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5065A - 착용형 신체진단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신체진단시스템 - Google Patents

착용형 신체진단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신체진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5065A
KR20120085065A KR1020110006467A KR20110006467A KR20120085065A KR 20120085065 A KR20120085065 A KR 20120085065A KR 1020110006467 A KR1020110006467 A KR 1020110006467A KR 20110006467 A KR20110006467 A KR 20110006467A KR 20120085065 A KR20120085065 A KR 20120085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iosignal
display
diagnostic data
diagno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호림
서천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렉스엘시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렉스엘시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렉스엘시디
Priority to KR1020110006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5065A/ko
Publication of KR20120085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0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Wristwatch-typ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7/00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 G04B47/06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with attached measuring instruments, e.g. pedometer, barometer, thermometer or compass
    • G04B47/063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with attached measuring instruments, e.g. pedometer, barometer, thermometer or compass measuring physiological quantities, e.g. pedometers, heart-rate sensors, blood pressure gauges and the like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2Detectors of external physical values, e.g. temperature
    • G04G21/025Detectors of external physical values, e.g. temperature for measuring physiologic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형 신체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신체에 착용 또는 부착되어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바이오센서부; 디스플레이부; 상기 바이오센서부에 감지된 생체신호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신체에 대한 진단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진단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어부를 하우징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일단 또는 양단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하기 위한 착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착용부에 의해 손목에 용이하게 착용이 가능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원거리에 위치한 관리서버에 의해서도 진단대상의 상태에 대한 지속적인 진단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착용형 신체진단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신체진단시스템{WEARABLE BODY CONDITION DIAGNOSYS APPARATUS AND BODY CONDITION DIAGNOSYS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체에 착용될 수 있는 착용형 신체진단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신체진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용 가능한 착용형 신체진단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신체진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기술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이들 기술을 일상에 접목시켜 생활의 편의를 도모하려는 유비쿼터스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심전도, 혈압 등의 생체신호에 의한 신체의 진단은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서 주로 수행되고, 지속적인 생체신호의 수집을 통한 진단이 필요한 경우 의료기관에 상주하든지 주기적으로 의료기관에 다시 방문해서 검사를 받아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종래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진단을 위한 기기를 진단의 대상이 되는 인체에 휴대하거나 벨트와 같은 의복에 착용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 휴대용 진단기기 등은 휴대가 용이하지 않고 최근 구축된 유비쿼터스환경을 활용한 적절한 수단의 개발은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전자 및 통신기술을 응용하여 생체신호의 수집에 의한 진단장치의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최근 유비쿼터스환경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기술구성들을 도입함으로써 진단대상인 신체에 대한 지속적인 진단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착용형 신체진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신체진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신체진단장치는, 신체에 착용 또는 부착되어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바이오센서부; 디스플레이부; 상기 바이오센서부에 감지된 생체신호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신체에 대한 진단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진단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어부를 하우징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일단 또는 양단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하기 위한 착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착용형 신체진단장치는, 관리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1 연동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진단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입력부에 의해 제1 연동동작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생체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진단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된 진단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용형 신체진단장치는, 외부의 분석기기와 연동하기 위한 입출력부와, 상기 분석기기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2 연동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석기기가 상기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진단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연동동작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생체신호를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상기 분석기기에 전달하고 상기 분석기기에서 생성된 진단데이터가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진단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착용형 신체진단장치는,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배치되어 전력을 충전하는 배터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출력부는 USB 인터페이스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배터리부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모듈을 통해 외부의 전원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오센서부는 상기 감지된 생체신호를 변환하여 증폭하는 센서모듈과 상기 센서모듈에 의해 증폭된 생체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생체신호전송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신체의 여러부위로부터 각각 다른 종류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도록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생체신호전송모듈은 상기 복수개의 센서모듈들로부터 감지된 생체신호들을 종류별로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센서모듈들로부터 입력된 생체신호들을 종류별로 저장하는 생체신호DB를 구축하고, 상기 생체신호DB를 기초로 상기 진단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신호 전송모듈은 상기 증폭된 생체신호를 피부 또는 무선을 통해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도록 각각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플렉시블 평판패널과 상기 플렉시블 평판패널에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배치되는 영상신호처리기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신체진단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생체신호를 기초로 진단대상인 신체에 대한 진단데이터를 생성하는 관리서버; 및 신체에 착용 또는 부착되어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바이오센서부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바이오센서부에 감지된 생체신호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신체에 대한 진단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어부를 하우징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일단 또는 양단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하기 위한 착용부를 구비하는 착용형 신체진단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착용형 신체진단장치의 IP주소를 통해 상기 진단대상을 식별하여 상기 식별된 진단대상에 대응하는 분석기준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분석기준을 기초로 상기 수신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식별된 진단대상에 대응하는 상기 진단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신체진단장치는 착용부에 의해 손목에 용이하게 착용이 가능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원거리에 위치한 관리서버에 의해서도 진단대상의 상태에 대한 지속적인 진단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신체진단장치는 진단대상인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착용부에 내장된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부에 의해서도 진단결과를 실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신체진단장치는 착용부와 하우징부가 모듈화되고 착탈가능한 형태로 구현됨으로써 제조 및 정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체진단시스템은 착용형 신체진단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서버에 연결되면 진단대상에 대한 식별이 자동으로 가능하므로 신속한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신체진단장치의 모사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신체진단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바이오센서부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진단시스템의 모사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신체진단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신체진단장치(100)는 바이오센서부(110), 디스플레이부(120), 통신부(130), 입출력부(140), 사용자입력부(150), 배터리부(160), 제어부(170), 하우징부(180) 및 착용부(190)로 이루어진다.
바이오센서부(110)는 진단대상인 신체에 착용되거나 부착되는 형태로 마련되며, 신체로부터 감지된 생체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바이오센서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모듈(112)과 생체신호전송모듈(1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서모듈(112)은 신체의 여러 부위에 착용 또는 부착되어 여러 종류의 생체신호들을 감지하도록 복수개의 센서모듈들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개의 센서모듈(112)은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동맥혈산소포화도(blood oxygen saturation: SpO2), 혈압(blood pressure: BP), 맥파(pluse wave) 등 다양한 생체신호들을 감지하도록 신체의 해당 부위에 착용되거나 패치용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생체신호전송모듈(114)은 감지된 생체신호들은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복수개의 센서모듈(112)들로부터 다른 종류의 생체신호들이 감지된 경우 일단 감지된 생체신호들을 버퍼에 저장하고 버퍼에 저장된 생체신호들을 멀티플렉서를 이용하여 사전에 정해진 주기로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또한 생체신호전송모듈(114)은 센서모듈(112)에 의해 감지되어 증폭된 생체신호를 피부 또는 무선과 같은 통신매체를 통해 제어부(170)로 전송할 수 있다. 피부와 같은 통신매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바이오센서부(110)와 제어부(170)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가 손목에 위치하고 바이오센서부(110)가 손가락에 위치하는 경우 바이오센서부(110)는 증폭된 생체신호를 대략 100 ㎑의 반송파를 이용하여 변조한 후 피부와 접촉된 용량성전극을 사용하여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생략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며, 제어부(170)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외부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평판패널과 평판패널에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신호처리기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의 평판패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180)의 전면에 설치되며 영상신호처리기는 하우징부(180)의 내부에 설치된다. 즉 평판패널은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기 용이하게 착용부(190)의 전면방향에 배치된다. 평판패널은 플렉시블 형태의 LCD패널 또는 OLED패널로 마련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신체진단장치(100)를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서버에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관리서버는 착용형 신체진단장치(100)로부터 송신된 생체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며, 분석된 생체신호를 통해 진단을 위한 진단데이터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착용형 보행서비스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TCP/IP 기반의 인터넷 망을 비롯하여 다양한 통신프로토콜로 구축된 네트워크망을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통신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입출력부(140)는 외부의 분석기기(A)와의 연동을 위해 RS232, RS422, USB(Universal Serial Bus) 등 다양한 규격을 지원하는 입출력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신체진단장치(100)는 입출력부(140)를 통해 분석기기(A)와 연동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의 분석기기(A)가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진단데이터를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한 정보처리장치인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신체진단장치(100)는 입출력부(140)를 통해 외부의 분석기기(A)와의 인터페이스를 설정하여 생체신호를 전달하고, 분석기기(A)로부터 생성된 진단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입출력부(140)가 USB 입출력모듈을 구비한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감지된 생체신호를 외부의 분석기기인 USB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착용형 신체진단장치(100)가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부(160)를 구비한 경우, USB 입출력모듈을 통해 외부의 분석기기(A)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이용해 배터리부(160)를 충전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5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신체진단장치(100)가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연동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키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연동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키가 선택된 경우 사용자입력부(150)는 선택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사용자입력부(150)는 착용형 신체진단장치(100)가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1 연동동작모드와 입출력부(140)를 통해 분석기기(A)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2 연동동작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50)를 통해 동작모드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제어신호가 생성되어 제어부(170)로 전달된다.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부(150)에 의해 연동동작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바이오센서부(110)에 의해 전송된 생체신호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신체에 대한 진단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싱을 자체적으로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자체 생성된 진단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표시한다.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부(150)에 의해 제1 연동동작모드가 선택된 경우, 바이오센서부(110)에 의해 감지된 생체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생체신호를 통신부(130)를 통해 관리서버로 전송한다. 제어부(170)는 통신부(130)를 통해 관리서버로부터 진단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수신된 진단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부(150)에 의해 제2 연동동작모드가 선택된 경우, 바이오센서부(110)에 의해 감지된 생체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생체신호를 입출력부(140)를 통해 분석기기(A)로 전송한다. 제어부(170)는 입출력부(140)를 통해 분석기기(A)로부터 교정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수신된 교정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바이오센서부(110)로부터 여러 종류의 생체신호들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170)는 전송된 생체신호들을 종류별로 저장하여 생체신호DB를 구축한다.제어부(170)는 이와 같이 구축된 생체신호DB를 기초로 자체적으로 진단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제1 연동동작모드가 선택된 경우 생체신호DB로부터 생체신호를 종류별로 추출하여 통신부(130)를 통해 관리서버로 전달하고, 제2 연동동작모드가 선택된 경우 생체신호DB로부터 생체신호를 종류별로 추출하여 입출력부(140)를 통해 분석기기(A)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신체진단장치(100)는 사용자입력부(150)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질적으로 3가지 동작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하우징부(180)는 디스플레이부(120) 및 제어부(170)를 하우징한다. 디스플레이부(120)의 평판패널이 플렉시블한 형태로 마련된 경우 하우징부(180)의 전면은 만곡된 곡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부(180)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부(120)의 영상신호처리기와 제어부(170)가 배치되어 하우징부(180)의 크기는 영상신호처리기 및 제어부(170)의 크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변형된 실시형태로서 착용형 신체진단장치(100)가 제1 및 제2 연동동작모드로만 동작하도록 구현된 경우, 제어부(170)로부터 진단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싱 기능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170)의 크기를 작게 구현할 수 있어 전체적인 하우징부(180)를 컴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다.
착용부(1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175)의 일단에 연결되고 만곡된 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착용부(170)는 몸체(175)를 신체 중 손목에 착용하기 위한 것으로, 손목의 크기에 무관하게 일정한 착용성을 유지하기 위해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18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20)의 평면패널이 배치되고 내부에는 디스플레이부(120)의 영상신호처리기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부(180)의 전면이 곡면의 형태인 경우 평면패널은 플렉시블 형태로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착용부(190)가 하우징부(180)의 일단에 연결된 형태만을 제시하였지만, 착용부(170)는 하우징부(180)의 양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신체진단장치(100)는 손목에 장착되는 형태로서 착용이 용이하며, 손목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사용자가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신체진단장치(100)는 착용부(170)의 물리적 홀딩부재와, 하우징부(180)와 같은 전기적 부분을 별도로 모듈화시키고 착탈가능한 형태로 구현됨으로써 제조 및 정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진단시스템(3)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위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된 내용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체진단시스템(3)은 관리서버(10)와 네트워크(20)를 통해 연결되는 착용형 신체진단장치(30)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착용형 신체진단장치(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착용형 신체진단장치(100)에 대응된다.
관리서버(10)는 네트워크(20)를 통해 착용형 신체진단장치(30)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진단대상인 신체에 대한 진단데이터를 생성하고, 이 생성된 진단데이터를 네트워크(20)를 통해 다시 착용형 신체진단장치(30)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의해 관리서버(10)는 네트워크(20)를 통해 착용형 신체진단장치(30)를 착용한 진단대상인 신체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관리서버(10)는, 진단대상인 신체의 상태의 진단과 관련하여, 진단대상식별부(12)와 진단데이터생성부(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진단대상식별부(12)는 네트워크(20)에 연결된 착용형 신체진단장치(30)의 IP주소를 통해 진단대상을 식별한다. 즉 진단대상식별부(12)는 IP주소를 확인하고 확인된 IP주소를 이용하여 사전에 구축된 진단대상DB로부터 해당하는 진단대상에 대응하는 분석기준을 추출한다.
진단데이터생성부(14)는 위에서 추출된 분석기준을 기초로 수신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식별된 진단대상에 대응하는 진단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진단데이터는 관리서버(10)의 제어에 의해 네트워크(20)를 통해 착용형 신체진단장치(100)로 전송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신체진단시스템(3)은 착용형 신체진단장치(100)가 네트워크(20)를 통해 관리서버(10)에 연결되면 관리서버(10)에 의해 진단대상에 식별이 자동으로 가능하고, 식별된 진단대상에 대응하는 맞춤형 진단을 제공할 수 있다.
10: 관리서버 12: 분석대상식별부
14: 진단데이터생성부 20: 네트워크
30: 착용형 신체진단장치 100: 착용형 신체진단장치
110: 바이오센서부 112: 센서모듈
114: 생체신호전송모듈 120: 디스플레이부
130: 통신부 140: 입출력부
150: 사용자입력부 160: 배터리부
170: 제어부 180: 하우징부
190: 착용부

Claims (10)

  1. 신체에 착용 또는 부착되어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바이오센서부;
    디스플레이부;
    상기 바이오센서부에 감지된 생체신호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신체에 대한 진단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진단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어부를 하우징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일단 또는 양단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하기 위한 착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신체진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형 신체진단장치는, 관리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1 연동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진단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입력부에 의해 제1 연동동작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생체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진단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된 진단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신체진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형 신체진단장치는, 외부의 분석기기와 연동하기 위한 입출력부와, 상기 분석기기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2 연동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석기기가 상기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진단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연동동작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생체신호를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상기 분석기기에 전달하고 상기 분석기기에서 생성된 진단데이터가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진단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신체진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형 신체진단장치는,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배치되어 전력을 충전하는 배터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출력부는 USB 인터페이스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배터리부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모듈을 통해 외부의 전원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신체진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센서부는 상기 감지된 생체신호를 변환하여 증폭하는 센서모듈과 상기 센서모듈에 의해 증폭된 생체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생체신호전송모듈을 구비하는 착용형 신체진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신체의 여러부위로부터 각각 다른 종류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도록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생체신호전송모듈은 상기 복수개의 센서모듈들로부터 감지된 생체신호들을 종류별로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센서모듈들로부터 입력된 생체신호들을 종류별로 저장하는 생체신호DB를 구축하고, 상기 생체신호DB를 기초로 상기 진단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신체진단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전송모듈은 상기 증폭된 생체신호를 피부 또는 무선을 통해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도록 각각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신체진단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플렉시블 평판패널과 상기 플렉시블 평판패널에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배치되는 영상신호처리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신체진단장치.
  9.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생체신호를 기초로 진단대상인 신체에 대한 진단데이터를 생성하는 관리서버; 및
    신체에 착용 또는 부착되어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바이오센서부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바이오센서부에 감지된 생체신호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신체에 대한 진단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어부를 하우징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일단 또는 양단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하기 위한 착용부를 구비하는 착용형 신체진단장치;를 .
    포함하는 신체진단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착용형 신체진단장치의 IP주소를 통해 상기 진단대상을 식별하여 상기 식별된 진단대상에 대응하는 분석기준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분석기준을 기초로 상기 수신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식별된 진단대상에 대응하는 상기 진단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진단시스템.
KR1020110006467A 2011-01-21 2011-01-21 착용형 신체진단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신체진단시스템 KR201200850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467A KR20120085065A (ko) 2011-01-21 2011-01-21 착용형 신체진단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신체진단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467A KR20120085065A (ko) 2011-01-21 2011-01-21 착용형 신체진단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신체진단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065A true KR20120085065A (ko) 2012-07-31

Family

ID=46715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467A KR20120085065A (ko) 2011-01-21 2011-01-21 착용형 신체진단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신체진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506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055A (ko) * 2016-07-28 2016-08-12 이태규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US9787818B2 (en) 2014-09-11 2017-10-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and server
CN108433974A (zh) * 2017-01-22 2018-08-24 宁波幸福妈妈医疗科技有限公司 穿戴式设备和其自动对准穴位的方法及基于穿戴式设备的健康指导系统和其指导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87818B2 (en) 2014-09-11 2017-10-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and server
KR20160096055A (ko) * 2016-07-28 2016-08-12 이태규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CN108433974A (zh) * 2017-01-22 2018-08-24 宁波幸福妈妈医疗科技有限公司 穿戴式设备和其自动对准穴位的方法及基于穿戴式设备的健康指导系统和其指导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3661B1 (en) Wireless charging of a wrist-mounted sensor platform
RU2707819C2 (ru) Набор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концентрации аналита
US10424975B2 (en) Sensor module and kit for determining an analyte concentration
CN107438406A (zh) 用于非侵入地监测生理参数的设备、系统及方法
KR20090060696A (ko)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서비스방법
JP2008508029A (ja) 補助表示装置を備えた検出システム、装置、方法
Al-Barazanchi et al. Innovative technologies of wireless sensor network: The applications of WBAN system and environment
KR20140060164A (ko) 생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 충전 가능한 신발,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건강 관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
Geman et al. Ubiquitous healthcare system based on the sensors network and android internet of things gateway
KR20170083217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5764414A (zh) 用于测量生物信号的方法及装置
KR20120085064A (ko) 착용형 보행분석장치 및 이를 포함한 보행분석시스템
KR101986088B1 (ko) 비정상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85065A (ko) 착용형 신체진단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신체진단시스템
JP2012055679A (ja) 生物感知インタラクティブ装置及びその方法
CN211883766U (zh) 一种心血管疾病远程监护与预警系统
Meng et al. Wearable systems and applications for healthcare
US20220395225A1 (en) Modular wristband and sensor system
Hii et al. Smart phone based patient-centered remote health monitoring applic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
KR20200004165A (ko) 복합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멀티센서 기반 유연 패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합 생체신호 측정방법
Teja et al. A smart wearable system for ecg and health monitoring
KR102471204B1 (ko) 인체 신호 검출 헤드셋 장치
KR20140022215A (ko) U-헬스케어 시스템용 중계 단말기 및 매니저 서버
CN102247125A (zh) 通过生命体征作活体佩戴检测的电子腕带
KR101849857B1 (ko)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