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6086A -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 - Google Patents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6086A
KR20120086086A KR1020110007319A KR20110007319A KR20120086086A KR 20120086086 A KR20120086086 A KR 20120086086A KR 1020110007319 A KR1020110007319 A KR 1020110007319A KR 20110007319 A KR20110007319 A KR 20110007319A KR 20120086086 A KR20120086086 A KR 20120086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unting
camera
flas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0022B1 (ko
Inventor
김명규
노승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7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0022B1/ko
Priority to US13/271,487 priority patent/US8526809B2/en
Priority to CN201110451033.4A priority patent/CN102608838B/zh
Publication of KR20120086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6Accessory clips, holders, shoes to attach accessories to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14Separate unit
    • G03B2215/056Connection with camera, e.g. adap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는, 카메라의 플래시 단자에 대응하는 제1 단자부와, 제1 단자부를 지지하며 카메라에 장착 가능한 장착부와, 장착부에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작동부와, 외부 플래시가 장착되도록 작동부에 배치되며 제1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부와, 작동부와 장착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작동부를 장착부에 대해 위치 조정 가능하게 지지하는 연결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Adapter for flash of camera}
실시예들은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래시를 각도 조정 가능하도록 카메라에 장착할 수 있게 하는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의 플래시는 순간적인 섬광을 발생시킴으로서 촬영을 위한 광량의 확보를 돕는 장치이다. 카메라는 외부 플래시의 장착을 위해 일명 핫슈(hot shoe)라고도 불리는 전용 단자를 구비하며, 필요한 경우에 핫슈에 외부 플래시를 장착하여 촬영에 이용하기도 한다.
촬영 조건에 따라서는 플래시를 카메라의 본체에 대하여 회전시키거나 틸팅시킴으로써 플래시의 발광 각도를 조정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시판되는 플래시 중에 자체적으로 각도를 조정하는 기능을 구비한 모델이 있지만, 각도 조정 기능을 구비한 플래시는 부피가 크고 가격이 고가인 문제가 있다.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의 목적은 카메라에 플래시를 각도 조정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하는 데 있다.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컴팩트한 구성을 가지며 저렴한 가격으로 제작 가능하며 플래시를 카메라에 대해 각도 조정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는, 카메라의 플래시 단자에 대응하는 제1 단자부와, 제1 단자부를 지지하며 카메라에 장착 가능한 장착부와, 장착부에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작동부와, 외부 플래시가 장착되도록 작동부에 배치되며 제1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부와, 작동부와 장착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작동부를 장착부에 대해 위치 조정 가능하게 지지하는 연결부를 구비한다.
연결부는, 장착부의 표면을 따라 장착부에 대해 회전하도록 배치된 회전판과, 회전판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회전판이나 장착부의 어느 하나에 설치된 가이드 홈과,
가이드 홈에 삽입되도록 회전판이나 장착부의 다른 하나에 설치된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는, 회전판과 장착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가압력을 부여함으로써 장착부에 대한 회전판의 위치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유지부는,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장착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홈부와, 홈부에 삽입되며 인접하는 홈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구름 부재와, 구름 부재와 홈부를 덮는 커버와, 커버와 구름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구름 부재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는, 장착부와 작동부의 어느 하나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 개의 홈부와, 홈부에 삽입 가능한 돌출부를 구비하며 홈부에 대해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장착부와 작동부의 다른 하나에 배치된 탄성판을 구비하는 유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단자부와 제2 단자부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배선(wiring)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는, 일측 표면에 제1 단자부나 제2 단자부의 어느 하나에 접촉하는 제1 단자 패턴이 배치되고 타측 표면에 제1 단자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 패턴과 제2 단자 패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함으로써 회전판이 회전하는 동안 제1 단자부나 제2 단자부의 다른 하나와의 접촉을 유지하는 제3 단자 패턴을 구비하는 회로기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연결부는, 작동부가 장착부에 대한 경사를 이루는 각도를 조정하도록 작동부를 장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작동부가 장착부에 대해 회전한 각도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는, 작동부가 연결부에 의해 장착부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카메라에 장착된 플래시의 발광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자체적으로 위치 조정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플래시를 사용할 때에도 플래시의 각도 조정 기능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컴팩트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를 이용함으로써 부피가 크고 고가의 플래시를 휴대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가 카메라가 결합되는 작동을 설명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가 카메라에 장착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의 구성 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구성 요소들이 결합되는 방법을 설명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의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의 일부 구성 요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일부 구성 요소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의 일부분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에서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통하여 실시예들에 관한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가 카메라가 결합되는 작동을 설명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7)는 카메라(3)의 플래시 단자(5)에 대응하는 제1 단자부(10)와, 제1 단자부(10)를 지지하며 카메라(3)에 장착 가능한 장착부(20)와, 장착부(20)에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작동부(30)와, 작동부(30)에 배치되며 제1 단자부(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부(40)와, 작동부(30)를 장착부(20)에 대해 위치 조정 가능하게 지지하는 연결부(50; 도 4 참조)를 구비한다.
카메라(3)의 플래시 단자(5)는 일명 핫슈로도 불리는 구성 요소로서, 카메라(3)에 외부 플래시를 장착하도록 카메라(3)에 마련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7)는 이와 같은 카메라(3)의 플래시 단자(5)에 장착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가 카메라에 장착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7)가 카메라(3)에 장착된 상태에서,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7)에 외부 플래시(2)를 장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외부 플래시(2)는 자체적으로 회전하는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 모델이지만,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7)를 개재하여 카메라(3)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의 구성 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구성 요소들이 결합되는 방법을 설명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단자부(10)는 카메라(3)의 플래시 단자(5)에 대응하도록 제작된다. 제1 단자부(10)는 카메라(3)의 플래시 단자(5)와 접촉할 수 있는 제1 단자(11)와 제1 단자(11)를 돌출 가능하도록 지지하며 플래시 단자(5)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더(12)를 구비한다.
제1 단자(11)는 전기 전도성 소재를 이용하여 핀 형상을 갖도록 제작된다. 제1 단자(11)는 장착부(20)의 구멍(27)에 삽입되며 장착부(20)의 상측에 배치된 커버(64)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11b)에 의해 탄성적으로 가압된 상태로 장착부(20)에 배치된다.
장착부(20)는 제1 단자부(10)를 지지하며 카메라(3)에 장착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단자부(10)가 카메라(3)의 플래시 단자(5)에 결합하면 장착부(20)는 카메라(3)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작동부(30)는 장착부(20)에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작동부(30)는 장착부(20)에 대해 대략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며, 장착부(20)에 대해 회전하도록 결합한다.
작동부(30)에는 외부 플래시(2)가 장착되는(도 3 참조) 제2 단자부(40)가 배치된다. 제2 단자부(40)는 제1 단자부(10)의 제1 단자(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41)와, 외부 플래시(2)를 지지하는 핫슈 플레이트(42)와,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43)과, 제2 단자(41)를 지지하는 베이스(44)를 구비한다.
작동부(30)와 장착부(20)의 사이에는 작동부(30)를 장착부(20)에 대해 위치 조정 가능하게 지지하는 연결부(50)가 배치된다. 연결부(50)는 장착부(20)의 표면을 따라 장착부(20)에 대해 회전하도록 배치된 회전판(51)과, 회전판(51)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회전판(51)에 설치된 가이드홈(52)과, 가이드홈(52)에 삽입되도록 장착부(20)에서 회전판(51)을 향해 돌출 형성된 돌출부(53)를 구비한다.
회전판(51)을 장착부(20)에 결합할 때에는 회전판(51)의 가이드홈(52)에 장착부(20)의 돌출부(53)를 삽입한 후에, 가이드홈(52)의 상단에 노출되는 돌출부(53)의 단부에 볼트(59)와 와셔(58)를 결합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회전판(51)이 장착부(20)에 대해 회전하는 동안 돌출부(63)가 가이드홈(52)에 삽입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가이드홈(52)과 돌출부(63)는 회전판(51)의 회전 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장착부(20)에 대한 회전판(51)의 회전 운동 범위를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홈(52)과 돌출부(63)를 구비한 연결부(50)의 구조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를 변형하여 가이드홈(52)을 장착부(20)에 설치하고 돌출부(63)를 회전판(51)에 설치할 수도 있다.
회전판(51)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걸림 돌기(57)를 작동부(30)에 삽입함으로써 회전판(51)과 작동부(30)가 결합되며, 볼트(39)에 의해 회전판(51)이 작동부(30)에 체결된다. 이로 인해 회전판(51)과 작동부(30)는 함께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제1 단자부(10)의 제1 단자(11)와 제2 단자부(40)의 제2 단자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기 전도성의 배선(71; wiring)에 의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여기에서 배선이라 함은 도 5에 도시된 전선(electrical wire) 이외에도 전도성 패턴을 갖는 플렉시블 케이블에 의한 전기적 연결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단자부(10)와 제2 단자부(40)가 전기 전도성의 배선(71)으로 연결됨으로써, 작동부(30)가 장착부(20)에 대해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작동부(30)가 계속해서 회전을 하면 배선(71)이 절단될 수 있지만, 상술한 것과 같이 가이드홈(52)과 돌출부(53)의 작용으로 인해 작동부(30)가 회전할 수 있는 범위는 가이드홈(52)의 단부에 의해 결정된다.
회전판(51)과 장착부(20)의 사이에는 장착부(20)에 대한 회전판(51)의 위치를 유지하는 유지부(60)가 배치될 수 있다. 유지부(60)는 회전판(51)과 장착부(20)에 가압력을 부여함으로써 소정의 힘을 가하기 전까지는 장착부(20)에 대해 회전판(51)이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판(51)을 유지한다.
유지부(60)는 장착부(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장착부(2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홈부(61)와, 홈부(61)에 삽입되며 인접하는 홈부(61)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구름 부재(62)와, 구름 부재(62)와 홈부(61)를 덮는 커버(64)와, 커버(64)와 구름 부재(62)의 사이에 배치되어 구름 부재(62)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63)를 구비한다.
유지부(60)의 구름 부재(62)는 볼(ball)이 사용되었으나, 인접한 홈부(61)의 사이에서 구르면서 이동 가능하다면 원통 형상과 같이 다른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구름 부재(62)는 탄성 부재(63)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홈부(61)에 삽입되므로, 탄성 부재(63)의 탄성력보다 작은 힘에 의해서는 하나의 홈부(61)의 삽입된 구름 부재(62)는 인접한 홈부(61)로 이동할 수 없다.
사용자가 작동부(30)를 회전시켜 회전판(51)에 전달되는 힘이 유지부(60)에 의해 전달되는 가압력 보다 크면 구름 부재(62)가 탄성 부재(63)를 가압하면서 인접한 홈부(61)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유지부(60)의 작용으로 인해 작동부(30)의 장착부(20)에 대한 위치 조정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7)를 이용하면, 카메라(3)에 외부 플래시(2)를 회전시켜 좌우 방향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컴팩트한 구성을 갖는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7)를 이용함으로써 회전 기능을 구비하는 고가이며 중량의 외부 플래시를 사용하지 않아도 편리한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의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는 도 1 내지 도 5에 타난 실시예의 구성과 유사하다. 도 6에서는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의 여러 가지 구성 요소 중에, 카메라에 장착되는 장착부(120)와, 장착부(1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작동부(130)와, 장착부(120)와 작동부(13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작동부(130)와 장착부(120)에 가압력을 부여하여 작동부(130)의 위치를 유지하는 유지부(160)가 도시되었다.
유지부(160)는 작동부(130)의 원주 방향의 가장자리의 내측 벽면에 설치된 복수 개의 홈부(161)와, 홈부(161)에 삽입 가능한 돌출부(163)를 구비하며 홈부(161)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장착부(120)의 외측 벽면에 설치된 탄성판(162)을 구비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작동부(130)는 탄성판(162)의 작용으로 장착부(120)에 대해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작동부(130)에 탄성판(162)에 의한 가압력 보다 큰 힘이 전달되면, 돌출부(163)가 인접한 홈부(161)의 사이를 이동함으로써 작동부(130)의 장착부(120)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의 일부 구성 요소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일부 구성 요소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 내지 도 5에 타난 실시예의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에서 제1 단자부(10)와 제2 단자부(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기판(280)을 도시한 것이다.
회로기판(280)은 장착부(20)와 작동부(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적용한다면, 회로기판(280)은 회전판(51)과 장착부(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회로기판(280)의 일측 표면(282)에는 도 4의 장착부(20)에 설치된 제1 단자부(10)의 제1 단자(11)에 대응하는 제1 단자 패턴(283)이 배치된다.
도 9를 참조하면 회로기판(280)의 타측 표면(281)에는 도 4의 작동부(30)에 설치된 제2 단자부(40)의 제2 단자(41)에 대응하는 제2 단자 패턴(284)과, 제2 단자 패턴(284)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3 단자 패턴(285)을 구비한다.
회로기판(280)은 도 4의 장착부(20)에 대해 위치가 고정되도록 배치되므로, 제1 단자 패턴(283)은 제1 단자(11)와 항상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회로기판(280)의 제2 단자 패턴(284)과 제3 단자 패턴(285)은 도 4의 작동부(30)가 장착부(20)에 대하여 회전하는 동안 제2 단자(41)와 접촉한다.
상술한 구성의 회로기판(280)을 이용하면, 도 4의 제1 단자부(10)와 제2 단자부(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작동부(30)가 장착부(20)에 대해 회전하는 동안에도 제1 단자부(10)와 제2 단자부(40)의 전기적인 연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의 일부분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에서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307)는, 카메라의 플래시 단자에 대응하는 제1 단자부(310)와, 제1 단자부(310)를 지지하며 카메라에 장착 가능한 장착부(320)와, 장착부(320)에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작동부(330)와, 작동부(330)에 배치되며 제1 단자부(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부(340)와, 작동부(330)를 장착부(320)에 대해 위치 조정 가능하게 지지하는 연결부(360)를 구비한다.
연결부(360)는 작동부(330)의 연장 방향에 대략 평행한 축(Or)을 중심으로 장착부(320)에 대해 작동부(3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작동부(330)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연결부(360)는 작동부(330)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돌출하는 회전축(361)과, 회전축(36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장착부(320)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지지 블록(362)을 구비한다. 회전축(361)은 지지 블록(362)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므로, 작동부(330)가 장착부(320)에 대하여 화살표 R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작동부(330)의 제2 단자부(340)에 외부 플래시가 장착되는 경우, 장착된 외부 플래시의 발광 방향은 카메라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연결부(360)에는 작동부(330)가 장착부(320)에 대해 회전한 각도를 유지하는 유지부(370)가 설치된다. 유지부(370)는 회전축(361)이 삽입된 구멍에서 회전축(361)을 둘러싸며 이격된 복수 개의 홈부(371)와, 회전축(361)에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돌출가능하게 배치된 돌출부(372)를 구비한다.
돌출부(372)는 예를 들어 스프링 등에 의해 지지되며 회전축(361)에 삽입될 수 있다. 돌출부(372)의 외측 단부는 홈부(37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회전축(361)이 지지 블록(362)에 대해 회전한 각도가 유지될 수 있다.
카메라에 외부 플래시를 장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회전축(361)을 회전시키는 힘을 외부 플래시에 가하면, 유지부(370)의 돌출부(372)가 인접하는 홈부(371)의 사이에서 이동한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카메라에 대한 외부 플래시의 상하 방향의 회전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 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상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상기 특정 용어에 의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발명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등의 표현은 기술의 개방형 종결부의 용어로 이해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선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술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는 발명의 범위와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수정과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7, 307: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
2: 외부 플래시 39, 59: 볼트
3: 카메라 162: 탄성판
5: 플래시 단자 280: 회로기판
11: 제1 단자 281: 타측 표면
12: 슬라이더 282: 일측 표면
27: 구멍 283: 제1 단자 패턴
41: 제2 단자 284: 제2 단자 패턴
42: 핫슈 플레이트 285: 제3 단자 패턴
44: 베이스 10, 310: 제1 단자부
51: 회전판 361: 회전축
52: 가이드홈 362: 지지 블록
11b, 43: 스프링 40, 340: 제2 단자부
57: 돌기 50, 360: 연결부
58: 와셔 20, 120, 320: 장착부
62: 구름 부재 30, 130, 330: 작동부
63: 탄성 부재 60, 370, 160: 유지부
64: 커버 61, 161, 371: 홈부
71: 배선 53, 63, 163, 372: 돌출부

Claims (9)

  1. 카메라의 플래시 단자에 대응하는 제1 단자부;
    상기 제1 단자부를 지지하며 상기 카메라에 장착 가능한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작동부;
    외부 플래시가 장착되도록 상기 작동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부; 및
    상기 작동부와 상기 장착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작동부를 상기 장착부에 대해 위치 조정 가능하게 지지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장착부의 표면을 따라 상기 장착부에 대해 회전하도록 배치된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상기 회전판이나 상기 장착부의 어느 하나에 설치된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회전판이나 상기 장착부의 다른 하나에 설치된 돌출부;를 구비한,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과 상기 장착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가압력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장착부에 대한 상기 회전판의 위치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더 구비하는,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장착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홈부;
    상기 홈부에 삽입되며 인접하는 상기 홈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구름 부재;
    상기 구름 부재와 상기 홈부를 덮는 커버; 및
    상기 커버와 상기 구름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름 부재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와 상기 작동부의 어느 하나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 개의 홈부; 및
    상기 홈부에 삽입 가능한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홈부에 대해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장착부와 상기 작동부의 다른 하나에 배치된 탄성판을 구비하는 유지부를 더 구비하는,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부와 상기 제2 단자부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배선(wiring)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
  7. 제1항에 있어서,
    일측 표면에는 상기 제1 단자부나 상기 제2 단자부의 어느 하나에 접촉하는 제1 단자 패턴이 배치되고, 타측 표면에는 상기 제1 단자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 패턴과 상기 제2 단자 패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함으로써 상기 회전판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제1 단자부나 상기 제2 단자부의 다른 하나와의 접촉을 유지하는 제3 단자 패턴을 구비하는 회로기판을 더 구비하는,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작동부가 상기 장착부에 대한 경사를 이루는 각도를 조정하도록 상기 작동부를 상기 장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가 장착부에 대해 회전한 각도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더 구비한,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
KR1020110007319A 2011-01-25 2011-01-25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 KR101780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319A KR101780022B1 (ko) 2011-01-25 2011-01-25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
US13/271,487 US8526809B2 (en) 2011-01-25 2011-10-12 Adapter for camera flash
CN201110451033.4A CN102608838B (zh) 2011-01-25 2011-12-21 用于相机闪光灯的适配器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319A KR101780022B1 (ko) 2011-01-25 2011-01-25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086A true KR20120086086A (ko) 2012-08-02
KR101780022B1 KR101780022B1 (ko) 2017-09-19

Family

ID=46526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319A KR101780022B1 (ko) 2011-01-25 2011-01-25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526809B2 (ko)
KR (1) KR101780022B1 (ko)
CN (1) CN10260883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937A (ko) 2015-03-25 2016-10-06 강준호 카메라 플래시 범용 젠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68840B (zh) * 2012-02-28 2015-01-11 Canon Kk 可裝卸地安裝到相機側配件插座的相機配件裝置
KR20140096691A (ko) * 2013-01-29 2014-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USD791848S1 (en) * 2015-09-22 2017-07-11 Hangzhou Ezviz Network Co., Ltd. Sports video camera
US9985399B2 (en) * 2016-02-03 2018-05-29 Canon Kabushiki Kaisha Accessory shoe device to which accessory is attached, image pickup apparatus, and accessory
JP6643119B2 (ja) * 2016-02-03 2020-02-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クセサリーシュー装置及び撮像装置
US10061184B2 (en) * 2017-01-25 2018-08-28 Bby Solutions, Inc. Mounting system with break away interface
RU2656407C1 (ru) * 2017-03-16 2018-06-05 Олег Львович Польских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адаптирования кинопроекционных ксеноновых ламп в цифровых кинопроекторах
US10409142B1 (en) * 2018-02-27 2019-09-10 James Manning Adapter for multiple cameras
US10712639B2 (en) * 2018-06-11 2020-07-14 Mgmd Brainpower Llc Camera shoe receiving device
SG11202112194XA (en) 2020-04-09 2021-12-30 Canon Kk Electronic apparatus and accessory
CN117111381A (zh) * 2020-04-09 2023-11-24 佳能株式会社 靴设备、配件、配件靴设备和电子设备
BR112021021885A2 (pt) 2020-04-09 2022-12-06 Canon Kk Aparelho eletrônico e acessório
US11686455B1 (en) * 2021-01-17 2023-06-27 William Doug Howell Receiver speed ring and associ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5366Y2 (ja) * 1977-03-25 1983-12-19 ウエスト電気株式会社 外部センサ
US4187021A (en) * 1978-06-28 1980-02-05 Balser John L Adjustable flash bracket
US4591250A (en) * 1984-11-01 1986-05-27 Woodruff Robert L Level and accessory mounting attachment for cameras
GB8502973D0 (en) * 1985-02-06 1985-03-06 Achiever Ind Ltd Hot shoe attachments
US4740804A (en) * 1987-05-01 1988-04-26 Timothy Shands Multi-adjustable base attachment for flash units
US5528325A (en) * 1995-03-29 1996-06-18 Perez; Sixto R. Power bracket for photographic cameras
JPH09146150A (ja) * 1995-11-22 1997-06-06 Asahi Optical Co Ltd オートストロボシステム、およびストロボ用アダプタ
CN2565045Y (zh) * 2002-08-15 2003-08-06 坤联(厦门)照相器材有限公司 可调整角度的闪光灯
JP4455037B2 (ja) * 2003-12-11 2010-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閃光装置及び閃光撮影システム
JP4994855B2 (ja) * 2007-01-17 2012-08-08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クセサリ機器及び撮像システム
JP5189377B2 (ja) * 2008-02-06 2013-04-24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フラッシュ装置
JP2009282369A (ja) * 2008-05-23 2009-12-03 Sea&Sea Sunpak Co Ltd 回転シューアダプタ機構
CN201307207Y (zh) * 2008-11-26 2009-09-09 坤联(厦门)照相器材有限公司 闪光灯与镜头盖连动启闭结构
KR101605124B1 (ko) * 2008-12-26 2016-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
TW201142479A (en) * 2010-05-17 2011-12-01 Wen-Ying He Attention attracting device and image captur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937A (ko) 2015-03-25 2016-10-06 강준호 카메라 플래시 범용 젠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0022B1 (ko) 2017-09-19
CN102608838A (zh) 2012-07-25
US8526809B2 (en) 2013-09-03
US20120189292A1 (en) 2012-07-26
CN102608838B (zh) 201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6086A (ko)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
KR101358408B1 (ko) 도킹스테이션
JP7190633B2 (ja) 入力装置
CN115421345A (zh) 可变光圈驱动马达、摄像装置及电子设备
US20120315029A1 (en) Camera including mount for flash
KR20130027255A (ko) 키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회전식 입력 장치
US8687295B2 (en) Apparatus for adjusting optical element
JP2007207015A (ja) 多方向入力装置
JP5968232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CN114911112A (zh) 镜头光圈调节装置及其底座组件
JP6857778B2 (ja) スイッチ装置
JP2008004359A (ja) 回転操作式出力装置
JP2018041597A (ja) 押圧入力装置
JP7013177B2 (ja) スイッチおよび撮像装置
JPWO2020129442A1 (ja) 操作装置
JP2004103288A (ja) 回転操作型電気部品
KR101623831B1 (ko) 외부 장치의 장착을 위한 장착 구조
JP4226000B2 (ja) 充電装置
JP5230517B2 (ja) 位置検出装置
JP6549979B2 (ja) 押圧スイッチ付き回転式電子部品
JP2017097989A (ja) 回転式電子部品の防滴構造
JP2010153503A (ja) 回転型電気部品
JP2021068609A (ja) 押圧スイッチ付き回転式電子部品
JP6165573B2 (ja) 電子部品
JP5942072B1 (ja) 充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