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2848A - Dc 오프셋 트랙킹 회로 - Google Patents

Dc 오프셋 트랙킹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2848A
KR20120082848A KR1020120004963A KR20120004963A KR20120082848A KR 20120082848 A KR20120082848 A KR 20120082848A KR 1020120004963 A KR1020120004963 A KR 1020120004963A KR 20120004963 A KR20120004963 A KR 20120004963A KR 20120082848 A KR20120082848 A KR 20120082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fier
inverting input
output
input
amplifi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3856B1 (ko
Inventor
앤드류 엠. 조단
히르보제 자사
Original Assignee
페어차일드 세미컨덕터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어차일드 세미컨덕터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페어차일드 세미컨덕터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082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475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IC block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26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noise generated by amplify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479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mmon mode signal rejection
    • H03F3/45928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mmon mode signal rejection using IC block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H03F3/4595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mmon mode signal rejection using IC block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by using feedforward means
    • H03F3/45955Measuring at the input circuit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959Controlling the input circuit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특히 상호 컨덕턴스 증폭기를 포함하는 피드백 루프를 사용해서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차동 출력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증폭기를 포함하는 증폭기 회로에 대해 논의한다. 제1 증폭기 회로의 비반전 입력은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피드백 루프는 제1 및 제2 증폭기로부터의 출력을 수신하고 제2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에 피드백 신호를 제공하며, 예를 들어 DC 오프셋 에러를 감소시키거나 증폭기 회로의 동적 범위를 넓히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DC 오프셋 트랙킹 회로{DC OFFSET TRACKING CIRCUI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증폭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싱글 엔디드 차동 출력 증폭기(single-ended to differential output amplifier)에서의 DC 오프셋 트랙킹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센서 회로는 트랜스듀서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한다. 센서 회로는 그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원하는 레벨로 증폭한다. 일부의 센서 회로에서는, 신호를 바이어스하고 증폭하여 차동 출력을 제공한다. 파워 서플라이 상의 노이즈, 예를 들어 신호를 바이어스시키는 데 사용되는 공통 노드 파워 서플라이 상의 노이즈는 수신 및 수신된 센서 신호의 증폭과 간섭할 수 있다.
일부의 센서 회로에서는, 필터를 사용하여, 관심의 대상이 되는 특정한 주파수들이 있는 신호를 통과시킨다. 파워 서플라이 또는 집적 회로 상의 그외의 회로와 결합하거나 근처에 종래의 필터를 제공하면, 파워 서플라이 또는 그외의 회로에 의해 생기는 왜곡으로 인해, 필터가 신호를 처리하는 품질이 제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주파 극성(low frequency poles)을 제공하는 필터의 성능도 제한될 수 있다.
특정한 예에서, 증폭기 회로는, 상호 컨덕턴스 증폭기를 포함하는 피드백 루프 회로를 사용하여,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차동 출력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은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드백 루프는 제1 및 제2 증폭기로부터 출력을 수신하고 피드백 신호를 제2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따라, 예를 들어, DC 오프셋 에러를 감소시키고 증폭기 회로의 동적 범위를 넓힐 수 있다. 특정한 예에서, 피드백 루프는 제1 및 제2 증폭기의 출력과 제2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 사이에 결합된 상호 컨덕턴스 증폭기, 및 제2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과 접지 사이에 결합된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개관은 본 특허출원의 요지에 대한 개관을 제공하려는 것이며, 본 발명의 배타적 또는 철저한 설명을 제공하려는 것이 아니다. 상세한 설명은 본 특허출원에 관한 추가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포함된다.
도면은 반드시 축척대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며, 서로 다른 도면에서 유사한 도면부호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첨자가 붙어 있는 유사한 도면부호는 다른 예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도면은 대체로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다양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제1 및 제2 증폭기(AMP1, AMP2) 및 공통 모드 전압(VCM)에서 제1 및 제2 증폭기의 DC 레벨을 바이어스시키도록 구성된 입력 바이어스 네트워크(ZIN1, ZIN2)를 포함하는 싱글 엔디드 차동 출력 증폭기의 일례도이다.
도 3은 제1 및 제2 증폭기(AMP1, AMP2), 입력 바이어스 네트워크(ZIN1), 상호 컨덕턴스(GM) 증폭기, 및 커패시터(CLPF)를 포함하는 싱글 엔디드 차동 출력 증폭기의 일례도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특히, 예를 들어 신호 경로 디지털 마이크로폰에서 사용되는 증폭기, 또는 하나 이상의 그외 증폭기 응용에서 DC 오프셋 에러를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인식하고 있다. 일례에서, 증폭기의 입력에서의 DC 값을 사용하여 회로를 바이어스시킴으로써 통과대역의 신호만을 증폭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의 DC 값을 증폭하지 않으면서, 낮은 파워 서플라이 어플리케이션에서 동작하는 회로의 동적 범위(dynamic range)를 더 넓힐 수 있다.
특정한 회로는 (예를 들어, 1-100 GΩ의 범위에서) 높은 값의 입력 임피던스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임피던스 값을 생성하는 회로는 부하에 민감하며, 이로 인해 동작 전압이 시프트될 수 있다. 일례에서는, 동작 전압의 시프트를 감지하고, 이러한 시프트를 보정하여, 회로가 외부 부하(예를 들어, 누설(leakage))에 대해 우수한 허용공차(tolerance)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제1 및 제2 증폭기(AMP1, AMP2)(105, 110), 입력 바이어스 네트워크(예를 들어, 제1 및 제2 입력 바이어스 네트워크(ZIN1, ZIN2)(115, 120)), 및 제1, 제2, 제3 저항기(R1, R2, R3)(135, 140, 145)를 포함하는 싱글 엔디드 차동 출력 증폭기(100)의 일례도이다. 회로(100)는 싱글 엔디드 소스(INPUT)(130)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공통 모드 서플라이(VCM)(125)로부터 공통 모드 전압을 수신하며, 포지티브 노드(OUTP)와 네거티브 노드(OUTN) 사이의 차동 출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에서, 싱글 엔디드 소스(130)는 관련 입력 임피던스(CIN)(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서, 공통 모드 전압(VCM)(125)에서 제1 및 제2 증폭기(105, 110)의 DC 레벨을 바이어스시키도록 입력 바이어스 네트워크가 구성될 수 있다.
일례에서, 입력 바이어스 네트워크는 매우 높은 값의 저항기로서 개념화될 수 있다. 회로(100)의 전달 함수는 다음과 같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이고, 여기서,
(수학식 2)
Figure pat00002
일례에서, 회로(100)의 제조 동안, 입력 노드(NODEIN)는 입력 바이어스 네트워크가 전류를 공급하게 하는 기생 저항을 잠재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일례에서, 싱글 엔디드 차동 출력 증폭기(single-ended to differential output amplifier)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고임피던스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설명이 포함되어 있는, 공동으로 양도된 톰슨 등의 미국특허출원 No. 12/874,832에 서술된 바와 같이, 입력 바이어스 네트워크는 입력 바이어스 네트워크 또는 고임피던스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문헌은 본 명세서에 원용에 의해 포함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유사하고, 입력 노드(NODEIN)로부터 기생 저항(RLEAK)(150)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싱글 엔디드 차동 출력 증폭기(200)의 일례도이다.
예를 들어, VCM(125)이 0.75 V의 값을 가지고, 기생 저항(150)이 50 GΩ의 값을 가지는 경우, 입력 바이어스 네트워크는 12.5 pA를 공급해야만 한다. 입력 바이어스 네트워크가 10 GΩ를 합성하도록 되어 있는 경우, NODEIN의 DC 레벨은 125 mV만큼 시프트된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제1 노드(NODE1)는 DC 바이어스 VCM에 있을 수 있고, NODEIN은 VCM - 125 mV에 있을 수 있다. 제1 및 제2 증폭기(105, 110)의 출력(VOUTp, VOUTn)(예를 들어, 출력 노드(OUTP, OUTN)에서의 전압)은 5의 차동 이득을 가정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pat00003
(수학식 4)
Figure pat00004
이고, 여기서
(수학식 5)
Figure pat00005
(수학식 6)
Figure pat00006
여기서, 기생 저항(150)의 효과로 인해 회로(200)는 입력 신호가 없을 때에도 네거티브 출력 -0.625 V를 생성할 수 있다. 회로(200)가 ±1.2 V 동적 범위 내에서 동작하는 경우, 이 동적 범위의 25%가, 또는 특정한 예에서는 그 이상이, 이 기생 저항의 효과로 인해 손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기생 저항(150)의 효과를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인식하고 있다.
도 3은 제1 및 제2 증폭기(AMP1, AMP2)(105, 110), 입력 바이어스 네트워크(ZIN)(221), 제1, 제2, 제3 저항기(R1, R2, R3)(135, 140, 145), 상호 컨덕턴스(GM) 증폭기(155), 및 커패시터(CLPF)(160)를 포함하는 싱글 엔디드 차동 출력 증폭기(300)의 일례도이다.
도 3의 예에서는, 도 1 및 도 2와는 대조적으로, 제1 및 제2 증폭기(105, 110)의 출력이 상호 컨덕턴스 증폭기(155) 및 커패시터(160)로 공급될 수 있고, 이는 "GMC 블록" 또는 피드백 루프로 칭해지기도 하며, 다음과 같은 전달 함수를 형성한다:
(수학식 7)
Figure pat00007
여기서,
(수학식 8)
Figure pat00008
크로스오버 주파수 ωTI는 이득이 제로 이하로 되는 포인트이다. 값을 올바르게 선택함으로써, GMC 블록은 제1 및 제2 증폭기(105, 110)의 출력을 로우 패스 필터를 통과시킬 수 있고, 제1 및 제2 증폭기의 출력으로부터 제2 증폭기(110)의 비반전 입력으로의 피드백 루프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에서, GMC 블록을 포함하는 루프는 상호 컨덕턴스 증폭기(155)의 입력이 필터의 로우 패스 응답(low pass response) 내에서 제로 차분(zero difference)을 가질 때까지 NODE1을 구동할 수 있다. 신호가 인가되지 않았으나 기생 저항(150)이 존재하는 경우, 루프는 단지 NODE1==NODEIN일 때 만족될 수 있을 뿐이다. 특정한 예에서, 신호가 인가되면, GMC 블록은 필터 코너(filter corner) 이상의 주파수들은 무시할 수 있으나 DC 투시(DC perspective)로부터 루프를 서보할 수 있을 뿐이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NODEIN은 VCM - 125 mV이다. GMC 블록의 루프는 NODE1을 VCM - 100 mV로 구동할 수 있다. 입력 동적 범위의 125 mV가 손실되었더라도, 더 이상 정적 오프셋(static offset)이 없을 것이므로, 증폭기들의 출력에서의 범위는 획득되었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입력 동적 범위는 ±0.75V 내지 ±0.625V, 또는 -16% 떨어졌는데, 도 2에 도시된 예를 포함한 이전의 예에서는, 동적 범위가 50% 이상 떨어졌다. 또한, 도 3의 예에서, 회로(300)가 기생 저항(150)의 값에 관계없이 안정하게 될 것이다.
추가 사항
예 1에서,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차동 출력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증폭기 회로는 제1 및 제2 증폭기를 포함하고, 각각의 증폭기는 반전 입력, 비반전 입력, 및 출력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증폭기의 출력과 제2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 간에는 피드백 루프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피드백 루프는 상호 컨덕턴스 증폭기를 포함하고, 제1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은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 증폭기의 출력은 차동 출력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피드백 루프는 제1 및 제2 증폭기로부터의 출력을 수신하고 제2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에 피드백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 2에서, 예 1의 피드백 루프는 제2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에 피드백 신호를 제공하여 DC 오프셋 에러를 감소시키고 증폭기 회로의 동적 범위를 넓히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 3에서, 예 1 - 2 중 하나 이상의 예의 회로는 싱글 엔디드 대 차동 증폭기 회로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며, 예 1 - 2 중 하나 이상의 예의 입력 신호는 싱글 엔디드 입력 신호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4에서, 예 1 - 3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예는 제1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에 결합된 싱글 엔디드 소스를 선택적으로 결합한다.
예 5에서, 예 1 - 4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예는 입력 바이어스 네트워크를 선택적으로 포함하고, 여기서 예 1 - 4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예의 제1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은 입력 바이어스 네트워크를 통해 공통 모드 전압을 수신하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 6에서, 예 1 - 5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예는 입력 바이어스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증폭기에 결합된 공통 모드 공급부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7에서, 예 1 - 6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예의 제1 증폭기의 반전 입력은 제1 임피던스를 통해 제1 증폭기의 출력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예 1 - 6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예의 제2 증폭기의 반전 입력은 제2 임피던스를 통해 제2 증폭기의 출력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예 1 - 6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예의 제1 증폭기의 반전 입력은 제3 임피던스를 통해 제2 증폭기의 반전 입력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예 8에서, 예 1 - 7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예의 상호 컨덕턴스 증폭기는 반전 입력, 비반전 입력, 및 출력을 선택적으로 포함하고, 예 1 - 7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예의 상호 컨덕턴스 증폭기의 출력은 제2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예 9에서, 예 1 - 8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예의 피드백 루프는 제2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 및 상호 컨덕턴스 증폭기의 출력에 결합된 커패시터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10에서, 예 1 - 9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예의 피드백 루프는 제2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과 접지 간에 결합된 커패시터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11에서, 예 1 - 10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예는 집적 회로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집적 회로는 제1 및 제2 증폭기 및 피드백 루프를 포함한다.
예 12에서, 예 1 - 11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예의 상호 컨덕턴스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은 제1 증폭기의 출력을 수신하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여기서 예 1 - 11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예의 상호 컨덕턴스 증폭기의 반전 입력은 제2 증폭기의 출력을 수신하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 13에서, 예 1 - 12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예는 집적 회로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집적 회로는 제1 및 제2 증폭기 및 상호 컨덕턴스 증폭기를 포함한다.
예 14에서, 증폭 방법은 증폭기 회로의 제1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에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호 컨덕턴스 증폭기를 포함하는 피드백 루프에서 증폭기 회로의 제2 증폭기의 출력과 제1 증폭기의 출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호 컨덕턴스 증폭기를 사용해서 제2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에 피드백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제1 및 제2 증폭기의 출력에서 차동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15에서, 예 1 - 14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예의 피드백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는 DC 오프셋 에러를 감소시키는 것과 증폭기 회로의 동적 범위를 넓히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16에서, 예 1 - 15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예의 증폭기 회로는 싱글 엔디드 차동 출력 증폭기를 선택적으로 포함하고, 여기서 예 1 - 15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예의 입력 신호는 싱글 엔디드 입력 신호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17에서, 예 1 - 16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예는 입력 바이어스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에서 공통 모드 전압을 수신하는 단계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18에서, 예 1 - 17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예는 제1 임피던스를 사용해서 제1 증폭기의 반전 입력을 제1 증폭기의 출력에 결합하는 단계, 제2 임피던스를 사용해서 제2 증폭기의 반전 입력을 제2 증폭기의 출력에 결합하는 단계, 및 제3 임피던스를 사용해서 제1 증폭기의 반전 입력을 제2 증폭기의 반전 입력에 결합하는 단계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19에서, 예 1 - 18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예는 상호 컨덕턴스 증폭기의 제1 및 제2 입력에서 제1 및 제2 증폭기의 출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호 컨덕턴스 증폭기의 출력을 제2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에 제공하는 단계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20에서, 예 1 - 19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예는 제2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과 접지 사이에 커패시터를 결합하는 단계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며, 여기서 예 1 - 19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예의 피드백 루프는 커패시터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21에서, 싱글 엔디드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차동 출력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싱글 엔디드 대 차동 증폭기 회로는 제1 및 제2 증폭기, 및 입력 바이어스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각각의 증폭기는 반전 입력, 비반전 입력, 및 출력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증폭기의 출력과 제2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 간에는 피드백 루프가 결합되어 있다. 피드백 루프는 상호 컨덕턴스 증폭기 및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제1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은 입력 바이어스 네트워크를 통해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공통 모드 전압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증폭기의 출력은 차동 출력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증폭기의 반전 입력은 제1 임피던스를 통해 제1 증폭기의 출력에 결합되어 있고, 제2 증폭기의 반전 입력은 제2 임피던스를 통해 제2 증폭기의 출력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1 증폭기의 반전 입력은 제3 임피던스를 통해 제2 증폭기의 반전 입력에 결합되어 있다. 피드백 루프는 제1 및 제2 증폭기로부터의 출력을 수신하고 제2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에 피드백 신호를 제공하여, DC 오프셋 에러를 감소시키고 싱글 엔디드 대 차동 증폭기 회로의 동적 범위를 넓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호 컨덕턴스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은 제1 증폭기의 출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호 컨덕턴스 증폭기의 반전 입력은 제2 증폭기의 출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호 컨덕턴스 증폭기의 출력은 제2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에 결합되어 있다.
예 22에서, 시스템 또는 장치는 예 1 - 20 중 하나 이상의 예의 임의 부분 또는 임의 부분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어서, 예 1 - 20의 기능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 또는 머신에 의해 수행될 때 상기 머신으로 하여금 예 1 - 20의 기능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머신-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에 대한 참조를 포함하고, 첨부된 도면은 상세한 설명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면은 본 발명이 수행될 수 있는 특정한 실시예를 도해를 통해 나타낸다. 이러한 실시예는 여기서 "예"라고도 칭한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모든 공보, 특허 및 특허 문헌은 비록 개별적으로 원용에 의해 포함되어 있다 할지라도,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와 이러한 원용된 문서 간에 일치하지 않는 사용법이 있으면, 원용된 문서(들)에서의 사용법이 본 명세서의 사용법을 보완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양립할 수 없는 불일치에 있어서는, 본 명세서의 사용법이 우선이다.
본 명세서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의 임의의 다른 예 또는 용법과는 관계없이, "하나" 또는 "하나의"는 특허 문헌에서 공통으로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또는"은 비배타적임을 언급하는 데 사용되며, 이에 따라 "A 또는 B"는 다른 것을 나타내지 않는 한, "A가 아닌 B", "B가 아닌 A", 및 "A 및 B"를 포함한다.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서, "포함하는" 및 "여기에서"는 "구비하는" 및 "이와 같은"과 각각 동등한 뜻이다. 또한, 이하의 청구의 범위에서, "포함하는" 및 "구비하는"은 개방적인 것이며, 즉, 하나의 청구항에서의 용어가 그 청구항의 범주 내에서 해당된 후에 열거된 것들 외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시스템, 디바이스, 물품, 또는 공정이다. 또한, 이하의 청구의 범위에서, "제1", "제2", "제3" 등은 단지 레이블로서 사용된 것일 뿐, 그 대상에 대한 수치적 조건을 부과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은 예시를 목적으로 하며 제한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예들이 PNP 디바이스에 관해서 서술하였을지라도, 하나 이상의 예는 NPN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술한 예(또는 그것들의 하나 이상의 관점)은 서로 조합해서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가 전술한 상세한 설명을 검토해 봄으로써, 다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도 있다. 요약서는 독자가 기술적 개시의 속성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37 C.F.R.§1.72(b)를 따르도록 제공된다. 청구의 범위의 범주 또는 의미를 해석 또는 제한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다양한 특징들은 함께 그룹화되어 설명을 합리적으로 할 수도 있다. 이것은 청구되지 아니한 개시된 특징이 어떠한 청구의 범위에도 본질적으로 되도록 의도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오히려, 본 발명의 요지는 특별히 개시되지 않은 실시예의 모든 특징들조차 망라한다. 그러므로 이하의 청구의 범위는 이로써 상세한 설명에 통합되며, 각각의 청구항은 개별의 실시예로서 그 자체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범주는 청구의 범위에 권리가 부여되는 완전한 등가의 범주와 함께 첨부된 청구의 범위를 참조하여 결정될 수 있다.

Claims (12)

  1. 싱글 엔디드 입력 신호(single-ended input signal)를 수신하고 차동 출력 신호(differential output signal)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싱글 엔디드 차동 출력 증폭기 회로(single-ended to differential output amplifier)에 있어서,
    반전 입력(inverting input), 비반전 입력(non-inverting input), 및 출력을 각각 포함하는 제1 및 제2 증폭기; 및
    상기 제1 및 제2 증폭기의 출력과 상기 제2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 사이에 결합되며, 상호 컨덕턴스 증폭기(transconductance amplifier)를 포함하는 피드백 루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은 상기 싱글 엔디드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증폭기의 출력은 상기 차동 출력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드백 루프는 상기 제1 및 제2 증폭기로부터의 출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에 피드백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싱글 엔디드 차동 출력 증폭기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루프는 제2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에 상기 피드백 신호를 제공하여, DC 오프셋 에러를 감소시키고 상기 증폭기 회로의 동적 범위를 넓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싱글 엔디드 차동 출력 증폭기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입력 바이어스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은 상기 입력 바이어스 네트워크를 통해 공통 모드 전압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싱글 엔디드 차동 출력 증폭기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폭기의 반전 입력은 제1 임피던스를 통해 상기 제1 증폭기의 출력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 증폭기의 반전 입력은 제2 임피던스를 통해 상기 제2 증폭기의 출력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증폭기의 반전 입력은 제3 임피던스를 통해 상기 제2 증폭기의 반전 입력에 결합되어 있는, 싱글 엔디드 차동 출력 증폭기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컨덕턴스 증폭기는 반전 입력, 비반전 입력, 및 출력을 포함하며,
    상기 상호 컨덕턴스 증폭기의 출력은 상기 제2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에 결합되어 있는, 싱글 엔디드 차동 출력 증폭기 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루프는 상기 제2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과 접지 사이에 결합되어 있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싱글 엔디드 차동 출력 증폭기 회로.
  7. 제1항에 있어서,
    집적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집적 회로는 상기 제1 및 제2 증폭기 및 상기 상호 컨덕턴스 증폭기를 포함하는, 싱글 엔디드 차동 출력 증폭기 회로.
  8. 증폭 방법에 있어서,
    싱글 엔디드 대 차동 증폭기 회로의 제1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에서 싱글 엔디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호 컨덕턴스 증폭기를 포함하는 피드백 루프에서 상기 싱글 엔디드 대 증폭기 회로의 제2 증폭기의 출력과 상기 제1 증폭기의 출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호 컨덕턴스 증폭기를 사용해서 상기 제2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에 피드백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증폭기의 출력에서 차동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증폭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는 DC 오프셋 에러를 감소시키는 것과 상기 싱글 엔디드 대 증폭기 회로의 동적 범위를 넓히는 것을 포함하는, 증폭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입력 바이어스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에서 공통 모드 전압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폭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제1 임피던스를 사용해서 상기 제1 증폭기의 반전 입력을 상기 제1 증폭기의 출력에 결합하는 단계;
    제2 임피던스를 사용해서 상기 제2 증폭기의 반전 입력을 상기 제2 증폭기의 출력에 결합하는 단계; 및
    제3 임피던스를 사용해서 상기 제1 증폭기의 반전 입력을 상기 제2 증폭기의 반전 입력에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증폭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컨덕턴스 증폭기의 제1 및 제2 입력에서 상기 제1 및 제2 증폭기의 출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호 컨덕턴스 증폭기의 출력을 상기 제2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과 접지 사이에 커패시터를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피드백 루프는 상기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증폭 방법.
KR1020120004963A 2011-01-14 2012-01-16 Dc 오프셋 트랙킹 회로 KR1018938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32754P 2011-01-14 2011-01-14
US61/432,754 2011-0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848A true KR20120082848A (ko) 2012-07-24
KR101893856B1 KR101893856B1 (ko) 2018-08-31

Family

ID=46482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963A KR101893856B1 (ko) 2011-01-14 2012-01-16 Dc 오프셋 트랙킹 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29991B2 (ko)
KR (1) KR101893856B1 (ko)
CN (2) CN10259427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6924B2 (en) 2010-09-02 2013-09-17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High-impedance network
US8829991B2 (en) 2011-01-14 2014-09-09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DC offset tracking circui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95233B (zh) * 2013-01-23 2015-10-28 电子科技大学 消除直流偏移的放大器
CN103138756B (zh) * 2013-01-24 2016-01-20 江汉大学 一种带温度补偿的原子频标伺服方法和电路
EP2819306B1 (en) * 2013-06-27 2016-04-06 Imec Instrumentation amplifier and signal amplification method
TWI517555B (zh) * 2013-07-17 2016-01-11 聯詠科技股份有限公司 直流漂移消除電路
US9595931B2 (en) * 2014-09-12 2017-03-14 Ess Technology, Inc. Two differential amplifier configuration
US9912304B2 (en) * 2015-04-17 2018-03-06 Analog Devices, Inc. Two-input amplifier
US9806703B2 (en) * 2015-09-03 2017-10-31 Mediatek Inc. Single-ended to differential conversion circuit and signal processing module
CN105629147A (zh) * 2015-12-28 2016-06-01 清华大学 Led载流子寿命测试系统
CN105897205B (zh) * 2016-04-06 2018-08-07 江苏星宇芯联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低通滤波的可变增益仪表放大器
KR102324541B1 (ko) * 2017-06-09 2021-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 전송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US10979009B2 (en) 2017-07-12 2021-04-1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Non-inverting differential amplifier with configurable common-mode output signal and reduced common-mode gain
US10587234B2 (en) * 2017-07-12 2020-03-1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Non-inverting differential amplifier with configurable common-mode output signal and reduced common-mode gain
CN107666309B (zh) * 2017-11-27 2023-07-25 广东路得斯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改进型单端转差分信号电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466A (ja) * 1997-04-28 1999-01-22 Toshiba Corp 平衡型増幅器
KR20030037012A (ko) * 2001-11-01 2003-05-12 주식회사 미토스엠텍 밸런스 앰프 회로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2100A (en) 1968-07-03 1970-05-12 Intern Research Products Inc Audio frequency amplification circuit
US3629719A (en) * 1969-08-22 1971-12-21 Bulova Watch Co Inc Differential amplifying system
US5097224A (en) 1991-04-11 1992-03-17 Telex Communications, Inc. Self-biasing, low noise amplifier of extended dynamic range
KR960009110U (ko) 1994-08-12 1996-03-16 오디오 시스템의 직류 오프셋 보상회로
US5587857A (en) 1994-10-18 1996-12-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licon chip with an integrated magnetoresistive head mounted on a slider
US5777829A (en) 1996-10-08 1998-07-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for an inductive coil of a magnetic transducer
JP2885281B2 (ja) 1996-11-20 1999-04-19 日本電気株式会社 Dcオフセットキャンセル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差動増幅回路
US6104048A (en) 1999-06-30 2000-08-15 Iomega Corporatio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for magneto-resistive heads
US6353344B1 (en) 2000-05-22 2002-03-05 Microtronic Us, Inc. High impedance bias circuit
WO2002078177A1 (de) 2001-03-26 2002-10-03 Georg Neumann Gmbh Verstärkerschaltung
KR100433409B1 (ko) 2002-03-07 2004-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랜스 컨덕터의 튜닝회로
US7149317B2 (en) 2002-04-18 2006-12-12 Sonionmicrotronic Nederland B.V. CMOS high impedance circuit
KR100459714B1 (ko) 2002-05-03 2004-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로즈드 루프 연산증폭기의 dc 오프셋 보상회로 및dc 오프셋 보상방법
US6710983B2 (en) 2002-05-10 2004-03-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SD protection for GMR sensors of magnetic heads using SiGe integrated circuit devices
US6891702B1 (en) 2002-10-31 2005-05-10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Method and devices for providing magnetoresistive heads with protection from electrostatic discharge and electric overstress events
CN1244983C (zh) 2003-01-20 2006-03-08 矽统科技股份有限公司 应用于可变增益放大器的直流偏移量消除电路
US6972930B1 (en) 2003-02-28 2005-12-06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ESD-protected slider and head gimbal assembly
US7394638B2 (en) 2003-12-26 2008-07-01 Stmicroelectronics Pvt. Ltd. System and method for a whole-chip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that is independent of relative supply rail voltages and supply sequencing
JP2005190610A (ja) 2003-12-26 2005-07-14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磁気抵抗効果型磁気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DE602005010129D1 (de) 2004-01-12 2008-11-20 Sonion As Verstärkerschaltung für kapazitive Umformer
KR100859867B1 (ko) 2007-01-30 2008-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랜지스터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증폭기 및 믹서
US7605569B2 (en) 2007-01-31 2009-10-20 Infineon Technologies Ag Acquisition circuit and controller circuit for an alternator
WO2009001254A2 (en) 2007-06-27 2008-12-31 Nxp B.V. Pulse width modulation circuit and class-d amplifier comprising the pwm circuit
US8139790B2 (en) 2008-05-15 2012-03-20 Fortemedia, Inc. Integrated circuit biasing a microphone
US7999619B2 (en) * 2009-02-09 2011-08-16 Infineon Technologies Ag Class AB output stage
KR101591339B1 (ko) * 2009-08-11 2016-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단 증폭 회로
US8536924B2 (en) 2010-09-02 2013-09-17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High-impedance network
US8829991B2 (en) 2011-01-14 2014-09-09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DC offset tracking circu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466A (ja) * 1997-04-28 1999-01-22 Toshiba Corp 平衡型増幅器
KR20030037012A (ko) * 2001-11-01 2003-05-12 주식회사 미토스엠텍 밸런스 앰프 회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6924B2 (en) 2010-09-02 2013-09-17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High-impedance network
US8829991B2 (en) 2011-01-14 2014-09-09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DC offset tracking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94273B (zh) 2015-06-10
US20120182068A1 (en) 2012-07-19
KR101893856B1 (ko) 2018-08-31
CN202696550U (zh) 2013-01-23
CN102594273A (zh) 2012-07-18
US8829991B2 (en) 2014-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3856B1 (ko) Dc 오프셋 트랙킹 회로
US8120422B1 (en) Ripple reduction loop for chopper amplifiers and chopper-stabilized amplifiers
CN104737442B (zh) 跨阻抗型电子装置、具有此装置的光纤通信系统及操作此装置的方法
US8582787B2 (en) Preamplifier circuit for a microelectromechanical capacitive acoustic transducer
US20090067545A1 (en) Receiver of high speed digital interface
CN103748786B (zh) 具有共模反馈的宽带宽c类放大器
US9685914B2 (en) Amplifier circuit
US9564859B2 (en) Chopped operational-amplifier (OP-AMP) system
TW200822534A (en) Peak detector and fixed gain amplifier circuit for automatic gain control and variable gain amplifier circuit and method thereof
US10132844B2 (en) Current sense amplifier with common mode rejection
CN111628735B (zh) 一种高精度的线性霍尔传感器读出电路
KR20150095060A (ko) 공통 모드 궤환 회로를 포함하는 완전 차동 신호 시스템
US7605655B2 (en) Highly linear differential amplifier with a novel resistive source degeneration network
CN103516314B (zh) 低噪声放大器和不具有声表面滤波器的接收器
US20140049323A1 (en) Transimpedance amplifier
US20110140782A1 (en) Differential Gm-Boosting Circuit and Applications
JP2011109721A (ja) 振幅制限増幅回路
US10095252B2 (en) Voltage-to-current converter
JP4573602B2 (ja) 増幅装置
JP2009239330A (ja) 振幅制限増幅回路
CN109075754B (zh) 单端仪表折叠式栅-阴放大器
JP5375680B2 (ja) 単相差動変換器
CN113169711B (zh) 具有集成滤波器的音频放大器
JP2010249786A (ja) センサ信号処理回路
JP6512826B2 (ja) 差動増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