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5806A - 정보처리장치, 방법, 시스템,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정보처리장치, 방법, 시스템,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5806A
KR20120085806A KR1020127012347A KR20127012347A KR20120085806A KR 20120085806 A KR20120085806 A KR 20120085806A KR 1020127012347 A KR1020127012347 A KR 1020127012347A KR 20127012347 A KR20127012347 A KR 20127012347A KR 20120085806 A KR20120085806 A KR 20120085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ight
light
irradiation angle
photographed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2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6669B1 (ko
Inventor
카즈히로 미야사
아키히로 카타야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5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9/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9/02Interferometers
    • G01B9/02041Interferometer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imaging or detection techniques
    • G01B9/02044Imaging in the frequency domain, e.g. by using a spectro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0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9/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9/02Interfer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9/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9/02Interferometers
    • G01B9/02055Reduction or prevention of errors; Testing; Calibration
    • G01B9/02062Active error reduction, i.e. varying with time
    • G01B9/02067Active error reduction, i.e. varying with time by electronic control systems, i.e. using feedback acting on optics or light
    • G01B9/02068Auto-align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9/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9/02Interferometers
    • G01B9/02083Interferometer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signal processing and presen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9/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9/02Interferometers
    • G01B9/0209Low-coherence interferometers
    • G01B9/02091Tomographic interferometers, e.g. based on optical cohere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1/4795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spatially resolved investigating of object in scattering mediu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망막 위의 소정위치에의 신호광의 조사 각도를 조절하고, 대상 부위의 진단이나 화상 계측에 충분한 단층상을 취득할 수 있는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촬상 지시부(301)는 망막에 대해 제1 조사 각도에서 신호광을 조사하여 촬영하는 취지의 촬영 지시를 촬상부(101)에 송신한다. 단층상 취득부(302)는, 촬상부(101)에 의해 촬상된 단층상을 취득하고, 형상 해석부(303)가 층 구조를 해석해서 함몰부의 형상의 적어도 일부를 특정한다. 형상을 특정할 수 없었던 부분에 대해서는, 보간에 의해 형상을 추정한다. 재촬영 판정부(304)는 특정할 수 없는 부분 영역의 유무 또는 크기에 근거하여 재촬상을 행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재촬영 각도 결정부(305)는 형상 해석부(303)에서 얻어진 함몰부의 형상에 근거하여, 함몰부로부터의 귀환광의 강도가 기준보다 약해지는 영역을 최소로 하는 제2 조사 각도를 결정한다. 결정된 조사 각도에 근거하여 촬상 지시부(301)가 재촬영을 지시한다.

Description

정보처리장치,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SYSTEM, AND PROGRAM}
본 발명은, 안과진료 등에 사용되는 단층상 촬상에 있어서의 촬상 지원 기술에 관한 것이다.
광간섭단층계(OC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등의 안부 단층상 촬상장치는, 망막층을 3차원적으로 영상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망막에 대해 신호광을 조사하고, 망막의 각 층 또는 각 경계에서 반사 또는 산란한 신호광의 귀환광과, 참조광으로부터 간섭광을 발생시키고, 간섭광으로부터 화상을 형성함으로써 실현된다. 이에 따라, 망막층의 내부를 관찰하여 질병의 진단을 보다 적확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망막의 층 구조를 정확하게 특정하는 것은, 녹내장 등의 병변의 진행도를 측정하는 객관적인 지표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예를 들면, 컵으로 불리는 시신경 유두의 함몰부의 가장자리와 디스크로 불리는 유두 가장자리의 거리비인 C/D비, 컵의 면적, 심도, 용적이나, 내부 경계막과 외부 경계막 사이의 영역인 신경섬유층의 두께 등이 녹내장의 진행도의 지표로서 이용되고 있다.
도 14에, 시신경 유두부의 단층상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14에 있어서, T1?Tn은 망막의 깊이 방향을 촬상해서 얻어지는 시신경 유두부의 2차원 단층상(B-Scan 상)이다. 1개의 단층상은, 망막의 깊이 방향을 스캔하는 복수의 스캔라인(이후 A-스캔라인으로 부른다)으로 구성된다. z축은 이 A 스캔의 방향을 표시한다. 망막 위의 평면(x-y 평면)의 소정의 범위를 순서대로 래스터스캔함으로써, T1?Tn으로 이루어진 3차원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망막은 그 층마다 빛의 반사율이 다르기 때문에, 화상을 해석함으로써, 내부 경계막(1401), 망막 색소 상피층(1402), 시신경 유두부(1403) 등을 특정할 수 있다.
일본국 특개 2008-246158
시신경 유두부의 형상은 사람에 따라 다양하며, 도 14와 같이 망막의 표면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기울어서 함몰되어 있는 증상예도 보여진다. 이 경우, 종래의 OCT에 의한 촬상과 같이 망막의 표면에 대해 수직한 신호광을 조사시키면, 함몰부의 입구 부분에서 신호광이 가로막혀 내부까지 신호가 충분히 도달하지 않는다. 또는 도달하였다고 하더라도 반사 또는 산란된 신호광의 귀환광이 감쇠하여, 영역 1404와 같이 신호가 매우 약해지는 영역이 발생해 버린다. 시신경 유두가 기울어져있지 않은 경우에도, 신호광을 함몰의 방향과 다른 각도에서 조사한 경우에는, 신호가 도달지지 않는 영역이 발생해 버린다.
또한, 혈관이나 출혈에 의한 가짜상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 수직하게 신호광을 조사해도 적혈구에 의해 빛이 감쇠하여, 혈관 아래의 조직으로부터는 반사광의 강도가 현저하게 약해진다.
이와 같이 신호를 취득할 수 없는 경우에는, 층 구조를 특정할 수 없어,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없게 되어 버린다.
특허문헌 1에는, 예비촬영에 의해 조사 위치를 변화시켜 촬영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 기술은 백내장과 같은 신호광의 강도가 약한 영역을 피해서 촬영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촬영 대상으로 하는 부위를 촬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기술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촬영 대상의 적어도 일부의 형상에 따라 상기 촬영 대상에 조사되는 신호광의 귀환광이 소정의 강도가 되는 상기 신호광의 조사 각도를 결정하는 결정수단과, 상기 결정된 조사 각도에서 상기 촬영 대상에 조사되는 신호광의 귀환광에 근거하여 상기 촬영 대상의 단층상을 촬상하는 지시를 행하는 지시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을 가짐으로써, 촬영 대상의 적어도 일부의 형상에 따라 촬영 대상이 소정의 신호 강도가 되는 각도에서 신호광을 조사해서 단층상을 얻기 때문에, 촬영 대상의 층 구조를 정확하게 특정가능한 단층상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관한 OCT 촬상 시스템의 구성도다.
도 2는 동공과 신호광의 위치 관계와 망막에의 신호광의 조사 각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관한 OCT 촬상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다.
도 4는 실시예 1에 관한 정보처리장치(102)의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5는 시신경 유두부의 표면 형상 추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스텝 S406의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7은 사전 조사 각도 θPRE에 의한 시신경 유두의 구배 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조사 각도 조정에 의해 휘도 분포가 등방화된 구배 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 2에 관한 OCT 촬상장치의 기능 블록도다.
도 10은 실시예 2에 관한 정보처리장치(102)의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11은 실시예 3에 관한 OCT 촬상장치의 기능 블록도다.
도 12는 실시예 3에 관한 정보처리장치(102)의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13은 대상 부위의 부분 영역마다 설정되는 신호광 조사 방향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시신경 유두부가 경사지게 함몰되어 있는 증상예의 단층상의 모식도.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는, OCT에 의한 피검안의 단층상 촬상시에, 망막의 진단이나 화상 계측에 적합한 화상이 얻어지도록 망막의 층 또는 경계면에의 신호광의 조사 각도를 조정해서 단층상을 취득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1개의 적용예 로서, 시신경 유두의 함몰부의 단층상 취득에 적용한 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제1 실시예에서는, OCT 촬상법을 사용해서 시신경 유두부의 3차원 단층상을 한번 촬상하고, 촬상한 단층상으로부터 시신경 유두의 함몰부의 형상을 해석한다. 해석된 함몰부의 각 점에 있어서 반사 또는 산란된 신호광의 귀환광의 강도가 소정의 값이 되는 신호광의 조사 각도를 결정한다. 더구나 결정된 조사 각도에 근거하여 촬상을 지시함으로써, 시신경 유두의 함몰부의 형상에 대응한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OCT 촬상 시스템의 구성도다. 도 2a는 동공과 신호광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 및 도 2c는 동공 위의 신호광의 위치와 소정 위치에의 신호광의 조사 각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OCT 촬상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다. 도 5는 시신경 유두부의 표면 형상 추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정보처리장치(102)의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7은 사전 조사 각도 θPRE에 의한 시신경 유두의 구배 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조사 각도 조정에 의해 휘도 분포가 등방화된 구배 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사용해서 OCT 촬상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한다. OCT 촬상 시스템은, 촬상부(101)가 촬상지시를 행하는 정보처리장치(102)로부터의 지령을 받고, 촬영 대상에 대해 조사한 신호광이 반사 또는 산란된 신호광의 귀환광과, 참조광으로부터 간섭광을 생성하여 단층상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신호광의 귀환광이란, 촬영 대상에 대해 조사한 신호광이 소정의 층 또는 경계에서 반사 또는 산란되어, 촬상부(101)가 신호로서 검출하는 빛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정보처리장치(102)는 촬영된 단층상을 취득하고, 소정의 화상처리를 행한 후에 표시부(103)에 표시한다.
촬상부(101)의 구성을 나타낸다. 촬상부(101)는, 광간섭촬상법을 사용한 광단층상 촬상장치다. 화상형성부(104)는, 정보처리장치(102)로부터의 지시 정보를 촬상 파라미터로 하여 갈바노 미러 구동기구(105)를 제어하고, 갈바노 미러(106)를 구동한다. 그리고, 저코히런스 광원(107)으로부터의 광빔을 하프미러(108)에 의해, 대물렌즈(109)를 경유해서 피검안(110)을 향하는 신호광과 고정 배치된 참조 미러(111)를 향하는 참조광으로 분할한다. 다음에 피검안(110)에 의해 반사 또는 산란된 신호광의 귀환광과, 참조 미러(111)에 의해 반사된 참조광의 귀환광을 중첩해서 간섭광을 생성한다. 이때, 하프미러(108) 대신에, 빛을 분할하는 스플리터 및 중첩하는 커플러의 양쪽의 기능을 갖는 광 커플러를 사용해도 된다. 이 간섭광을 회절격자(112)에 의해 파장 λ1?λn의 파장성분에 분광하고, 각 파장성분을 1차원 광센서 어레이(113)에 의해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1차원 광센서 어레이(113)를 구성하는 각 광센서는, 검출한 파장성분의 광강도의 검출 신호를 화상 재구성부(114)에 출력한다. 화상 재구성부(114)는, 1차원 광센서 어레이(113)로부터 출력된 간섭광의 각 파장성분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이 간섭광에 대한 파장-광강도의 관계, 즉 간섭광의 광강도 분포(파장 스펙트럼)를 구한다. 구한 간섭광의 파장 스펙트럼을 푸리에 변환하여, 망막의 단층상을 재구성한다.
또한, 이 촬상부(101)는 촬영 대상의 부위에 대해 조사하는 신호광의 입사각도를 바꿀 수 있다. 이것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위치제어부(115)는, 정보처리장치(102)로부터의 지시 정보를 촬상 파라미터로 하여 촬상부 구동기구(116)를 제어하여 화상형성부(104)를 구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지시 정보는 피검안 위의 동공에 대한 신호광의 x-y 평면 위의 입사위치를 표시하고, 촬상부 구동기구(116)는 이 입사위치에 신호광이 입사하도록, 피검안(110)에 대해 화상형성부(104)를 평행 이동시킨다. 촬상부(101) 자체를 평행 이동시키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에 따라, 동공 중심과 동공 위에 입사하는 신호광의 상대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망막 위의 대상 부위에의 신호광의 조사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정보처리장치(102)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 정보처리장치(102)는, 촬상부(101)에 대해 제1 조사 각도를 지정해서 촬상하는 취지의 지시를 행하는 동시에, 촬상된 단층상에 근거하여 제2 조사 각도를 지정해서 촬상하는 지시를 행한다고 하는 것이다. 정보처리장치(102)는 버스(117)를 거쳐 CPU(118), RAM(119), ROM(120), 입력 기기로서의 마우스(121), 기억부로서의 HDD(122)가 접속되어 있다. ROM(120)에는, 후술하는 도 7에 도시되는 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이 프로그램이 RAM(119)에 전개되어 CPU(118)에 의해 실행함으로써, 프로그램과 정보처리장치(102)의 각 요소가 협동하여 도 3에 도시된 기능이 실현되는 동시에, 해당 기능이 연관함으로써 도 4 및 도 7에 기재된 처리가 실현된다.
도 2에 근거하여, 촬상부(101)에 의한 망막에의 조사 빛의 조사 각도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는, 동공 중심과 동공 위에 입사하는 신호광의 위치의 관계를 나타낸 모식도다. 도 2a의 E1은 동공, P0은 동공 중심, IR0은 적외선 화상의 중심점을 나타낸다. 동공의 화상은 예를 들면 적외선 카메라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촬상부(101)에 있어서, 피검안의 망막에 대해 조사하는 신호광의 입사위치 PL은, 동공 화상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미리 조정해 둔다. 신호광의 입사위치는, 적합하게는 동공의 중심과 일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 2a와 같이 상세한 위치맞춤을 행하지 않고 동공의 중심과 신호광의 조사 위치가 달라도 된다. 적외선 화상 위에서는, 동공영역과 주변영역에서는 콘트라스트 차이가 커지기 때문에, 화상 구배를 검출함으로써 동공 E1의 윤곽을 추출할 수 있다. 동공 E1의 윤곽은 원형으로 근사할 수 있기 때문에, 근사한 원의 중심과 반경을, 각각 동공 중심 P0과 동공반경 r로서 구한다. 여기에서, 점 P0을 원점으로 했을 때의 점 PL의 x-y 좌표를 (xL, yL)로 한다.
도 2b는 동공 위에 입사하는 신호광과 대상 부위(시신경 유두)에의 조사 각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에 있어서, E11은 동공, E2은 각막, E3은 안구, E4은 수정체, MC은 황반부, DC은 시신경 유두부, P0은 동공 중심, D0은 동공 중심 P0을 통해 시신경 유두 DC에 조사하는 신호광의 조사 방향, θLIM은 신호광의 한계 각도다. 이후, D0을 기준 조사 방향으로 부른다. 여기에서, 동공 E1에 입사하는 신호광 중에서 D0에 평행한 것은, E4의 렌즈의 움직임에 의해 E4에서 굴절되어, DC에 초점을 맺는다. 따라서, 동공에의 입사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 신호광의 동공 위의 입사위치를 바꾸면, 그 위치에 따라 신호광은 DC 위에 다른 각도로 조사된다. 이때, D0을 기준으로 하여 물리적으로 변경가능한 신호광의 한계 각도 θLIM은, 신호광이 동공의 끝을 통과하는 경우가 된다. 더구나, 안구는 구형에 가까운 타원체이기 때문에, 안구를 구형에 근사한 경우, E3의 단면은 원형이 되고, 각도 θLIM은 동공 반경에 대한 원주각이 된다. 따라서, 원주각의 정리에서 망막 위의 임의의 위치에 신호광의 초점을 맞춘 경우의 θLIM의 값은 일정하게 된다. MC에 초점을 맞춘 경우도 동일하며, 이 경우, 선분 P0?MC은 동공 E1에 대해 수직으로 교차하기 때문에, θLIM은 식 (1)에서 구해진다.
[수학식 1]
Figure pct00001
단, l은 선분 P0?MC의 길이이다. l의 길이는, 미리 안축 길이 검사에 의해 측정해도 되고, 일반적인 평균값을 사용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동공반경 r을 3?4mm로 하고, 선분 D0?MC을 18.5mm로 한 경우, θLIM은 약 7.7?10.7°이다.
또한, 도 2c에 있어서, E1, DC, P0, D0, θLIM은, 도 2a와 같은 것을 나타낸다. 더구나, L은, 신호광의 중심선, PL은 신호광 L이 E1에 입사하는 위치, Dθ은 점 PL을 통해 DC에 조사하는 신호광의 조사 방향, P1은 E1의 윤곽 위의 기준점이다. 그리고, θ1은 E1 위에서 선분 P0P1과 선분 P0PL이 이루는 각도, θ2는 선분 P0?DC(방향 D0)과 선분 PL?DC(방향 Dθ)이 이루는 각도이다. 이 때, θ1 및 θ2의 값은 점 PL의 위치에 의해 정해지고, 점 PL의 좌표가 (xL, yL)일 때, 식(2) 및 식 (3)에서 구해진다..
[수학식 2]
Figure pct00002
식 (3)에서는 식 (1)과 마찬가지로, MC에 신호광의 초점을 맞춘 경우의 각도(선분 P0?MC과 선분 PL?MC이 이루는 각도)로부터 θ2를 산출하고 있다. 이들 (θ12)을 각도 성분으로 갖는 조사 각도를 θ로 정의한다.
또한, 동공에 있어서의 입사방향을 유지한 채 동공에 있어서의 신호광의 입사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망막 위에 있어서 신호광이 조사되는 영역을 변화시키지 않고, 망막 위에 있어서의 신호광의 입사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입사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제1 조사 각도에서 조사한 경우에 정확한 형상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제2 조사 각도로부터 입사시켜 화상화할 수 있다.
도 3을 사용하여, 정보처리장치(102)에서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프로그램과 하드웨어가 협동해서 실현되는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촬상 지시부(301)는 망막에 대한 소정의 조사 각도에서 촬영하는 취지의 촬영 지시를 촬상부(101)에 송신한다. 여기에서 송신하는 정보는 조사 각도 등의 촬영 조건이다. 이 촬영 지시의 수신을 촬영 개시의 조건으로 된다. 촬상 지시부(301)가 행하는 최초의 조사 각도의 결정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단층상 취득부(302)는, 촬상 지시부(301)에 있어서 지정된 촬영 조건에 근거하여 촬상부(101)에 의해 촬상된 단층상을 취득한다.
형상 해석부(303)는 단층상 취득부(302)에서 취득한 단층상의 층 구조를 해석해서 함몰부의 형상을 특정한다. 층 구조의 해석은, 단층상으로부터 얻어지는 휘도정보로부터 얻어지는 엣지에 근거해서 행한다. 형상을 특정할 수 없었던 부분에 대해서는, 보간에 의해 형상을 추정한다. 이 처리에 관해서는 도 5를 사용하여 후술한다.
재촬영 판정부(304)는 함몰부에 있어서 신호 빛의 반사 또는 산란된 귀환광의 부족으로부터 특정할 수 없는 부분 영역의 유무 또는 그 영역의 크기에 근거하여 재촬상을 행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판정은, 함몰부를 소정의 소영역으로 분할해서 각 소영역마다의 귀환광의 강도를 구하고, 소영역의 신호 강도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작은 영역을 검출한다. 검출된 영역이 있는 경우, 또는 그 영역이 소정 이상의 크기인 경우에는, 재촬영을 행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이 처리에 대해서는 도 5를 사용하여 후술한다.
재촬영 각도 결정부(305)는, 재촬영 판정부(304)에서 재촬상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촬영 대상인 함몰부의 형상에 근거하여 함몰부에 조사된 귀환광이 소정의 강도가 되는 조사 각도를 결정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소정의 강도란, 형상 해석부(303) 또는 유저에 의해 함몰부의 형상을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는 귀환광의 강도를 말하고, 신호광의 귀환광의 강도가 기준 이하가 되는 함몰부의 영역의 크기를 최소가 되도록 하는 강도를 말한다. 기준은, 형상 해석부(303)에서 사용되는 형상 해석의 알고리즘이나, 유저의 지정에 의해 정해지게 된다. 결정된 조사 각도에 근거하여 촬상 지시부(301)는 재촬영을 지시한다.
표시부(103)는 재촬영된 단층상을 표시한다. 기억부(306)는, 촬상부(101)에 대해 송신한 촬영 지시의 정보나 촬영된 단층상을 격납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형상의 해석 결과에 따라 촬영 대상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가 소정값 이하인 조사 각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조사 각도에 근거하여 촬상을 지시하기 때문에, 촬영 대상에 대해 화상으로서 묘화되지 않는 영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최초에 촬영된 단층상에 근거하여 촬영 대상인 함몰부의 형상을 해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재촬영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기 때문에, 쓸데없는 촬영을 저감할 수 있다.
도 4에 근거하여, 도 2에서 서술한 정보처리장치(102)의 각 기능에 의해 실현되는 처리의 절차를 설명한다.
<스텝 S401>
스텝 S401에 있어서, 촬상 지시부(301)는 피검안의 안저에 대한 2차원의 계측 범위 및 계측 심도를 조정하는 지시 정보(이후, 지시 정보 1로 부른다)를 생성한다. 이 지시 정보 1은, 예를 들면 마우스(121)를 통한 유저의 지정에 의해 행하지만, 기억부(306)에 격납된 정보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촬상 지시부(301)는, 피검안의 동공에 대한 신호광의 입사위치를 조정하는 지시 정보(이후, 지시 정보 2로 부른다)를 생성한다. 이 지시 정보 2는, 피검안의 망막에 대한 신호광의 조사 각도인 θPRE를 지시하는 정보다. 촬상 지시부(301)는, 지시 정보 1 및 지시 정보 2를 촬상부(101)에 송신한다. θPRE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장치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값을 사용해도, 유저의 지정에 의해 미세 조정을 할 수 있도록 해도 되고, 요는 안저의 망막에 신호광이 도달하면 된다.
<스텝 S402>
스텝 S402에 있어서, 지시 정보 1 및 2를 수신하는 것에 따라, 촬상부(101)는 촬상 지시부(301)로부터 취득한 지시 정보 1 및 지시 정보 2를 촬상조건으로 하여 단층상을 촬상한다. 위치제어부(115) 및 촬상부 구동기구(116)에 의해, 화상형성부(104)를 이동시켜, 제1 조사 각도 θPRE에 따른 동공 위에 신호광을 입사시킨다. 촬상된 단층상의 화상 데이터 I와, 사전 조사 각도 θPRE의 값을 기억부(306)에 격납한다.
이때, 지시 정보 1 및 지시 정보 2는, 촬영 개시의 조건으로 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에는, 촬상 지시부(301)는 지시 정보 1 및 2를 촬영 조건으로 하여 촬상부(101)에 송신하는 동시에, 유저에 대해 촬영 준비가 되었다는 취지의 통지를 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유저가 원하는 타이밍에서 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스텝 S403>
스텝 S403에 있어서, 형상 해석부(303)는 기억부(306)에 격납된 단층상의 화상 데이터 I를 취득하고, 화상 데이터 I로부터 시신경 유두부의 적어도 일부의 표면 형상을 추출한다. 여기에서 적어도 일부로 하고 있는 것은, 전부의 형상이 특정되어 있을 필요가 없고, 또한, 정확한 형상이나 구조를 특정하는 것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처리의 목적이기 때문이다. 시신경 유두부는, 망막 색소 상피층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 있어서 망막의 경계면(내부 경계막)으로서 추출된다.
여기에서 도 5에 근거하여 형상 해석부(303)가 행하는 단층상에 있어서의 시신경 유두부의 표면 형상 및 표면의 근방 영역의 해석 절차를 설명한다. 도 5에 있어서 B-Scan 상 T1?Tn이 얻어지고, 내부 경계막(501), 망막 색소 상피층(502), 유두부 영역(503), 화상신호가 매우 약한 영역(504)이 표시되어 있다. 시신경 유두부의 표면 형상 추출의 구체적인 처리로서, 우선 망막층의 경계면의 1개인 내부 경계막(501)을 추출한다.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내부 경계막(501)은 망막층 영역(도면의 흰 영역)과 배경 영역(도면의 회색의 영역)의 상측의 경계이며, 휘도의 콘트라스트 차이가 큰 특징을 갖기 때문에, 콘트라스트 차이를 사용해서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스캔라인마다 z좌표가 0의 점으로부터 z축 양 방향으로 스캔하고, 화상의 휘도값의 구배가 일정 임계값 Th1 이상이 되는 점에서 스캔을 정지함으로써, 내부 경계막(501)의 점을 검출한다. A 스캔라인 번호를
[수학식 3]
i(1≤i≤M, A 스캔라인수)
로 할 때, 라인 i에 대응하는 내부 경계막(501)의 점을 pi로 정의한다. 이때, 화상신호가 약해져 있는 영역(504)은, z축 방향으로 망막층 영역의 연속성이 끊어져, 인접하는 내부 경계막(501) 위의 2점 사이의 z축 좌표가 크게 변화한다. 이러한 경우, 이것들이 인접하는 2점 사이를 선으로 보간한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면 선형보간을 적용한다. 이에 따라, 영역 504를 z 축에 대략 평행한 직선으로 보간할 수 있다.
다음에 망막 색소 상피층(502)을 추출한다. 망막 색소 상피층(502)은 망막층 영역 내부에서 특히 휘도가 높은 영역으로서 묘화되기 때문에, 망막층내에서의 콘트라스트를 사용해서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스캔라인 i마다 점 Pi를 개시점으로 해서 z축 양 방향으로 스캔하고, 최초에 화상구배가 일정 임계값 Th2 이상이 되는 점에서 스캔을 정지함으로써, 망막 색소 상피층(502) 위의 점을 검출한다. 이 점을 qi로 정의한다. 이때, 유두부 영역(503)에는 망막 색소 상피층(502)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점 qi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점 qi의 좌표는 「존재하지 않는」 것을 표시하는 값 F로 한다. 따라서, 유두부 영역(503)은, 값 F가 격납된 점 qi의 x 좌표의 영역으로서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된 유두부 영역(503)에 포함되는 점 Pi의 집합을, T1?Tn 모두에 있어서 구하고, 이것을 시신경 유두부의 표면 형상 데이터 S로 한다.
<스텝 S404>
스텝 S404에 있어서 재촬영 판정부(304)는, 형상 해석부(303)로부터 취득한 화상 데이터 I 및 형상 데이터 S에 근거하여 재촬영을 해야 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함몰부에 조사된 신호의 강도가 작은 영역의 크기 또는 영역의 유무에 따라 행한다.
도 5의 영역 505는, 내부 경계막(501)의 근방의 망막층 영역을 표시한다. 영역 505는, 형상 데이터 S 위의 모든 점에서 일정 거리 d 이내의 범위에 포함되는 영역(단, 내부 경계막(501)보다 상측의 배경 영역은 포함하지 않는다)으로서 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거리 d는, A 스캔라인마다 내부 경계막(501)으로부터 망막 색소 상피층(502)까지의 거리의 평균값을 정수 c로 나눈 값으로 한다(예를 들면 c=5로 한다).
다음에 영역 505를 복수의 국소 영역으로 분할한다. 여기에서는, 분할수를 k로 하여, 영역 505의 체적을 균등하게 분할하고, 각 영역을 R1?Rk라고 한다. 그리고, 각 국소 영역
[수학식 4]
Ri(1≤i≤k)
마다, 화상신호가 큰지 아닌지를 평가하기 위한 휘도 평가값 Vi를 식(4)에 의해 산출한다.
[수학식 5]
Figure pct00003
식 (4)에 있어서, m은 Ri에 포함되는 화소수, b(j)은, Ri에 포함되는 j번째의 화소
[수학식 6]
(1≤j≤m)
의 휘도값을 나타낸다. 식(4)에서는, 평가값 vi를, 국소 영역 Ri 내부의 화소값의 평균값으로 했지만, 식(5)에서 나타낸 S/N비로서 산출해도 된다.
[수학식 7]
Figure pct00004
식 (5)에 있어서, bi MAX는, Ri에 포함되는 최대 휘도값, RMSi는, Ri 내에서 계산한 RMS(Root Mean Square)의 값이다. 더구나, 영역 505 전체에 있어서의 휘도 평가값 V를 식(6)에 의해 산출한다.
[수학식 8]
Figure pct00005
이와 같이, 국소 영역마다 산출한 휘도 평가값 Vi의 최소값을, 영역 505 전체의 휘도 평가값 V로 함으로써, 부분적으로 화상신호의 강도가 작은 영역의 유무에 착안해서 전체의 평가값을 구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 데이터 I 및 해석의 결과 얻어진 휘도 평가값 V의 값을 재촬영 판정부(304)에 송신한다.
이때, 판정의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형상 해석부(303)에 의한 해석의 결과 함몰부의 형상이 특정할 수 없었던 부분의 크기에 의해 평가해도 된다. 상기한 예에서는 함몰부의 휘도값을 사용하고 있지만, 함몰부의 형상을 특정할 수 있는 한에 있어서는 재촬영의 필요가 없으므로, 쓸데없는 촬영을 저감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함몰부의 형상에 대해 선형 보간을 적용한 영역의 크기나, 해석에 의해 형상은 추정할 수 있었지만 신뢰성이 낮다고 평가되는 영역의 크기에 의해 평가해도 된다.
<스텝 S405>
스텝 S405에 있어서, 재촬영 판정부(304)는, 휘도 평가값 V와 일정한 임계값 VTH를 비교하여, 단층상을 표시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V<VTH의 경우에는, 대상 부위의 소정 위치에의 신호광의 조사 각도를 재설정하는 명령(이후, 명령 정보 2로 부른다)을 재촬영 각도 결정부(305)에 송신하고, 스텝 S406으로 옮겨간다. V>=VTH의 경우에는, 화상 데이터 I 및 화상 데이터 I의 표시를 허가하는 정보(명령 정보 1로 부른다)를 표시부(103)에 송신하고, 스텝 S407로 옮겨간다. 이때, 화상신호의 강도가 작은 영역의 크기를 평가값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크기의 임계값을 변화시킴으로써 재촬영할 것인지 아닌지의 판정을 행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재촬영에 필요한 시간과 재촬영에 의해 얻어지는 정확한 화상정보를 비교 계량할 수 있다.
<스텝 S406>
스텝 S406에 있어서, 재촬영 각도 결정부(305)는, 재촬영 판정부(304)로부터 명령 정보 2를 취득한 경우에, 기억부(306)로부터 스텝 S402에 있어서의 단층상 촬상시의 사전 조사 각도 θPRE의 값을 취득한다. 그리고, 제1 조사 각도인 사전 조사 각도 θPRE와 형상 해석부(303)로부터 취득한 화상 데이터 I 및 형상 데이터 S에 따라, 촬영 대상인 함몰부에 있어서, 신호광의 귀환광의 강도가 원하는 강도로 되는 제2 조사 각도 θMAX를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한 조사 각도 θMAX로부터 신호광의 피검안의 동공에의 입사위치 PL:(xL, yL)을 구하여, 지시 정보 3으로서 촬상부(101)에 송신한다. 여기에서는, 신호광이 조사되지 않는(또는 조사된 후에 피검안으로부터 얻어지는 반사광의 강도가 극단적으로 약해지는) 시신경 유두부 위의 표면 영역이 가장 적어지는 조사 각도를 θMAX로 한다. 이 처리에 대해서는 도 7의 흐름도를 사용해서 후술한다.
<스텝 S407>
스텝 S407에 있어서, 재촬영 각도 결정부(305)는, 스텝 S910에서 구한 조사 각도 θMAX를 촬상 파라미터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텝 S402에서 서술한, 망막 위의 신호광이 입사하는 점 PL(xL, yL)로부터 조사 각도 θ:(θ12)로 변환하는 처리와는 반대로, 각도 θ로부터 점 PL로 변환한다. 이 변환은 다음 식(7) 및 (8)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수학식 9]
Figure pct00006
식(7) 및 (8)에 있어서, 스텝 S402와 마찬가지로, r은 동공반경, l은 선분 P0?MC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해서 구한 점 PL의 좌표를 지시 정보 2로서, 촬상 지시부(301)는 촬상부(101)에 송신한다.
<스텝 S408>
스텝 S408에 있어서, 촬상부(101)는, 재촬영 각도 결정부(305)로부터 취득한 지시 정보 2를 촬상 파라미터로 하여, 단층상을 촬상하여, 단층상의 화상 데이터 I를 취득한다. 촬상방법은, 스텝 S402와 같다. 이때, 대상 부위에의 신호광의 조사 각도를 제1 조사 각도 θPRE로부터 제2 조사 각도 θMAX로 변경하는 수단으로서 위치제어부(115) 및 촬상부 구동기구(116)를 사용해서 화상형성부(104)를 이동시키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피검안에 제시하는 고시등의 위치를 변경하고, 그 위치에 고시시켜 피검안을 회전시킴으로써, 동공에의 신호광의 입사위치를 변경시키는 수단을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장치 구성이 단순해진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취득한 단층상의 화상 데이터 I 및 표시를 허가하는 명령 정보 1을 표시부(103)에 송신한다.
<스텝 S409>
스텝 S409에 있어서 표시부(103)는, 재촬영 판정부(304) 또는 촬상부(101)로부터 명령 정보 1을 취득한 경우에, 마찬가지로 취득한 화상 데이터 I를 표시부(103)에 표시한다.
이상에서 서술한 구성에 따르면, 제1 각도인 θPRE에 근거하여 촬상한 시신경 유두부의 3차원 단층상으로부터 시신경 유두부의 함몰부의 형상을 해석한다. 그 결과에 따라 함몰부에 조사되는 신호광의 강도가 기준 이하가 되는 영역을 최소로 하는 제2 각도인 조사 각도 θMAX를 결정해서 단층상을 재촬상한다. 이에 따라 함몰부가 충분히 묘사된 단층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적절한 조사 각도를 자동으로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촬영자가 수동으로 조사 각도를 조정하는 부하를 없애는 동시에 조정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덧붙여 촬영자에 의한 조사 각도의 조정의 격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스텝 S406에 있어서의 재촬영 각도 결정부(305)가 조사 각도 θMAX를 취득하는 처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처리에서는, 시뮬레이션에 의해 조사 각도를 변화시키면서, 함몰부의 각 점에 있어서의 신호광의 강도를 조사 각도마다 구하고, 강도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작아지는 영역이 최소가 되도록 조사 각도를 θMAX로서 구하는 처리다. 함몰부의 각 점에 있어서의 신호광의 강도는, 신호광의 광속과 함몰부에 있어서의 각 점의 형상에 관한 구배가 이루는 각도를 구하는 것으로 행한다.
<스텝 S601>
스텝 S601에 있어서, 재촬영 각도 결정부(305)는, 기억부(306)로부터 사전 조사 각도 θPRE를 취득하고, 기준 조사 방향 D0을 단층상의 화상 데이터 I 위에 대응시킨다.
<스텝 S602>
스텝 S602에 있어서, 재촬영 각도 결정부(305)는, 조사 각도의 변경 회수를 N으로 하고, 변경할 조사 각도 θ1N을, 기준 조사 방향 D0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하고, 기억부(306)에 격납한다. θ의 각도 성분 (θ12)은,
[수학식 10]
0°≤θ1≤360°, 0°≤θ2≤θLIM
을 만족시킨다. 따라서, θ1에 관해서는, 0°?360°을 N1 등분하고, 순서대로 θ1 1, … θ1 j, …θ1 N1으로 번호를 붙인다. θ2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0°?θLIM을 N2 등분하여, 순서대로 θ2 1, … θ2 k … θ2 N2로 번호를 붙인다. 단,
[수학식 11]
1≤j≤N1, 1≤k≤N2
이다. 그리고, (θ1 j, θ2 k)의 조합의 수만큼, 변경할 조사 각도 θ1N을 순서대로 설정한다. 따라서, 변경 회수 N=N1?N2가 된다.
<스텝 S603>
스텝 S603에 있어서, 재촬영 각도 결정부(305)는, 조사 각도를 변경할 때의 처리 번호를
[수학식 12]
i(1≤i≤N)
으로 하고, i=1로 설정하여, 형상 데이터 S를 취득한다.
<스텝 S604>
스텝 S604에 있어서, 재촬영 각도 결정부(305)는, 기억부(306)로부터 조사 각도 θi를 취득한다.
<스텝 S605>
스텝 S605에 있어서, 재촬영 각도 결정부(305)는, 조사 각도 θi에 근거하여, 마찬가지로 취득한 형상 데이터 S의 구배정보를 해석하여, 형상 데이터 S의 구배 맵 GMθi를 생성한다. 이 구배 맵은, 조사되는 신호광의 광속과 함몰부의 각 점에 있어서의 구배가 이루는 각도를 표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구배 맵을 생성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우선, 단층상에 있어서의 시신경 유두부의 표면 영역은, 신호광을 조사했을 때 그 표면 위의 각 국소 영역에서 반사하여 피검안 동공을 빠져 나가 취득되는 반사광의 강도가 강해질수록, 높은 휘도로 묘사된다. 그리고, 국소 영역마다의 반사광의 강도는, 국소 영역의 면에 대해 신호광이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조사할수록, 빛의 조사 각도와 반사 각도의 차이가 작아지기 때문에, 커진다. 이 관계를 도 7을 사용해서 바꿔 말해서 설명한다.
도 7의 ledge는, 형상 데이터 S 위의 어떤 국소 영역에 있어서의 접선, BLθP은, 신호광의 조사 방향(이 도면에서는 DθP)에 대해 수직한 평면을 나타낸다. 이 평면을 신호광의 투영 기준면으로 정의한다. 또한, h는, 투영 기준면에 대한 국소 영역의 높이를 표시한다. 이때, 투영 기준면 BLθP를 기준으로 하는 접선 ledge의 기울기가 작을수록, ledge가 조사 방향에 대해 수직에 가까워지고, 국소 영역으로부터 얻어지는 반사광의 강도가 커진다. 더구나, 이 접선 ledge의 기울기는, 투영 기준면을 기준으로 한 국소 영역의 높이 h의 변화, 즉 형상구배와 같다. 이상에서, 투영 기준면을 기준으로 한 국소 영역의 형상구배가 작을수록, 그 영역이 영상화되었을 때의 화상신호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어떤 조사 방향에서 신호광을 시신경 유두부에 조사했을 때, 시신경 유두부의 표면 형상 전체가 어떻게 영상화될지를 추정하는 지표로서, 국소 영역마다의 구배값을 격납한 구배 맵을 생성한다.
구배 맵 GMθi의 구체적인 생성 방법을 나타낸다. 상기한 투영 기준면을 복수의 국소 영역으로 분할한다. 여기에서는, 국소 영역을 동일 사이즈의 사각형 영역 Aj로서, 영역 A11?ANA로 분할한다
[수학식 13]
(1≤j≤NA, NA는 분할한 영역수)
. 다음에, 형상 데이터 S를 투영 기준면에 투영했을 때, 투영 기준면 위의 영역 Aj에 대응하는 형상 데이터 S 위의 영역을 Bj로 하고, 투영 기준면을 기준으로 한 영역 Bj의 높이의 값을 hj로 한다. 이 값 hj를 영역 Aj마다의 휘도값으로서 유지하는 맵을 생성하고, 이것을 형상 맵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이 형상 맵의 각 휘도값 hj의 휘도구배 gj를 산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벨필터를 사용해서 gj를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한 값 gj를 영역 Aj마다의 휘도값으로서 유지하는 맵을 생성하고, 이것을 구배 맵으로 정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신호광에 대한 함몰부의 각 점에 있어서의 기울기가 이루는 각도가 구해진다.
도 7은, 사전 조사 각도 θPRE에 의한 시신경 유두의 구배 맵(후술한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있어서, 기준 조사 방향 D0과 사전 조사 각도 θPRE로 조사한 신호광의 조사 방향 DθP이 표시되어 있다. 화상 데이터 I는 조사 각도 θPRE의 신호광으로 촬상한 화상이기 때문에, DθP은 z축 방향과 일치한다. 따라서, 기준 조사 방향 D0은 z축을 기준으로 각도 θPRE만큼 경사진 방향으로 화상 위에 대응된다. 여기에서, 각도 θPRE는 실제로는 (θ12)을 성분으로 갖고 3차원으로 나타내지만, 도 7에서는 간략을 위해 2차원으로 투영한 각도로 나타낸다.
도 7에 있어서, 단층상 T1?Tn과, 유두부 영역(703)이 표시되어 있고, 유두부 영역(703)에 속하는 내부 경계막이 특히 내부 경계막(704)(형상 데이터 S에 해당한다)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또 높이 h를 영역마다 표시한 내부 경계막(704)의 형상 맵 SMθP과, 형상 맵 SMθP의 미분값인 내부 경계막(704)의 구배 맵 GMθP이 표시되어 있다. 이 구배 맵 GMθP은, 함몰부의 각 부분 영역에 있어서의 신호광의 입사각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각 부분 영역에 있어서의 신호광의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x' 및 y'은, SMθP과 GMθP 위의 좌표축이다. 형상 맵 SMθP에서는, 맵 중심으로부터 x'축 음 방향을 향해 휘도의 변화는 완만하지만, 맵 중심으로부터 x'축 양 방향을 향해 휘도의 변화가 심하다. 따라서, 구배 맵 GMθP에서는, 맵 중심으로부터 우측의 영역에 휘도가 극단적으로 큰 영역이 존재한다. 이것은, 그 부분이, 형상의 경사가 조사 방향 DθP과 대략 평행하게 되어 있는 내부 경계막(704)의 부위에 대응하는 것을 표시한다.
도 7에 있어서의 각도 θP, BLθP, SMθP, GMθP를 각각 순서대로, θi, BLθi, SMθi, GMθi로 치환하면, 조사 각도 θi에 대응하는 구배 맵 GMθi가 구해진다.
<스텝 S606>
스텝 S606에 있어서, 재촬영 각도 결정부(305)는, 생성된 구배 맵 GMθi에 근거하여 구배 평가값 Gi를 산출한다. 이 평가값은, 함몰부의 각 점에 있어서의 신호 강도가 소정의 임계값이하인 영역의 크기를 나타낸다. 스텝 S605에서 얻어진 구배의 평균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인 영역의 수를 구배 평가값 Gi로 한다. 또는, 각 부분 영역에 있어서의 구배값의 역수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영역에 있어서, 그 구배값의 역수를 전체 영역에 걸쳐 가산한 값을 평가값 Gi로 해도 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소정의 임계값은 미리 설정하고 있어도, 유저에 의해 지정해도 되고, 형상 해석의 알고리즘이나 유저의 요망 등에 맞춰서 변경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신호광이 조사되지 않는 시신경 유두부 위의 표면 영역이 가장 적어지는 평가값 Gi의 한개로서, 다음과 같은 평가값을 사용한다. 즉, 구배 맵 GMθi 위의 국소 영역마다의 구배값을 gj, 일정한 구배 임계값을 gTH로 하고, 식(9) 및 (10)에 의해 평가값 Gi를 구한다.
[수학식 14]
Figure pct00007
식 (10)은, 구배값이 gTH를 밑도는 국소 영역의 수가 적을수록, 또한 구배값이 gTH를 밑도는 양이 작을수록 Gi의 값이 커지고, 반대의 경우에 값이 작아진다.
도 8은, 신호광이 시신경 유두에 균일하게 조사되는 경우의 구배 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있어서, T1?Tn, 803, 804, D0은, 도 7과 같은 것을 나타낸다. Dθi는 조사 각도 θi로 조사한 신호광의 조사 방향, BLθi는 조사 각도 θi에 대응하는 투영 기준면, h는 기준면 BLθi를 기준으로 한 내부 경계막(804)의 높이, SMθi는 내부 경계막(804)의 형상 맵, GMθi는 내부 경계막(804)의 구배 맵이다. 도 8에서는, Dθi는 내부 경계막(804) 전체에 걸쳐, 중심으로부터 볼 때 등방적으로 조사되기 때문에, 구배 맵 GMθi는, 구배값이 극단적으로 작은 국소 영역이 적은 휘도 분포가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평가값 Gi의 값이 커진다. 반대로, 신호광이 극단적으로 치우쳐 조사된 경우에는, 구배값이 극단적으로 작은 국소 영역이 증가하기 때문에, 평가값 Gi의 값이 작아진다.
<스텝 S607>
스텝 S607에 있어서, 재촬영 각도 결정부(305)는, 기억부(306)에 평가값의 최대값 GMAX가 격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GMAX=Gi로서 기억부(306)에 격납한다. 이미 최대값 GMAX가 격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GMAX와 Gi의 값을 비교하여, GMAX<Gi이면 GMAX=Gi로서 값을 갱신하고, 기억부(306)에 격납한다. 더구나, 이 때의 GMAX에 대응하는 조사 각도 θMAX를 θMAXi로서 값을 갱신하고, 기억부(306)에 격납한다.
<스텝 S608>
스텝 S608에 있어서, 재촬영 각도 결정부(305)는, 처리 번호 i를 1 증가시킨다.
<스텝 S609>
스텝 S609에 있어서, 재촬영 각도 결정부(305)는, 처리 번호i와 변경 회수 N을 비교하여, i>N이면 스텝 S608로 이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스텝 S903으로 이행한다.
<스텝 S610>
스텝 S608에 있어서, 재촬영 각도 결정부(305)는, 기억부(306)로부터 조사 각도 θMAX를 취득한다. 이때, θMAX= {θM1M2}로 한다. 그리고, 스텝 S406의 종료 처리로 옮겨간다.
이상에서 서술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조사 각도를 의사적으로 변경하면서 평가값 Gi의 최대값을 찾음으로써, 적절한 조사 각도 θMAX를 구할 수 있다.
(변형예 1)
이하에서, 구배 평가값 Gi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특히 오목부가 만곡되어 있지 않는 통상의 함몰부에 대해 적합한 것이다. 이 구배 평가값은, 특히 오목부가 만곡되어 있지 않는 통상의 함몰부에 대해 적합한 것이다. 오목부가 만곡되어 있지 않다라는 것은, 오목부의 중심축이 대략 직선으로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그러한 경우에는, 오목부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되는 조사 각도가 θMAX가 된다. 또한, 오목부의 중심축에 대해 신호 강도가 등방성을 갖는다고 하는 성질을 이용하고 있다. 도 8은, 만곡 등의 복잡한 형상을 갖지 않는 함몰부에 대해 적절한 조사 각도로 조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경우, 내부 경계막(704)의 함몰부에 조사되는 신호광의 강도가 등방성을 갖고, 구배 맵 GMθi는, 맵 중심으로부터 링 형상으로 같은 휘도의 영역이 퍼지는 것 같은 휘도 분포가 된다. 이 경우, 영역 GMR1?GMR4은, 서로 닮은 휘도 분포가 된다.
여기에서, 평가값 Gi는 영역 GMR1?GMR4의 평균 휘도값을 각각 r1?r4로 하고,
[수학식 15]
rj(1≤j≤4)
의 분산의 역수로서, 식 (11)에 의해 구해진다.
[수학식 16]
Figure pct00008
식 (11)에 있어서, ravg은 r1?r4까지의 평균값을 나타낸다. 식(11)은, 영역 GMR1?GMR4 사이에서 r1?r4의 값이 균일해질수록 Gi의 값이 커지고, 변동할수록 값이 작아진다. 도 8과 같이, 형상 데이터 S 전체에 걸쳐, 조사 방향 θi가 함몰부의 중심에 대해 등방적으로 되는 경우에는, 값이 커진다. 함몰부가 만곡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하는 경우에는 본 변형예의 평가값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변형예 2)
제2 변형예에서는, 제1 단층상에서 신호 강도가 작은 영역에 대해 가장 신호 강도가 커지도록 제2 조사 각도를 구한다. 이 경우에는, 제1 조사 각도에 의해 얻어진 제1 단층상과 제2 조사 각도에 의해 얻어진 제2 단층상을 표시부(103)에 표시시킴으로써, 함몰부의 형상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실시예 3의 구성을 사용하여, 단층상을 합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보다 정확한 형상을 표시한 단층상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스텝 S606에서 재촬영 각도 결정부(305)가 산출하는 구배 평가값을, 제1 조사 각도 θPRE에서 촬영된 단층상에 있어서 형상이 정확하게 특정할 수 없어 보완한 영역에 대해 가장 빛이 조사되는 경우에 높은 평가로 하면 된다.
(변형예 3)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시신경 유두의 표면 형상의 구배값이 전체에서 등방화되도록 신호광의 조사 각도를 구했지만, 표면 형상의 해석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음의 방법으로 표면 형상을 해석하고, 조사 각도 θMAX를 구한다. 도 7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의 형상 해석부(303)에서 얻어진 함몰부의 형상 데이터 S로부터 함몰부의 가장 깊은 위치를 검출한다. 이 위치를 점 P0로 한다. 다음에, 조사 각도를 의사적으로 변경시켰을 때의, 형상 맵의 투영 기준면 T'에 있어서의 유두부 영역(703)의 대응영역을 703', 점 PD의 대응점을 PD'로 한다. 이때, 점 PD'이 이 영역 703'의 무게중심에 일치하도록 조사 각도 θ을 θMAX로서 취득한다. 이에 따라, 유두부 영역에 대하여, 함몰의 가장 깊은 부분이 중심에 오도록 조사 각도를 구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해, 보다 간편한 화상해석에 의한 조사 각도의 취득을 행할 수 있다.
이상, 제1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서는 OCT 촬상장치에 의한 단층상으로부터 함몰부의 형상을 특정했지만, 이 이외의 방법에 의해 형상을 특정해도 본 발명의 적용을 방해하지 않는다.
실시예 2
제2 실시예에서는 다른 조사 각도에서 복수의 단층상을 미리 촬상하고, 촬상한 복수의 단층상을 해석함으로써, 함몰부의 조직이 화상 위에 가장 좋게 묘화되고 있는 단층상을 선택하여 표시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해서 촬상한 복수의 단층상으로부터 1개의 단층상을 선택한다. 다른 복수의 각도에서 조사한 신호광의 각각으로부터 복수의 단층상을 얻고, 각각의 단층상에 대해서 시신경 유두의 3차원의 표면 형상을 추출하고, 이것에 근거하여 시신경 유두의 표면 근방의 내부 영역에 있어서의 화상신호의 크기를 구한다. 신호의 크기를 구하는 방법은, 실시예 1의 휘도정보 해석과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이 내부 영역에 있어서의 화상의 신호가 가장 큰 단층상을 구해 표시한다. 이것은, 함몰부에 도달하는 신호광의 양이 많을수록, 화상에 나타나는 신호도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사 각도가 취할 수 있는 범위에서 최적의 각도를 구해 촬상하고 싶을 경우가 아니고, 대략 함몰부의 조직이 영상화되는 조사 각도에서 촬상한 단층상을 취득하고 싶은 경우에는, 촬상하는 회수를 소수로 억제함으로써, 화상해석의 처리 시간을 억제하여 간단하게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처리장치(102)의 기능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과 같은 기능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촬상 지시부(901)는, 망막의 함몰부에 대해 조사할 신호광의 조사 각도를 미리 복수 설정한다. 설정된 복수의 조사 각도의 정보를 포함하는 촬영 조건을 촬상부(101)에 대해 송신하여, 촬상하는 취지의 지시를 행한다.
선택부(902)는, 촬영된 단층상 중, 함몰부의 영역에 있어서의 신호 강도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작은 부분 영역이 적은 단층상을 선택한다. 이에 따라, 함몰부의 형상을 가장 적절하게 표시하는 화상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단층상은 표시부(103)에 표시시킨다.
다음에, 도 10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촬상 지원장치 130의 구체적인 처리 절차를 설명한다.
<스텝 S1001>
스텝 S1001에 있어서, 촬상 지시부(901)는 지시 정보 1을 생성한다. 그리고 조사 각도의 변경 회수를 N으로 하고, 변경할 조사 각도 θ1N을 설정하여 유지한다. 조사 각도 θ1N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스텝 S602와 같은 방법으로 설정한다. 단, 스텝 S602에서는, θ1N을, 취할 수 있는 값의 범위에 있어서 망라적으로 설정한 것에 대해, 여기에서는, 각도의 변경 간격을 보다 거칠게 설정해도 된다. 이것은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과 같이 최적의 조사 각도를 찾는 것이 아니고, 대략 함몰부의 조직이 영상화되는 단층상을 취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θ의 각도 성분 θ1에 관해서는 분할수 N1=4(0°?360°을 4등분), 각도 성분 θ2에 관해서는 분할수
[수학식 17]
N2=2(0°≤θ2≤θLIM을 2등분)
으로 하고, N=8의 조합을 순서대로 θ18으로 한다.
그리고, 지시 정보 1을, 촬상부(101)에 송신한다.
<스텝 S1002>
스텝 S1002에 있어서, 촬상 지시부(301)는, 조사 각도를 변경할 때의 처리 번호를
[수학식 18]
i(ii≤N)
으로 하고, i=1로 설정한다.
<스텝 S1003>
스텝 S1003에 있어서 촬상 지시부(301)는, 조사 각도 θi를 촬상 파라미터로 변환하고, 이것을 지시 정보 2로서, 촬상부(101)에 송신한다. 변환 방법은, 도 4의 스텝 S407과 같은 방법으로 설정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1004>
스텝 S1004에 있어서, 촬상부(101)는, 촬상 지시부(301)로부터 취득한 지시 정보 1 및 지시 정보 2를 촬상 파라미터로 하여 단층상을 촬상한다. 촬상방법은, 스텝 S402와 같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촬상한 조사 각도 θi에 대응하는 단층상의 화상 데이터를 Ii로 정의한다. 단층상 취득부(302)는 촬상한 화상 데이터 Ii를 촬상부(101)로부터 취득하여, 기억부(306)에 격납한다.
<스텝 S1005>
스텝 S1005에 있어서, 형상 해석부(303)는, 기억부(306)에 격납된 화상 데이터 Ii를 취득하고, 화상 데이터 Ii로부터 시신경 유두의 표면 형상을 추출한다. 추출 방법은, 스텝 S403과 같기 때문,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추출한 표면 형상 데이터를 Si로 정의한다. 그리고, 화상 데이터 Ii 및 추출한 형상 데이터 Si를 휘도정보해석부 1305에 송신한다.
<스텝 S1006>
스텝 S1006에 있어서, 선택부 702는, 형상 해석부(303)로부터 취득한 화상 데이터 Ii 및 형상 데이터 Si에 근거하여 휘도정보를 해석하고, 휘도 평가값 Vi를 요구한다. Vi를 구하는 방법은, 스텝 S404와 같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휘도 평가값 Vi의 값을, 기억부(306)에 격납한다.
<스텝 S1007>
스텝 S1007에 있어서, 선택부 702는, 기억부(306)에 격납된 화상 데이터 Ii에 대응하는 휘도 평가값 Vi를 취득하고, 기억부(306)에 평가값의 최대값 VMAX가 격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VMAX=Vi로서 기억부(306)에 격납한다. 이미 최대값 VMAX가 격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VMAX와 Vi의 값을 비교하여, VMAX <Vi이면 VMAX=Vi로서 값을 갱신하고, 기억부(306)에 격납한다. 더구나, 이때의 VMAX에 대응하는 처리 번호를 nMAX=i, 화상 데이터를 IMAX=Ii로서 값을 갱신하고, 기억부(306)에 격납한다.
<스텝 S1008>
스텝 S1008에 있어서, 촬상 지시부(901)는, 처리 번호 i를 1 증가시킨다.
<스텝 S1009>
스텝 S1009에 있어서, 촬상 지시부(901)는, 처리 번호 i와 변경 회수 N을 비교하여, i>N이면, 기억부(306)로부터 화상 데이터 IMAX를 취득하고, 표시부(103)에 송신한 후, 스텝 S1010으로 이행한다. i≤N이면, 스텝 S1003으로 이행한다.
<스텝 S1010>
스텝 S1010에 있어서, 표시부(103)는, 선택부 702에 의해 선택된 화상 데이터 IMAX를 미도시의 모니터에 표시한다.
이상에서 서술한 구성에 따르면, 다른 조사 각도에서 복수의 단층상을 미리 촬상하고, 함몰부를 포함하는 시신경 유두의 표면 조직의 화상신호가 가장 커지는 단층상을 선택하여 표시한다. 따라서, 촬상하는 회수를 소수로 억제함으로써 촬상에 많은 시간을 지나치게 소비하지 않고, 간편한 화상해석의 처리에 의해, 대략 함몰부의 조직이 영상화된 단층상을 취득할 수 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는, 시신경 유두를 복수의 부분 영역으로 분할하고, 부분 영역마다 그 영역에 조사되는 신호광의 양이 가장 많아지는 조사 각도를 설정하고, 설정한 복수의 조사 각도에서 각각 단층상을 촬상한다. 그리고, 촬상한 복수의 단층상을 합성하고, 합성한 단층상을 표시한다.
도 11을 사용해서 제3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102)의 기능을 설명한다. 촬상 지시부(1101)는 부분 영역마다의 조사 각도는 다음과 같이 결정한다. 부분 영역마다의 조사 각도는, 그 영역에 속하는 함몰부의 내벽면에 대하여, 조사하는 신호광이 가장 수직에 가까워지는 각도, 즉 망막 표면의 연직 방향에 가장 가까워지는 물리적으로 변경가능한 최대의 기울기로 한다. 이것은, 망막 표면의 연직방향으로부터의 기울기가 커짐에 따라, 함몰부의 내벽면에의 조사 각도가 수직에 가까워지지만, 실제로는 동공의 크기에 의해 제한을 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신경 유두의 부분 영역마다 조직이 화상 위에 가장 잘 묘사되는 단층상을 취득하게 된다. 취득한 복수의 단층상을 합성함으로써, 함몰부의 조직이 균일하게 잘 묘사된 단층상을 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동공의 외연부로부터 신호광을 입사시키게 된다.
합성부(1102)는, 얻어진 복수의 단층상을 합성한다. 촬상부(101)에 의해 얻어진 단층상 I1?IN의 각각에 있어서, 실시예 1의 스텝 S901과 같은 방법으로, 기준 조사 방향 D0을 단층상의 화상 데이터 I 위에 대응시킨다. 화상 데이터 I1?IN은, 방향 D0을 기준으로 해서 각각 신호광을 각도 θ1N만큼 기울여 촬상한 화상이기 때문에, 각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방향 D0이 일치하도록, 각각 각도 θ1N만큼 화상을 회전 이동해서 위치맞춤한다. 그리고, 위치맞춤후의 화상 데이터 I1?IN이 대응하는 화 사이간에서 화소값을 합성하여, 합성 화상 데이터 IC를 생성한다. 화소값의 합성 방법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화소값의 평균값을 합성후의 화소값으로 한다. 또한, 합성후의 화상은 z축이 방향 D0가 되도록 단층상으로서 생성한다. 이때, 화상 데이터 I1?IN 내부의 화소에서, 합성후의 단층상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합성의 대상에서 벗어난다. 이와 같이, 합성되는 복수의 단층상은 다른 각도에서 촬영된 것이기 때문에, 각 화상에 있어서 신호가 약한 영역을 보완한 합성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이때, 합성 방법은 이 방법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화소의 휘도값의 크기에 따라 화소마다 신뢰도를 붙여, 신뢰도를 계수로 한 화소값의 가중 평균값을 합성후의 화소값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신호 강도가 약한 영역을 더욱 정확하게 보완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102)의 처리 절차를 설명한다. 단, 스텝 S1202, S1203, S1204, S1205, S1206은 각각,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스텝 S1002, S1003, S1004, S1008, S1009와 같은 처리이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1201>
스텝 S1201에 있어서, 촬상 지시부(1101)는 지시 정보 1을 생성한다. 그리고, 조사 각도의 변경 회수를 N으로 하고, 변경하는 조사 각도 θ1N을 설정하여 유지한다. 조사 각도 θ1N은, 본 실시예에서는 θ1은 취할 수 있는 값의 범위에서 균등하게 분할하지만, 동공의 외연부로부터 신호광을 입사시키기 위해, θ2의 값은 θ2LIM으로 고정으로 한다. 503, 화상신호가 매우 약한 영역 504가 표시되어 있다.
도 13a에 있어서, 단층상 T1?Tn, 내부 경계막(1301), 망막 색소 상피층(1302), 유두부 영역(1303)은 각각 표시되어 있다. 또한, x-y평면에 평행한 평면 T'과 단층상 T1?Tn을 평면 T'에 투영했을 때의 유두부 영역(1303)에 대응하는 투영 영역(1304)과, 투영 영역(1304)을 균등하게 분할한 부분 영역 DC1?DC4가 각각 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분할수 n=4로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역 DC1?DC4에 속하는 함몰부의 표면 영역마다, 그 영역에 조사되는 신호광의 양이 최대가 되는 조사 각도를 설정한다. 도 13b는, 도 13a의 평면 T'을 z축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3b에 있어서, 영역 DC1?DC4에 대해 조사되는 신호광의 양이 가장 많아지는 평면 T' 위의 조사 방향은, D1?D4로 표시된다. x-y 평면 위에 투영한 신호광의 조사 각도는 각도 성분 θ1으로 표시되므로, D1?D4에 대응하는 θ1의 각도를 각각, θ1 11 4(0°?360°의 범위를 4분할한 각도)로 한다. 또한, 함몰부의 표면에 조사하는 신호광이 수직에 가까워질수록, 함몰부의 벽면에 조사하는 신호광의 양이 커진다. 따라서, 망막 표면에 대한 신호광의 조사 각도의 기울기는 각도 성분 θ2에 의해 결정되므로, θ2은, 망막 표면에 대해 물리적으로 변경가능한 기울기의 최대각도 θLIM으로 일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동공의 외연부의 복수 개소로부터 조사한 신호광의 각각에 대응하는 단층상을 취득함으로써, 함몰부의 각 영역마다 신호광의 강도를 크게 한 단층상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촬상 지시부(1101)는 취득한 지시 정보 1을 촬상부(101)에 송신한다.
<스텝 S1207>
스텝 S1207에 있어서, 합성부(1102)는, 기억부(306)로부터 단층상의 화상 데이터 I1?IN을 취득하고, 그것들을 합성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합성의 방법은 전술한 것과 같다. 그리고, 생성한 합성 단층상의 화상 데이터 IC를 표시부(103)에 송신한다.
<스텝 S1208>
스텝 S1208에 있어서, 표시부(103)는, 단층상합성부 1192로부터 취득한 화상 데이터 IC를 표시한다.
이상에서 서술한 구성에 따르면, 시신경 유두의 부분 영역마다 신호광이 가장 많이 조사되는 조사 각도를 설정하고, 각각의 단층상을 취득하여 그것들을 합성함으로써, 함몰부의 조직이 균일하게 좋게 찍어진 단층상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이나 2와 같이, 단층상 촬상후에 발생하는 화상해석처리를 줄일 수 있다.
(기타의 실시형태)
제1실시예에서는, 최초에 취득한 단층상의 휘도 평가값 V가 임계값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에, 조사 각도 θMAX를 구하고, 이 각도에 근거하여 단층상을 1회만 재촬상해서 그대로 표시하지만, 재촬상의 회수는 1회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4에 있어서, 스텝 S407로부터 S402로 되돌아가는 화살표를 덧붙여, 스텝 S405에 있어서의 평가값 V가 임계값을 초과할 때까지 스텝 S402?S407의 처리를 반복하는 절차를 취하여도 된다. 이것은, 재촬영 각도 결정부(305)에서 최적화되는 조사 각도 θMAX는, 그 때 촬상된 단층상의 화상 데이터에 근거한 것이며, 함몰부의 화상신호가 작은 영역에 관해서는 표면 형상이 정확하게 추출되고 있지 않은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각도 θMAX는, 함몰부의 정확한 표면 형상에 근거해서 구해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함몰부가 충분히 찍히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해, 얻어진 조사 각도 θMAX에 근거하여 다시 촬상을 행하고, 보다 함몰부가 정확하게 찍힌 단층상을 취득한 후에, 화상평가?해석을 행한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함몰부가 찍히는 것이 불충분한 조사 각도에서 촬상된 단층상을 표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는, 시신경 유두의 함몰부의 정확한 형상추출이라고 하는 목적에 대해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의 적용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에 내재하는 발명의 특징의 일부인 형상 해석 의 방법, 신호 강도의 산출 방법 등은, 층 경계의 형상을 추출하는 것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혈관에 의해 영상화할 수 없는 혈관 아래의 영역에 존재하는 층 또는 경계면의 추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의 지시에 근거하여 촬영을 행하는 OCT 촬상장치는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일 빔의 OCT이었지만, 멀티 빔의 OCT를 사용해도 된다.
더구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각종 기억매체를 거쳐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 등)가 그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도 실현된다. 그 때는, 장치 또는 시스템에 공급된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을 격납한 기억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한다.
101 촬상부
102 정보처리장치
118 CPU
119 RAM
120 ROM
301 촬상 지시부
302 단층상 취득부
303 형상 해석부
304 재촬영 판정부
305 재촬영 각도 결정부

Claims (17)

  1. 촬영 대상의 적어도 일부의 형상에 따라 상기 촬영 대상에 조사되는 신호광의 귀환광이 소정의 강도가 되는 상기 신호광의 조사 각도를 결정하는 결정수단과,
    상기 결정된 조사 각도에서 상기 촬영 대상에 조사되는 신호광의 귀환광에 근거하여 상기 촬영 대상의 단층상을 촬상하는 지시를 행하는 지시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수단은 촬영 대상의 형상에 따라 상기 촬영 대상에 대해 조사되는 신호광의 강도가 기준보다 약한 영역이 작아지도록 상기 신호광의 조사 각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대상에 대해 소정의 각도에서 조사된 신호광의 귀환광에 근거하여 촬상된 상기 촬영 대상의 단층상을 취득하는 취득수단을 갖고,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취득된 단층상에 근거하여 상기 촬영 대상의 형상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각도가 상기 결정된 각도와 같아지는 경우에는, 상기 지시수단에 의한 지시를 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5. 제 3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된 단층상에 있어서 상기 귀환광의 강도가 기준보다 약한 영역, 상기 촬영 대상의 형상을 특정할 수 없었던 영역, 상기 촬영 대상의 형상을 보간에 의해 추정한 영역, 또는 상기 형상의 신뢰성이 낮은 영역 중 어느 한 개의 크기에 따라 상기 지시수단에 의한 지시를 행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대상은 망막의 층의 경계면이고,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경계면의 각 영역에 대한 상기 신호광의 입사각에 따라 상기 신호광의 강도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대상은 망막의 함몰부이고,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함몰부의 상기 망막의 표면에 대한 기울기에 따라 상기 조사 각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수단은 상기 촬상을 해야 한다는 취지의 통지, 촬상부에의 촬영 조건의 송신, 또는 촬상의 지시 중 어느 한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9. 복수의 다른 각도에서 촬영 대상에 조사하는 신호광의 귀환광의 각각에 의해 복수의 단층상을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된 단층상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귀환광의 강도가 기준보다 약한 영역의 크기에 따라 상기 취득된 단층상으로부터 적어도 1개의 단층상을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단층상의 휘도값 또는 S/N비에 근거하여 상기 귀환광의 강도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1. 복수의 다른 각도에서 촬영 대상에 조사하는 신호광의 귀환광의 각각에 의해 복수의 단층상을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된 단층상을 합성하는 합성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2. 제 9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대상은 망막이고, 상기 복수의 다른 각도는 동공의 외연부에서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층상은,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신호광과 참조광으로 분할하고, 상기 신호광을 촬영 대상으로 이끄는 동시에 상기 참조광을 참조 미러로 이끌고, 상기 촬영 대상에 의해 반사 혹은 산란된 상기 신호광에 의한 귀환광과, 상기 참조 미러에 의해 반사된 참조광을 사용하여, 상기 촬영 대상의 단층상을 촬상하기 위한 광 단층상 촬상장치에 의해 촬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4. 피검안의 망막의 함몰부의 형상을 특정하는 특정수단과,
    상기 특정된 함몰부의 형상에 근거하여 상기 함몰부에 조사하는 신호광의 귀환광이 소정의 강도가 되는 상기 함몰부에 조사하는 신호광의 조사 각도를 결정하는 결정수단과,
    상기 결정된 조사 각도에서 조사한 신호광의 귀환광에 근거하여 간섭광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함몰부를 촬상한 단층상을 취득하는 취득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5. 촬영 대상의 형상에 따라, 상기 촬영 대상에 조사되는 신호광의 귀환광이 소정의 강도가 되는 상기 신호광의 조사 각도를 결정하는 스텝과,
    상기 결정된 조사 각도에서 상기 촬영 대상에 조사되는 신호광의 귀환광에 근거하여 상기 촬영 대상의 단층상을 촬상하는 지시를 행하는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16. 촬영 대상의 형상에 따라 상기 촬영 대상에 조사되는 신호광의 귀환광이 소정의 강도가 되는 상기 신호광의 조사 각도를 결정하는 처리와,
    상기 결정된 조사 각도에서 상기 촬영 대상에 조사되는 신호광의 귀환광에 근거하여 상기 촬영 대상의 단층상을 촬상하는 지시를 행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17. 촬영 대상에 소정의 각도에서 조사하는 신호광의 귀환광에 의해 상기 촬영 대상을 촬상해서 단층상을 얻는 촬상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으로부터 촬영 대상에 제1 조사 각도에서 조사한 신호광의 귀환광에 근거하여 상기 촬영 대상의 단층상을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된 단층상으로부터 상기 촬영 대상의 형상을 해석하는 해석수단과,
    상기 해석의 결과에 따라 상기 촬영 대상에 상기 제1 조사 각도와는 다른 제2 조사 각도에서 상기 신호광을 조사해서 상기 촬영 대상을 촬상하는 지시를 상기 촬상수단에 대해 지시수단과,
    상기 지시수단에 의한 지시에 따라 촬상수단이 촬상한 단층상을 표시시키는 표시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시스템.
KR1020127012347A 2009-10-29 2009-10-29 정보처리장치, 방법, 시스템, 및 기억매체 KR1014966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68619 WO2011052062A1 (ja) 2009-10-29 2009-10-29 情報処理装置、方法、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806A true KR20120085806A (ko) 2012-08-01
KR101496669B1 KR101496669B1 (ko) 2015-02-27

Family

ID=43921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2347A KR101496669B1 (ko) 2009-10-29 2009-10-29 정보처리장치, 방법, 시스템,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96123B2 (ko)
EP (1) EP2494916A4 (ko)
JP (1) JP5528467B2 (ko)
KR (1) KR101496669B1 (ko)
CN (1) CN102596004B (ko)
WO (1) WO20110520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343B1 (ko) * 2013-11-15 2015-02-11 한국과학기술원 광 산란 패턴 검출 장치 및 광 산란 패턴 검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1068B2 (ja) * 2010-03-02 2016-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光干渉断層撮影システム
JP5597011B2 (ja) * 2010-03-31 2014-10-01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704946B2 (ja) * 2011-02-04 2015-04-22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撮影装置
JP5781351B2 (ja) 2011-03-30 2015-09-24 日本アビオニクス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画素出力レベル補正方法、赤外線カメラシステム及び交換可能なレンズシステム
JP5383735B2 (ja) * 2011-03-31 2014-01-08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干渉断層撮影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055892B2 (en) 2011-04-27 2015-06-16 Carl Zeiss Medite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ophthalmic imaging
JP5778469B2 (ja) * 2011-04-28 2015-09-16 日本アビオニクス株式会社 撮像装置、画像生成方法、赤外線カメラシステム及び交換可能なレンズシステム
JP5210442B1 (ja) * 2012-01-26 2013-06-12 キヤノン株式会社 光断層撮像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9955865B2 (en) * 2013-04-11 2018-05-01 Novartis Ag Method and system to detect ophthalmic tissue structure and pathologies
US9819933B2 (en) * 2013-10-18 2017-11-14 Alcatel Lucent Automated testing of media devices
WO2015098912A1 (ja) * 2013-12-25 2015-07-02 興和株式会社 断層像撮影装置
JP6499416B2 (ja) * 2014-10-10 2019-04-10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装置および眼科装置の制御方法
US10130250B2 (en) * 2015-11-02 2018-11-20 Nidek Co., Ltd. OCT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OCT data processing program
JP7104516B2 (ja) * 2016-02-02 2022-07-21 株式会社ニデック 断層画像撮影装置
JP6680812B2 (ja) * 2018-01-30 2020-04-15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ワーク画像生成装置
JP7166184B2 (ja) * 2019-02-05 2022-11-07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情報処理装置、眼科装置、眼科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82164A (en) * 1985-09-27 1987-05-07 Keeler Ltd Indirect ophthalmoscope
JP2618912B2 (ja) * 1987-08-31 1997-06-11 興和株式会社 眼底検査装置
DE69533903T2 (de) * 1994-08-18 2005-12-08 Carl Zeiss Meditec Ag Mit optischer Kohärenz-Tomographie gesteuerter chirurgischer Apparat
CN1089226C (zh) * 1997-04-04 2002-08-21 华南理工大学 视网膜血管管径形变智能化测定系统及其测定方法
US5920373A (en) * 1997-09-24 1999-07-06 Heidelberg Engineering Optische Messysteme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optical characteristics of a cornea
DE60228940D1 (de) * 2001-03-15 2008-10-30 Amo Wavefront Sciences Llc Hren zur abbildung eines optischen systems
JP4439815B2 (ja) * 2002-08-22 2010-03-24 株式会社トプコン 手術用顕微鏡
DE10323920A1 (de) * 2003-05-22 2004-12-16 Carl Zeiss Meditec Ag Verfahren und Anordnung zum Vermessen des vorderen Augenabschnitts
JP4444194B2 (ja) * 2005-09-30 2010-03-31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用顕微鏡
US8072623B2 (en) * 2007-02-16 2011-12-06 Ricoh Company,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4896794B2 (ja) 2007-03-30 2012-03-14 株式会社トプコン 光画像計測装置、それを制御するプログラム及び光画像計測方法
US8125645B2 (en) * 2008-03-31 2012-02-28 Fujifilm Corporation Optical tomographic imaging system, tomographic image acquiring method, and optical tomographic image forming method
JP5478840B2 (ja) * 2008-05-19 2014-04-23 キヤノン株式会社 光断層撮像装置および光断層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5268447B2 (ja) * 2008-06-26 2013-08-21 キヤノン株式会社 医療用撮影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343B1 (ko) * 2013-11-15 2015-02-11 한국과학기술원 광 산란 패턴 검출 장치 및 광 산란 패턴 검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94916A1 (en) 2012-09-05
CN102596004B (zh) 2014-12-31
US20110102742A1 (en) 2011-05-05
US8696123B2 (en) 2014-04-15
JP5528467B2 (ja) 2014-06-25
EP2494916A4 (en) 2014-01-01
KR101496669B1 (ko) 2015-02-27
CN102596004A (zh) 2012-07-18
WO2011052062A1 (ja) 2011-05-05
JPWO2011052062A1 (ja) 201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6669B1 (ko) 정보처리장치, 방법, 시스템, 및 기억매체
JP7250653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36728B1 (ko)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JP5867719B2 (ja) 光画像計測装置
JP5635898B2 (ja) 眼底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818409B2 (ja) 眼底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916110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561311B2 (en) Ophthalmic imaging apparatus and ophthalmic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6463047B2 (ja) 眼科装置及び眼科装置の作動方法
JP2020039851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054787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作動方法
JP2019107569A (ja) 眼底撮影装置
JP2022133399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9276327A (ja) 光画像計測装置
JP7384987B2 (ja) 眼科装置
JP7215862B2 (ja) 眼科撮影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653055B2 (ja) 眼科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1375892B2 (en) Method of proces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data and OCT data processing apparatus
JP7410481B2 (ja) 画像処理方法、走査型イメージング方法、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走査型イメージング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7325675B2 (ja) 眼科撮影装置
JP2020031873A (ja) 眼科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7236832B2 (ja) 眼科撮影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7409793B2 (ja) 光コヒーレンストモグラフィ(oct)装置の作動方法、octデータ処理装置の作動方法、oct装置、octデータ処理装置
US20230380680A1 (en) Ophthalm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24001913A (ja)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