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6609A - 조리팬 손잡이 - Google Patents
조리팬 손잡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86609A KR20120086609A KR1020110007952A KR20110007952A KR20120086609A KR 20120086609 A KR20120086609 A KR 20120086609A KR 1020110007952 A KR1020110007952 A KR 1020110007952A KR 20110007952 A KR20110007952 A KR 20110007952A KR 20120086609 A KR20120086609 A KR 201200866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
- slider
- knob
- contact portion
- follow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1—Saucepan, frying-pan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조리팬 손잡이는, 이동 홀더가 단부에 형성되며, 종동체가 부착된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직선 이동을 유발하는 노브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몸체; 상기 이동 홀더와 대면되는 고정 홀더가 형성된 하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노브와 대면되어 상기 노브의 이탈을 방지하는 회전판; 상기 슬라이더를 사이에 두고 상기 회전판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종동체와 연동되는 캠이 마련되는 보조판; 상기 노브, 상기 회전판 및 상기 보조판의 회전을 셀프 로킹하는 로커;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리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리팬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가열 기구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때 조리팬을 사용한다. 이러한 조리팬에는 사용자가 뜨거운 조리팬을 쉽게 들 수 있고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손잡이가 고정식으로 부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고정식 손잡이는 조리팬의 외부로 길게 돌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보관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과 세척시 손잡이에 이물질이 끼어 위생상 불결한 문제점이 많이 발생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조리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리팬 손잡이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을 감안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형상 및 두께를 갖는 다양한 직경의 조리팬을 단일한 하나의 손잡이로서 들 수 있게 하고, 뜨거운 조리팬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의 손잡이를 착탈식으로 제공하며, 조리팬 및 조리팬 손잡이의 착탈시 노브의 회전만으로 간단하게 착탈할 수 있는 신개념의 조리팬 손잡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리팬 손잡이는, 이동 홀더가 단부에 형성되며, 종동체가 부착된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직선 이동을 유발하는 노브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몸체; 상기 이동 홀더와 대면되는 고정 홀더가 형성된 하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노브와 대면되어 상기 노브의 이탈을 방지하는 회전판; 상기 슬라이더를 사이에 두고 상기 회전판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종동체와 연동되는 캠이 마련되는 보조판; 상기 노브, 상기 회전판 및 상기 보조판의 회전을 셀프 로킹하는 로커;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두께 및 형상의 조리팬을 단단하게 파지할 수 있고, 셀프 로킹은 물론 강제 로킹 기능이 함께 구현되므로 안전성이 강화되며, 노브의 회전만으로 간단하게 조리팬 손잡이를 착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리팬 손잡이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리팬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판 및 보조판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판 및 슬라이더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캠 및 슬라이더의 결합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종동체의 구조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캠 및 슬라이더의 동작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리팬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판 및 보조판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판 및 슬라이더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캠 및 슬라이더의 결합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종동체의 구조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캠 및 슬라이더의 동작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리팬 손잡이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리팬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판(310) 및 보조판(320)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판(310) 및 슬라이더(200)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캠(350) 및 슬라이더(200)의 결합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종동체(250)의 구조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캠(350) 및 슬라이더(200)의 동작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며 본 발명의 조리팬 손잡이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리팬 손잡이는 상부 몸체(100a), 하부 몸체(100b), 슬라이더(200), 로커(400), 노브(300), 회전판(310)을 포함한다.
상부 몸체(100a) 및 하부 몸체(100b)는 조리팬을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된 부분이며, 내부에 슬라이더(200)의 이동을 위한 각종 부품이 설치되며, 나사 체결 등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므로 고장시 나사를 풀어 내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
슬라이더(200)의 단부는 이동 홀더(210)라 부르며, 하부 몸체(100b) 단부에 해당하는 고정 홀더(110)에 대하여 이동 홀더(210)가 접근 또는 이격됨으로써 조리팬 및 조리팬 손잡이가 착탈된다.
이하에서 '오픈 위치', '오픈 상태', '오픈 방향'은 고정 홀더(110)로부터 이동 홀더(210)가 멀어지는 위치, 상태, 방향을 말하고, '클로즈 위치', '클로즈 상태', '클로즈 방향'은 고정 홀더(110)에 이동 홀더(210)가 접근되는 위치, 상태, 방향을 말한다. 슬라이더(200)가 오픈 위치로 이동되면 고정 홀더(110) 및 이동 홀더(210)가 서로 이격되므로 조리팬 손잡이가 조리팬의 측벽을 놓게 되고, 슬라이더(200)가 클로즈 위치로 이동되면 고정 홀더(110) 및 이동 홀더(210)가 서로 접근되며 그 사이에 조리팬의 측벽이 끼게 되므로 조리팬 손잡이가 조리팬을 단단히 파지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면, 참조 부호 910 및 920은 오픈 위치에 있을 때 캠(350) 및 종동체(250)의 상대 위치를 도시하고, 참조 부호 910은 최대로 오픈된 위치가 되며, 참조 부호 930 및 940은 클로즈 위치에 있을 때 캠(350) 및 종동체(250)의 상대 위치를 도시하고, 참조 부호 940은 종동체(250)의 2단 접촉부 형상에 의하여 캠(350)이 셀프 로킹된 상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조리팬 손잡이가 예기치 않게 조리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① 하부 몸체(100b)에 단턱(120)을 형성하여 조리팬의 측벽 돌출부가 단턱(120)에 끼여 고정되도록 한 점, ② 캠(350)과 연동되는 종동체(250)에 2단 접촉부를 형성함으로써 캠(350)이 셀프 로킹되도록 한 점, ③ 로커(400)를 설치하여 특정 위치에서 노브(300) 및 캠(350)의 회전이 강제 로킹되도록 한 점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하여 안전성을 확보한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여 설명한다.
하부 몸체(100b)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 홀더(110) 및 슬라이더(200)의 단부에 형성된 이동 홀더(210)에는 마찰계수가 높은 고무나 기타 합성 수지 등이 코팅됨으로써 조리팬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고정 홀더(110) 및 이동 홀더(210)에는 돌기나 홈 등의 요철이 형성되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고정 홀더(110)의 상부 끝부분에는 단턱(120)이 형성되는데, 일반적인 조리팬의 측벽 상단부는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더 두껍거나 조리팬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가 있기 마련인데, 이 부분이 단턱(120)에 끼여 조리팬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조리팬 이탈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부 몸체(100a)에는 지지봉(130)이 하측으로 연장된다. 지지봉(130)의 내측에는 상부 몸체(100a) 및 하부 몸체(100b)를 서로 고정시키는 나사가 체결되며, 지지봉(130)의 외측은 슬라이더(200)에 형성된 지지봉 가이드(230)에 삽입되어 슬라이드의 좌우 유동을 방지한다.
노브(300)는 상부 몸체(100a)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노브(300) 및 회전판(310)이 노브(300) 나사에 의하여 상호 체결되고, 노브(300)의 회전에 따라 동일한 각도로 회전판(310)이 회전된다. 노브(300) 및 회전판(310)의 결합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회전판(310)의 상측에는 마치 볼트의 육각 머리와 같이 다각형 형상으로 돌출된 노브 체결부(311)가 마련된다. 노브 체결부(311)는 노브(300)의 내부 공간 하측에 형성된 다각형 홈에 삽입되어 미끄러짐 없이 노브(30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노브(300) 및 회전판(310)의 상호 결합을 위하여 노브(300) 나사가 체결되며, 노브(300) 나사는 노브(300) 및 회전판(310)에 형성된 노브 나사 구멍(312)에 관통된다.
캠(350)은 노브(300)의 회전에 따라 종동체(250)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접촉된다. 캠(350) 및 종동체(250)의 접촉 자세에 따라 오픈 위치/클로즈 위치/셀프 로킹 위치가 결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대략 90도 범위에서 노브(300)를 회전시킬 때 슬라이더(200)가 클로즈 위치, 오픈 위치, 셀프 로킹 위치로 절환된다.
이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면, 캠(350)이 참조 부호 930의 기준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최대한 회전하는 각도인 +90도 회전하면 캠(350)이 제1 접촉부(251)와 이격되고, 슬라이더(200)는 최대한 오픈 위치로 이동한 상태가 되며, 캠(350)이 제3 접촉부(253)에 접촉 간섭되면서 슬라이더(200)가 오픈 위치로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이때, 고정 홀더(110) 및 이동 홀더(210)의 간극은 최대 상태가 되며 조리팬은 조리팬 손잡이와 쉽게 분리된다.
한편, 캠(350)이 참조 부호 910의 최대 오픈 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예를 들어 45도 회전하면 참조 부호 920의 상태로 되고 캠(350)이 제1 접촉부(251)를 클로즈 방향으로 밀어서 슬라이더(200)를 클로즈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캠(350)이 반시계 방향으로 45도 더 회전하면 참조 부호 930의 기준 상태가 되고, 캠(350)은 클로즈 위치로 최대한 이동한다. 이때, 고정 홀더(110) 및 이동 홀더(210)의 간극은 최소 상태가 되며 조리팬은 고정 홀더(110) 및 이동 홀더(210) 사이에 밀착되어 단단히 고정된다.
캠(350)이 참조 부호 930의 위치에 있을 때 노브(300)를 잡고 있던 손을 무심코 놓으면 약간의 외력만 작용해도 캠(350)이 오픈 위치로 복귀되어 심각한 안전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캠(350) 및 종동체(250)의 접촉 형상을 특수 설계하여 셀프 로킹 기능을 구현한다.
참조 부호 940은 셀프 로킹 상태에서 캠(350)의 위치를 도시한다. 종동체(250)에는 2단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다. 2단 접촉부는 제1 접촉부(251) 및 제2 접촉부(252)로 이루어진다. 제1 접촉부(251) 및 제2 접촉부(252)는 단차(t)를 가지며, 캠(350)의 회동 중심에 해당하는 노브 나사 구멍(312)에 대하여 제2 접촉부(252)는 제1 접촉부(251)보다 더 가까운 위치에 있다.
따라서, 노브 나사 구멍(312)으로부터 캠(350) 단부에 이르는 제1 거리가 노브 나사 구멍(312) 및 제1 접촉부(251)의 이격 거리와 동일한 참조 부호 930의 상태를 기준 상태라 할 때, 캠(350)이 기준 위치를 넘어가도록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접촉부(252)에 의하여 캠(350)에 가압력이 작용하고, 상기 가압력은 제2 접촉부(252)가 오픈 방향인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는 셀프 로킹 모멘트를 발생한다. 따라서, 셀프 로킹 모멘트력보다 큰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캠(350)은 오픈 방향의 회전이 억제되는 셀프 로킹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셀프 로킹 기능만으로는 완전한 로킹 기능을 달성할 수 없으므로 본 발명은 로커(400)를 마련하여 노브(300) 및 캠(350)의 회전을 강제 로킹시킨다.
이하에는 로커(400)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로커(400)는 버튼(410), 대직경부(430), 소직경부(420), 로커(400) 스프링(미도시)을 구비한다. 대직경부(430)의 직경은 소직경부(420)의 직경보다 더 크다.
로커(400) 스프링은 압축 스프링으로서 일단부는 하부 몸체(100b)의 내부에 의하여 지지되고 타단부는 대직경부(430)의 단부에 접촉 지지되며, 로커(400)를 상부 몸체(100a) 방향으로 밀어올리는 탄성력을 작용한다.
슬라이더(200)에는 언로킹부(262)와 로킹부(261)가 형성되어 있으며, 언로킹부(262)의 틈새 간격은 로킹부(261)의 직경보다 더 작다.
소직경부(420)의 직경은 로킹부(261)의 직경보다 작은 것은 물론 언로킹부(262)의 틈새 크기보다 더 작다. 도 7에서 참조 부호 c는 로커(400)의 설치 위치를 표시한다. 로커(400)가 로커(400) 스프링에 의하여 상부 몸체(100a) 방향으로 튀어 나온 위치인 언로킹 위치에 있으면 소직경부(420)가 언로킹부(262)와 대면되는 상태인 참조 부호 920 및 910 상태가 되므로 로커(400)는 슬라이더(200)를 간섭하지 않아 슬라이더(200)의 이동이 자유롭다.
이때, 대직경부(430)의 직경은 언로킹부(262)의 틈새 크기보다 더 크므로 대직경부(430)가 로커(400) 스프링에 의하여 가압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직경부(430)는 언로킹부(262)에 의하여 저지되어 슬라이더(200) 상측 방향인 언로킹 방향으로 돌출되지 못한다.
그러나, 참조 부호 930 및 940 상태에서는 대직경부(430)보다 큰 직경을 갖는 로킹부(261)에 로커(400)가 위치하므로 로커(400)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하여 로커(400)는 언로킹 방향인 슬라이더(200)의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된다. 그러면, 대직경부(430)는 로킹부(261)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 있지만, 언로킹부(262)의 입구가 대직경부(430)에 수평 방향으로 접촉 간섭되므로 슬라이더(200)의 수평 방향 이동이 강제 로킹된다.
다음으로 종동체(25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캠(350) 및 종동체(250)는 노브(300)의 회전에 따라 소정의 압력이 작용하면서 미끄럼 접촉되므로 캠(350)이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경우 종동체(250)가 슬라이더(200)와 동일한 금속 재질로 제작된다면 캠(350)이 쉽게 마모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캠(350)이 합성 수지 재질로 마련되고 슬라이더(200)가 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경우, 종동체(250)는 슬라이더(200)와 다른 재질로서 캠(350)의 마모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비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200) 및 종동체(250)를 다른 재질로 형성하려면, 슬라이더(200)를 철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하고 가공 완료된 슬라이더(200)를 종동체(250)를 성형하는 금형에 함께 삽입하여 인서트 사출의 방법으로 종동체(250) 및 슬라이더(200)의 결합을 완료하는 것이 좋다.
또한, 슬라이더(200) 및 종동체(250)의 결합력 강화를 위하여 종동체(250)의 단부를 돌출시킨 종동체 고정부(259)를 마련하면, 종동체 고정부(259) 및 슬라이더(200)의 결합 형상에 의하여 종동체(250) 및 슬라이더(20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캠(350)의 구조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에는 회전판(310)과 별개로 마련된 보조판(320)에 캠(350)이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회전판(310)의 하부에는 캠(350)이 삽입되는 회전판 홈(315)이 형성되며, 보조판(320)의 상측에는 캠(350)이 돌출된다. 보조판(320)은 하부 몸체(100b)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노브(300) 및 회전판(310)이 상부 몸체(100a)에서 이탈되지 않게 한다. 슬라이더(200)는 회전판(310) 및 보조판(320) 사이에 개재되며, 캠(350)은 슬라이더(200)에 부착된 종동체(250)와 대면된다. 도 5 및 도 7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보조판(320)을 제거하고 회전판(310) 및 캠(350)만을 도시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a...상부 몸체 100b...하부 몸체
110...고정 홀더 120...단턱
130...지지봉 200...슬라이더
210...이동 홀더 230...지지봉 가이드
250...종동체(從動體) 251...제1 접촉부
252...제2 접촉부 253...제3 접촉부
259...종동체 고정부 261...로킹부
262...언로킹부 300...노브
310...회전판 311...노브 체결부
312...노브 나사 구멍 315...회전판 홈
320...보조판 350...캠
400...로커 410...버튼
420...소직경부 430...대직경부
110...고정 홀더 120...단턱
130...지지봉 200...슬라이더
210...이동 홀더 230...지지봉 가이드
250...종동체(從動體) 251...제1 접촉부
252...제2 접촉부 253...제3 접촉부
259...종동체 고정부 261...로킹부
262...언로킹부 300...노브
310...회전판 311...노브 체결부
312...노브 나사 구멍 315...회전판 홈
320...보조판 350...캠
400...로커 410...버튼
420...소직경부 430...대직경부
Claims (5)
- 이동 홀더가 단부에 형성되며, 종동체가 부착된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직선 이동을 유발하는 노브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몸체;
상기 이동 홀더와 대면되는 고정 홀더가 형성된 하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노브와 대면되어 상기 노브의 이탈을 방지하는 회전판;
상기 슬라이더를 사이에 두고 상기 회전판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종동체와 연동되는 캠이 마련되는 보조판;
상기 노브, 상기 회전판 및 상기 보조판의 회전을 셀프 로킹하는 로커; 를 포함하는 조리팬 손잡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상기 노브의 회전에 따라 상기 종동체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접촉되고, 상기 캠 및 상기 종동체의 접촉 자세에 따라 오픈 위치/클로즈 위치/셀프 로킹 위치가 결정되며, 90도 범위에서 상기 노브를 회전시킬 때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클로즈 위치, 상기 오픈 위치, 상기 셀프 로킹 위치로 절환되는 조리팬 손잡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체는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제3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캠 및 상기 종동체는 비금속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캠이 기준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최대한 회전한 각도인 +90도 회전하면 상기 캠이 상기 제1 접촉부와 이격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최대한 오픈 위치로 이동한 상태가 되며, 상기 캠이 상기 제3 접촉부에 접촉 간섭되면서 상기 슬라이더가 오픈 위치로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고, 상기 고정 홀더 및 상기 이동 홀더의 간극은 최대 상태가 되며 조리팬이 분리되고,
상기 캠이 최대 오픈 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45도 회전하면 상기 캠이 상기 제1 접촉부를 클로즈 방향으로 밀어서 상기 슬라이더를 클로즈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캠이 반시계 방향으로 45도 더 회전하면 상기 기준 상태가 되고, 상기 캠은 클로즈 위치로 최대한 이동하고, 상기 고정 홀더 및 상기 이동 홀더의 간극은 최소 상태가 되며 조리팬은 상기 고정 홀더 및 상기 이동 홀더 사이에 밀착 고정되는 조리팬 손잡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는 단차(t)를 가지며, 상기 캠의 회동 중심에 대하여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제1 접촉부보다 더 가까운 위치에 있고,
상기 캠의 회동 중심으로부터 상기 캠의 단부에 이르는 제1 거리가 상기 캠의 회동 중심 및 상기 제1 접촉부의 이격 거리와 동일한 상태인 상기 기준 위치를 넘어가도록 상기 캠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 접촉부에 의하여 상기 캠에 가압력이 작용하고,
상기 가압력은 상기 제2 접촉부가 오픈 방향인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는 셀프 로킹 모멘트를 발생하는 조리팬 손잡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는 버튼, 대직경부, 소직경부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몸체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며,
상기 대직경부의 직경은 상기 소직경부의 직경보다 더 크고,
상기 슬라이더에는 언로킹부와 로킹부가 형성되며, 상기 언로킹부의 틈새 간격은 상기 로킹부의 직경보다 더 작고, 상기 소직경부의 직경은 상기 로킹부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언로킹부의 틈새 크기보다 더 작고,
상기 로커가 상기 상부 몸체 방향으로 튀어나온 위치인 언로킹 위치에 있으면 상기 소직경부가 상기 언로킹부와 대면되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로커는 상기 슬라이더를 간섭하지 않아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이 자유롭고,
상기 대직경부가 상기 로킹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 있으면 상기 언로킹부의 입구가 상기 대직경부에 수평 방향으로 접촉 간섭되므로 상기 슬라이더의 수평 방향 이동이 강제 로킹되는 조리팬 손잡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7952A KR101347881B1 (ko) | 2011-01-26 | 2011-01-26 | 조리팬 손잡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7952A KR101347881B1 (ko) | 2011-01-26 | 2011-01-26 | 조리팬 손잡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6609A true KR20120086609A (ko) | 2012-08-03 |
KR101347881B1 KR101347881B1 (ko) | 2014-01-10 |
Family
ID=46872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07952A KR101347881B1 (ko) | 2011-01-26 | 2011-01-26 | 조리팬 손잡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47881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1745B1 (ko) * | 2012-08-13 | 2013-03-15 | 김민호 | 착탈식 용기 손잡이 |
KR101379336B1 (ko) * | 2013-02-07 | 2014-04-10 | 주식회사 나토얀 | 착탈식 용기 손잡이 |
KR200472929Y1 (ko) * | 2012-08-13 | 2014-05-29 | 임하배 |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
KR200474295Y1 (ko) * | 2013-01-28 | 2014-09-03 | 임종만 | 조리용기 착탈식 손잡이 |
KR101457788B1 (ko) * | 2013-02-08 | 2014-11-04 | 최중일 | 용기 그립 호환성을 향상시킨 착탈식 용기 손잡이 |
JP2016527008A (ja) * | 2013-07-17 | 2016-09-08 | ヤン、ウォン ジュンYANG, Won Jun | 調理容器用着脱式両手取っ手 |
KR20210001919U (ko) * | 2019-10-22 | 2021-08-24 | 주식회사 휴롬 | 착즙기 |
US11564523B2 (en) | 2019-10-22 | 2023-01-31 | Hurom Co., Ltd. | Juicer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6595B1 (ko) * | 2005-09-12 | 2007-05-10 | 이상호 |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
-
2011
- 2011-01-26 KR KR1020110007952A patent/KR101347881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1745B1 (ko) * | 2012-08-13 | 2013-03-15 | 김민호 | 착탈식 용기 손잡이 |
WO2014027802A1 (ko) * | 2012-08-13 | 2014-02-20 | 주식회사 나토얀 | 착탈식 용기 손잡이 |
KR200472929Y1 (ko) * | 2012-08-13 | 2014-05-29 | 임하배 |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
KR200474295Y1 (ko) * | 2013-01-28 | 2014-09-03 | 임종만 | 조리용기 착탈식 손잡이 |
KR101379336B1 (ko) * | 2013-02-07 | 2014-04-10 | 주식회사 나토얀 | 착탈식 용기 손잡이 |
KR101457788B1 (ko) * | 2013-02-08 | 2014-11-04 | 최중일 | 용기 그립 호환성을 향상시킨 착탈식 용기 손잡이 |
JP2016527008A (ja) * | 2013-07-17 | 2016-09-08 | ヤン、ウォン ジュンYANG, Won Jun | 調理容器用着脱式両手取っ手 |
KR20210001919U (ko) * | 2019-10-22 | 2021-08-24 | 주식회사 휴롬 | 착즙기 |
US11564523B2 (en) | 2019-10-22 | 2023-01-31 | Hurom Co., Ltd. | Juic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47881B1 (ko) | 2014-01-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47881B1 (ko) | 조리팬 손잡이 | |
JP3169455U (ja) | 調理器具用取手 | |
US9808083B2 (en) | Device for releasably connecting a furniture drawer to a guidance unit that moveably guides the drawer in a furniture body | |
US9308768B2 (en) | Ring clamp | |
US20080110910A1 (en) | 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container | |
CN111364832B (zh) | 一种快速拆装把手 | |
GB2544104A (en) | Telescopic wand for a vacuum cleaner | |
EP1328051B1 (fr) | Dispositif de fixation d'un appareil électrique sur un rail de montage | |
JP5853247B2 (ja) | 着脱式容器取っ手 | |
US20150048227A1 (en) | Rail bracket securing structure | |
US9359797B2 (en) | Push/pull operating device for driving a latch device | |
EP3009055A1 (en) | Two-handed attachable-and-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vessels | |
KR101388894B1 (ko) |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 |
US10837652B2 (en) | Appliance secondary door | |
CN110094116B (zh) | 一种家用电器的门锁结构 | |
US20190061112A1 (en) | Ratchet wrench | |
TW201335006A (zh) | 機車前置物箱結構 | |
CN110507181B (zh) | 锅盖组件以及压力锅 | |
WO2022001698A1 (zh) | 可更换门面的冰箱门 | |
CN210541157U (zh) | 可折叠手柄及锅具 | |
CN110150966B (zh) | 烹饪器具 | |
CN209951028U (zh) | 锅盖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 |
KR101084052B1 (ko) | 핸들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합장 | |
KR101388198B1 (ko) | 매립형 손잡이 | |
KR101859182B1 (ko) | 압력밥솥 뚜껑개폐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