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2709A - 맞춤형 건강정보 제공기능을 갖는 스마트기기용 웨어러블 모듈 - Google Patents

맞춤형 건강정보 제공기능을 갖는 스마트기기용 웨어러블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2709A
KR20160072709A KR1020140180698A KR20140180698A KR20160072709A KR 20160072709 A KR20160072709 A KR 20160072709A KR 1020140180698 A KR1020140180698 A KR 1020140180698A KR 20140180698 A KR20140180698 A KR 20140180698A KR 20160072709 A KR20160072709 A KR 20160072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smart device
sensing
inform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0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칠수
Original Assignee
(주)트론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트론트 filed Critical (주)트론트
Priority to KR1020140180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2709A/ko
Publication of KR20160072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27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28/00Surgery
    • Y10S128/90Blood pressure record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자세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수득, 및 분석하여서, 착용자가 수득된 자세정보들을 분석한 맞춤형 건강정보를 착용자에게 제공하는 맞춤형 건강정보 제공기능을 갖는 스마트기기용 웨어러블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관리앱이 설치된 스마트기기에, 착용자의 자세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웨어러블 모듈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모듈은, 착용자 신체에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 1 센싱모듈과 제 2 센싱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각 센싱모듈은,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경사각을 계측하는 자이로 센서와; 상기 착용자의 이동 가속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와; 상기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통해 감지된 자세 및 이동정보를 페어링된 스마트기기에 무선 전송하는 통신유닛과; 상기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 및 통신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및 기동전류를 공급하는 전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기기의 관리앱은, 각 센싱모듈에서 실시간으로 계측되어 무선 제공되는 자세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분석 데이터에 대입시켜서 맞춤형 건강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맞춤형 건강정보 제공기능을 갖는 스마트기기용 웨어러블 모듈{Wearable module for smart device having function of providing customized healthcare information}
본 발명은 맞춤형 건강정보 제공기능을 갖는 스마트기기용 웨어러블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자세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수득, 및 분석하여서, 착용자가 수득된 자세정보들을 분석한 맞춤형 건강정보를 착용자에게 제공하는 맞춤형 건강정보 제공기능을 갖는 스마트기기용 웨어러블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진국을 중심으로 장애인의 적극적인 활동이나 독립적인 활동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관련 장치가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장애인 수의 증가와 고령화로 지체가 부자유한 환자는 더욱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병원이나 피트니스(fitness) 센터나 헬스(health) 클럽 등을 통하거나 일반 가정에서 상시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반의 재활훈련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국내에서 개인 중심의 상용화된 제품이 없고, 재활치료에 사용되는 유사 제품은 대부분 수입품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선진국과 대비하여 재활훈련에 관한 이론적 기술 격차는 없지만, 재활훈련 관련 제품이나 시스템은 선진국 대비 85% 이상의 수준에 도달하고 있다.
종래 재활훈련 관련기술은 특허공개공보 제10-2010-0079350호의 의복형 근전도 및 기능적 전기 자극 시스템으로, 안감과 겉감의 탄력적 소재로 내측의 피부와 접촉되는 부분에 자극 전극들과 근전도 전극들이 장착되어 있다.
이는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고 기능적 전기 자극을 수행할 수 있는 근전도 및 기능적 전기 자극용 의복이다. 상기 기술은 의복에 근전도 전극과 자극 전극이 장착되어 있어 사용자의 활용도가 낮은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등록공보 제 10-0546485호의 근전도 조절식 휴대용 전기자극기는 하지 또는 상지마비 환자 등에게 환자 스스로가 근전도 레벨 기준치 이상의 힘을 가했을 때 전기를 가하여 근육을 수축하도록 타이밍을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은 근전도 레벨 기준치 이상을 감지하거나 타이밍을 조절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해마다 의료기관별 재활훈련 관련기술의 수요는 증가하고 있지만, 그 치료기술이 단순하여 다양한 질병과 증상을 포괄적으로 치료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의 자세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수득, 및 분석하여서, 착용자가 수득된 자세정보들을 분석한 다양한 맞춤형 건강정보를 착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간편한 착용성과 조작성을 갖는 맞춤형 건강정보 제공기능을 갖는 스마트기기용 웨어러블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건강정보 제공기능을 갖는 스마트기기용 웨어러블 모듈은,
관리앱이 설치된 스마트기기에, 착용자의 자세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웨어러블 모듈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모듈은, 착용자 신체에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 1 센싱부와 제 2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센싱부는,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경사각을 계측하는 자이로 센서와; 상기 착용자의 이동 가속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와; 상기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통해 감지된 자세 및 이동정보를 페어링된 스마트기기에 무선 전송하는 통신유닛과; 상기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 및 통신유닛의 구동; 및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및 기동전류를 공급하는 전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기기의 관리앱은, 각 센싱부에서 실시간으로 계측되어 무선 제공되는 자세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분석 데이터에 대입시켜서 맞춤형 건강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센싱부의 하우징은 일면에 강자성면이 형성되어 의복의 내벽 일지점에 배치되고, 상기 내벽에 센싱모듈의 하우징이 배치된 의복의 표면 일지점에는 영구자석이 배치된 자성편이 배치되어서,
상기 센싱부의 하우징은, 하우징의 강자성면과 자성편의 영구자석 사이에 형성되어 의복을 투과하여 형성되는 자기 결합력에 의해 의복의 일지점에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유닛과 전원유닛 사이에는 상호 근접된 상태로 평행하여 배치되는 전원유닛의 전원단자와 제어유닛의 스위칭 단자를 포함하는 스위칭 유닛이 배치되고,
상기 스위칭 단자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져 자성편을 통한 센싱부를 의복의 일지점에 고정하면, 상기 자성편에서 발산되는 영구자석에 의해 스위칭 단자는 굽힘되어서 전원단자와 연결되어서, 전원유닛에 축전된 기동전류가 제어유닛에 공급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착용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9축모션센서모듈과 모션센서감지형 스마트기기 어플을 통해 스마트기기 화면상에서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모션을 체크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모듈은 작고 착용 및 구동이 간단하므로, 재활이나 생활분야 뿐 아니라, 휘트니스, 야구, 양궁 등의 다양한 운동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또한, 착용자는 맞춤형 건강정보를 통해서,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스스로 운동하면서 본인이 자가로 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세 교정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모듈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세 교정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모듈을 구성하는 센싱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세 교정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모듈의 착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세 교정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모듈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고정상태 및 스위칭 유닛의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맞춤형 건강정보 제공기능을 갖는 스마트기기용 웨어러블 모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세 교정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모듈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세 교정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모듈을 구성하는 센싱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세 교정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모듈의 착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세 교정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모듈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고정상태 및 스위칭 유닛의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세 교정기능을 갖는 스마트 기기용 웨어러블 모듈(1)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착용자의 신체 각 지점에 간편하게 설치되어 착용자 신체의 자세 정보를 취득하는 것으로, 상기 취득된 자세 정보들은 관리앱이 설치된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100)에 전송되며, 스마트기기(100)는 관리앱을 통해 상기 자세정보들을 토대로 착용자의 맞춤형 운동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기기(100)의 관리앱은 웨어러블 모듈(1)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되어 무선 전송되는 자세 정보들을 분석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에 대입시켜서, 상기 측정된 자세 정보들을 토대로 추출된 맞춤형 운동 정보를 추출 및 착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착용자의 자세정보를 토대로 추출된 맞춤형 운동 정보는 시간대별 자세정보, 칼로리 소모량, 이동거리, 이동속도 등을 포함하며, 착용자는 상기 스마트기기를 통해 제공되는 맞춤형 운동정보에 포함된 교정정보와, 이에 따른 교정 운동정보를 통해 건강을 관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관리앱은 스마트기기에 내장된 GPS 유닛 등에서 제공되는 위치 정보나 시간 정보를 각 센싱모듈에서 제공되는 자세정보에 부가하여, 보다 다양하고 정밀한 맞춤형 운동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착용자의 자세정보를 추출하는 웨어러블 모듈(1)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착용자 신체의 좌측 일지점에 배치되는 제 1 센싱부(10A)와; 착용자 신체의 우측 일지점에 배치되는 제 2 센싱부(10B)를 포함하여, 상기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 1 센싱부(10A)와 제 2 센싱부(10B)에 의해 착용자의 좌측의 자세정보와 우측의 자세 정보가 독립적으로 측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2와 같이 상기 제 1 센싱부(10A)와 제 2 센싱부(10B)를 포함하는 한 쌍의 센싱부는, 상기 하우징(11) 내에 수용되어 경사각을 계측하는 자이로 센서(13)와; 상기 착용자의 이동 가속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14)와; 상기 자이로 센서(13)와 가속도 센서(14)를 통해 감지된 자세 및 이동정보를 페어링된 스마트기기(100)에 무선 전송하는 통신유닛(15)과; 상기 자이로 센서(13)와 가속도 센서(14) 및 통신유닛(15)을 제어하는 제어유닛(16), 및 기동전류를 공급하는 전원유닛(17)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자이로 센서(13)와 가속도 센서(14)는, 3축, 6축, 9축 등 다양한 형태가 채택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왼쪽모션, 오른쪽모션, 위(up)모션, 아래(down)모션, 정면(forward)모션, 왼쪽 위(LeftUp)모션, 왼쪽 아래(LeftDown)모션, 오른쪽 위(RightUp)모션, 오른쪽 아래(RightDown)모션의 9축의 모션을 계측하는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각 센싱부에 설치하여, 착용자 신체의 좌측과 우측의 자세정보를 보다 정밀하게 측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각 센싱부(10A, 10B)에는 스마트기기(100)의 관리앱이 추출한 교정정보에 의해 착용자 신체의 치료자극를 제공하는 교정유닛(18)이 부가하고 있으며, 상기 교정유닛(18)은 진동을 통해 치료 자극을 제공하는 진동모터, 고주파를 통해 치료자극을 제공하는 고주파 발생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센싱부(10A)와 제 2 센싱부(10B)는, 착용자 신체의 좌측과 우측의 기울기와 가속도 변화를 포함하는 착용자 좌측 신체와 우측 신체의 자세정보들을 실시간으로 계측하고, 상기 계측된 자세정보들은 통신유닛(15)을 통해 페어링된 스마트기기(100)로 무선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자세 정보를 전송받은 스마트기기(100)의 관리앱은, 각 센싱부(10A, 10B)에서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자세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분석 데이터에 대입시켜서, 상기 자세정보와 대응되는 맞춤형 건강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상기 관리앱은 제 1 센싱부(10A)와 제 2 센싱부(10B)에 의해 계측되는 자세정보 중, 착용자의 자세 교정이 요구되는 부위의 자세교정을 위한 교정정보를 해당 센싱부(10A, 10B)로 무선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교정정보를 수신한 해당 센싱부(10A, 10B)는 교정정보에 따라 교정유닛(18)을 구동시켜서, 교정을 요하는 착용자 신체의 해당 부위에 치료 자극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웨어러블 모듈(1)을 구성하는 각 센싱부(10A, 10B)에 개량된 착용구조를 마련하여, 착용자가 각 센싱부(10A, 10B)를 의복에 간편하게 장착 내지 착용하도록 한다.
이를 상술하자면, 도 3과 도 4와 같이 상기 각 센싱부(10A, 10B)의 하우징(11)의 일면에 강자성면(11a)을 형성하여 의복(C)의 내벽 일지점에 배치하고, 상기 내벽에 센싱부(10A, 10B)의 하우징(11)이 배치된 의복(C)의 표면 일지점에 영구자석(12a)이 마련된 자성편(12)을 배치한다.
따라서, 상기 센싱부(10A, 10B)는 의복(C) 내벽에 배치된 하우징(11)의 강자성면(11a)과 의복(C) 외벽에 배치된 자성편(12)의 영구자석(12a)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 결합력에 의해서 의복(C)의 일지점에 안정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의복(C)을 투과하는 자기 결합력에 의해 센싱부(10A, 10B)가 의복(C)의 일지점에 고정되도록 구성하면, 센싱부(10A, 10B)의 간편한 착용이 가능하고 센싱부의 반복적인 착용에 따른 의복의 손상이 예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위칭 유닛(19)을 부가하여, 센싱부(10A, 10B)의 탈착에 의해 전원유닛(17)에 축전된 기동전류의 공급이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안하고 있는 스위칭 유닛(19)은, 도 4와 같이 제어유닛(16)과 전원유닛(17) 사이에 상호 근접된 상태로 평행하여 배치되는 전원유닛의 전원단자(19a)와 제어유닛의 스위칭 단자(19b)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면, 상기 스위칭 유닛(19)을 구성하는 전원단자(19a)와 스위칭 단자(19b)는 진공관(19c) 내에 수용되게 배치되어서, 외부 저항 없이 영구자력의 제공여부에 따라 스위칭 상태가 전환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칭 단자(19b)는 하우징(11)이 자성편(12)에서 제공되는 통한 자기 결합력에 의해 의복(C)의 일지점에 고정되면, 상기 자성편(12)에서 발산되는 영구자석(12a)에 의해 스위칭 단자(19b)는 굽힘되어서 전원단자(19a)와 연결되어서, 전원유닛(17)에 축전된 기동전류는 제어유닛(16)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유닛(19a)에서 제어유닛(16)에 기동전류가 공급되면 제어유닛(16)은 각 센서 및 유닛에 기동시켜서, 착용자의 자세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자세정보를 스마트 기기에 무선 전송하여서, 착용자에게 맞춤형 건강정보가 제공되도록 한다.
1. 스마트기기용 웨어러블 모듈
10A, 10B. 센싱부 11. 하우징
11a. 강자성면 12. 부착편
12a. 영구자석 13. 자이로 센서
14. 가속도 센서 15. 통신유닛
16. 제어유닛 17. 전원유닛
18. 교정 유닛 19. 스위칭 유닛
19a. 전원단자 19b. 스위칭 단자
100. 스마트기기

Claims (3)

  1. 관리앱이 설치된 스마트기기에, 착용자의 자세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웨어러블 모듈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모듈은, 착용자 신체에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 1 센싱모듈과 제 2 센싱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각 센싱모듈은,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경사각을 계측하는 자이로 센서와; 상기 착용자의 이동 가속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와; 상기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통해 감지된 자세 및 이동정보를 페어링된 스마트기기에 무선 전송하는 통신유닛과; 상기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 및 통신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및 기동전류를 공급하는 전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기기의 관리앱은, 각 센싱모듈에서 실시간으로 계측되어 무선 제공되는 자세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분석 데이터에 대입시켜서 맞춤형 건강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건강정보 제공기능을 갖는 스마트기기용 웨어러블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센싱모듈의 하우징은 일면에 강자성면이 형성되어 의복의 내벽 일지점에 배치되고, 상기 내벽에 센싱모듈의 하우징이 배치된 의복의 표면 일지점에는 영구자석이 배치된 자성편이 배치되어서,
    상기 센싱모듈의 하우징은, 하우징의 강자성면과 자성편의 영구자석 사이에 형성되어 의복을 투과하여 형성되는 자기 결합력에 의해 의복의 일지점에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건강정보 제공기능을 갖는 스마트기기용 웨어러블 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과 전원유닛 사이에는, 상호 근접된 상태로 평행하여 배치되는 전원유닛의 전원단자와 제어유닛의 스위칭 단자를 포함하는 스위칭 유닛이 배치되고,
    상기 스위칭 단자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져 자성편을 통한 센싱모듈을 의복의 일지점에 고정하면, 상기 자성편에서 발산되는 영구자석에 의해 스위칭 단자는 굽힘되어서 전원단자와 연결되어서, 전원유닛에 축전된 기동전류가 제어유닛에 공급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건강정보 제공기능을 갖는 스마트기기용 웨어러블 모듈.
KR1020140180698A 2014-12-15 2014-12-15 맞춤형 건강정보 제공기능을 갖는 스마트기기용 웨어러블 모듈 KR201600727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698A KR20160072709A (ko) 2014-12-15 2014-12-15 맞춤형 건강정보 제공기능을 갖는 스마트기기용 웨어러블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698A KR20160072709A (ko) 2014-12-15 2014-12-15 맞춤형 건강정보 제공기능을 갖는 스마트기기용 웨어러블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2709A true KR20160072709A (ko) 2016-06-23

Family

ID=56353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0698A KR20160072709A (ko) 2014-12-15 2014-12-15 맞춤형 건강정보 제공기능을 갖는 스마트기기용 웨어러블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270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1458A (ko) * 2016-08-22 2018-03-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환자 관리 시스템
KR20190054223A (ko) * 2017-11-13 2019-05-22 주식회사 휴먼인사이트 3축 센서 기반의 자세 시각화 및 관리 시스템
KR20190112883A (ko) * 2018-03-26 2019-10-08 주식회사 필더세임 손 착용형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1458A (ko) * 2016-08-22 2018-03-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환자 관리 시스템
KR20190054223A (ko) * 2017-11-13 2019-05-22 주식회사 휴먼인사이트 3축 센서 기반의 자세 시각화 및 관리 시스템
KR20190112883A (ko) * 2018-03-26 2019-10-08 주식회사 필더세임 손 착용형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84999A1 (en) Dynamic proprioception
JP7410993B2 (ja) 歩行調整用のシステム及び装置並びにその使用方法
KR101248190B1 (ko)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이를 포함하는 통신 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의료 시스템
KR102390107B1 (ko) 국부 신경 자극
CN108135537A (zh) 用于治疗骨关节炎的系统、装置和方法
CN101951798A (zh) 智能矫形内底
WO2019086997A2 (en) Wearable biofeedback system
US11602478B2 (en) Haptic system for providing a gait cadence to a subject
US11957906B2 (en) External stimulus application system, external stimulus condition determination system, and external stimulus condition determination support server
KR20100079350A (ko) 의복형 근전도 및 기능적 전기자극 시스템
US201800209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yclic motion of a body segment of an individual
KR102166290B1 (ko) 스마트 웨어러블 미세전류 치료기
KR20160072709A (ko) 맞춤형 건강정보 제공기능을 갖는 스마트기기용 웨어러블 모듈
US20180228437A1 (en) Lower limb rehabilitation system
KR20220037419A (ko) 걷기 균형감각 향상, 웨어러블 디바이스 코칭 시스템 및 방법
TWI780752B (zh) 穿戴式設備
KR20170022378A (ko) 맞춤형 건강정보 제공기능을 갖는 스마트기기용 웨어러블 모듈
KR20200118501A (ko) 비-침습적 신경 자극
Hasegawa et al. Pseudo-proprioceptive motion feedback by electric stimulation
Chowdary et al. Implantable electronics: Integration of bio-interfaces, devices and sensors
Pal et al. Wheelchair exercise monitor development platform
Wang et al. The convenient balance evaluation system
TWI685334B (zh) 智慧運動輔具
KR101803715B1 (ko) 휴대용 전자기기 연동 방식의 전기 자극 인가에 의한 수면 장애 개선 기기
Chowdary et al. 3 Implantable Electron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