유발하는 구조물 등을 교정 또는 소실시킬 수 있으며, 콜셋 교정기와 같은 보존요법이나 침습적인 방법에 비해 환자에게 시간적, 비용적, 심리적인 측면에서 유리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휴대성을 극대화하고 무선화하여 환자가 일상생활을 영위하면서 치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척주 측만 무선 교정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정상적인 척추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일직선이며, 옆에서 보았을 때 경추와 요추는 전만곡되고 흉추와 천추부는 후만곡 되어 있다. 척주 측만증은 척추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옆으로 휜 것을 지칭하나, 실제로는 단순한 2차원적인 기형이 아니라 추체 자체의 회전변형과 동반되어 옆에서 보았을 때도 정상적인 만곡 상태가 아닌 3차원적인 기형 상태를 의미한다.
척주 측만증(척추 측만증)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대부분의 척주 측만증은 그 원인을 알 수 없으며, 이러한 경우를 특발성 척주 측만증이라 한다. 태아 시기에 척추 생성 과정에서 이상이 생겨 발생한 척주 측만증은 선천성 척주 측만증이라 하고, 이 외에 중추 신경계나 신경학적 이상으로 발생하는 신경 근육성 척주 측만증, 신경 섬유종에 의한 척주 측만증과 마르팡(Marfan) 증후군 등 여러 증후군에 동반된 척주 측만증이 있다.
이러한 척주 측만증의 치료를 위해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것은 신체에 직접 착용하는 보정기 정도가 전부이며, 이렇다 할 치료법이 없는 실정이다.
보정기는 보존요법이라 하여 콜셋 형식으로 신체에 착용하는 것인데, 실질적인 교정효과는 기대하기 힘들고 착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특수 제작에 의해 고가인 관계로 적용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수술요법과 같은 침습적인 방법의 하나로 척주에 특수봉을 끼우는 방식은 척주의 휘어짐 각도가 20 ~ 30도로 내부 장기에 심각한 위험이 예상될 때 어쩔 수 없이 적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침습적인 방법은 환자, 특히 어린이나 청소년 및 노인층에 금전적, 시간적, 비용적인 측면에서 상당한 부담이 되고 있다.
따라서, 침습적인 방법과 보존요법 이외에 측만증을 치료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대두된다.
관련 선행기술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5933호(2011.7.1.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척주의 2차원적(좌우 방향) 휘어짐 뿐만 아니라, 비틀림을 동반한 3차원적 휘어짐까지 아우르는 척주 측만증을 치료 및 교정하기 위해 보존요법이나 침습요법을 대체할 수 있도록 신체 특정 부위에 부착하고 무선에 의해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척주 측만 무선 교정 보조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척주 측만 무선 교정 보조기는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제너레이터(generator) 부, 상기 전기에너지를 고주파, 초음파를 포함한 전파로 변환시키는 변환부, 상기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전파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전파와 동류 자기장의 신호를 수신하여 신체 부착 부위에 직접 작용하도록 신체에 부착되는 신체부착 치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체부착 치료부는 인체 자기장 측정 및 송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인체 자기장 측정 및 송신부를 통해 송신된 인체 자기장 측정 신호를 수신하는 인체 자기장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손목시계, 팔찌, 벨트, 스마트기기를 포함한 기구에 매립 또는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체부착 치료부는 경추, 흉추, 요추, 골반, 천추, 미골, 복부를 포함한 한의학적 경혈부위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신체부착 치료부가 부착 부위에 작용하는 강도와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에 송신부를 구비하고 신체에 부착하는 신체부착 치료부에 수신부를 구비하여 경추, 흉추, 요추, 골반, 경혈 등에 저주파, 미세전류, 고주파 등의 전류 및 자기장 등의 전자기 에너지와, 초음파와 같은 음향 에너지를 제공함으로써, 척추 개개의 관절과 척추 관절면을 이어주는 인대와 척추 관절을 움직여주는 근육의 기능을 조절하고, 흉곽 내부와 복강 내의 내장기 또는 척주의 비정상적인 변형을 유발하는 구조물 등을 교정 또는 소실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콜셋 교정기와 같은 보존요법이나 침습적인 방법에 비해 환자에게 시간적, 비용적, 심리적인 측면에서 유리함을 제공하며, 휴대성을 극대화하고 무선화하여 환자가 일상생활을 영위하면서 치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척주 측만증 환자의 X선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주 측만 무선 교정 보조기에 의한 치료 후의 X선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주 측만 무선 교정 보조기 중 본체부의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주 측만 무선 교정 보조기 중 신체부착 치료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주 측만 무선 교정 보조기 중 본체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주 측만 무선 교정 보조기 중 신체부착 치료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9는 신체부착 치료부가 부착될 수 있는 부위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척주 측만증 환자의 X선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주 측만 무선 교정 보조기에 의한 치료 후의 X선 사진이다.
인체의 운동은 각각 해당 뼈가 서로 연결되어 붙어 있는 관절에서 일어나는데, 이는 관절 스스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이 관절의 외부에 부착되어 있는 힘줄과 근육의 움직임으로 관절의 운동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꼭두각시 인형을 움직일 때 인형의 팔과 다리 등에 끈을 묶어서 이를 조작하여 인형을 움직이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척주측만증은 일시적으로 발생하였다가 비교적 빨리 회복되는 기능성 측만증과 원인을 알 수 없는 특발성 측만증으로 구분되는데, 특발성 측만증은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으나 몇 가지 유전적 요인, 발생과 성장과 관련된 요인, 근육과 뼈의 성장과 관련된 내분비적 요인, 선천성 기형 등의 원인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발명자는 두개골에 턱관절이 이어진 턱관절에서부터 경추, 상지가 연결된 어깨관절부, 늑골이 연결된 흉추, 하지관절을 이루는 골반과 이로 이어지는 요추와 천골 등 관절의 변형이 시작되는 포인트가 있고, 이 변형이 이루어지는 원천 관절의 변형을 한의학적인 침, 약침, 뜸, 한방요법 등으로 치료하면서 변형된 척추들도 원래의 위치를 찾아들어가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의학적 질병치료의 기본인 음양이론을 바탕으로 전후, 좌우, 상하의 균형 조절이라는 이진법적 치료방법으로 오장육부와 경락, 경근, 경별 등의 부조화로 이루어진 뼈와 관절의 변형인 측만증을 치료하였기에 이 원리에 입각하여 본 발명에 따른 측만 교정기를 구상하였다.
미세전류는 인체에 이미 존재하는 생체전류와 유사하여, 이를 이용하여 혈류가 방해되거나 막힌 부분등의 혈류개선을 유도하고, 저주파는 초음파와 함께 적절한 진동의 효과를 발생하여 유착되거나 경결된 부위를 유연하게 유도하고, 고주파와 초음파의 온열 현상을 응용하여 한의학적 시술부위의 효과가 오래 지속되어 변형된 관절의 복원을 도우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주 측만 무선 교정 보조기에 의해 선천성 기형과 측만의 정도가 20~30도 이상으로 심하게 진행되어진 특발성 측만증은 적용하기 힘들다고 사료되어지나, 이차적 성장기 이전에 조기발견된 특발성 측만증의 경우에는 진행을 막을 뿐만 아니라 일정 부분 치료도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도 1의 X선 사진은 14세 여중생의 것으로, 학교에서 요구하는 건강검진시 찍은 사진에서 경추 7번에서 제1 늑골이 부착된 흉추 1,2,3,4,5번(사진의 윗부분)으로 이어지는 측만증의 사진이다.
도 2의 X선 사진은 8개월 가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주 측만 무선 교정 보조기에 의해 한의학적 요법으로 치료후의 사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얼굴뼈 아래로 이어지는 경추와 흉추의 배열을 볼 때(뼈 중간의 동글동글한 모양의 극돌기) 비틀리며 휘어지던 측만이 교정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어린 학생이 일주일에 2~3회 약침, 침, 한약, 한방요법 등의 치료를 받는 것에 대한 고통이 심하고, 한의학적 시술만으로 치료에 대한 지속성과 자세에 대한 교육이 부족하기에 한의학적 시술의 효과를 오래 지속시키고 본인 스스로 교정을 위한 자세에 대한 의지를 훈련하고자 하는데 있어 본 교정기가 기존의 교정기나 수술요법에 비해 확연히 안전하고 치료효과 유지의 유의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주 측만 무선 교정 보조기 중 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주 측만 무선 교정 보조기 중 신체부착 치료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주 측만 무선 교정 보조기 중 본체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주 측만 무선 교정 보조기 중 신체부착 치료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체부 및 신체부착 치료부의 이미지는 완성품이 아니라, 본 발명의 구상을 돕기 위한 예시적 이미지임을 밝혀 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주 측만 무선 교정 보조기의 본체부(10)는,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너레이터(12), 변환부(14), 송신부(16), 컨트롤러(18), 및 인체 자기장 수신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너레이터(12)는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척주 측만 무선 교정 보조기의 휴대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제너레이터(12)는 배터리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정용 전원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변환부(14)는 제너레이터(12)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고주파, 초음파를 포함한 전파로 변환한다. 즉, 변환부(14)는 무선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치료를 위한 신호를 전파 형태로 변환시킨다.
송신부(16)는 변환부(14)에 의해 변환된 전파를 신체부착 치료부(30)로 송신한다.
컨트롤러(18)는 신체부착 치료부(30)가 부착 부위에 작용하는 강도와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타이머 등이 내장될 수 있다.
인체 자기장 수신부(20)는 신체부착 치료부(30)의 인체 자기장 측정(특정 자기장의 주파수를 데이터화하여 감정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 예를 들어 분노할 때 인체의 특정 자기장의 주파수와 중금속인 납에서 검출되는 자기장의 주파수가 자기적으로 공명하고, 슬프고 비애할 때 수은에서 나오는 자기장의 주파수와 공명하는 경우) 및 송신부(36)가 송신한 인체 자기장 측정 신호를 수신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인체 자기장 수신부(20)가 수신한 인체 자기장 측정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환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감정의 정도, 상태 등을 측정하고 이를 교정하기 위한 네비게이터 역할)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10)는 손목시계, 팔찌, 벨트, 스마트폰을 비롯한 스마트기기를 포함한 신체 부착 기구의 내부에 매립되거나 부착됨으로써, 휴대가 가능하도록 하고 환자가 직접 조작하여 치료를 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신체부착 치료부(30)는 수신부(32), 치료부(34), 및 인체 자기장 측정 및 송신부(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신부(32)는 본체부(10)의 송신부(16)로부터 송신된 전파와 동류 자기장의 신호를 수신한다.
치료부(34)는 수신부(32)로부터 수신된 전파와 동류 자기장 신호를 미세전류, 자기장, 초음파, 고주파, 저주파 등의 형태로 변환하여 신체에 직접 작용하도록 한다.
인체 자기장 측정 및 송신부(36)는 인체의 자기장을 측정하여 이를 신호화한 후 본체부(10)의 인체 자기장 수신부(20)로 송신한다. 이를 통해 환자는 본인의 신체에서 발생되고 있는 자기장의 크기(특정 자기장의 주파수를 데이터화하여 감정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를 확인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신체부착 치료부는 고주파 온열 발생부를 더 포함하여 부착된 신체 부위에 고주파 온열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신체부착 치료부가 부착될 수 있는 부위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9에서 숫자가 표기된 부분은 인체의 대표적 통점에 해당하며, 이러한 통점에 신체부착 치료부를 부착하고 작동시키면 측만증 이외의 여러 통증의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
신체부착 치료부는 경추, 흉추, 요추, 골반, 천추, 미골, 복부를 포함한 한의학적 경혈부위 등의 신체 부위에 부착될 수 있다.
도 4의 신체부착 치료부(30)는 경추, 흉추, 요추, 경근, 경혈 등에 부착될 수 있다.
도 5의 신체부착 치료부(40)는 요추, 흉추, 골반, 경근, 경혈 등에 부착될 수 있다.
도 6의 신체부착 치료부(50)는 골반, 천추, 미골, 복부, 경근, 경혈 등에 부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형상은 일례에 불과하며, 부착 부위의 특성에 따라 이와 다른 형상으로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척주 측만 무선 교정 보조기는 저주파(근육의 운동, 진동 효과), 미세전류(인대나 근육, 힘줄의 유착부에 대한 혈류 촉진, 재생효과), 고주파(심부 온열투과) 등의 전류와, 자기장(양자역학에 의한 주파수의 분류로 정신적, 심리적 주파수 인식과 교정 네비게이터 효과) 등 전자기 에너지와, 초음파(인체 내부에 고착화된 구조물, 유착된 관절, 인대, 연골 등을 부드럽고 따뜻하게 해 줌)와 같은 음향 에너지로 전환하여 척추 개개의 관절과 척추 관절면을 이어주는 인대와 척추관절으르 움직여주는 근육의 기능을 조절한다.
그리고, 흉곽 내부와 복강 내의 내장기 또는 척주의 비정상적인 변형을 유발하는 구조물 등을 교정 또는 소실시킴으로써 치료와 교정의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척주 측만 무선 교정 보조기를 스마트기기에 장착하여 자세 네비게이션, 감정을 읽는 기능, 생체 리듬과 기본 생물학적 신호 검출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시간을 정하고 타인에 의해 시술을 받거나 기존의 교정 콜셋처럼 착용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시간 동안 인체에 부착하여서 일상 생활을 영위하면서 본인의 자세에 대해 자각도 하고 각각 전기에너지와 초음파 등의 영향으로 내장과 경락, 경근 등에 한약과 약침, 침 등의 시술을 한 척주의 교정 효과를 지속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의 적용점은 환자에 따라 척주변형이 시작되는 원인과 포인트가 다르기 때문에 그 환자에 맞는 맞춤형 교정기의 형태가 되고 한의학적 음양, 이진법적 원리에 따라 인체의 좌우, 전후, 상하의 포인트별로 부착되는 신체부착 치료부의 작용이 각각 달라지며 치료 경과와 변화에 따라 다시 포인트 별 적용이 상이해진다.
본 발명은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환자에게 감염과 수술에 따른 회복에 대한 부담이 없으며, 기존 착용형 콜셋 교정기 등에 비해 무엇보다 확실한 효능이 있음이 기대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본체부 12 - 제너레이터
14 - 변환부 16 - 송신부
18 - 컨트롤러 20 - 인체 자기장 수신부
30, 40, 50 - 신체부착 치료부
32 - 수신부 34 - 치료부
36 - 인체 자기장 측정 및 송신부

Claims (5)

  1.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제너레이터(generator) 부, 상기 전기에너지를 고주파, 초음파를 포함한 전파로 변환시키는 변환부, 상기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전파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전파와 동류 자기장의 신호를 수신하여 신체 부착 부위에 직접 작용하도록 신체에 부착되는 신체부착 치료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손목시계, 팔찌, 벨트, 스마트기기를 포함한 기구에 매립 또는 부착되며, 상기 신체부착 치료부는 경추, 흉추, 요추, 골반, 천추, 미골, 복부를 포함한 신체 부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주 측만 무선 교정 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부착 치료부는 인체 자기장 측정 및 송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인체 자기장 측정 및 송신부를 통해 송신된 인체 자기장 측정 신호를 수신하는 인체 자기장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주 측만 무선 교정 보조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신체부착 치료부가 부착 부위에 작용하는 강도와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주 측만 무선 교정 보조기.

KR1020120042965A 2012-04-25 2012-04-25 척주 측만 무선 교정 보조기 KR101351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965A KR101351766B1 (ko) 2012-04-25 2012-04-25 척주 측만 무선 교정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965A KR101351766B1 (ko) 2012-04-25 2012-04-25 척주 측만 무선 교정 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021A KR20130120021A (ko) 2013-11-04
KR101351766B1 true KR101351766B1 (ko) 2014-01-14

Family

ID=49850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965A KR101351766B1 (ko) 2012-04-25 2012-04-25 척주 측만 무선 교정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7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048B1 (ko) * 2018-02-28 2019-09-20 주식회사 칼라세븐 인체삽입용 광선치료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255B1 (ko) 2004-09-24 2006-09-19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피부 자극용 rf 신호 전달 장치
KR101100718B1 (ko) 2011-03-08 2011-12-29 (주)에드엠 전기 자극을 이용한 측정·경락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락방법
KR101128215B1 (ko) 2010-07-07 2012-03-22 문승진 U-wban 기반에서의 자세 교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87633A (ko) * 2011-01-28 2012-08-07 김한규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이를 포함하는 통신 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의료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255B1 (ko) 2004-09-24 2006-09-19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피부 자극용 rf 신호 전달 장치
KR101128215B1 (ko) 2010-07-07 2012-03-22 문승진 U-wban 기반에서의 자세 교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87633A (ko) * 2011-01-28 2012-08-07 김한규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이를 포함하는 통신 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의료 시스템
KR101100718B1 (ko) 2011-03-08 2011-12-29 (주)에드엠 전기 자극을 이용한 측정·경락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021A (ko) 2013-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lum Chiropractic and Pilates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adult scoliosis
Kobetic et al. Implante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for mobility in paraplegia: a follow-up case report
US7654972B2 (en) Spinal orthosis to inhibit kyphosis and to minimize disk disease
CN209342139U (zh) 一种矫形器穿戴监测装置
US9901478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he external distraction in the assistance of spinal deformities
RU2308257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й позвоночника
CN111658259A (zh) 一种连续可调脊柱侧弯矫形装置及辅助系统
KR101351766B1 (ko) 척주 측만 무선 교정 보조기
RU2728099C1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ительного лечения поражений в краниовертебральном сочленении позвоночника на уровне сустава С0/С1
CN208260064U (zh) 一种附着人体体表的压力弹簧装置
RU2614890C1 (ru) Способ реабилитации пациентов после травм и поражений поясничного отдела позвоночника
RU2650210C1 (ru) Способ реабилитации пациентов после травм и поражений грудного и поясничного отделов позвоночника
KR100801545B1 (ko) 경골 및 대퇴골 연장치료기
CN204563299U (zh) 一种腰髋保健带
RU2611908C1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и оздоровления пациент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балансировки мышечно-фасциально-висцеральных цепей подходом через основание черепа
Jovanovska et al. The role of the nurse in medical care and treatment of he patients at the intensive treatment department
Michalska et al.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a proposal for treatment and physiotherapy
Shen et al. Tuina plus ultrasonic therapy for infantile muscular torticollis
RU2464962C1 (ru) Способ физической реабилитации детей с компрессионными повреждениями позвоночника
CN212490295U (zh) 一种连续可调脊柱侧弯矫形装置
RU2314779C2 (ru) Способ миодинамического вытяжения позвоночника (варианты)
KR102163678B1 (ko) 물리치료용 척추교정기
RU6785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позвоночника
Stryła et al. The value of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in the non-specific low back pain
CN117205063A (zh) 一种治疗骨质疏松、增加骨强度和骨密度的振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