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4011A -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4011A
KR20120084011A KR1020110005291A KR20110005291A KR20120084011A KR 20120084011 A KR20120084011 A KR 20120084011A KR 1020110005291 A KR1020110005291 A KR 1020110005291A KR 20110005291 A KR20110005291 A KR 20110005291A KR 20120084011 A KR20120084011 A KR 20120084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compound
group
resin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1457B1 (ko
Inventor
안재춘
Original Assignee
(주)노루페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노루페인트 filed Critical (주)노루페인트
Priority to KR1020110005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457B1/ko
Publication of KR20120084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4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52Esters of acyclic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having the esterified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 C07C69/533Monocarboxylic acid ester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7C69/54Acrylic acid esters;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메틸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에틸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와 반응 촉매와의 반응 화합물 및 용매로서 적어도 하나의 아크릴레이트기 및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지 조서물은 약 30 내지 70 중량%의 상기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약 20 내지 6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비닐기, 아크릴레이트기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반응성 단량체, 약 0.1 내지 15 중량%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및 약 0.5 내지 10 중량%의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PMMA에 대한 부착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ACRYL ACRYLATE AND RESIN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광판(LGP; light guide plate)의 필름에 적용가능한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되며 도광판의 PMMA(polymethyl methacrylate) 소재에 대한 부착력이 우수한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도광판의 PMMA 소재에는 수지를 이용하여 필름을 형성하고 있다. PMMA는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광투과율이 매우 높으며 복굴절이 작고 내광성이 우수하여 여러 가지 광학 부품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PMMA 소재의 표면에는 물성의 향상을 위하여 수지 필름을 형성한다.
기존에 사용되던 아크릴레이트 수지는 부착성이 낮아서 사용이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에폭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내마모성은 높일 수 있으나 부착성이 낮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의 경우는 경화 후에 필름의 황변이 심하고 이러한 황변은 필름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심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상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황변성이 없으면서 높은 부착성과 내마모성을 가지는 PMMA 소재용 필름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및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대신에 우수한 내마모성을 갖고 PMMA 기재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여 수지 조성물에 적용가능한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아크릴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LGP의 PMMA 소재에 대한 부착력이 우수한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PMMA 소재상에 우수한 부착력과 내마모성을 갖는 필름의 형성이 가능한 도광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메틸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에틸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와 반응 촉매와의 반응 화합물 및 용매로서 적어도 하나의 아크릴레이트기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응 촉매는 아조비스이소부티로 니트릴, 아조비스 이소펜티로 니트릴 및 아조비스 메틸프로피온 아미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약 30 내지 70 중량%의 메틸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에틸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와 반응 촉매와의 반응 화합물 및 용매로서 적어도 하나의 아크릴레이트기 및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약 20 내지 6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비닐기, 아크릴레이트기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반응성 단량체, 약 0.1 내지 15 중량%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및 약 0.5 내지 10 중량%의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PMMA 부착성을 갖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단량체는 아크릴로일 몰포린, 벤질 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 헥실 아크릴레이트, 페녹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페녹시 디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페녹시 테트라 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페녹시 헥사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 펜타디엔 아크릴레이트, 오르소 페닐페녹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 부틸 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 헥산 디 메탄올 모노 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 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뉴레이트 디아크릴레이트, 디메틸올 트리 사이클로 데칸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형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 옥사이드 3몰 부가형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 아크릴레이트, 에틸렌 옥사이드 6몰 부가형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로옥시에틸)이소시아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 아크릴레이트 및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사용하도록 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폴리카보네이트 우레탄 변성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우레탄 변성 아크릴레이트, 폴리 에스테르 우레탄 변성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 카프로락톤 우레탄 변성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사용하도록 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벤조페논 및 그 유도체, 벤조인, 벤조인 알킬 에테르 벤질디메틸케탈, 1-하이드록시 사이클로 헥실 페닐케톤, 디에톡시아세토페논, 포스핀 옥사이드계, 아미노 아세토페논계,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파-1-논, 2-벤질-2-디메틸아미드-1-(4-몰포리나페닐)-부타난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PMMA 소재상에 상기한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지 조성물을 광경화하여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광판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광학 제품, 즉 광학 렌즈, 광학 필름 및 광 미디어 등에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광학 필름은 액정디스플레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은 디스플레이 제품에 사용이 가능하고 그 중에서도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되는 도광판의 물리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은 특히 도광판의 PMMA 소재에 대한 부착력이 우수하고 내마모성이 양호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PMMA에 부착성을 갖는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메틸기, 에틸기 또는 부틸기를 주축으로 하는 구조 말단에 아크릴레이트기를 가지고 있는 화합물로서, 메틸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에틸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의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반응 촉매의 존재하에 결합하여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생성하게 된다. 반응 용매로서는 적어도 하나의 아크릴레이트기 및 메타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모노머가 사용된다. 결국 촉매의 존재하에 메틸, 에틸 및/또는 부틸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 반응하여 고상의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형성하면 아크릴레이트기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기를 갖는 모노머 화합물이 고상의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에 대한 용매로 작용하여 용액상의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용매로 사용되는 아크릴레이트기 및 메타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모노머는 알코올에 산을 반응시켜 제조되는 모노머로서 반응에 참여하지는 않고 고상의 아크릴레이트 반응 화합물을 용해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반응 촉매는 아조비스이소부티로 니트릴, 아조비스 이소펜티로 니트릴 및 아조비스 메틸프로피온 아미딘 중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 사용된다. 이의 사용량은 반응물 총량을 기준으로 약 0.01 내지 1.0 중량% 범위가 되도록 한다. 여기서, 반응물 총량이란 메틸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에틸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중 적어도 하나와 반응 촉매를 합한양을 의미한다.
상술한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반응 용기에 용매로 사용할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 아크릴레이트기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화합물을 적정량 투입한다.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용매로 사용되므로 용매의 희석력 등을 고려하여 적정량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반응물 총량을 기준으로 약 20 내지 50 중량% 범위가 되도록 한다.
이후, 용매를 교반하면서 적정량의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부틸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촉매를 서서히 투입하도록 한다. 예컨대, 메틸 아크릴레이트 1당량, 에틸 아크릴레이트 0.5 당량, 부틸 아크릴레이트 0.5 당량 및 촉매를 반응기에 순차적으로 적하하고 교반하면서 약 90℃로 유지시킨다.
원료 적하가 완료되어 반응이 안정되면 2시간 동안 유지하면서 서서히 반응을 시킨 후에는 약 70℃로 냉각하고 여과하여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제조한 후 포장한다.
본 발명의 PMMA에 부착성을 갖는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분자 내에 비닐기, 아크릴레이트기 및 메타크릴레이트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반응성 단량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기재에 대하여 우수한 접착력을 부여해 주는 성분으로서 특히, PMMA에 대하여 부착성이 우수한 성분이다. 사용되는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할 때 양은 약 30 내지 70 중량% 범위가 되도록 하였다. 만약 이의 사용량이 약 30 중량% 보다 적으면 부착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만약 이의 사용량이 약 70 중량%를 초과하면 내마모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60 중량% 범위로 사용하였다.
반응성 단량체는 소재와의 부착성이 우수한 기능을 갖는 성분으로서 1 관능기를 가진 단량체로서 아크릴로일 몰포린, 벤질 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 헥실 아크릴레이트, 페녹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페녹시 디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페녹시 테트라 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페녹시 헥사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오르소 페닐페녹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사이클로 헥산 디 메탄올 모노 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고, 2 관능기를 가진 단량체로서 네오펜틸 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뉴레이트 디아크릴레이트, 디메틸올 트리 사이클로 데칸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형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고, 3 관능기 이상을 가진 단량체로서는 에틸렌 옥사이드 3몰 부가형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 아크릴레이트, 에틸렌 옥사이드 6몰 부가형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로옥시에틸)이소시아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 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 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반응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양은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할 때 약 20 내지 60 중량% 범위가 되도록 한다. 만약 이의 사용량이 약 20 중량% 미만이면 매점도 상승에 따라 가공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만약 이의 사용량이 약 60 중량% 보다 많으면 경화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50 중량% 범위가 되도록 한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내마모성이 우수한 기능을 갖는 성분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 우레탄 변성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우레탄 변성 아크릴레이트, 폴리 에스테르 우레탄 변성 아크릴레이트, 폴리 카프로락톤 우레탄 변성 아크릴레이트 등이 사용가능하다. 이의 사용량은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할 때 약 0.1 내지 15 중량% 범위가 되도록 한다. 만약 이의 사용량이 약 0.1 중량% 보다 적으면 내마모성이 저하하여 바람직하지 못하고 만약 이의 사용량이 약 15 중량% 보다 많으면 소재와의 부착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는 벤조페논 및 그 유도체, 벤조인, 벤조인 알킬 에테르 벤질디메틸케탈, 1-하이드록시 사이클로 헥실 페닐케톤, 디에톡시아세토페논, 포스핀 옥사이드계, 아미노 아세토페논계,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파-1-논, 2-벤질-2-디메틸아미드-1-(4-몰포리나페닐)-부타난 등이 사용 가능하다.
이의 사용량은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약 0.5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5 중량% 범위로 한다.
상술한 수지 조성물을 PMMA 소재상에 도포하고 광경화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PMMA에 부착성을 갖는 광학 필름의 제조가 가능하며, 광학 필름은 필요에 따라 소정의 패턴을 갖도록 형성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제조>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실시예 1>
4구 플라스크에 페녹시 아크릴레이트 223g을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메틸 아크릴레이트 130g, 부틸 아크릴레이트 91g, 촉매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g을 서서히 적하 투입하여 90℃ 까지 승온시켰다. 온도가 일정하게 되었을 때 2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반응이 종결된 후 투명한 액체 상태의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중합생성물 446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4구 플라스크에 페녹시 아크릴레이트 206g을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메틸 아크릴레이트 130g, 에틸 아크릴레이트 74g, 촉매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g을 서서히 적하 투입하여 90℃ 까지 승온시켰다. 온도가 일정하게 되었을 때 2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반응이 종결된 후 투명한 액체 상태의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중합생성물 412g을 수득하였다.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제조>
이어서, 상술한 실시예 1 및 2를 통하여 얻어진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여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및 4>
실시예 1 및 2에서 각각 제조된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에 반응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및 광중합 개시제를 혼합하여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성분 및 이의 사용량은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은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아크릴 아크릴레이트를 각각 시료-A 및 시료-B로 나타내고, 비교 대상인 타사의 LGP 용 수지 조성물을 시료-C 및 시료-D로 나타내고, 각각 반응성 단량체와 광중합 개시제를 첨가한 샘플 배합비를 나타낸 것이다.
<표 1>
Figure pat00001
(주1) 유씨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Cytec 회사 제품)
(주2) 반응성 아크릴레이트 또는 비닐 단량체
(주3) 광개시제: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파-1-논
<LGP의 제조>
실시예 3 및 4에 따라 제조된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LGP의 소재인 PMMA 필름의 코팅면과 접촉시킨 상태에서 PMMA 필름 쪽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프레임에 코팅된 조성물을 광경화시키고, PMMA에 접착되어 경화된 코팅층을 분리하여 PMMA 필름의 일면에 도트(dot) 패턴층이 형성된 LGP를 제조하였다.
<UV 코팅 조성물의 특징>
상기 실시예 3 및 4, 비교예 1 및 2에 따른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몇 가지 특성을 살펴보았다.
표 2는 표 1의 샘플들을 자외선 램프로 경화시킨 후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개시한 것이다. 참고로, 표 2에 나타난 각 물성 데이터를 수득하기 위한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경화성은 200 x 200mm의 PMMA 시트상에 수지 조성물을 약 20 마이크론으로 두께로 코팅한 후 120W의 고압 수은등으로 된 자외선 경화 장치로 경화시키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계산하였다.
연필경도는 연필 끝 선단을 샌드 페이퍼 400번으로 평탄하고 모서리가 예리해지도록 하여 45도 경사를 주고 1Kg 하중을 시험면에 가하고 연필심의 방향으로 약 3mm/sec 의 속도로 길이 약 20mm 의 긁기의 위치를 변화 하면서 5회 실시하여 시험면에 부착된 연필의 흑연을 고무 지우개 또는 가제로 닦아내어 시험면의 홈 상태를 조사하였다. 이 경우, 부드러운 연필부터 5회 실시하여 3회 이상 긁힘이 없어야 하며 실시 길이는 약 30mm 이며 각 회 줄의 시작점에서 10mm는 판정에서 제외하였다. 연필 경도는 6B, 5B, 4B, 3B, 2B, B, HB, F, H, 2H, 3H, 4H, 5H, 6H의 순서로 갈수록 점점 더 경도가 높아진다.
부착성은 PMMA 필름의 코팅면에 줄간격 1.5mm로 11줄씩 가로줄과 세로줄을 그어서 칸의 수가 100칸이 되게 한 다음, 3M사의 셀로판테이프 600번을 붙였다가 바로 떼어내서 100칸 중에서 남아 있는 칸의 수를 세는 방식으로 테스트 하였다 (ASTM D3359).
내마모성은 테이버(Taber) 사의 테이버 연마기(Taber abraser)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연마휠(abrasing wheel)에 1Kg의 하중을 가하고 50 사이클을 회전시켜서 마모가 되어 감소한 무게(㎎)를 측정하여 마모된 정도를 측정하였다. 숫자가 낮을수록 감소한 무게가 작아서 내마모성이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표 2>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시료-A 및 시료-B)을 사용하여 제조된 수지 조성물과 비교 대상 수지 조성물 (시료-C 및 시료-D)의 특성을 비교해 보면, 경화성, 연필 경도 등은 실시예와 비교예에 대하여 유사하지만, 부착성, 내마모성면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 아크릴레이트가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및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종래의 것보다 LGP의 기재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고 내마모성이 매우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이용한 조성물이 기존의 아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보다 기재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고 내마모성이 매우 우수하여 광학 필름, 카메라, 복사기, 프린터 등에 사용되는 산업용 광학 렌즈, 안경 재료용 광학 렌즈 및 기타 광학 재료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LGP는 LCD/LED TV, 노트북, 핸드폰 등에 사용되는 산업용 라이트 패널과 조명판 및 기타 조명등에도 이용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지식을 가진 자 또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메틸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에틸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와 반응 촉매와의 반응 화합물; 및
    용매로서 적어도 하나의 아크릴레이트기 및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촉매는 아조비스이소부티로 니트릴, 아조비스 이소펜티로 니트릴 및 아조비스 메틸프로피온 아미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3. 약 30 내지 70 중량%의 청구항 1항에 따른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약 20 내지 6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비닐기, 아크릴레이트기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반응성 단량체;
    약 0.1 내지 15 중량%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및
    약 0.5 내지 10 중량%의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PMMA 부착성을 갖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단량체는 아크릴로일 몰포린, 벤질 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 헥실 아크릴레이트, 페녹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페녹시 디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페녹시 테트라 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페녹시 헥사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 펜타디엔 아크릴레이트, 오르소 페닐페녹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 부틸 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 헥산 디 메탄올 모노 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 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뉴레이트 디아크릴레이트, 디메틸올 트리 사이클로 데칸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형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 옥사이드 3몰 부가형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 아크릴레이트, 에틸렌 옥사이드 6몰 부가형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로옥시에틸)이소시아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 아크릴레이트 및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폴리카보네이트 우레탄 변성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우레탄 변성 아크릴레이트, 폴리 에스테르 우레탄 변성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 카프로락톤 우레탄 변성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벤조페논 및 그 유도체, 벤조인, 벤조인 알킬 에테르 벤질디메틸케탈, 1-하이드록시 사이클로 헥실 페닐케톤, 디에톡시아세토페논, 포스핀 옥사이드계, 아미노 아세토페논계,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파-1-논, 2-벤질-2-디메틸아미드-1-(4-몰포리나페닐)-부타난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7. PMMA(polymethyl methacrylate) 소재상에 청구항 3항에 따른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지 조성물을 광경화하여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광판(LGP; light guide plate)의 제조방법.
KR1020110005291A 2011-01-19 2011-01-19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101251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291A KR101251457B1 (ko) 2011-01-19 2011-01-19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291A KR101251457B1 (ko) 2011-01-19 2011-01-19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011A true KR20120084011A (ko) 2012-07-27
KR101251457B1 KR101251457B1 (ko) 2013-04-05

Family

ID=46715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291A KR101251457B1 (ko) 2011-01-19 2011-01-19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4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2650A (zh) * 2014-04-22 2016-12-14 三菱丽阳株式会社 活化能射线固化性树脂组合物、树脂成形品以及树脂成形品的制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613B1 (ko) 2014-12-01 2017-08-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자기 복원 특성을 갖는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코팅층 및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080B1 (ko) * 1990-08-13 1993-07-07 주식회사 럭키 내열성 투명 아크릴계 수지의 제조방법
DE10259673A1 (de) 2002-12-18 2004-07-01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trahlungshärtbaren Urethan(meth)acrylaten
KR100653502B1 (ko) * 2004-06-29 2006-1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태틱믹서를 이용한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US7803964B2 (en) 2005-02-07 2010-09-28 Mitsubishi Rayon Co., Ltd. Method for synthesizing t-butyl (meth)Acryla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2650A (zh) * 2014-04-22 2016-12-14 三菱丽阳株式会社 活化能射线固化性树脂组合物、树脂成形品以及树脂成形品的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1457B1 (ko) 201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4797B2 (en) Polyfunctional vinyl aromatic copolymer,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resin composition
JP5696890B2 (ja) 光学材料用高屈折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TWI488910B (zh) 光硬化性樹脂組成物、使用其的光學膜的製造方法及含有其的光學膜
JP5779039B2 (ja) ハードコート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2007023147A (ja) 光学材料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組成物
JP6094193B2 (ja) 光学フィルム又はシート形成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組成物及び光学フィルム又はシート及び偏光板
TW201022742A (en) Polarizing plat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20120002366A (ko)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하드코팅 필름
WO2013081101A1 (ja) 光学フィルム形成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組成物、光学フィルム、偏光子保護フィルム及び偏光板
WO2014092095A1 (ja) 光学フィルム形成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組成物、光学フィルム及び偏光板
KR20130121808A (ko) 잉크젯 인쇄법에 사용하는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하여 얻은 광학 소자
KR101251457B1 (ko)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JP6007136B2 (ja) 硬化性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
JP7248429B2 (ja) 光硬化性組成物、積層体及びその製法、ディスプレイ用導光板
JP2017128632A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利用
JP6256021B2 (ja) 光学フィルム又はシート形成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組成物及び光学フィルム又はシート
JPWO2013146651A1 (ja) 環状エーテル基含有(メタ)アクリレート
JP6651821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を備える偏光板の製造方法、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を備える透過型液晶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KR101851364B1 (ko) 하드코팅용 수지조성물,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JP2018072588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硬化性組成物
KR101118025B1 (ko) 고굴절율을 갖는 나프톨 에폭시/우레탄 변성 아크릴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광학필름
JP7120240B2 (ja) 樹脂シート及びこれを製造するための硬化型組成物
JP6255860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硬化物、積層体、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フィルム積層体
WO2011013738A1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
KR100787037B1 (ko) 고굴절율을 갖는 나프탈렌 변성 아크릴레이트 및 이를포함하는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광학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