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137B1 - 사용자가 게임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가 게임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137B1
KR101422137B1 KR1020130128970A KR20130128970A KR101422137B1 KR 101422137 B1 KR101422137 B1 KR 101422137B1 KR 1020130128970 A KR1020130128970 A KR 1020130128970A KR 20130128970 A KR20130128970 A KR 20130128970A KR 101422137 B1 KR101422137 B1 KR 101422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symbols
area
symbol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8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화
Original Assignee
정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화 filed Critical 정인화
Priority to KR1020130128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137B1/ko
Priority to PCT/KR2014/010082 priority patent/WO201506497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depending on the stopping of moving members in a mechanical slot machine, e.g. "fruit"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25Data transfer within a gaming system, e.g. data sent between gaming machines and users
    • G07F17/323Data transfer within a gaming system, e.g. data sent between gaming machines and users wherein the player is informed, e.g. advertisements, odds, instru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슬롯머신의 게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게임결과 출현한 심벌 조합의 설정요건을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게임 진행 과정을 공개해 신뢰도를 높이는 전자 슬롯머신 게임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용자가 게임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 방법{The electronic slot machines game method for enable confirmation of game process}
본 발명은 전자식 슬롯머신의 게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게임결과 출현한 심벌 조합의 설정요건을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게임 진행 과정을 공개해 신뢰도를 높이는 전자 슬롯머신 게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식 슬롯머신은 사용자에게 배팅 행위, 출발버튼을 클릭하는 행위만으로 시상 조합과 슬롯 구역에 출현하는 심벌 조합이 우연의 일치를 기다리는 방식이다. 이러한 종래 게임방식은 사용자가 자신이 진행한 게임의 결과인 시상심벌조합의 출현이 어느 경로를 통해 산출되었는지 확인이 불가능하고, 자신의 유리한 결과를 위해 선택할 수 있는 의도가 없는 단순히 게임의 주어진 규칙을 강요하고 있는 것으로, 이러한 결과에 대한 신뢰감의 저하는 종래 전자식 슬롯머신의 단순 게임 구성 및 게임 진행 방식이 단점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전자 슬롯머신은 소프트웨어의 실행으로 반복되어 시상조합을 출현시키는 형태로, 출현되는 시상조합은 각 릴에 해당하는 심벌표시그림의 운동량과 위치라는 요소가 변수로 작용하고, 무작위 생성기의 명령에 의해 하나의 지정된 게임 판(Frame)에 공급하여 재배열된다. 이와같은 슬롯머신은 프로그램의 진행 결과에 따라 시상조합이 출현되고 사용자는 이를 무조건 따르는 것이 불문율이다. 하지만, 사용자는 자신이 배팅한 금액의 득과 실이라는 게임결과가 어떤 경로를 따라 시상심벌이 출현되는지에 대한 과정을 전혀 알 수 없으므로 페이라인(Pay-Line)에 내려오지 않은 심벌, 또는 구멍에 빠지는 심벌 등에 대한 의구심으로 전자 슬롯머신 게임의 신뢰성이 낮은 것이다.
즉, 사용자는 배팅과 출발버튼 터치를 실행하는 동작 외에는 아무런 참여 방법이 없으며 오직 시상 심벌 조합과 동일한 시상심벌 출현결과의 일치를 막연히 기다리던 형태의 구성으로, 사용자의 다른 능동적인 참여 영역은 전혀 없는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224213 호 (변화하는 시상 심벌 조합 배열을 적용하는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 방법 2013.01.14. 등록)
이에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 방법은,
사용자의 게임 플레이 경험을 바탕으로 논리적인 추론에 의한 예측 실행하는 기능으로, 유리한 방향으로 문제 해결을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입력과정을 추가하여 전자 슬롯머신 게임의 신뢰성을 높이고 당첨 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게임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방법은,
다수의 릴에 의해 다수의 심벌을 출현시키는 모집단인 상단영역과, 상단영역에서 선택된 심벌을 출현시키는 2단계게임 구역인 하단영역과, 게임랭킹시상표가 구성된 디스플레이부와; 크레디트 적립구역과, 배팅금액구역과, 당첨금적입구역과, 게임출발버튼과, 사용자 조작부를 포함한 입력수단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각 릴의 작동제어와 상단영역과 하단영역의 심벌출현 및 게임진행과정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 전자식 슬롯머신을 이용하여 게임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크레디트 적립구역과, 배팅금액구역을 설정하는 입력단계와; 다수로 구획된 상단영역의 각 영역에는 숫자가 표시되는 하나의 중심원과 다수의 심벌이 안치되는 구역이 배치되어 게임이 진행되도록 하되, 게임출발버튼 클릭으로 직전게임의 심벌과 숫자가 제거되는 초기화가 이루어지는 게임출발단계와; 초기화된 상단영역의 중심원에 숫자를 무작위 생성시키고, 무작위로 심벌이 조합된 릴을 상단영역의 열마다 배치하고, 배치된 다수의 릴을 구동시켜 영역마다 심벌을 출현시키는 복수심벌 출현단계와; 상기 상단영역에서 구획된 영역에 배열된 심벌 중 중심원 내의 숫자에 해당하는 순서의 심벌을 최종 선택하는 심벌선택단계와; 상기 최종선택된 심벌은 하단영역의 해당구역에 출현시키는 결과출력단계와; 상단영역에 출현된 심벌과 하단영역에 출현된 심벌을 각각 게임랭킹시상표와 대비하여 당첨을 판단하는 상단영역 1단계게임과 하단영역 2단계게임의 당첨판단단계와; 당첨이 되면 이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불하여 적립시키는 당첨금 지불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복수심벌 출현단계에는, 다수의 릴이 구동되는 시점부터 각 영역에 심벌이 출현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동안 사용자 조작부를 통해 상단영역의 일부 영역을 선택하여 중심원 내의 숫자를 변경하는 중심원숫자 변경단계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영역은, 각 영역을 2행2열의 세부영역으로 구획하고, 세부영역 구획으로 2배 증가한 전체 상단영역의 열마다 다수의 심벌이 무작위로 1열로 배열된 릴을 배치하여 각 세부영역에 심벌이 출현되도록 하고, 2행2열의 세부영역으로 구획된 각 영역의 중심에는 숫자가 표시되는 중심원을 배치하고, 중심원을 중심으로 표시침이 중심원 내의 숫자만큼 외각에 배열된 심벌을 통과하여 2행2열의 세부영역으로 구획된 영역에서의 최종 심벌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영역은, 구획된 다수 영역 중 일부분 또는 전체의 각 영역에는 다수의 심벌이 무작위로 배열되는 원형릴을 배치하고, 원형릴이 배치되지 않은 각각의 열에는 무작위로 심벌이 조합된 릴을 배치하되, 상기 원형릴 중심에는 내부에 숫자가 표시되는 중심원과 상기 중심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표시침을 구성하여, 상기 표시침이 중심원에 표시된 숫자만큼 원형릴에 배열된 심벌을 통과하여 최종 심벌을 선택하도록 하고, 상기 원형릴이 배치되지 않은 각 영역을 2행2열의 세부영역으로 구획하고, 세부영역 구획으로 2배 증가한 전체 상단영역의 열마다 다수의 심벌이 무작위로 1열로 배열된 릴을 배치하여 각 세부영역에 심벌이 출현되도록 하고, 2행2열의 세부영역으로 구획된 각 영역의 중심에는 숫자가 표시되는 중심원을 배치하고, 중심원을 중심으로 표시침이 중심원 내의 숫자만큼 외각에 배열된 심벌을 통과하여 2행2열의 세부영역으로 구획된 영역에서의 최종 심벌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영역은, 다수의 심벌이 무작위로 배열된 원형릴을 하단영역의 열(列)수와 동일하게 배치하고, 상기 원형릴의 중심에는 내부에 숫자가 표시되는 중심원과 상기 중심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표시침을 구성하여, 상기 표시침이 중심원에 표시된 숫자만큼 원형릴에 배열된 심벌을 통과하여 최종 심벌을 선택하도록 하되; 상기 표시침이 최종 선택한 심벌을 기준으로 하단영역의 행(行)수와 동일하게 표시침 진행방향의 심벌들을 선택하여 하단영역의 해당 열(列)에 출현시켜 2단계게임을 진행하기 위한 하단영역의 게임구역을 완성하고, 상기 상단영역에서 하단영역에 출현하는 심벌과 대향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심벌들을 상단영역 출현 심벌로 확정해 상단영역의 1단계게임을 진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영역은, 무작위로 다수개의 심벌을 1열로 배열시킨 릴을 다수 배치하되, 상기 상단영역은 하단영역의 행(行)수와 동일하게 구획하고, 상기 구획된 각각의 영역에는 하단영역의 열(列)수와 동일한 수의 릴을 배치하고, 상기 각 영역의 하단에는 숫자가 표시되는 중심원을 배치하여; 상기 중심원의 숫자만큼 해당영역의 선택행이 순차적으로 변화되어 최종선택한 행에 대한 열 전체의 심벌을 하단영역에 해당행 전체 심벌로 출현시키되, 상단영역의 구획된 영역순서를 하단영역의 행순서로 연결시켜 최종 심벌출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방법은,
입력과 출력의 1단계로 구성된 종래 게임방식에서 사용자가 컨트롤하고 재출력하는 2단계를 더 수행함으로 새로운 형태의 게임구성을 제공하고, 출현된 다수의 심벌 중 제시 수(數)만큼 회전이동하여 하나의 심벌을 선택하는 방식에서 각각의 제시된 수를 전체 또는 일부 교체하는 사용자 기능을 제공한다.
이는 기존 단순 게임 진행 방식에서 벗어나, 게임 진행 단계에 자신의 판단과 행동으로 직접 게임결과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게 하고, 경험에 의해 시상 확율을 높일 수 있게 하는 등 역동적으로 전체 게임의 양상을 변화시켜 게임의 신뢰감과 스릴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게임방식의 다양성과 사용자의 추론을 결합해 게임의 재미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게임화면을 나타낸 초기화면.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심벌의 랜덤생성 릴 구역을 설명하는 적용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단영역의 심벌을 선택하여 하단영역의 2단계 게임생성을 위한 무작위 대입 과정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의 심벌 출현 결과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의 심벌 출현 결과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의 심벌 출현 결과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릴의 심벌 배열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의 심벌 출현 결과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 인터넷 및 컴퓨팅 사용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상단영역
30 : 하단영역
40 : 시간 표시 구역
50 : 게임 안내구역
60 : 게임 진행금액 표시 구역
70 : 사용자 조작부
80 : 게임입력부
90 : 게임랭킹 시상표
본 발명은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 진행 중에 사용자의 참여가 가능한 것으로, 게임 심벌들의 출현 조합 과정 중에 사용자가 회전 및 정지에 관여하는 랜덤번호(무작위)를 임의로 조작하여 변환 시키는 과정과, 사용자가 직접 게임 결과의 생성 요인을 확인할 수 있는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적용한 게임 방법은 전자 슬롯머신 게임의 진행에 있어서;
* 종래의 전자식 슬롯머신의 시스템
▷ 입력(Input) → 출력(Output) 형태에서 하나의 무작위 대입 과정으로;
전자 슬롯머신의 기본 구동은 각각 릴에 순차적으로 안착된 심벌들의 이동과정이며, 심벌표시그림의 운동량(속도)과 위치(출현 영역위치)라는 요소를 무작위 생성기의 명령함수들에 적용하는 것으로 구현되는 것이다.
* 본 발명을 적용한 전자 슬롯머신 시스템
▷ 입력(Input) → 출력(Output) (1단계) → 사용자의 조작(Control) → 출력(Output) (2단계) 형태의 2개 과정으로 분리하여 변환시키며,
종래의 전자식 슬롯머신 시스템에서 ▷ 1개의 무작위 시스템의 대입 = 무작위 = 무작위 × 무작위 × 무작위 = 결과적으로 무작위가 되는 것과 같이 동일한 무작위가 형성되는 점을 이용하는 것으로,
본 발명을 적용한 전자 슬롯머신 시스템을 ▷ 3개의 무작위 시스템의 대입된다. 제1 무작위 시스템 적용 : 각각의 모든 릴들은 독립 적용하여 비순차적으로 매 게임마다 심벌들의 투입위치(순서)가 무작위로 배치되는 것이다.(도 3 참조)
제2 무작위 시스템 적용 : 각각의 모든 릴들은 무작위 명령에 따라 심벌들을 회전 일정 시간 후에 정지를 명령하여 심벌을 출현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을 적용한 1단계 게임의 중앙 원형 안에 위치한 숫자는 1단계의 게임결과 출현과는 무관한 것이다.
제3 무작위 시스템 적용 : 중앙의 원형안에 위치한 숫자 이용은, 1단계의 결과로 선정된 배수의 심벌 중에 무작위 명령을 재실시하는 숫자 만큼 표시침을 동작시켜 심벌선택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1단계의 게임 결과물로 배수로 선정된 심벌들 중에서 2단계 게임 결과를 산출하는 과정으로 이용되는 것이다.
1단계에서 선정된 배수의 심벌 출현들 중에서 사용자 조작기능은 사용자가 기대 효과를 가지고 스스로의 판단에 의한 예측의도를 참여시키는 간섭 영역으로 전체 또는 일부에 관여하여 2단계를 적용함으로써 사용자 자신에게 유리한 시상조합 출현결과를 얻기 위하여 제시되는 방식이다.
즉, 종래의 전자 슬롯머신의 프로그램은 심벌표시그림 출현결과 과정이 게임기가 공급하는 1개의 과정으로 당첨 판정이 결정되는 것으로, 출력된 게임의 결과 시상심벌 조합의 출현에 대하여 사용자가 그 과정을 전혀 볼 수 없어서 왜 이러한 결과가 출현하였는지 의구심을 갖게 되어 수긍이 어려웠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심벌출현 과정을 동일하게 연속성을 유지하여 제공하면서, 1단계의 출현 결과에서 연쇄적으로 2단계를 수행하고, 2단계의 적용과정을 사용자에게 공개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하나의 게임과정을 2개로 분리진행하지만 게임결과에 있어 시상심벌조합 출현 방식은 동일하다. 즉, 1단계는 n배수로 확장된 릴들을 투입해 회전 및 정지시켜 각 영역에 심벌들을 배치시키는 결과를 산출하고, 제2단계에서는 각 영역에 무작위 적용된 수(數)에 따라 시계형 표지침을 회전시켜 영역에 배치된 다수의 심벌 중 하나를 선택하여 영역의 심벌로 확정하는 과정을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 자신이 진행한 게임의 시상심벌 조합 출현 결과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그 경로를 알 수 있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의 게임 방법에 따른 대표도의 초기화면으로, 청색과 적색의 두 가지 색의 사용자 시간적 제약(Time Pressure) 지시 창 게임 진행용 시간 표시구역(40)을 기준으로 상단영역(10)과 하단영역(30)로 구별되며, 상단영역(10)은 1단계 게임으로 릴(Reel) 표시그림 들의 모음으로 '모집단'이라 하며, 하단영역(30)은 본 발명을 적용한 2단계(메인게임)이고, 게임의 안내구역 (50)에는 직원 도움 요청하는 콜(Call)구역(51), 게임을 종료하는 페이-아웃(pay-out)구역(52)과 게임 진행금액 표시구역(60)에는, 크레디트 적립구역(61) 베팅금액 구역(62), 당첨금 적립구역(63)으로 설정 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릴(Reel)의 회전을 적용하는 랜덤번호를 조작하여 개입 시키는 사용자 조작부(70)와 게임 입력부(80)에는 게임출발버튼(81), 사용자가 1단계 게임의 각행에서 무작위생성 데이터 변경 대입 시키려는 임의의 행을 직접 선택하는 행(m; 行) 교체(change) 버튼(82), 배팅 금액을 추가하는 배팅금액추가(bet add) 버튼(83), 그리고 각 단계별 게임 랭킹 시상표(Pay-tables)(90)에는 프로그레시브 시상(91), 1단계(서브게임) 시상표(92), 2단계(메인 게임) 시상표(93)로 디스플레이 되어 표시된다.
본 발명을 적용하는 실시예에서는 도 3을 참조한 바와같이 기본적으로 1릴(Reel, 이하 1R로 표기함))에 심벌 표시그림(이하 심벌로 표시함)들이 24개 구역에 안착되고, 상기 심벌의 종류는[ A, B, C, D, E, F, G, H, I ] 9종의 심벌들이 수록되며, A심벌 4개, B심벌 4개, C심벌 3개, D심벌 3개, E심벌 3개, F심벌 2개, G심벌 2개, H심벌 2개, I심벌 1개로 기본 구성되고, 모든 릴(Reel)은 기본 구성 아래서 각각 독립적으로 실행된다. 또한, 제시되는 시상배당인 게임랭킹시상표의 시상내용은 변경될 수 있다.
제1실시예의 게임인 경우, 도 1을 참조한 바와같이 릴(Reel) 표시그림들의 모음으로 모집단인 상단영역(10)은 1R(11), 2R(12), 3R(13), 4R(14), 5R(15), 6R(16), 7R(17), 8R(18), 9R(19), 10R(20),로 구성되어 전체 10개의 릴(Reel)들이 적용되며, 1개 릴이 24개 심벌로 구성되므로 총 240개의 심벌들이 적용된다. 2단계 메인 시상심벌조합이 출현되는 하단영역(30)은 3(행)×5(열)의 게임이다. 상기 3×5 게임은 종래 릴(Reel) 구성인 5개의 릴들로 구현되는 것이 통상적이며, 메인 시상심벌조합 출현 영역인 하단영역의 하나의 세분화된 구역은 가로 1n(31) × 세로 1n(32)으로 1개의 심벌이 사용되는 것이 종래 기본 게임 방식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모집단 상단영역(10)의 심벌이 출현하는 하나의 구역을 4개 구역으로 세분화하며, 가로 1/2n(21) × 세로 1/2n(22)의 크기로 축소된 심벌을 4배수하여 4개로 세분화가 이루어진 구역에 4개의 축소된 심벌을 진입시켜 1단계 게임을 진행한다. 실제 2단계 메인게임인 하단영역(30)과 대비하면 하단영역의 심벌 1개 출현 칸(31,32)에 상단영역에는 2개의 릴(11,12)이 진입하는 것이며,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릴들을 물리적인 엔진을 적용하여 기계식 슬롯머신의 회전 형태처럼 사실적인 움직임을 갖는 영상처리로 위에서 아래로 흘러내리듯 회전하는 표현으로 속도감을 느낄 수 있으며, 릴(Reel)의 속도와 위치조정 명령이 무작위적 생성으로 공급되어 자동 진행 정지하는 방식은 종전과 동일한 것이다.
더욱 상세한 설명은 2단계의 3행×5열인 메인게임 시상심벌조합인 하단영역(30)에 출현하는 심벌들의 조합 수는 15개[가로 1n(31) × 세로 1n(32)]가 필요하지만, 이에 대응되는 원천적인 1단계 릴(Reel) 표시그림들의 모집단 상단영역(10)에는 10개의 릴들이 동시에 회전한 후 정지하여 출현하는 심벌조합의 수는 4배수인 60개[가로 1/2n(21) × 세로 1/2n(22)]의 심벌들이 진입하는 것이 1단계 게임(10)이다.
제1실시예 게임은 3행 × 5열 게임으로
1단계게임인 상단영역(10)의 상부라인인 1행(23), 중심라인인 2행(24), 하부라인인 3행(25)과 =
2단계게임인 하단영역(30)의 상부라인인 1행(37), 중심라인인 2행(38), 하부라인인 3행(39)은 동일한 연쇄적 관계로, 1단계 1행 1열(23)에는 4개의 심벌들이 진입하였으며, 하나의 심벌이 선택되어 2단계 1행 1열(37) 구역에 확대되어 안착 출현하게 되는 것이다. 2단계게임 결과는 1단계게임의 모체에서 한정되어 생성되는 것이며, 1단계게임이 진행되는 상단영역(10)의 각 구역에는 4개로 나눠진 세부영역의 중앙에 중심원(27)이 설정되고, 상기 중심원 내부에 숫자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심원의 외면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표시침(28)이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표지침은 원을 1/4 등분한 90도 각을 갖는 부채꼴 형태이고, 1단계 상단영역에서 각 행과 열의 중심원마다 디스플레이되어 있어 중심원에 설정된 숫자에 따라 회전하여 각 구역을 나눈 세부영역에 배치된 4개의 심벌 중에 하나의 심벌이 선택되고, 선택된 심벌은 2단계게임인 하단영역(30)의 동일 구역에 확대되어 안착 출현하는 과정이다. 1단계게임 영역의 2행(24) 각 열 구역 하단에 표시되어 있는 로마숫자 Ⅰ, Ⅱ, Ⅲ, Ⅳ, Ⅴ(26)는 하단의 행교체버튼(m change; 82)을 사용자가 터치하면 2행
Figure 112014054236302-pat00015
3행
Figure 112014054236302-pat00016
1행
Figure 112014054236302-pat00017
2행으로 선택 행이 상하로 이동하는 것이다. 예컨대 사용자가 변환 시키려는 행(行)을 선택하고, 조작부(70)의 Ⅰ(71), Ⅱ(72), Ⅲ(73), Ⅳ(74), Ⅴ(75)에 자동으로 투입된 무작위 생성숫자버튼(76)을 터치하여 상단영역(10)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Ⅰ, Ⅱ, Ⅲ, Ⅳ, Ⅴ 구역(26)의 중심원(27)에 공급되는 수(數)를 전체 또는 임의의 일부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가 조작부(70)을 통하여 게임기가 공급하는 무작위 생성 공급수(數)를 교체 변경할 수 있는 시간은 게임 진행용 시간표시구역(40)에서 적색 시간표시(42) 범위 안에서 가능하다. 즉, 청색 시간표시(41)은 사용자가 게임출발버튼(81)을 클릭하면 상단영역(10)의 10개 전체 릴이 회전하여 정지하는 과정을 표시하는 것으로, 적색 시간표시(42)의 범위는 청색 시간표시보다 짧게 형성하여 게임 릴(Reel)들이 회전을 시작한 후 정지하기 이전시간에만 중심원에 표시되는 수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한정하는 것이다. 시계 방향형 표시침(28)은 90도의 각을 갖는 부채꼴형태로 상단영역의 각 구역마다 디스플레이되어 있어 중심원(27)에 표시된 숫자는 게임 출발버튼(81)의 클릭과 동시에 이전게임(before game)에 적용한 수(數)들은 소멸되고, 다음게임(next game)의 새로운 무작위 생성 공급수(數)[중복을 허락하는 지정된 일정 수(1-24) 범위]들이 진입하며, 하단의 조작부(70)의 Ⅰ(71), Ⅱ(72), Ⅲ(73), Ⅳ(74), Ⅴ(75)에는 상단영역의 Ⅰ, Ⅱ, Ⅲ, Ⅳ, Ⅴ 구역(26)의 공급수(數)와 동일한 숫자들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임의로 변경을 원하는 구역을 터치하면 1∼24의 숫자들이 순환되면서 나타나 정지된 선택숫자는 상단영역(10)의 해당 구역 숫자도 동시에 변환하여 표시된다. 예컨대 조작부 Ⅰ(71)의 선택 숫자가 '9'일 경우에는 상단영역의 Ⅰ구역의 중심원(27) 숫자가 '9'로 동일하게 표시되며, 중심원의 설정된 숫자에 따라 시계 방향형 표시침(28)은 세부영역을 통과하여 회전하며 해당 세부영역에 위치하는 심벌을 선택한다.
상기의 과정으로 실행된 게임의 결과는 2단계인 하단영역(30)의 3행×5열의 15개 구역에 15개의 시상심벌조합이 출현한 것으로, 페이라인(Pay-Line)의 일치로 게임랭킹시상표(90)의 2단계 게임(Game)잭팟(Jackpot)랭킹(Ranking)인 2단계시상표(93)에 의해 시상 배당되는 것으로, 제1실시예 게임의 경우 메인 시상심벌조합인 하단영역의 2행(38) 중 G 심벌들이 1,2,4,5 열에 출현하였으나, 3열에는 2행이 아닌 3행(39)에 출현하였으므로 시상배당을 받지 못하는 결과가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사용자는 의구심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 경우 사용자가 상단영역(10)의 동일한 해당구역인 2행3열을 확인하면 해당구역의 4개 심벌들 중에 G심벌이 없는 것이 확인 가능하며, 게임결과의 경로를 직접 확인하므로 게임에 대한 신뢰감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한 제1실시예 게임의 경우 하나의 게임 출발버튼(81)으로 연속성 관계를 갖는 분리되는 2개 게임이며, 1단계게임은 페이라인(Pay Line)과 관계없이 상단영역의 심벌 출현 개수에 따라 1단계시상표(92)에 대비하는 게임이고, 2단계게임은 전체적인 출현 시상심벌 조합의 페이라인(Pay Line)이 제2단계시상표(93)와 일치여부로 시상하는 게임으로 두 게임이 연쇄적으로 설정되어 동시에 구성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슬롯머신의 프로그래밍 처리 경로와 순서를 나타낸 게임 흐름도이며, 시상 배당률을 지급하는 배당DB인 시상 배당부 등을 갖는다.
도 3은 종래의 슬롯머신 게임 순차적 릴 구성과 본 발명에 적용하는 비순차적 구성 릴과의 총 출현 조합수의 비교도이다.
기본적 1릴(301)의 구성은, 24개 심벌 표지 구역이 설정되어 있으며, 심벌의 종류는[ A, B, C, D, E, F, G, H, I ] 9종의 심벌들이 수록되어 있으며, A심벌 4개, B심벌 4개, C심벌 3개, D심벌 3개, E심벌 3개, F심벌 2개, G심벌 2개, H심벌 2개, I심벌 1개로 기본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전자 슬롯머신게임에 적용하는 순차적 1릴(302)은 24개 심벌 표지 구역에 해당 심벌들이 게임 프로그램의 구성 의도에 따라 심벌의 순서가 종속적으로 정해져 해당 릴(Reel)이 회전 및 정지 후에도 동일한 순서를 갖고 매 게임마다 심벌의 순서가 변하지 않고 고정순서로 지속적으로 이용된다. 이전게임(before game)에 적용된 심벌들이 정지한 상태에서 다음게임(next game)의 종속형 심벌로 연결되어 연이은 새로운 조합을 형성하는 것으로 항상 고정된 상태의 심벌 순서가 사용자들의 게임 적응도가 높고 이해도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적용하는 비순차적인 릴(Reel) 구역의 표지는 24개 심벌들을 하나의 통(303)속에서 혼합되어 빈 공간으로 설정된 24구역(304)에 무작위로 진입하여 특정한 심벌들의 순서(305)를 갖지 않는 것으로, 매 게임마다 진행하는 모든 릴(305,306,307,308)에 각각 독립적으로 서로 다른 심벌의 표시를 갖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적응도와 이해도가 낮지만 게임의 총 출현 조합수는 다양한 장점이 있다.
제1실시예 게임의 경우, 3행×5열로 각 릴 표지구역이 24개이므로
순차적 릴(Reel)의 최대 총 조합출현 수는 24×24×24×24×24로 나타나고,
비순차적인 릴(Reel)의 최대 총 조합출현 수는 24!×24!×24!×24!×24!로 나타난다.
게임의 다양한 출현 심벌 조합 수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종래의 단순한 시상심벌 조합 배열의 고정화가 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을 개선하는 방법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한 2단계 게임생성을 위한 무작위 대입 과정 표시 과정도 이다.
제1실시예 게임의 경우, 3행×5열로
60개 심벌수 출현(1단계)
Figure 112014003096175-pat00025
15개 심벌수 확정(2단계)로 진행된다.
도 1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단영역(10)에서 이루어지는 1단계는 총 60개 심벌이 출현되는 것으로, 각각의 구역 중앙에는 중심원(27)과 중심원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90도 각도의 부채꼴 모양인 표지침(28)이 형성된다. 게임진행시 중심원과 각 구역에는 이전게임에 적용된 숫자와 심볼이 표시되어 있으나, 게임출발버튼(81)의 클릭과 동시에 모든 10개 릴들은 회전을 시작하고 게임 진행용 시간 표시구역(40)의 청색 시간표시(41)는 활성화되며, 이전게임(before game)에 적용한 중심원 내의 무작위 생성 공급수(數)들의 표식은(410), 소멸되고(420), 동시에 다음게임(next game)의 새로운 무작위 생성 공급수(數)들이 중심원에 생성 제시(430)되면서 게임 진행용 시간 표시구역(40)의 적색 시간표시(42)의 활성화가 시작된다. 사용자는 새로운 무작위 생성 공급수(數)들이 생성 제시(430)된 상황에서 임의로 하단부의 행교체버튼(82)을 이용하여 상단영역에서 변경을 원하는 행을 결정(440)하고, 하단의 조작부(70)의 Ⅰ(71), Ⅱ(72), Ⅲ(73), Ⅳ(74), Ⅴ(75) 버튼을 터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Ⅰ, Ⅱ, Ⅲ, Ⅳ, Ⅴ 구역(26)의 공급수(數)를 전체 또는 임의의 일부를 변경(440)할 수 있다. 중심원의 공급수 변경이 완료되어 회전되는 릴에 의해 각 구역마다 4개 심벌이 표시되며, 표지침은 중심원의 공급수에 따라 4개의 심벌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심벌만 하단영역의 해당구역에 확대되어 표시(460)되어 2단계게임을 진행하는 심벌을 확정하여 결과를 산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의 심벌 출현과정을 나타낸 결과도이다.
이하 제1실시예의 게임 내지 제5실시예의 게임까지는 도 3의 심벌 표시그림의 릴 출현 구역이 순차적이 아닌 무작위 생성을 통한 비순차적 릴을 적용, 총 출현심벌 조합의 배열수를 확대 시킨 것이다.
제2실시예 게임은 3행×4열의 게임으로
1단계인 상부영역(510)의 1열(511)과 4열(514)은 도 1의 제1실시예 게임과 동일하게 적용하며, 2열(512)과 3열(513)은 하나의 심벌 구역에 8개 심벌들을 진입시키는 것으로, 1열(511)과 4열(514)의 직선 형태와 2열(512)과 3열(513)의 원형 형태를 혼합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제2실시예 게임의 경우, 3행×4열로
72개 심벌수 출현(1단계)
Figure 112014003096175-pat00026
12개 심벌수 확정(2단계)로 진행된다.
1단계에서는 상단영역(510)의 총 72개 심벌출현 각각의 구역 중앙에는 시계 방향형 표시침(528,529)이 형성되어 1열과 4열에서는 90도 각도로 회전하고, 2열과 3열은 45도 각도로 회전되도록 구역마다 디스플레이되어 있으며, 중심원(519)에 설정된 숫자에 따라 표시침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중심원 주위에 배열된 4개 또는 8개의 심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한다.
예컨대, 1열(511)의 2개 릴과 4열(514)의 2개 릴에 의해 구역별 4개씩 생성된 심벌들 중에 하나의 심벌이 선택되어 2단계 게임인 하단영역(530)의 동일 구역에 확대되어 안착 출현하는 과정과, 2열(512)의 3개 릴과 3열(513)의 3개 릴에 의해 각 구역별로 8개씩 생성된 심벌들 중에 하나의 심벌이 선택되어 2단계 게임인 하단영역(530)의 동일 구역에 확대되어 안착 출현한다. 여기서 1단계게임인 상단영역의 2열(512)과 3열(513)의 각 열 구역 하단에 표시되어 있는 Ⅰ, Ⅱ, Ⅲ, Ⅳ, Ⅴ, Ⅵ 의 로마숫자(520)는 하단부 열교체버튼(582; n(열列) change)을 사용자가 터치하면 1열 & 2열
Figure 112014003096175-pat00022
2열 & 3열
Figure 112014003096175-pat00023
3열 & 4열
Figure 112014003096175-pat00024
4열 & 1열로 변환되며 좌우 열(列)로 이동한다. 열 이동에 의해 선택된 열은 하단의 사용자 조작부(570)의 Ⅰ(571), Ⅱ(572), Ⅲ(573), Ⅳ(574), Ⅴ(575), Ⅵ(576)에 표시되고, 표시된 무작위 생성 숫자버튼(577)을 터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상단영역(510)에서 Ⅰ, Ⅱ, Ⅲ, Ⅳ, Ⅴ, Ⅵ 구역(520)의 공급수(數)를 전체 또는 임의의 일부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가 조작부(570)을 통하여 게임기가 공급하는 무작위 생성 공급수(數)를 교체 변경할 수 있는 시간은 게임 진행용 시간 표시 구역(540)의 적용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게임출발버튼(581)을 클릭하면 상단의 전체적인 릴(reel) 10개의 릴이 회전하여 정지하는 과정의 시간을 표시한 청색 시간표시(541)의 범위 안에서 이루어지며, 무작위 생성 공급수의 교체시간의 진행은 적색 시간표시(542)로 나타낸다. 상기 무작위 생성공급수의 교체는 사용자 조작부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을 원하는 구역을 터치하면 1∼24의 숫자들이 순환하여 나타나고, 선택된 숫자는 1단계게임인 상단영역(10) 해당 구역의 중심원 숫자도 동시에 변환하여 표시되고, 중심원(519)의 설정된 숫자에 따라 시계 방향형 표시침(528,529)은 회전하여 해당 심벌을 선택하고, 선택된 심벌은 2단계의 하단영역(530)의 해당구역에 출현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출현된 심벌은 시상배당부(590)의 프로그레시브 시상(591), 1단계 시상표(592), 2단계 시상표(593)와 대비하여 시상이 이루어진다.
도 6은 전자식 슬롯머신 제3실시예 게임의 심벌 출현과정에서 결과도이다.
제3실시예 게임은 2행×3열의 게임으로
1단계게임인 상단영역(610)의 심벌 구역 하나에는 12개의 심벌들을 원형으로 진입시키는 것으로, 6개의 심벌 출현 구역에는 1행(617)의 1구역(611), 2구역(612), 3구역(613)과 2행(618)의 4구역(614), 5구역(615), 6구역(616)으로 구획되고, 각 구역에는 독립적인 릴구성 방식에 의한 24개 심벌 릴이 원형으로 회전하면서 투입 및 배출되되 12개 심벌만 출현되도록 한 것이다.(제2실시예의 심벌도 동일 작용)
예컨대, 1행(617)의 1구역(611)의 경우, 실제 표현되는 심벌들의 숫자는 12개이지만 이는 24개 심벌 중에 12개의 심벌만 선정되어 제시되는 방식이 아니다. 즉, 무작위로 정렬된 24개의 심벌 릴이 상기 12개의 구역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출현되는 회전방식으로 직선형릴과 동일한 출현방식을 갖는다. (도 8 참조)
제3실시예 게임의 경우, 2행×3열로
72개 심벌수 출현(1단계)
Figure 112014003096175-pat00027
6개 심벌수 확정(2단계)로 진행된다.
1단계는 상단영역(510)의 총 72개 심벌출현 각각의 구역 중앙에는 시계 방향으로 이동되는 표시침(620)이 30도 각도로 이동되도록 디스플레이되어 있고, 상기 표시침은 중심원(619)의 설정된 숫자에 따라 회전하여 배열된 심벌을 통과하여 최종 심벌을 지시하며, 6개 릴에 의해 각 구역마다 출현된 12개 심벌들 중 어느 하나의 심벌이 선택되면 선택된 심벌은 2단계 게임인 하단영역(630)의 동일 구역에 확대되어 안착 출현한다. 1단계 게임인 상단영역의 각 심벌 제시 구역에 표시되어 있는 로마숫자(621)인 Ⅰ, Ⅱ, Ⅲ, Ⅳ, Ⅴ, Ⅵ는 하단부 조작부(670)의 Ⅰ(671), Ⅱ(672), Ⅲ(673), Ⅳ(674), Ⅴ(675), Ⅵ(676)에 자동으로 투입된 무작위 생성 숫자버튼(677)을 터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Ⅰ, Ⅱ, Ⅲ, Ⅳ, Ⅴ, Ⅵ(610) 구역의 공급수(數)를 전체 또는 임의의 일부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가 조작부(670)를 통하여 게임기가 공급하는 무작위 생성 공급수(數)를 교체 변경할 수 있는 시간은 게임 진행용 시간 표시 구역(640)에 의해 표시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게임출발버튼(681)을 클릭하면 상단의 전체 6개 릴이 회전하여 정지하는 과정의 시간을 표시한 청색 시간표시(641)의 범위 안에서 이루어지며, 무작위 생성 공급수의 교체가능한 시간은 적색 시간표시(642)에 나타낸다. 사용자는 임의로 변경을 원하는 구역을 터치하면 1∼24의 숫자들이 순환하여 나타나고, 선택된 숫자는 1단계 게임인 상단영역(610)의 해당 구역 숫자도 동시에 변환하여 표시되고, 중심원(619)의 표시숫자에 따라 시계 방향형 표시침(620)은 배열된 심벌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하나의 심벌을 선택하고, 1단계 상단영역(610)에서 선택된 심벌들은 상단영역의 구역에서 2단계 하단영역(630)의 해당구역에 확대되어 출현한다.(611→631, 612→632, 613→633, 614→634, 615→635, 616→636) 시상배당은 게임랭킹 시상표(690)의 프로그레시브 시상(691), 1단계 시상표(692), 2단계 시상표(693)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7은 전자식 슬롯머신 제4실시예 게임의 심벌 출현과정에서 결과도이다.
제4실시예 게임은 3행×3열의 게임으로
1단계인 상단영역(710)과, 2단계인 하단영역(730)의 설정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되며, 1단계 상단영역(710)의 로마숫자Ⅰ영역(722)은 행렬 3행×3열인 하단영역의 1행(up line)(731)에 해당하며, Ⅰ영역의 1R(711), 2R(712), 3R(713)의 줄선택 또는 개별선택된 라인이 하단영역의 1행에 출현된다. 이와 동일하게 로마숫자 Ⅱ영역(722)은 2행(center line)(732)에 해당하고 Ⅱ영역의 4R(714), 5R(715), 6R(716)이 2행에 출현된다. 또한, 로마숫자 Ⅲ영역(722)은 3행(down line)(733)에 해당하고 Ⅲ영역의 7R(717), 8R(718), 9R(719)이 3행에 출현되는 등 상단영역에는 총 9개의 릴이 구성되며, 각각의 릴은 독립적으로 운용된다.
제4실시예 게임은 일반적인 직선 형태의 게임으로 행(行)이 중심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이용하는 것으로
54개 심벌수 출현(1단계)
Figure 112014003096175-pat00028
9개 심벌수 확정(2단계)로 진행된다.
1단계 상단영역(510)의 총 54개 심벌이 출현되는 Ⅰ영역과 Ⅱ영역과 Ⅲ영역 사이에는 순차적인 번호표시(720,721)가 되어 있으며, 각 릴 영역(722, 723, 724)에는 하부에 원형의 중심원(728) 내에 숫자가 표시되고, 상기 표시 숫자에 따라 3개의 릴이 합쳐진 각 영역이 구성하는 6행 중 어느 하나의 행이 선택(725,726,727)되어 2단계 게임인 하단영역(730)의 해당 출현하는 구역(725→731, 726→732, 727→733)으로 행에 포함된 선택된 3개의 심벌들이 동시에 확대 이동 출현한다.
1단계인 상단영역의 각 행(行)별 제시 구역에 표시되어 있는 로마숫자 Ⅰ(722), Ⅱ(723), Ⅲ(724)은 하단부 사용자 조작부(770)의 Ⅰ(771), Ⅱ(772), Ⅲ(773)에 표시되고, 표시된 무작위 생성 숫자버튼(774)을 터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Ⅰ, Ⅱ, Ⅲ 구역(710)의 중심원(728)내의 공급수를 전체 또는 임의의 일부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가 조작부(770)을 통하여 게임기가 공급하는 무작위 생성 공급수(數)를 교체 변경할 수 있는 시간은 게임 진행용 시간 표시 구역(740)에 표시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게임출발버튼(781)을 클릭하면 상단영역의 전체 9개의 릴이 회전하여 정지하는 과정의 시간을 표시한 청색 시간표시(741)의 범위 안에서 이루어지며, 무작위 생성 공급수의 교체시간의 진행은 적색시간표시(742)로 나타낸다. 상기 중심원 내의 무작위 생성공급수의 교체는 사용자 조작부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을 원하는 구역을 터치하면 1∼24의 숫자들이 순환하며 나타나고, 선택된 숫자는 1단계 게임인 상단영역(710)의 해당 구역 숫자도 동시에 변환하여 표시되고, 중심원(728)의 설정된 숫자에 따라 Ⅰ영역과 Ⅱ영역과 Ⅲ영역 사이에는 순차적인 번호표시(720,721)에 의해 상부에서 하부로 행을 선택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1단계로 상단영역에서 선택된 심벌들은 상단영역의 구역에서 2단계 하단영역(730)의 해당구역에 출현한다(725→731, 726→732, 727→733). 시상배당은 게임랭킹 시상표(790)의 프로그레시브 시상(791), 1단계 시상표(792), 2단계 시상표(793)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원형으로 배치된 심벌을 배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종래의 전자 슬롯머신의 통상적 릴의 모형은 직선형(810)으로 띠 형태로 기계식 슬롯머신의 회전 형태처럼 사실적인 움직임을 갖는 영상처리로 위에서 아래로 흘러내리면서 전방에서 후방으로 회전하게 나타낸다. 반면 본 발명의 시계 방향성을 갖는 원형 형태 릴(830)은 원을 등분하여 8등분(제2실시예), 12등분(제3실시예), 24등분(제5실시예)으로 구분하고, 각 1릴 구역에 비순차적으로 24개의 심벌들이 투입된다. 예컨대 제2실시예의 8등분된 원형 릴의 경우 실제 제시되는 심벌의 수(數)는 8개이며 나머지 16개의 심벌구역은 보이지 않는 가상의 릴 구역(828)을 통하면서 회전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A심벌(818)의 이동상황은 도면을 참조한 바와같이 실제구역[(819)→(820)]→가상의 릴구역[(822)→(823)→(824)→(825)]→실제구역[(826)→(827)] 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최종 정지된다. 12등분(제3실시예)의 경우 실제 제시되는 심벌의 수(數)는 12개이며 나머지 12개의 심벌구역은 보이지 않는 가상의 릴 구역(828)을 통하여 전술한 방식을 이용하여 회전하며 정지하는 것이다. 24등분(제5실시예)의 경우 실제 제시되는 심벌의 수(數)가 24개이므로 가상의 릴은 사용하지 않으며, A심벌(818)은 실제구역[(819)→(820)]를 통과하고 곧바로 실제구역[(826)→(827)→(818)]로 회전하여 실제구역으로만 회전되어 정지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원형 릴은 일정수로 등분하여 구획된 것으로, 릴 하나를 구성하는 심벌들의 전체 연결 관계를 확인할 수 있고,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일정 시간 경과 후 정지하는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심벌 회전스릴을 느낄 수 있으며, 하나의 게임판(frame)을 이용하여 2단계(메인) 게임구역(816)과 180도 반대 방향에 안착한 심벌들을 이용하여 1단계(서브) 게임구역(817)을 각각 진행하여 판정할 수도 있다.
상기 원형 게임판(frame)의 시계 방향형 표시침(828)은 행렬게임에서 열(列)에 해당하는 것으로 표지침이 지시하는 하나의 심벌 또는 다수의 심벌 영역(M)에 의한 선택은 하나의 릴에서 순차적으로 심벌을 선택하는 직선형 릴에서의 열 선택영역(813)과 동일하다.
또한, 제4실시예의 행 선택영역은 도 8에서 서로 다른 릴의 동일선상에 배치된 심벌을 선택하는 선택행(814)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도 9는 전자식 슬롯머신 제5실시예 게임의 심벌 출현과정에서 결과도이다.
제5실시예 게임은 3행×3열의 게임으로
원을 24등분으로 구획한 원형의 원형릴을 구성하고, 원형릴 하나에는 24개의 심벌들을 모두 배열시킨다. 심벌 출현 구역인 상단영역(910)에는 1열 원형릴(911)의 1구역과 2열 원형릴(912)의 2구역, 3열 원형릴(913)의 3구역으로 각각 독립적인 원형릴이 구성되고, 각 원형릴에는 24개 심벌이 띠 형태로 구성되어 원형으로 회전하면서 출현하는 것으로 실제 표현되는 심벌들 전체가 동시에 회전하여 일정 시간 후 정지 출현하는 것이다.
상기 각각의 원형릴(911,912,913)은 심벌이 원형으로 배치되고, 그 내부에는 시계 방향형 표시침(914,915,916)을 구비하여 원형릴 중심을 기준으로 15도 각도로 회전되어 중심원(923,924,925)에 설정된 숫자에 따라 배열된 심벌을 통과하여 최종심벌을 지시하게 한다. 상기 3개 원형릴에 적용하는 각각의 24개 심벌들 중에 시계 방향형 표시침(914,915,916)의 전진 시계방향으로 3개의 심벌들이 선택되어 2단계 메인게임인 하단영역(930)의 동일 구역에 확대되어 안착 출현한다[(917)→(931), (918)→(932), (919)→(933)]. 이와 동시에 상기 선택된 3개 심벌들과 180°로 대향되는 자리에 위치한 심벌들[(917)↔(920), (918)↔(921), (919)↔(922)]인 원형릴 마다 3개씩 총 9개의 심벌들은 1단계 서브게임의 판정 소스심벌들(920,921,922)이 되는 것이다. 게임영역의 각 심벌 제시 구역에 표시되어 있는 Ⅰ, Ⅱ, Ⅲ의 로마숫자(926)의 중심원에 나타난 자동으로 투입된 무작위 생성 숫자는 하단부 조작부(970)의 Ⅰ(971), Ⅱ(972), Ⅲ(973)에 동일하게 나타나고, 나타난 숫자버튼(974)을 터치하여 상단영역(910)의 Ⅰ, Ⅱ, Ⅲ 구역 공급수(數) 전체 또는 임의의 일부를 사용자가 원하는 수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가 조작부(970)을 통하여 게임기가 공급하는 무작위 생성 공급수(數)를 교체 변경할 수 있는 시간은 게임 진행용 시간 표시 구역(940)에 표시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게임출발버튼(981)을 클릭하면 상단의 3개 릴이 회전하여 정지하는 과정의 시간을 표시한 청색 시간표시(941)의 범위 안에서 이루어지며, 무작위 생성 공급수의 교체시간의 진행은 적색 시간표시(942)로 나타낸다. 상기 중심원(923,924,925) 내의 무작위 생성공급수의 교체는 조작부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을 원하는 구역을 터치하면 1∼24의 숫자들이 순환하며 나타나고, 선택된 숫자로 상단영역(910)의 해당 구역 숫자도 동시에 변환하여 표시된다. 상기 중심원(923,924,925)의 설정된 숫자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표시침(914,915,916)이 회전하여 심벌을 선택한다. 시상배당은 게임랭킹시상표(990)의 프로그레시브 시상(991), 1단계 시상표(992), 2단계 시상표(993)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 인터넷 사용도이다.
클라이언트가 인터넷을 통해 웹서버로 접속하여 웹페이지 정보를 제공받는 통상적인 인터넷 구성도이다.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슬롯머신 프로그램의 게임정보를 제공받는 것으로 메모리부와 제어부를 통해 이용자를 입력받고 요금 투입부를 통해 인식하여 단말기, 디스플레이부로 표시하면서 게임이 진행된다.
상기 웹서버에는 게임의 진행 및 슬롯머신 프로그램을 관리하기 위해 회원DB, 게임진행DB, 랜덤 생성부, 시상배당 결과 DB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통상적으로 본 발명의 게임 방법은 온라인상태 및 오픈라인 상태(아케이드 게임기 등)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네트워크 게임, 스마트 폰 , IP TV 등 단말기와 컴퓨팅의 기술 방식에 의한 게임기 등에 통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릴(R) 심벌표시그림이 출현되는 모집단의 게임영역인 상단영역과, 2단계 게임영역인 하단영역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와; 크레디트 입력창과 배팅 입력창 및 게임 출발버튼을 포함한 입력수단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각 릴 구역의 심벌들을 회전 및 일정시간 경과 후 정지시키는 과정을 거쳐 시상심벌조합을 출현시키는 게임진행과정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 전자식 슬롯머신을 이용하여 게임이 진행되는 것으로,
→ 크레디트 창과 배팅 창
Figure 112014003096175-pat00029
입력 단계
→ 게임 시작 단계;
→ 다수의 전체 독립 릴(심벌 비순차적 진입) 회전 출발 단계;
(청색시간표시/카운터 Time/Counter 동작 시작)
→ 직전(Before)게임의 심벌조합의 출현과 1단계 각 게임구역별에 적용한 중심원에 제시된 무작위 공급숫자(數)들이 공란으로 소멸하는 단계;
→ 다음(Next) 게임에 대비하여 1단계인 상단영역의 각 게임구역별에 적용한 중심원에 새로운 무작위 공급숫자(數)들의 데이터가 생성되어 제시되는 단계;
(적색시간표시/카운터 Time/Counter 동작 시작)
→ 사용자가 유리한 2단계 게임의 시상심벌조합 출현결과를 위한 기대효과를 포함시키어, 직접 판단, 다음(Next) 게임에 대하여 미리 예측 선택을 실시하는 통제영역의 조작부 설정 실행단계;
1. 게임 판(Frame)의 구조에 따라 행(行) 또는 열(列) 변경을 해당 버튼을 이용
2. 조작부를 이용하여 1단계 상단영역의 각 게임구역별에 적용한 중심원에 새로운 무작위 공급숫자(數)들의 데이터가 생성되어 제시된 숫자를 사용자 임의로 일정 범위 숫자들 중에 중복을 허락하여 선택 진입시키는 단계;
(적색시간표시 시간/카운터 Time/Counter 동작 종료)
→ 다수의 전체 독립 릴 심벌 위치 정지 단계;
(청색시간표시 시간/카운터 Time/Counter 동작 종료)
→ 1단계 해당 심벌조합 출현결과 단계;
1. 당첨 판정단계;
2. 당첨금 지불단계 → 뱅크(Bank) 창에 입력
→ 1단계 각 게임구역별에 적용한 중심원에 새로운 무작위 공급숫자(數)들의 데이터가 1단계 배열된 출현심벌 중에서 선택 표시 동작 단계;
→무작위 공급수로 선택된 심벌로 구성되는
2단계 메인 게임 시상심벌조합 출현결과 단계;
1. 당첨 판정단계;
2. 당첨금 지불단계 → 뱅크(Bank) 창에 입력
상기 게임에 있어서 기본적인 게임의 하나의 과정을 연속성을 유지하며, 1단계, 2단계로 분리하는 판(Frame)의 구조로 변형시켜 독립된 각 릴들의 회전 및 정지로 생성된 일정 배수의 심벌들을 1단계에 1차적으로 진입시키고, 심벌의 진입 이전에 각 영역에 제시된 무작위 생성 공급수(數)에 의해 표시침이 시계방향으로 작동하여 각 영역마다 다수의 심벌들 중에 최종심벌을 선택하는 과정을 통해 2단계 게임결과를 산출하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시상심벌조합의 게임결과 생성 경로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단계의 각 게임 구역별 중심원에 제시되는 무작위 생성공급수는 1단계의 릴(Reel) 회전할때부터 정지하여 안착하는 시간 이전에 게임의 패턴과 직전 게임 흐름의 상황을 인식한 예측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조작부를 통하여 무작위 생성 공급수(數)의 일부 또는 전체를 중복이 허락하는 지정된 일정 수(1-24) 범위로 선택한 값을 수정 입력시키어 연산을 수행해 시상심벌 출현 결과의 변환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배팅과정과 한 번의 출발버튼의 동작에 의해 생성된 1단계 게임과 연쇄적으로 1단계의 결과에서 다시 선택되어 진행되는 2단계 게임의 결과는 상속 단계라는 연관 관계의 산출이면서, 별개의 시상방식에 따라 시상라인의 일치와 관계없이 출현 심벌 개수를 적용하는 1단계 게임과, 시상라인과 일치하는 기준을 적용하는 2단계 게임으로, 하나의 연속된 과정을 통해 두 가지의 게임이 동시에 구현시킬 수 있다.
또한, 기본적이고 통상적인 m × n 행렬 게임의 릴 동작 형태는 직선형 띠를 구현한 것으로, 실제 릴을 적용되는 심벌들의 구성을 사용자는 전체적으로 볼 수 없는 단점을, 원형태의 릴을 일정구역으로 구획하여 구획된 영역에 심벌을 투입하고 사용자가 해당 릴 구역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회전하는 심벌들의 회전과 정지과정을 운용할 수 있다.
또한, 시계형상 표시침을 사용하여 해당게임 소정구역의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심벌들을 선택할 수 있고, 행(行)과 열(列)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표시침의 이동 정도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원(Cycle)형 게임 판(frame)을 이용하여 2단계 게임결과의 심벌구역과 대칭되는 180도 반대 방향에 안착한 심벌들을 별도로 분리하여 1단계 게임 결과를 동시에 분리 산출하는 방식으로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전자식 슬롯머신을 하나의 과정을 2단계로 분리 실행함으로 새로운 형태의 구성과, 자신의 게임에 사용자 스스로 릴들의 회전과 정지를 제어하는 무작위 공급수(數) 투입방식으로, 전체 또는 일부를 교체하는 사용자 기능을 제공하여 적극 참여를 유도하는 게임 진행 방식으로 전환 시키어, 역동적으로 전체 게임의 양상을 변화 시키어 게임의 신뢰감과 스릴, 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게임 산업의 발전뿐만 아니라 카지노 등에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6)

  1. 다수의 릴에 의해 다수의 심벌을 출현시키는 모집단인 상단영역과, 상단영역에서 선택된 심벌을 출현시키는 2단계게임 구역인 하단영역과, 게임랭킹시상표가 구성된 디스플레이부와; 크레디트 적립구역과, 배팅금액구역과, 당첨금적입구역과, 게임출발버튼과, 사용자 조작부를 포함한 입력수단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각 릴의 작동제어와 상단영역과 하단영역의 심벌출현 및 게임진행과정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 전자식 슬롯머신을 이용하여 게임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크레디트 적립구역과, 배팅금액구역을 설정하는 입력단계와;
    다수로 구획된 상단영역의 각 영역에는 숫자가 표시되는 하나의 중심원과 다수의 심벌이 안치되는 구역이 배치되어 게임이 진행되도록 하되, 게임출발버튼 클릭으로 직전게임의 심벌과 숫자가 제거되는 초기화가 이루어지는 게임출발단계와;
    초기화된 상단영역의 중심원에 숫자를 무작위 생성시키고, 무작위로 심벌이 조합된 릴을 상단영역의 열마다 배치하고, 배치된 다수의 릴을 구동시켜 영역마다 심벌을 출현시키는 복수심벌 출현단계와;
    상기 상단영역에서 구획된 영역에 배열된 심벌 중 중심원 내의 숫자에 해당하는 순서의 심벌을 최종 선택하는 심벌선택단계와;
    상기 최종선택된 심벌은 하단영역의 해당구역에 출현시키는 결과출력단계와;
    상단영역에 출현된 심벌과 하단영역에 출현된 심벌을 각각 게임랭킹시상표와 대비하여 당첨을 판단하는 상단영역 1단계게임과 하단영역 2단계게임의 당첨판단단계와;
    당첨이 되면 이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불하여 적립시키는 당첨금 지불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심벌 출현단계에는
    다수의 릴이 구동되는 시점부터 각 영역에 심벌이 출현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동안 사용자 조작부를 통해 상단영역의 일부 영역을 선택하여 중심원 내의 숫자를 변경하는 중심원숫자 변경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슬롯머신 게임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영역은,
    각 영역을 2행2열의 세부영역으로 구획하고, 세부영역 구획으로 2배 증가한 전체 상단영역의 열마다 다수의 심벌이 무작위로 1열로 배열된 릴을 배치하여 각 세부영역에 심벌이 출현되도록 하고, 2행2열의 세부영역으로 구획된 각 영역의 중심에는 숫자가 표시되는 중심원을 배치하고, 중심원을 중심으로 표시침이 중심원 내의 숫자만큼 외각에 배열된 심벌을 통과하여 2행2열의 세부영역으로 구획된 영역에서의 최종 심벌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영역은,
    구획된 다수 영역 중 일부분 또는 전체의 각 영역에는 다수의 심벌이 무작위로 배열되는 원형릴을 배치하고, 원형릴이 배치되지 않은 각각의 열에는 무작위로 심벌이 조합된 릴을 배치하되,
    상기 원형릴 중심에는 내부에 숫자가 표시되는 중심원과 상기 중심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표시침을 구성하여, 상기 표시침이 중심원에 표시된 숫자만큼 원형릴에 배열된 심벌을 통과하여 최종 심벌을 선택하도록 하고,
    상기 원형릴이 배치되지 않은 각 영역을 2행2열의 세부영역으로 구획하고, 세부영역 구획으로 2배 증가한 전체 상단영역의 열마다 다수의 심벌이 무작위로 1열로 배열된 릴을 배치하여 각 세부영역에 심벌이 출현되도록 하고, 2행2열의 세부영역으로 구획된 각 영역의 중심에는 숫자가 표시되는 중심원을 배치하고, 중심원을 중심으로 표시침이 중심원 내의 숫자만큼 외각에 배열된 심벌을 통과하여 2행2열의 세부영역으로 구획된 영역에서의 최종 심벌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영역은
    다수의 심벌이 무작위로 배열된 원형릴을 하단영역의 열(列)수와 동일하게 배치하고, 상기 원형릴의 중심에는 내부에 숫자가 표시되는 중심원과 상기 중심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표시침을 구성하여, 상기 표시침이 중심원에 표시된 숫자만큼 원형릴에 배열된 심벌을 통과하여 최종 심벌을 선택하도록 하되,
    상기 표시침이 최종 선택한 심벌을 기준으로 하단영역의 행(行)수와 동일하게 표시침 진행방향의 심벌들을 선택하여 하단영역의 해당 열(列)에 출현시켜 2단계게임을 진행하기 위한 하단영역의 게임구역을 완성하고,
    상기 상단영역에서 하단영역에 출현하는 심벌과 대향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심벌들을 상단영역 출현 심벌로 확정해 상단영역의 1단계게임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영역은,
    무작위로 다수개의 심벌을 1열로 배열시킨 릴을 다수 배치하되, 상기 상단영역은 하단영역의 행(行)수와 동일하게 구획하고, 상기 구획된 각각의 영역에는 하단영역의 열(列)수와 동일한 수의 릴을 배치하고, 상기 각 영역의 하단에는 숫자가 표시되는 중심원을 배치하여;
    상기 중심원의 숫자만큼 해당영역의 선택행이 순차적으로 변화되어 최종선택한 행에 대한 열 전체의 심벌을 하단영역에 해당행 전체 심벌로 출현시키되, 상단영역의 구획된 영역순서를 하단영역의 행순서로 연결시켜 최종 심벌출현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방법.
KR1020130128970A 2013-10-29 2013-10-29 사용자가 게임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 방법 KR101422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970A KR101422137B1 (ko) 2013-10-29 2013-10-29 사용자가 게임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 방법
PCT/KR2014/010082 WO2015064970A1 (ko) 2013-10-29 2014-10-24 사용자가 게임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970A KR101422137B1 (ko) 2013-10-29 2013-10-29 사용자가 게임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2137B1 true KR101422137B1 (ko) 2014-09-23

Family

ID=51758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8970A KR101422137B1 (ko) 2013-10-29 2013-10-29 사용자가 게임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22137B1 (ko)
WO (1) WO201506497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6792A (ko) * 2011-01-27 2012-08-06 정인화 변화하는 시상 심벌 조합 배열을 적용하는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2386A (ko) * 2004-10-12 2006-04-17 김정훈 슬롯머신 및 슬롯머신을 이용한 게임방법
JP4615448B2 (ja) * 2005-01-28 2011-01-19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遊技機及び遊技システム
JP2009082560A (ja) * 2007-10-01 2009-04-23 Olympia:Kk スロットマシ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6792A (ko) * 2011-01-27 2012-08-06 정인화 변화하는 시상 심벌 조합 배열을 적용하는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64970A1 (ko) 2015-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5220B2 (en) Gaming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a game involving specialty functionality
US10026256B2 (en) Replacement reel gaming device and method
US8152627B2 (en) Gaming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a game involving specialty wild functionality
US11562619B2 (en) Gam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ortioning a play area
US9466181B2 (en) Gaming method and apparatus with dynamic element function
US8585483B2 (en) Gaming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a game involving bonus functionality
JP2007195610A (ja) 遊技機
AU2023226779A1 (en) Gaming machine and gaming process including further game symbols
KR101422137B1 (ko) 사용자가 게임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 방법
AU2019203011B2 (en) Gaming machine and gaming process including further game symbols
KR101468478B1 (ko) 원통형의 3d방식을 통해 심벌조합을 공급받는 전자식 슬롯머신 게임 방법
WO2012064334A1 (en) Gaming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a game involving specialty functionality
WO2004036518A2 (en) Device and method for entertainment
AU2012203070A1 (en) Gaming machine and gaming process including further game symbo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