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5637A - 가반 변기 - Google Patents

가반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5637A
KR20120085637A KR1020110087972A KR20110087972A KR20120085637A KR 20120085637 A KR20120085637 A KR 20120085637A KR 1020110087972 A KR1020110087972 A KR 1020110087972A KR 20110087972 A KR20110087972 A KR 20110087972A KR 20120085637 A KR20120085637 A KR 20120085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container
pedestal
toilet bowl
toile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9872B1 (ko
Inventor
마코토 하야시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전공 라이프 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전공 라이프 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전공 라이프 테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85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2Swivel-mounted bowls, e.g. for use in restricted spaces slidably or movably mounted bowls; combinations with flushing and disinfecting devices actuated by the swiveling or sliding movement of the bowl
    • E03D11/125Height adjustable bow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바닥 상에 배치되는 받침대(pedestal)(2)와, 받침대(2) 단독으로 지지되는 변기 외곽(外郭)(3)과, 변기 외곽(3)의 내측에 설치되는 오물 받이부(6)를 구비한다. 받침대(2)와 변기 외곽(3)이 받침대(2)의 평면에서 볼 때 중앙부와 변기 외곽(3)의 저부(底部) 중앙부를 접속하는 중앙 연결부(31)를 통하여 접속된다. 중앙 연결부(31)에 변기 외곽(3)의 받침대(2)에 대한 높이를 변경하기 위한 높이 조절 수단(32)이 설치된다. 중앙 연결부(31) 내에 오물 받이부(6)의 하부가 배치된다.

Description

가반 변기{TRANSPORTABLE TOILET BOWL}
본 발명은 높이 조절 가능한 변기 외곽(外郭)을 구비한 가반(可搬; transportable) 변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노인, 지체장애자, 환자 등이 사용하는 개호용(介護用; nursing care)의 변기(便器)로서,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가반 변기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가반 변기는, 오물 받이부를 수납하는 변기 외곽과, 변기 외곽의 양측에 장착되는 각체(脚體)를 구비하고 있다. 각 각체는 변기 외곽에 대하여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이로써, 변기 외곽의 높이를 사용자의 체격 등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가반 변기는 변기 외곽의 높이를 조절하는 데 있어서, 각 각체의 상하 위치를 각각 조절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가반 변기를 수평으로 하기 위해서는, 각 각체의 높이 조절량을 일정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변기 외곽의 높이를 조절하는 데 수고와 시간을 요한다.
일본공개특허 제2008?206694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행해진 것으로서, 변기 외곽의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가반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가반 변기는, 바닥 상에 배치되는 받침대(pedestal)와, 이 받침대 단독으로 지지되는 변기 외곽과, 이 변기 외곽의 내측에 설치되는 오물 받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대와 변기 외곽이 상기 받침대의 평면에서 볼 때 중앙부와 상기 변기 외곽의 저부(底部) 중앙부를 접속하는 중앙 연결부를 통하여 접속되고, 이 중앙 연결부에 상기 변기 외곽의 받침대에 대한 높이를 변경하기 위한 높이 조절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중앙 연결부 내에 상기 오물 받이부의 하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 연결부는, 상기 받침대의 평면에서 볼 때 중앙부로부터 위쪽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통과, 상기 변기 외곽의 하면 중앙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돌출되는 접속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통에 상기 접속통부가 상하 위치 조절 가능하도록 끼워넣어지고, 상기 접속통부의 내측에 상기 오물 받이부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기 외곽의 상면부에 변기 외곽 내로 통하는 상측 개구가 형성되고, 이 상측 개구로부터 상기 변기 외곽 내에 수납되는 상기 오물 받이부가, 변(便) 용기와, 이 변 용기가 수납되는 오염 방지 용기로 구성되며, 상기 변 용기의 상측 개구 둘레부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오염 방지 용기의 상측 에지부 상에 탑재되는 변 용기 피탑재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염 방지 용기의 상측 개구 둘레부에 상기 변 용기 피탑재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변기 외곽의 상측 개구의 에지부 상에 탑재되는 오염 방지 용기 피탑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변기 외곽의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가반 변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변기 커버를 닫은 위치에 배치했을 때의 가반 변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 변기 시트(seat)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 4는 가반 변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가반 변기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6은 지지통의 사시도이다.
도 7은 가반 변기의 뒤쪽으로부터 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가반 변기의 일부 파단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변기 외곽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가반 변기의 변기 외곽과 받침대의 접속 부분을 나타낸 일부 파단(破斷) 사시도이다.
도 11은 변기 외곽의 앞쪽 상단 부분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12는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13의 (a)~(c)는 변기 외곽의 높이 조절 시의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반 변기(1)는, 바닥 상에 배치되는 받침대(2)와, 받침대(2) 단독으로 지지되는 변기 외곽(3)과, 변기 외곽(3)의 후단부에 좌우 축 주위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연결되는, 변기 시트(4) 및 변기 커버(5)와, 변기 외곽(3)의 내측에 설치되는 오물 받이부(6)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 축 주위」란, 회전축 방향이 좌우 방향과 평행한 것을 의미한다.
가반 변기(1)는, 변기 외곽(3)의 후단부 상에 세워설치되는 등받이(7)와, 변기 외곽(3)의 좌우 양측 단부에 세워설치되는 높이 조절 가능한 팔걸이(8)를 구비한, 의자형의 변기로 되어 있다. 또한, 가반 변기(1)는, 토일렛 페이퍼 롤(toilet paper roll)(9), 즉 두루마리 화장지를 지지하기 위한 페이퍼 홀더(10) 또는 페이퍼 행거(11)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페이퍼 홀더(10) 또는 페이퍼 행거(11)는 변기 외곽(3)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가반 변기(1)는, 각각의 구성 부품을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함으로써 경량화를 도모하고 있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외곽(3)은, 변기 상면부를 구성하는 상측 외곽체(12)와, 변기 외주면부를 구성하는 하측 외곽체(13)를 가지고 있다.
도 5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 외곽체(13)는 상측 외곽체(12)를 받는 얇고 낮은 용기형의 받이부(14)와, 받이부(14)의 저부 중앙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원통형의 접속통부(15)로 구성되어 있다. 상측 외곽체(12)는 그 주위 에지부가 받이부(14)의 주위 에지부 상에 탑재되고, 이 상태에서 하측 외곽체(13)에 장착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외곽체(12)의 상면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는 아래쪽으로 오목한 요몰부(凹沒部)(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외곽체(12)의 평면에서 볼 때, 중앙 위치에는 요몰부(16)의 저부 중앙을 상하로 관통하는 상측 개구(17)가 형성되어 있다.
오물 받이부(6)는, 상측 개구(17)를 통하여, 도 4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외곽(3) 내에 수납되어 있다. 오물 받이부(6)는, 분뇨를 받는 변 용기(19)와, 변 용기(19)가 수납되는 오염 방지 용기(20)로 구성된 이중 용기로 이루어진다. 도 4 중 "21"은 용변 후에 있어서의 변 용기(19)의 상측 개구를 폐색(閉塞)하는 용기 커버이며, 용기 커버(21)는 용변 시에 변 용기(19)로부터 떼어내진다. 그리고, 떼어낸 용기 커버(21)는, 도 4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대(2) 상에 기립시킬 수 있다.
오염 방지 용기(20)의 상측 에지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오염 방지 용기 피탑재부(22)가 주위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오염 방지 용기(20)는 상측 개구(17)를 통하여 변기 외곽(3) 내로 출입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오염 방지 용기(20)는, 오염 방지 용기 피탑재부(22)를 변기 외곽(3)의 상측 개구(17)의 주위 에지부를 포함하는 요몰부(16)의 저부 상에 탑재함으로써 현가(懸架)되어 있다. 이 현가 상태에서는, 오염 방지 용기(20)의 하부가 변기 외곽(3)의 접속통부(15) 내에 배치된다.
오염 방지 용기 피탑재부(22)의 내주 에지부는 외주부보다 1단(段) 오목한 변 용기 탑재부(23)로 되어 있다.
변 용기(19)의 상측 에지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변 용기 피탑재부(24)가 주위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변 용기(19)는 오염 방지 용기(20) 내에 위쪽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변 용기(19)는, 변 용기 피탑재부(24)를 오염 방지 용기(20)의 변 용기 탑재부(23)의 내주부 상에 탑재함으로써, 오염 방지 용기(20)에 현가되고, 변 용기(19)의 하부는 접속통부(15) 내에 배치되어 있다. 변 용기(19)의 상단부에는 변 용기(19)의 좌우 양 단부 사이에 걸치는 행거(hanger)(26)(도 3 참조)가 좌우 축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행거(6)를 파지함으로써 오염 방지 용기(20)로부터 변 용기(19)를 용이하게 출입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염 방지 용기 피탑재부(22)의 외주부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 용기 피탑재부(24)보다 외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1단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대(2)는, 바닥 상에 배치되는 받침대 본체(27)를 구비하고 있다. 받침대 본체(27)는 위쪽으로 개구되는 받침대 통부(28)를 가지고, 받침대 통부(28)의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바닥에 직접 접지되는 접지부(29)가 설치되어 있다. 접지부(29)는 받침대 통부(28)의 전단부(前端部)를 제외한 외주에 걸쳐 형성되고, 변기 외곽(3)을 받침대(2)에 의해 양호한 밸런스로 지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접지부(29)의 후단부에는 복수 개의 캐스터(caster)(30)가 설치되고, 이 캐스터(30)를 이용하여 가반 변기(1)를 바닥 상에서 주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2)와 변기 외곽(3)은 받침대(2)의 평면에서 볼 때 중앙부와 변기 외곽(3)의 저부 중앙부를 접속하는 중앙 연결부(31)만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중앙 연결부(31)에는 변기 외곽(3)의 받침대(2)에 대한 높이를 변경하기 위한 높이 조절 수단(32)이 설치되어 있고, 이 높이 조절 수단(32)에 의해, 변기 외곽(3)의 높이를 이용자의 체격 등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도 12와 같이, 받침대(2)는, 평면에서 볼 때 중앙부에 변기 외곽(3)을 지지하는 지지통(33)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통(33)은 받침대 통부(28)와 동심(同心)으로 받침대 통부(28)의 저부로부터 위쪽을 향해 돌출된 상태로 받침대 본체(27)에 장착되어 있다.
받침대 통부(28)와 이 내측에 배치된 받침대 통부(28) 사이에는, 평면에서 볼 때 원환형(圓環形)으로 위쪽으로 개구되는 통부 삽입홈(34)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부 삽입홈(34)에는 변기 외곽(3)의 접속통부(15)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 접속통부(15)는 지지통(33)의 외측에 상하 위치 조절할 수 있도록 끼워넣어져 있다. 그리고, 이들 접속통부(15), 지지통(33) 및 받침대 통부(28)에 의해, 받침대(2)와 변기 외곽(3)을 연결하는 중앙 연결부(31)가 구성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통부(15)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접속통부(15)의 주위 방향으로 신장(伸張)되는 리브(35)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35)는, 접속통부(15)의 주위 방향의 동일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조(條) 형성되고, 이들 복수 조의 리브(35)로 이루어지는 리브군(36)이, 접속통부(15)의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군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하 2조의 리브(35)로 이루어지는 리브군(36)이 3군 형성되어 있고, 이들 리브(35)는 지지통(33)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부로 된다.
한편,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통(33)의 외주면에 있어서 각 리브군(36)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지지통(33)의 주위 방향을 따라 사행(蛇行)하면서 상하로 연장되는 사행홈(37)이 형성되어 있다.
각 사행홈(37)은, 지지통(33)의 주위 방향으로 신장되는 다수의 가로 홈(38)과, 상하로 인접하는 가로 홈(38)의 길이 방향의 단부끼리를 접속하는 접속홈(39)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접속홈(39)은 외측으로부터 볼 때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고, 최상단의 접속홈(39)을 제외한 각각의 접속홈(39)은, 그 상단이 1단 상의 접속홈(39)의 하단이 접속되는 가로 홈(38)의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와 접속되어 있다.
도 1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외곽(3)이 정면을 향한 상태에서는, 도 10과 같이, 각 리브군(36)의 리브(35)는 대응하는 사행홈(37)의 가로 홈(38)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삽입된다. 이 중, 동일한 리브군(36)에 속해 상하로 인접하는 리브(35)는, 1조의 가로 홈(38)을 통하여 상하로 배열된 가로 홈(38)에 배치되어 있다. 각 리브(35)의 상면이 대응하는 가로 홈(38)의 상부와 맞닿음으로써, 변기 외곽(3)의 접속통부(15)는 받침대(2)의 지지통(33)에 지지되어 있다.
받침대(2)와 변기 외곽(3)을 연결하는 중앙 연결부(31)에는, 변기 외곽(3)이 정면을 향한 상태에서, 변기 외곽(3)이 지지ㅎ통(33)에 대하여 회동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록(lock) 부재(4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대 통부(28)의 내주면 후단부에는, 전방 및 위쪽으로 개구되는 하측 요결부(凹缺部)(41)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과 같이, 하측 요결부(41)에는, 위쪽으로부터 상기 록 부재(40)가 좌우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출입 가능하게 끼워넣어져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외곽(3)의 받이부(14)의 외주면에 있어서 하측 요결부(41)와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동일 위치에는, 후방 및 아래쪽으로 개구되는 상측 요결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상측 요결부(42)의 하단부에는, 하측 요결부(41)에 끼워넣어진 록 부재(40)의 상단부가 좌우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끼워넣어져 있다. 이로써, 변기 외곽(3)이 지지통(33)에 대하여 회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다. 즉, 록 부재(40), 하측 요결부(41), 및 상측 요결부(42)에 의해, 변기 외곽(3)의 지지통(33)에 대한 회동을 규제하는 록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록 부재(40)의 상단부에는 받침대 통부(28)보다 후방으로 돌출하는 조작부(43)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43)를 위쪽으로 들어올림으로써, 록 부재(40)를 하측 요결부(41) 및 상측 요결부(42)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록을 해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록 수단, 각 사행홈(37), 및 각 리브(35)에 의해, 상기 높이 조절 수단(32)이 구성되어 있다. 높이 조절 수단(32)에 의해, 변기 외곽(3)을 받침대(2)에 대하여 상승시키려면,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행한다.
먼저, 록 부재(40)를 하측 요결부(41)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록 부재(40)에 의한 변기 외곽(3)의 회동 규제를 해제한다. 다음에, 도 13의 (a)와 같이 정면을 향한 변기 외곽(3)을 지지통(33)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도 13의 (b)와 같이 변기 외곽(3)을 경사 전방으로 향하게 한다. 그리고, 이 때의 변기 외곽(3)의 회동 방향은, 각 리브(35)를 1단 상의 가로 홈(38)과 연통시키는 접속홈(39) 측으로 슬라이드시키는 방향이다. 이로써, 각 리브(35)는 삽입된 가로 홈(38)을 따라 접속홈(39)에 대응하는 단부까지 이동한다.
다음에, 변기 외곽(3)을 들어 올려, 각 리브(35)를 접속홈(39)을 통하여 상단의 가로 홈(38)으로 이동시키고, 이어서, 변기 외곽(3)을 상기 회동과는 역방향으로 회동시켜 정면을 향하게 하고, 각 리브(35)를 대응하는 가로 홈(38)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한다. 이로써, 변기 외곽(3)은 1단 상승한다. 그리고, 변기 외곽(3)을 복수 단 상승시키는 경우에는, 동일한 작업을 반복하여 행하면 된다. 즉, 이 경우에는, 변기 외곽(3)을, 도 3의 (a), 도 3의 (b), 도 3의 (c)에 나타낸 순서로 회동시킨다. 또한, 변기 외곽(3)을 받침대(2)에 대하여 하강시키려면, 상기 상승 시와는 반대로 변기 외곽(3)을 움직이면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변기 외곽(3)을 받침대(2)에 대한 높이를 변경한 후, 록 부재(40)를 상기한 바와 같이 하측 요결부(41) 및 상측 요결부(42)에 삽입하고, 변기 외곽(3)의 지지통(33)에 대한 회동을 규제한다. 이로써, 변기 외곽(3)은 원하는 높이로 고정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외곽(3)은, 요몰부(16)의 저면부의 후단부 상에 설치된 연결체(44)를 가지고 있다. 연결체(44)에는 변기 시트(4) 및 변기 커버(5)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연결체(44)는 변기 외곽(3)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변기 시트(4) 및 변기 커버(5)를 장착한 채 변기 외곽(3)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변기 시트(4)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변기 시트(4)의 설명에서는, 특별히 기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도 1과 같이 변기 시트(4)를 변기 외곽(3) 상의 사용 위치에 배치했을 때에 있어서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변기 시트(4)는, 평면에서 볼 때 환형이며 중앙에 전후로 긴 대략 타원 형상의 변기 시트 개구(45)가 형성된 시트부(48)와, 시트부(48)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변기 시트 피연결부(46)를 가지고 있다. 변기 시트 피연결부(46)는, 연결체(44)의 앞부분에 설치된 변기 시트 연결부(47)(도 8 참조)에 좌우 축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변기 시트(4)는, 도 1과 같이 전방으로 넘어뜨려 오염 방지 용기(20)의 오염 방지 용기 피탑재부(22)(도 3 참조)에 탑재한 사용 위치로부터, 변기 외곽(3)의 후단부 상에 기립시킨 비사용 위치까지의 범위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 위치의 변기 시트(4)는 변기 외곽(3)에 탑재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비사용 위치에서의 변기 시트(4)는, 등받이(7) 또는 변기 외곽(3)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지지된다.
도 11과 같이, 변기 시트(4)의 시트부(48)는 그 주위 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아래쪽으로 개구되는 대략 역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시트부(48)의 내주면을 구성하는 내주부(49)는, 주위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변기 시트(4) 외주면을 구성하는 외주부(23)보다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이 돌출 부분에 의해 통형의 분뇨(糞尿) 누출 방지부(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사용 위치에 배치된 변기 시트(4)는, 상기 오염 방지 용기(20)의 오염 방지 용기 피탑재부(22)의 외주부 상에 탑재되고, 변 용기(19)의 변 용기 피탑재부(24)의 위쪽에 배치된다. 이 사용 위치에 배치된 변기 시트(4)의 분뇨 누출 방지부(50)는, 변 용기(19)의 상측 개구 에지부의 내면을 따라 배치되어, 변 용기(19)의 상측 개구 에지부와 이 위쪽의 변기 시트(4)와의 사이를 덮는다. 그러므로, 분뇨 누출 방지부(50)에 의해, 분뇨가, 변기 시트(4)나 변 용기(19)의 내측으로부터, 변 용기(19)의 상측 개구 에지부와 이 위쪽에 배치되는 변기 시트(4)와의 사이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오염 방지 용기 피탑재부(22)나 외부로 분뇨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변기 커버(5)는 상기 사용 위치에 배치된 변기 시트(4)를 위쪽으로부터 덮는다. 변기 커버(5)의 외주 에지부는 아래쪽으로 돌출된 수하부(垂下部)로 되어 있다. 변기 시트(4)를 덮는 위치에 배치된 변기 커버(5)의 수하부(51)는, 상기 오염 방지 용기(20)의 오염 방지 용기 피탑재부(22)에서의, 사용 위치의 변기 시트(4)보다 외측 위치에 탑재된다. 그러므로, 수하부(51)에 의해서도 분뇨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의 가반 변기(1)는, 받침대(2)와 변기 외곽(3)이 받침대(2)의 평면에서 볼 때 중앙부와 변기 외곽(3)의 저부 중앙부를 접속하는 중앙 연결부(31)만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 연결부(31)에 변기 외곽(3)의 받침대(2)에 대한 높이를 변경하기 위한 높이 조절 수단(32)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변기 외곽(3)의 높이를 조절하는 데 있어서, 받침대(2)와 변기 외곽(3)을 단독으로 연결하는 중앙 연결부(31)에 설치된 높이 조절 수단(32)만을 조절하는 것만으로 되므로, 수고와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또한, 변기 외곽(3)에 설치된 오물 받이부(6)는, 받침대(2)와 변기 외곽(3)의 중앙부끼리를 연결하는 중앙 연결부(31) 내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변기 외곽(3)을 컴팩트하게 유지하면서 오물 받이부(6)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변 용기(19) 및 오염 방지 용기(20)의 각각의 하부는, 변기 외곽(3)을 상승시켰을 때도 지지통(3) 내에 위치해도 되고, 이 때 지지통(3)보다 위쪽에 위치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중앙 연결부(31)는, 받침대(2)의 평면에서 볼 때 중앙부로부터 위쪽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통(33)과, 변기 외곽(3)의 하면 중앙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돌출되는 접속통부(15)를 구비하고, 이 지지통(33)에 접속통부(15)가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끼워넣어져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중앙 연결부(31)를 간단하게 가반 변기(1)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연결부(31)로서는 본 실시예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변 용기(19)의 상측 개구 둘레부에 외측으로 돌출되고 오염 방지 용기(20)의 상측 에지부 상에 탑재되는 변 용기 피탑재부(2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오염 방지 용기(20)의 상측 개구 둘레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고 변기 외곽(3)의 상측 개구(17)의 에지부 상에 탑재되는 오염 방지 용기 피탑재부(2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오염 방지 용기 피탑재부(22)는 변 용기 피탑재부(24)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러므로, 만일 변기 시트(4)나 변 용기(19)의 내측으로부터 오염 방지 용기 피탑재부(22) 측으로 분뇨가 누출되었다고 해도, 오염 방지 용기 피탑재부(22)에 의해, 상기 분뇨가 변기 외곽(3)의 상측 개구(17)으로부터 변기 외곽(3)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분뇨가, 높이 조절 수단(32)이 설치되어 비교적 청소가 어려운 중앙 연결부(31)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접속통부(15)를 채용한 경우에 있어서, 오물 받이부(6)를 접속통부(15)의 내측에 배치하지 않아도 된다. 즉, 오물 받이부(6)를 접속통부(15)의 내측에 배치하는 기술적 특징은, 접속통부(15)를 채용하는 기술적 특징과는 독립적으로 채용할 수 있다.
즉, 받침대(2)는, 지지통(33)을 가진다. 변기 외곽(3)은, 접속통부(15)를 가진다. 지지통(33)은, 받침대(2)의 평면에서 볼 때 중앙부로부터 위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접속통부(15)는, 변기 외곽(3)의 하면 중앙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중앙 연결부는, 지지통(33)과 접속통부(15)로 구성된다. 지지통(33)은, 접속통부(15)에 대하여 상하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끼워져 있다. 그리고, 이들 구성은, 가반 변기에 있어서, 단독으로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오물 받이부(6)는, 받침대(2)와 변기 외곽(3)의 중앙부끼리를 연결하는 중앙 연결부(31) 내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오물 받이부(6)는, 접속통부(15)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도, 가반 변기에 있어서 단독으로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접속통부(15)는, 리브(35)를 가지고 있다. 지지통(33)은, 복수 개의 가로 홈(38)을 가지고 있다. 리브(35)는, 접속통부(15)의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이로써, 리브(35)는, 접속통부(15)의 주위 방향에 따른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복수 개의 가로 홈(38)은, 지지통(33)의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이로써, 각 가로 홈(38)의 길이 방향은, 지지통(33)의 주위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서 정의된다. 복수 개의 가로 홈(38)은, 지지통(33)의 높이 방향을 따라 정렬되어 있다. 리브(35)는, 복수 개의 가로 홈(38)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끼워맞추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복수 개의 가로 홈(38)에 대한 리브(35)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있어서는, 접속통부(15)에 리브(3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통(33)에 복수 개의 가로 홈(38)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리브(35)는, 접속통부(15)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지지통(33)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리브(35)가 접속통부(15)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복수 개의 가로 홈(38)은, 지지통(33)에 설치된다. 리브(35)가 지지통(33)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복수 개의 가로 홈(38)은 접속통부(15)에 형성된다.
즉, 접속통부(15)는, 리브(35) 또는 복수 개의 가로 홈(38) 중 어느 한쪽을 가질 수 있고, 지지통(33)은, 리브(35) 또는 복수 개의 가로 홈(38) 중 다른 쪽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리브(35)는, 접속통부(15)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있다. 복수 개의 가로 홈(38)은, 지지통(33)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지지통(33)이 접속통부(15)에 대하여 상하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끼워넣어진 경우, 지지통(33)에 대한 접속통부(15)의 상하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지지통(33)은, 또한 복수 개의 접속홈(39)을 가지고 있다. 접속홈(39)은, 상하로 인접하는 가로 홈(38)의 길이 방향의 단부끼리를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리브(35)는, 접속홈(39)을 통하여, 복수 개의 가로 홈(38)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워맞추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 경우, 복수 개의 가로 홈(38)에 대한 리브(35)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있어서, 접속통부(15)는, 복수 개의 리브(35)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1개의 리브(35)를 가지는 접속통부(15)도 채용할 수 있다. 즉, 리브(35)는, 1개 이상 있으면 된다.
또한, 접속통부(15)는, 변기 외곽(3)의 높이 방향을 따른 회전축을 가지고 있다. 접속통부(15)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지지통(3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통(33)에 유지되어 있다. 이 경우, 변기 외곽(3)을 회전시킨 경우, 리브(35)는, 복수 개의 가로 홈(38)을 따라 이동한다. 즉, 변기 외곽(3)을 회전시킨 경우, 리브(35)는, 복수 개의 가로 홈(38)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변화한다. 따라서, 변기 외곽(3)을 회전시킴으로써, 리브(35)를 접속홈(39)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리브(35)는, 접속홈(39)을 통하여, 복수 개의 가로 홈(38)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워맞추어지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복수 개의 가로 홈(38)과 복수 개의 접속홈(39)은, 사행된 사행홈(37)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리브(35)가 접속홈(39)에 위치하는 경우, 리브(35)는 인접하는 접속홈(39)으로만 이동 가능해진다. 따라서, 리브(35)가 복수 개의 가로 홈(38)에 걸쳐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반 변기는, 또한 록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록 수단은, 변기 외곽(3)이 지지통(33)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록 수단은, 변기 외곽(3)이 지지통(33)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록 수단이 장착되었을 때, 변기 외곽(3)은, 지지통(33)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록 수단을 장착한 경우, 사용자가 착석(着席)하여 움직여도, 변기 외곽(3)은 받침대(2)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는다.
그리고, 록 수단은, 하측 요결부(41)와, 상측 요결부(42)와, 록 부재(40)를 가지고 있다. 하측 요결부(41)는, 받침대(2)에 설치되어 있다. 상측 요결부(42)는, 변기 외곽(3)에 설치되어 있다. 하측 요결부(41)와 상측 요결부(42)가 대향하도록 변기 외곽(3)이 받침대(2)에 대하여 배치되었을 때, 변기 외곽(3)은 제1 상태를 가지고 있다. 변기 외곽(3)이 제1 상태를 가질 때, 록 부재(40)는 하측 요결부(41) 및 상측 요결부(42)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록 부재(40)가 하측 요결부(41) 및 상측 요결부(42)에 끼워져 있을 때, 록 부재(40)는, 변기 외곽(3)이 지지통(33)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 가반 변기
2: 받침대
3: 변기 외곽
6: 오물 받이부
17: 상측 개구
31: 중앙 연결부
32: 높이 조절 수단
33: 지지통
35: 접속통부

Claims (3)

  1. 바닥 상에 배치되는 받침대(pedestal)와, 상기 받침대 단독으로 지지되는 변기(便器) 외곽(外郭)과, 상기 변기 외곽의 내측에 설치되는 오물 받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와 변기 외곽이 상기 받침대의 평면에서 볼 때 중앙부와 상기 변기 외곽의 저부(底部) 중앙부를 접속하는 중앙 연결부를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중앙 연결부에 상기 변기 외곽의 받침대에 대한 높이를 변경하기 위한 높이 조절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중앙 연결부 내에 상기 오물 받이부의 하부가 배치된, 가반(可搬) 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연결부는, 상기 받침대의 평면에서 볼 때 중앙부로부터 위쪽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통과, 상기 변기 외곽의 하면 중앙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돌출되는 접속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통에 상기 접속통부가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끼워넣어지고, 상기 접속통부의 내측에 상기 오물 받이부가 배치된, 가반 변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외곽의 상면부에 상기 변기 외곽 내로 통하는 상측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 개구로부터 상기 변기 외곽 내에 수납되는 상기 오물 받이부가, 변 용기와, 상기 변 용기가 수납되는 오염 방지 용기로 구성되며, 상기 변 용기의 상측 개구 둘레부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오염 방지 용기의 상측 에지부 상에 탑재되는 변 용기 피탑재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염 방지 용기의 상측 개구 둘레부에 상기 변 용기 피탑재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변기 외곽의 상측 개구의 에지부 상에 탑재되는 오염 방지 용기 피탑재부가 형성된, 가반 변기.
KR1020110087972A 2011-01-24 2011-08-31 가반 변기 KR1012498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11589A JP5537449B2 (ja) 2011-01-24 2011-01-24 可搬便器
JPJP-P-2011-011589 2011-0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637A true KR20120085637A (ko) 2012-08-01
KR101249872B1 KR101249872B1 (ko) 2013-04-02

Family

ID=46517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972A KR101249872B1 (ko) 2011-01-24 2011-08-31 가반 변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537449B2 (ko)
KR (1) KR101249872B1 (ko)
CN (1) CN102599844B (ko)
TW (1) TWI4681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98488B2 (ja) * 2013-07-03 2017-09-20 アロン化成株式会社 ポータブルトイレ
JP6198487B2 (ja) * 2013-07-03 2017-09-20 アロン化成株式会社 便座及びその便座を備えたポータブルトイレ
JP6148919B2 (ja) * 2013-07-11 2017-06-14 アロン化成株式会社 軸保持構造およびポータブルトイレ
JP5674978B2 (ja) * 2014-06-23 2015-02-25 アロン化成株式会社 ポータブルトイレ
JP5674982B2 (ja) * 2014-06-23 2015-02-25 アロン化成株式会社 ポータブルトイレ
JP5674981B2 (ja) * 2014-06-23 2015-02-25 アロン化成株式会社 ポータブルトイレ
JP5674980B2 (ja) * 2014-06-23 2015-02-25 アロン化成株式会社 ポータブルトイレ
JP5674979B2 (ja) * 2014-06-23 2015-02-25 アロン化成株式会社 ポータブルトイレ
JP5731694B2 (ja) * 2014-06-23 2015-06-10 アロン化成株式会社 ポータブルトイレ
JP5731695B2 (ja) * 2014-06-23 2015-06-10 アロン化成株式会社 ポータブルトイレ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897U (ko) * 1986-08-19 1988-03-01
CN87107827A (zh) * 1986-10-20 1988-06-01 伊安·弗朗克·道格拉斯 不用水冲的便携式马桶
JP2001271410A (ja) * 2000-03-27 2001-10-05 Toto Ltd 排水ソケット、排水ソケットを備えた水洗便器、および、排水ソケットに接続される水洗便器
JP4381268B2 (ja) * 2004-09-24 2009-12-09 アロン化成株式会社 簡易便器における脚部取付け構造
JP4443362B2 (ja) 2004-09-24 2010-03-31 アロン化成株式会社 簡易便器
GB2432309A (en) * 2005-11-22 2007-05-23 Bei Yu Ind Co Portable toilet
JP5080824B2 (ja) * 2007-02-26 2012-11-21 パナソニックエイジフリーライフテック株式会社 可搬便器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脚体
JP5357397B2 (ja) 2007-02-26 2013-12-04 パナソニックエイジフリーライフテック株式会社 可搬便器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汚物受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99844B (zh) 2015-04-01
KR101249872B1 (ko) 2013-04-02
JP2012152254A (ja) 2012-08-16
CN102599844A (zh) 2012-07-25
TWI468138B (zh) 2015-01-11
TW201230998A (en) 2012-08-01
JP5537449B2 (ja) 201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9872B1 (ko) 가반 변기
US20140259354A1 (en) Potty with liquid management system
JP2012152256A (ja) 可搬便器
KR20100051295A (ko) 휴대용 변기
GB2473273A (en) Urinal insert
JP4436178B2 (ja) 家具調ポータブルトイレ
US5987657A (en) Toilet attachment and aid
US20180344097A1 (en) Replaceable support device for use with bathing apparatus
JP5537450B2 (ja) 可搬便器
JP6310214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CN210056566U (zh) 一种多功能医疗护理床
JP5759189B2 (ja) ペーパーホルダー
CN214530965U (zh) 一种蹲坐两用马桶
AU2004100961A4 (en) A Shower Chair
JP5731694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CN215189800U (zh) 一种洗头装置
CN218500942U (zh) 一种新型大便器
CN212016041U (zh) 一种卧床病人洗头装置
KR101223774B1 (ko) 휠체어 부착용 환자리프트
CN217660554U (zh) 一体式大小便容器
JP2001095619A (ja) 洗髪車
KR20090119158A (ko) 이동식 욕조 장치
JP6077959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JP4340631B2 (ja) 和式便器用椅子
JP5735167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