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6792A - 변화하는 시상 심벌 조합 배열을 적용하는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방법 - Google Patents

변화하는 시상 심벌 조합 배열을 적용하는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6792A
KR20120086792A KR1020110008070A KR20110008070A KR20120086792A KR 20120086792 A KR20120086792 A KR 20120086792A KR 1020110008070 A KR1020110008070 A KR 1020110008070A KR 20110008070 A KR20110008070 A KR 20110008070A KR 20120086792 A KR20120086792 A KR 20120086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
game
reel
slot machine
symbo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4213B1 (ko
Inventor
정인화
Original Assignee
정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화 filed Critical 정인화
Priority to KR1020110008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4213B1/ko
Publication of KR20120086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depending on the stopping of moving members in a mechanical slot machine, e.g. "fruit"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5/00Roulette games
    • A63F5/04Disc roulettes; Dial roulettes; Teetotums; Dice-top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Abstract

종래의 전자식 슬롯머신은 매 게임마다 변함없는 시상 심벌 조합 배열의 반영구적 고정화로 우연의 일치를 기다리는 것 외에는 사용자의 게임 참여가 불가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은 총 조합수가 확장될수록 해당 출현율은 반비례하여 낮아지고, 시상 조합 배열의 구역은 비례하여 확장된다. 또한 각 심벌별 원소들의 고유값들의 합(合)이 각 심벌별 데이터의 정보를 은닉할 수는 있으면서 열쇠화로 변환하는 표현 방식은 심벌 그림의 데이터를 숫자 타입으로 전환시켜 숫자의 행렬에 숨은 심벌을 존재하게하여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새로운 시상 심벌 조합 배열의 이용과 열쇠화 심벌 행렬판의 활용으로 사용자의 적극적인 게임 참여를 높히는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색인어]
심벌, 릴 프레임, 종속형 심벌, 독립형 심벌, 열쇠화, 행렬판, 시상 구역, 슬롯 구역(Position), 재배열

Description

변화하는 시상 심벌 조합 배열을 적용하는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방법{The electronic slot machine game method which applies the award symbol combination arrangement which changes}
본 발명은 전자식 슬롯머신의 게임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상 심벌 조합 배열을 새롭게 구성하며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 행동을 요구하여 사용자가 게임을 진행할 때마다 매번 다른 경험을 제공하는 슬롯머신 게임 방법이다.
종래의 전자식 슬롯머신은 사용자에게 기본적으로 두 가지의 제한 사항이 있다. 첫째는 동종의 게임기에서 매 게임마다 시상 심벌 조합 배열이 반영구적으로 고정되어 있다는 것이고, 둘째는 시상 조합과 자신의 슬롯 구역에 출현하는 심벌 조합이 일치하는 수학적인 기대값이 아닌 우연의 일치를 기다리는 것 외에는 사용자의 게임 참여가 불가하다는 것이다. 이것은 사용자에게는 선택의 여지가 없는 게임의 강요사항으로 개방적인 구성이 아니다. 사용자가 새로운 시상 심벌 조합의 배열을 요구하며 적극적으로 게임을 진행해 참여하는 행동이 필요하지만 종래의 전자식 슬롯머신의 패쇄적인 게임 구성의 방법으로는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은 각 릴에 구성된 종속된 심벌이 출현하여 시상 심벌 조합 배열을 생산하는 방식이었다. 본 발명은 각 슬롯 구역마다 독립된 릴을 사용하고 단일 심벌을 적용하여 총 출현 심벌 조합의 배열수를 확대하는 방식으로, 총 출현 조합수의 미만에 해당하는 임의 시상 구역 P를 설정하여 무작위 생성기의 신호 공급에 의해 다양한 시상 심벌 조합 배열을 생성하게 된다. 동종의 게임기에서 각 게임기마다 그리고 매 게임의 순간마다 변화하는 시상 심벌 조합의 배열을 구성하여, 당첨 시상 반환율은 동일하지만 시상을 형성하는 심벌 조합의 배열은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그리고 릴을 평면 정지 상태로 표현한 열쇠화 심벌 집단 행렬판에서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여 게임을 완성시키게 함으로써 종래 게임에서의 사용자의 낮은 참여도를 향상시키는 새로운 전자 슬롯머신 게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의 전자식 슬롯 게임이 사용하는 릴은 원둘레의 띠 형태로 구역을 설정하고 해당 심벌 그림을 출현율에 의해 표시 숫자를 배정하여 안착시키는 것으로, 릴의 구성은 기본적인 상, 중, 하단(3), 상, 하단(2) 등이 있다. 또한 출현 심벌 조합의 시상 라인에 따라 슬롯 구역에 연이은 종속적인 심벌 그림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단조로운 시상 심벌 조합의 배열이 고정화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슬롯 구역별로 독립된 릴을 사용하여 연속적인 심벌 그림이 아닌 단일 심벌 그림을 이용해 출현율을 확대 생산하고 다양한 시상 심벌 조합 배열을 형성한다. 그리고 종래의 전자 슬롯머신의 릴을 평면상에 정지 상태로 전환한 열쇠화 심벌 집단 행렬판을 이용해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는 방식을 통해 슬롯머신 게임이 진행되는 동안 단순히 시작 버튼을 누르는 행동 외에는 기다려야만 하는 소극적 참여를 개선시킬 수 있다. 전술한 두 가지 기능은 독립 릴의 구성시 심벌과 함께 투입한 빈칸(Blanks)이 출현할 경우 하나의 심벌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채워주는 구성과 함께 역동적으로 전체 게임 결과의 양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전자식 슬롯머신은 시상 심벌 조합 배열의 명문화된 고정화로 각 릴에 연이은 종속형 심벌을 사용하지만, 본 발명은 슬롯 구역마다 독립된 릴을 사용하여 출현 가능한 총 조합수를 확장시키고 다양한 시상 심벌 조합 배열을 형성한다. 그리고 독립된 릴 프레임에 빈칸을 설정하여 평면으로 정지된 열쇠화 심벌 집단 행렬판을 통해 사용자가 유추하여 심벌을 직접 선택해 채워주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매 게임마다 새로운 시상 심벌 조합 배열을 이용하고 사용자의 적극적인 게임 참여를 유도할 수 있어 획일적인 시상 심벌 조합 배열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 대표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의한 게임 방법을 도시한 초기 화면 구성도
[도 2] 본 발명을 적용한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의 흐름도
[도 3] 종래에 사용중인 슬롯머신 게임의 시상표
[도 4] 종래의 릴 프레임 구성도와 본 발명의 릴 프레임 비교도
[도 5] 본 발명에 따른 슬롯 구역별 독립 릴 적용도
[도 6] 본 발명에 따른 변화하는 시상 심벌 조합 배열의 기본 구성도
[도 7] 본 발명에 따른 슬롯 구역의 열쇠화 심벌 집단 행렬판 전환도
[도 8] 본 발명에 따른 열쇠화 심벌 집단 행렬판 실시예
도 8-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열쇠화 집단 행렬판을 이용하는 예시도
[도 9] 본 발명에 따른 슬롯머신 게임과 열쇠화 심벌 집단 행렬판 혼용도
[도 10] 본 발명에 따른 의도의 실현 양상도
[도 11]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 1에 의한 슬롯머신 게임 장착도
[도 12]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 1에 의한 슬롯머신 게임 방법을 도시하는 화면 구성도
[도 13] 본 발명의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 인터넷 사용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복수의 모니터를 구비한 게임
21 : 각 배당률에 따른 게임 구역
25 : 시상 조합 배열 구역으로 보조화면
26 : 본 발명의 게임 진행 구역으로 주화면
51 : 독립 릴 프레임
56 : 빈칸 구역
70 : 슬롯머신 게임의 시상 구역의 심벌 출현도
80 : 열쇠화 심벌 집단 행렬판
90 : 완성된 메인 시상 조합 배열 출현 구역
종래의 전자식 슬롯머신은 기계식 슬롯머신처럼 물리적 장치에 의해 릴이 돌아가는 것이 아니고 그렇게 회전하는 것처럼 영상에 비춰주며 무작위 생성을 통한 릴의 회전과 정지로 이미 제시된 시상금표의 심벌 조합과 일치할 경우 해당 배당률을 지급하는 방식이다. 사용되는 시상 심벌 조합 배열은 명문화되어 고착되어 있다. 동일 기종의 슬롯머신 게임기의 경우에도 획일적으로 고정화된 시상 심벌 조합의 배열 출현을 전제로 시상하고, 하나의 기계에서 수만 번의 게임을 진행하는 경우에도 언제나 변함없이 이미 확정적으로 고정화된 시상 심벌 조합의 배열이 이용되며 이는 사용자에게는 의도적인 제한 사항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대표도이다. 실시예 1의 게임은 보조화면용 상단 모니터(25)와 주게임용 하단 모니터(26)로 복수의 모니터(10)를 구비한 게임이다. (21)은 여러가지 집합 모형상의 시상금 심벌 조합 배열의 구역(P)을 구성한 것이며 크레디트 입력창(22)과 배팅 입력창(23) 그리고 게임 출발 버튼(24)을 설정하였다. 종래의 슬롯머신 게임의 시상 구역의 심벌 출현 부분(70)과 본 발명에 따른 열쇠화 심벌 집단 행렬판 구역(8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완성된 메인 시상 조합 배열 구역(90)을 도시한 초기화면 구성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의 흐름도이며 시상 배당률을 지급하는 시상 배당 DB(27)를 갖는다.
도 3은 종래의 슬롯머신 게임의 시상 표들이다. (31)은 온라인 상의 슬롯게임 시상표이며, (32)는 오프라인 상의 슬롯게임 시상표이다. (33)은 게임기의 슬롯게임 인쇄(시상표 그라스)상태 부착 모습으로 시상 심벌 조합의 배열과 투입하는 배팅 금액에 따른 배당률이 획일적으로 고정화되어있는 상태로 반영구적이다.
도 4는 실시예 2의 종래의 릴 프레임 구성도이다. 종래의 실시예 2의 5릴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 5릴 프레임(41)의 전개도이고, 실시예 2의 5릴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 시상 출현 구역(42)의 표시부이며, 실시예 2의 5릴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 1릴의 프레임(43)이다. 종래의 1릴 프레임의 종속적으로 연결된 심벌 형태(44)이며 종속의 연결된 심벌들이 시상 구역에 출현한 상태도(45)이다. 슬롯머신 게임 릴 프레임의 종속형 심벌을 설명하기 위해 알파벳 심벌을 수록한 기본설명도(46)이며, 릴 프레임의 알파벳 심벌을 통해 종속적으로 연결된 심벌의 안착 형태(47)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상 2구역에 독립 릴을 적용하는 설명도(48)이고, 본 발명에 따른 시상 3구역에 독립 릴을 적용하는 설명도(49)이다.
*총 조합수(Total Combination)
슬롯머신의 릴의 수와 각 릴에 새겨진 심벌의 수에 의해 결정된다.
*종속형 심벌
연결된 연이은 심벌 문양을 사용한다. 실시예 2에 따른 3개의 연속된 심벌(44)
*독립형 심벌
단일의 심벌만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종래의 전자식 슬롯머신의 경우 보통 3릴 프레임, 4릴 프레임, 5릴 프레임 등으로 구분한다. 시상 라인은 상단(Up), 중단(Center), 하단(Down)의 3단 또는 상단(Up), 하단(Down)의 2단으로 시상하는 게임도 있으며, 이 경우 띠로 연결된 3개의 심벌, 또는 2개의 심벌을 동시에 이용하여 위에서 아래로 흘러내리듯 회전하며 심벌들이 종속적으로 출현하게 된다. 슬롯머신 게임에 있어 출현율의 산출 방식은 각각 릴의 총 구역수에 몇 가지 심벌이 몇 개씩 존재하는가(동일 심벌의 수/ 해당 릴의 총 구역수)를 전제로 각 릴에 배수하여 나타낸다.
종래의 실시예 2의 게임(41)의 경우에 5릴 게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상 라인이 상단(Up), 중단(Center), 하단(Down)의 3단으로 설정되어 있다. 슬롯머신 게임의 시상 출현 구역(42)에 심벌이 정지되어 안착되었고, 각 릴은 22프레임 구역(43)으로 심벌 문양이 연결된 일렬종대의 띠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실시예 2의 5릴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의 제 1릴 프레임(43)의 하단부에 종속형으로 연결된 심벌 형태(44)를 보면 타깃, 종, 삼바의 문양이 연속으로 연결되어 표시되어 있으며 시상 출현 구역(42) 제 1번 릴(45)에 타깃, 종, 삼바의 문양이 그대로 출현하고있다. 종래의 릴 프레임에 연속으로 종속된 심벌을 이용하는 기본 방식이다. 상기의 종속형 심벌을 연이어 사용하는 방식에서는 (45)의 1구역(현재 타깃 출현 상태)에 타깃이 나타난다면 그 다음의 심벌은 반드시 종이 나타나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붙는다. 그곳에 세븐 문양 심벌이나 스타 문양 심벌은 절대 출현할 수 없다는 것이다. 또 2구역의 종 문양 심벌 다음에는 꼭 삼바 문양의 심벌이 와야 하므로 종래의 원둘레 띠 형태의 구성에서 연속하여 사용하는 종속형 심벌의 출현 방식은 다양한 심벌 조합 배열을 출현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제한적이고 단순한 시상 심벌 조합 배열의 고정화가 될 수밖에 없다.
실시예 3에서는 각 심벌간의 출현율을 동일하게 적용하는 조건으로 하나의 릴 프레임을 A에서 Z까지 이어지는 형태의 심벌이 구성(46)되어 있다. A 아래는 B 가오고 B 아래는 C 가 오는 것은 자명한 사실(47)이지만 상단(Up), 중단(Center), 하단(Down)에 각각의 독립된 릴을 사용하여 B의 구역에 독립된 릴 프레임(48)을, C의 구역에도 독립된 릴 프레임(49)을 적용한다면 A 아래 A 가 올 수 있고 또 그 아래 A의 출현도 가능한 것이다. 종래의 연이어 종속된 심벌을 이용하는 방식에서는 A, B, C의 한 가지 출현 형태가 나타나지만 각 구역 상단(Up), 중단(Center). 하단(Down)마다 독립된 릴을 설정하여 단일 심벌 문양을 적용한다면 상단(Up)에 A가 발생할 경우 26 × 26 =676 가지의 경우가 발생하고, 1릴에서의 이러한 출현을 각 릴에 대입해보면 4릴 게임의 경우 676의 4승에 해당하는 출현 조합 배열의 경우의 수가 발생된다. 종래의 상단(Up), 중단(Center), 하단(Down)의 1개 릴에서 n개의 심벌이 연속으로 사용되는 경우 n의 수 만큼 출현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단(Up), 중단(Center), 하단(Down)의 1개 릴에서 n개의 심벌은 n × n × n의 수 만큼 출현하게 된다. 3라인의 게임일 경우 종래보다 n × n 만큼 배가 되는 것이고 2라인의 게임일 경우 n 만큼 배가 되는 것이므로 총 조합수가 확장되어 각 심벌 단위별 출현을 더욱 세분화 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의 결과에서 보면 총 조합수의 확장은 단일 시상 심벌 조합의 출현율과 반비례하게 된다. 총 조합수가 축소될수록 해당 출현율은 높아지고 시상 조합 배열의 구역은 축소되며, 총 조합수가 확장될수록 해당 출현율은 낮아지고 시상 조합 배열의 구역은 확장된다.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 1에 따른 독립 릴의 구성(51)으로, 각 릴 구역에 8개의 심벌 문양을 2개씩 배치하고 슬롯 시상 라인의 상단 전체 구역(52)과 슬롯 시상 라인의 하단 전체 구역(53)에 각각의 독립 릴을 적용하고 있다. 전체에 해당하는 8곳의 모든 릴 프레임에 독립 릴을 적용해서 시상 1구역에 종속의 연결된 심벌 형태(55)가 아닌, 단일 심벌 그림인 타깃 심벌 문양이 출현(54)하고 있다. (56)은 본 발명에 따른 독립 릴 프레임에 설정된 빈칸 구역이다.
*빈칸(Blanks)
전자 슬롯머신 게임의 특정 종류에서 빈칸(Blanks)은 릴에 아무것도 그려져 있지 않은 여백을 말하는 것으로 당첨되지 않은 하나의 심벌로 취급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빈칸(Blanks)은 그 의미가 다른 것으로 하나의 심벌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여 채워줄 수 있는 것이다.
*재배열
셔플(Shuffle) 심벌 섞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변화하는 시상 심벌 조합 배열의 기본 구성도로, 실시예 1의 게임에서 여러 가지 집합 모형상의 시상금 심벌 조합 배열의 구역(P)을 구성(21)한 것이다. 직전 게임의 시상 구역과 배당(61)이 존재하며, 기존의 시상 심벌 조합 배열이 사라지고 매 게임의 게임 출발 버튼의 동작과 동시에 시상 심벌 조합 배열이 새롭게 재배열(62)된다. 실시예 1 게임에 사용하는 8개의 심벌(63)이 제시되어 있으며 각각의 심벌들은 하나의 배당 등급이 형성되는 시상 심벌 조합 배열 구역(P)에 무작위 생성에 따라 출현(64)한다. 이 경우 시상 심벌 조합 배열 구역의 상단 구역(65)과 시상 심벌 조합 배열 구역의 하단 구역(66)으로 동시에 분리되어 출현하게 된다. 시상 심벌 조합 배열 구역에서 면제되는 형태(67)이며, 시상 심벌 조합 배열 구역의 배당률 표시(68)이다.
실시예 1의 게임 경우 상단 부분(65) 슬롯 시상 구역 73곳에 8개의 심벌이 9배수되고 하나의 조커(Joker)가 더하여져 무작위 공급되며 하단 부분(66) 슬롯 시상 구역 72곳에 8개의 심벌이 9배수되어 무작위 공급되는 것으로, 출현 가능한 경우의 수는 거의 무한대에 가깝다. 그 중에 하나의 시상 심벌 조합이 해당 게임에 출현하여 게임이 진행되는 것이다.
실시예 1의 게임에서 사용하는 8개의 심벌(63)의 출현율은 독립 릴에 구성(51)된 16개 구역의 릴 프레임에서 동일하게 2개씩 사용된다면 공히 1/8로 동일하다. 종래 슬롯머신의 고정화된 방법으로 시상 라인에 세븐 심벌이 3개 배열되려면 출현율은 1/8×1/8×1/8=1/512이 된다. 본 발명에 따라 동일한 구역에 8개의 심벌 중 임의의 것이 선택되어 3개 배열되려면 기존의 방법과 동일하게 출현율은 1/8×1/8×1/8=1/512이 된다. 스타, 삼바, 세븐 등 다른 심벌로 구성하는 배열의 출현율도 동일한 것으로 시상 심벌 조합의 배열은 수천억 가지 이상의 경우의 수가 발생하며, 그 중의 어느 하나의 출현 경우로 게임을 진행하여도 종전의 심벌의 개별적인 출현율과는 동일한 조건의 출현율을 갖게 된다.
종래의 방식으로 갑(甲)이라는 슬롯머신의 출현 가능한 총 조합 경우의 수가 100이라고 하면 단일 심벌 조합 배열의 출현은 1로 1%이며, 시상 심벌 조합의 배열 방식은 최대 100미만 이어야 한다. 본 발명을 적용한 을(乙)이라는 슬롯머신의 출현 가능한 총 조합 경우의 수가 1,000이라고 하면 단일 심벌 조합 배열의 출현은 1로 0.1%이며, 시상 심벌 조합의 배열 방식은 최대 1,000미만 이어야 한다.
종래의 슬롯머신 반환율을 보면 출현율 10%의 시상 방식이 10가지이고 배당율 9.8을 적용하면 총 반환율은 98%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현율 2%의 시상 방식이 50가지라도 배당율 9.8을 적용하면 총 반환율은 98%가 된다. 반환율은 동일하게 적용하면서 출현을 낮추어 시상 방식을 다양하게 변환하여 적용하여도 총 당첨 빈도에는 차이가 없게 되는 것 이다.
실시예 1에서 종래의 슬롯머신 게임의 시상표(33)의 경우 ×500 배당을 주는 심벌 조합의 배열 그림은 단 하나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의한 경우 ×500 배당을 주는 심벌 조합의 배열 그림(68)은 5가지이다. 종래의 경우 ×500 배당을 주는 심벌 조합의 배열 그림은 단 하나이면서 수 만 번의 게임을 진행하여도 꼭 이미 제시된 게임기 상단의 슬롯 게임 시상표 그라스를 인쇄상태(33)로 부착한 조합 배열의 그림에만 시상이 주어지는 것이다. 동종의 게임기는 모두 이 조건에 따라야 한다. 본 발명에의한 경우 ×500 배당을 주는 심벌 조합의 배열 그림은 5가지이지만 심벌 조합 배열의 그림이 매 게임 마다 새롭게 변화한다는 점에서 그 경우의 수는 천문학적인 숫자라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시상 심벌 조합 배열의 구역을 확장하려면 발생 가능한 총 조합수를 확대하고 모든 슬롯 구역에 독립 릴을 설정하며, 시상 심벌 조합 구역의 각 심벌당 출현율과 각 독립 릴의 각 심벌 출현율을 일치시켜야 한다..
도 7은 게임기 전면부(주화면 모니터2) 소정의 위치(도 1-80)에 장착된 구분된 구역으로 열쇠화 심벌 집단 행렬[行列]판의 구성이다.
사용자가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을 진행하는 목적은 보상의 최대화와 손실의 최소화이지만, 종래의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에서 공급하는 랜덤 신호에 따라 단순하게 회전 및 정지 상태를 바라보는 처지로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출현하는 심벌의 위치 구역을 조정할 수도 없고, 그 내용을 변화 시킬 수도 없다. 회전하는 릴에 부착된 심벌들 중에 사용자가 원하는 심벌이 시상선의 슬롯 구역에 멈추게 하는 방법은 전혀 없는 상태로 시상 구역의 심벌 출현의 일치를 우연으로 기대할 뿐이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에서는 슬롯머신 게임의 구성 요소에 따른 전체적인 틀은 유지하면서 게임의 진행 결과에 변화와 영향을 주는 자물쇠 이미지를 사용하여 제어 기능을 나타내는 열쇠화 심벌 행렬판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심벌을 선택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각 심벌별 원소들의 고유값들의 합(合)이 각 심벌별 데이터의 정보를 은닉할 수는 있으면서 열쇠화로 변환하는 표현 방식은 심벌 그림의 데이터를 숫자 타입으로 전환시켜 숫자의 행렬에 숨은 심벌을 존재하게하여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심벌(Symbol)
슬롯머신의 릴에 그려져 있는 도안 무늬의 특정 그림
*구역(Slot)
슬롯머신 시상에서 출현 심벌들이 멈추는 곳으로 정지 상태가 표시되는 곳
*슬롯머신 시상
몇 가지 종류의 도안 무늬(심벌)가 서너군데 시상 구역에 나타나는데(출현), 둘 이상의 같은 무늬가 늘어서면 집어 넣은 배팅액의 해당 배수가 나오는 짜임새로 구성되어 있다.
*열쇠화
초기화면은 잠긴 상태의 비공개(closed), 원소 선택 시 열림 상태의 공개(open)
*행렬[行列]
행렬은 수학의 여러 분야에서는 물론 공학?물리학?통계학 등에서 널리 응용되고 있는 것으로, 행(row)은 가로 횡(橫)으로 좌우의 방향 행(行)으로 m으로 표시하며, 열(column)은 세로 종(縱)으로 위아래의 방향 열(列)로 n으로 표시하며 m×n 행렬(行列, matrix)이라고 표현한다.
*행렬[行列]판
행(row)과 열(column)에 수(數)를 배열하여 직사각형을 이루게 한 수(數)의 집합으로 어떤 수(數)를 정한 몇 개의 행(行)과 몇 개의 열(列)로 나열한 표로 구성한 판(Board)이다.
각 수(數)들은 이 행렬의 원소로 구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슬롯머신의 심벌, 카드, 주사위, 팔괘, 화투, 윷, 마작 등의 데이터(data)로 각각 고유의 값을 지정한 수(數)를 대입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행렬(行列)에 기반을 두고 있다.
*열쇠화 심벌 집단 행렬[行列]판 (심벌=원소, 집단=n배수)
심벌 행렬(行列)은 심벌을 집단(n배수)으로 묶어 심벌 그림 정보를 은닉하면서 심벌 데이터(data) 각각 지정한 고유의 값(수數)을 통해 일부의 정보를 공개하는 형식으로 몇 개의 행(m)과 몇 개의 열(n)로 배열한 m×n 구성 형식으로 수(數)의 합(合)으로 표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롯 구역의 열쇠화 심벌 집단 행렬판은 릴 프레임의 전환도이며 실시예 1 게임의 독립릴 프레임의 심벌 수록 상태(51)와 실시예 1 게임의 독립릴 프레임의 심벌과 빈칸(56) 수록 상태(57)이다. 종래의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기에서 사용하는 릴 프레임(51)을 본 발명에 따른 열쇠화 심벌 집단 행렬판(80)으로 전환한 것으로, (51)의 릴 프레임 구성은 16개 심벌 구역에 8개의 심벌들이 동일하게 2개씩 배치되어 있으므로 각 심벌당 출현율은 1/8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쇠화 심벌 집단 행렬판(80)은 24구역에 8개의 심벌들이 동일하게 3개씩 배치되어 있으므로 역시 각 심벌당 출현율은 1/8 이다. 결과적으로 (51)과 (80)은 동일한 출현율을 갖는다. 또한 빈칸이 수록된(57)의 출현율도 동일한 것으로, 모든 빈칸(56)이 시상 슬롯 구역에 출현할 경우에는 바로 본 발명에 따른 열쇠화 심벌 집단 행렬판(80)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여 채워가는 방식이므로 결과적으로 출현율은 동일하다.
원 둘레 형상으로 회전하는 일렬종대의 띠 형태를 가진 종래의 릴 프레임의 기본(51)을 평면화된 정지 형태(80)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전자 슬롯머신의 각 릴에 사용되는 심벌당 고유값(수數)을 지정한 숫자로 열쇠화(초기화면의 잠긴 상태 심벌 선택 시 열림 상태)하여 n배수한 심벌을 집단으로 묶어 몇 개의 행(m)과 몇 개의 열(n)로 배열한 m × n 형식의 심벌 행렬판으로 표현한다. 릴 프레임과 동일한 환경이지만 서로 다른 배경 조건을 갖는 두 개 행(行)과 열(列)의 합의 수식 인지가 일치하는 요인들을 결합시켜 사용자가 정지된 상태에서 직접 손가락 또는 터치 봉을 이용하여 유리한 심벌을 유추해 원하는 심벌을 가능성 있게 선택함에 있어 열쇠화 심벌 집단 행렬판의 분석 해독이 필요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열쇠화 심벌 집단 행렬판의 사용 진행도이다. 열쇠화 심벌 집단 행렬판 초기화면(81)으로 잠긴 상태의 비공개(closed)로 각 릴에 사용되는 심벌에 고유값(수數)을 지정해 숫자 행렬판의 가로 행(行)의 합(合)(82)과 세로 열(列)의 합(合)(83) 그리고 행렬판의 전체 합(合)(84)이 제시되며 열쇠화 심벌 집단 행렬판의 각 심벌의 고유값이 명시(85)된다. 사용자는 수식으로 균등하게 분할된 정보를 유추하여 감추어진 심벌을 유리하게 선택하는 것이다.
열쇠화 심벌 집단 행렬(行列)판은 각 심벌의 n배수로 구성된 직사각형 형태로, 외적으로는 단순한 판 형태의 구조로 모든 데이터를 표현하지만 수학적인 가로의 합(合)과 세로의 합(合)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제시가 없으면 사용자는 단순히 우연을 기대하면서 심벌을 선택할 수 밖에 없게 된다. 사용자가 자신에게 유리한 하나의 심벌을 선택(86)한 경우 심벌이 열림 상태로 공개(open)되며 타깃 심벌(87)이 선택 된다. 선택된 타깃 심벌(87)이 슬롯머신 시상 구역의 빈칸(56)에 채워지며 열쇠화 심벌 집단 행렬판의 심벌 전체가 열림(88) 상태로 공개(open)되는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열쇠화 심벌 집단 행렬판에서 선택한 타깃 심벌(87)이 활성화로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것이 정상적인 출현인가 의구심을 갖게되는 경우 선택 심벌의 진위 여부를 검산(89)할 수 있다. 각 심벌별 데이터의 개별적 고유값의 숫자를 함께 미리 제시하고, 가로 행(行)의 합(合)과 세로 열(列)의 합(合) 그리고 전체 합(合)을 분명하게 저장해 표현(88)한다. 이로써 실시예 1의 사용자는 예시한 심벌별 고유값의 명세를 참조하여 수학적인 계산을 통해 자신에게 유리한 조건의 심벌을 선택하고, 자신이 지정하여 선택한 심벌의 위치 또는 형태가 변형될 수 없음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각 릴과 동일한 출현율을 가지는 게임 릴의 열쇠화 판에 매 게임마다 무작위 생성 과정을 거쳐 배당된 신호를 보내어 심벌 군을 섞이게 하는 재배열 처리 과정 중에 심벌 군을 숫자로 전환시킨다. 행(行)과 열(列)의 합(合)은 행(行)이나 열(列)을 공유하는 구성 요소들의 좋은 대응관계로 두 개를 연결해주는 고리 역할을 하며 뚜렷한 연관성을 나타낸다. 만약 행렬(行列)의 특정 요소들이 한 방향으로 분포되어 있다면 사용자가 유리하게 적용할 심벌을 선택할 경우 심벌의 고유값이 크다면 가로의 행(行)과 세로 열(列)의 합(合)이 높은 행렬에서 심벌을 선택할 것이며, 심벌의 고유 값이 작다면 가로의 행(行)과 세로 열(列)의 합(合)이 낮은 행렬에서 심벌을 선택할 것이다. 이로써 심벌 정보는 은닉(Information Hiding)되어 있지만 확률적으로 당첨 출현율은 높힐 수 있게 된다.
도 8-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쇠화 행렬판의 원소가 구성된 것으로. 각각 고유의 값을 지정한 수(數)를 대입하여 이용할 수 있는 예시도이다.
80-1: 열쇠화 주사위 집단 행렬판
80-2: 열쇠화 팔괘 집단 행렬판
도 9는 종래의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에서는 사용자가 시작 버튼을 누르는 제한적인 입력 동작밖에 할 수 없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에서는 사용자가 입력의 주체가 되어 회전과 정지를 통해 시상 선에 출현한 시상 심벌(70)과 빈칸(56)으로 설정된 릴 프레임에 빈칸(56)의 출현 시 릴의 구성 심벌 출현율과 동일하게 설정된 해당 구역의 열쇠화 심벌 집단 행렬판(80)에서 심벌을 선택해 빈칸을 채워 완전한 게임(90)으로 진행해가는 구성 방식을 설명하고 있다.
종래의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70)은 입력 처리(시작버튼) -> 출력 처리 (슬롯 구역 심벌 출현 정지)로 진행되어 출력을 위한 사용자의 참여가 전혀 없는 상태이고, 단순히 입력된 자료를 토대로 하여 랜덤의 명령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80)은 입력 처리(시작버튼) -> 변수의 값을 더하는 변환 제어 처리(열쇠화 심벌 집단 행렬판) -> 출력 처리 (슬롯 구역 심벌 출현 정지)로 최종 출력 형태가 다르다.
슬롯머신 게임과 본 발명에 따른 열쇠화 심벌 집단 행렬판의 혼용 방법으로 (70)은 종래의 슬롯머신 게임의 시상 구역의 심벌 출현 부분(A)이고 (80)은 본 발명에 따른 열쇠화 심벌 집단 행렬판(B)이며, (90)은 본 발명에 따른 완성된 메인 시상 조합 배열 출현 구역(A+B)이다.
본 발명의 게임을 둘러싼 두 가지 구성도 그림(71-A, 72-B)을 합병하여 구성하고, 그 구조를 편의상 아래와 같이 정의하면 기본적으로 다음 7가지 타입의 상황을 예측할 수 있다. 그것을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다. A6, A5. A4, A3, A2. A1, A0와 B0, B1, B2, B3, B4, B5, B6으로 표기한다. A게임(70)이 확장될수록 B게임(80)의 영역은 줄어들고, A게임(70)이 축소될수록 B게임(80)의 영역은 늘어난다. 두 주체의 출현과 의도가 합치되고 행렬판의 심벌 선택이 수행된 후에 주게임의 해당 구역에 출현하여 게임은 완성(90)되어 가는 것이다.
종래의 슬롯머신 (도 9-70)은 우연으로 시상 배열과 일치하기를 막연히 기다리는 상태로 A6, A5. A4, A3, A2. A1, A0은 우발적인 게임 (random game)이며, (도 9-80)는 자신의 유추 능력을 발휘하여 직접 해당 심벌을 선택하는 행동을 포함하는 것으로 B0, B1, B2, B3, B4, B5, B6은 창발적인 게임 (emergent game)이다. 이 둘의 상호적인 관계는 전자식 슬롯머신 (도 9-90)을 더욱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게임은 사용자의 영역(56)을 남겨 두고 있으며 여기에 사용자의 행동이 더해져야만 완전한 게임(90)이 실현 된다.
도 10은 각 릴 프레임에 빈칸(56)이 발생하면 이를 채워 나가는 게임 사용자의 활동으로, 해당하는 열쇠화 심벌 집단 행렬판(80)에서 잠긴 상태의 비공개 상태(86)로 사용자가 필요한 심벌(87)을 선택하여 빈칸(91)에 공급하면, 심벌이 열림 상태(88)로 완전 공개되어 완성된 메인 시상 조합 배열 출현 구역(90)의 빈칸에 안착(92)한다. 전자 슬롯머신 게임의 결과인 주게임 일부(70)와 사용자가 열쇠화 심벌 행렬판(80)을 이용해 심벌을 직접 선택하는 보조게임 일부로 구성된 이중적 기능을 하나의 고리로 연결하여 완전한 전체 게임(A+B)을 구성(90)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 1에 의한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기의 단면도이며, 본 발명에 따른 시상 조합 배열 구역으로 보조화면(25)의 상단 모니터와 본 발명에 따른 슬롯머신 게임 진행 구역으로 주화면(26)의 하단 모니터로 복수의 모니터를 장착한 디스플레이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 1에 의한 슬롯머신 게임 방법을 도시하는 화면 구성도이다. 매 게임 마다 시작 버튼(24)이 작동하면 단말기에 설치된 무작위 생성기( Random Number Generating)는 배팅(23)이 완료되고 게임이 출발되는 순간 신호를 공급, 상단 모니터의 보조화면(25)에서 시상 심벌 조합 구역의 직전 게임의 배열(61)이 사라진다. 그리고 새로운 시상 심벌 조합을 형성하는 재배열(62)이 시작 되며 하단 모니터의 주화면(26)에서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의 릴 프레임이 회전 후 정지하여 슬롯머신의 시상 선에 조합(70)을 출현케 한다. 두 가지의 작업(62, 70)이 동시에 게임을 실행시키는 병렬 처리 방식이다. (70)은 종래의 슬롯머신 게임의 시상 구역의 심벌 출현 부분(A)이며 (80)은 열쇠화 심벌 집단 행렬판(B)이다. 독립된 릴 프레임(48)의 빈칸 구역(56)의 연결고리를 혼용하여, 사용자의 참여가 없는 종래의 슬롯머신 게임 진행인 1차적인 방식과 열쇠화 심벌 집단 행렬판에서 기호 해석을 통해 직접 심벌을 선택하여 채워가는 사용자의 참여와 의도가 있는 2차적인 방식이 연쇄적 통합으로 뒤섞이게 되어 완성된 메인 시상 조합 배열 출현(90) 구역(A+B)의 게임을 진행한다. (93)은 슬롯 구역의 위치를 지정하는 천(天), 인(人), 지(地) 표시부이며, 슬롯 구역의 상단(Up), 하단(Down)을 지정하는 표시부(94)이고, (95)는 열쇠화 심벌 집단 행렬판의 심벌별 배수 표시이다. 슬롯머신 시상 구역에 1개 이상의 빈칸이 출현하면 해당 (93)의 표시부와 표시부(94)의 담당 구역이 순서에 따라 활성화되어 심벌을 선택하며, 새로운 열쇠화 심벌 집단 행렬판은 무작위 생성의 공급에 따라 숨겨지는 심벌들이 혼합되고 가로 행(行)의 합(合)과 세로 열(列)의 합(合)의 수식은 자동으로 변환하며 전체의 합(合)은 고정으로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는 게임 채널 버튼(96)을 통해 자신이 요구하는 릴 라인을 선택해 천(天), 인(人), 지(地)를 이동하여 게임 1릴 채널(97)에서 게임 4릴 채널(98)까지 활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 인터넷 사용도이다.
110-132: 통상적인 인터넷 구성도
132-133: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 프로그램
134-139: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단말기
140-144: 게임 진행에 필요한 DB
본 발명은 게임 사용자에게 가장 이상적인 슬롯머신 게임의 다양함과 재미를 제공하여 고객들의 게임 시간을 확장시켜 줄 수 있다. 게임의 시상 등급 선택 폭을 넓히고 사용자가 게임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게임의 신뢰감과 흥미, 현실감, 편이성 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게임 산업의 발전뿐만 아니라 카지노 등에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3)

  1. 각각의 릴 프레임 슬롯 구역에 따라 독립된 릴을 투입하여 단일 심벌을 사용해 총 조합수를 확장시키며, 출현율은 축소되고 시상 조합 배열의 구역은 확대되어 해당 미만의 범위 안에서 시상 구역(P)을 지정하고 각각의 심벌의 출현 확률을 세분화해 배정하여 전체 배당률에 투입하고 각각의 해당 심벌 수 m에 n배수한 심벌 집단을 시상 구역(P)에 설정한다. 각 릴의 심벌의 출현율과 시상 구역의 심벌 출현율을 일치시키는 구성 방식에 무작위 생성기의 공급에 의해 매 개임 마다 시상 구역(P)의 심벌들의 위치를 자동 변환시켜서 새로운 시상을 형성하는 심벌 조합 배열을 이용하는 게임 방법이다.
  2. 회전하는 릴의 기본을 평면 정지 형태로 전환한 방식으로, 전자 슬롯머신의 각 릴에 사용되는 심벌의 문양 정보는 감추어지지만 정보를 표현하는 방식을 달리하여 심벌 각각을 고유값(수數)으로 대체한 숫자화를 심벌 해석 과정의 열쇠화로 변환 시켜서 n배수한 심벌들을 집단으로 묶어 몇 개의 행(m)과 몇 개의 열(n)로 배열한 직사각형체에 m×n 형식으로 행렬을 표현한다. 가로와 세로의 합의 수식 배열로 균등하게 분할된 정보를 나열, 제공하여 감추어진 심벌의 고유값을 합산한 숫자의 가로 행과 세로 열의 합 그리고 전체의 합을 제시해주므로 합의 대소 균형, 짝수와 홀수의 대응관계, 제시된 심벌 각각 고유값(수數) 비교 등을 통해 릴의 사용과 동일하게 출현율을 나타내면서도 사용자가 정지된 상태에서 직접 자신의 손을 이용하여 유리한 심벌을 유추, 선택하는 방식의 열쇠화 심벌 집단 행렬판 이용 방법이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의 슬롯 구역에 출현하는 심벌의 정보를 표현하는 방식을 두 가지 형태로 전환시켜 시작 버튼의 입력 처리에서 바로 시상선상에 심벌 출현으로 출력 처리하는 주게임 일부(A)와, 각 슬롯 구역에 투입되는 독립릴에 심벌의 그림이 없이 비어있는 빈칸을 설정하여 빈칸이 출현하는 경우 해당 릴과 출현율 및 배당률이 동일한 평면화로 정지된 변수의 값을 더하는 변환 제어 처리 과정의 열쇠화 심벌 집단 행렬판을 이용, 사용자가 요구하는 시상 심벌 조합에 일치 가능한 심벌을 직접 빈칸에 선택하여 채워주는 보조게임 일부(B)를 설정하여 양 반응 기능을 하나의 고리로 연결하여 연계성으로 얽히면서 출력 처리하여 슬롯머신 게임을 완성(A+B)시키는 게임 방법이다.
KR1020110008070A 2011-01-27 2011-01-27 변화하는 시상 심벌 조합 배열을 적용하는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방법 KR101224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070A KR101224213B1 (ko) 2011-01-27 2011-01-27 변화하는 시상 심벌 조합 배열을 적용하는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070A KR101224213B1 (ko) 2011-01-27 2011-01-27 변화하는 시상 심벌 조합 배열을 적용하는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792A true KR20120086792A (ko) 2012-08-06
KR101224213B1 KR101224213B1 (ko) 2013-01-21

Family

ID=46872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070A KR101224213B1 (ko) 2011-01-27 2011-01-27 변화하는 시상 심벌 조합 배열을 적용하는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2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137B1 (ko) * 2013-10-29 2014-09-23 정인화 사용자가 게임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 방법
KR101383741B1 (ko) * 2013-08-07 2014-09-23 정인화 사용자의 예측 의도를 제공하는 전자식 슬롯머신의 게임 방법
WO2016003228A1 (ko) * 2014-07-04 2016-01-07 계정수 원통형의 3d방식을 통해 심벌조합을 공급받는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167A (ko) * 2000-05-24 2000-09-05 정인화 다 체널 디지털 슬롯 머신과 인터넷 게임 방법
KR20010083830A (ko) * 2001-07-02 2001-09-03 정인화 다 기능 전자 슬롯 머신과 인터넷 게임 방법.
KR20050052975A (ko) * 2003-12-01 2005-06-07 정인화 주 게임과 보조 게임을 동시 진행 결과를 연계 시키는전자 슬롯머신 게임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741B1 (ko) * 2013-08-07 2014-09-23 정인화 사용자의 예측 의도를 제공하는 전자식 슬롯머신의 게임 방법
WO2015020430A1 (ko) * 2013-08-07 2015-02-12 Jung In Hwa 사용자의 예측 의도를 제공하는 전자식 슬롯머신의 게임 방법
KR101422137B1 (ko) * 2013-10-29 2014-09-23 정인화 사용자가 게임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 방법
WO2015064970A1 (ko) * 2013-10-29 2015-05-07 정인화 사용자가 게임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 방법
WO2016003228A1 (ko) * 2014-07-04 2016-01-07 계정수 원통형의 3d방식을 통해 심벌조합을 공급받는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4213B1 (ko) 201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700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video output gaming device
US6932702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slot machine having a hot streak phase
US9466181B2 (en) Gaming method and apparatus with dynamic element function
CN1706527B (zh) 游戏机
US10460553B2 (en) Methods of user and machine interaction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user interaction
US20140051496A1 (en) Electronic Gaming Machine and Gaming Method
US20030114215A1 (en) Methods of conducting games of chance and gaming devices with multiple pay lines
JP2008526374A (ja) 懐かしいゲームテーマを用いた抽選ゲーム
US20190378373A1 (en) Gam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ortioning a Play Area
KR20080053474A (ko) 게임 장치
US20100298042A1 (en) Gaming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a Game Involving Bonus Functionality
KR20080038421A (ko) 추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게임 장치
US20120149455A1 (en) Game machine and computer program thereof
AU2013245553A1 (en) An electronic gaming machine and gaming method
AU2013201745B2 (en) An electronic gaming machine and gaming method
KR20120086792A (ko) 변화하는 시상 심벌 조합 배열을 적용하는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방법
CN103310549A (zh) 游戏机及游戏方法
TW581697B (en) Bingo device and game executing method, recording medium
US10709963B2 (en) Game system and image display method
CA3089822A1 (en) Lottery using small pool of symbols
KR101257310B1 (ko) 하나의 동작으로 두 가지 게임을 동시에 진행하는 전자식 주사위 게임 방법
KR20120086791A (ko) 사용자가 직접 카드를 선택하여 진행하는 비디오 포커 게임 방법
JP3255780B2 (ja) ビデオ式ビンゴゲーム装置
CN101162538A (zh) 游戏机
KR101468478B1 (ko) 원통형의 3d방식을 통해 심벌조합을 공급받는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