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590A - 체온 알림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체온 알림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590A
KR20170000590A KR1020150089693A KR20150089693A KR20170000590A KR 20170000590 A KR20170000590 A KR 20170000590A KR 1020150089693 A KR1020150089693 A KR 1020150089693A KR 20150089693 A KR20150089693 A KR 20150089693A KR 20170000590 A KR20170000590 A KR 20170000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body temperature
transmitting
measure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9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림
Priority to KR1020150089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590A/ko
Publication of KR20170000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5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온도를 측정하는 체온감지센서(110)와;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체온감지센서(110)에서 측정된 온도를 송신하는 송신수단(120)과;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체온감지센서(110)와 송신수단(120)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130)와; 상기 몸체(100)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100)가 인체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벨크로(210)가 부착된 고정수단(200)을 통해 다양한 사용자들의 신체조건에 맞는 장착과 함께 손쉽게 탈착이 가능하며, 또한, 실시간 또는 일정주기로 측정된 체온을 스마트폰(300)을 통해 확인가능하고, 상기 스마트폰(300)에 설치된 관련 앱을 통해 온도 및 시간설정이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서, 효율적으로 체온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체온 알림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body temperature alar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체온 알림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벨크로가 부착된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원하는 신체부위에 조절가능하게 장착하고, 체온감지센서를 통해 측정된 온도값을 관련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기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측정되면 사용자에게 알람기능을 통해 경고를 발생시키는 체온 알림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여러가지 바이러스로 인해 신종 질병이 증가함에 따라 체온관리의 중요성은 갈수록 부각되고 있다. 특히나, 상대적으로 면역력이 약한 노약자나 어린이들은 보호자의 도움이 필요하기 때문에, 수면 중이나 평상 시에 수시로 체온을 체크하여 보호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공개특허 제10-2012-0087633호에서 패치형 모듈을 구비하여 측정을 원하는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부착하고, 이에 측정된 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의료 전문가에게 통보하거나 또는, 자가 진단 및 자가 치료가 가능한 기술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 몸체 표면의 접착 부위의 특성에 따라 크기나 기능이 상이한 다수의 패치가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측정 시에 번거로운 과정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또한, 관련비용의 증가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수면과정에서 고열과 같은 위급상황이 발생할 확률이 높으나, 이를 측정하기 위해 패치형 모듈을 장시간 부착한다면 접촉력이 떨어지거나 혹은, 피부 알레르기 반응 등을 일으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2-0087633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몸체와 손쉽게 탈부착이 가능한 고정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장착하기에 용이하고 또한, 수면상태에서도 쉽게 이탈되지 않는 체온 알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체온 측정 주기를 설정하고 위험상황 시에 사용자에게 알람을 발생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체온 알림장치 및 그 방법은,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온도를 측정하는 체온감지센서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체온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온도를 송신하는 송신수단과,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체온감지센서와 송신수단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와, 상기 몸체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가 인체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송신수단은 상기 체온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체온을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송신하는 비콘(Beacon)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수단은 사용자의 팔이나 가슴을 감싸 상기 몸체가 고정되도록 하는 띠로 이루어지고 끝단부에는 벨크로(velcro)가 구비된다.
그리고, 인체의 체온을 측정하는 측정단계와 상기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온도를 스마트폰으로 송신하는 송신단계와, 상기 송신단계에 의해 송신된 온도를 수신하는 수신단계와, 상기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된 온도를 기록하는 저장단계와, 상기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상기 판단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수신된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알람을 울리는 알람단계와, 상기 판단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수신된 온도가 설정온도 미만이면 지연시간만큼 경과 한 후에 다시 상기 측정단계가 진행되도록 하는 지연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측정단계 이전에는 사용자가 상기 설정온도를 입력하는 온도설정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지연시간을 입력하는 시간설정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온도설정단계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앱에서 실행되며 0.1도 간격으로 설정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체온을 측정하는 몸체와 이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 나뉘어 구비됨으로서, 오작동이나 마모 시에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최소한의 필수 장치로만 구성되어 휴대가 용이하다.
그리고, 벨크로가 부착되고 둘레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된 고정수단을 통해 다양한 사용자들의 신체조건에 맞는 장착이 이루어지며, 손쉽게 탈착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간 또는 일정주기로 측정된 체온을 스마트폰을 통해 확인가능하고,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관련 앱을 통해 온도 및 시간설정이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서, 효율적으로 체온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나, 어린 아이들에게 잠들기 전후에 장착하여 취침 중에 발생하는 고열을 감지하여 재빠른 응급조치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체온 알림장치의 상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체온 알림장치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동작과정을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통신과정의 일례를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체온 알림방법의 과정을 보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체온 알림장치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체온 알림장치의 상세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와 도 3에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체온 알림장치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동작과정과 통신과정의 일례가 구성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체온 알림장치는, 크게 몸체(100)와 고정수단(200)으로 구분된다.
몸체(100)는 둥근 형태의 외관을 가지며 내부는 체온감지센서(110), 송신수단(120), 배터리(130) 등으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스마트폰(300)으로 체온측정값을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첨부된 도 1과 같이, 내부 구성요소들이 일렬로 나란히 장착되거나 또는 적층구조로 장착되어 두께나 부피를 줄임으로서, 불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는 외측 중심부가 띠 형태의 고정수단(200)에 의해 감싸짐으로서, 헐거워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100)의 저면은 신체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면으로서, 피부자극이 적고 쿠션감이 있는 스펀지 등의 소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온감지센서(110)는 상기 몸체(100)의 내부 중심에 위치하며, 근거리 측정이 용이한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온도센서로 이루어져, 체온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측정된 데이터는 상기 송신수단(120)으로 전송된다.
상기 송신수단(120)은 상기 체온감지센서(110)에 의해 측정된 체온정보를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송신수단(120)으로는, 주변의 일정 반경 범위(약 50m) 내에서 사물의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비콘(Beacon)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콘(Beacon)은 블루투스 저전력 기술(BLE : Bluetooth low energy)을 활용하여 통신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며, 사용자가 별도의 이벤트 값을 입력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관련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송신수단(120)으로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비콘(Beacon)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블루투스 이외에도 초음파나 가시광선 등의 다양한 비콘(Beacon)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위치추적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콘을 활용함으로서 다양한 분야로 확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미아방지, 애완동물 분실방지, 귀중품 분실 방지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30)는 상기 몸체(100)의 두께보다 얇은 형태의 리튬폴리머, 리튬이온, 니켈수소 등 유/무선 충전가능한 배터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온감지센서(110)와 송신수단(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수단(200)은 띠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팔이나 가슴을 감싸 상기 몸체(100)가 고정되도록 만드는 역할을 한다. 상기 띠의 양 끝단에는 벨크로(210)가 부착되어 있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알맞게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신체의 겨드랑이 부분에 착용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띠의 전체 면에 벨크로(210)가 부착되고, 추가로 버클을 장착하여 구성한다면, 상기 띠의 길이조절이 가능해짐으로서 보다 다양한 신체부위에 착용하기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렇듯, 체온감지센서(110), 송신수단(120), 배터리(130) 등으로 구성되는 상기 몸체(100)와 상기 고정수단(200)으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체온 알림장치라 칭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체온 알림장치는 내부 구성요소인 상기 송신수단(120)에 의해 외부장치와 통신하게 되고, 이를 통해 동작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외부장치로 스마트폰(300)을 그 예로 들며, 블루투스 기능이 내장된 노트북, 태블릿 등과 같은 다른 통신단말로 대체할 수도 있다.
상기 스마트폰(300)은 상기 체온 알림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상기 스마트폰(300)에서 구동되는 전용 앱이 필요하다.
상기 전용 앱은, 상기 체온 알림장치로부터 측정된 체온값을 체크하고 또한, 위급 시에 알람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앱의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스마트폰(300)에 설치되는 앱은 온/오프 기능과 펌웨어 업그레이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등과 같은 일반적인 기능과 더불어, 상기 체온 알림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들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측정된 체온이 정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해, 예를 들어 인간의 정상체온(36.5도)를 넘어서서 고열증상이라 판단되는 온도(예, 38도)를 입력해두는 것이다. 즉, 입력한 온도 이상의 체온이 측정되면 비정상이라 판단되므로, 알람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한 온도설정은 0.1도 간격으로 조정 가능하다.
그리고, 최초의 체온측정 이후에, 두번째 체온측정이 이루어지기 전에 대기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즉, 한 번 체온측정을 완료한 뒤에 계속적으로 체온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의 시간 간격을 두고 체온을 측정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10분마다, 20분마다 등으로 시간 간격을 두고 온도를 측정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체온 알림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 4를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4에는 측정된 체온을 알리는 방법에 대한 과정이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
후술할 체온 알림방법에 대한 설명에 앞서, 상기 체온 알림장치가 올바르게 동작하기 위한 설정이 필요하다.
먼저, 사용자의 스마트폰(300)에 관련 앱이 설치되어 있고, 송신수단(120)과 스마트폰(300)이 활성화(블루투스 ON)상태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첨부된 도 2와 같이, 스마트폰(300)이 비콘(Beacon)의 사정거리 안에 진입하여야 자동으로 앱이 실행되면서 정보전송이 가능한 환경이 조성된다.
이러한 설정이 완료되면, 설정온도를 입력하는 온도설정단계(S100)와 지연시간을 입력하는 시간설정단계(S102)가 진행된다. 상기 설정온도 및 지연시간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설정 가능하며, 상기 관련 앱을 통해 언제든지 변경가능하다.
이후에 측정단계(S104), 송신단계(S106), 수신단계(S108), 저장단계(S110), 판단단계(S112)가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상기 측정단계(S104)는 체온감지센서(110)를 통해 인체의 체온을 측정하는 단계이며, 상기 송신단계(S106)는 센싱된 온도값을 비콘(Beacon)을 통해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스마트폰(300)으로 송신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수신단계(S108)는 상기 스마트폰(300)이 상기 비콘(Beacon)으로부터 송신된 온도값을 수신하는 단계이며, 상기 저장단계(S110)는 상기 수신단계(S108)를 통해 수신된 온도값이 기록되는 단계이다.
여기서, 수신된 온도값은 스마트폰(300) 자체의 저장공간을 통해 기록되며, 별도의 DB가 구비된다면 보다 많은 데이터의 취급을 통해 빅데이터 운용이 가능해지므로, 체계적인 체온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단단계(S112)는 상기 수신단계(S108)에서 수신된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며, 상기 판단단계(S112)에서의 판단결과 수신된 온도가 설정온도 미만이면 지연단계(S113)가 진행된다.
상기 지연단계(S113)는, 지연시간만큼 경과한 후에 다시 상기 측정단계(S104)가 진행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측정단계(S104)로 되돌아가서 순차적으로 단계가 진행된다.
그렇지 않고, 상기 판단단계(S112)의 판단결과, 수신된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알람을 울리는 알람단계(S114)가 진행된다.
상기 알람단계(S114)는 알람을 동작하는데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300)에 자체 내장된 기능을 사용한다. 즉,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모닝콜 또는 알람 시에 발생되는 소리, 진동 등의 자체 알람수단과 연동시켜 사용한다.
이렇듯, 상기한 단계들은 기 설정된 절차들에 의해 순차적으로 실행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실행과정에서 측정온도가 설정온도와 같거나 또는, 측정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체온이 상승하였을 가능성도 존재하기 때문에, 기존의 설정된 주기보다 짧은 주기로 재측정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적 육안으로도 어느정도의 관찰이 가능한 평상 시에는 긴 시간간격을 두고 체온을 측정하고, 주로 고열증상이 많이 발생하는 수면 중에는 평상 시보다 짧은 시간간격을 두고 체온을 측정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체온 알림장치와 상기 스마트폰(300)간의 통신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별도의 장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는, 가정에 비치된 가전, 가구 등으로 인해 상기 체온 알림장치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회절되어, 상기 스마트폰(300)과의 통신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몸체 110. 체온감지센서
120. 송신수단 130. 배터리
200. 고정수단 210. 벨크로
300. 스마트폰

Claims (5)

  1.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온도를 측정하는 체온감지센서(110)와;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체온감지센서(110)에서 측정된 온도를 송신하는 송신수단(120)과;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체온감지센서(110)와 송신수단(120)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130)와;
    상기 몸체(100)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100)가 인체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알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단(120)은,
    상기 체온감지센서(110)에서 측정된 체온을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송신하는 비콘(Beacon)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수단(200)은,
    사용자의 팔이나 가슴을 감싸 상기 몸체(100)가 고정되도록 하는 띠로 이루어지고, 끝단부에는 벨크로(21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알림장치.
  3. 인체의 체온을 측정하는 측정단계(S104)와;
    상기 측정단계(S104)에서 측정된 온도를 스마트폰으로 송신하는 송신단계(S106)와;
    상기 송신단계(S106)에 의해 송신된 온도를 수신하는 수신단계(S108)와;
    상기 수신단계(S108)에 의해 수신된 온도를 기록하는 저장단계(S110)와;
    상기 수신단계(S108)에서 수신된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S112)와;
    상기 판단단계(S112)에서의 판단결과, 수신된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알람을 울리는 알람단계(S114)와;
    상기 판단단계(S112)에서의 판단결과, 수신된 온도가 설정온도 미만이면 지연시간만큼 경과 한 후에 다시 상기 측정단계(S104)가 진행되도록 하는 지연단계(S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알림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단계(S104) 이전에는,
    사용자가 상기 설정온도를 입력하는 온도설정단계(S100)와,
    사용자가 상기 지연시간을 입력하는 시간설정단계(S102)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알림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설정단계(S100)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앱에서 실행되며, 0.1도 간격으로 설정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알림방법.
KR1020150089693A 2015-06-24 2015-06-24 체온 알림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005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693A KR20170000590A (ko) 2015-06-24 2015-06-24 체온 알림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693A KR20170000590A (ko) 2015-06-24 2015-06-24 체온 알림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590A true KR20170000590A (ko) 2017-01-03

Family

ID=57797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9693A KR20170000590A (ko) 2015-06-24 2015-06-24 체온 알림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059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059A (ko) * 2019-03-29 2020-10-08 바이오나임 코포레이션 센서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29529A (ko) 2019-05-09 2020-11-18 주식회사 썬메디칼 체온 로깅 패치
KR102366412B1 (ko) * 2021-05-31 2022-02-23 한양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애완동물 위험상황 지원 장치 및 그 시스템
CN115024697A (zh) * 2022-06-06 2022-09-09 无锡诺为医用器材有限公司 一种通过蓝牙远程检测的体温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7633A (ko) 2011-01-28 2012-08-07 김한규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이를 포함하는 통신 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의료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7633A (ko) 2011-01-28 2012-08-07 김한규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이를 포함하는 통신 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의료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059A (ko) * 2019-03-29 2020-10-08 바이오나임 코포레이션 센서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
CN111757274A (zh) * 2019-03-29 2020-10-09 华广生技股份有限公司 传感器与电子装置间的数据传输方法及其系统
KR20200129529A (ko) 2019-05-09 2020-11-18 주식회사 썬메디칼 체온 로깅 패치
KR102366412B1 (ko) * 2021-05-31 2022-02-23 한양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애완동물 위험상황 지원 장치 및 그 시스템
CN115024697A (zh) * 2022-06-06 2022-09-09 无锡诺为医用器材有限公司 一种通过蓝牙远程检测的体温贴
CN115024697B (zh) * 2022-06-06 2024-04-12 无锡诺为医用器材有限公司 一种通过蓝牙远程检测的体温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63575B1 (en) Ostomy appliance having conductive ink circuit for leakage detection
US20150173674A1 (en) Detecting and communicating health conditions
US8423000B2 (en) Guardian system for a cognitively-impaired individual
US8471715B2 (en) Disposable diaper with wireless alarm system
KR101533874B1 (ko) 무선 통신을 구비한 휴대용 eeg 모니터 시스템
CN104378707B (zh) 一种耳机及具有体温监控功能的穿戴类电子产品
CN104756166A (zh) 无线的婴儿健康监控器
EP2240074A1 (en)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70000590A (ko) 체온 알림장치 및 그 방법
KR101617621B1 (ko) 건강 및 위험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3914878U (zh) 智能婴儿脚环及其系统
JP2013511304A (ja) Eegアセンブリを持ち運ぶ人物を警告する方法および装置
TW201211945A (en) Remote child monitoring system with temperature sensing
EP3564919B1 (en) Water safety alarm and supervision aid including methodology embodied in the alarm for alerting a third party via a communications network
CN106327790A (zh) 基于物联网的智能婴儿防盗系统
CN105678960A (zh) 一种睡眠安全监控方法及系统
KR101557692B1 (ko) 기저귀 알람 시스템
CN112739295A (zh) 一种用于检测渗漏的造口术器具
CN202904813U (zh) 一种有源防盗可重复使用的多功能无线电子腕带
CN105476612A (zh) 一种可穿戴式人体智能监控设备
WO2017198978A1 (en) Temperature monitoring garment and system
CN111601209A (zh) 控制方法、装置、无线耳机和存储介质
CN206166906U (zh) 一种多功能智能体温检测仪
TWM544077U (zh) 可攜式嬰兒防窒息及防遺失裝置
CN104382563A (zh) 一种实时体温监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