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0367A - 우유를 기제로 사용하는 계면활성제 함유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우유를 기제로 사용하는 계면활성제 함유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0367A
KR20120080367A KR1020110001779A KR20110001779A KR20120080367A KR 20120080367 A KR20120080367 A KR 20120080367A KR 1020110001779 A KR1020110001779 A KR 1020110001779A KR 20110001779 A KR20110001779 A KR 20110001779A KR 20120080367 A KR20120080367 A KR 20120080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
cosmetic composition
surfactant
poe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1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진
정원욱
이의정
진무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10001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0367A/ko
Publication of KR20120080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36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6Milk; Derivatives thereof, e.g. but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우유를 주 기제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와 우유를 포함하면서도 제형적으로 안정하고, 우유의 여러 유익한 화장학적 효과를 직접적으로 또 대량으로 세정 시 또는 컨디셔닝 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우유를 기제로 사용하는 계면활성제 함유 화장료 조성물{Surfactant-Containing Cosmetic Composition Using Milk As Base}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세정용 또는 컨디셔닝용 인체 외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유가 화장학적으로 유용한 여러 효과를 가짐은 오래 전부터 잘 알려져 왔다. 따라서 우유 또는 우유 성분을 화장품에 이용하려는 여러 시도들이 있었다. 예를 들어, 화장료의 주요 기제(용매)로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고 우유를 첨가하는 방식이 연구되어 왔으나, 사용감, 안정성 등이 양호하지 못해 극히 제한된 량만이 사용되어 왔으며, 또는 사용 직전에 화장품을 제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우유 등으로부터 요구되는 효능을 발휘하는 단일 화합물 또는 일부 화합물들을 분리, 정제하여 피부외용제에 포함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분리 비용이 높기도 하지만 우유의 다른 유용한 생리활성성분들이 버려져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세정 시 또는 컨디셔닝 시 우유의 유익한 효과를 직접적으로 또 풍부하게 전달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우유를 조성물의 주요 기제(용매 등)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활성제 함유 인체 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연구 방식에서 벗어나 여러 유익한 화장학적 효과를 지닌 우유 자체를 용매 등 기제 그 자체로 사용할 경우 제형적 안정성이 확보될 뿐만 아니라, 의외로 사용감 등이 우수하고, 세정력, 컨디셔닝력 등 본연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다는 놀라운 발견을 하고, 이를 기초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는 우유를 용매 등의 기제 자체로 사용하므로 우유를 대량으로 포함한다. 즉,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기제로 사용된 우유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상 또는 20 중량% 이상,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사용되는 기제인 우유의 구체적 종류, 화장료 조성물의 목적, 구체적 용도 등에 따라 99.9 중량%까지, 바람직하게는 99 중량%까지,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중량%까지, 가장 바람직하게는 90중량%까지 기제인 우유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우유로는 생유, 초유, 우유, 분유, 연유, 응유, 발효유, 요구르트, 유청, 아이스크림, 생크림, 버터, 치즈 등 우유 및 우유로부터 유래한 모든 유제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므로 얼굴, 바디 등의 세정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여 컨디셔닝 조성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인체 외용 우유를 제공하며, 피부 및 모발의 세정과 컨디셔닝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우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샴푸, 린스, 바디워시, 폼클렌져, 훼이셜팩 등에 이용 가능하며, 사용 후 헹구어 내는 방법으로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로는 양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지방산이 사용될 수 있다.
양이온 계면활성제로는 통상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등); 알킬피리디늄염(염화세틸피리디늄 등);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염화폴리(N,N'-디메틸-3,5-메틸렌피페리디늄); 알킬4급암모늄염; 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염; 알킬이소퀴놀리늄염; 디알킬모르포늄염; POE-알킬아민; 알킬아민염; 폴리아민 지방산 유도체; 아밀알콜 지방산 유도체;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등이 1종 이상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로는 통상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지방산 비누(라우린산 나트륨, 팔미틴산 나트륨 등); 고급 알킬 황산 에스테르염(라우릴 황산 나트륨, 라우릴 황산 칼륨 등); 알킬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염(POE-라우릴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POE-라우릴 황산 나트륨 등); N-아실사르코신산(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등); 고급 지방산 아미드설폰산염(N-미리스토일-N-메틸타우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메틸타우리드나트륨, 라우릴메틸타우리드나트륨 등); 인산 에스테르염(POE-올레일에테르인산 나트륨, POE-스테아릴에테르인산 등); 설포숙신산염(디-2-에틸헥실설포숙신산 나트륨, 모노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설포숙신산 나트륨, 라우로일폴리프로필렌글리콜설포숙신산 나트륨 등); 알킬벤젠설폰산염(리니어드데실벤젠설폰산 나트륨, 리니어드데실벤젠설폰산 트리에탄올아민, 리니어드데실벤젠설폰산 등);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황산 에스테르염(경화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린 황산나트륨 등); N-아실글루타민산염(N-라우로일글루타민산 모노나트륨, N-스테아로일글루타민산 디나트륨, N-미리스토일-L-글루타민산 모노나트륨 등); 황산화유(로트유 등); POE-알킬에테르카르본산; POE-알킬알릴에테르카르본산 염; α-올레핀설폰산염;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설폰산염; 2급 알콜황산에스테르염; 고급 지방산 알킬올아미드 황산에스테르염; 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숙신산 나트륨; N-팔미토일아스파라긴산 디트리에탄올아민; 카제인나트륨 등이 1종 이상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친유성 비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친유성 비이온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소르비탄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레에이트, 소르비탄트리올레에이트, 펜타-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소르비탄, 테트라-2-에틸헥실산 디글리세롤소르비탄 등); 글리세린폴리글리세린 지방산류(모노 면실유 지방산 글리세린, 모노에루카산 글리세린, 세스퀴올레인산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α,α'-올레인산 피로글루타민산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말산 등);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류(모노스테아린산 프로필렌글리콜 등);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글리세린알킬에테르 등이,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POE-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POE-소르비탄모노올레 에이트, POE-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POE-소르비탄테트라올레에이트 등); POE-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류(POE-소르비트모노라우레이트, POE-소르비트모노올레에이트, POE-소르비트펜타올레에이트, POE-소르비트모노스테아레이트 등); POE-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POE-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 POE-지방산 에스테르류(POE디스테아레이트, POE-모노디올레에이트, 디스테아린산 에틸렌글리콜 등); POE-알킬에테르류(POE-라우릴에테르, POE-올레일에테르, POE-스테아릴에테르, POE-베헤닐에테르, POE-2-옥틸도데실에테르, POE-콜레스탄올에테르 등); 플루로닉형류(플루로닉 등); POE?POP-알킬에테르류(POE?POP-세틸에테르, POE?POP-2-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POE?POP-모노부틸에테르, POE?POP-수첨 라놀린, POE?POP-글리세린에테르 등); 테트라 POE?테트라 POP-에틸렌디아민 축합물류(테트로닉 등); POE-피마자유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POE-피마자유, POE-경화 피마자유, POE-경화 피마자유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 피마자유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 피마자유 모노피로글루타민산 모노이소스테아린산디에스테르, POE-경화 피마자유 말레인산 등); POE 밀랍?라놀린 유도체(POE-소르비트밀랍 등); 알칸올아미드(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라우린산 모노에탄올아미드, 지방산 이소프로판올아미드 등); POE-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POE-알킬아민; POE-지방산 아미드;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에톡 시디메틸아민옥시드; 트리올레일인산 등이 1종 이상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양성(兩性) 계면활성제로는 통상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이미다졸린계 양성 계면활성제(2-운데실-N,N,N-(히드록시에틸카르복시메틸)-2-이미다졸린나트륨, 2-코코일-2-이미다졸리늄히드록사이드-1-카르복시에틸옥시2나트륨염 등); 베타인계 계면활성제(2-헵타데실-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 아세트산 베타인, 알킬베타인, 아미드베타인, 설포베타인 등)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산 계면활성제로는 탄소수 6-22의 지방산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카프리릭산, 카프릭산, 라우릭, 미리스틱산, 팔미틱산, 스테아릭산, 올레인산 및 리놀레익산 등이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양이온 또는 양쪽성 (특히,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를 제조할 경우 우유를 기제로 사용하게 되면 응집이 일어나며, 이러한 응집은 우유의 pH를 조정하여 해결할 수 있다는 놀라운 발견에 기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산성화제를 이용하여 pH가 조정된 우유를 기제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 함유 인체 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S1) 기제로 사용되는 우유와 산성화제를 혼합하는 단계; 및 (S2) (S1)단계의 혼합물에 양이온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의 응집 없이 계면활성제 및 기제로 사용되는 우유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산성화제로서 구연산, 푸마르산, 젖산, 주석산, 호박산, 말레산, 사과산, 옥살산, 아스코르빈산, 아스파르트산, 포믹산, 글루타민산 등이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산성화제의 구체적 종류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우유를 주 기제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와 우유를 포함하면서도 제형적으로 안정하고, 우유의 여러 유익한 화장학적 효과를 직접적으로 또 대량으로 세정 시 또는 컨디셔닝 시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샴푸 조성물 (음이온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 혼합)
하기 표 1과 같은 처방과 함량으로 모발 세정용 조성물인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1에 원료 2를 분산 투입하여 용해시킨 후, 계면활성제인 원료 3 및 4를 투입하고 70℃로 가온하였다. 그 후 냉각수 또는 우유를 투입하고 냉각한 후, 원료 7-11을 투입하고 잘 혼합하였다.
완성된 샴푸를 직접 사용하여 패널(20명) 테스트를 하였으며, 세정력과 모발 컨디셔닝감 만족도를 상, 중 및 하로 관능 평가하였다.
성분 비교예 실시예
1 정제수 10 10
2 폴리쿼터늄-10 0.2 0.2
3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11 11
4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2 2
5 냉각수(정제수) To 100 -
6 우유(시유) - To 100
7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4 0.4
8 트리에탄올아민 0.4 0.4
9 소듐클로라이드 적량 적량
10 방부제 적량 적량
11 적량 적량
  모발 컨디셔닝감 만족도
상기 표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기제로 우유를 사용한 샴푸 조성물은 세정력을 유지하면서도 탁월한 모발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바디워시 조성물 (지방산, 양쪽성,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 혼합)
하기 표 2와 같은 처방과 함량으로 바디워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원료 1-5를 투입 후 혼합하면서 75℃까지 가온하고 30분간 중화하였다. 그 후, 75℃ 이상으로 유지하면서 원료 6-8을 투입하였고, 냉각하고 나머지 원료들인 원료 9-11을 투입하여 잘 혼합하였다.
완성된 바디워시 조성물을 직접 사용하여 패널(20명)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일반적인 세정력과 피부 보습감 만족도를 상, 중 및 하로 관능 평가하였다.
성분 비교예 실시예
1 정제수 To 100 -
2 우유 (시유) - To 100
3 미리스틱애씨드 4 4
4 라우릭애씨드 6 6
5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6 6
6 글라이콜디스테아레이트 1 1
7 코카마이드엠이에이 0.5 0.5
8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5 5
9 폴리쿼터늄-7 0.2 0.2
10 방부제 적량 적량
11 적량 적량
피부 보습감 만족도
상기 표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요 기제로 우유를 사용한 바디워시 조성물은 세정력을 유지하면서도 탁월한 보습감을 부여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컨디셔너 조성물 (양이온 계면활성제 혼합)
하기 표 3의 성분과 함량에 따라 우유를 주기제로 사용하는 컨디셔닝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원료 1-2를 투입하여 잘 혼합하고 가온한 후, 원료 3을 투입하였다. 75℃ 이상으로 유지하면서 원료 4 및 5를 투입하였고, 20분 동안 유화하고, 냉각하였다. 냉각 후 나머지 원료들을 투입하였다.
완성된 컨디셔너 조성물을 직접 사용하여 패널(20명)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일반적인 컨디셔닝감 만족도를 상, 중 및 하로 관능 평가하였다.
성분 비교예 실시예1 실시예2
1 정제수 To 100 - 20
2 Citiric acid - 0.5
3 우유 (시유) - To 100 To 100
4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2 2 2
5 세테아릴알코올 8 8 8
6 디메치콘 2 2 2
7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8 적량 적량 적량
모발 컨디셔닝감 만족도 -
상기 표 3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컨디셔닝 만족도가 기제(용매)로 물을 사용한 경우보다 매우 좋았다. 또 실시예 1의 우유와 양이온 계면활성제 혼합 시 응집이 발생하여 제형이 형성되지 않은 반면, 실시예 2처럼 산도조절제를 이용하여 먼저 pH를 낮추어 준 후 우유를 첨가하였을 때는 실시예 1의 문제가 해결된 사용하기 양호한 제형을 형성하였다.

Claims (6)

  1. 우유를 기제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활성제 함유 인체 외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제로 사용된 우유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세정용 또는 모발 컨디셔닝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우유는 생유, 초유, 우유, 분유, 연유, 응유, 발효유, 요구르트, 유청, 아이스크림, 생크림, 버터, 치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산성화제를 이용하여 pH가 조정된 우유를 기제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 함유 인체 외용 화장료 조성물.
  6. (S1) 기제로 사용되는 우유와 산성화제를 혼합하는 단계; 및
    (S2) (S1)단계의 혼합물에 양이온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의 응집 없이,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기제로 사용되는 우유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110001779A 2011-01-07 2011-01-07 우유를 기제로 사용하는 계면활성제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201200803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779A KR20120080367A (ko) 2011-01-07 2011-01-07 우유를 기제로 사용하는 계면활성제 함유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779A KR20120080367A (ko) 2011-01-07 2011-01-07 우유를 기제로 사용하는 계면활성제 함유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367A true KR20120080367A (ko) 2012-07-17

Family

ID=46712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1779A KR20120080367A (ko) 2011-01-07 2011-01-07 우유를 기제로 사용하는 계면활성제 함유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03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9086A (ko) * 2017-05-25 2018-12-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균일한 입자의 커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9086A (ko) * 2017-05-25 2018-12-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균일한 입자의 커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15183A1 (en) Method of preparing hair and scalp conditioning composition including aromatic oil blend with enhanced efficacy
ES2210767T3 (es) Composiciones antimicrobianas para uso topico.
CN110831565B (zh) 局部用组合物
KR20180054822A (ko) 개인용 세정 조성물 및 마이크로바이옴을 안정화하는 방법
CN113507917A (zh) 具有物理化学修饰特性的皮肤和头发护理用活性剂
JP2011001365A (ja) ラクトフェリン、シクロピロックス及びエチドロン酸を含む医薬及び化粧品組成物
JP6872673B2 (ja) 安定性が改善された新規な類似セラミド化合物及びこれを含む組成物
CN102548564A (zh) 用于预防和治疗痤疮的包含作为活性成分的蜂毒的组合物
JP2011063548A (ja) シャンプー組成物
RU2657805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мытья и умывания младенцев
JP2016216462A (ja) 3‐ブトキシ‐1,2‐プロパンジオールを含む化粧料組成物
KR101460777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20140140946A1 (en) Skin preparation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with excellent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effects
KR20120080367A (ko) 우유를 기제로 사용하는 계면활성제 함유 화장료 조성물
CN111491608B (zh) 丙二醇单乙酸酯单硝酸酯
BR122023007839B1 (pt) Uso de éster(es) de ácido graxo, método para modificar as propriedades sensoriais de um produto de cuidado com a pele e método para fabricar um produto
KR20130079683A (ko)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CN114366680A (zh) 用于养护头皮健康防脱固发的洗发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H03157311A (ja) にきび用化粧料
CN114642605A (zh) 一种复合锌成分去屑洗发露及其制备方法
CN112043655A (zh) 一种植物去屑组合物及无硅油洗发水及其制备方法
KR20130079684A (ko) 폴리라이신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JP7322261B2 (ja) 皮膚洗浄用組成物
KR20160023514A (ko) 갈락토미세스 발효 여과물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
JP4294393B2 (ja) 防腐殺菌剤並びに該防腐殺菌剤を配合した化粧料、医薬品及び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