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6947A - 소아비염 치료용 한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소아비염 치료용 한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6947A
KR20120086947A KR1020110008314A KR20110008314A KR20120086947A KR 20120086947 A KR20120086947 A KR 20120086947A KR 1020110008314 A KR1020110008314 A KR 1020110008314A KR 20110008314 A KR20110008314 A KR 20110008314A KR 20120086947 A KR20120086947 A KR 20120086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hinitis
radix
amoun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혁용
이상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함소아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함소아제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함소아제약
Priority to KR1020110008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6947A/ko
Publication of KR20120086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9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7Salvia (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아의 폐기가 약하여 잘 순환하지 못해 발생하는 소아비염을 완화 및 치료하는 한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조성물 중 총 중량에 대하여 황기 5 내지 8 중량%, 백작약 2 내지 5 중량%, 사삼 2 내지 5 중량%, 방풍 1 내지 3 중량%, 자초 1 내지 3 중량%, 신이 1 내지 2 중량%, 세신 1 내지 2 중량%, 마황 1 내지 2 중량%, 가자육 1 내지 2 중량%, 계지 1 내지 2 중량%, 백출 1 내지 2 중량%, 당귀 1 내지 2 중량%, 백과 1 내지 2 중량%, 생강 1 내지 2 중량%, 황련 0.5 내지 1 중량%, 황백 0.5 내지 1 중량%, 사인 0.5 내지 1 중량%, 맥아 0.5 내지 1 중량%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아비염 치료용 한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ORIENTAL MEDICINE COMPOSITION FOR CURING RHINITIS IN CHILDRE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소아비염 치료용 한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아의 폐기가 약하여 잘 순환하지 못해 발생하는 소아비염을 완화 및 치료하는 한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비염 관련 질병이 날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는데, 비염은 인체의 호흡기관인 코 내부의 비강점막에 생기는 염증을 일컫는 것으로서, 급?만성비염과 감기로 인한 바이러스성 비염 및 알레르기성 비염 등이 있다.
증상은 계속 흘러내리는 콧물(수양성 비루), 코막힘(비폐색) 등이 특징적인 질환이다. 일반적으로 비염에 감염되면 호흡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하여 수반되는 두통이나 주의력 감퇴와 같은 증상이 수반되어 더욱 큰 불편을 초래하며, 장기간의 치료에도 불구하고 좀처럼 치료되지 않을 뿐 아니라, 치료된 후에도 재발되어 치료에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특히, 소아비염이란 임상적으로 초등학생 이하의 어린이들에게 잘 올 수 있는 형태의 비염을 말하는데, 감기와 같은 질환으로 시작하여 비강 내 염증이 지속되면서 발생하는 코막힘, 맑은 콧물과 탁한 콧물이 섞여 발생하면서 수시로 감기와 유사한 증상을 유발하는 비염을 말한다.
비염의 주된 증상은 재채기, 콧물, 코막힘이다. 이 외에도 코가 막혀 잘 때 코를 골거나, 냄새와 맛에 둔감해지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심한 가려움증과 함께 눈ㆍ입ㆍ귀에도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눈이 충혈되고 눈물이 나며 눈 밑에 주름이 생기는 경우도 있고, 입천장이나 귀가 가렵다고 하는 것이 비염의 증상 중 하나이다. 비염이 있으면 축농증과 중이염을 동반기도 하며, 증상이 심해지면 두통이나 수면장애를 겪기도 한다.
비염은 코 점막의 만성적인 염증성 질환이지만, 코 이외의 부분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코는 인체에 있어서 공기의 주된 통로가 되기 때문에, 공기의 순환과정에 이상이 생겨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문제가 비염에서 비롯될 수 있다. 비염으로 인한 이러한 영향은 한참 성장을 하는 성장기 아이들에게는 다음과 같은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소아비염은 성장기 아이들의 숙면을 저해하고, 소화기능을 떨어뜨려 성장을 저해한다. 비염이 있는 경우에 코가 자주 막혀 깨고,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등이 발생하여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경우가 흔히 발생된다. 숙면을 취하지 못하면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저하되어 성장에 영향을 주게 된다.
또한 소아비염이 있는 경우 면역력 자체가 저하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소화기능의 저하 등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소화기능이 떨어져 있으면 영양의 공급이 충분치 않아 성장에 영향을 주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또한, 소아비염은 코막힘을 유발하여 정상적인 호흡을 방해하고, 숙면을 저해함으로써 학업을 방해한다. 코를 통한 정상적인 호흡이 원활하지 못하면, 뇌에 산소 공급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두통, 집중력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비염은 밤에 숙면을 저해함으로써, 낮 시간에 졸음이나 피로를 유발하여 학습능력을 떨어뜨리기도 한다.
또한, 소아비염은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아토피는 면역력의 저하에 기반을 둔 알레르기 질환으로서 뿌리가 같은 질환이다. 따라서 알러지성 비염이 있다고 하면, 언제든지 천식이나 아토피가 생길 위험을 갖고 있는 것과 같다. 따라서 알러지성 비염이 있는 경우에 면역력을 증진하는 근본치료를 통하여, 이들 질환이 생길 위험을 없애주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소아의 폐기가 약하여 잘 순환하지 못해 발생하는 소아비염을 완화 및 치료하는 한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성물 중 총 중량에 대하여 황기 5 내지 8 중량%, 백작약 2 내지 5 중량%, 사삼 2 내지 5 중량%, 방풍 1 내지 3 중량%, 자초 1 내지 3 중량%, 신이 1 내지 2 중량%, 세신 1 내지 2 중량%, 마황 1 내지 2 중량%, 가자육 1 내지 2 중량%, 계지 1 내지 2 중량%, 백출 1 내지 2 중량%, 당귀 1 내지 2 중량%, 백과 1 내지 2 중량%, 생강 1 내지 2 중량%, 황련 0.5 내지 1 중량%, 황백 0.5 내지 1 중량%, 사인 0.5 내지 1 중량%, 맥아 0.5 내지 1 중량%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아비염 치료용 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을 열수추출하여 제조되는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아비염 치료용 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수추출 시 프락토올리고당, 자일리톨 및 초콜렛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아비염 치료용 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황기 5 내지 8 중량%, 백작약 2 내지 5 중량%, 사삼 2 내지 5 중량%, 방풍 1 내지 3 중량%, 자초 1 내지 3 중량%, 신이 1 내지 2 중량%, 세신 1 내지 2 중량%, 마황 1 내지 2 중량%, 가자육 1 내지 2 중량%, 계지 1 내지 2 중량%, 백출 1 내지 2 중량%, 당귀 1 내지 2 중량%, 백과 1 내지 2 중량%, 생강 1 내지 2 중량%, 황련 0.5 내지 1 중량%, 황백 0.5 내지 1 중량%, 사인 0.5 내지 1 중량%, 맥아 0.5 내지 1 중량%를 포함하는 약제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부직포에 담아 조제하고, 물이 담긴 약탕기에 넣어 순환식 무압력 상태에서 달이는 단계; 및 상기 달여진 약물을 여과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아비염 치료용 한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달이는 단계에서 물의 양은, [조제 약재의 무게(g)×1.3 + 탕전시 손실되는 물의 양 + 추출하고자하는 약물의 양] 내지 [조제 약재의 무게(g)×1.5 + 탕전시 손실되는 물의 양 + 추출하고자하는 약물의 양]에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아비염 치료용 한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과 이후, 프락토올리고당, 자일리톨 및 초콜렛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아비염 치료용 한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아의 폐기가 약하여 잘 순환하지 못해 발생하는 소아비염을 완화 및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소아비염과 관련된 후비루, 청체, 황체, 인후?두 발적, 비강 부종, 중비갑개 부종, 하비갑개 부종 등의 주증상들을 호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녹용(녹각 또는 녹각교)을 더 포함시키는 경우 본래의 소아비염 치료 효과 이외에 성장기 아이들의 성장을 돕는 부가적인 효과도 거둘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아비염 치료용 한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조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약 조성물의 주증상 호전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소아비염 치료용 한약 조성물은 황기(黃耆), 백작약(炒)(白芍藥), 사삼(沙蔘), 방풍(防風), 자초(紫草), 신이(辛荑), 세신(細辛), 마황(麻黃), 가자육(訶子肉), 계지(桂枝), 백출(白朮), 당귀(當歸), 백과(白果), 생강(生薑), 황련(黃連), 황백(黃柏), 사인(砂仁), 맥아(炒)(麥芽)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한의학 원전인 '동의보감'에서 불문향취, 비색, 비연 등에 활용하는 통규탕과 '금궤요략'의 해표지제인 소청룡탕을 합방한 처방에 소아에게 해당되는 조성물을 가미한 처방으로, 원전에서 강활(羌活), 고본(藁本), 승마(升麻), 갈근(葛根), 창이자(蒼耳子) 등 인체의 피부 쪽에 사기가 몰려있는 것을 치료하는 해표약(解表藥)과 점막에 수분을 공급하는 오미자(五味子)와 가래 등의 담음(痰飮)을 제거하는 반하(半夏)를 빼고, 황기의 용량을 늘려서 폐기를 보강하여 피부 및 코 점막에서 수분이 빠져나가 콧물이 생성되는 것을 강하게 제어하되, 마황, 방풍, 신이, 세신, 계지의 용량을 줄여 당장의 표증을 풀어주는데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만성화된 코 점막의 부종을 풀어주도록 적절히 돕고, 사삼을 가미하여 폐기를 강하게 보강하며, 백출, 당귀, 백과, 생각, 가자육을 가미하여 습을 제거하고 보혈함으로서 부종 제거를 보조적으로 도와주며, 황련, 황백, 사인, 맥아를 소량 가미함으로서 청열제습하여 폐와 코 점막의 정상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 특징이 있으며, 소아의 폐기가 약하여 잘 순환하지 못해 발생하는 소아비염을 가지고 있는 성장기 아이들에게 활용하도록 구성되어 소아비염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들 성분 중 황기(黃耆)의 뿌리는 기를 돋고, 각혈을 멈추고, 비위를 편안하게 하고, 신장의 기운을 도우며, 어린이의 온갖 병과 봉루, 대하 등 여러 부인병을 치료하는데 쓰이며, 황기의 줄기와 잎은 갈증, 힘줄이 오그라드는 증상, 옹종 저창에 쓰이고, 관상혈관 및 심혈관 확장, 강장, 이뇨, 강압, 피부 혈액순환과 영양상태 개선, 노화억제, 간기능 보호, 단백뇨 제거, 항균, 면역기능 강화 등의 작용을 한다.
백작약(白芍藥)은 간과 비장에 작용하여, 각종 통증과 함께 생리불순, 생리통, 식은 땀, 가슴, 옆구리와 배 아픈 증상, 팔다리의 경련과 통증 등에 효과 나타내며, 수렴, 해열, 면역 증강, 중추신경계 억제, 평활근 이완, 혈소판응집 억제 등의 작용을 한다.
사삼(沙蔘)은 진액을 보충하여 폐를 윤택하게 하고 열을 식히며 담을 없애 인후건조, 마른기침, 가래, 해수, 천식 등에 쓰이며, 위음 부족으로 입안이 마르고 인후가 건조하며 대변이 굳는 변비 증상 등에 사용하고, 거담, 항균, 용혈, 강심 등의 작용을 한다.
방풍(防風)은 외감성 두통, 오한, 발열, 전신통, 인후통 등 모든 풍증(風症)에 효과가 있고, 풍한습의 사지관절동통, 파상풍, 근육경련, 중풍으로 인한 반신불수, 마비동통, 피부가려움증, 버짐 등에 쓰이며, 해열, 진통, 항경련, 항염증, 진경, 면역활성화, 항알레르기, 항궤양, 항균, 피부개선균 억제 등의 작용을 한다.
자초(紫草)는 토혈, 코피, 소변 출혈, 홍역에 효과가 있고, 화상, 동상, 습진, 발진, 피부궤양 등에 소독약으로 외용하기도 한다.
신이(辛荑)는 몸 안에 있는 차가운 기운과 풍으로 오는 코막힘, 축농증, 두통, 집중력이 떨어지는 증상, 오한, 발열, 전신통, 가래가 많이 나오는 기침 등에 효과가 있으며, 수렴, 모세혈관 확장, 항염증, 혈압강하, 진통, 진정, 피부진균과 포도상구균 억제 등의 작용을 한다.
세신(細辛)은 풍한습 두통, 사지마비동통, 복통, 외감성 두통, 오한, 발열, 전신통, 해수, 천식, 가래가 많은 증상, 축농증, 중풍 등에 쓰이며, 해열, 진정, 진통, 항경련, 국부마취, 항염, 면역억제, 기관지이완, 강심, 평천, 거담, 혈압상승, 항균, 항바이러스 등의 작용을 한다.
마황(麻黃)은 풍한(風寒)을 소산시키고, 발한해표, 오한발열, 두통, 천식, 해수, 수종, 신체상부 마비, 피부마비, 충혈, 어혈에 쓰이며, 평천, 이뇨, 소염, 항알러지, 진해, 거담, 해열, 항균, 항바이러스, 중추신경계 흥분, 강심, 혈압상승, 평활근이완 등의 작용을 한다.
가자육(訶子肉)은 삽장(澁腸), 염폐(斂肺), 하기(下氣), 조중(調中), 개위(開胃), 강화(降火), 개음(開音), 이인(利咽), 제번(除煩), 지갈(止渴), 소담(消痰), 통진액(通津液), 하숙식(下宿食), 이수도(利水道), 오수발(烏鬚髮) 등에 효능이 있다.
계지(桂枝)는 초기 감기에 피부의 땀구멍을 열어 땀을 내며, 어깨와 등의 통증, 사지관절의 동통을 완화시켜 주며 기혈의 순환을 촉진시키고 양기부족을 치료하며, 대장균, 고초간균, 황색포도균, 폐렴쌍구균 등의 발육을 억제, 유행성 감기바이러스를 억제, 이뇨, 혈관 확장, 발한 촉진, 해열, 진통, 진정, 항경련, 소염, 항알러지, 항균, 항바이러스 등의 작용을 한다.
백출(白朮)은 소식, 권태감, 황달, 설사, 전신이 붓고 소화 불량, 가슴 뜀, 기침, 맑은 가래 등에 쓰며, 비기(脾氣) 허약으로 피부에 땀이 저절로 날 때, 임신 구토, 위장 장애가 있는 감기, 사지동통에도 쓰이며, 체중 증가, 지구력 증가, 세포 면역 기능 촉진, 장관(腸管) 억제, 흥분 조절, 항궤양, 간 기능 보호, 면역 기능 항진, 혈관 확장, 이뇨, 혈당 강하, 항암 등의 작용을 한다.
당귀(當歸)는 보혈작용(補血作用), 활혈작용(活血作用)이 뛰어나며, 항암, 혈압강하, 면역증강, 진통, 소염, 간기능 보호 등의 작용을 한다.
백과(白果)는 만성적인 기침, 가래, 해수, 천식에 쓰며, 습열로 소변 색깔이 희고 대하 색이 노랗고 냄새가 심할 때도 사용한다. 살충작용이 있어 옴과 피부염에 쓰고 유방염에도 사용하며, 기관지점액분비촉진, 기관지 평활근 이완, 혈관 확장, 항균 등의 작용을 한다.
생강(生薑)은 외감성 감기로 인한 오한, 발열, 두통, 구토, 해수, 가래를 치료하며 식중독으로 인한 복통설사, 복만에도 효과가 있으며, 진정, 진통, 해열, 항경련, 간기능 보호, 이담, 구토억제, 위액분비촉진, 소화력 증진, 심장흥분, 혈액순환촉진, 억균 등의 작용을 한다.
황련(黃連)은 소화불량, 위염, 장염, 복통, 구토, 이질, 심계(心悸), 번열(煩熱), 정신불안, 인후종통(咽喉腫痛), 토혈, 코피, 하혈, 화상 등의 치료에 쓰이며, 건위, 진정, 소염, 항균, 항바이러스, 해독, 해열, 면역증강, 항부정맥, 강심, 혈압강하, 혈소판응집 억제, 혈당강하, 항암 등의 작용을 한다.
황백(黃柏)은 폐렴쌍구균, 인형결핵균, 포도상구균 등에의 발육저지, 종양세포의 번식 저지하며, 위액 분비 촉진, 식욕의 항진, 혈당 저하, 항균, 항궤양, 혈압강하, 항부정맥 등의 작용을 한다.
사인(砂仁)은 성질이 온하고 소화제로 쓰이며, 항위궤양, 평활근이완, 위장수송 촉진, 진통 등의 작용을 한다.
맥아(麥芽)는 비위허약으로 인한 소화 장애, 유즙분비 부족에 효과가 있으며, 소화촉진, 프로락틴(Prolactin) 분비 억제, 혈당강하 등의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한약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황기 5 내지 8 중량%, 백작약 2 내지 5 중량%, 사삼 2 내지 5 중량%, 방풍 1 내지 3 중량%, 자초 1 내지 3 중량%, 신이 1 내지 2 중량%, 세신 1 내지 2 중량%, 마황 1 내지 2 중량%, 가자육 1 내지 2 중량%, 계지 1 내지 2 중량%, 백출 1 내지 2 중량%, 당귀 1 내지 2 중량%, 백과 1 내지 2 중량%, 생강 1 내지 2 중량%, 황련 0.5 내지 1 중량%, 황백 0.5 내지 1 중량%, 사인 0.5 내지 1 중량%, 맥아 0.5 내지 1 중량%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들 성분은 모두 '대한약전' 또는 '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에서 규정하는 한약재를 이용하게 되며 한약 제조시 사용되는 통상의 건조된 약재 형태의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한약 조성물은 원전에서 강활(羌活), 고본(藁本), 승마(升麻), 갈근(葛根), 창이자(蒼耳子) 등 인체의 피부 쪽에 사기가 몰려있는 것을 치료하는 해표약(解表藥)과 점막에 수분을 공급하는 오미자(五味子)와 가래 등의 담음(痰飮)을 제거하는 반하(半夏)를 빼고, 황기의 용량을 늘려서(4g에서 10g) 폐기를 보강하여 피부 및 코 점막에서 수분이 빠져나가 콧물이 생성되는 것을 강하게 제어하되, 마황, 방풍, 신이, 세신, 계지의 용량을 줄여(6g에서 3g) 당장의 표증을 풀어주는데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만성화된 코 점막의 부종을 풀어주도록 적절히 돕고, 사삼을 가미하여(약 6g) 폐기를 강하게 보강하며, 백출, 당귀, 백과, 생각, 가자육을 가미하여 습을 제거하고 보혈함으로서 부종 제거를 보조적으로 도와주며, 황련, 황백, 사인, 맥아를 소량 가미함으로서 청열제습하여 폐와 코 점막의 정상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 특징이 있으며, 소아의 폐기가 약하여 잘 순환하지 못해 발생하는 소아비염을 가지고 있는 성장기 아이들에게 활용하도록 구성되어 소아비염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상기 한약 조성물의 조성 비율에 있어서, 만약 황기를 대량 가미하지 않은 경우 코 점막을 제어하는 폐기의 보강이 이루어지지 않아 만성화된 비염의 경우 제어가 어려워지고, 마황, 방풍, 신이, 세신, 계지의 용량을 그대로 둘 경우 사기가 이미 몸 깊숙이 있는 만성화된 비염을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1주일 이내 콧물, 코막힘의 단기적인 치료의 의미가 강해지며, 오히려 용량을 더 줄이거나 없애면 부어오른 점막을 적절히 풀어줌으로서 부종을 가라앉히기 어려워진다.
여기에 백출, 당귀, 백과, 생강, 가자육은 비염의 주된 원인인 습열이 차서 생기는 문제를 해결해주는 의미가 있으며, 오히려 이 조성물을 증량하게 되면 소화기쪽의 문제를 해결하는 처방으로 변질되게 된다.
황련, 황백과 사인, 맥아 역시 습열을 해결하기 위해 소량 활용하는 것이지, 이를 증량하는 경우 물리, 화학적인 자극에 의한 비염 등을 치료하는 의미가 강해지므로 소아의 폐기가 약하여 잘 순환하지 못해 발생하는 비염을 치료하는데에는 상기 조성물의 구성비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한 조성을 갖는 본 발명의 한약 조성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열수추출하여 열수추출물을 얻을 수 있으며, 이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분말상 건조추출물을 얻을 수도 있다. 이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소아비염을 치료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한약 조성물은 상기한 성분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이라면 그 제형에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환제, 정제, 캡슐제, 액제, 건강식품, 건강음료 등과 같은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한약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증상에 효과적이다.
기혈부족(氣血不足) : 기와 혈이 부족하다.
겸유혈열(兼有血熱) : 세균이 피에 침입하여 생기는 열이 같이 있다.
비규불통이비색(비염)(鼻竅不通而鼻塞(鼻炎)) : 코가 막히는 비염 증상.
혹유미구건(或有微口乾): 입이 마르는 증상.
미열(微熱) : 체온이 37.5℃를 넘지 않는 정도의 발열 증상.
해수(咳嗽) : 만성적 기침 증상.
자한(自汗) : 깨어 있는 상태에서 저절로 땀이 많이 흐르는 증상.
소화불량증(消化不良證) : 보통은 상복부의 불편감 또는 포만감, 상복부의 타는 듯한 통증, 오심(구역질)과 트림 등의 증상이 있으면 흔히 소화가 잘 안된다.
설태백(舌苔白) : 설태(舌苔)가 백색을 띠는 것으로, 인체의 상부가 한사(寒邪)를 감수(感受)하거나 비허(脾虛)의 증상이 있을 때 또는 담습(痰濕)의 탁기(濁氣)가 폐(肺)를 침범하였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증상.
맥허대(脈虛大) : 맥상(脈象)의 하나로 허맥(虛脈)과 대맥(大脈)의 특징이 동시에 나타나는 증상.
혹부미삭(或浮微數) : 혹은 맥상이 부맥과 동시에 약간 삭맥이 드러나는 증상.
이하, 제조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한약재 준비 단계로서 필요한 한약재를 준비하고 혼합하게 된다.
한 팩(약 60cc 용량) 당 들어가는 약재 용량(g)은 다음과 같다.
황기 약 10g, 백작약, 사삼 각 약 6g, 방풍, 자초 각 약 3g, 신이, 세신, 마황, 가자육, 계지, 백출, 당귀, 백과, 생각 각 약 2g, 황련, 황백, 사인, 맥아 각 약 1g이 한 팩에 들어가는 약재별 용량이다.
탕약에 사용하는 한약재는 '대한약전' 또는 '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에서 규정하는 한약재를 이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백작약(炒), 맥아(炒)는 '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에 규정된 포제법에 따라 포제된 것을 의미한다.
엽류 한약재나 얇게 절편으로 가공된 것을 제외한 한약재는 '대한약전' 통칙 19조에 규정된 의약품의 "절도" 및 "분말도" 중 세절(細切)에 준하는 크기로 준비한다.
그리고 상기 준비된 약재들을 혼합한다.
이후, 조제 및 탕전 단계로서, 상기 혼합된 약재의 용량(g)을 60팩 기준으로 부직포에 담아 조제한다. 그리고 총 약재 용량의 약 3.5배 내지 약 4배에 해당하는 정수된 물을 약탕기에 담고, 상기 조제된 약재를 넣어 약 1시간 30분 내지 약 2시간 30분 동안 순환식 무압력 상태에서 90℃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약 100℃로 달인다. 바람직하게는 약 2시간 동안 달이는 것이 좋다.
이때, 탕전시 사용되는 물의 양은 다음의 기준으로 설정하게 된다.
탕전시 사용되는 물의 양은 [조제 약재의 무게(g)×1.3 + 탕전시 손실되는 물의 양(1,000ml 내외) + 추출하고자하는 약물의 양] 내지 [조제 약재의 무게(g)×1.5 + 탕전시 손실되는 물의 양(1,000ml내외) + 추출하고자하는 약물의 양]으로 설정되게 되며, 이는 결국 총 약재 용량의 약 3.5배 내지 약 4배가 될 것이다.
이후, 여과 및 마스킹(Masking) 단계로서, 조제된 약재를 정해진 물에서 정해진 시간 동안 끓여 탕전이 완료되면, 부직포에 담겨 있는 약밥을 꺼내고, 약물은 150 메쉬(mesh)의 필터로 여과시키게 된다.
그리고 여과된 약물 원액에 프락토올리고당 약 180 내지 220g, 자일리톨 약 400 내지 440g, 초코렛향 약 10 내지 14cc를 첨가한 후 고온, 고압으로 가열한 뒤 포장기로 이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여과된 약물 원액에 프락토올리고당 약 200g, 자일리톨 약 420g, 초코렛향 약 12cc를 첨가하는 것이 좋다.
이후, 포장 단계로서, 포장기로 이송된 혼합 약물을 약 100℃로 끓이면서 약 60cc 용량으로 파우치에 개별 포장한다. 포장된 약물 한 팩(약 60cc)에는 프락토올리고당 약 3.3g, 자일리톨 약 7g, 초콜렛향 약 0.2g 이 포함되어 있다.
<시험예>
2005년 1월 1일부터 2010년 8월 31일까지 출원인의 한의원(광주, 서대문, 압구정, 인천, 중랑의 함소아 한의원)에 방문한 소아비염을 가진 유아들에게 본 처방에 따른 탕재(보폐통규탕)를 복용하도록 하였다. 이 중 조사 대상은 해당 처방을 받고 2회 이상 내원하여 F/U(Follow up)이 가능한 환아 중 호전 정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케이스가 그 대상이 된다. 단, 재진시 주증상이 악화되었지만 지속적인 치료를 받지 않아(3개월 미만 내원) 호전 정도를 가늠할 수 없는 케이스는 조사대상에서 제외한다. 여기에서 상기 F/U 기간은 환아마다 그리고 증상 정도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평균적으로 약 83일에 걸쳐 이루어졌다.
상기 주증상 호전 정도의 표현 예는 다음 표 1과 같다.
처방명 주증상 표현
보폐통규탕 후비루 (-) ~ (+)
청체 (-) ~ (+++)/ 없음-미약-심함
황체 (-) ~ (+++)/ 없음-미약-심함
인후?두 발적 (-) ~ (+++)/ 정상(양호)-호전-미약-심함
비강 부종 (-) ~ (+++)/ 정상(양호)-호전-미약-심함
중비갑개 부종 (-) ~ (+++)/ 정상(양호)-호전-미약-심함
하비갑개 부종 (-) ~ (+++)/ 정상(양호)-호전-미약-심함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한 호전도 평가 기준은 다음 표 2와 같다.
호전도 평가(점) 기준
1 초진시보다 주증상 표현정도가 2단계 이상 악화.
2 초진시보다 주증상 표현정도가 1단계 이상 악화.
3 초진시와 주증상 표현정도의 변화가 없음.
4 초진시보다 주증상 표현정도가 1단계 이상, 2단계 이하 호전.
5 초진시 발견되었던 주증상이 관측되지 않음.
2005년 1월 1일부터 2010년 8월 31일까지 출원인의 한의원(광주, 서대문, 압구정, 인천, 중랑의 함소아 한의원)에서 본 처방에 따른 탕재(보폐통규탕)를 복용한 환자 수(명)와 이들의 내원횟수(회)를 비교한 결과가 다음의 표 3에 나타나 있다. 또한 표 3에는 보다 정확한 조사를 위해 상기 호전도 평가를 적용할 수 있는 F/U(Follow up) 가능 환자(명)의 내원횟수(회)도 함께 나타나 있다.
보폐통규탕
내원횟수(회) 환자수(명) F/U 가능 환자수(명)
1 524 0
2 178 99
3 54 23
4 19 11
5 11 4
6 4 1
7 1 1
8 3 3
9 1 1
합계 795 143
상기 표 3을 통해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본 처방에 따른 탕재(보폐통규탕)를 복용한 환자들의 수가 내원횟수가 증가할수록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F/U(Follow up) 가능 환자의 수 역시 내원횟수가 증가할수록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한약 조성물은 소아비염 치료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표 3에서 F/U(Follow up) 가능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정밀 조사에서 각 환자의 주증상 호전도 평가 결과가 다음의 표 4에 나타나 있다.
보폐통규탕
평가(점) 환자수(명) 백분율(%)
1 0 0.00
2 8 5.59
3 45 31.47
4 82 57.34
5 8 5.59
합계 102 100.00
표 4에 나타난 호전도 평가 결과를 도 2와 같은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표 4 및 도 2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처방에 따른 탕재(보폐통규탕)를 복용한 환자들 중 F/U(Follow up) 가능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정밀 조사에서 소아비염과 관련된 후비루, 청체, 황체, 인후?두 발적, 비강 부종, 중비갑개 부종, 하비갑개 부종 등의 주증상들이 평가점 3 내지 4에 주로 분포되어 주증상이 호전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한약 조성물은 소아비염 치료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조성물 중 총 중량에 대하여 황기 5 내지 8 중량%, 백작약 2 내지 5 중량%, 사삼 2 내지 5 중량%, 방풍 1 내지 3 중량%, 자초 1 내지 3 중량%, 신이 1 내지 2 중량%, 세신 1 내지 2 중량%, 마황 1 내지 2 중량%, 가자육 1 내지 2 중량%, 계지 1 내지 2 중량%, 백출 1 내지 2 중량%, 당귀 1 내지 2 중량%, 백과 1 내지 2 중량%, 생강 1 내지 2 중량%, 황련 0.5 내지 1 중량%, 황백 0.5 내지 1 중량%, 사인 0.5 내지 1 중량%, 맥아 0.5 내지 1 중량%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아비염 치료용 한약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열수추출하여 제조되는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아비염 치료용 한약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추출 시 프락토올리고당, 자일리톨 및 초콜렛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아비염 치료용 한약 조성물.
  4. 황기 5 내지 8 중량%, 백작약 2 내지 5 중량%, 사삼 2 내지 5 중량%, 방풍 1 내지 3 중량%, 자초 1 내지 3 중량%, 신이 1 내지 2 중량%, 세신 1 내지 2 중량%, 마황 1 내지 2 중량%, 가자육 1 내지 2 중량%, 계지 1 내지 2 중량%, 백출 1 내지 2 중량%, 당귀 1 내지 2 중량%, 백과 1 내지 2 중량%, 생강 1 내지 2 중량%, 황련 0.5 내지 1 중량%, 황백 0.5 내지 1 중량%, 사인 0.5 내지 1 중량%, 맥아 0.5 내지 1 중량%를 포함하는 약제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부직포에 담아 조제하고, 물이 담긴 약탕기에 넣어 순환식 무압력 상태에서 달이는 단계; 및
    상기 달여진 약물을 여과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아비염 치료용 한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달이는 단계에서 물의 양은,
    [조제 약재의 무게(g)×1.3 + 탕전시 손실되는 물의 양 + 추출하고자하는 약물의 양] 내지 [조제 약재의 무게(g)×1.5 + 탕전시 손실되는 물의 양 + 추출하고자하는 약물의 양]에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아비염 치료용 한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이후, 프락토올리고당, 자일리톨 및 초콜렛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아비염 치료용 한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10008314A 2011-01-27 2011-01-27 소아비염 치료용 한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869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314A KR20120086947A (ko) 2011-01-27 2011-01-27 소아비염 치료용 한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314A KR20120086947A (ko) 2011-01-27 2011-01-27 소아비염 치료용 한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947A true KR20120086947A (ko) 2012-08-06

Family

ID=46872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314A KR20120086947A (ko) 2011-01-27 2011-01-27 소아비염 치료용 한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694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5659A (zh) * 2014-01-07 2014-04-09 董艳丽 一种治疗鼻炎的中药组合物
CN103977340A (zh) * 2014-06-08 2014-08-13 魏放 一种治疗肩周炎的中药制剂
CN105519278A (zh) * 2014-09-30 2016-04-27 江苏农林职业技术学院 一种植物氨基酸肥料在宝华玉兰种子发芽中的应用
CN105519277A (zh) * 2014-09-30 2016-04-27 江苏农林职业技术学院 一种植物激素在宝华玉兰种子发芽中的应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5659A (zh) * 2014-01-07 2014-04-09 董艳丽 一种治疗鼻炎的中药组合物
CN103977340A (zh) * 2014-06-08 2014-08-13 魏放 一种治疗肩周炎的中药制剂
CN105519278A (zh) * 2014-09-30 2016-04-27 江苏农林职业技术学院 一种植物氨基酸肥料在宝华玉兰种子发芽中的应用
CN105519277A (zh) * 2014-09-30 2016-04-27 江苏农林职业技术学院 一种植物激素在宝华玉兰种子发芽中的应用
CN105519278B (zh) * 2014-09-30 2018-01-02 江苏农林职业技术学院 一种植物氨基酸肥料在宝华玉兰种子发芽中的应用
CN105519277B (zh) * 2014-09-30 2018-01-02 江苏农林职业技术学院 一种植物激素在宝华玉兰种子发芽中的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48933B (zh) 一种治疗小儿腹泻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1869626B (zh) 中药复方制剂舒阴液及其制备与应用
CN103520572B (zh) 一种用于治疗特应性皮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772778A (zh) 一种治疗暑湿感冒的中药组合物
KR20130014766A (ko) 소아비염 치료용 한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954006B (zh) 治疗失眠的中药
CN103041256B (zh) 一种治疗小儿反复呼吸道感染的中药制剂
CN104367876A (zh) 一种口腔护理液及其制备方法
KR20120086947A (ko) 소아비염 치료용 한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041257B (zh) 治疗小儿发热高烧呼吸道感染的中药制剂
CN103041255B (zh) 治疗小儿咽喉肿痛呼吸道感染的中药制剂
CN106138785A (zh) 一种治疗神经衰弱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611005B (zh) 一种治疗慢性咽炎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3405722B (zh) 一种预防和治疗小儿咳嗽的中药制剂
CN105343346A (zh) 一种治疗外阴瘙痒的中药片剂及其制备方法
CN105125789A (zh) 治疗胃痛的健脾和胃制剂及制备方法
CN104623615A (zh) 一种治疗哮喘的药物
KR101302658B1 (ko) 소아야제 치료용 한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040975A (zh) 一种用于护理治疗小儿腹泻的中药组合物
CN103041258B (zh) 治疗小儿呼吸道感染伴纳差不食的中药制剂
CN102552560A (zh) 一种有效治疗手足口病的复方组合药物
CN105902910A (zh) 儿科护理用治疗呼吸道感染的滴剂及其制备方法
CN108607085A (zh) 安神疏肝汤
CN105661205A (zh) 一种清热止咳的枇杷露饮料
CN105079425A (zh) 一种治疗小儿手足口病的组合物制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