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6055A -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6055A
KR20160096055A KR1020160095827A KR20160095827A KR20160096055A KR 20160096055 A KR20160096055 A KR 20160096055A KR 1020160095827 A KR1020160095827 A KR 1020160095827A KR 20160095827 A KR20160095827 A KR 20160095827A KR 20160096055 A KR20160096055 A KR 20160096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tch
signal
drug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7079B1 (ko
Inventor
이태규
Original Assignee
이태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규 filed Critical 이태규
Priority to KR1020160095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079B1/ko
Publication of KR20160096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2037/0007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having means for enhancing the permeation of substances through the epidermis, e.g. using suction or depression, electric or magnetic fields, sound wav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1Remote controllers for specific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바이오 패치 및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환자에 부착되되, 내부에 상기 환자의 생체정보신호를 측정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디지털 바이오 패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디지털 바이오 패치, 환자별로 기준건강정보, 최근건강상태정보, 병력정보, 패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저장하며, 디지털 바이오 패치에서 입력되는 정보를 통해 내부 정보를 갱신하는 서버 및 디지털 바이오 패치 외부로 송신된 생체정보신호를 수신하여 서버에 전송하며, 갱신된 정보를 표시하는 스마트 단말을 포함하는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의료용 패치 및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환자를 치료하기 위하여 약물을 투여할 때, 크게 경구 투여와 비경구 투여로 나뉘어진다. 이때, 비경구 투여는 안점막 투여, 비강 투여, 설하 투여, 직장 투여 등의 점막 투여 방식과 정맥 주사, 피하 주사 등의 주사 투여 방식 및 피부 투여 방식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이 중 피부를 통한 약물을 투여하는 방식은 파스류, 패치류 또는 습포제류 등을 이용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245835호(습포제)는 저주파를 이용하여 환부의 피하조직에 자극을 주어 약제의 침투율을 증가시켜 상처를 신속하게 치료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의 경우 약물작용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식을 목적으로 개발된 기술이며, 최근에는 나노패치, 주사제패치, 전자패치 등이 개발되어 주사제를 대체하는 치료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활용 범위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나노패치, 주사제패치, 전자패치 등은 약물작용정도를 확인할 수 없어 약물이 과용되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도포된 약물의 작용 정도를 센싱하여 이를 환자 또는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할 수 있는 디지털 바이오 패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약물 작용 정도가 임계값을 벗어난 경우 사용자 또는 환자에 알려, 사용자 또는 환자가 부착된 패치를 제거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디지털 바이오 패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생체 정보를 습득하여 이를 외부 네트워크에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바이오 패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환자의 피부에 밀착되는 하부면에 약물이 형성된 약물 도포층; 상기 약물 도포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에 형성되어 상기 약물이 상기 환자에 작용하는 정도를 측정하여 약물작용신호를 생성하는 약물작용검출센서부; 상기 제2 지지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약물작용신호가 설정된 임계값 범위를 벗어날 경우 이에 상응하여 패치제거유도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바이오 패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패치제거유도신호 수신 시 설정된 색상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패치제거유도신호 수신 시 설정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바이오 패치는 상기 약물작용검출센서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약물 도포층에 접촉되거나,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약물 도포층을 관통하여 상기 피부에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가 구비된 제1 탐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바이오 패치는 상기 제1 지지부에 형성되어 상기 환자의 생체정보신호를 측정하는 바이오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바이오 패치는 상기 바이오센서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약물 도포층에 접촉되거나,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약물 도포층을 관통하여 상기 피부에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가 구비된 제2 탐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바이오 패치는 상기 생체정보신호 또는 패치제거유도신호를 외부에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에 부착되되, 내부에 상기 환자의 생체정보신호를 측정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디지털 바이오 패치; 상기 환자별로 기준건강정보, 최근건강상태정보, 병력정보, 패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디지털 바이오 패치에서 입력되는 정보를 통해 내부 정보를 갱신하는 서버; 및 상기 디지털 바이오 패치 외부로 송신된 생체정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갱신된 정보를 표시하는 스마트 단말을 포함하는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패치정보는 상기 약물의 주요성분, 상기 디지털 바이오 패치의 제조사 정보, 상기 디지털 바이오 패치 처방일 정보, 상기 디지털 바이오 패치 부착일 정보 및 상기 디지털 바이오 패치의 패치 제거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정보는 상기 환자의 체온, 맥박, 혈당, 피부습도, 심전도신호, 뇌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바이오 패치는 상기 환자의 피부에 밀착되는 하부면에 약물이 형성된 약물 도포층; 상기 약물 도포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에 형성되어 상기 생체정보신호를 측정하는 바이오센서부; 상기 제1 지지부에 형성되어 상기 약물이 상기 환자에 작용하는 정도를 측정하여 약물작용신호를 생성하는 약물작용검출센서부; 상기 제2 지지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약물작용신호가 설정된 임계값 범위를 벗어날 경우 이에 상응하여 패치제거유도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체정보신호 또는 패치제거유도신호를 상기 스마트 단말에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물작용신호는 상기 약물 도포층에 형성된 약물의 농도 정보 또는 상기 디지털 바이오 패치가 부착된 영역의 환자 피부에서 검출되는 약물의 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바이오 패치는 약물의 작용 정도를 측정하고, 임계치 범위를 벗어난 경우 패치를 제거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바이오 패치는 외부에 환자의 생체정보를 전송하고, 치료용으로 사용되는 패치의 내부 약물의 작용 정보를 외부에 전송하여, 전송된 데이터를 용이하게 열람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실시 예에 따른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은 디지털 바이오 패치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업데이트 하고, 업데이트된 정보를 스마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 보호자 또는 사용자(의사)는 편리하게 환자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환자 치료용으로 부착된 디지털 바이오 패치의 약물 임계치 범위를 벗어난 경우 패치 제거 메시지 등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실시 예에 따른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은 디지털 바이오 패치로부터 전송되는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임계치 범위를 벗어난 경우 미리 등록된 통신단말에 전송함으로써, 위험 상황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바이오 패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바이오 패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디지털 바이오 패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바이오센서부에서 생체정보신호 수신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시스템도.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서버 내부에 환자별로 저장된 환자 정보의 저장 테이블과 이에 연동된 패치 정보의 저장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바이오 패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바이오 패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디지털 바이오 패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바이오 패치는 약물 도포층(100), 제1 지지부(200), 제2 지지부(300), 바이오센서부(230), 약물작용검출센서부(220), 제어부(210), 통신모듈(240), 제1 탐침부(250), 제2 탐침부(260) 및 디스플레이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약물 도포층(100)은 디지털 바이오 패치의 하부에 배치된다. 약물 도포층(100)은 피부와 접촉되는 면에 치료를 위한 약물이 도포되며, 피부와 접촉되지 않는 면에는 제1 지지부(200)가 위치한다. 약물 도포층(100)은 환자의 피부에 접촉되므로, 피부에 민감하지 않는 부직포 등의 얇은 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200)는 약물 도포층(100)의 상부에 형성된다. 제1 지지부(200)는 상부면에 바이오센서부(230), 약물작용검출센서부(220), 제어부(210) 및 통신모듈(240)이 부착된다. 제1 지지부(200)는 얇은 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약물이 상부로 침투되지 않도록 코팅된 소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지지부(300)는 제1 지지부(200)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2 지지부(300)는 제1 지지부(200) 상부에 형성된 바이오센서부(230), 약물작용검출센서부(220), 제어부(210) 및 통신모듈(240)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제2 지지부(300)는 상부면에 디스플레이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300)는 제1 지지부(200)와 같이 얇은 막으로 형성되며, 외부의 수분 또는 이물질이 제1 지지부(200)측으로 침투되지 않도록 별도의 코팅처리가 될 수 있다.
약물작용검출센서부(220)는 약물 도포층(100) 또는 환자의 피부에서 검출된 약물의 농도 등을 검출한다. 약물작용검출센서부(220)는 검출된 신호를 통해 약물작용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10)에 전송한다. 약물작용검출센서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농도 측정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약물작용검출센서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부로 이루어진 제1 탐침부(25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탐침부(250)는 제1 지지부(200)를 관통하여 약물 도포층(100) 또는 환자의 피부에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이오센서부(230)는 환자의 체온, 맥박, 혈당, 피부습도, 심전도신호, 뇌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정보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바이오센서부(230)는 디지털 바이오 패치(10)의 부착 위치에 따라 측정되는 생체정보신호가 다르므로, 부착 위치에 따라 다른 종류의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바이오센서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부로 이루어진 제2 탐침부(26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탐침부(260)는 제1 지지부(200)를 관통하여 약물 도포층(100) 또는 환자의 피부에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탐침부(260)는 바이오센서부(230)에 환자의 생체정보가 전달되는 통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약물작용검출센서부(220)와 바이오센서부(230)는 제1 지지부(200) 상부면에 형성된다. 이때, 디지털 바이오 패치(10)는 환자 피부에 부착되는 첩부제 또는 밴드류와 같이 얇은 두께로 형성되므로, 약물작용검출센서부(220)와 바이오센서부(230)는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10)는 약물작용검출센서부(220)에서 입력되는 약물작용신호를 수신하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한다. 제어부(210)는 약물작용신호에 포함된 값이 임계값 범위를 벗어날 경우 패치제거유도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310)에 제공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10)는 수신된 약물작용신호에 포함된 약물의 농도가 임계값 보다 낮을 경우 약물 치료 효과가 낮아 환자가 디지털 바이오 패치를 떼어도 되는 알림 즉, 패치제거유도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수신된 약물작용신호에 포함된 약물의 농도가 임계값 보다 높을 경우 약물에 의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환자가 디지털 바이오 패치를 떼도록 패치제거유도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부(310)와 금속 비아 등의 층간 연결수단을 통해 연결된다.
제어부(210)는 바이오센서부(230)또는 약물작용검출센서부(220)에서 수신되는 신호들을 외부로 출력하도록 후술하는 통신모듈(240)에 제공할 수 있다.
통신모듈(240)은 디지털 바이오 패치(10)의 외부에 생체정보신호 또는 패치제거유도신호 또는 약물작용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모듈(240)은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에서 통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모듈(240)은 블루투스 방식으로 근처의 전자통신단말기(예를 들면, 스마트폰)에 생체정보신호 또는 패치제거유도신호 또는 약물작용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모듈(240)은 블루투스 방식 이외에 지그비 통신방식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방식 등이 적용된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10)와 통신모듈(240)은 제1 지지부(20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어부(210)는 바이오센서부(230) 또는 약물작용검출센서부(220)와 함께 형성되어 두 센서부에서 입력되는 신호가 제어부(210)에 제공될 때, 신호 간섭에 의한 신호 왜곡 현상을 줄일 수 있으며, 신호 망실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와 통신모듈(240)은 상기 바이오센서부(230) 또는 약물작용검출센서부(220)와 같이 얇은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부(310)는 제2 지지부(30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패치제거를 알리는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10)는 패치제거유도신호를 수신하여 설정된 색상 또는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패치제거를 환자 또는 사용자에 알릴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색상을 표시함으로써 패치제거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10)는 액정표시장치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여 색상 또는 메시지를 표시할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지털 바이오 패치(10)는 상기 센서부들(220, 230)과 제어부(210), 통신모듈(240) 및 디스플레이부(310)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전원부(미도시)는 소형 베터리 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바이오센서부(230)는 생체정보신호를 측정하기 위하여 일정 기간 동안 동일한 패턴을 가지는 기본 데이터 세트를 사용한다. 기본 데이터 세트는 외부환경 또는 환자의 건강상태 등에 의해 오차율 또는 공차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오센서부(230)에서 측정되는 신호는 기본 데이터 세트에 오차가 반영된 범위내에서 측정된 신호를 수신한다. 도 4에서 S(x)는 기본 샘플링 주기의 기본 데이터 세트 함수이며, F(x)는 S(x)의 현재 주기에서 평가 데이터를 나타낸 함수이다. 또한, σ(x)는 샘플링 주기의 오차율을 나타낸 함수이다.
바이오센서부(230)는 수학식 1과 같이, 현재 주기에서의 평가 데이터에 상기 오차율을 나타낸 함수가 반영된 평가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술한 생체정보신호를 측정한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이때, 바이오센서부(230)는 측정된 신호가 상기 오차가 반영된 기본 데이터 세트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바이오 패치는 약물의 작용 정도를 측정하고, 임계치 범위를 벗어난 경우 패치를 제거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바이오 패치는 외부에 환자의 생체정보를 전송하고, 치료용으로 사용되는 패치의 내부 약물의 작용 정보를 외부에 전송하여, 전송된 데이터를 용이하게 열람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시스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서버 내부에 환자별로 저장된 환자 정보의 저장 테이블과 이에 연동된 패치 정보의 저장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털 바이오 패치(1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은 디지털 바이오 패치(10), 스마트 단말(20), 서버(30a, 30b) 및 클라이언트 단말(4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단말(20)은 디지털 바이오 패치(10)와 블루투스로 페어링되어 디지털 바이오 패치(10)에서 전송되는 생체정보신호 또는 패치제거유도신호 또는 약물작용신호를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30a, 30b)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20)은 서버(30a, 30b)에서 제공된 환자 정보 또는 패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단말(20)은 미리 서버(30a, 30b)와 통신하여 회원가입 등의 인증 절차를 수행하여야 하며, 별도의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 등을 설치할 수 있다.
최근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 단말(20)은 WiFi 네트워크 또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버(30a, 30b)에 접속한다.
서버(30a, 30b)는 가입된 환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가입된 환자 정보는 도 6에 도시된 정보들 예를 들면, 기준건강정보, 최근건강상태정보, 병력정보, 패치정보 등이 환자 ID별로 저장될 수 있다.
기준건강정보는 환자의 연령, 성별, 체형 등에 따라 분류된 기준건강정보 또는 미리 설정된 기준건강정보(예를 들면, 혈압, 맥박, 혈당수치 등)일 수 있다.
최근건강상태정보는 최근의 진찰 또는 진료 후에 저장된 건강상태정보이다.
병력정보는 환자의 기존 병력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기준건강정보, 최근건강상태정보, 병력정보 등은 기존 병원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자료를 백업 받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환자가 치료받은 병원들로부터 자료를 수신하여 서버(30a, 30b)에 저장할 수 있다.
패치정보는 디지털 바이오 패치(10)의 처방 이력과 임계값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치정보는 약물의 주요성분, 제조사 정보, 처방일 정보, 패치 부착일 정보, 패치 제거일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패치정보는 패치의 크기(가로*세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패치정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패치별 ID가 부여되고, ID에 따라 정보가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여기서, 패치정보는 환자 정보와 연동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테이블은 환자 정보와 연동되지 않고, 각 개별 디지털 바이오 패치를 종류별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치별로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편리하게 처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서버(30a, 30b)는 디지털 바이오 패치(10)에서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반영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업데이트 또는 갱신하고, 그 결과를 디지털 바이오 패치(10)를 부착한 환자 또는 보호자의 스마트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a, 30b)는 디지털 바이오 패치(10)에서 수신된 생체정보신호 또는 패치제거유도신호 또는 약물작용신호를 수신하고, 위험이 예상되는 정보가 수신될 경우에는 미리 등록된 통신단말 등에 위험 알람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서버(30a, 30b)는 디지털 바이오 패치(10)에서 수신된 생체정보신호들이 설정된 기준건강정보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벗어난 수치 정보 등을 미리 설정된 통신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위험 경고 등의 메시지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30a, 30b)는 디지털 바이오 패치(10)에서 수신되는 약물작용신호를 수신하여 임계치 범위를 벗어난 경우 미리 설정된 통신단말에 위험 경고 등의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패치 제거를 안내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단말(40)에서 서버(30a, 30b)에 접속하여 환자 정보를 열람하거나, 업데이트 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40)은 소정의 인증을 수행한 이후, 서버(30a, 30b)에 접속하여 환자 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오류가 발생된 환자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이 실시 예에 따른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은 디지털 바이오 패치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업데이트 하고, 업데이트된 정보를 스마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 보호자 또는 사용자(의사)는 편리하게 환자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환자 치료용으로 부착된 디지털 바이오 패치의 약물 임계치 범위를 벗어난 경우 패치 제거 메시지 등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실시 예에 따른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은 디지털 바이오 패치로부터 전송되는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임계치 범위를 벗어난 경우 미리 등록된 통신단말에 전송함으로써, 위험 상황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디지털 바이오 패치
20: 스마트 단말
30a, 30b: 서버
40: 클라이언트 단말
100: 약물 도포층
200: 제1 지지부
210: 제어부
220: 약물작용검출센서부
230: 바이오센서부
240: 통신모듈
250: 제1 탐침부
260: 제2 탐침부
300: 제2 지지부
310: 디스플레이부

Claims (5)

  1. 환자에 부착되되, 내부에 상기 환자의 생체정보신호를 측정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디지털 바이오 패치;
    상기 환자별로 기준건강정보, 최근건강상태정보, 병력정보, 패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디지털 바이오 패치에서 입력되는 정보를 통해 내부 정보를 갱신하는 서버; 및
    상기 디지털 바이오 패치 외부로 송신된 생체정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갱신된 정보를 표시하는 스마트 단말을 포함하는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정보는
    약물의 주요성분, 상기 디지털 바이오 패치의 제조사 정보, 상기 디지털 바이오 패치 처방일 정보, 상기 디지털 바이오 패치 부착일 정보 및 상기 디지털 바이오 패치의 패치 제거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신호는
    상기 환자의 체온, 맥박, 혈당, 피부습도, 심전도신호, 뇌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바이오 패치는
    상기 환자의 피부에 밀착되는 하부면에 약물이 형성된 약물 도포층;
    상기 약물 도포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에 형성되어 상기 생체정보신호를 측정하는 바이오센서부;
    상기 제1 지지부에 형성되어 상기 약물이 상기 환자에 작용하는 정도를 측정하여 약물작용신호를 생성하는 약물작용검출센서부;
    상기 제2 지지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약물작용신호가 설정된 임계값 범위를 벗어날 경우 이에 상응하여 패치제거유도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체정보신호 또는 패치제거유도신호를 상기 스마트 단말에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작용신호는
    상기 약물 도포층에 형성된 약물의 농도 정보 또는 상기 디지털 바이오 패치가 부착된 영역의 환자 피부에서 검출되는 약물의 농도 정보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60095827A 2016-07-28 2016-07-28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97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827A KR101697079B1 (ko) 2016-07-28 2016-07-28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827A KR101697079B1 (ko) 2016-07-28 2016-07-28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7068A Division KR101697078B1 (ko) 2015-02-04 2015-02-04 디지털 바이오 패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055A true KR20160096055A (ko) 2016-08-12
KR101697079B1 KR101697079B1 (ko) 2017-01-17

Family

ID=56714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827A KR101697079B1 (ko) 2016-07-28 2016-07-28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0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25196A (ja) * 2017-06-27 2020-08-27 エルテーエス ローマン テラピー−ジステーメ アーゲー 自己通知パッ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186A (ko) * 2000-04-17 2001-11-07 김종필 통합의료진단장치
KR20120085065A (ko) * 2011-01-21 2012-07-31 주식회사 플렉스엘시디 착용형 신체진단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신체진단시스템
KR20120087633A (ko) * 2011-01-28 2012-08-07 김한규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이를 포함하는 통신 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의료 시스템
KR20140050374A (ko) * 2012-10-19 2014-04-2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패치형 심전도 측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186A (ko) * 2000-04-17 2001-11-07 김종필 통합의료진단장치
KR20120085065A (ko) * 2011-01-21 2012-07-31 주식회사 플렉스엘시디 착용형 신체진단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신체진단시스템
KR20120087633A (ko) * 2011-01-28 2012-08-07 김한규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이를 포함하는 통신 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의료 시스템
KR20140050374A (ko) * 2012-10-19 2014-04-2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패치형 심전도 측정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25196A (ja) * 2017-06-27 2020-08-27 エルテーエス ローマン テラピー−ジステーメ アーゲー 自己通知パ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079B1 (ko) 201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7916B2 (en) Physiological measurement using wearable device
KR101697078B1 (ko) 디지털 바이오 패치
US10939859B2 (en) Mitigating single point failure of devices in an analyt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s thereof
US10687758B2 (en) Physiological measurement using wearable device
EP3016586B1 (en) Advanced health monitoring system
US201901920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medication dose information
US20190192001A1 (en) Sweat extraction and analysis device
KR100880741B1 (ko) 생체 이벤트 핸들링 시스템, 방법, 및 장치; 모니터링장치 및 프로그램 생성물
JP6008448B2 (ja) 遠隔式生理学的モニタリング
US20100161003A1 (en)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11666218B2 (en) Continuous detection and monitoring of heart arrhythmia using both wearable sensors and cloud-resident analyses
KR101697079B1 (ko)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CN116847899A (zh) 用于可植入监视器的无线通信和节能
WO2010104978A2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f physician notifications
CN106175788A (zh) 血糖检测提醒装置、电子血糖仪
KR102070696B1 (ko) 정보수집 인터페이스 기반 패시브 패치를 이용한 센싱 시스템 및 센싱 방법
KR20180108224A (ko) 정보수집 인터페이스 기반 패시브 패치를 이용한 센싱 시스템 및 센싱 방법
CN106667437A (zh) 一种预测植入式医疗设备手术后并发症的系统
EP4355197A2 (en) Smart intravenous catheter system
ES2920809T3 (es) Dispositivo sensor para detectar al menos un analito en un líquido corporal de un usuario
Kumari et al. Smart Chair for Bio-Medical Applications Using Internet of Things (IoT)
CN115835815A (zh) 改善分析物传感器精确度和故障检测的系统、设备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