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2656A - 차량의 타이어 안전 구조물 - Google Patents

차량의 타이어 안전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2656A
KR20120082656A KR1020110004071A KR20110004071A KR20120082656A KR 20120082656 A KR20120082656 A KR 20120082656A KR 1020110004071 A KR1020110004071 A KR 1020110004071A KR 20110004071 A KR20110004071 A KR 20110004071A KR 20120082656 A KR20120082656 A KR 20120082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ires
rims
tir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동준
Original Assignee
손동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동준 filed Critical 손동준
Priority to KR1020110004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2656A/ko
Publication of KR20120082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6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3/00Tyres characterised by the transverse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4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continuous circumferential ribs, e.g. zig-zag
    • B60C11/042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continuous circumferential ribs, e.g. zig-zag further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1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3/00Tyres characterised by the transverse section
    • B60C2003/005Twin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2009/0071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inforcements
    • B60C2009/0078Modu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차량의 주행 도중, 뒷바퀴의 2개의 타이어 중 적어도 하나가 펑크가 발생하거나 2개의 타이어가 동시에 펑크가 발생하여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때, 중앙의 안전판이 차체를 임시 지지해 주어서 차량의 전복을 예방하고, 수리를 위한 갓길 주차 등의 사후 정리가 용이하다. 이로 인해 차량 전복에 의한 제2차 또는 제3차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전구조물에 의한 타이어폭 확대 효과로 차량의 뒷바퀴가 웅덩이 등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있으며 뒷바퀴 타이어들 사이의 돌 등의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할 수 있는 개량된 차량의 타이어 안전 구조물로서, 제1,2 림 사이에는 원형의 안전판이 상기 제1,2 림에 대하여 평행으로 결합되어 배치된다.

Description

차량의 타이어 안전 구조물{Tire safety structure in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타이어 안전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차량의 주행 도중, 뒷바퀴의 2개의 타이어 중 적어도 하나가 펑크가 발생하거나 2개의 타이어가 동시에 펑크가 발생하여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때, 중앙의 안전판이 차체를 임시 지지해 주어서 차량의 전복을 예방하고, 수리를 위한 갓길 주차 등의 사후 정리가 용이하다. 이로 인해 차량 전복에 의한 제2차 또는 제3차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전구조물에 의한 타이어폭 확대 효과로 차량의 뒷바퀴가 웅덩이 등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있으며 뒷바퀴 타이어들 사이의 돌 등의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할 수 있는 개량된 차량의 타이어 안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차축에는 엔진구동시 발생되는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차륜을 구비한다. 그리고 차륜에는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고, 노면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고, 엔진의 동력, 제동력, 조타력 등을 노면에 전달하여 차량의 운동을 유지하는 타이어를 구비한다.
이러한 타이어는 탄력성이 있는 공기 용기로 되어있으며, 공기압을 유지하기 위하여 튜브를 내장하여 튜브 내장식 타이어와 튜브를 내장하지 않은 튜브리스 타이어로 대별된다.
그러나 이러한 타이어는 차량 주행 시 발생하는 펑크나 찢어짐 시 갑작스럽게 균형과 조향능력을 잃게 되어 차선을 이탈하여 추돌사고를 일으키거나 전복되어 대형 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트럭과 같은 차량의 경우, 뒷바퀴는 2개가 1개조로 제공하여 차량의 하중을 견딜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역시 타이어의 펑크 발생 시 차량의 안전 운행에 지장을 초래하였다. 즉, 2개의 타이어 중 어느 하나에 펑크가 발생하거나 2개의 타이어가 동시에 펑크가 발생하면, 그 펑크 발생된 부위로 차량이 갑자기 쏠리게 되어 전복하게 되어 후방의 다른 차량과의 제2차 또는 제3차사고 등의 위험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펑크 발생 시 운전자는 차량의 전복을 예방함은 물론 차량을 안전하게 갓 길이나 정비소, 또는 목적지 등으로 이동 주차하는 안전장치나 구조물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행 도중, 뒷바퀴의 2개의 타이어 중 적어도 하나가 펑크가 발생하거나 2개의 타이어가 동시에 펑크가 발생하여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때, 차체를 임시 지지해 주어서 차량의 전복을 예방하고, 수리를 위한 갓길 주차 등의 사후 정리가 용이하며, 이로 인해 차량 전복에 의한 제2차 또는 제3차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개량된 차량의 타이어 안전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로에 대하여 마주보며 결합되는 제1,2 림, 및 상기 제1,2 림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제1,2 타이어가 구비되는 차량의 타이어 안전 구조물로서,
상기 제1,2 림 사이에는 원형의 안전판이 상기 제1,2 림에 대하여 평행으로 결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타이어 안전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안전판의 단부에는 결합부가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체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판의 단부에는 결합부가 다양하게 제공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체가 각각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는 "U" 자형의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는 "T" 자형의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는 "Y" 자형의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2 타이어의 직경에 비하여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차량의 타이어 안전 구조물에 의하면, 제1,2 림 사이에는 원형의 안전판이 제1,2 림에 대하여 평행으로 결합되어 배치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도중, 2개의 뒷바퀴 타이어 중 적어도 하나가 펑크가 발생하거나 2개의 타이어가 동시에 펑크가 발생하여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때, 중앙의 안전판이 차체를 임시 지지해 주어서 차량의 전복을 예방하고, 수리를 위한 갓길 주차 등의 사후 정리가 용이하다. 이로 인해 차량 전복에 의한 제2차 또는 제3차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전구조물에 의한 타이어폭 확대 효과로 차량의 뒷바퀴가 웅덩이 등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있으며 뒷바퀴 타이어들 사이의 돌 등의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타이어 안전 구조물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 안전판을 정면에서 보여주는 도면; 및
도 3은 도 2에서 A - 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타이어 안전 구조물(100)이 제1,2 림(110)(112) 사이에 평행으로 결합되어 배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2는 도 1에서 안전판(130) 및 그 안전판(130)의 둘레를 따라 제공되는 결합부(132)를 보여준다. 도 3은 도 2에서 A - A 선에 따른 단면도로, 결합부(132)와 그 결합부(132)에 결합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체(134)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차량(도시안됨)에는 서로에 대하여 마주보며 결합되는 제1,2 림(110)(112)을 포함한다. 제1,2 타이어(120)(122)는 제1,2 림(110)(112)의 둘레를 따라 각각 끼워져 결합된다. 안전판(130)은 제1,2 림(110)(112) 사이에서 평행으로 결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판(130)은 원판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합부(132)는 안전판(130)의 단부에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체(134)는 결합부(132)에 제공된다. 여기서,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체(134)로 설명하고 있으나, 그 밖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다른 재질로 된 것도 가능하다. 결합부(132)는 안전판(130)의 단부에 여러 가지 모양으로 다양하게 제공되고,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체(134)는 결합부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부(132)는 "U" 자형, "T" 자형 또는 "Y" 자형의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A"자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기에,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결합부(132)는 제1,2 타이어(120)(122)의 직경에 비하여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판(130)의 결합부(132)는 차량(도시안됨)이 지면에 놓여 졌을 때, 제1,2 타이어(120)(122) 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어서, 제1,2 타이어(120)(122)의 펑크가 발생하기 전까지 지면에 접촉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의 타이어 안전 구조물의 작용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차량(도시안됨)에는 제1,2 림(110)(112)이 서로에 대하여 마주보며 결합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안전판(130)은 제1,2 림(110)(112) 사이에 위치된다.
여기서, 안전판(130)은 차량(도시안됨)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도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판(130)의 단부 둘레에는 결합부(132)가 제공된 상태이다. 이 결합부(132)는 "U"자형, "T"자형 및 "Y"자형은 물론 "A"자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다. 이는 이에 결합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체(134)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체(134)는 차량(도시안됨)의 안전판(130)과 함께 차체 하중에 대하여 견딜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에서, 차량(도시안됨)의 주행 도중 제1,2 타이어(120)(122) 중 적어도 하나에 펑크가 발생된다면, 그 펑크에 의해 제1,2 타이어(120)(122) 중 적어도 하나의 바람이 빠지거나 찢어지게 된다. 이때, 제1,2 타이어(120)(122) 중 펑크가 나지 않는 다른 하나의 타이어는 차량(도시안됨)의 하중에 의해 눌려지게 된다. 또한 차량(도시안됨)의 주행 도중 제1,2 타이어(120)(122)가 동시에 펑크가 발생된다면, 그 펑크에 의해 제1,2 타이어(120)(122)가 동시에 바람이 빠지거나 찢어지게 된다. 이때, 차량(도시안됨)은 중심을 잃고 전복하게 된다. 지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던 안전판(130)의 단부는 타이어가 펑크가 나는 바로 이 순간에 지면에 접촉되는 것이다. 즉, 안전판(130)의 결합부(132)에 제공된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체(134)가 지면에 직접 접촉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펑크 나지 않은 정상적인 제1,2 타이어(120)(122) 중 남아있는 하나는 더 이상 눌려지지 않고 비교적 정상적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설혹 2개의 타이어에 동시에 펑크가 발생해도 안전판(130)이 차량의 하중을 지탱하면서 바퀴의 역할을 대신해 주기 때문에 운전자는 차량을 서행으로 안전한 장소나 목적지 등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안전판(130)이 구비되면, 제1,2 타이어(120)(122) 사이에 돌과 같은 이물질의 끼임 현상이 예방되며, 안전판(130)에 의한 타이어폭 확대 효과로 차량의 뒷바퀴가 웅덩이 등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안전판(130)에 의해 차량(도시안됨)의 제2차, 제3차 등의 사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안전 구조물
110,112 : 제1,2 림 120,122 : 제1,2 타이어
130 : 안전판 132 : 결합부
134 :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체

Claims (4)

  1. 서로에 대하여 마주보며 결합되는 제1,2 림, 및 상기 제1,2 림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제1,2 타이어가 구비되는 차량의 타이어 안전 구조물로서,
    상기 제1,2 림 사이에는 원형의 안전판이 상기 제1,2 림에 대하여 평행인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타이어 안전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판의 단부에는 결합부가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타이어 안전 구조물.
  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2 타이어의 직경에 비하여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타이어 안전 구조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T"자 등과 같은 특정형태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타이어 안전 구조물.
KR1020110004071A 2011-01-14 2011-01-14 차량의 타이어 안전 구조물 KR201200826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071A KR20120082656A (ko) 2011-01-14 2011-01-14 차량의 타이어 안전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071A KR20120082656A (ko) 2011-01-14 2011-01-14 차량의 타이어 안전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656A true KR20120082656A (ko) 2012-07-24

Family

ID=46714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071A KR20120082656A (ko) 2011-01-14 2011-01-14 차량의 타이어 안전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26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8539A1 (en) * 2012-08-13 2014-02-20 Resare Lars Johan Dual tire shield and runfla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8539A1 (en) * 2012-08-13 2014-02-20 Resare Lars Johan Dual tire shield and runfl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0351B2 (en) Airless tire
CN201116062Y (zh) 一种安全防护轮胎
CN106042766B (zh) 无气轮胎及汽车
KR20110018527A (ko) 비공기압 바퀴구조체
KR100908554B1 (ko) 내·외부 타이어를 갖는 차륜
KR20120082656A (ko) 차량의 타이어 안전 구조물
CN210309780U (zh) 缓冲减震性能良好的无气轮胎
CN107379881A (zh) 一种防扎防弹充气减震车轮
CN203864347U (zh) 汽车前车轮爆胎紧急防偏向行驶及侧翻装置
JP2009149146A (ja) 車両用タイヤ
CN103963573A (zh) 一种汽车前车轮爆胎紧急防偏向行驶及侧翻装置
CN206242796U (zh) 无气轮胎及汽车
CN207241320U (zh) 一种不怕扎的轮胎
CN206217510U (zh) 无气轮胎及汽车
CN212289375U (zh) 一种轮胎爆胎两片式安全轮毂
CN102529566A (zh) 一种汽车双轮辋主辅车轮装置
CN211994977U (zh) 一种改进型无气轮胎
US2234838A (en) Emergency safety wheel
CN205468334U (zh) 安全轮胎
KR200404019Y1 (ko) 타이어 보호를 위한 보조 디스크 구조
CN206217487U (zh) 无气轮胎及汽车
JPH03114901A (ja) タイヤ付き車両における車輪用安全装置
CN108656874A (zh) 汽车轮毂结构
CN206900101U (zh) 一种安全型汽车轮毂
KR102495867B1 (ko) 비공기입 타이어의 스포크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