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3584A - 분체 분급장치 - Google Patents

분체 분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3584A
KR20120083584A KR1020110004773A KR20110004773A KR20120083584A KR 20120083584 A KR20120083584 A KR 20120083584A KR 1020110004773 A KR1020110004773 A KR 1020110004773A KR 20110004773 A KR20110004773 A KR 20110004773A KR 20120083584 A KR20120083584 A KR 20120083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housing
rotor
fine powder
f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3418B1 (ko
Inventor
김종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피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피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피티
Priority to KR1020110004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418B1/ko
Publication of KR20120083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3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8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centrifugal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8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1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gravity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체 분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풍기의 흡인력에 의해 흡입구로 유입된 분체가 분체와 함께 유입되는 기류에 실려 선회상승하면서 하우징의 내측 상부면과 충돌하여 1차 분급이 이루어지고, 1차 분급시에 분급되지 않은 조분과 미분은 하우징의 내측 상부면을 따라 로터로 유입되어 2차 분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분급효율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분체 분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체 분급장치{POWDER CLASSIFYING DEVICE}
본 발명은 분체 분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풍기의 흡인력에 의해 흡입구로 유입된 분체가 분체와 함께 유입되는 기류에 실려 선회상승하면서 하우징의 내측 상부면과 충돌하여 1차 분급이 이루어지고, 1차 분급시에 분급되지 않은 조분과 미분은 하우징의 내측 상부면을 따라 로터로 유입되어 2차 분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분급효율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분체 분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급기는 분체를 입자의 무게와 크기 등에 따라 미분(微粉)과 조분(粗粉)으로 분리 선별하는 장치를 일컫는다.
이러한, 분급기 중 배풍기의 흡인력에 의해 흡입구로 유입되는 분체가 분체와 함께 유입되는 기류에 실려 분급기 내의 다수개의 블레이드가 구비된 로터로 유입된 후, 원심력의 영향이 지배하는 조분은 블레이드 밖으로 배출되고, 구심력에 의해 지배적인 영향을 받는 미분은 블레이드가 구비된 로터의 내부로 유입되어 포집기에 포집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분급기는 중량이 가벼운 미분은 구심력을 받아 로터의 내부로 유입되고, 중량이 무거운 조분은 원심력을 받아 로터 밖으로 배출되지만, 이러한 과정에서 분체가 기류에 실려 로터와 하우징의 내측 상부면 사이 간격으로 혼입되는 폐단이 있다.
이로 인하여, 분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서 분급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배풍기의 흡인력이 의해 흡입구로 유입된 분체가 분체와 함께 유입되는 기류에 실려 곡선 형태로 형성된 가이드덕트의 내부를 따라 흐르면서 하우징에 형성된 투입공에 균등하게 유입되어 선회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분체 분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하우징으로 유입된 분체가 기류에 실려 분체순환로를 따라 선회상승하면서 분체의 하강 낙하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분체 분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분체순환로를 따라 선회상승한 분체가 하우징의 내측 상부면을 따라 하강하면서 로터와 하우징의 내측 상부면 사이로 유입되지 않는 것은 물론, 분체가 로터로 자연스럽게 유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분체 분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투입공이 방사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공을 감싸며, 곡선형태로 형성되고 전단부에 분체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구비되는 가이드덕트; 하우징의 내주면과 이격되게 설치되어 분체순환로를 형성하는 가이드케이싱; 가이드케이싱의 하부에 위치하며, 조분이 배출되는 호퍼; 하우징의 내측 상부면에 위치하며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로터와; 로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 및 로터로부터 분급된 미분이 유입되는 미분 유입구와, 유입된 미분이 배출되는 미분배출구가 구비되는 미분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분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는 로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와, 일단은 로터에 연결되고 타단은 미분배출부의 중앙을 관통하여 모터에 연결되는 구동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덕트의 곡선형태는 인벌류트 커브(Involute curve)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덕트는 후단부가 하우징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 분급장치는 미분배출구에 포집기와 배풍기가 연결되며, 배풍기의 흡입측 또는 토출측에는 댐퍼가 설치되고, 로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투입공은 하우징에 로터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은 내측 상부면에 로터의 상부면이 인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삽입홈의 외측으로 환형홈이 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은 환형홈의 내주면이 환형홈의 상부면과 수직, 또는 둔각을 이루거나, 외측으로 돌출되는 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케이싱은 외주면이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주면은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케이싱은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가 하방향으로 개구되고, 상부면은 수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분배출부는 내측관과, 내측관의 외측에 이격되게 위치하는 외측관을 포함하되, 내측관과 외측관의 이격된 공간 사이로 미분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미분흡입구가 형성되고, 외측관의 상부 외주면에는 미분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미분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은 투입공이 위치한 내측으로 돌출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풍기의 흡인력에 의해 흡입구로 유입된 분체가 분체와 함께 유입되는 기류에 실려 곡선 형태로 형성된 가이드덕트의 내부를 따라 흐르면서 하우징에 형성된 투입공에 균등하게 유입되어 선회되는 것은 물론, 분체순환로를 따라 선회상승하면서 분체의 하강 낙하가 이루어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풍기의 흡인력에 의해 흡입구로 유입된 분립체가 기류에 실려 분체순환로를 따라 선회상승하면서 이미 분급되어 낙하하는 조분과 충돌이 일어나지 않게 되면서 분급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분체순환로를 따라 선회상승한 분체가 하우징의 내측 상부면을 따라 하강하면서 회전하는 로터의 상부와 고정된 하우징의 내측 상부면 사이로 유입되지 않는 것은 물론, 분체가 로터로 자연스럽게 유도될 수 있게 되면서 분급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 분급장치에 대한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 분급장치에서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 분급장치에서 가이드덕트을 도시한 중앙 횡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 분급장치에서 가이드케이싱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및 로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 분급장치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 분급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 분급장치에서 미분배출부를 도시한 중앙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 분급장치에 대한 정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 분급장치에서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 분급장치에서 가이드덕트를 도시한 중앙 횡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 분급장치에서 가이드케이싱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및 로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분체 분급장치(1)는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투입공(11)이 방사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공(11)을 감싸며, 곡선 형태로 형성되고, 흡입구(21)가 구비되는 가이드덕트(20)와,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과 이격되게 설치되어 분체순환로(31)를 형성하는 가이드케이싱(30)과, 상기 가이드케이싱(30)의 하부에 위치하며 조분이 배출되는 호퍼(40)와, 상기 하우징(10)의 내측 상부면에 위치하며 복수개의 블레이드(51)를 구비하는 로터(50)와, 상기 로터(5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60)와, 그리고 상기 로터(50)로부터 분급된 미분이 유입되는 미분유입구(71)와 유입된 미분이 배출되는 미분배출구(72)가 구비되는 미분배출부(7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분체 분급장치(1)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분배출구(72)에 포집기(3)와 배풍기(2)가 연결되고, 배풍기(2)의 구동에 의해 상기 흡입구(21)로부터 공기와, 조분과 미분으로 이루어지는 분체가 상기 분체 분급장치(1)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투입공(11)이 상기 하우징(10)의 둘레를 따라 조밀하게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복수개의 투입공(11)은 각각의 투입공(11)과 투입공(11) 사이가 근접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투입공(11)이 위치한 내측으로 돌출편(1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흡입구(21)로부터 유입되는 분체 및 공기가 자연스럽게 상기 투입공(11)으로 유입되어 선회(旋回)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돌출편(12)은 상기 투입공(11)을 이루는 내주면과 용접에 의해 고정되거나 실리콘 등과 같은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게 할 수 있으나, 일측면을 제외하여 절개한 후, 내측으로 절곡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덕트(20)는 전단부에 흡입구(21)가 형성되며, 내측으로 상기 하우징(1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과 접하는 내측은 개구되어 상기 투입공(11)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덕트(20)는 상기 흡입구(2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분체가 선회하여 상기 투입공(11)으로 균등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가이드덕트(20)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벌류트 커브(Involute curve)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가이드덕트(20)는 전단부인 상기 흡입구(21)로부터 후단부로 갈수록 상기 하우징(10)과의 이격거리가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덕트(20)의 후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과 접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분체 분급장치(1)는 상기 하우징(10)의 외주면이 상기 가이드덕트(20)의 후단부와 접하게 되면서 상기 가이드덕트(20)의 후단부를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분체 분급장치(1)는 상기 가이드덕트(20)가 곡선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덕트(20)의 내부를 따라 선회하는 분체가 상기 복수개의 투입공(11)으로 균등하게 유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외주면이 상기 가이드덕트(20)의 끝단부를 차단하게 되면서 상기 분체가 상기 가이드덕트(20)의 내부를 따라 반복 순환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케이싱(30)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은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주면은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분체 분급장치(1)는 상기 가이드케이싱(30)의 외주면이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0)과의 이격된 사이로 수직의 상기 분체순환로(31)가 형성되고, 분체는 기류에 실려 상기 분체순환로(31)를 따라 선회상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케이싱(30)의 내주면이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됨으로써 분급된 조분이 상기 가이드케이싱(30)의 경사진 내주면을 따라 상기 호퍼(40)로 빠르게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로터(50)는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51)가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외측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거나,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51)는 외주면이 외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거나, 수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로터(50)는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51)가 각각 외측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거나, 수직으로 형성됨으로써 분체의 유입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호퍼(40)는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개구되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로터리밸브(90)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분체 분급장치(1)는 상기 호퍼(40)의 하단부에 상기 로터리밸브(90)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호퍼(40)로부터 조분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공기의 유입이 방지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체 분급장치(1)는 배풍기(2)와 상기 로터(5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풍기(2)는 흡입측 또는 토출측에 댐퍼(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분체 분급장치(1)는 상기 배풍기(2)에 댐퍼를 설치하여 개도(開度)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흡입구(21)로 유입되는 공기와 분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체 분급장치(1)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모터(61)의 회전속도가 제어됨으로써 상기 로터(5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분체 분급장치(1)의 분급한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 분급장치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 분급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 분급장치에서 미분배출부를 도시한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하우징(10)은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에는 상기 가이드케이싱(30)과 상기 로터(50)가 위치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는 타원기둥이나, 다면기둥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원형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0)은 상, 하부가 관통되며, 양 단부는 플랜지(14)처리되고, 내주면에는 칸막이(13)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은 상부에 덮개판(80)이 설치되되, 상기 덮개판(80)은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14)와 볼트결합 등에 의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덮개판(80)의 하부면은 상기 하우징(10)의 내측 상부면을 이루게 된다.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투입공(11)은 상기 칸막이(13)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케이싱(30)은 상기 칸막이(13)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케이싱(30)은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가 하방향으로 개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가이드케이싱(30)의 상부면은 분체가 이동되기 용이하도록 일정한 구간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보된 상기 가이드케이싱(30)의 상부면은 평면, 곡면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평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분체 분급장치(1)는 상기 가이드케이싱(30)의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가 하방향으로 개구됨으로써 제작이 간편한 것은 물론, 상기 덮개판(80)에 가해지는 하중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분체순환로(31)를 따라 선회상승한 분체가 상기 하우징(10)의 내측 상부면과 상기 가이드케이싱(30)의 상부 수평면을 따라 상기 로터(5)로 자연스럽게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미분배출부(70)의 일단은 상기 덮개판(90)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하며, 타단은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모터(61)가 고정된 지지프레임(63)에 연결된다.
상기 호퍼(40)는 상단부가 상기 칸막이(13)의 하부면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로터(50)는 상부면이 상기 덮개판(80)의 하부면과 이격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상부면에 상기 로터(50)의 상측이 인입되는 삽입홈(15)과, 상기 삽입홈(15)의 외측으로 환형홈(1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분체순환로(31)를 통해 유입되는 분체가 기류에 실려 상기 하우징(10)의 내측 상부면을 거쳐 상기 로터(50)와 상기 하우징(10)의 내측 상부면 사이로 유입되지 않고 원활히 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로터(50)는 상기 삽입홈(15)과 결합시 유격없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결합과정에서 유격이 발생되더라도 분체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최소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형홈(16)의 내주면은 상기 환형홈(16)을 이루는 상부면과 수직 또는 둔각을 이루거나 외측으로 돌출되는 곡면을 이루어도 무방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환형홈(16)의 외주면은 상기 분체순환로(31)를 따라 선회상승한 분체가 상기 환형홈(16)의 외주면과 접한 뒤, 내주면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경사면을 이루거나, 외측으로 돌출 곡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분체순환로(31)를 통과한 조분과 미분이 상기 환형홈(16)을 따라 흐른 뒤, 상기 하우징(10)의 내측 상부면과 충돌하면서 중량이 무거운 조분의 일부가 배출기류를 이탈하여 하측으로 하강 낙하하면서 자연스럽게 1차 분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1차 분급시에 분급되지 않은 조분과 미분이 상기 하우징(10)의 내측 상부면을 따라 상기 로터(50)로 자연스럽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분체 분급장치(1)는 상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21)를 통해 유입되는 분체가 분체와 함께 유입되는 기류에 실려 상기 가이드덕트(20)의 내부를 따라 선회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덕트(20)의 내부를 선회하는 조분과 미분은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된 상기 투입공(11)을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돌출편(12)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자연스럽게 유도되면서 선회력은 유지된다.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 조분과 미분은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가이드케이싱(30) 사이에 형성된 상기 분체순환로(31)를 따라 선회상승한다.
상기 분체순환로(31)를 통과한 조분과 미분은 상기 하우징(10)의 내측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환형홈(16)을 따라 흐른다.
그리고, 상기 환형홈(16)을 따라 흐르는 조분과 미분은 관성력에 의해 상기 환형홈(16)의 내주면과 충돌하면서 배출기류를 이탈한 중량이 무거운 조분의 일부는 하방향으로 낙하하여 상기 호퍼(40)로 배출되면서 1차 분급이 이루어진다.
또한, 1차 분급시에 분급되지 않은 조분과 미분은 배출기류에 의해 상기 환형홈(16)을 따라 상기 로터(50)로 유입된다.
상기 로터(50)로 유입된 조분과 미분은 회전하는 상기 로터(50)에 구비된 상기 블레이드(51)로 유입되면서 원심력의 영향에 지배되는 조분은 상기 블레이드(51) 밖으로 튕겨져나가 낙하한 후, 상기 호퍼(40)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구심력에 의해 지배적인 영향을 받는 미분은 상기 블레이드(51)의 표면을 따라 미끄러지며 상기 로터(50)의 중앙으로 유입된 후, 상기 미분배출부(70)를 통해 배출되어 포집기에 포집되면서 2차 분급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분체 분급장치(1)는 배풍기(2)의 흡인력에 의해 상기 흡입구(21)로 유입된 분체가 분체와 함께 유입되는 기류에 실려 선회상승한다.
선회상승한 분체는 관성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을 따라 조분이 흐르고, 미분은 조분의 반대편인 상기 분체순환로(31)의 외주면을 따라 흐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내측 상부면에서도 조분과 미분의 위치가 유지된 상태로 흐른 뒤, 하향 기류를 타면서 조분에 비해 가벼운 미분만 상기 로터(50)로 유입됨으로써 미분의 분급 효율이 향상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분체 분급장치(1)를 통해 미세미분 내지 초미분의 분급 효율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구(21)로 흡입되는 공기와 분체가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가이드케이싱(30)의 외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분체순환로(31)를 따라 선회상승함으로써 연속적인 분체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로터(50)의 상부가 상기 하우징(10)의 내측 상부면에 인입됨으로써 분체가 상기 로터(50)와 상기 하우징(10)의 내측 상부면 사이로 유입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분체 분급장치(1)는 상기 분체순환로(31)를 따라 선회상승한 조분과 미분이 상기 하우징(10)의 내측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환형홈(16)을 따라 흐르게 되면서 상기 로터(50)의 상부로 흐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분배출부(70)는 상기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은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단은 상기 모터(61)가 고정된 지지프레임(63)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미분배출부(70)는 중공된 내측관(73)과 상기 내측관(73)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관(7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관(73)의 중앙으로 상기 구동축(62)이 위치한다.
상기 구동축(62)의 일단은 상기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모터(61)에 연결된다.
상기 외측관(74)과 상기 내측관(73)은 이격되어 하단부에 미분유입구(71)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관(74)의 상부 외주면에는 미분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미분배출구(72)가 구비된다.
즉, 상기 분체 분급장치(1)는 상기 로터(50)로부터 분급된 미분이 상기 미분유입구(71)를 통해 상기 내측관(73)과 상기 외측관(74)의 이격된 공간 사이로 유입되어 선회상승하며, 상기 미분배출구(72)를 통해 배출되어 포집기에 포집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내측관(73)의 양단에는 베어링이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62)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측관(74)의 상단은 상기 지지프레임(63)에 연결되어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흡입구(21)로부터 유입되는 분체가 상기 모터(61)나 상기 구동축(62)으로 유입되어 고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로터(50)로부터 분급된 미분이 상기 미분배출부(70)로 자연스럽게 유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흡입구(21)로부터 유입되는 분체가 상기 모터(61)나 상기 구동축(62)으로 유입되어 고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 분급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분체 분급장치 2 : 배풍기
3 : 포집기 10 : 하우징
11 : 투입공 20 : 가이드덕트
21 : 흡입구 30 : 가이드케이싱
31 : 분체순환로 40 : 호퍼
50 : 로터 51 : 블레이드
60 : 구동부 61 : 모터
62 : 구동축 70 : 미분배출부
71 : 미분흡입구 72 : 미분배출구
80 : 덮개판 90 : 로터리밸브

Claims (12)

  1.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투입공이 방사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공을 감싸며, 곡선형태로 형성되고, 전단부에 분체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구비되는 가이드덕트;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이격되게 설치되어 흡입된 분체를 선회상승시키는 분체순환로를 형성하는 가이드케이싱;
    상기 가이드케이싱의 하부에 위치하며, 조분이 배출되는 호퍼;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부면에 위치하며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로터;
    상기 로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로터로부터 분급된 미분이 유입되는 미분 유입구와, 유입된 미분이 배출되는 미분배출구가 구비되는 미분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분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로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와, 일단은 상기 로터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미분배출부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구동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분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덕트의 곡선형태는 인벌류트 커브(Involute curve)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분급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덕트는 후단부가 상기 하우징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분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 분급장치는 상기 미분배출구에 포집기와 배풍기가 연결되며, 상기 배풍기의 흡입측 또는 토출측에는 댐퍼가 설치되고, 상기 로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분급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공은 상기 하우징에 상기 로터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분급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측 상부면에 상기 로터의 상부면이 인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외측으로 환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분급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환형홈의 내주면이 상기 환형홈의 상부면과 수직 또는 둔각을 이루거나, 외측으로 돌출되는 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분급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케이싱은 외주면이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주면은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분급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케이싱은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가 하방향으로 개구되고, 상부면은 수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분급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배출부는 내측관과 상기 내측관의 외측에 이격되게 위치하는 외측관을 포함하되,
    상기 내측관과 상기 외측관의 이격된 공간 사이로 미분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상기 미분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관의 상부 외주면에는 미분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기 미분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분급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투입공이 위치한 내측으로 돌출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분급장치.
KR1020110004773A 2011-01-18 2011-01-18 분체 분급장치 KR101283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773A KR101283418B1 (ko) 2011-01-18 2011-01-18 분체 분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773A KR101283418B1 (ko) 2011-01-18 2011-01-18 분체 분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584A true KR20120083584A (ko) 2012-07-26
KR101283418B1 KR101283418B1 (ko) 2013-07-08

Family

ID=46714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773A KR101283418B1 (ko) 2011-01-18 2011-01-18 분체 분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4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297B1 (ko) * 2022-07-27 2023-01-19 (주)태흥산업 배치 타입 원심 분급기 및 그를 포함하는 활성탄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6133A (ja) * 1992-09-29 1994-04-19 Kurimoto Ltd 粉粒体用分級機
JP4747130B2 (ja) * 2007-04-26 2011-08-17 株式会社日清製粉グループ本社 粉体分級装置
JP2010064049A (ja) * 2008-09-12 2010-03-25 Mitsubishi Chemicals Corp 分級装置用の羽根、分級装置ならびに粉体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297B1 (ko) * 2022-07-27 2023-01-19 (주)태흥산업 배치 타입 원심 분급기 및 그를 포함하는 활성탄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3418B1 (ko) 201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9841B1 (ko) 분쇄 물질 및 유체 혼합물의 분류방법 및 밀 시프터
BRPI0820635B1 (pt) Moinho de rolos para pulverizar material e moinho para pulverizar material
KR101672637B1 (ko) 송풍력을 이용한 무동력 집진장치
JP4907655B2 (ja) 気流分級機および分級プラント
US4523990A (en) Particulate classifying apparatus
KR101283418B1 (ko) 분체 분급장치
JP4614132B2 (ja) 分級装置
JP3515089B2 (ja) 気流式分級機
JP2597794B2 (ja) 粉末原料の分級方法および分級装置
KR101963322B1 (ko) 집진 효율성을 증대시킨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JP6217665B2 (ja) 粉粒体分離装置および粉粒体分離方法
JP2002119920A (ja) 気流式分級機
KR102194437B1 (ko) 사이클론형 포집부
KR101941797B1 (ko) 세로형 롤러 밀
JP6570272B2 (ja) 分級機能付粉砕装置
JP2021122777A (ja) 分離装置及び分離システム
JP2016150303A (ja) 粉粒体分離装置および粉粒体分離方法
CN101862730B (zh) 旋流分级机
KR100235291B1 (ko) 정류기능이 강화된 공기 분급기 및 분급방법
JPH08173909A (ja) 分級装置
JP6009349B2 (ja) 分級機構および分級方法
JP4200275B2 (ja) 破砕装置
CN115193716B (zh) 分级设备
JP5795253B2 (ja) 分級機
JPS614039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