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4716A - 되메우기 구조물 및 되메우기 공법 - Google Patents
되메우기 구조물 및 되메우기 공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84716A KR20120084716A KR1020127006498A KR20127006498A KR20120084716A KR 20120084716 A KR20120084716 A KR 20120084716A KR 1020127006498 A KR1020127006498 A KR 1020127006498A KR 20127006498 A KR20127006498 A KR 20127006498A KR 20120084716 A KR20120084716 A KR 201200847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panel
- backfill
- backfilling
- sheet members
- mesh she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 후의 옹벽의 불안정 등의 문제가 없고, 비교적 소규모의 토지개량에 적합한 되메우기 구조물의 실현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되메우기 구조물에 있어서, 생지부의 전면에 세워설치된 복수의 벽면패널(1)과, 벽면패널에 설치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벽면패널 전면측에서 긴밀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2)와, 연결부재(2)의 타단측이 체결된 망형상 시트(3)와, 망형상 시트(3) 상에 채워져서 망형상 시트(3)를 매설 고정하는 되메우기 본체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벽면패널(1)과 벽면패널 배면측과 생지부 사이를 되메우기토 본체에 의해 성토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되메우기 구조물에 있어서, 생지부의 전면에 세워설치된 복수의 벽면패널(1)과, 벽면패널에 설치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벽면패널 전면측에서 긴밀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2)와, 연결부재(2)의 타단측이 체결된 망형상 시트(3)와, 망형상 시트(3) 상에 채워져서 망형상 시트(3)를 매설 고정하는 되메우기 본체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벽면패널(1)과 벽면패널 배면측과 생지부 사이를 되메우기토 본체에 의해 성토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물의 기초부분이나 지하구조물을 구축할 때에 주변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되메우기 구조물 및 되메우기 공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기초부분이나 지하실 등의 지하구조물을 구축할 경우, 우선 주변의 생지를 굴삭하여 필요한 폭을 확보하고, 경사면 한쪽에 옹벽이나 기초 등을 마련하여 그 배면측에 굴삭한 흙을 되메우기 함으로써 흙막이벽이 되는 되메우기 구조물을 구축하는 것이 일반적인 공법이다.
이 종래의 되메우기 구조물의 구성 및 공법에 대하여 도 10~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종래의 되메우기 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B-B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되메우기 구조물에서는 되메우기부(6)의 경계면에 런너(7)를 개재하여 벽면패널(101)을 세워설치하고, 이 벽면패널(101)의 생지측과 반대측(이하, 간단히 「전면측」이라 함)에 벽면패널(101)에 고정하여 설치된 가로봉(102)으로부터 벽면패널(101)에 설치된 관통공(도시 생략)을 통하여 펼쳐진 보조용 와이어(103)를 생지부(5)에 박아넣은 앵커 등의 지지항(104)에 체결하여 벽면패널(101)에 걸리는 토압을 지지항(104)의 인발 저항력과의 균형으로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보조용 와이어(103)의 인장방향은 반드시 한방향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체적으로 균형을 잡기 쉬운 방향으로, 필요하다면 복수방향으로 당기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이러한 종래의 되메우기 구조물의 시공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시공에 있어서는 우선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굴삭하여 형성된 되메우기부(6)에 런너(7)를 개재하여 벽면패널(101)을 세워설치한다. 벽면패널(101)의 전면측에 고정하여 설치된 가로봉(102)으로부터 벽면패널(101)에 설치된 관통공을 통하여 펼쳐진 보조용 와이어(103)를 빼낸다. 그리고 생지부(5)에 지지항(104)을 박아넣고, 이 지지항(104)에 보조용 와이어(103)를 체결한다. 그리고, 보조용 와이어(103)와 지지항(104)이 메워질 정도로 되메우기토를 반입하여 되메우기한다. 이 때 되메우기토에 대하여 전압작업을 행하여 되메우기토을 다진다.
그리고, 도 12(b) 및 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벽면패널(101)의 바닥부로부터 상부로 향하여 이 작업을 반복하고, 벽면패널(101)의 높이와 같은 정도까지 되메우기를 행하여 되메우기 구조물을 구축한다. 이렇게 하여 구축된 되메우기 구조물은 되메우기부(6)의 토압과 지지항(104)의 인발 저항력과의 균형에 의해 벽면패널(101)을 지지하여 안정화시키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의 지지항(104)을 타설하기 위한 최적의 시공방법은 생지나 지반의 토질이나 시공환경의 조건에 맞추어 달라진다. 그 때문에 반드시 항상 안정된 인발 저항력이 얻어지는 것은 아니고, 지지항(104)의 수나 시공위치, 보조용 철근의 굵기나 꼬임개수 등은 시공환경에 따라 바꿀 필요가 있고, 여기에 되메우기토 부분에서는 시공후 생지의 변동이나 빗물의 영향 등에 의해 지지항의 시공위치가 어긋나기 쉬워 의도한 대로 인발 저항력이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압작업에 의해 다짐을 행함으로써 되메우기부(6) 내의 공극을 없애서 되메우기부(6)를 더욱 치밀한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작업에 의해 되메우기부(6)의 내부에서 보조용 와이어(103)가 벽면패널(101) 방향 혹은 생지부(5) 방향으로 당겨져 버린다. 그 때문에 벽면패널(101)이 기울어지거나 보조용 와이어(103)가 당겨짐으로써 생지부(5)로부터 지지항(104)이 빠져버리는 등의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충분한 전압작업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주변 지반의 변동이나 빗물의 영향을 받기 쉬운 취약한 되메우기 구조물이 되어버린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성토의 법면에 경사틀을 설치하고, 이 경사틀의 내측에 식생토부재와 성토본체를 마련하여 경사틀의 저부에 성토본체를 매설 고정되는 망형상 시트를 설치한 경량 성토구조가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지지항이나 앵커를 이용한 되메우기 공법에서는 의도한 대로의 인발 저항력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어 옹벽이 되메우기토의 측압에 의해 밀려 넘어지는 등 불안정한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은 철제의 대형 경사틀을 준비해야 하므로 대형 공사에는 유효하지만 일반적인 건축부지의 지반개량 등을 목적으로 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여 시공 후의 옹벽이 불안정하다는 등의 문제가 없고, 비교적 소규모의 토지개량에 적합한 되메우기 구조물 및 되메우기 공법의 실현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되메우기 구조물은 굴삭한 흙을 되메우기 함으로써 지하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되메우기 구조물에 있어서, 생지부의 법면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세워설치된 복수의 벽면패널과, 상기 복수의 벽면패널의 높이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복수의 시트부재와, 상기 복수의 시트부재와 상기 복수의 벽면패널을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갖고, 상기 소정의 간격 내에 상기 굴삭한 흙을 되메우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벽면패널에 연결된 상기 복수의 시트부재가 각각 지면과 대략 평행이 되도록 부설되어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되메우기 구조물은 상기 복수의 시트부재가 망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되메우기 구조물은 상기 복수의 시트부재가 강제?직포제?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되메우기 구조물은 상기 복수의 시트부재의 길이가 벽면패널(1)의 높이방향의 길이의 약 1/3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되메우기 공법은 굴삭한 흙을 되메우기 함으로써 지하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되메우기 공법에 있어서, 되메우기를 행하는 지면을 굴삭하는 굴삭공정과, 생지부의 전면에 벽면패널을 세워설치하는 패널 입설공정과, 상기 벽면패널에 복수의 시트부재를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생지부와 상기 벽면패널 사이의 되메우기부를 상기 복수의 시트부재의 부설레벨까지 되메우는 되메우기 공정과, 상기 복수의 시트부재의 매수만큼 반복하여 되메운 후에 정지를 행하는 정지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되메우기 공법은, 굴삭한 흙을 되메우기 함으로써 지하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되메우기 공법에 있어서, 되메우기를 행하는 지면을 굴삭하는 굴삭공정과, 생지부의 전면에 벽면패널을 세워설치하는 패널 입설공정과, 상기 벽면패널에 복수의 시트부재를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생지부와 상기 벽면패널 사이의 되메우기부를 상기 복수의 시트부재의 부설레벨까지 되메우는 되메우기 공정과, 상기 복수의 시트부재의 부설레벨까지 되메우기한 후에 상기 부설레벨면에 전압을 행하는 전압공정과, 상기 되메우기 공정과 상기 전압공정을 상기 시트부재의 매수만큼 반복하여 행한 후에 정지를 행하는 정지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하고 처리하므로 소규모의 토지에서의 시공에 적합하고, 현지의 상황에 맞는 시공이 가능하며, 옹벽을 형성하는 벽면패널을 시공후 장기에 걸쳐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되메우기 구조물과 되메우기 공법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되메우기 구조물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실시예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이용되는 연결부재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되메우기 공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되메우기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연결부재의 상세도이다.
도 7은 제 2 실시예의 되메우기 구조물의 시공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제 2 실시예의 되메우기 구조물의 시공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제 2 실시예의 되메우기 구조물의 시공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종래의 되메우기 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B-B 단면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되메우기 구조물의 시공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실시예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이용되는 연결부재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되메우기 공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되메우기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연결부재의 상세도이다.
도 7은 제 2 실시예의 되메우기 구조물의 시공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제 2 실시예의 되메우기 구조물의 시공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제 2 실시예의 되메우기 구조물의 시공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종래의 되메우기 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B-B 단면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되메우기 구조물의 시공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되메우기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도 3에서 부호 1은 벽면패널, 부호 2는 연결부재, 부호 3은 망형상 시트, 부호 4는 되메우기토 본체, 부호 5는 생지부, 부호 6은 되메우기부, 부호 21은 3형 와셔, 부호 22는 슬랩 링, 부호 23은 너트, 부호 24는 가로봉, 부호 31은 보조용 와이어를 나타낸다. 이하, 도 1~도 3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되메우기 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생지부(5)의 전면에는 생지부(5)의 법면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벽면패널(1)이 세워설치되어 있고, 되메우기 구조물의 앞가장자리 구획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생지부(5)의 전면과 복수의 벽면패널(1) 사이에 망형상 시트(3)가 매설된다. 이 망형상 시트(3)는 보조용 와이어(31)를 통하여 연결부재(2)에 체결되어 있다. 연결부재(2)는 벽면패널(1)에 설치된 관통공(도시 생략)에 그 일단이 관통되어 있고, 그 일단측에 보조용 와이어(31)가 접속된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벽면패널(1)은 미리 굴삭면에 설치된 런너(7) 상에 세워설치되어 있다. 벽면패널(1)의 최저부에는 벽면패널(1)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망형상 시트(3)가 지면부분을 덮도록 부설되고, 비스(8) 등으로 벽면패널(1)에 직접 고정되어 있다.
최저부 이외의 벽면패널(1)의 높이방향의 복수의 부위에는 망형상 시트(3)가 각각 보조용 와이어(31)를 통하여 연결부재(2)에 체결되어 있다. 이 망형상 시트(3)는 되메우기부(6)에서 각각 되메우기토(4)에 의해 지면에 대략 평행하게 매설된다. 도면에서는 높이방향을 따라 지면에 대략 평행하게 복수층 겹쳐서 매설된 3매의 망형상 시트(3)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망형상 시트(3)의 각각에는 되메우기토(4)의 토압이 가해진다. 이 토압에 의해 망형상 시트(3)는 종래와 같이 지지항을 치지 않아도 생지부(5)를 되메우기부(6)에 의해 충분히 계류할 수 있고, 벽면패널(1)에 걸리는 토압과 균형을 잡아 벽면패널(1)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이용하는 벽면패널(1)은 예를 들어 고내식성의 도금을 실시한 강제형 틀「E-PANET」(등록상표) 등이 사용 가능하며, 망형상 시트(3)에는 강제 또는 수지제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서 이용하는 연결부재(2)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연결부재(2)는 3형 와셔(21), 슬랩 링(22)과 너트(23)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사용시는 슬랩 링(22)을 생지부(5)측으로부터 벽면패널(1)에 설치된 관통공으로 관통시키고, 벽면패널(1)의 전면측에서 3형 와셔(21)로 통하고, 너트(23)로 긴밀하게 결합한다. 그리고 3형 와셔(21)의 금구의 만곡면과 벽면패널(1)의 전면측에서 형성되는 간극에 가로봉(24)(여기에서는 10mmø의 철근을 이용하고 있다)을 끼워 체결한다. 이 가로봉(24)의 체결에 의해 벽면패널(1)은 좌우의 벽면패널과 연결되어 필요한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벽면패널(1)에 대하여 망형상 시트(3)를 체결하려면 반드시 이 연결부재(2)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예를 들어 벽면패널(1)에 직접 망형상 시트(3)를 장착해도 된다.
도 1에서는 3조의 벽면패널(1)의 각각으로부터 망형상 시트(3)를 지면에 대략 평행하게 부설하여 매설하도록 하고 있으나, 반드시 모든 벽면패널(1)로부터 망형상 시트(3)를 인출할 필요는 없고, 벽면패널(1)이 상호 연결되어 있으면 일부를 생략하거나 일부를 종래예에 나타낸 지지항에 의한 연결로 치환해도 된다.
도 4는 제 1 실시예에서의 되메우기 공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플로우차트에 덧붙여서 제 1 실시예에서의 되메우기 공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되메우기 공법은 굴삭한 지면에 지하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되메우기 공법이다.
우선, 소정 구획의 지면을 굴삭한다(단계 S1 : 굴삭공정). 그리고 굴삭된 굴삭면의 소정의 위치에 벽면 패널(1)을 세워설치한다(단계 S2 : 패널입설공정).
이어서, 벽면패널(1)의 최저부에 망형상 시트(3)를 체결하여 부설하고, 되메우기토(4)를 반입하여 되메운다(단계 S3 : 되메우기 공정). 이어서, 벽면패널(1)의 높이방향 부설레벨면에 망형상 시트(3)를 부설한다(단계 S4 : 부설공정), 이어서, 벽면패널(1)의 높이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높이까지 망형상 시트(3)의 부설을 실행했는지를 판단하고(단계 S5), 소정의 높이까지 부설이 차지 않는 경우는 단계 S3의 되메우기 공정 및 단계 S4의 부설공정을 반복한다.
이 되메우기 후에 최상부의 되메우기부(6)를 정지하고(단계 6 : 정지공정), 되메우기를 완성시킨다.
이와 같이 되메움으로써 되메우기부(6)에 되메우기토(4)와 망형상 시트(3)의 복수층이 지면에 대략 평행하게 겹쳐서 적층된다. 이와 같이 하여 망형상 시트(3)의 각각에는 되메우기토(4)의 토압이 가해지고, 이 토압에 의해 망형상 시트(3)는 종래와 같이 지지항을 치지 않아도 생지부(5)를 되메우기부(6)에 의해 충분히 계류할 수 있어 벽면패널(1)에 걸리는 토압과 균형을 맞추어 벽면패널(1)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벽면패널(1)로서는, 상기에서는 강제형 틀의 패널의 예를 나타내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지제 혹은 목제의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망형상 시트(3)의 재질로서는 강제?직포제?수지제 등, 벽면패널(1)의 재질에 따른 망형상의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망형상 시트(3)는 토압을 받을 수 있는 시트형상 부재이면 반드시 그물코를 가질 필요는 없다. 또한 토양에 포함되는 점토나 모래의 함유율에 따라 상기한 종류의 시트형상 부재를 구분하여 사룡할 수 있다.
또한, 벽면패널(1)의 높이방향으로 설치하는 복수의 망형상 시트(3)의 설치하는 간격도 마찬가지로, 구축하는 구조물의 규모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되메우기부(6)의 최저부에 벽면패널(1)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망형상 시트(3)를 설치하고 있으나, 예를 들어 되메우기부(6)의 최저부에 버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에는 망형상 시트(3)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제 2 실시예)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되메우기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도일한 부호를 이용하였으므로 그 점에 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되메우기 구조물은 벽면패널로부터 인출되는 망형상 시트의 종류나 길이를 바꿈으로써 그 시공환경에 최적의 되메우기 구조물을 구축하도록 한 것이다.
도 5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되메우기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되메우기 구조물은 생지부(5)의 전면에 복수의 벽면패널(1)이 세워설치되어 있고, 되메우기 구조물의 앞가장자리 구획을 구성하고 있는 점, 이 벽면패널(1)이 미리 굴삭면에 설치된 런너(7) 상에 세워설치되어 있는 점, 이 벽면패널(1)로부터 연결부재(20)를 통하여 망형상 시트(3)가 되메우기부(5) 방향으로 인출되어 있는 점, 망형상 시트(3)가 되메우기부(6)에서 각각 되메우기토(4)에 의해 매설되고, 되메우기부(6)에서 망형상 시트(3)의 매수만큼 복수층 겹쳐서 적층되어 있는 점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제 1 실시예와는 벽면패널(1)로부터 인출되는 망형상 시트(3)의 길이와, 연결부재에 의한 연결방법에서 다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출되는 망형상 시트(3)의 길이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법면까지 인출되어 있지 않고, 세워설치하는 벽면패널(1)의 높이에 대하여 1/3 정도의 길이로 되어 있다. 주변 지반의 토질이나 되메우기토(4)의 토질, 구축하는 구조물의 규모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망형상 시트(3)의 길이를 조정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 길이가 1/3 미만이면 토압에 의해 벽면패널(1)의 전면측으로 향하는 힘과 법면측으로 향하는 힘과의 균형이 잡히지 않게 되어 벽면패널(1)을 지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인출되는 망형상 시트(3)의 길이는 벽면패널(1)의 길이에 대하여 약 1/3 혹은 그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되메우기 구조물에 이용되는 연결부재(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와 달리 망형상 시트(3)는 연결부재(20)를 통하여 그대로 벽면패널(1)에 고정되어 있다. 이 연결부재(20)는 대략 コ형상으로 벽면패널(1)의 폭방향으로 긴 부재이다. 고정할 때에는 연결부재(20)의 배면과 벽면패널(1) 사이에 망형상 시트(3)의 일단을 끼우고, 그 상태에서 비스(8)를 이용하여 망형상 시트(3)를 벽면패널(1)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간단한 형상의 연결부재(20)를 이용함으로써 벽면패널(1)의 재질이나 형상에 상관없이 망형상 시트(3)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7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되메우기 구조물의 시공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8 및 도 9는 이 되메우기 구조물의 시공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7~도 9를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되메우기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메우기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해 생지부(5)의 소정 구획을 굴삭한다(도 7의 단계 S10). 이어서,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굴삭공정에 의해 형성된 법면(8)으로부터 필요한 되메우기부(6)를 형성하기 위하 폭을 확보한 위치에 런너(7)를 설치하고, 이 런너(7) 상에 벽면패널(1)을 세워설치한다(도 7의 단계 S11). 이 때에 런너(7) 혹은 벽면패널(1)의 최저부 부근에 망형상 시트(3)의 일단을 고정하여 부설한다. 또한, 미리 버림 콘크리트 상에 벽면패널(1)을 세워설치시키는 경우나, 시공환경에 따라서는 벽면패널(1)의 최저부에 망형상 시트(3)를 부설할 필요는 없다. 이어서, 되메우기토(4)를 반입하여 벽면패널(1)에서의 망형상 시트(3)의 부설레벨까지 되메우고(도 7의 단계 S12), 세워설치된 벽면패널(1)의 높이방향의 소정 위치에 연결부재(20)를 통하여 망형상 시트(3)를 설치한다(도 7의 단계 S13).
이어서, 망형상시트(3)를 지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이 되도록 되메우기토(4)의 위에 깔도록 한다. 또한,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망형상 시트(3)가 묻힐 정도로 되메우기토(4)를 반입하여 전압작업에 의해 되메우기토(4)를 굳힌다(도 7의 단계 S14). 그리고, 도 9(b)(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치되어 있는 망형상 시트(3)의 매수분에 대해서도 되메우기토(4)의 반입과 전압작업을 반복하여 행하고(도 7의 단계 S15), 최상부의 되메우기부(6)를 정지하여(도 7의 단계 S16) 되메우기를 완성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구축된 되메우기 구조물은 망형상 시트(3)가 부설된 위치에서 되메우기토(4)에 대하여 전압을 행하기 때문에 각각의 망형상 시트(3)의 그물코 부분에 되메우기토(4)가 들어가서 망형상 시트(3)와 되메우기토의 마찰저항력이 향상된다. 이로 인하여 벽면패널(1)에 걸리는 되메우기토(4)의 토압에 대하여 망형상 시트(3)와 되메우기토에 걸리는 토압과 마찰저항력이 상회하고, 그 결과, 벽면패널(1)의 지지를 단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벽면패널로부터 인출하는 망형상 시트의 길이 및 설치하는 간격을 벽면패널의 높이에 따라 바꿀 수 있으므로, 시공환경이나 구조물의 규모에 맞는 길이나 매수로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가 간단한 형상으로, 또한 쉽게 벽면패널에 망형상 시트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특별한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아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그 때문에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에서 행해지는 전압작업은 제 1 실시예에서 행해도 됨은 물론이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소규모 토지에서의 시공에 적합하고, 현지의 상황에 맞는 시공이 가능하며, 옹벽을 형성하는 벽면패널을 시공후 장기간에 걸쳐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건축, 토목 관련의 산업분야에서 널리 이용할 수 있다.
1 : 벽면 패널 2, 20 : 연결부재
3 : 망형상 시트 4 : 되메우기토
5 : 생지부 6 : 되메우기부
7 : 런너 8 : 비스
21 : 3형 와셔 22 : 슬랩 링
23 : 너트 24 : 가로봉
31 : 보조용 와이어
3 : 망형상 시트 4 : 되메우기토
5 : 생지부 6 : 되메우기부
7 : 런너 8 : 비스
21 : 3형 와셔 22 : 슬랩 링
23 : 너트 24 : 가로봉
31 : 보조용 와이어
Claims (6)
- 굴삭한 흙을 되메우기 함으로써 지하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되메우기 구조물에 있어서,
생지부의 법면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세워설치된 복수의 벽면패널과,
상기 복수의 벽면패널의 높이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복수의 시트부재와,
상기 복수의 시트부재와 상기 복수의 벽면패널을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갖고,
상기 소정의 간격 내에 상기 굴삭한 흙을 되메우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벽면패널에 연결된 상기 복수의 시트부재가 각각 지면과 대략 평행이 되도록 부설되어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되메우기 구조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트부재는 망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되메우기 구조물.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트부재는 강제?직포제?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되메우기 구조물.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트부재는 그 길이가 벽면패널(1)의 높이방향의 길이의 약 1/3 이상의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되메우기 구조물. - 굴삭한 흙을 되메우기 함으로써 지하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되메우기 공법에 있어서,
되메우기를 행하는 지면을 굴삭하는 굴삭공정과,
생지부의 전면에 벽면패널을 세워설치하는 패널 입설공정과,
상기 벽면패널에 복수의 시트부재를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생지부와 상기 벽면패널 사이의 되메우기부를 상기 복수의 시트부재의 부설레벨까지 되메우는 되메우기 공정과,
상기 복수의 시트부재의 매수만큼 반복하여 되메운 후에 정지를 행하는 정지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되메우기 공법. - 굴삭한 흙을 되메우기 함으로써 지하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되메우기 공법에 있어서,
되메우기를 행하는 지면을 굴삭하는 굴삭공정과,
생지부의 전면에 벽면패널을 세워설치하는 패널 입설공정과,
상기 벽면패널에 복수의 시트부재를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생지부와 상기 벽면패널 사이의 되메우기부를 상기 복수의 시트부재의 부설레벨까지 되메우는 되메우기 공정과,
상기 복수의 시트부재의 부설레벨까지 되메우기한 후에 상기 부설레벨면에 전압을 행하는 전압공정과,
상기 되메우기 공정과 상기 전압공정을 상기 시트부재의 매수만큼 반복하여 행한 후에 정지를 행하는 정지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되메우기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9222776 | 2009-09-28 | ||
JPJP-P-2009-222776 | 2009-09-2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4716A true KR20120084716A (ko) | 2012-07-30 |
Family
ID=43795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06498A KR20120084716A (ko) | 2009-09-28 | 2010-09-02 | 되메우기 구조물 및 되메우기 공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130104468A1 (ko) |
JP (1) | JPWO2011036991A1 (ko) |
KR (1) | KR20120084716A (ko) |
CN (1) | CN102575448A (ko) |
WO (1) | WO2011036991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31606A (ko) | 2021-08-27 | 2023-03-07 | 최봉진 | 구동제어장치를 이용한 조류방지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980579B2 (ja) * | 2012-06-05 | 2016-08-31 | 国立研究開発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 盛土構造物の築造方法 |
CN116289922B (zh) * | 2023-03-24 | 2024-07-02 |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边坡回填压实约束装置及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344749A (en) * | 1939-07-13 | 1944-03-21 | Frank W Stevens | Building wall construction |
DK309784A (da) * | 1983-06-30 | 1984-12-31 | Profoment Utvecklings Ab | Fundamentskonstruktion til kaelderloese huse |
JPS63241223A (ja) * | 1987-03-26 | 1988-10-06 | Tomakomai Toubu Sekiyu Bichiku Kk | 構築物の底端部材におけるシ−ル構造 |
JPS63241222A (ja) * | 1987-03-26 | 1988-10-06 | Tomakomai Toubu Sekiyu Bichiku Kk | 構築物の底端部材のシ−ル構造 |
US4943185A (en) * | 1989-03-03 | 1990-07-24 | Mcguckin James P | Combined drainage and waterproofing panel system for subterranean walls |
US4956951A (en) * | 1989-06-26 | 1990-09-18 | Sealed Air Corporation | Laminated sheet for protecting underground vertical walls |
US5277003A (en) * | 1991-07-30 | 1994-01-11 | Myers Jeffrey J | Method and means for maintaining a dry and radon-free basement |
JPH089877B2 (ja) * | 1993-12-15 | 1996-01-31 | 千葉窯業株式会社 | 地下貯水槽及びその構築方法 |
JP3600991B2 (ja) * | 1996-04-10 | 2004-12-15 | 清水建設株式会社 | ジオテキスタイルを用いた補強盛土方法 |
US5740638A (en) * | 1997-02-21 | 1998-04-21 | Shepherd Excavating, Inc. | Combination drainage system and radon gas venting system for a structure foundation |
ID24695A (id) * | 1998-08-11 | 2000-08-03 | Choi Jung Woong | Metode dan konstruksi basemen anti lembab |
JP2001311172A (ja) * | 2000-04-28 | 2001-11-09 | Kyosei Kiko Kk | 間伐材とジオグリッドを相互補完的に組合せた補強土擁壁 |
CN1421575A (zh) * | 2002-12-27 | 2003-06-04 | 广东冠粤路桥有限公司 | 一种轻质填土体结构及其施工方法 |
JP3853304B2 (ja) * | 2003-05-09 | 2006-12-06 | 強化土エンジニヤリング株式会社 | 補強土構造物 |
CN101311425A (zh) * | 2007-05-25 | 2008-11-26 | 张喜焕 | 一种绿化防护堤墙的施工方法 |
-
2010
- 2010-09-02 WO PCT/JP2010/065014 patent/WO2011036991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9-02 KR KR1020127006498A patent/KR2012008471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0-09-02 CN CN2010800431144A patent/CN102575448A/zh active Pending
- 2010-09-02 US US13/497,842 patent/US20130104468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0-09-02 JP JP2011532949A patent/JPWO2011036991A1/ja active Pending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31606A (ko) | 2021-08-27 | 2023-03-07 | 최봉진 | 구동제어장치를 이용한 조류방지시스템 |
KR20230116753A (ko) | 2021-08-27 | 2023-08-04 | 최봉진 | 구동제어장치를 이용한 조류방지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WO2011036991A1 (ja) | 2013-02-21 |
US20130104468A1 (en) | 2013-05-02 |
CN102575448A (zh) | 2012-07-11 |
WO2011036991A1 (ja) | 2011-03-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4237379B2 (en) |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 |
KR101591812B1 (ko) | 그리드 보강재와 강봉이 설치되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 공법 | |
KR101879141B1 (ko) | 태양광 발전 장치용 기초 보강 구조물 | |
JP5113342B2 (ja) | 盛土構造物 | |
KR20160006924A (ko) | 옹벽용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 |
JP2007205161A (ja) | 擁壁及びその施工方法 | |
KR20120084716A (ko) | 되메우기 구조물 및 되메우기 공법 | |
KR20110060291A (ko) | 거푸집 및 지하외벽 수직철근 겸용 철재수직토류판과 그 지지구조 | |
KR20150141264A (ko) | 뒷돌 고정식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 |
KR102476068B1 (ko) | 다방향 앵커 고정장치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JP5228862B2 (ja) | 地下構造、地下構造の構築方法 | |
KR100789209B1 (ko) | 합성형 말뚝과 보를 이용한 흙막이 공법 | |
KR20080025219A (ko) |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한 지하벽체의 시공방법 및 지하벽체시공을 위한 데크플레이트 | |
KR100808977B1 (ko) |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코너 버팀보의 연결장치 | |
KR102277470B1 (ko) | 흙막이 지하 합성벽 및 그 시공 방법 | |
KR100467234B1 (ko) | 패널 삽입식 옹벽 및 옹벽시공방법 | |
KR20180131042A (ko) | 말뚝 및 그 시공방법 | |
KR20220160419A (ko) |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 | |
KR101406865B1 (ko) | 증축 기초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증축 공법 | |
KR200223114Y1 (ko) | 암 절취사면용 옹벽 보강구조 | |
KR102264595B1 (ko) | 자립식 phc 파일 및 그것의 시공 방법 | |
KR200194424Y1 (ko) | 마이크로 파일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옹벽 | |
KR20200137297A (ko) |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방법 | |
KR102272258B1 (ko) | 강관을 이용한 h파일의 변위 저항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 |
CN218757591U (zh) | 一种加筋土挡墙张拉梁结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