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1295A - 휴대용 변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1295A
KR20100051295A KR1020080110398A KR20080110398A KR20100051295A KR 20100051295 A KR20100051295 A KR 20100051295A KR 1020080110398 A KR1020080110398 A KR 1020080110398A KR 20080110398 A KR20080110398 A KR 20080110398A KR 20100051295 A KR20100051295 A KR 20100051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seat
portable toilet
sides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0052B1 (ko
Inventor
박용창
Original Assignee
박용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창 filed Critical 박용창
Priority to KR1020080110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0052B1/ko
Publication of KR20100051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1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A47K11/045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inflatable or with infla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첩을 통해 부피의 축소가 가능함에 따라 보호자들이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어, 유아 또는 미취학 아동이 화장실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야외에서도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며, 유아나 미취학 아동의 신체조건에 따라, 좌대의 높이를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변기는, 바닥면 상의 지지를 위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하며 그 중앙에는 용변의 수용이 가능한 비닐봉지가 착탈가능하게 고정가능한 통공이 형성되는 좌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좌대의 양측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X자바를 통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한 상기 좌대의 높이조절 및 절첩을 가능하게 하는 높이조절수단과,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좌대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높이조절수단과 상기 비닐봉지를 둘러싸며 상기 높이조절수단의 높이조절 및 절첩에 따라 그 자체가 신축되는 벨로우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좌대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좌대의 통공을 개폐하는 개폐커버와, 상기 좌대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의 소변비산을 방지하는 비산방지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변기, 좌대, 높이조절수단, X자바, 벨로우즈, 개폐커버, 비산방지커버

Description

휴대용 변기{PORTABLE TOILET BOWL}
본 발명은 휴대용 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 또는 미취학 아동이 화장실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야외에서도 용변을 볼 수 있도록 보호자들이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유아 또는 미취학 아동의 배변습관을 길러주기 위해 유아용 변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아용 변기는 상당한 부피를 가지고 있어, 가정 내에서 사용하는 것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화장실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야외에서 휴대하여 사용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야외에서 사용가능한 변기가 개발되고는 있지만, 휴대를 위한 부피의 한계가 있어 대부분 소변용으로 개발되고 있을 뿐, 대변까지 가능한 휴대용 변기는 개발되고 있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절첩을 통해 부피의 축소가 가능함에 따라 보호자들이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어, 유아 또는 미취학 아동이 화장실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야외에서도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변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아나 미취학 아동의 신체조건을 고려하여, 좌대의 높이를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변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면 상의 지지를 위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하며 그 중앙에는 용변의 수용이 가능한 비닐봉지가 착탈가능하게 고정가능한 통공이 형성되는 좌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좌대의 양측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X자바를 통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한 상기 좌대의 높이조절 및 절첩을 가능하게 하는 높이조절수단과,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좌대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높이조절수단과 상기 비닐봉지를 둘러싸며 상기 높이조절수단의 높이조절 및 절첩에 따라 그 자체가 신축되는 벨로우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변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좌대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좌대의 통공을 개폐하는 개폐커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좌대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설치 되며 사용자의 소변비산을 방지하는 비산방지커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좌대의 양측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좌대를 절첩 및 높이조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X자바와, X자바의 하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양측을 따라 주행가능한 휠과, 상기 좌대의 양측 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X자바의 상단이 단계적으로 걸려져 지지되며 탄성스프링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탄성바이어스되는 다단스토퍼와, 상기 다단스토퍼들에 각각 연결되며 그 일단은 상기 좌대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견인을 통해 다단스토퍼를 해제시키는 견인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후 양측에는 결합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좌대의 전후 양측에는 상기 높이조절수단에 의한 절첩시 상기 결합돌기에 각각 결합되어 그 절첩상태를 유지시키는 회동고리가 힌지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변기에 의하면, 높이조절수단의 조작을 통한 절첩을 통해 전체부피를 축소시킬 수가 있어 보호자로 하여금 휴대가 용이하게 하게, 사용시 높이조절수단을 조절을 통해 사용하는 유아나 미취학 아동의 신체조건에 상응하게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변기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변기의 내부구조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변기에 있어서, 좌대의 높이조절 작동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변기의 절첩 작동도가 도시되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변기의 절첩된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변기(1)는, 절첩을 통해 부피의 축소가 가능함에 따라 보호자들이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어 유아 또는 미취학 아동이 화장실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야외에서도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며, 유아나 미취학 아동의 신체조건에 따라 좌대의 높이를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바닥면 상의 지지를 위한 베이스프레임(10)과,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하며 그 중앙에는 용변의 수용이 가능한 비닐봉지(3)가 착탈가능하게 고정가능한 통공(21)이 형성되는 좌대(20)와, 베이스프레임(10)과 좌대(20)의 양측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X자바(31)를 통해 베이스프레 임(10)에 대한 좌대(20)의 높이조절 및 절첩을 가능하게 하는 높이조절수단(30)과, 베이스프레임(10)과 좌대(20)를 서로 연결하며 높이조절수단(30)과 비닐봉지(3)를 둘러싸며 높이조절수단(30)의 높이조절 및 절첩에 따라 그 자체가 신축되는 벨로우즈(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베이스프레임(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변기(1)로 하여금 바닥면 상에 놓여져 지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사각틀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형을 비롯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에는 좌대(20)가 위치되는데, 이 좌대(20)는 사용자의 둔부가 접촉되어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하는 일종의 지지판으로, 그 중앙에는 용변의 수용이 가능한 비닐봉지(3)가 그 내부로 착탈가능하게 고정가능한 통공(21)이 형성된다. 좌대(20)는 베이스프레임(10)의 형상에 상응하게 사각틀로 도시되어 있으나 타원형 등 베이스프레임(10)이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그 형상에 상응하게 변경가능하다.
베이스프레임(10)과 좌대(20)의 양측 사이에는 높이조절수단(30)이 각각 개재되는데, 이 높이조절수단(30)은 X자바(31)를 통해 베이스프레임(10)에 대한 좌대(20)의 높이조절 및 절첩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베이스프레임(10)과 좌대(20)의 양측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베이스프레임(10)과 좌대(20)를 절첩 및 높이조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X자바(31)와, X자바(31)의 하단에 각각 구비되고 베이스프레임(10)의 양측을 따라 주행가능한 휠(33)과, 좌대(20)의 양측 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X자바(31)의 상단이 단계적으로 걸려져 지지되며 탄성스프링(35a) 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탄성바이어스되는 다단스토퍼(35)와, 다단스토퍼(35)에 각각 연결되며 그 일단은 좌대(20)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와이어(37)와, 와이어(35)의 일단에 연결되어 와이어(37)의 견인을 통해 다단스토퍼(35)를 해제시키는 견인손잡이(3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X자바(31)는 2개의 바의 중앙이 상호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베이스프레임(10)과 좌대(20)의 양측 사이에 개재되는데, 이러한 X자바(31)의 설치를 위하여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면에는 X자바(31)의 하단에 구비되는 휠(33)이 주행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가이드레일(도시되지 않음)이 양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좌대(20)의 하부면에는 X자바(31)의 상단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다단스토퍼(35)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가이드레일(도시되지 않음)이 양측으로 연장형성된다.
또한 제 2 가이드레일 내에 설치되는 다단스토퍼(35)는 하방으로 직립되어 X자바(31)의 상단의 이동을 저지하는 것으로, 탄성스프링(35a)에 의해 항상 하방으로 직립하도록 탄성바이어스되며,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1개의 제 2 가이드레일 내에서도 전방측과 후방측이 서로 반대의 회동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1개의 제 2 가이드레일 내에서 전방측에 위치되는 다단스토퍼(35)에 연결되는 와이어(37)의 일단은 후방으로 그대로 연장되지만, 1개의 제 2 가이드레일 내에서 후방측에 위치되는 다단스토퍼(35)에 연결되는 와이어(37)는 전방측으로 연장된 후 방향전환롤러(37a)를 거쳐 그 일단이 후방 으로 다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보호자가 견인손잡이(39)를 통해 와이어(37)의 일단을 후방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제 2 가이드레일 내에서 전방측에 위치되는 다단스토퍼(35)는 전방으로 회동되고 제 2 가이드레일 내에서 후방측에 위치되는 다단스토퍼(35)는 후방으로 회동되면서 X자바(31)의 상단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됨에 따라 도 3에 도시도는 바와 같은 좌대(20)의 높이조절이나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베이스프레임(10)과 좌대(20)의 절첩이 가능해진다.
전술한 베이스프레임(10)과 좌대(20)는 벨로우즈(4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데, 전술한 높이조절수단(30)을 그 외부에서 둘러쌀 뿐만 아니라 통공(21)을 통해 그 내부에 설치되는 비닐봉지(3)를 둘러싸며, 높이조절수단(30)의 높이조절 및 절첩에 따라 그 자체가 신축되는 것으로,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로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변기(1)의 절첩시 그 절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베이스프레임(10)의 전후 양측에는 결합돌기(11)가 돌출형성되고 좌대(20)의 전후 양측에는 높이조절수단(30)에 의한 절첩시 베이스프레임(10)의 결합돌기(11)에 각각 결합되어 그 절첩상태를 유지시키는 회동고리(23)가 힌지결합된다.
전술한 좌대(20)의 후방에는 개폐커버(5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개폐커버(50)는 회동을 통해 좌대(20)의 통공(21)을 개폐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사용중에 후방으로 90도로 회동되어 유아나 미취학아동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 힌지결합구(51)에 의해 좌대(20)의 후방에 90도 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좌대(20)에 개폐커버(50)의 폐쇄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좌대(20)의 전방 상부에는 자석결합구(25)가 구비되고 개폐커버(50)에는 자석결합구(25)에 착탈가능하게 결합가능한 금속결합구(53)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좌대(20)의 전방에는 비산방지커버(6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비산방지커버(60)는 사용중에 좌대(20)의 전방으로 90도 회동되어 유아나 미취학아동의 부주의에 의한 소변비산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종의 회동판과 유사한 구조로 형성된다.
미사용중 비산방지커버(60)는 개폐커버(50)의 폐쇄에 의해 전방으로 회동되지 못하게 고정되는데, 이를 위해 개폐커버(50)에는 비산방지커버(60)가 수용가능한 수용홈(55)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변기(1)의 경우에는 야외에서의 휴대시에 높이조절수단(30)의 조작을 통해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과 좌대(20)가 거의 맞닿을 정도로 절첩시켜 전체부피를 축소시킨 후, 좌대(20)의 회동고리(23)를 베이스프레임(10)의 결합돌기(11)에 걸어 그 절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어 보호자가 휴대하여 운반하기에 매우 용이하다.
또한 가정 또는 야외에서 유아나 미취학 아동이 용변을 보기 위해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견인손잡이(39)를 통해 와이어(37)의 일단을 후방으로 잡아당겨 다단스토퍼(35)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베이스프레임(10)에 대해 좌대(20)를 들어올린 후 적절한 높이에서 견인손잡이(39)만 놓게 되면 X자바(31)의 상단이 다단스토 퍼(35)에 걸려져 베이스프레임(10)에 대해 좌대(20)가 적정한 높이에서 유지되게 한 후 좌대(20)에 비닐봉지(3)를 고정시켜 통공(21) 내에 위치시킨 후, 유아나 미취학아동으로 하여금 사용하게 하면 된다.
이 경우에 X자바(31)의 상단이 다단스토퍼(35)에 걸려지는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변기(1) 사용하는 유아나 미취학 아동의 신체조건에 상응하게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 완료후에는 비닐봉지(3)를 분리하여 적절히 처리한 후, 견인손잡이(39)를 통해 와이어(37)의 일단을 후방으로 잡아당겨 다단스토퍼(35)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베이스프레임(10)에 대해 좌대(20)를 하방으로 밀어, 또다시 베이스프레임(10)과 좌대(20)가 거의 맞닿을 정도로 절첩시켜 전체부피를 축소시킨 후, 좌대(20)의 회동고리(23)를 베이스프레임(10)의 결합돌기(11)에 걸어 그 절첩상태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보호자가 휴대하여 운반하거나 특정장소에 보관하면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변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변기의 내부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변기에 있어서, 좌대의 높이조절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변기의 절첩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변기의 절첩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변기
3 : 비닐봉지
10 : 베이스프레임
20 : 좌대
30 : 높이조절수단
31 : X자바
40 : 벨로우즈
50 : 개폐커버
60 : 비산방지커버

Claims (5)

  1. 바닥면 상의 지지를 위한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하며 그 중앙에는 용변의 수용이 가능한 비닐봉지가 착탈가능하게 고정가능한 통공이 형성되는 좌대;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좌대의 양측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X자바를 통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한 좌대의 높이조절 및 절첩을 가능하게 하는 높이조절수단;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좌대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높이조절수단과 상기 비닐봉지를 둘러싸며 상기 높이조절수단의 높이조절 및 절첩에 따라 그 자체가 신축되는 벨로우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변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대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좌대의 통공을 개폐하는 개폐커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변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좌대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의 소변비산을 방지하는 비산방지커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변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좌대의 양측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좌대를 절첩 및 높이조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X자바와, X자바의 하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양측을 따라 주행가능한 휠과, 상기 좌대의 양측 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X자바의 상단이 단계적으로 걸려져 지지되며 탄성스프링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탄성바이어스되는 다단스토퍼와, 상기 다단스토퍼들에 각각 연결되며 그 일단은 상기 좌대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견인을 통해 다단스토퍼를 해제시키는 견인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변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후 양측에는 결합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좌대의 전후 양측에는 상기 높이조절수단에 의한 절첩시 상기 결합돌기에 각각 결합되어 그 절첩상태를 유지시키는 회동고리가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변 기.
KR1020080110398A 2008-11-07 2008-11-07 휴대용 변기 KR101030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398A KR101030052B1 (ko) 2008-11-07 2008-11-07 휴대용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398A KR101030052B1 (ko) 2008-11-07 2008-11-07 휴대용 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295A true KR20100051295A (ko) 2010-05-17
KR101030052B1 KR101030052B1 (ko) 2011-04-21

Family

ID=42277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398A KR101030052B1 (ko) 2008-11-07 2008-11-07 휴대용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005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09895A (zh) * 2011-08-18 2012-04-11 蔡超 便携式野外单人厕所
CN104013348A (zh) * 2014-06-26 2014-09-03 王继刚 马桶
CN104224023A (zh) * 2014-09-16 2014-12-24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外出应急如厕套装及其使用方法
CN104224024A (zh) * 2014-09-16 2014-12-24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便携组装式蹲便器及其使用方法
KR101603075B1 (ko) * 2014-12-11 2016-03-14 김철암 휴대용 소변기
CN105877586A (zh) * 2016-04-29 2016-08-24 宁波大红鹰学院 儿童便携坐便器及其使用方法
CN105877590A (zh) * 2016-06-06 2016-08-24 姚水福 坐便架
CN110485529A (zh) * 2019-06-20 2019-11-22 佛山职业技术学院 一种升降马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408B1 (ko) 2018-08-31 2019-11-04 유동덕 이동식 간이 변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5790B1 (en) 2000-08-23 2002-05-14 John Abraham Portable toilet
JP4508384B2 (ja) * 2000-08-29 2010-07-21 株式会社木村技研 移動式トイレ
KR200237688Y1 (ko) 2001-04-26 2001-10-12 임홍식 높이 조절용 텔레비젼 받침대
JP2007151564A (ja) * 2005-08-15 2007-06-21 Katsuyoshi Kishikawa 多機能携帯トイレ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09895A (zh) * 2011-08-18 2012-04-11 蔡超 便携式野外单人厕所
CN104013348A (zh) * 2014-06-26 2014-09-03 王继刚 马桶
CN104224023A (zh) * 2014-09-16 2014-12-24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外出应急如厕套装及其使用方法
CN104224024A (zh) * 2014-09-16 2014-12-24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便携组装式蹲便器及其使用方法
KR101603075B1 (ko) * 2014-12-11 2016-03-14 김철암 휴대용 소변기
CN105877586A (zh) * 2016-04-29 2016-08-24 宁波大红鹰学院 儿童便携坐便器及其使用方法
CN105877586B (zh) * 2016-04-29 2018-08-31 宁波大红鹰学院 儿童便携坐便器及其使用方法
CN105877590A (zh) * 2016-06-06 2016-08-24 姚水福 坐便架
CN110485529A (zh) * 2019-06-20 2019-11-22 佛山职业技术学院 一种升降马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0052B1 (ko) 201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052B1 (ko) 휴대용 변기
US7779489B2 (en) Potty bench with storage
US8079097B2 (en) Child's toilet training chair
KR101098725B1 (ko) 유아 세정보조기구
JP2010516324A (ja) 幼児用トイレットトレーナ
KR101475778B1 (ko) 변기 시트 개폐장치
GB2404649A (en) A bathing device having a reclinable backrest for use by a disabled person
KR101533830B1 (ko) 육아 보조기구
JP3199367B2 (ja) 椅子型簡易便器
KR101650536B1 (ko) 휴대형 유아 변기
US2582321A (en) Backrest for toilet seats
CN210784139U (zh) 一种幼儿与成人皆可用的马桶
JP5537451B2 (ja) 可搬便器
CN209547876U (zh) 一种应用于移动厕所的马桶
KR20110113993A (ko) 유아를 위한 휴대용 변기
KR102132304B1 (ko) 접이식 유아용 비데
JP5537450B2 (ja) 可搬便器
KR20120034959A (ko) 변기시트
JP3155979U (ja) 組立て式簡易トイレ
KR101219246B1 (ko) 유아용 변기 겸용 샤워기
KR20140069967A (ko) 유아 세정보조기구
JP2006110189A (ja) 椅子型簡易便器
KR101588638B1 (ko) 변기 시트 개폐장치
KR200342262Y1 (ko) 변기 겸용 접이식 세발의자
JP3106591U (ja) 浴室用折たたみ式い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