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857B1 -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857B1
KR101849857B1 KR1020160168475A KR20160168475A KR101849857B1 KR 101849857 B1 KR101849857 B1 KR 101849857B1 KR 1020160168475 A KR1020160168475 A KR 1020160168475A KR 20160168475 A KR20160168475 A KR 20160168475A KR 101849857 B1 KR101849857 B1 KR 101849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chest
neckband
body temperature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8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호
김철우
강재석
Original Assignee
김준호
김철우
강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호, 김철우, 강재석 filed Critical 김준호
Priority to KR1020160168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8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85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61B5/040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2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목에 착용되고, 양단에 상기 착용자의 흉부에 도달하는 접촉부가 각각 마련되는 넥밴드; 상기 접촉부 각각에 마련되어 상기 흉부에 접촉됨으로써, 착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하도록 하는 한 쌍의 심전도전극; 상기 접촉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흉부에 접촉됨으로써, 착용자의 청진음을 획득하도록 하는 청진센서; 상기 접촉부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흉부에 접촉됨으로써, 착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도록 하는 체온센서; 상기 넥밴드에 마련되어 외부 기기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무선통신모듈; 상기 심전도전극, 상기 청진센서 및 상기 체온센서를 통해 얻어지는 데이터를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기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기 위해 상기 넥밴드에 마련되는 제어부; 및 상기 넥밴드에 설치되어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도록 한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내지 착용과 사용의 편의성과 진단의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고, 노인이나 만성질환자의 생체데이터를 자동으로 취득 및 기록할 수 있도록 하여, 이들의 장기적인 건강상태의 변화 징후를 모니터하는 과학적인 진료와 케어에 의해 의료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환자와의 비접촉에 의한 환자 상태의 모니터링을 가능하도록 하여, 감염성 전염병 환자의 안전한 관리를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Wearable living body diagnosis device}
본 발명은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내지 착용 뿐만 아니라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노인이나 만성질환자의 장기적인 건강상태의 변화 징후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환자와의 비접촉에 의한 환자 상태의 모니터링을 가능하도록 하는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강관리를 위해서, 혈압 측정을 위해서는 혈압계, 혈당 측정을 위해서는 혈당계, 맥박 측정을 위해서는 맥박계, 운동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만보계, 디지털 데이터의 이동을 위해서는 휴대용 저장장치와 같은 개별적인 장치를 활용해 왔다. 또한 최근 건강관리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러한 정보들을 전문적으로 전송받아서 개별 건강을 관리해주는 건강관리 서비스업체들도 등장하고 있다.
향후 해당 병원에서 한번 이상 진료한 환자들을 적극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지속적인 환자의 다양한 생체정보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서비스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다양한 생체 정보를 개별적인 기기에 의존해서 측정하던 방식만으로는 매우 어려움이 많다. 예를 들면 해외 출장 중이거나 아니면 오랫동안 산간벽지 등에서 활동해야 하는 사람, 매일 주기적으로 생체 정보를 측정할 필요가 있는 사람들에게는 각종 측정을 위한 개별 장치를 모두 다 가지고 다녀야 하는 어려움과 불편함이 따른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0336호의 "휴대용 생체정보측정장치"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혈당 및 맥박, 혈압, 체온 등과 같은 다양한 생체 정보 중 두 가지 이상의 생체정보측정이 가능한 생체 정보 측정 블록과 측정된 생체정보를 저장하는 시스템 메모리 영역과 사용자가 임의의 데이터를 기록 및 읽어 낼 수 있는 사용자 메모리 영역을 갖춘 비휘발성 메모리 블록, 각종 통신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USB 인터페이스 블록, 내부정보 및 Key 입력을 도와주는 Display 블록과 Key 입력 블록,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MCU블록, 장치의 독립적인 동작을 위한 전원 블록을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휴대용이기는 하나, 휴대 내지 착용 등의 편의성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적 사상이 제시되어 있지 않고, 그 사용의 편의성 증대에 한계를 가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 내지 착용 뿐만 아니라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노인이나 만성질환자의 생체데이터를 자동으로 취득 및 기록할 수 있도록 하여, 이들의 장기적인 건강상태의 변화 징후를 모니터하는 과학적인 진료와 케어로 의료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환자와의 비접촉에 의한 환자 상태의 모니터링을 가능하도록 하여, 감염성 전염병 환자의 안전한 관리를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착용자의 목에 착용되고, 양단에 상기 착용자의 흉부에 도달하는 접촉부가 각각 마련되는 넥밴드; 상기 접촉부 각각에 마련되어 상기 흉부에 접촉됨으로써, 착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하도록 하는 한 쌍의 심전도전극; 상기 접촉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흉부에 접촉됨으로써, 착용자의 청진음을 획득하도록 하는 청진센서; 상기 접촉부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흉부에 접촉됨으로써, 착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도록 하는 체온센서; 상기 넥밴드에 마련되어 외부 기기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무선통신모듈; 상기 심전도전극, 상기 청진센서 및 상기 체온센서를 통해 얻어지는 데이터를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기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기 위해 상기 넥밴드에 마련되는 제어부; 및 상기 넥밴드에 설치되어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넥밴드는, 착용자의 뒤쪽 목부위에 위치하는 중심부에 상기 무선통신모듈,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가 수용되는 장착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심전도전극은, 상기 접촉부에서 상기 흉부에 접촉되는 면에서 중심부에 위치하는 상기 청진센서 또는 상기 체온센서의 둘레를 감싸는 링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에 의하면, 휴대 내지 착용과 사용의 편의성과 진단의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고, 노인이나 만성질환자의 생체데이터를 자동으로 취득 및 기록할 수 있도록 하여, 이들의 장기적인 건강상태의 변화 징후를 모니터하는 과학적인 진료와 케어에 의해 의료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환자와의 비접촉에 의한 환자 상태의 모니터링을 가능하도록 하여, 감염성 전염병 환자의 안전한 관리를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의 착용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의 접촉부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100)는 넥밴드(110), 심전도전극(121,122), 청진센서(130), 체온센서(140), 무선통신모듈(150), 제어부(160) 및 배터리(1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넥밴드(110)는 착용자의 목에 착용되고, 양단에 착용자의 흉부에 도달하는 접촉부(111,112)가 각각 마련된다. 넥밴드(110)는 착용자의 뒤쪽 목부위에 위치하는 중심부에 무선통신모듈(150), 제어부(160) 및 배터리(170)가 수용되는 장착부(113)가 마련될 수 있다. 장착부(113)는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일종의 케이싱 내지 하우징으로서, 커버나 분할구조 등에 의해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심전도전극(121,122)은 도전성 재질로서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접촉부(111,112) 각각에 마련되어 흉부에 접촉됨으로써, 착용자의 흉부 피부에서 심전도 신호의 감지를 통해서 심전도를 측정하도록 하며, 각각이 심전도 P전극과 심전도 N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청진센서(130)는 접촉부(111,112)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흉부에 접촉됨으로써, 착용자의 생체 진동을 감지하여 청진음을 획득하도록 한다. 이러한 청진센서(130)는 청진음의 획득을 위하여 마이크로폰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체온센서(140)는 접촉부(111,112)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흉부에 접촉됨으로써, 착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도록 하며, 이를 위해 일종의 온도센서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150)은 넥밴드(110)에 마련되어 외부 기기(1,2)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일례로 넥밴드(110)의 장착부(113)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150)은, 일례로 Wi-Fi, 3G, LTE 등과 같이 통신망을 통해 외부 기기(1,2)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외부 기기(1,2)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100)를 통해서 착용자의 생체신호를 획득하여, 이를 수치 내지 그래프로 출력하는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 등의 설치 및 구동을 가능하도록 하고, 나아가서, 무선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PC(1)나 스마트폰(2) 등을 비롯하여, 노트북, 태블릿PC 등의 다양한 통신 및 정보 처리 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심전도전극(121,122), 청진센서(130) 및 체온센서(140)를 통해 얻어지는 데이터를 무선통신모듈(150)을 통해 외부 기기(1,2)에 전송하도록 제어하기 위해 넥밴드(110)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PCB 내지 전자소자 등으로 구성되어 넥밴드(110)의 장착부(113)에 수용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일례로 심전도전극(121,122), 청진센서(130) 및 체온센서(140)를 통해 얻어지는 신호를 그대로 데이터로 하여 외부 기기(1,2)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기기(1,2)가 이러한 데이터를 가공하여 심전도, 청진음, 호흡수, 맥박수, 체온 등과 같은 생체신호를 직접 산출하여 원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 및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제어부(160)는 다른 예로서, 심전도전극(121,122), 청진센서(130) 및 체온센서(140)를 통해 얻어지는 신호로부터 심전도, 청진음, 호흡수, 맥박수, 체온 등의 생체신호를 산출하여, 이를 데이터로서 외부 기기(1,2)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기기(1,2)가 이러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및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배터리(170)는 넥밴드(110), 예컨대 장착부(113)에 설치되어, 동작에 필요한 전원, 예컨대 심전도전극(121,122), 청진센서(130), 체온센서(140), 무선통신모듈(150) 및 제어부(160) 등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배터리(170)는 일례로 충전회로부에 의해 충전됨과 아울러 전원제어회로에 의해 원하는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충전지이거나, 그 밖에 교체가 가능한 코인형 건전지를 비롯하여 다양한 구조나 형태의 건전지일 수 있다. 배터리(170)는 충전지인 경우, 충전 전원을 공급받기 위하여, 장착부(113)에 충전용 커넥터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100)는 넥밴드(110)의 장착부(113) 또는 그 밖의 넥밴드(110) 내의 다양한 위치에 조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이나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부(181)가 마련될 수 있고, 제어부(160)가 심전도전극(121,122), 청진센서(130) 및 체온센서(140)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부(182)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동작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LED 등의 표시부(183)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조작부(181)는 예컨대, 동작의 온(on)/오프(off)나, 무선통신을 위한 페어링 내지 연결 등의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심전도전극(121,122)은 접촉부(111,112)에서 흉부에 접촉되는 면에서 중심부에 위치하는 청진센서(130) 또는 체온센서(140)의 둘레를 감싸는 링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접촉부(111,112)에서 왼쪽 흉부에 위치하는 접촉부(112)에는 심전도전극(121,122) 중 심전도 P전극(121)이 중심부에 위치하는 청진센서(130)의 둘레를 깜싸는 링형태로 이루어지고, 오른쪽 흉부에 위치하는 접촉부(111)에는 심전도전극(121,122) 중 심전도 N전극(122)이 중심부에 위치하는 체온센서(140)의 둘레를 감싸는 링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반드시 한하는 것은 아니며, 그 설치 위치를 달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는 청진음과 바이탈사인(기초 활력징후) 데이터를 얻기 위한 웨어러블형 센서디바이스로서, 노약자들에서 흔히 발생되는 호흡기 질환의 진단에 효과적인 센서디바이스에 해당하며, 이를 이용한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에 도움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심전도전극(121,122), 청진센서(130) 및 체온센서(140)에서 감지된 데이터는 무선통신방식으로 외부 기기(1,2)의 일종인 병원 내 관리자의 모니터에서 현재 값과 누적된 데이터를 그래프로도 비교하여, 환자의 변화 상태를 쉽게 모니터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렇게 취득된 데이터만 보더라도 환자를 옆에서 간호하는 것과 같이, 간밤에 열은 많이 오르지 않았는지? 기침은 어땠는지, 숨소리는 고르게 하는지, 등을 본 데이터만으로도 환자의 상태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간호에 효율적인 장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국내외를 막론하고, 노인인구의 증가와 노인의 의료이용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효율적이며, 과학적인 방법으로 노인의 건강관리가 요구되는 시점에서, 본 발명의 활용은 국내외 요양기관의 노인환자 생체 모니터용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수집된 데이터는 직접적인 질병의 경중을 판단하는 자료라기보다, 노화로 인하여 시간이 갈수록 저하되는 체력 변화를 누적데이터로서 관리함으로써, 예상되는 질병의 징후나 생체의 변화주기를 진단하여 예방적인 처치를 하기위한 수단으로서,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헬스 케어를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택에서도 천식과 같은 만성질환자의 지속적인 모니터에도 효과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현재 정부에서 시행초기에 있는 원격진료의 가정용 디바이스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내지 착용과 사용의 편의성과 진단의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고, 노인이나 만성질환자의 생체데이터를 자동으로 취득 및 기록할 수 있도록 하여, 이들의 장기적인 건강상태의 변화 징후를 모니터하는 과학적인 진료와 케어에 의해 의료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환자와의 비접촉에 의한 환자 상태의 모니터링을 가능하도록 하여, 감염성 전염병 환자의 안전한 관리를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넥밴드 111,112 : 접촉부
113 : 장착부 121,122 : 심전도전극
130 : 청진센서 140 : 체온센서
150 : 무선통신모듈 160 : 제어부
170 : 배터리 181 : 조작부
182 : 메모리부 183 : 표시부

Claims (3)

  1. 착용자의 목에 착용되고, 양단에 상기 착용자의 흉부에 도달하는 접촉부가 각각 마련되는 넥밴드;
    상기 접촉부 각각에 마련되어 상기 흉부에 접촉됨으로써, 착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하도록 하는 한 쌍의 심전도전극;
    상기 접촉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흉부에 접촉됨으로써, 착용자의 청진음을 획득하도록 하는 청진센서;
    상기 접촉부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흉부에 접촉됨으로써, 착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도록 하는 체온센서;
    상기 넥밴드에 마련되어 외부 기기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무선통신모듈;
    상기 심전도전극, 상기 청진센서 및 상기 체온센서를 통해 얻어지는 데이터를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기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기 위해 상기 넥밴드에 마련되는 제어부; 및
    상기 넥밴드에 설치되어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전원공급부;
    를 포함하고,
    상기 심전도전극은,
    상기 접촉부에서 상기 흉부에 접촉되는 면에서 중심부에 위치하는 상기 청진센서 또는 상기 체온센서의 둘레를 감싸는 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넥밴드는,
    착용자의 뒤쪽 목부위에 위치하는 중심부에 상기 무선통신모듈,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가 수용되는 장착부가 마련되는,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
  3. 삭제
KR1020160168475A 2016-12-12 2016-12-12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 Active KR101849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475A KR101849857B1 (ko) 2016-12-12 2016-12-12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475A KR101849857B1 (ko) 2016-12-12 2016-12-12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9857B1 true KR101849857B1 (ko) 2018-04-18

Family

ID=62082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8475A Active KR101849857B1 (ko) 2016-12-12 2016-12-12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8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61759A (zh) * 2020-07-27 2022-02-18 上海克为计算机科技有限公司 一种防接触式红外线测温枪
CN115153580A (zh) * 2022-07-29 2022-10-11 广东粤港澳大湾区国家纳米科技创新研究院 一种用于胎儿心电监测的皮肤阻抗测量方法和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14142A1 (en) * 2012-10-19 2014-04-24 Emanuel Shaoulian Intelligent patient monitor pendant
US20140187976A1 (en) * 2012-12-31 2014-07-03 Perminova Inc. Body-worn sensor for characterizing patients with heart fail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14142A1 (en) * 2012-10-19 2014-04-24 Emanuel Shaoulian Intelligent patient monitor pendant
US20140187976A1 (en) * 2012-12-31 2014-07-03 Perminova Inc. Body-worn sensor for characterizing patients with heart failur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61759A (zh) * 2020-07-27 2022-02-18 上海克为计算机科技有限公司 一种防接触式红外线测温枪
CN114061759B (zh) * 2020-07-27 2023-12-12 上海克为计算机科技有限公司 一种防接触式红外线测温枪
CN115153580A (zh) * 2022-07-29 2022-10-11 广东粤港澳大湾区国家纳米科技创新研究院 一种用于胎儿心电监测的皮肤阻抗测量方法和系统
CN115153580B (zh) * 2022-07-29 2025-05-27 广东粤港澳大湾区国家纳米科技创新研究院 一种用于胎儿心电监测的皮肤阻抗测量方法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9022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생체 신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US11207025B1 (en) Multi-sided PCB for contact sensing
US20170319082A1 (en) Phono-Electro-Cardiogram Monitoring Unit
CN105361865B (zh) 可穿戴的生物特征信息测量装置
EP3048954B1 (en) Providing a personal mobile device-triggered medical intervention
EP2001354B1 (en) Physiologic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Kumar et al. A design approach to smart health monitoring using android mobile devices
US20120203076A1 (en) Portable Physiological Data Monitoring Device
JP2018149355A (ja) 監視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20160029905A1 (en) Physiologic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US20120220835A1 (en) Wireless physiological sensor system and method
WO2018099426A1 (zh) 心电监测装置及其血压监测系统
US20060264767A1 (en) Programmable ECG sensor patch
KR102391913B1 (ko) 생체 정보 측정 장치
US10667687B2 (en) Monitoring system for physiological parameter sensing device
KR102606782B1 (ko)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장치
JP2019509151A (ja) 自立型eeg記録システム
CN103919539A (zh) 一种人体生理状况监测眼镜
RU128469U1 (ru) Мобильное диагнос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Trobec et al. Commercial ECG systems
US20220395225A1 (en) Modular wristband and sensor system
EP3687393B1 (en)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physiological data monitoring of patients
KR101849857B1 (ko)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
Wu et al. A mobile-phone-based health management system
KR102471204B1 (ko) 인체 신호 검출 헤드셋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4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