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4302A - 분말 흡입기 - Google Patents

분말 흡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4302A
KR20120084302A KR1020127011226A KR20127011226A KR20120084302A KR 20120084302 A KR20120084302 A KR 20120084302A KR 1020127011226 A KR1020127011226 A KR 1020127011226A KR 20127011226 A KR20127011226 A KR 20127011226A KR 20120084302 A KR20120084302 A KR 20120084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haler
replaceable tube
amino
capsule
phe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1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9137B1 (ko
Inventor
마르쿠스 캠퍼
외른-에릭 슐츠
Original Assignee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30475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2008430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084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61M15/0025Mouthpieces therefor with caps
    • A61M15/0026Hinged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3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61M15/0035Pier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61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pre-packed dosages having an insert ins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61M15/0081Loc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6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dentification means
    • A61M2205/604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dentification means having complementary physical shapes for indexing or registration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6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dentification means
    • A61M2205/6063Optical identification systems
    • A61M2205/6081Colour c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6Packaging for specific medical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 하부 파트(6),
- 하부 파트(6)에 내장된 플레이트(3), 및 하부 파트(6)에 삽입된 홀더(18),
- 플레이트(3) 상의 하부 파트(6)에 래칭될 수 있는 마우스피스(2),
- 닫힌 위치에서 마우스피스(2)를 덮고 닫음 부재(14)에 의해 래칭되는 커버(1)(여기서, 하부 파트(6) 및 커버(1)는 축(4)에 의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및
- 정지 위치로부터 움직일 수 있고, 공정에서 홀더(18)를 관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핀(8,11)(상기 핀은 내부 작동 부재(10)의 핀 홀더에 위치한다)과 상호작용하는 작동 부재(7,10)를 포함하는, 캡슐로부터 분말상 약제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캡슐을 갖는 캡슐 챔버(21)를 포함하는 교체가능한 튜브(22)가 방출 채널로서 홀더(18)에 삽입될 수 있다.

Description

분말 흡입기{Powder inhaler}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precharacterising clause)에 따르는 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선행 기술로부터 공지된 흡입기가, 예를 들면, 유럽 특허공보 제EP 0703800 B1호 또는 제EP 0911047 A1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한 공보로부터 공지된 흡입기는 접시 모양의 하부 파트와 이에 끼워 맞춰지는 똑같이 접시 모양의 뚜껑을 가지며, 이것은 가장자리 부분에 제공된 힌지에 의해 사용을 위해 접어서 열 수 있다. 하부 파트와 뚜껑 사이에 힌지에는 또한 접어넣을 수 있는 마우스피스와 그 아래에 배열된 플레이트 및 플레이트 아래에 배열된 캡슐 홀더가 있다. 개개의 조립체가 열린 후, 환자는 약물이 채워진 캡슐을 캡슐 홀더에 삽입하고, 캡슐 홀더가 달린 플레이트 및 마우스피스를 하부 파트 내로 선회시키고, 하부 파트로부터 측면으로 돌출된 스프링-장착 작동 부재에 의해 캡슐을 관통시킬 수 있다. 이후, 치료될 환자가 마우스피스를 빨아들임으로써 약제가 환자의 기도로 투약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 기술로부터 공지된 흡입기를 이의 취급성 측면에서 한층 더 개선시키는 것이다.
당해 목적은 제1항의 특징을 갖는 흡입기 및 제15항에 따르는 흡입기용 교체가능한 튜브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종속항들은 본 발명의 유리한 양태들을 나타낸다.
캡슐로부터 분말상 약제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기는
- 하부 파트,
- 하부 파트에 내장된 플레이트, 및 하부 파트에 삽입된 홀더,
- 플레이트 상의 하부 파트에 래칭(latching)될 수 있는 마우스피스,
- 닫힌 위치에서 마우스피스를 덮고 닫음 부재(closure element)에 의해 래칭되는 커버(여기서, 상기 하부 파트 및 상기 커버는 스핀들에 의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및
- 정지 위치로부터 움직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핀(상기 핀은 홀더 내로 찔러넣어질 수 있고, 내부 작동 부재 속의 핀 홀더에 위치한다)을 움직이게 하는 동시에 이와 상호작용하는 작동 부재(actuating member)를 포함한다.
홀더에는, 캡슐을 갖는 캡슐 챔버를 포함하는 교체가능한 튜브가 방출 채널(expulsion channel)로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수단들의 결과로서, 흡입기의 사용 전에 캡슐이 분말용 방출 패널을 형성하는 일회용 파트(disposable part) 형태로 교체가능한 튜브와 함께 흡입기에 배열된 홀더 내로 직접 삽입되기 때문에, 캡슐로부터 분말상 약제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기의 작동성이 개선된다.
이것은, 선행 기술에 교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손의 악력이 감소되거나 부족한 환자는, 크기 덕분에, 캡슐 챔버에 별도로 캡슐을 배치하기 보다는 그 안에 캡슐이 들어있는 교체가능한 튜브를 삽입하는 것이 보다 쉽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쉽게 취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분무 또는 흡입 후, 분말에 의해 현저하게 영향을 받는 흡입기의 모든 성분들이 대체되어 다음에 흡입기를 사용할 때에는 새로운 교체가능한 튜브, 즉, 미사용 방출 채널이 제공된다.
당연히 흡입기의 이전 사용에 의해 미사용 방출 채널에 침전물이 야기되지는 않기 때문에, 새로운 교체가능한 튜브는 분말 방출 경로에 침전물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는 약제 제형에도 유리하다.
각각 하나 이상의 캡슐을 함유하는 교체가능한 튜브들은 최신 기술 수준에 따라 이용가능한 임의의 패키징(예를 들면, 블리스터 팩, 파우치형 또는 비파우치형 카톤(carton) 또는 용기 또는 개별 파우치)으로부터 환자에 의해 취해질 수 있다. 흡입되는 약제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숙련가들은 교체가능한 튜브에 적합한 패키징을 선택할 것이다.
흡입기는 이의 기능에 있어서, 특히 흡입, 즉, 분말상 약제의 유동 경로 측면에서,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는 국제 공개공보 제WO 2009/013218호에 기재된 흡입기에 상응한다. 이것은 특히 관통 공정(piercing process)에 적용된다.
흡입기는 커버에 의해 보호되는 마우스피스에 의해 형성된 상부 파트, 및 컵모양의 투-파트 하부 파트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진다.
국제 공개공보 제WO 2009/013218호로부터 공지된 바와 같이, 커버의 내부 영역에는 크로스 피스(cross piece)가 있다. 이러한 크로스 피스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는 흡입기 상에서, 커버가 닫히는 경우 말단 위치 내로 밀려들어가는 것은 마우스피스가 아니라 교체가능한 튜브이다. 게다가, 커버는, 안팍으로 움직이고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는 비드를 갖는다. 이러한 비드는 흡입기의 하부 파트 위에 위치한 작동 부재 상의 커버를 닫는 역할을 한다.
커버를 하부 파트로부터 떼어낼 수 있게 하기 위해, 작동 부재는, 이의 상측에, 닫음 부재를 위한 활주 표면을 경사면의 형태로 형성하여 작동시 및 이에 따라 작동 부재가 전진할 때 하부 파트로부터 커버를 해제시키도록 기울어져 있는 만입부(recess)를 갖는다. 이러한 기능은 교체가능한 튜브가 완전히 삽입된 경우에만 가능하다. 작동 부재 내의 만입부는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최소 크기는 커버가 하부 파트로부터 포켓 시계 방식으로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크기여야 한다. 최대 크기는 작동 부재의 상부에 따라 달라진다. 이후, 환자가 커버를 쥐고 커버가 완전히 열리도록 접음으로써 커버의 실제적인 열림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작동 부재에 의한 래치의 해제 이외에, 작동 부재 상의 만입부 및 커버 상의 비드를 위한 크기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환자는 임의의 추가의 부재를 작동시키지 않고도 수동으로 캐치(catch) 위로 커버를 끌어당김으로써 수동으로 유지력(retaining force)을 극복할 수도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열림 동작을 돕기 위해, 예를 들면, 스프링 부재가 커버 및/또는 하부 파트 사이에 배열될 수 있고, 이것은 특히 치수가 적절할 경우 커버가 스냅 열림(snap open)이 되도록 두 개의 접시 형태이다. 또는, 커버와 하부 파트 사이에 스프링 부재가 없는 흡입기의 양태를 갖는 것이 또한 명백히 가능하다. 이후, 커버는 적절한 비드의 선택에 의해 스프링을 열 수 있다.
작동 부재는 특히 천식 발작의 시작시에 매우 중요하다. 환자에게 요구되는 힘의 감소와 더불어 작동 부재의 효율적인 배열로 인해 흡입기를 사용하기가 상당히 용이하다. 이것은 관절염 또는 이와 유사한 질환을 앓고 있거나 다른 몇가지 이유로 손가락의 움직임이 저하된 환자에 특히 적용된다.
작동 부재는 두 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며, 내부 파트와 외부 파트를 포함한다. 내부 파트는 2개의 평행한 가이드 암(guide arm)들을 갖는다. 가이드 암들은 하부 파트 내로 돌출되고, 상응하는 인서트, 예를 들면, 홀더의 외부 또는 하부 파트의 절반의 내부에 배열된 가이드 웹 또는 슬리브(sleeve)와 함께, 정지 위치로부터 각각의 작동 위치로 이동 및 정지 위치로 후퇴하는 동안 작동 부재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부재는 고정 부재를, 예를 들면, 장치의 안전한 조립 및 강건한 작동 둘 다를 총괄적으로 보장하는 스냅-핏 후크(snap-fit hook) 형태로 포함한다. 작동 부재의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외부 파트는, 작동시, 둥근 접촉면에 의해 내부 파트로 내리눌러지며, 이후, 이것은 직선 방식으로 이동하여 핀을 캡슐 내로 밀어넣는다. 접촉면은 내부 파트 위 및 외부 파트 위 둘 다에 형성될 수 있지만, 내부 파트 위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 부재는 하부 파트 또는 하부 파트의 절반 둘 다에 연결된다. 이것은 스냅-핏 후크, 래칭 후크 또는 유사한 기술적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작동 부재는 자유 공간에서 하부 파트의 절반들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부재는 하부 파트 상에 또는 홀더 상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마우스피스 상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부 파트의 절반 또는 하부 파트는 바람직하게는 측방향으로 장착된 가이드 웹(guide web)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또한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며 하부 파트에 또는 하부 파트의 사이드 디쉬(side dish)에 지지될 수 있다.
유리한 양태에서, 작동 부재에는 스프링이 탑재된다. 정지 위치에서도 존재하는 복원력은, 작동 부재가 사용된 후 작동 부재가 정지 위치로 되돌아오게 함으로써 흡입 과정이 개시 또는 계속될 수 있게 보장한다. 가이드 암들은 본체로부터 멀리 떨어진 이들의 말단에 말단 정지부(end stop)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정지부는 정지 위치에서 홀더 또는 가이드 슬리브 상에 들어있다. 이것은 작동 부재에 대해 재현가능한 스프링 장력을 생성하며, 이것은 모든 필요 부품들이 작동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되도록 한다. 가이드 암들은 임의의 목적하는 형태 및 배치(예: 수렴형 또는 분기형)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1개 또는 2개 이상의 가이드 암들을 가질 수 있다. 구성은 목적하는 프로파일 또는 둥근 단면 형태를 기본으로 할 수 있다.
총괄하여, 작동 부재는 하나 이상의 받침 영역(abutment region)을 가지며, 이것은 경우에 따라, 내부 또는 외부 프레싱 파트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작동 부재의 본체는 외부 상에 하나 이상의 홈이 파인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홈이 파인 표면은 상부, 바닥 또는 측면에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홈이 파인 표면은 작동 부재 상의 하나 이상의 손잡이에 존재할 것이다. 홈이 파인 표면은 디자인 부재로서 및 작동 동안 최적의 그립(grip)을 보장하기 위해 작용한다. 이것은 흡입 영역 바깥쪽의 작동 부재의 본체 상에 위치하며, 이에 따라, 환자의 입 영역과 접촉되지 않게 된다. 또한, 홈이 파인 표면은 작동 부재의 전체 표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면서도 여전히 흡입기의 신뢰할 수 있고 신속한 사용을 보장할 수 있다. 게다가, 하부 파트 및/또는 커버에 홈이 파인 표면을 제공하여 흡입기의 취급성을 한층 더 개선시키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 이하에서는 다음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선행 기술에 따르는 흡입기의 분해 조립도를 보여주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흡입기의 분해 조립도를 보여주며,
도 3은 도 2에 따르는 흡입기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1은 선행 기술로부터의 흡입기를 보여준다. 흡입기의 필수 부품들은 플레이트(3)를 수용하고 이러한 플레이트에 의해 덮혀있는 하부 파트(6), 스크린 하우징(screen housing)(12)의 보유 돌기(retaining lug)를 통해 플레이트(3)에 래칭될 수 있는 마우스피스(2), 및 하부 파트(6)에 보완되도록 설계된 커버(1)이다. 플레이트(3), 하부 파트(6), 마우스피스(2) 및 커버(1)는 스핀들(4) 상에 장착되어 있다.
닫힌 상태의 흡입기에서, 커버(1) 상의 닫음 부재(14)는 외부 작동 부재(7)와 맞물려 마찰식으로 이에 고정된다. 닫음 부재(14) 상에 비드-유사 형태에 의한 연동식 맞물림(interlocking engagement)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닫음 부재(14)가 커버(1) 상에서 작동하는 경우, 외부 작동 부재(7)는 만입부를 포함하는데, 닫힘 동작 동안 닫음 부재(14)가 이 만입부 내로 내려간다.
작동 부재는 외부 작동 부재(7)와 내부 작동 부재(10)로 이루어진다. 커버(1)를 열기 위해, 먼저 외부 작동 부재(7)를 흡입기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누를 수 있다. 커버(1) 상의 닫음 부재(14)가 그동안 만입부와 접촉하게 되고, 이것은 닫음 부재(14)가 더욱 전진함에 따라 활주 표면으로서 작용하여 커버(1)의 해제를 보장한다. 유사하게, 커버(1)는 작동 부재(7)를 누르지 않고도 사용자가 수동으로 올릴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흡입기가 열릴 수 있다.
만입부(16)는, 예를 들면, 스냅 핏 후크, 핀 또는 다른 지지 수단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 지지물에 의해 외부 및 내부 작동 부재(7, 10)를 연결한다. 만입부(16)는 원형, 타원형 또는 비대칭형일 수 있다. 만입부(16)는 수평 또는 수직 위치 또는 임의의 위치로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만입부(16)는 축 방향에서의 핀의 최적의 안내를 제공하여 캡슐의 정확한 관통을 보장하는 소위 편장 홀(oblong hole), 즉 연장된 타원체이다.
하부 파트(6)는 컵 모양이며, 플레이트(3)의 아래쪽에 배열된 캡슐 홀더(5)의 전체를 수용한다. 약물이 채워진 캡슐(도시하지 않음)을 캡슐 홀더(5)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마우스피스(2)도 분리되어야 한다. 도 1에 따르는 양태에서, 이것은 마우스 피스(2) 상에 제공되어 있는 개구부 보조물(opening aid)(2')을 작동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이러한 열린 위치의 커버(1) 및 마우스피스(2)에서, 캡슐을 플래이트(3) 내의 개구부를 통해 캡슐 홀더(5)에 배치할 수 있다. 이후, 마우스피스(2)를 다시 뒤로 선회시키고, 플레이트(3) 내의 마우스피스에 마찰식으로 연결된 스크린 하우징(12)의 보유 돌기를 래칭시킴으로써 다시 닫힌다. 스크린 하우징(12)은 이의 중심에 스크린 메쉬(screen mesh)(13)를 함유한다. 스크린 메쉬(13)는, 예를 들면, 금속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표준 시판 재료로 이루어진다. 후자의 경우, 스크린은 압출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활성 물질을 방출하기 위해, 외부 작동 부재(7)를 작동시킨다. 이것은 핀 홀더가 힘의 적용점 위 및 작동 키의 지지물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계된다. 내부 작동 부재(10) 상에는 하나 이상의 핀, 바람직하게는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띄운(offset) 2개의 평행한 핀들(8, 11)이 존재하며, 이것은 작동 부재(7, 10)가 캡슐(도시하지 않음) 방향으로 찔러넣어짐에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하여 이러한 캡슐을 천공시킨다. 천공 공정은 점검창(6')을 통해 관찰할 수 있다.
캡슐 홀더(5) 안에는 핀들(8, 11)의 이동 방향에 따라 축방향으로 정렬된 2개의 관형 핀 가이드(20)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것은 한편으로는 캡슐(도시하지 않음)로의 핀들(8, 11)의 정확하게 표적화된 적용을 위해, 다른 한편으로는 작동 부재(7, 10)의 추가의 안내를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본질적인 안내는 측방향으로 배열된 2개의 가이드 슬리브(20')에 의해 제공된다. 가이드 암들(15)은, 가이드 슬리브(20')와 협력하여, 작동 부재(7, 10)를 편향력(biasing force) 하에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가이드 암들(15)에는 본체로부터 멀리 떨어진 이들의 말단들에 말단 정지부가 제공되며, 이러한 말단 정지부는 작동 부재(7, 10)의 정지 위치에서 캡슐 홀더(5)의 가이드 슬리브에 인접한다. 가이드 슬리브는 캡슐 홀더(5)의 바깥쪽에 위치한다. 가이드 암들(15) 사이에는 핀들(8, 11)에 평행하게 이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선형 스프링(9)이 배열되며, 나선형 스프링(9)은 작동 부재(7, 10)가 정지 위치에서도 여전히 편향되도록 가이드 암들(15)의 길이에 매칭된다.
하부 파트(6), 플레이트(3), 마우스피스(2) 및 커버(1)를 포함하는 개별 조립체들은 힌지 홈(hinge recess) 및 스핀들(4)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이러한 스핀들(4) 주위에서 모두 서로에 대해 선회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흡입기에서는, 상기한 흡입기와는 달리, 하부 파트(6)가 두 개의 파트들로 이루어지며, 플레이트(3)를 일체형 부품(integral component)으로서 포함한다. 하부 파트(6)에는 측방향 보유 웹(lateral retaining web)(17)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은 기저부에 홀더(18) 및 개구부(19)를 위한 만입부(42)를 갖는다. 플레이트(3) 안의 개구부(44)[원문대로].
홀더(18)에는 2개의 관형 핀 가이드들(20)이 제공되어 있으며, 투-파크 플레이트(3) 안의 만입부(42) 및 개구부(44)를 갖는 하부 파트(6)에 배열된 보유 웹(17)에 의해 유지된다.
흡입시키고자 하는 약제를 갖는 캡슐(21')은, 마우스피스(2) 및 홀더(18)를 통해 흡입기 내로 밀려들어가는 소위 교체가능한 튜브(22) 안의 캡슐 챔버(21)에 위치한다. 교체가능한 튜브(22)는 아래로부터 캡슐로 채워지고 바람직하게는 또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마개(23)로 막히는 플라스틱 튜브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며, 마개(23)에는 축방향 구멍(axial bore)(40)이 제공되어 있어 유동 채널을 형성한다. 교체가능한 튜브(22)에 사출성형된 이송 부재(transfer member)(41)를 제공함으로써, 캡슐이 위쪽 방향으로 떨어져 나가는 것이 방지되고, 흡입 동안 진동을 위해 필요한 공간, 즉, 캡슐 챔버의 길이가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마개(23)는 일단 교체가능한 튜브(22)에 장착하면 제거할 수 없는 별도의 부품이다. 마개(23)는, 이의 아래쪽에, 교체가능한 튜브(22)를 빠져나오는데 사용될 수 있는 기능성 슬로프 또는 표면(32)을 포함한다. 교체가능한 튜브(22)의 상부 파트가 전체 기도(air passage)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분무된 분말 제형은 환자가 흡입기를 사용하여 들어마시기 전에 이동한다.
또는, 마개(23)는 교체가능한 튜브(22) 상에 고정된 채로 주조될 수 있으며, 캡슐을 도입하기 위한 별도의 다중 부품으로서 횡방향 부재(41)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은 캡슐을 도입하기 위한 닫힐 수 있는 측방향 개구부를 포함하는 횡방향 부재(41) 및 마개(23)를 갖는 완전 사출성형된 교체가능한 튜브(22)일 수 있다. 교체가능한 튜브(22)를 수 개의 파트들로 제작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교체가능한 튜브(22)의 기도는 흡입시키고자 하는 활성 성분의 흡입에 적합하도록 하므로, 선행 기술로부터의 흡입기와 비교하여, 기도의 내부 직경이 더 크거나 더 작을 수 있다. 분말의 요구되는 제공을 달성하기 위해, 횡방향 부재(41)는 캡슐이 진동할 수 있도록 교체가능한 튜브(22) 내의 캡슐 챔버(21)의 필요 높이 둘 다를 형성하며, 또한 활성 성분 제형에 적합한 공기 저향을 나타낸다.
흡입기 내로 밀려들어간 후, 교체가능한 튜브(22) 말단은 사용 위치에서 이의 상부면이 마우스피스(2)의 높이와 같으므로, 사용자는 스텝(step)을 감지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위치에서, 홀더(18)의 2개의 관형 핀 가이드(20)는 교체가능한 튜브(22) 안의 핀들(8, 11)을 위한 원주형 개구부(circumferential openings)(24)와 일직선이 된다. 또한, 외부 영역에서도 마우스피스(2)의 일부가 교체가능한 튜브(22)로서 간주될 수 있어, 교체가능한 튜브(22)와 마우스피스(2)와의 접합이 어떠한 목적하는 지점에서도 가능할 수 있다. 이것은 교체가능한 튜브(22)가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보장하며, 캡슐에 핀들(8, 11)이 관통하도록 하기 위해, 교체가능한 튜브(22)가 이의 정확한 말단 위치를 취하기 전에 작동 부재(7, 10)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메카니즘이 흡입기에서 완성된다. 작동 부재(7, 10)는 전혀 작동이 불가능하도록, 즉, 커버(1)가 열릴 수 없도록 차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닫음 부재는 어떠한 교체가능한 튜브(22)도 삽입되지 않는다면 커버(1)가 열릴 수 있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교체가능한 튜브(22)의 위치는 교체가능한 튜브(22)의 상부 영역 상의 유색 마킹(coloured marking)으로부터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교체가능한 튜브(22)가 말단 위치에 정확하게 삽입되는 경우, 마킹이 마우스피스(2)에서 사라지며, 더 이상 보이지 않는다. 또한, 닫힌 위치에서 마우스피스(2)를 덮고 있는 커버(1)는, 이의 내부에, 크로스피스(crosspiece)(45)를 가지며, 이것은 커버의 닫힌 상태에서, 그안에 도입된 교체가능한 튜브(22) 및 마우스피스를 누른다.
교체가능한 튜브(22)가 흡입기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교체가능한 튜브(22)는, 마우스피스(2)와 연결된 상기 튜브의 상부면(25)의 영역에, 교체가능한 튜브(22)의 축방향 사용 위치에서 마우스피스(2) 안의 상응하는 형태의 개구부(27)에 놓여있는 삽입 콘(insertion cone)(26)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교체가능한 튜브(22)의 반경방향 정렬(radial alignment)을 보장하기 위해, 교체가능한 튜브(22)에는, 마우스피스(2)와 연결된 상기 튜브의 상부면(25)의 영역에, 마우스피스(2)의 개구부(27) 안에 연결된 상응하는 홈(29)을 갖는 방사상으로 돌출된 돌기(28)가 제공되어 있다. 돌기(28)와 홈(29)의 조합이, 필요에 따라, 적당한 치수 또는 형상으로 활성 성분 코딩(coding)에 사용될 수 있어, 흡입기는 언제나 하나의 활성 성분으로만 작동될 수 있다. 고려되는 또 다른 아이디어는, 상부 말단(25)이 먼저 삽입될 수 없도록 교체가능한 튜브(22)가 상이한 외부 직경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교체가능한 튜브(22)의 하부 영역에는 이 경우 본래의 상태로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환상 홈(annular groove)(30)이 있으며, 이것은 마개(23)와의 연결부 내로 들어간다. 또한, 반경방향으로 작동하는 래칭 후크(radially acting latching hook)(43)가 래칭에 의해 흡입기에서 교체가능한 튜브(22)를 해제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해 해제가능하게 제공된다. 이를 위해 필요한 함몰부(depression)(31)가 주변을 둘러싸고 있을 수 있으며, 대안적으로 기능은 개별 노치, 웹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교체가능한 튜브(22) 상에 래칭 후크 및 홀더(18) 안의 교체가능한 튜브(22)를 래칭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함몰부를 제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흡입기의 또 다른 양태에서, 교체가능한 튜브(22) 안의 핀들(8, 11)을 위한 개구부(24)는 멤브레인 등에 의해 닫힐 수 있다. 멤브레인은 사출성형에 의해 직접 제조될 수 있거나, 교체가능한 튜브(22)로서 동일하거나 상이한 플라스틱 부품을 사용하여 특수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멤브레인은 캡슐의 관통 후, 핀들(8, 11)이 캡슐 챔버(21)로부터 미끄러짐에 따라, 핀들(8, 11)이 다음 사용을 위해 세정되도록 핀들(8, 11)에 달라붙은 분말을 닦아낸다. 이것은 핀들(8, 11)이 분말 제형을 함유하는 캡슐을 관통하는데 다수회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챔버 벽은 캡슐 챔버(21)의 벽 영역, 즉, 교체가능한 튜브(22)의 벽 영역, 및 핀 가이드(20)의 영역 안의 멤브레인 둘 다일 수 있다. 특히, 동일한 멤브레인은, 핀이 제거된 후에도 이것이 캡슐로부터 멀리 떨어진 면 쪽으로 충분히 잘 밀봉되고 다수회 관통된 후에도 여전히 기밀(leaktight)되기 때문에 확실히 여러번 사용될 수 있다. 원리는 모든 통상의 핀 형상(중공 및 솔리드 핀 둘 다)에 융통될 수 있다. 멤브레인의 경우, 가요성을 조절하기 위해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료들 또는 재료 조합 및 기하학, 예를 들면, 이들의 두께 둘 다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층 두께가 변하는 재료에 대한 방안이 또한 가능하다), 주위 온도에서 경질 또는 연질인 플라스틱류, 예를 들면, TPE, 열가소성 물질, 고무 및 또한 기타의(무기) 그룹으로 이루어진 재료, 예를 들면, 금속 박막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앞에 멤브레인이 있는 캡슐이 관통되는 경우, 이것이 관통됨에 따라 핀이 실제로 통과하기 전에 멤브레인이 캡슐 말단 쪽으로 불룩해지며; 멤브레인은 챔버 벽일 수 있거나, - 통상의 사출성형에 의해 또는 2-성분 사출성형 기술에 의해 또는 둘 이상의 파트들로부터의 조립에 의해 - 챔버 벽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멤브레인의 부착은 어떠한 목적하는 방식으로도 달성될 수 있다: 성형 또는 압출-피복, 클리핑, 인서팅, 추가의 물질로의 접착 또는 예를 들면, 멤브레인 재료의 자가-접착 작용(self-sticking effect) 등에 의해. 또는, 핀(8, 11)이 통과하는 밀접하게 끼워-맞춤된(close-fitting) 또는 가요성인 슬리브 상에서 점착성 분말을 닦아낼 수도 있다.
교체가능한 튜브(22)가 흡입기에 삽입됨에 따라, 이것은 먼저 삽입된 중간 위치에서 이동가능하게 래칭된다. 이것이 더욱 삽입됨에 따라, 약간 증가된 저항이 극복되어, 교체가능한 튜브(22)가 이의 해제가능하게 래칭된 사용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저항은, 교체가능한 튜브(22)에서 작용하는 래칭 루크(43)가 홀더(18)에 장착된다는 사실에 의해 야기된다.
한면 또는 이를 둘러싼 모든 면이 슬로프(32) 상에 위치한 래칭 후크는 마개(23) 아래에 연동식으로 맞물려 있다. 래칭 후크(33)는 중간 링(34)에서 합체되며, 압축 스프링(35) 및 보유 링(retaining ring)(36)에 의해 하부 파트(6)에서 이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중간 링(34)은, 래치를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에 의한 작동을 위한, 하부 파트(6) 내의 보유 링(36) 및 개구부(19)를 통해 통과하는 동축 작동 버튼(coaxial actuating button)(37)을 갖는다.
일단 캡슐을 갖는 교체가능한 튜브(22)가 흡입기 내로 밀려들어가면(도 3), 이전 흡입기에서와 같이 분무가 일어난다. 동시에 하나 이상의 손가락으로 작동될 수 있는 작동 부재(7, 10)에 의해, 캡슐이 상부 및 바닥에 있는 두 개의 핀들(8, 11)에 의해 교체가능한 튜브(22) 안의 상응하는 개구부(24)를 통해 관통된다. 핀(8, 11)들이 실제로 교체가능한 튜브(22) 안의 상응하는 개구부(24) 내로 관통될 수 있도록, 교체가능한 튜브(22)는 흡입기에서 배향된 위치(oriented position)로 설치된다. 작동 부재(7, 10) 안의 나선형 스프링(9)은 작동 부재(7, 10)가 해제되자마자 핀들(8, 11)이 자동으로 캡슐로부터 철회되도록 보장한다. 흡입은 시도되고 시험된 원리에 따라, 환자가 마우스피스(2)를 입에 물어서 숨을 들이마실 때 캡슐의 진동에 의해 일어난다.
흡입 후, 캡슐 챔버(21)에 지금 텅빈 캡슐을 가진 교체가능한 튜브(22)는 작동 버튼(37)을 누름으로써 해제되며, 이것은, 당해 양태에서, 흡입기의 기저부에서, 즉, 마우스피스(2)로부터 반대면에서 스프링-보조(spring-assisted)되어 있다. 이러한 작동 버튼(37)은 이의 합체된 래칭 후크(33)에 의해 마개(23)에 연동식으로 연결된다.
중간 링(34)의 스프링 편향에 의해, 래칭 후크(43)가 연결된 만입부(31)와 맞물려 이동함에 따라, 교체가능한 튜브(22)의 클램핑 래칭이 해제될 수 있으며, 교체가능한 튜브(22)는 흡입기로부터 윗쪽으로 눌러진다. 디자인에 따라, 교체가능한 튜브(22)의 해제가 스프링의 보조 없이, 순전히 슬라이더의 사용에 의해 수행되는 방안이 가능하다. 중요한 것은, 중간 위치에서 교체가능한 튜브(22)에 대한 유지 기능이 그 안에서 통합되며, 이것은 교체가능한 튜브(22)를 래칭 후크(43) 위로 잡아당김으로써 흡입기로부터 수동으로 제거할 수 있기 전에, 고의로, 예를 들면, 키 또는 버튼을 사용하여 해제해야 한다. 교체가능한 튜브(22)를 단지 일부만 빼내는 스프링-프리 메카니즘(spring-free mechanism) 또는 메카니즘들이 또한 가능하다. 여기서 또 다른 가능성은 마우스피스(2)로부터 돌출된 위치에서 빼낸 후 교체가능한 튜브(22)를 다시 수용하는 중간 위치에서 부가적인 보유 역치(secondary retaining threshold)를 실시한 다음 이로부터 수동으로 이를 잡아당기는 것이다.
교체가능한 튜브(22)가 막 빠져나왔거나, 새로운 교체가능한 튜브(22)가 말단 정지부(end stop)까지 바르게 밀어넣어지지 않으면, 하부 파트(6) 아래에 중간 링(34)에 장착된 방사형 바(radial bar)(39)가 효력을 나타내게 된다. 내부로부터 압축 스프링(35)의 작용의 결과로서, 바(39)가 외부 작동 부재(7)와 접촉하게 되어, 이의 작동이 저지된다. 교체가능한 튜브(22)가 존재하지 않거나, 교체가능한 튜브(22)가 래칭된 사용 위치를 차지하지 못하면, 바(39)가 유리 말단(free end)을 갖는 외부 작동 부재(7)를 차단한다. 이러한 위치에서, 핀들(8, 11)은 안쪽으로 이동할 수 없으며, 즉,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교체가능한 튜브(22)에 의해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이것은, 핀들(8, 11)이 항상 요구되는 배향으로 삽입되는 교체가능한 튜브(22)의 개구부(24) 내로 관통하고, 예를 들면, 교체가능한 튜브(22)를 위한 삽입 개구부를 차단하지 않고/않거나 손상시키지 않도록 보장한다. 교체가능한 튜브(22)가 이의 래칭된 사용 위치 내로 밀려들어감에 따라, 중간 링(34)이 이의 위쪽으로 향하는 슬로핑 웹(38) 및 압축 스프링(35)의 힘과 반대방향으로의 래칭 후크(33)에 대한 마개(23)의 작용으로 아래로 밀려들어가서, 바(39)가 외부 작동 부재(7)의 선회 경로에서 이동한다. 동시에, 작동 버튼(37)이 배출 준비상태(ejection readiness)로 되돌아가고, 즉, 이것은 하부 파트(6)와 이상적으로 같은 높이의 위치를 취하며, 흡입기의 사용자에 의해 도달될 수 있다.
사용되는 핀들(8, 11)은 숙련가에게 공지된 핀들(8, 11) 및 이의 조합일 수 있다. 이들은 솔리드(solid) 또는 중공 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솔리드 핀이 사용된다. 특히, (마우스피스에 면하는) 상부 핀은 삼각형 첨단을 갖는 삼각형 핀일 수 있다. 하부 핀은, 예를 들면, 독일 DIN 표준에 규정된 표준 첨단을 갖는 표준 핀일 수 있다.
또는, 상부 핀(11)은 표준 첨단을 갖는 표준 핀일 수 있고, 하부 핀(8)은 삼각형 첨단을 갖는 삼각형 핀일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삼각형 첨단을 갖는 삼각형 핀 두 개를 사용하거나 표준 첨단을 갖는 표준 핀 두 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되는 캡슐은 분말 흡입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숙련가들에게 공지된 임의의 캡슐(예를 들면, (경질) 젤라틴, 플라스틱 또는 금속 캡슐)일 수 있다. 특히, 국제 공개공보 제WO 제00/07572호, 유럽 특허 제EP 1 100 474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플라스틱 캡슐이 본 발명에 따르는 흡입기에 사용될 수 있다.
흡입기는 점검창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이의 의도된 기능에 필수적이지는 않다.
유사하게, 흡입기의 모든 파트들은 숙련가에게 공지된 방법 및 플라스틱 기술분야에서 가능한 과정에 의해 개질될 수 있다. 가능한 개질은, 예를 들면, 벽 두께의 보강 또는 변화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가능성들은 흡입기의 작동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다.
흡입기는 또한 숙련가들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 이의 내부 또는 외부가 피복될 수 있다.
치료학적 목적을 위해 흡입에 의해 타당하게 투여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분말상 약제가 흡입을 위해 고려될 수 있다.
아래에 열거된 화합물들이 단독으로 또는 병용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아래에 언급된 화합물들에서, W는 약리학적 활성 성분이며, (예를 들면) 베타모방제(betamimetics), 항콜린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PDE4-억제제, LTD4-길항제, EGFR-억제제, 도파민 효능제, H1-항히스타민, PAF-길항제 및 PI3-키나제 억제제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2종 또는 3종의 W의 병용물을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에서 병용 및 사용할 수 있다. W의 병용물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 W는 항콜린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PDE4-억제제, EGFR-억제제 또는 LTD4-길항제와 병용된 베타모방제를 나타내고,
- W는 베타모방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PDE4-억제제, EGFR-억제제 또는 LTD4-길항제와 병용된 항콜린제를 나타내고,
- W는 PDE4-억제제, EGFR-억제제 또는 LTD4-길항제와 병용된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나타내고,
- W는 EGFR-억제제 또는 LTD4-길항제와 병용된 PDE4-억제제를 나타내고,
- W는 LTD4-길항제와 병용된 EGFR-억제제를 나타낸다.
베타모방제로서 사용되는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알부테롤, 아포모테롤, 밤부테롤, 비톨테롤, 브록사테롤, 카부테롤, 클렌부테롤, 페노테롤, 포모테롤, 헥소프레날린, 이부테롤, 이소에타린, 이소프레날린, 레보살부타몰, 마부테롤, 멜루아드린, 메타프로테레놀, 오르시프레날린, 피르부테롤, 프로카테롤, 레프로테롤, 리미테롤, 리토드린, 살메파몰, 살메테롤, 소테레놀, 설폰테롤, 테르부탈린, 티아라미드, 톨루부테롤, 진테롤, CHF-1035, HOKU-81, KUL-1248 및
- 3-(4-{6-[2-하이드록시-2-(4-하이드록시-3-하이드록시메틸-페닐)-에틸아미노]-헥실옥시}-부틸)-벤질-설폰아미드,
- 5-[2-(5,6-디에틸-인단-2-일아미노)-1-하이드록시-에틸]-8-하이드록시-1H-퀴놀린-2-온,
- 4-하이드록시-7-[2-{[2-{[3-(2-페닐에톡시)프로필]설포닐}에틸]-아미노}에틸]-2(3H)-벤조티아졸론,
- 1-(2-플루오로-4-하이드록시페닐)-2-[4-(1-벤즈이미다졸릴)-2-메틸-2-부틸아미노]에탄올,
- 1-[3-(4-메톡시벤질-아미노)-4-하이드록시페닐]-2-[4-(1-벤즈이미다졸릴)-2-메틸-2-부틸아미노]에탄올,
- 1-[2H-5-하이드록시-3-옥소-4H-1,4-벤족사진-8-일]-2-[3-(4-N,N-디메틸아미노페닐)-2-메틸-2-프로필아미노]에탄올,
- 1-[2H-5-하이드록시-3-옥소-4H-1,4-벤족사진-8-일]-2-[3-(4-메톡시페닐)-2-메틸-2-프로필아미노]에탄올,
- 1-[2H-5-하이드록시-3-옥소-4H-1,4-벤족사진-8-일]-2-[3-(4-n-부틸옥시페닐)-2-메틸-2-프로필아미노]에탄올,
- 1-[2H-5-하이드록시-3-옥소-4H-1,4-벤족사진-8-일]-2-{4-[3-(4-메톡시페닐)-1,2,4-트리아졸-3-일]-2-메틸-2-부틸아미노}에탄올,
- 5-하이드록시-8-(1-하이드록시-2-이소프로필아미노부틸)-2H-1,4-벤족사진-3-(4H)-온,
- 1-(4-아미노-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3급-부틸아미노)에탄올,
- 6-하이드록시-8-{1-하이드록시-2-[2-(4-메톡시-페닐)-1,1-디메틸-에틸아미노]-에틸}-4H-벤조[1,4]옥사진-3-온,
- 6-하이드록시-8-{1-하이드록시-2-[2-(에틸-4-페녹시-아세테이트)-1,1-디메틸-에틸아미노]-에틸}-4H-벤조[1,4]옥사진-3-온,
- 6-하이드록시-8-{1-하이드록시-2-[2-(4-페녹시-아세트산)-1,1-디메틸-에틸아미노]-에틸}-4H-벤조[1,4]옥사진-3-온,
- 8-{2-[1,1-디메틸-2-(2,4,6-트리메틸페닐)-에틸아미노]-1-하이드록시-에틸}-6-하이드록시-4H-벤조[1,4]옥사진-3-온,
- 6-하이드록시-8-{1-하이드록시-2-[2-(4-하이드록시-페닐)-1,1-디메틸-에틸아미노]-에틸}-4H-벤조[1,4]옥사진-3-온,
- 6-하이드록시-8-{1-하이드록시-2-[2-(4-이소프로필-페닐)-1,1-디메틸-에틸아미노]-에틸}-4H-벤조[1,4]옥사진-3-온,
- 8-{2-[2-(4-에틸-페닐)-1,1-디메틸-에틸아미노]-1-하이드록시-에틸}-6-하이드록시-4H-벤조[1,4]옥사진-3-온,
- 8-{2-[2-(4-에톡시-페닐)-1,1-디메틸-에틸아미노]-1-하이드록시-에틸}-6-하이드록시-4H-벤조[1,4]옥사진-3-온,
- 4-(4-{2-[2-하이드록시-2-(6-하이드록시-3-옥소-3,4-디하이드로-2H-벤조[1,4]옥사진-8-일)-에틸아미노]-2-메틸-프로필}-페녹시)-부티르산,
- 8-{2-[2-(3,4-디플루오로-페닐)-1,1-디메틸-에틸아미노]-1-하이드록시-에틸}-6-하이드록시-4H-벤조[1,4]옥사진-3-온,
- 1-(4-에톡시-카보닐아미노-3-시아노-5-플루오로페닐)-2-(3급-부틸아미노)에탄올,
- 2-하이드록시-5-(1-하이드록시-2-{2-[4-(2-하이드록시-2-페닐-에틸아미노)-페닐]-에틸아미노}-에틸)-벤즈알데히드,
- N-[2-하이드록시-5-(1-하이드록시-2-{2-[4-(2-하이드록시-2-페닐-에틸아미노)-페닐]-에틸아미노}-에틸)-페닐]-포름아미드,
- 8-하이드록시-5-(1-하이드록시-2-{2-[4-(6-메톡시-비페닐-3-일아미노)-페닐]-에틸아미노}-에틸)-1H-퀴놀린-2-온,
- 8-하이드록시-5-[1-하이드록시-2-(6-페네틸아미노-헥실아미노)-에틸]-1H-퀴놀린-2-온,
- 5-[2-(2-{4-[4-(2-아미노-2-메틸-프로폭시)-페닐아미노]-페닐}-에틸아미노)-1-하이드록시-에틸]-8-하이드록시-1H-퀴놀린-2-온,
- [3-(4-{6-[2-하이드록시-2-(4-하이드록시-3-하이드록시메틸-페닐)-에틸아미노]-헥실옥시}-부틸)-5-메틸-페닐]-우레아,
- 4-(2-{6-[2-(2,6-디클로로-벤질옥시)-에톡시]-헥실아미노}-1-하이드록시-에틸)-2-하이드록시메틸-페놀,
- 3-(4-{6-[2-하이드록시-2-(4-하이드록시-3-하이드록시메틸-페닐)-에틸아미노]-헥실옥시}-부틸)-벤질설폰아미드,
- 3-(3-{7-[2-하이드록시-2-(4-하이드록시-3-하이드록시메틸-페닐)-에틸아미노]-헵틸옥시}-프로필)-벤질설폰아미드,
- 4-(2-{6-[4-(3-사이클로펜탄설포닐-페닐)-부톡시]-헥실아미노}-1-하이드록시-에틸)-2-하이드록시메틸-페놀,
- N-아다만탄-2-일-2-(3-{2-[2-하이드록시-2-(4-하이드록시-3-하이드록시메틸-페닐)-에틸아미노]-프로필}-페닐)-아세트아미드,
임의로 이들의 라세미체, 에난티오머, 부분입체이성체 형태 및 임의로 이들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 형태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타모방제의 산 부가염은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요오다이드, 하이드로설페이트, 하이드로포스페이트, 하이드로메탄설포네이트, 하이드로니트레이트, 하이드로말레에이트, 하이드로아세테이트, 하이드로시트레이트, 하이드로푸마레이트, 하이드로타르트레이트, 하이드로옥살레이트, 하이드로석시네이트, 하이드로벤조에이트 및 하이드로-p-톨루엔설포네이트로부터 선택된다.
사용되는 항콜린제는 바람직하게는 티오트로퓸 염, 바람직하게는 브로마이드 염, 옥시트로퓸 염, 바람직하게는 브로마이드 염, 플루트로퓸 염, 바람직하게는 브로마이드 염, 이프라트로퓸 염, 바람직하게는 브로마이드 염, 글리코피로늄 염, 바람직하게는 브로마이드 염, 트로스퓸 염, 바람직하게는 클로라이드 염, 톨테로딘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이다. 상기 언급된 염에서, 양이온은 약리학적 활성 성분이다. 음이온으로서, 상기 언급된 염은 바람직하게는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요오다이드, 설페이트, 포스페이트, 메탄설포네이트, 니트레이트, 말레에이트, 아세테이트, 시트레이트, 푸마레이트, 타르트레이트, 옥살레이트, 석시네이트, 벤조에이트 또는 p-톨루엔설포네이트를 함유할 수 있으며,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요오다이드, 설페이트, 메탄설포네이트 또는 p-톨루엔설포네이트가 반대 이온으로서 바람직하다. 모든 염들 중에서,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요오다이드 및 메탄설포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다른 바람직한 항콜린제는 화학식 AC-1의 염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001
위의 화학식에서, X-는 단일 음전하를 갖는 음이온,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라이드,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요오다이드, 설페이트, 포스페이트, 메탄설포네이트, 니트레이트, 말레에이트, 아세테이트, 시트레이트, 푸마레이트, 타르트레이트, 옥살레이트, 석시네이트, 벤조에이트 및 p-톨루엔설포네이트로부터 선택된 음이온, 바람직하게는 단일 음전하를 갖는 음이온, 특히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라이드,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메탄설포네이트 및 p-톨루엔설포네이트로부터 선택된 음이온, 특히 바람직하게는 브로마이드, 임의로 이들의 라세미체, 에난티오머 또는 수화물 형태인 음이온을 나타낸다.
화학식 AC-1-엔의 에난티오머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병용물이 특히 중요하다.
Figure pct00002
위의 화학식에서, X-는 앞서 언급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항콜린제는 화학식 AC-2의 염들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003
위의 화학식에서, R은 메틸 또는 에틸이고, X-는 앞서 언급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화학식 AC-2의 화합물은 유리 염기 AC-2-염기의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Figure pct00004
다른 구체적인 화합물들은 다음과 같다:
- 트로페놀 2,2-디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2,2-디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2-플루오로-2,2-디페닐아세테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페놀 2-플루오로-2,2-디페닐아세테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페놀 3,3',4,4'-테트라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3,3',4,4'-테트라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페놀 4,4'-디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4,4'-디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페놀 3,3'-디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3,3'-디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페놀 9-하이드록시-플루오렌-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페놀 9-플루오로-플루오렌-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9-하이드록시-플루오렌-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9-플루오로-플루오렌-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페놀 9-메틸-플루오렌-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9-메틸-플루오렌-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2,2-디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9-하이드록시-크산텐-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9-메틸-플루오렌-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9-메틸-크산텐-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9-하이드록시-플루오렌-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메틸 4,4'-디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페놀 9-하이드록시-크산텐-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9-하이드록시-크산텐-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페놀 9-메틸-크산텐-9-카복실레이트-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9-메틸-크산텐-9-카복실레이트-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페놀 9-에틸-크산텐-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페놀 9-디플루오로메틸-크산텐-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9-하이드록시메틸-크산텐-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상기 화합물들은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염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데, 메토브로마이드 대신 메토-X 염(여기서, X는 상기 X-에 대해 언급된 정의를 가질 수 있다)이 사용된다.
코르티코스테로이드로서, 베클로메타손, 베타메타손, 부데소나이드, 부틱소코르트, 시클레소나이드, 데플라자코르트, 덱사메타손, 에티프레드놀, 플루니솔라이드, 플루티카손, 로테프레드놀, 모메타손, 프레드니솔론, 프레드니손, 로플레포나이드, 트리암시놀론, RPR-106541, NS-126, ST-26 및
- (S)-플루오로메틸 6,9-디플루오로-17-[(2-푸라닐카보닐)옥시]-11-하이드록시-16-메틸-3-옥소-안드로스타-1,4-디엔-17-카보티오네이트,
- (S)-(2-옥소-테트라하이드로-푸란-3S-일) 6,9-디플루오로-11-하이드록시-16-메틸-3-옥소-17-프로피오닐옥시-안드로스타-1,4-디엔-17-카보티오네이트,
- 시아노메틸 6α,9α-디플루오로-11β-하이드록시-16α-메틸-3-옥소-17α-(2,2,3,3-테트라메틸사이클로프로필카보닐)옥시-안드로스타-1,4-디엔-17β-카복실레이트,
임의로 이들의 라세미체, 에난티오머 또는 부분입체이성체 형태 및 임의로 이들의 염 및 유도체, 이들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 형태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로이드에 대한 모든 언급은 존재할 수 있는 이들의 임의의 염 또는 유도체,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포함한다. 스테로이드의 가능한 염 및 유도체의 예는 알칼리 금속염, 예를 들면, 나트륨 염 또는 칼륨 염, 설포벤조에이트, 포스페이트, 이소니코티네이트, 아세테이트, 디클로로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팔미테이트, 피발레이트 또는 푸로에이트일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PDE4-억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엔프로필린, 테오필린, 로플루밀라스트, 아리플로(실로밀라스트), 토피밀라스트, 푸마펜트린, 리리밀라스트, 아로필린, 아티조람, D-4418, Bay-198004, BY343, CP-325.366, D4396(Sch-351591), AWD-12-281(GW-842470), NCS-613, CDP-840, D-4418, PD-168787, T-440, T-2585, V-11294A, Cl-1018, CDC-801, CDC-3052, D-22888, YM-58997, Z-15370 및
- N-(3,5-디클로로-1-옥소-피리딘-4-일)-4-디플루오로메톡시-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벤즈아미드,
- (-)p-[(4aR*,10bS*)-9-에톡시-1,2,3,4,4a,10b-헥사하이드로-8-메톡시-2-메틸벤조[s][1,6]나프티리딘-6-일]-N,N-디이소프로필벤즈아미드,
- (R)-(+)-1-(4-브로모벤질)-4-[(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2-피롤리돈,
- 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1-(4-N'-[N-2-시아노-S-메틸-이소티오우레이도]벤질)-2-피롤리돈,
- 시스[4-시아노-4-(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사이클로헥산-1-카복실산],
- 2-카보메톡시-4-시아노-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사이클로헥산-1-온,
- 시스[4-시아노-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사이클로헥산-1-올],
- (R)-(+)-에틸[4-(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피롤리딘-2-일리덴]아세테이트,
- (S)-(-)-에틸[4-(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피롤리딘-2-일리덴]아세테이트,
- 9-사이클로펜틸-5,6-디하이드로-7-에틸-3-(2-티에닐)-9H-피라졸로[3,4-c]-1,2,4-트리아졸로[4,3-a]피리딘,
- 9-사이클로펜틸-5,6-디하이드로-7-에틸-3-(3급-부틸)-9H-피라졸로[3,4-c]-1,2,4-트리아졸로[4,3-a]피리딘,
임의로 이들의 라세미체, 에난티오머 또는 부분입체이성체 형태 및 임의로 이들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 이들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 형태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PDE4 억제제의 산 부가염은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요오다이드, 하이드로설페이트, 하이드로포스페이트, 하이드로메탄설포네이트, 하이드로니트레이트, 하이드로말레에이트, 하이드로아세테이트, 하이드로시트레이트, 하이드로푸마레이트, 하이드로타르트레이트, 하이드로옥살레이트, 하이드로석시네이트, 하이드로벤조에이트 및 하이드로-p-톨루엔설포네이트로부터 선택된다.
사용되는 LTD4-길항제는 바람직하게는 몬테루카스트, 프란루카스트, 자피르루카스트, MCC-847(ZD-3523), MN-001, MEN-91507(LM-1507), VUF-5078, VUF-K-8707, L-733321 및
- 1-(((R)-(3-(2-(6,7-디플루오로-2-퀴놀리닐)에테닐)페닐)-3-(2-(2-하이드록시-2-프로필)페닐)티오)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세트산,
- 1-(((1(R)-3(3-(2-(2,3-디클로로티에노[3,2-b]피리딘-5-일)-(E)-에테닐)페닐)-3-(2-(1-하이드록시-1-메틸에틸)페닐)프로필)티오)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세트산,
- [2-[[2-(4-3급-부틸-2-티아졸릴)-5-벤조푸라닐]옥시메틸]페닐]아세트산, 임의로 이들의 라세미체, 에난티오머 또는 부분입체이성체 형태 및 임의로 이들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 형태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산 부가염은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요오다이드, 하이드로설페이트, 하이드로포스페이트, 하이드로메탄설포네이트, 하이드로니트레이트, 하이드로말레에이트, 하이드로아세테이트, 하이드로시트레이트, 하이드로푸마레이트, 하이드로타르트레이트, 하이드로옥살레이트, 하이드로석시네이트, 하이드로벤조에이트 및 하이드로-p-톨루엔설포네이트로부터 선택된다. LTD4-길항제가 임의로 형성할 수 있는 염 또는 유도체는,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염, 예를 들면, 나트륨 염 또는 칼륨 염, 알칼리 토금속염, 설포벤조에이트, 포스페이트, 이소니코티네이트,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팔미테이트, 피발레이트 또는 푸로에이트를 의미한다.
사용될 수 있는 EGFR-억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세툭시맙, 트라스투주맙, ABX-EGF, Mab ICR-62 및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디에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디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R)-(1-페닐-에틸)아미노]-6-{[4-(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펜틸옥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R)-6-메틸-2-옥소-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R)-6-메틸-2-옥소-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7-[(S)-(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옥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R)-2-메톡시메틸-6-옥소-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2-((S)-6-메틸-2-옥소-모르폴린-4-일)-에톡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2-메톡시-에틸)-N-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디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펜틸옥시-퀴나졸린,
- 4-[(R)-(1-페닐-에틸)아미노]-6-{[4-(N,N-비스-(2-메톡시-에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R)-(1-페닐-에틸)아미노]-6-({4-[N-(2-메톡시-에틸)-N-에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R)-(1-페닐-에틸)아미노]-6-({4-[N-(2-메톡시-에틸)-N-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R)-(1-페닐-에틸)아미노]-6-({4-[N-(테트라하이드로피란-4-일)-N-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디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R)-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옥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디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S)-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옥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2-메톡시-에틸)-N-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펜틸옥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사이클로프로필-N-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펜틸옥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디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R)-(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디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S)-(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7-비스-(2-메톡시-에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7-[3-(모르폴린-4-일)-프로필옥시]-6-[(비닐-카보닐)아미노]-퀴나졸린,
- 4-[(R)-(1-페닐-에틸)아미노]-6-(4-하이드록시-페닐)-7H-피롤로[2,3-d]피리미딘,
- 3-시아노-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디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에톡시-퀴놀린,
- 4-{[3-클로로-4-(3-플루오로-벤질옥시)-페닐]아미노}-6-(5-{[(2-메탄설포닐에틸)아미노]메틸}-푸란-2-일)퀴나졸린,
- 4-[(R)-(1-페닐-에틸)아미노]-6-{[4-((R)-6-메틸-2-옥소-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7-[(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비스-(2-메톡시-에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4-(5,5-디메틸-2-옥소-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2-(2,2-디메틸-6-옥소-모르폴린-4-일)-에톡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2-(2,2-디메틸-6-옥소-모르폴린-4-일)-에톡시]-7-[(R)-(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7-[2-(2,2-디메틸-6-옥소-모르폴린-4-일)-에톡시]-6-[(S)-(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2-[4-(2-옥소-모르폴린-4-일)-피페리딘-1-일]-에톡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3급-부틸옥시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메탄설포닐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테트라하이드로피란-3-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메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모르폴린-4-일)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메톡시메틸)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피페리딘-3-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2-아세틸아미노-에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테트라하이드로피란-4-일옥시)-7-에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S)-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옥시)-7-하이드록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테트라하이드로피란-4-일옥시)-7-(2-메톡시-에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디메틸아미노)설포닐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모르폴린-4-일)카보닐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모르폴린-4-일)설포닐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테트라하이드로피란-4-일옥시)-7-(2-아세틸아미노-에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테트라하이드로피란-4-일옥시)-7-(2-메탄설포닐아미노-에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피페리딘-1-일)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아미노카보닐메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테트라하이드로피란-4-일)카보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모르폴린-4-일)카보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모르폴린-4-일)설포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에탄설포닐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메탄설포닐-피페리딘-4-일옥시)-7-에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메탄설포닐-피페리딘-4-일옥시)-7-(2-메톡시-에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2-메톡시-아세틸)-피페리딘-4-일옥시]-7-(2-메톡시-에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아세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1-(3급-부틸옥시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테트라하이드로피란-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피페리딘-1-일)카보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4-메틸-피페라진-1-일)카보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모르폴린-4-일)카보닐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2-(2-옥소피롤리딘-1-일)에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모르폴린-4-일)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2-메톡시-에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1-아세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1-메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1-메탄설포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메틸-피페리딘-4-일옥시)-7(2-메톡시-에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2-메톡시-아세틸)-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1-(2-메톡시-아세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1-[(모르폴린-4-일)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시스-2,6-디메틸-모르폴린-4-일)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2-메틸-모르폴린-4-일)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S,S)-(2-옥사-5-아자-비사이클로[2,2,1]헵트-5-일)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N-메틸-N-2-메톡시에틸-아미노)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에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2-메톡시에틸)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3-메톡시프로필-아미노)-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메탄설포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아세틸-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N-메탄설포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디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N-[(모르폴린-4-일)카보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2-(2,2-디메틸-6-옥소-모르폴린-4-일)-에톡시]-7-[(S)-(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메탄설포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시아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임의로 이들의 라세미체, 에난티오머, 부분입체이성체 형태 및 임의로 이들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 형태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산 부가염은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요오다이드, 하이드로설페이트, 하이드로포스페이트, 하이드로메탄설포네이트, 하이드로니트레이트, 하이드로말레에이트, 하이드로아세테이트, 하이드로시트레이트, 하이드로푸마레이트, 하이드로타르트레이트, 하이드로옥살레이트, 하이드로석시네이트, 하이드로벤조에이트 및 하이드로-p-톨루엔설포네이트로부터 선택된다.
사용되는 도파민 효능제는 바람직하게는 브로모크립틴, 카베르골린, 알파-디하이드로에르고크립틴, 리수라이드, 퍼골라이드, 프라미펙솔, 록신돌, 로피니롤, 탈리펙솔, 테르구리드 및 비오잔, 임의로 이들의 라세미체, 에난티오머, 부분입체이성체 형태 및 임의로 이들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 형태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산 부가염은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요오다이드, 하이드로설페이트, 하이드로포스페이트, 하이드로메탄설포네이트, 하이드로니트레이트, 하이드로말레에이트, 하이드로아세테이트, 하이드로시트레이트, 하이드로푸마레이트, 하이드로타르트레이트, 하이드로옥살레이트, 하이드로석시네이트, 하이드로벤조에이트 및 하이드로-p-톨루엔설포네이트로부터 선택된다.
사용될 수 있는 H1-항히스타민은 바람직하게는 에피나스틴, 세티리진, 아젤라스틴, 펙소페나딘, 레보카바스틴, 로라타딘, 미졸라스틴, 케토티펜, 에메다스틴, 디메틴덴, 클레마스틴, 바미핀, 섹스클로르페니라민, 페니라민, 독실아민, 클로로페녹사민, 디멘하이드리네이트, 디펜하이드라민, 프로메타진, 에바스틴, 데스로라티딘 및 메클로진, 임의로 이들의 라세미체, 에난티오머, 부분입체이성체 형태 및 임의로 이들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 형태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 산 부가염은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요오다이드, 하이드로설페이트, 하이드로포스페이트, 하이드로메탄설포네이트, 하이드로니트레이트, 하이드로말레에이트, 하이드로아세테이트, 하이드로시트레이트, 하이드로푸마레이트, 하이드로타르트레이트, 하이드로옥살레이트, 하이드로석시네이트, 하이드로벤조에이트 및 하이드로-p-톨루엔설포네이트로부터 선택된다.
사용되는 약제학적 유효 물질, 물질들의 제형 또는 혼합물은, 예를 들면, 유럽 특허 제EP 1 003 478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흡입가능한 거대분자를 포함하는 임의의 흡입가능한 화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흡입에 의해 투여되는 물질, 물질들의 제형 또는 혼합물이 호흡기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추가로, 화합물은 맥각 알칼로이드 유도체, 트립탄, CGRP-억제제, 포스포디에스테라제-V 억제제, 임의로 이들의 라세미체, 에난티오머 또는 부분입체이성체 형태 및 임의로 이들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 형태의 그룹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맥각 알칼로이드 유도체의 예는 디하이드로에르고타민 및 에르고타민이다.
1 커버
2 마우스피스
2' 개구부 보조물
3 플레이트
4 스핀들
5 캡슐 홀더
6 하부 파트
6' 점검창
7 외부 작동 부재
8 핀
9 나선형 스프링
10 내부 작동 부재
11 핀
12 스크린 하우징
13 스크린 메쉬
14 닫음 부재
15 가이드 암
16 만입부
17 보유 웹
18 홀더
19 6의 개구부
20 핀 가이드
20' 가이드 슬리브
21 캡슐 챔버
21' 캡슐
22 교체가능한 튜브
23 마개
24 22의 개구부
25 22의 상부
26 삽입 콘
27 2의 개구부
28 돌기
29 홈
30 환상 홈
31 함몰부
32 23의 슬로프
33 37의 래칭 후크
34 중간 링
35 압축 스프링
36 보유 링
37 작동 버튼
38 34의 크로스피스
39 바
40 축방향 구멍
41 이송 부재
42 만입부
43 23의 래칭 후크
44 3의 개구부
45 크로스피스

Claims (20)

  1. - 하부 파트(6),
    - 하부 파트(6)에 내장된 플레이트(3), 및 하부 파트(6)에 삽입된 홀더(18),
    - 플레이트(3) 상의 하부 파트(6)에 래칭(latching)될 수 있는 마우스피스(2),
    - 닫힌 위치에서 마우스피스(2)를 덮고 닫음 부재(closure element)(14)에 의해 래칭되는 커버(1)(여기서, 하부 파트(6) 및 커버(1)는 스핀들(4)에 의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및
    - 정지 위치로부터 움직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핀(8,11)(상기 핀은 홀더(18) 내로 찔러넣어질 수 있고, 내부 작동 부재(10) 속의 핀 홀더에 위치한다)을 움직이게 하는 동시에 이와 상호작용하는 작동 부재(actuating member)(7,10)를 포함하고,
    홀더(18)에는, 캡슐을 갖는 캡슐 챔버(21)를 포함하는 교체가능한 튜브(22)가 방출 채널(expulsion channel)로서 삽입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로부터 분말상 약제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을 갖는 교체가능한 튜브(22)가 단일 흡입에 사용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특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교체가능한 튜브(22)가 상기 흡입기 속에서 이의 사용 위치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어 마우스피스(2)를 통해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4. 제3항에 있어서, 교체가능한 튜브(22)를 이의 축방향 사용 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잠금 장치가, 연결된 만입부(31)와 맞물려 있는 하나 이상의 래칭 후크(43)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5. 제4항에 있어서, 방사형 바(radial bar)(39)가 탄력적으로 장착된 중간 링(34) 위에 형성되고, 상기 바가 작동 부재(7, 10)와 상호작용하여, 교체가능한 튜브(22)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또는 교체가능한 튜브(22)가 축방향 사용 위치에 고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바가 작동 부재(7, 10)를 고정시켜 이것이 캡슐을 관통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교체가능한 튜브(22)가 축방향 사용 위치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바(39)가 작동 부재(7, 10)를 해제하여 핀이 캡슐을 관통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중간 링(34)이, 이의 기저부에서 하부 파트(6)에 고정된 보유 링(retaining ring)(36) 상에서, 개재된 압축 스프링(35)을 통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안내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7. 제4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 링(34)이, 래치를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에 의한 작동을 위한, 상기 하부 파트(이것은 보다 특히 두 개의 접시 형태이다) 내의 보유 링(36) 및 개구부(19)를 통해 돌출된, 동축 작동 버튼(coaxial actuating button)(37)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교체가능한 튜브(22)가 이의 말단에서 마개(23)에 의해 닫혀서 캡슐 챔버(21)를 형성하고, 교체가능한 튜브(22)가, 특히 종방향의 환상 홈(30)과 함께, 함몰부(31)를 포함하며, 여기서, 래칭 후크(43)가 맞물리고, 래칭 위치 아래에서, 마개(23)에 축방향 구멍(40)이 제공되어 유동 채널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캡슐 챔버(21)가, 한편으로는 마개(23)에 의해 결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교체가능한 튜브(22) 내로 돌출된 횡방향 부재(41)에 의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교체가능한 튜브(22)가, 마우스피스(2)와 연결된 상기 튜브의 상부면(25)의 영역에, 마우스피스(2) 안의 상응하는 홈(29)과 연결된 방사상으로 돌출된 돌기(28)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교체가능한 튜브(22)에는, 마우스피스(2)와 연결된 상기 튜브의 상부면(25)의 영역에, 교체가능한 튜브(22)의 축방향 사용 위치에서 마우스피스(2) 안의 상응하는 형태의 개구부(27)에 놓여있는 삽입 콘(insertion cone)(26)이 제공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교체가능한 튜브(22)가 이의 사용 위치와 이의 제거 위치 사이를 차지하는 삽입된 중간 위치에서 이동가능하게 래칭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교체가능한 튜브(22)가 멤브레인에 의해 바람직하게 닫히는 핀(8, 11)을 위한 개구부(24)를 이의 원주측에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교체가능한 튜브(22)가 부정확한 삽입을 방지하기 위해 두께가 상이한 말단들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캡슐 챔버(21)가 상응하는 핀들(8, 11)에 의해 관통될 수 있는 다수의 캡슐들을 수용하는데 적합한 치수 및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교체가능한 튜브(22)가 작동 버튼(37)의 작동에 의해 능동적으로 해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작동 부재(7)가, 교체가능한 튜브(22)가 정확하게 삽입되지 않으면 외부 작동 부재(7)가 내리눌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차단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8. 제1항에 따르는 흡입기를 위한 교체가능한 튜브(22).
  19. 제18항에 있어서, 캡슐이 탑재되고 블리스터 팩 안에 포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능한 튜브(22).
  20. 제18항에 있어서, 정확하게 삽입되었는지 및 정확한 말단 위치에 도달했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유색 마킹(coloured marking)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능한 튜브(22).
KR1020127011226A 2009-10-02 2010-09-30 분말 흡입기 KR1017191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172107 2009-10-02
EP09172107.6 2009-10-02
PCT/EP2010/064562 WO2011039307A2 (de) 2009-10-02 2010-09-30 Pulverinhal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302A true KR20120084302A (ko) 2012-07-27
KR101719137B1 KR101719137B1 (ko) 2017-03-23

Family

ID=43304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1226A KR101719137B1 (ko) 2009-10-02 2010-09-30 분말 흡입기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8746244B2 (ko)
EP (2) EP3189869B1 (ko)
JP (2) JP5744883B2 (ko)
KR (1) KR101719137B1 (ko)
CN (2) CN104307075B (ko)
AR (1) AR078514A1 (ko)
AU (1) AU2010302695B2 (ko)
BR (1) BR112012007303B8 (ko)
CA (1) CA2776286C (ko)
CL (1) CL2012000817A1 (ko)
DK (1) DK2482904T3 (ko)
EA (1) EA023920B1 (ko)
ES (1) ES2622839T3 (ko)
HU (1) HUE034526T2 (ko)
IL (1) IL218545A (ko)
MX (1) MX2012003444A (ko)
NZ (1) NZ599305A (ko)
PL (1) PL2482904T3 (ko)
TW (1) TWI571277B (ko)
WO (1) WO2011039307A2 (ko)
ZA (1) ZA2012017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36411A1 (de) * 2007-07-20 2009-02-12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Pulverinhalator
US8746244B2 (en) 2009-10-02 2014-06-10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Powder inhaler
US9345848B2 (en) 2009-10-20 2016-05-24 Sima Patent Ve Lisanslama Hizmetleri Ltd. Sti. Dry powder inhaler
GB201020638D0 (en) * 2010-12-06 2011-01-19 Liconsa Laboratorios Sa Inhalator
EA026450B1 (ru) * 2011-11-25 2017-04-28 Махмут Билджик Ингалятор
DE102012103482A1 (de) * 2012-04-20 2013-10-24 Alfred Von Schuckmann Vorrichtung zum Inhalieren pulverförmiger Substanzen
US9956362B2 (en) * 2012-05-25 2018-05-01 Arven Ilac Saniyi ve Ticaret A.S. Trigger mechanism for inhaler device
US9248247B2 (en) 2012-07-26 2016-02-02 Nathaniel Gerald Portney Capsular medication delivery and inhalation device
AU356657S (en) * 2014-01-28 2014-07-29 Lupin Ltd Inhaler
AU356644S (en) * 2014-01-28 2014-07-29 Lupin Ltd Inhaler
AU356658S (en) * 2014-01-28 2014-07-29 Lupin Ltd Inhaler
AU355712S (en) * 2014-02-20 2014-05-22 Lupin Ltd Part of inhaler
NO2709641T3 (ko) * 2014-03-10 2018-05-12
DE102015109996B3 (de) * 2015-06-22 2016-07-28 Gerresheimer Regensburg Gmbh Einrichtung zum Öffnen von Kapseln
CA169756S (en) 2016-02-08 2017-09-01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cigarette
US10888675B2 (en) 2016-02-24 2021-01-12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Inhaler
EP3419707B1 (de) 2016-02-24 2023-01-25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Inhalator
GB201605105D0 (en) 2016-03-24 2016-05-11 Nicoventures Holdings Ltd Vapour provision apparatus
GB201605101D0 (en) 2016-03-24 2016-05-11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GB201605100D0 (en) 2016-03-24 2016-05-11 Nicoventures Holdings Ltd Vapour provision system
GB201605102D0 (en) 2016-03-24 2016-05-11 Nicoventures Holdings Ltd Mechanical connector for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WO2018015712A1 (en) 2016-07-22 2018-01-25 Nicoventures Holdings Limited Case for a vapour provision device
PT3284499T (pt) * 2016-08-15 2019-07-16 Tiefenbacher Alfred E Gmbh & Co Kg Inalador de pó seco com resistência ao escoamento reproduzível
CN117205411A (zh) * 2017-04-17 2023-12-12 苏州新劢德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一种干粉吸入组件
US11730898B2 (en) 2017-10-24 2023-08-22 Merxin Ltd Inhaler
CN107670151B (zh) * 2017-11-03 2024-04-09 杭州畅溪制药有限公司 一种干粉吸入器的上部结构
BR112020011285A2 (pt) * 2017-12-13 2020-11-24 Emphasys Importadora Exportadora E Distribuidora Ltda. inalador de pó seco
US20210113787A1 (en) * 2018-02-19 2021-04-22 Philip Morris Products S.A. Dry powder inhaler
US20220379051A1 (en) * 2019-10-25 2022-12-01 Philip Morris Products S.A. Inhaler article with open distal end, and inhaler system
USD1010101S1 (en) 2020-09-18 2024-01-02 Trudell Medical International Holding chamber
USD983354S1 (en) 2020-12-21 2023-04-11 Rpc Formatec Gmbh Inhal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8931A (en) * 1979-04-27 1982-07-13 Claudio Cavazza Device for the quick inhalation of drugs in powder form by humans suffering from asthma
WO2007118801A1 (de) * 2006-04-11 2007-10-25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Inhalator
WO2008065403A2 (en) * 2006-11-28 2008-06-05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s
WO2009013218A1 (de) * 2007-07-20 2009-01-29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Pulverinhalat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6332A (en) * 1957-12-23 1960-07-26 Nysco Lab Inc Insufflator
FR2352556A1 (fr) 1976-05-26 1977-12-23 Pasteur Institut Inhalateur de poudre
DE3927170A1 (de) * 1989-08-17 1991-02-21 Boehringer Ingelheim Kg Inhalator
DE4318455A1 (de) 1993-06-03 1994-12-08 Boehringer Ingelheim Kg Kapselhalterung
JP3372105B2 (ja) * 1994-05-26 2003-01-27 株式会社日立ユニシアオートモティブ 吸入式投薬器
DE19733651A1 (de) 1997-08-04 1999-02-18 Boehringer Ingelheim Pharma Wässrige Aerosolzubereitungen enthaltend biologisch aktive Markomoleküle und Verfahren zur Erzeugung entsprechender Aerosole
DE19835346A1 (de) 1998-08-05 2000-02-10 Boehringer Ingelheim Pharma Zweiteilige Kapsel zur Aufnahme von pharmazeutischen Zubereitungen für Pulverinhalatoren
US20060118106A1 (en) * 2002-09-16 2006-06-08 Alfred Von Schuckmann Inhaler for powdery, in particular, medical substances
DE10352277A1 (de) * 2003-11-08 2005-06-02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Pulverinhalator
GB0420513D0 (en) * 2004-09-15 2004-10-20 Optinose As Powder delivery devices
EP1827541B1 (de) * 2004-10-21 2013-05-29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Blister für inhalatoren
US8746244B2 (en) 2009-10-02 2014-06-10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Powder inhal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8931A (en) * 1979-04-27 1982-07-13 Claudio Cavazza Device for the quick inhalation of drugs in powder form by humans suffering from asthma
WO2007118801A1 (de) * 2006-04-11 2007-10-25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Inhalator
WO2008065403A2 (en) * 2006-11-28 2008-06-05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s
WO2009013218A1 (de) * 2007-07-20 2009-01-29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Pulverinha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73972A (zh) 2012-07-11
EA201200374A1 (ru) 2013-05-30
IL218545A (en) 2015-09-24
US8746244B2 (en) 2014-06-10
TW201134508A (en) 2011-10-16
JP2013506472A (ja) 2013-02-28
JP6160642B2 (ja) 2017-07-12
ES2622839T3 (es) 2017-07-07
JP5744883B2 (ja) 2015-07-08
WO2011039307A4 (de) 2011-07-28
HUE034526T2 (en) 2018-02-28
CA2776286A1 (en) 2011-04-07
TWI571277B (zh) 2017-02-21
US20110232637A1 (en) 2011-09-29
CN104307075B (zh) 2017-04-26
NZ599305A (en) 2014-06-27
IL218545A0 (en) 2012-05-31
JP2015128654A (ja) 2015-07-16
PL2482904T3 (pl) 2017-09-29
EP2482904A2 (de) 2012-08-08
EP3189869A1 (de) 2017-07-12
AR078514A1 (es) 2011-11-16
AU2010302695B2 (en) 2015-04-02
KR101719137B1 (ko) 2017-03-23
CL2012000817A1 (es) 2012-08-03
EP3189869B1 (de) 2019-07-03
EP2482904B1 (de) 2017-03-15
WO2011039307A3 (de) 2011-06-16
DK2482904T3 (en) 2017-07-03
AU2010302695A1 (en) 2012-05-03
BR112012007303B8 (pt) 2021-06-22
EA023920B1 (ru) 2016-07-29
MX2012003444A (es) 2012-04-20
WO2011039307A2 (de) 2011-04-07
BR112012007303B1 (pt) 2020-12-15
BR112012007303A2 (pt) 2016-04-19
ZA201201731B (en) 2013-01-30
CA2776286C (en) 2016-12-06
CN102573972B (zh) 2014-12-03
CN104307075A (zh) 2015-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60642B2 (ja) 粉末吸入器
JP4995324B2 (ja) 粉末吸入器
JP4954273B2 (ja) 吸入器
US7870856B2 (en) Inhaler
JP5194324B2 (ja) 吸入器
JP2009533097A (ja) 吸入器用薬剤マガジン及び多数回投与型粉末吸入器
JP2009533098A (ja) 薬剤送出装置、このための薬剤キャリヤ及び薬剤コンパートメントから薬剤を取り出す方法
JP5233049B2 (ja) 吸入器用マウスピース
KR20090009879A (ko) 분무기
KR20080068924A (ko) 흡입용 분말 캡슐 천공용 니들
KR20090009877A (ko) 흡입기
JP2010526616A (ja) 小出し器具(6)
JP5270752B2 (ja) 吸入器
JP5154541B2 (ja) 薬剤マガジン、薬剤マガジンの開放装置及び方法、多数回投与型粉末吸入器
KR20080110866A (ko) 방출 특성이 최적화된 다중-투약 분말 흡입기용 패키지 수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