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44021A1 -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44021A1
WO2016144021A1 PCT/KR2016/001812 KR2016001812W WO2016144021A1 WO 2016144021 A1 WO2016144021 A1 WO 2016144021A1 KR 2016001812 W KR2016001812 W KR 2016001812W WO 2016144021 A1 WO2016144021 A1 WO 201614402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nit
belt
low frequency
wearable devic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181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신승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이오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이오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이오메드
Priority to JP2017567027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8511453A/ja
Priority to CN201680015102.8A priority patent/CN107405488A/zh
Priority to US15/557,186 priority patent/US20180036534A1/en
Publication of WO201614402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4402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61B5/0205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 and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3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with portable devices, e.g.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Wristwatch-typ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6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1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4Control systems specified by the stimulation paramet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의 정중신경으로 저주파를 전달하도록 하여 멀미, 입덧 또는 약물 등에 의한 오심과 구토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손목에 착용되는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가 저주파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상기 저주파가 손목의 정중신경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멀미, 입덧 또는 약물 등에 의한 오심과 구토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본 발명은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목의 정중신경으로 저주파를 전달하도록 하여 멀미, 입덧 또는 약물 등에 의한 오심과 구토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신부들이 경험하는 입덧은 주로 임신 초기에 나타나며, 그 원인은 태반에서 분비되는 호르몬(HCG)의 증가 또는 임신으로 인한 정신적인 불안감이나 스트레스라고 알려져 있다. 보통 구토,메스꺼움, 구역질, 식욕부진, 음식물의 기호변화 등의 증후군으로 나타나지만, 정상적인 경우 5개월 이내에 대부분 증상이 없어진다.
임신부들의 입덧 경험에 대한 조사에 따르면 임신부의 연령, 초산 또는 경산, 직업의 유무, 학력수준, 수입정도, 거주지역에 따라 입덧 경험이나 경감이 달랐으며, 경험하는 증상도 임신으로 인한 스트레스나 가족 구성, 출생아의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입덧으로 인하여 임신부는 냄새에 예민해져서 특정 음식에 대한 선호도가 떨어지거나 식용이 없어지게 되며, 그 결과 음식물 섭취가 불규칙하게 되어 체중이 감소되기도 한다. 또한, 구토가 심해지게 되면, 몸속의 수분이나 미네랄을 잃게 되고, 때에 따라서 탈수상태가 되는 경우도 있다. 이는 임신공포증 또는 기타 정신적인 갈등과 함께 태아의 발육과 영양상태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입덧의 증세가 심할 때는 반드시 임상적, 영양적 관리를 해야한다.
입덧 증상 완화를 위한 해결 방안을 살펴보면, 주로 한약이나 양약, 또는 정맥주사를 이용하고 있으며, 비타민 B6를 투여하여 구토와 메스꺼움이 심한 임신부들의 증세를 완화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보충제를 포함한 약의 남용은 음주나 흡연과 마찬가지로 태아에게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어, 약 처방은 의사의 지도하에 제한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또한, 입덧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는 아니지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32517호를 참조하면, 저주파 전류를 생체에 인가하여 구토나 메스꺼움 등을 치료하도록 하는 치료 장치가 공지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 치료 장치는 하나의 기기 형태로서, 저주파를 발진시키기 위한 발진기와, 발진기와 연결되어 발진기로부터 발진되는 저주파를 신체로 전달하는 치료전극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치료 장치는 발진기와 치료전극이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되는바, 그 크기가 커서 병원 등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임신부가 구토나 메스꺼움 등의 입덧 증상이 나타날 때마다 신속하게 병원에 방문하여 종래 치료 장치를 이용하기에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여, 종래 치료 장치를 이용하여 입덧을 치료하기에는 곤란성이 있다. 따라서 발진기와 치료전극을 일체형으로 하여 휴대가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는 치료 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편, 최근 들어 휴대가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들이 대기업을 중심으로 앞 다투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기기들은 대부분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여 하루 동안 소모한 칼로리를 보여주거나,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하여 운동 가이드를 제공해주고 있다. 또한, 이러한 웨어러블 기기들은 맥박, 체온 등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이를 분석하여, 건강 이상 유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웨어러블 기기들은 단순히 맥박, 체온 등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이를 외부에 알리는 기능만 있을 뿐, 구토나 메스꺼움 등의 입덧 증상을 완화시키도록 하는 별도의 기능이 없어, 이러한 휴대가 편리한 웨어러블 기기에 구토나 메스꺼움 등의 입덧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기능을 추가하도록 하는 요청이 지속적으로 있어 왔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가 편리한 웨어러블 장치가 손목의 정중신경으로 저주파를 전달하도록 하여 멀미, 입덧 또는 약물 등에 의한 오심과 구토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이를 사용자 또는 보호자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위험한 상태에 처한 경우, 이를 외부로 신속하게 알릴 수 있도록 하는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손목에 구비되며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발생부가 내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저주파발생부가 저주파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착용제어부; 손목의 외주연 일측을 감싸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1 벨트와, 손목의 외주연 타측을 감싸도록 상기 본체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 2 벨트를 갖는 벨트부재; 상기 제 1 벨트와 상기 제 2 벨트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의 손목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저주파발생부가 발생시키는 저주파를 손목으로 전달하는 치료전극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 1 벨트에 결합되되, 손목과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치료전극부가 구비되는 결합가이드부; 상기 결합가이드부의 양측에서 상기 제 1 벨트의 외주연에 포개어지도록 위치된 상기 제 2 벨트의 외주연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돌출부; 및 한 쌍의 상기 결합돌출부 사이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 1 벨트의 외주연에 포개어지도록 위치된 상기 제 2 벨트의 외주연을 가압하거나 가압하지 않도록 회전되는 결합버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벨트부재는: 상기 제 1 벨트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되 상기 제 1 벨트의 내주연을 따라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저주파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슬라이딩접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 1 벨트의 내주연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기 결합가이드부; 상기 제 1 벨트의 외주연과 마주보도록 상기 결합가이드부와 상기 결합돌출부 사이에 구비되는 한 쌍의 힌지결합부; 및 한 쌍의 상기 힌지결합부 사이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 1 벨트의 외주연을 가압하거나 가압하지 않도록 회전되는 고정버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치료전극부는, 상기 결합가이드부에 위치되는 전극부와, 상기 전극부에서 상기 결합가이드부를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딩접촉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치료전극부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접촉부는 각각의 상기 치료전극부와 접촉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치료전극부는 손목의 정중신경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손목과 대향되는 상기 본체의 내측에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손목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본체의 외측에는 각종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용제어부는 상기 측정부로부터 측정되는 생체정보를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정부는, 손목의 맥박 또는 손목의 체온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 내부에는 만보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로부터 상기 생체정보를 전달받는 상기 착용제어부와, 상기 착용제어부로부터 상기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건강정보 데이터를 전달받아 제 1 무선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제 1 근거리통신부를 갖는 상기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 상기 제 1 무선통신망과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근거리통신부로부터 상기 건강정보 데이터를 수신받는 제 2 근거리통신부와, 제 2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건강정보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제 1 원거리통신부와, 상기 제 2 근거리통신부가 수신한 상기 건강정보 데이터를 상기 제 1 원거리통신부가 외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 1 제어부를 갖는 제 1 단말기; 및 상기 제 2 무선통신망과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원거리통신부로부터 상기 건강정보 데이터를 수신받는 제 2 원거리통신부와, 상기 제 2 원거리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건강정보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단말기출력부와, 상기 제 2 원거리통신부가 수신한 상기 건강정보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출력부가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 2 제어부를 갖는 제 2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무선통신망은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통신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무선통신망은 2G망, 3G망 및 4G망(LTE망)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착용제어부, 상기 제 1 제어부 및 상기 제 2 제어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제어부는 상기 생체정보에 대한 안전범위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생체정보가 상기 안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고메시지를 생성하되, 상기 경고메시지를 상기 건강정보 데이터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출력부는 상기 경고메시지를 소리로 출력하는 스피커 또는 상기 경고메시지를 진동으로 출력하는 진동부 또는 상기 경고메시지를 영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에 구비되는 저주파발생부에서 발생시키는 저주파를 손목의 정중신경으로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어, 멀미, 입덧 또는 약물 등에 의한 오심과 구토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의 결합부재가 제 1 벨트를 따라 슬라이딩 되므로, 결합부재를 손목의 정중신경과 마주보도록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결합부재에 구비되는 치료전극부가 손목의 정중신경으로 저주파를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목의 정중신경과 마주보도록 위치된 결합부재는 고정버클이 제 1 벨트를 가압하도록 회전됨으로써 제 1 벨트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결합부재가 손목의 정중신경과 마주보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를 통하여 저주파를 손목의 정중신경으로 전달하는 기능은 물론,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이를 사용자 또는 보호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사용자 또는 보호자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가 위험한 상태에 처한 경우, 이를 외부로 신속하게 알릴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의 벨트부재의 슬라이딩접촉부에 제 1 벨트가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의 벨트부재의 제 1 벨트에 결합부재의 결합가이드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의 치료전극부가 결합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의 제 1 벨트에 결합부재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의 제 1 벨트에 결합부재가 고정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의 제 2 벨트가 제 1 벨트에 포개어지도록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의 결합버클이 제 2 벨트를 고정시킨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에 구비되는 표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의 제 1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의 제 2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웨어러블 장치
110: 본체 120: 관리수단
121: 저주파발생부 122: 측정부
122a: 맥박측정부 122b: 체온측정부
123: 만보계 124: 입력부
125: 출력부 125a: 제 1 표시부
125b: 제 2 표시부 125c: 제 3 표시부
125d: 제 4 표시부 126: 제 1 근거리통신부
127: 착용제어부 130: 벨트부재
132: 제 1 벨트 132a: 제 1 개방부
132b: 제 2 개방부 134: 슬라이딩접촉부
134a: 제 1 슬라이딩부 134b: 제 2 슬라이딩부
136: 제 2 벨트 140: 결합부재
142: 결합가이드부 143: 지지가이드부
144: 결합돌출부 144a: 힌지돌기
145: 힌지결합부 146: 결합버클
146a: 결합힌지홀 147: 결합가압부
148: 고정버클 148a: 고정힌지돌기
149: 고정가압부 150: 치료전극부
152: 제 1 전극부 152a: 제 1 전극
152b: 제 1 접촉부 154: 제 2 전극부
154a: 제 2 전극 154b: 제 2 접촉부
200: 제 1 단말기
210: 제 2 근거리통신부 220: 제 1 원거리통신부
230: 제 1 제어부
300: 제 2 단말기
310: 제 2 원거리통신부
320: 단말기출력부 330: 제 2 제어부
400: 제 1 무선통신망 410: 제 2 무선통신망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100)는 전반적으로 손목에 착용하는 시계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110), 측정부(122: 도 2 도시), 저주파발생부(121: 도 10 도시), 벨트부재(130), 결합부재(140) 및 치료전극부(15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사용자의 손목에 위치되는 것으로, 손목시계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손목과 접촉되는 본체(110)의 내측에는 측정부(122)가 구비되고, 손목과 접촉되지 않는 본체(110)의 외측에는 출력부(125)가 구비된다. 출력부(125)는 예를 들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으로 구성되며, 하기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측정부(122)는 본체(110)의 내측에 구비되어, 혈압, 맥박, 체온 등의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하기 위한 맥박측정부(122a)와,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체온측정부(122b)를 포함한다. 맥박측정부(122a)는 광을 이용하여 맥파 신호를 검출하는 광학식, 압력을 이용하여 맥파신호를 측정하는 압전식 등이 있으며, 광학식의 경우, 본체(110)의 내측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인체에 광을 조사하여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한다. 체온측정부(122b)는 예를 들면, 적외선 센서로 구성되는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을 감지하고, 이에 따른 전기적 펄스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한다. 상술한 저주파발생부(121), 맥박측정부(122a) 및 체온측정부(122b)는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측정부(122)가 측정하는 생체정보는 외부로 전달되어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하기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저주파발생부(121)는 본체(110)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발진코일 등을 이용하여 일정 범위의 주파수의 전자파 펄스를 발진한다. 이러한 저주파발생부(121)는 대략 28㎐ 내지 33㎐의 저주파 펄스를 발생시키며, 이렇게 발생된 저주파 펄스는 후술하는 치료전극부(150)로 전달된다.
벨트부재(130)는 본체(110)가 손목에 위치되도록 고정시키는 시계줄과 유사한 것으로, 손목의 형태에 따라 용이하게 휘어지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벨트부재(130)는 손목의 외주연 일측을 감싸도록 본체(11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1 벨트(132)와, 손목의 외주연 타측을 감싸도록 본체(110)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 2 벨트(136)를 포함한다.
결합부재(140)는 벨트부재(130)의 제 1 벨트(132)와 제 2 벨트(136)를 상호 결합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면 손목의 정중신경에 위치되도록 제 1 벨트(132)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 2 벨트(136)를 결합시킨다.
치료전극부(150)는 손목의 정중신경과 마주보는 결합부재(140)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 1 전극부(152)와 제 2 전극부(154)를 포함한다. 제 1, 2 전극부(152, 154)는 손목의 정중신경과 접촉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슬라이딩접촉부(134: 도 2 도시)를 통하여 저주파발생부(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치료전극부(150)는 저주파발생부(121)가 발생시키는 저주파를 전달받고, 이를 다시 손목의 정중신경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손목의 정중신경으로 전달된 저주파는 정중신경을 자극하게 되고, 이어서 정중신경을 따라 중추신경계로 전달된다. 그러면 중추신경계에서는 오심과 구토의 신호를 차단해주고 비정상적인 위장운동을 다시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자극을 보낸다.
한편, 치료전극부(150)는 손목의 정중신경과 접촉되어야 하므로, 치료전극부(150)가 결합되는 결합부재(140) 또한, 손목의 정중신경과 마주보도록 위치되어야 한다. 그런데 손목의 크기는 사람마다 다르므로, 결합부재(140)가 제 1 벨트(132)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위치되어야 하며, 제 1 벨트(132)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결합부재(140)가 손목의 정중신경에 위치되면, 결합부재(140)가 더 이상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결합부재(140)를 제 1 벨트(132)에 고정시킨다. 이는 하기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의 벨트부재의 슬라이딩접촉부에 제 1 벨트가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의 벨트부재의 제 1 벨트에 결합부재의 결합가이드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벨트부재(130)는 제 1 벨트(132)와 제 2 벨트(136) 이외에 슬라이딩접촉부(134)를 더 포함한다. 슬라이딩접촉부(134)는 제 1 벨트(132)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제 1 슬라이딩부(134a)와 제 2 슬라이딩부(134b)를 포함한다. 제 1, 2 슬라이딩부(134a, 134b)는 도전성 재질로 구성되되, 그 길이방향 일측은 본체(110) 내부의 저주파발생부(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그 길이방향 타측은 손목의 정중신경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2 슬라이딩부(134a, 134b)가 제 1 벨트(132)에 삽입되어, 제 1 벨트(132)가 제 1, 2 슬라이딩부(134a, 134b)를 감싸도록 결합될 때, 제 1 벨트(132)의 내주연에는 제 1, 2 슬라이딩부(134a, 134b)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 1, 2 개방부(132a, 132b)가 형성된다.
결합부재(140)는 결합가이드부(142), 결합돌출부(144), 결합버클(146), 힌지결합부(145) 및 고정버클(148)을 포함한다. 결합가이드부(142)는 제 1 벨트(132)의 내주연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위치되며, 손목과 마주보는 결합가이드부(142)의 내측에 치료전극부(150)가 구비된다. 그리고 결합가이드부(142)가 제 1 벨트(132)의 내주연을 따라 슬라이딩될 때, 제 1 벨트(132)의 양측을 가이드하도록 결합가이드부(142)의 양측을 따라 한 쌍의 지지가이드부(14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버클(148)이 제 1 벨트(132)의 외주연을 가압하여, 제 1 벨트(132)의 내주연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결합가이드부(142)가 손목의 정중신경과 마주보도록 고정시키고, 결합버클(146)이 제 2 벨트(136)의 외주연을 가압하여 제 2 벨트(136)가 결합가이드부(142)에 고정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제 2 벨트(136)가 제 1 벨트(132)에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버클(146) 이외에, 제 1 벨트(132)의 내주연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결합가이드부(142)가 제 1 벨트(132)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버클(148)을 별도로 구비한다. 결합돌출부(144), 결합버클(146), 힌지결합부(145) 및 고정버클(148)은 하기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의 치료전극부가 결합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치료전극부(150)는 제 1 전극부(152)와 제 2 전극부(154)를 포함한다. 제 1 전극부(152)와 제 2 전극부(154)는 결합가이드부(142)의 내측에 상호 나란하게 결합된다. 제 1 전극부(152)는 결합가이드부(142)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 1 전극(152a)과, 제 1 전극(152a)에서 결합가이드부(142)를 관통하여 슬라이딩접촉부(134)의 제 1 슬라이딩부(134a)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 1 접촉부(152b)를 포함한다. 제 2 전극부(154)는 결합가이드부(142)의 내측에 제 1 전극(152a)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 2 전극(154a)과, 제 2 전극(154a)에서 결합가이드부(142)를 관통하여 슬라이딩접촉부(134)의 제 2 슬라이딩부(134b)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 2 접촉부(154b)를 포함한다.
제 1 전극(152a)과 제 2 전극(154a)은 손목의 정중신경에 접촉되는 것으로, 손목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며, 도전성을 높이고 인체와의 저항성을 낮추도록 금 등으로 도금 처리될 수 있다. 제 1 접촉부(152b)와 제 2 접촉부(154b)는 제 1 슬라이딩부(134a)와 제 2 슬라이딩부(134b)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결합가이드부(142)가 손목의 정중신경에 위치되도록 제 1 벨트(132)의 내주연을 따라 슬라이딩될 때, 제 1 접촉부(152b)와 제 2 접촉부(154b) 또한 제 1 슬라이딩부(134a)와 제 2 슬라이딩부(134b)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어, 제 1 전극(152a)과 제 2 전극(154a)이 손목의 정중신경에 용이하게 위치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 1 슬라이딩부(134a)와 제 2 슬라이딩부(134b)는 본체(110) 내부의 저주파발생부(121)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저주파발생부(121)가 발생시키는 저주파를 제 1 전극부(152)와 제 2 전극부(154)로 전달시키고, 제 1 전극부(152)와 제 2 전극부(154)는 이를 다시 손목의 정중신경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손목의 정중신경으로 전달된 저주파는 정중신경을 자극하게 되고, 이어서 정중신경을 따라 중추신경계로 전달된다. 그러면 중추신경계에서는 오심과 구토의 신호를 차단해주고 비정상적인 위장운동을 다시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자극을 보낸다.
이처럼 본 발명은 본체(110) 내부의 저주파발생부(121)에서 발생시키는 저주파를 손목의 정중신경으로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어, 항암치료 및 약물치료의 부작용으로 나타나는 오심과 구토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멀미, 입덧 또는 그 외에 의한 오심과 구토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의 제 1 벨트에 결합부재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의 제 1 벨트에 결합부재가 고정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결합부재(140)는 결합가이드부(142), 결합돌출부(144), 결합버클(146), 힌지결합부(145) 및 고정버클(148)을 포함한다.
결합가이드부(142)는 제 1 벨트(132)의 내주연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결합가이드부(142)의 양측을 따라 지지가이드부(143)가 돌출 형성된다.
결합돌출부(144)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제 2 벨트(136)가 제 1 벨트(132)의 외주연에 포개어지도록 위치될 때, 결합가이드부(142)의 양측, 상세하게는 제 1 벨트(132)의 단부와 가깝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지지가이드부(143)의 측부에서 본체(1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결합돌출부(144)의 선단부는 제 2 벨트(136)의 외주연 방향에 구비된다.
결합버클(146)은 한 쌍의 결합돌출부(144) 사이에 힌지 결합되어 제 1 벨트(132)의 외주연에 포개어지도록 위치된 제 2 벨트(136)의 외주연을 가압하거나 가압하지 않도록 회전한다. 상기 결합버클(146)은 하기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힌지결합부(145)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제 1 벨트(132)의 외주연과 마주보도록 각각의 결합가이드부(142)와 각각의 결합돌출부(144) 사이, 상세하게는 각각의 지지가이드부(143)와 각각의 결합돌출부(144) 사이에 통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버클(148)은 결합가이드부(142)와 이격되도록 위치되며, 결합가이드부(142)와 고정버클(148) 사이에 제 1 벨트(132)가 삽입된다. 그리고 고정버클(148)은 그 일단부가 한 쌍의 상기 힌지결합부(145) 사이에 힌지 결합되어, 그 타단부가 제 1 벨트(132)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제 1 벨트(13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며, 이를 위하여 고정버클(148)의 일단부 양측에는 힌지결합부(145)에 삽입되어 축결합되도록 고정힌지돌기(148a)가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버클(148)의 타단부가 제 1 벨트(132) 방향으로 회전될 때, 고정버클(148)의 일단부에는 제 1 벨트(132)와 수직 방향으로 고정가압부(149)가 돌출 형성되어, 고정가압부(149)가 제 1 벨트(132)의 외주연을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고정버클(148)의 고정가압부(149)가 제 1 벨트(132)를 가압함으로써, 결합가이드부(142)가 제 1 벨트(132)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고정버클(148)이 제 1 벨트(13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고정버클(148)의 고정가압부(149)는 제 1 벨트(132)와 수평 방향으로 위치되므로, 고정가압부(149)가 제 1 벨트(132)를 더 이상 가압하지 않게 되어, 결합가이드부(142)는 제 1 벨트(132)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결합부재(140)가 제 1 벨트(132)를 따라 슬라이딩 되므로, 결합부재(140)를 손목의 정중신경과 마주보도록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결합부재(140)에 구비되는 치료전극부(150)가 손목의 정중신경으로 저주파를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목의 정중신경과 마주보도록 위치된 결합부재(140)는 고정버클(148)이 제 1 벨트(132)를 가압하도록 회전됨으로써 제 1 벨트(132)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결합부재(140)가 손목의 정중신경과 마주보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의 제 2 벨트가 제 1 벨트에 포개어지도록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의 결합버클이 제 2 벨트를 고정시킨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고정버클(148)이 제 1 벨트(132)를 가압하여 결합가이드부(142)가 제 1 벨트(132)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 2 벨트(136)가 손목을 감싼 후, 제 1 벨트(132)에 포개어지도록 위치된다. 이때, 제 2 벨트(136)는 고정버클(148)과 후술하는 결합버클(146) 사이로 삽입된다.
결합버클(146)은 고정버클(148)과 이격되도록 위치되며, 고정버클(148)과 결합버클(146) 사이에 제 2 벨트(136)가 삽입된다. 그리고 결합버클(146)은 그 일단부가 한 쌍의 상기 결합돌출부(144) 사이에 힌지 결합되어, 그 타단부가 제 2 벨트(136)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제 2 벨트(136)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며, 이를 위하여 결합버클(146)의 일단부 양측에는 결합돌출부(144)에 형성되는 힌지돌기(144a)에 삽입되어 축결합되도록 결합힌지홀(146a)이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버클(146)의 타단부가 제 2 벨트(136) 방향으로 회전될 때, 결합버클(146)의 일단부에는 제 2 벨트(136)와 수직 방향으로 결합가압부(147)가 돌출 형성되어, 결합가압부(147)가 제 2 벨트(136)의 외주연을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결합버클(146)의 결합가압부(147)가 제 2 벨트(136)를 가압함으로써, 제 2 벨트(136)가 결합부재(14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결합버클(146)이 제 2 벨트(136)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결합버클(146)의 결합가압부(147)는 제 2 벨트(136)와 수평 방향으로 위치되므로, 결합가압부(147)가 제 2 벨트(136)를 더 이상 가압하지 않게 되어, 제 2 벨트(136)는 결합부재(140)에서 외부로 탈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고정버클(148)과 결합버클(146) 사이로 삽입되는 제 2 벨트(136)를 결합버클(146)이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제 1 벨트(132)와 제 2 벨트(136)가 결합부재(140)에 결합된 상태로 사용자의 손목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제 1, 2 벨트(132, 136)와 연결된 본체(110) 또한, 손목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11은 도 9의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에 구비되는 표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건강을 관리하거나, 위험 상황을 보호자에게 신속하게 알리기 위한 것으로, 웨어러블 장치(100), 제 1 단말기(200) 및 제 2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웨어러블 장치(100)는 사용자의 건강을 관리하는 한편,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외부로 알리도록 관리수단(12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관리수단(120)은 본체(110)에 구비되는 것으로, 저주파발생부(121), 측정부(122), 만보계(123), 입력부(124), 출력부(125), 제 1 근거리통신부(126) 및 착용제어부(127)를 포함한다.
저주파발생부(121)는 저주파를 발생하여 치료전극부(150)로 전달한다. 측정부(122)는 맥박측정부(122a)와 체온측정부(122b)가 있으며, 맥박측정부(122a)는 사용자의 맥동 또는 맥파 등의 생체정보를 측정하여 착용제어부(127)로 전달한다. 체온측정부(122b)는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착용제어부(127)로 전달한다. 저주파발생부(121) 및 측정부(122)는 이미 상술한 내용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만보계(123)는 사용자의 발걸음 수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운동량을 체크하는 일반적인 것으로, 본체(110) 내부에 구비되며, 가속도나 진동 등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충격을 카운트하여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한다. 만보계(123)가 측정하는 운동량 정보는 착용제어부(127)로 전달한다.
입력부(124)는 저주파발생부(121), 측정부(122) 또는 만보계(123)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각종 제어 신호, 예를 들면, 시작 신호, 종료 신호, 초기화 신호, 저장 신호, 설정 신호 등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착용제어부(127)로 전달하고, 착용제어부(127)는 이러한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저주파발생부(121), 측정부(122) 또는 만보계(123)를 제어한다. 이러한 입력부(124)는 본체(110)의 외측 등에 키패드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출력부(125)에 터치 패널이 부착되어 터치스크린 형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출력부(125)는 본체(110)의 외측에 구비되며, LCD, OLE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출력부(125)는 착용제어부(127)의 제어 하에 각종 문자, 이미지, 숫자 등이 표시되며, 예를 들면, 시간이 표시되는 제 1 표시부(125a), 만보계(123)가 측정하는 운동량 정보가 표시되는 제 2 표시부(125b), 맥박측정부(122a)가 측정하는 맥박 생체정보가 표시되는 제 3 표시부(125c) 및 체온측정부(122b)가 측정하는 체온 생체정보가 표시되는 제 4 표시부(125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25)는 소리를 외부로 출력하는 본체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근거리통신부(126)는 만보계(123)가 측정하는 운동량 정보, 맥박측정부(122a)가 측정하는 맥박 생체정보, 체온측정부(122b)가 측정하는 체온 생체정보 등을 제 1 무선통신망(40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제 1 단말기(200)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1 무선통신망(400)은 근거리통신망으로, 예를 들면,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WLAN(Wireless LA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착용제어부(127)는 입력부(124), 저주파발생부(121), 측정부(122), 만보계(123), 출력부(125) 및 제 1 근거리통신부(126)를 제어한다. 즉, 착용제어부(127)는 입력부(124)로부터 저주파 발생을 위한 저주파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착용제어부(127)는 저주파발생부(121)로 저주파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저주파발생부(121)가 저주파를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착용제어부(127)는 입력부(124)로부터 맥박 또는 체온 또는 운동량 측정을 위한 측정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착용제어부(127)는 맥박측정부(122a) 또는 체온측정부(122b) 또는 만보계(123)가 측정을 수행하도록 하고, 맥박측정부(122a)가 측정하는 맥박 생체정보 또는 체온측정부(122b)가 측정하는 체온 생체정보 또는 만보계(123)가 측정하는 운동량 정보를 출력부(125)로 출력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착용제어부(127)는 맥박측정부(122a)로부터 수신되는 맥박 생체정보 또는 체온측정부(122b)로부터 수신되는 체온 생체정보에 대한 안전 범위가 저장되어 있으며, 맥박 생체정보 또는 체온 생체정보가 안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고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착용제어부(127)는 맥박 생체정보 또는 체온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건강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제 1 근거리통신부(126)로 출력하여, 제 1 근거리통신부(126)가 제 1 단말기(200)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때, 착용제어부(127)가 경고메시지를 생성하는 경우, 착용제어부(127)는 상기 건강정보 데이터에 경고메시지를 포함시켜서, 맥박 생체정보 또는 체온 생체정보와, 경고메시지를 포함하는 건강정보 데이터가 제 1 단말기(2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착용제어부(127)는 상기 경고메시지를 상기 본체스피커로 전송하여,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주변 사람이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착용제어부(127)가 경고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나,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경우에 따라, 맥박 생체정보 또는 체온 생체정보가 후술하는 제 1 제어부(230) 또는 제 2 제어부(330)로 전달된 상태에서, 제 1 제어부(230) 또는 제 2 제어부(330)는 맥박 생체정보 또는 체온 생체정보가 안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고메시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의 제 1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의 제 2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 1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로서, PDA, 휴대폰, 스마트폰 등으로 구성되며, 제 2 근거리통신부(210), 제 1 원거리통신부(220) 및 제 1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제 2 근거리통신부(210)는 제 1 무선통신망(400)과 연결되어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100)의 제 1 근거리통신부(126)와 무선으로 접속된다. 제 1 원거리통신부(220)는 제 2 무선통신망(410)과 연결되어, 후술하는 제 2 단말기(300)의 제 2 원거리통신부(310)와 무선으로 접속된다. 제 2 무선통신망(410)은 원거리 무선통신망으로, 와이브로망 및 이동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이동통신망은 2G(2 Generation)망, 3G망 및 4G(LTE, Long Term Evolution)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제 1 제어부(230)는 제 2 근거리통신부(210)와 연결되어, 제 1 근거리통신부(126)가 제 2 근거리통신부(210)로 전달하는 맥박 생체정보 또는 체온 생체정보와, 경고메시지가 포함된 건강정보 데이터를 수신받는다. 또한, 제 1 제어부(230)는 상기 건강정보 데이터가 제 1 원거리통신부(220)를 통하여 제 2 단말기(3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제 2 단말기(300)는 사용자의 보호자, 의사 등이 관리하는 휴대용 단말기로서, 제 1 단말기(200)와 마찬가지로, PDA, 휴대폰, 스마트폰 등으로 구성되며, 제 2 원거리통신부(310), 단말기출력부(320) 및 제 2 제어부(330)를 포함한다. 제 2 원거리통신부(310)는 제 2 무선통신망(410)과 연결되어 제 1 단말기(200)의 제 1 원거리통신부(220)와 무선으로 접속된다. 단말기출력부(320)는 제 2 단말기(300)에 구비되는 LCD, 단말기스피커, 진동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출력부(320)는 각종 정보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하거나, 소리 또는 진동으로 출력하는 것으로, 제 2 제어부(330)의 제어 하에 각종 문자, 이미지, 숫자 등이 외부로 디스플레이되거나, 소리로 출력되거나, 진동으로 출력되며, 예를 들면, 상기 건강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맥박 생체정보의 맥박 수치, 체온 생체정보의 체온 수치, 경고메시지 등이 문자 또는 숫자로 디스플레이되거나, 소리로 출력된다. 제 2 제어부(330)는 제 2 원거리통신부(310)와 연결되어, 제 1 원거리통신부(220)가 제 2 원거리통신부(310)로 전달하는 맥박 생체정보 또는 체온 생체정보와, 경고메시지가 포함된 건강정보 데이터를 수신받고, 상기 건강정보 데이터가 단말기출력부(320)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100)의 측정부(122)가 사용자의 맥박 또는 체온 등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생체정보는 착용제어부(127)로 전달된다(S100). 착용제어부(127)는 측정부(122)로부터 전달되는 생체정보가 안전범위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 예를 들어, 착용제어부(127)는 측정부(122)의 맥박측정부(122a)로부터 전달되는 맥박 생체정보 즉, 심박수가 안전범위인 60 내지 100Bpm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한다. 또는 착용제어부(127)는 측정부(122)의 체온측정부(122b)로부터 전달되는 체온 생체정보, 즉, 체온이 안전범위인 30 내지 40℃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S110 단계에서, 착용제어부(127)는 측정부(122)로부터 전달되는 생체정보가 안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고메시지를 생성한다(S120). 상기 경고메시지는 사용자의 보호자, 또는 주변 사람들에게 사용자가 위험에 처했음을 알려주는 것으로, "암 환자 입니다." 또는 "심장병 환자 입니다." 또는 "도와주세요"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 후, 착용제어부(127)는 상기 본체스피커로 상기 경고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주변 사람들에게 사용자가 현재 위험에 처했음을 알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 후, 착용제어부(127)는 사용자의 맥박 생체정보, 체온 생체정보 및 경고메시지를 포함하는 건강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제 1 근거리통신부(126)로 전달하여, 제 1 근거리통신부(126)가 상기 건강정보 데이터를 제 1 단말기(200)의 제 2 근거리통신부(210)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S110 단계에서, 착용제어부(127)는 측정부(122)로부터 전달되는 생체정보가 안전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 착용제어부(127)는 사용자의 맥박 생체정보 및 체온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건강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제 1 근거리통신부(126)로 전달하여, 제 1 근거리통신부(126)가 상기 건강정보 데이터를 제 1 단말기(200)의 제 2 근거리통신부(210)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그 후, 제 1 단말기(200)의 제 1 제어부(230)는 제 2 근거리통신부(210)로 건강정보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0). 그리고 제 1 제어부(230)는 건강정보 데이터를 제 1 원거리통신부(220)로 전달하여, 제 1 원거리통신부(220)가 건강정보 데이터를 제 2 단말기(300)의 제 2 원거리통신부(310)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S210).
그 후, 제 2 단말기(300)의 제 2 제어부(330)는 제 2 원거리통신부(310)로 건강정보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0). 그리고 제 2 제어부(330)는 건강정보 데이터가 제 2 원거리통신부(310)로 수신되면, 건강정보 데이터에 경고메시지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10). 상기 S310 단계에서, 제 2 제어부(330)는 건강정보 데이터에 경고메시지가 포함되었으면, 건강정보 데이터에 있는 생체정보를 단말기출력부(320)가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이어서 건강정보 데이터에 있는 경고메시지를 단말기출력부(320)가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S310 단계에서, 제 2 제어부(330)는 건강정보 데이터에 경고메시지가 포함되지 않았으면, 건강정보 데이터에 있는 생체정보를 단말기출력부(320)가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100)를 통하여 저주파를 손목의 정중신경으로 전달하는 기능은 물론,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이를 사용자 또는 보호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사용자 또는 보호자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가 위험한 상태에 처한 경우, 이를 외부로 신속하게 알릴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13)

  1. 손목에 구비되며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발생부가 내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저주파발생부가 저주파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착용제어부;
    손목의 외주연 일측을 감싸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1 벨트와, 손목의 외주연 타측을 감싸도록 상기 본체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 2 벨트를 갖는 벨트부재;
    상기 제 1 벨트와 상기 제 2 벨트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의 손목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저주파발생부가 발생시키는 저주파를 손목으로 전달하는 치료전극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 1 벨트에 결합되되, 손목과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치료전극부가 구비되는 결합가이드부;
    상기 결합가이드부의 양측에서 상기 제 1 벨트의 외주연에 포개어지도록 위치된 상기 제 2 벨트의 외주연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돌출부; 및
    한 쌍의 상기 결합돌출부 사이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 1 벨트의 외주연에 포개어지도록 위치된 상기 제 2 벨트의 외주연을 가압하거나 가압하지 않도록 회전되는 결합버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재는:
    상기 제 1 벨트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되 상기 제 1 벨트의 내주연을 따라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저주파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슬라이딩접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 1 벨트의 내주연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기 결합가이드부;
    상기 제 1 벨트의 외주연과 마주보도록 상기 결합가이드부와 상기 결합돌출부 사이에 구비되는 한 쌍의 힌지결합부; 및
    한 쌍의 상기 힌지결합부 사이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 1 벨트의 외주연을 가압하거나 가압하지 않도록 회전되는 고정버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치료전극부는, 상기 결합가이드부에 위치되는 전극부와, 상기 전극부에서 상기 결합가이드부를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딩접촉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전극부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접촉부는 각각의 상기 치료전극부와 접촉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전극부는 손목의 정중신경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손목과 대향되는 상기 본체의 내측에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손목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본체의 외측에는 각종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용제어부는 상기 측정부로부터 측정되는 생체정보를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손목의 맥박 또는 손목의 체온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는 만보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
  10. 제 6 항 기재의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로부터 상기 생체정보를 전달받는 상기 착용제어부와, 상기 착용제어부로부터 상기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건강정보 데이터를 전달받아 제 1 무선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제 1 근거리통신부를 갖는 상기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
    상기 제 1 무선통신망과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근거리통신부로부터 상기 건강정보 데이터를 수신받는 제 2 근거리통신부와, 제 2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건강정보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제 1 원거리통신부와, 상기 제 2 근거리통신부가 수신한 상기 건강정보 데이터를 상기 제 1 원거리통신부가 외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 1 제어부를 갖는 제 1 단말기; 및
    상기 제 2 무선통신망과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원거리통신부로부터 상기 건강정보 데이터를 수신받는 제 2 원거리통신부와, 상기 제 2 원거리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건강정보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단말기출력부와, 상기 제 2 원거리통신부가 수신한 상기 건강정보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출력부가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 2 제어부를 갖는 제 2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통신망은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통신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무선통신망은 2G망, 3G망 및 4G망(LTE망)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제어부, 상기 제 1 제어부 및 상기 제 2 제어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제어부는 상기 생체정보에 대한 안전범위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생체정보가 상기 안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고메시지를 생성하되, 상기 경고메시지를 상기 건강정보 데이터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출력부는 상기 경고메시지를 소리로 출력하는 스피커 또는 상기 경고메시지를 진동으로 출력하는 진동부 또는 상기 경고메시지를 영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PCT/KR2016/001812 2015-03-11 2016-02-24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WO2016144021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567027A JP2018511453A (ja) 2015-03-11 2016-02-24 低周波発生機能を有するウェアラブル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健康管理システム
CN201680015102.8A CN107405488A (zh) 2015-03-11 2016-02-24 具有低频发生功能的可穿戴装置及利用其的健康管理系统
US15/557,186 US20180036534A1 (en) 2015-03-11 2016-02-24 Wearable device having low-frequency generation function, and health care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870A KR101562039B1 (ko) 2015-03-11 2015-03-11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KR10-2015-0033870 2015-03-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44021A1 true WO2016144021A1 (ko) 2016-09-15

Family

ID=54400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1812 WO2016144021A1 (ko) 2015-03-11 2016-02-24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036534A1 (ko)
JP (1) JP2018511453A (ko)
KR (1) KR101562039B1 (ko)
CN (1) CN107405488A (ko)
WO (1) WO20161440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039B1 (ko) * 2015-03-11 2015-10-20 주식회사 파이오메드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KR101663499B1 (ko) 2016-02-01 2016-10-07 주식회사 썬플라워즈 컴퓨터 수행 가능한 위급 상황 알림 방법
WO2017195234A1 (ja) * 2016-05-13 2017-11-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生体情報取得装置
KR102578230B1 (ko) * 2016-05-31 2023-09-14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복합 자극 장치
CN109661251A (zh) * 2016-05-31 2019-04-19 斯高弗盖斯特实验室公司 神经刺激装置和方法
JP1612628S (ko) * 2017-12-19 2018-09-03
US11491081B2 (en) * 2019-02-25 2022-11-08 Sense Relief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nausea and vomiting
USD931276S1 (en) * 2019-08-20 2021-09-21 Lg Display Co., Ltd. Smart watch
US10762764B1 (en) * 2019-11-10 2020-09-01 Tomanika King Biometric monitoring system
CN111558133B (zh) * 2019-12-31 2021-12-03 未来穿戴技术有限公司 颈部按摩仪
US11478606B1 (en) 2020-01-08 2022-10-25 New Heights Energy, LLC Wearable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therapy to a user and/or for 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KR102285514B1 (ko) * 2021-04-08 2021-08-05 주식회사 에스티에스비즈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2587B1 (ko) * 1988-04-21 1998-07-01 가롤드 지. 브레잇 구토 제어 장치
JP2004535235A (ja) * 2001-06-29 2004-11-25 アボット・ラボラトリーズ D字型刺激電極を備えた電気鍼装置
KR20090081769A (ko) * 2008-01-25 2009-07-29 이환 원격 휴대용 모니터링 장치
KR20120087633A (ko) * 2011-01-28 2012-08-07 김한규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이를 포함하는 통신 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의료 시스템
KR20120007148U (ko) * 2011-04-08 2012-10-17 황주영 저주파 자극을 이용한 오심?구토 제어장치
KR101562039B1 (ko) * 2015-03-11 2015-10-20 주식회사 파이오메드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5757U (ja) * 1983-02-28 1984-09-11 ブラウン株式会社 低周波治療器
US20040059387A1 (en) * 2002-09-25 2004-03-25 Tsung-I Yu Low frequency acupuncture point electrically stimulating device
JP2007068771A (ja) * 2005-09-07 2007-03-22 Citizen Watch Co Ltd 生体情報測定装置
US9937355B2 (en) * 2010-11-08 2018-04-10 Zoll Medical Corporation Remote medical device alar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2587B1 (ko) * 1988-04-21 1998-07-01 가롤드 지. 브레잇 구토 제어 장치
JP2004535235A (ja) * 2001-06-29 2004-11-25 アボット・ラボラトリーズ D字型刺激電極を備えた電気鍼装置
KR20090081769A (ko) * 2008-01-25 2009-07-29 이환 원격 휴대용 모니터링 장치
KR20120087633A (ko) * 2011-01-28 2012-08-07 김한규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이를 포함하는 통신 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의료 시스템
KR20120007148U (ko) * 2011-04-08 2012-10-17 황주영 저주파 자극을 이용한 오심?구토 제어장치
KR101562039B1 (ko) * 2015-03-11 2015-10-20 주식회사 파이오메드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11453A (ja) 2018-04-26
US20180036534A1 (en) 2018-02-08
KR101562039B1 (ko) 2015-10-20
CN107405488A (zh) 201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44021A1 (ko)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WO2012138169A2 (ko) 오심·구토 제어용 저주파 전기 자극 신호 발생장치
WO2017142277A1 (ko) 임산부 배뭉침 및 태동을 측정하고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2033244A1 (ko) 자가진찰방법 및 자가진찰장치
WO2012060588A2 (ko) 휴대용 맥박 측정기
WO2012108736A2 (ko) 수면 유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5076462A1 (ko)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7026607A2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수면관리 및 수면효율 연산 방법
US20160150958A1 (en) Live holter
WO2018097617A1 (ko) 손목 혈압계
WO2017119566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5037763A1 (ko) 에어 마사지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제어 단말
WO2016140408A1 (ko) 수면 유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면 관리 시스템
WO2022173103A1 (ko)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CN111387984A (zh) 一种一次性鼻塞内智能监测呼吸频次气流感应器
WO2022211248A1 (ko)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16200202A2 (ko) 흉부 압박을 보조하는 장치 및 그 방법
US20210338145A1 (en) Fetal Monitoring Device
Kumaravel Smart healthcare with sensors and wireless body area networking
KR20180047115A (ko) 재난현장 응급구조사 착용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WO20192121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ersonalized healthcare advice
KR101849857B1 (ko)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
WO2018174328A1 (ko) 정보수집 인터페이스 기반 패시브 패치를 이용한 센싱 시스템 및 센싱 방법
WO2018199678A1 (ko) 양성돌발체위현훈의 자가 진단 및 치료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21194102A1 (ko) 배뇨일지 기반의 피드백 자극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76190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567027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557186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COMMUNICATION NOT DELIVERED.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05.02.2018)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76190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