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9469A - 연속 주조기에서 금속 용융물을 주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연속 주조기에서 금속 용융물을 주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9469A
KR20120079469A KR1020127010466A KR20127010466A KR20120079469A KR 20120079469 A KR20120079469 A KR 20120079469A KR 1020127010466 A KR1020127010466 A KR 1020127010466A KR 20127010466 A KR20127010466 A KR 20127010466A KR 20120079469 A KR20120079469 A KR 20120079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t
mold
bar
casting
menisc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0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티안 치마니
수잔네 한
프란츠 람스토르퍼
토마스 샤덴
Original Assignee
지멘스 브이에이아이 메탈스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브이에이아이 메탈스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지멘스 브이에이아이 메탈스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079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4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41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for vertical c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 B22D11/114Treating the molten metal by using agitating or vib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 B22D11/116Refining the metal
    • B22D11/118Refining the metal by circulating the metal under, over or around we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18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 주조기에서 금속 용융물을 연속 주조된 예비 제품들로 주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도입부에 언급된 방식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방법과 장치에 의해서는 몰드(1) 내 용융물의 보다 더 안정된 흐름이 단일- 또는 이중 와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메니스커스(5)의 안정화가 상승되고, 상기 몰드(1) 내에서의 입자들의 석출 거동(precipitation behavior)이 개선되며, 그리고 주조 분말의 보다 더 균일한 용융- 및 분배 조건들이 달성된다. 상기 과제는, 측정값 센서에 의해서 스트랜드 주조 공정의 상태 변수를 측정함으로써 측정값을 측정하고; 측정값을 고려하면서 제어 장치를 사용하여 시간-가변적인 조절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을 통해서 해결되며, 그리고 작동기(11)에는 조절 신호가 공급되며, 이 경우 상기 작동기(11)는 상기 메니스커스(5)와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바형 삽입부(10)의 침지 깊이 또는 상기 몰드(1)의 측벽(2, 3)과 관련한 바형 삽입부(10)의 위치를 변화시키며, 그 결과 용융물의 흐름이 상기 메니스커스(5)의 영역에서 다수의 바형 삽입부(10)들에 의해 단일 와류 또는 이중 와류 형태로 안정화된다.

Description

연속 주조기에서 금속 용융물을 주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DEVICE FOR CASTING METAL MELT IN A CONTINUOUS CASTING MACHINE}
본 발명은 연속 주조기에서 금속 용융물을 연속 주조된 예비 제품들로 주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금속 용융물을 연속 주조된 예비 제품들로 주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 용융물을 몰드 내로 주입하는 단계, 이 경우에는 몰드 내 용융물의 메니스커스(meniscus) 그리고 적어도 몰드 내 용융물의 흐름(melt folw)이 단일 와류(single vortex) 또는 이중 와류(double vortex) 형태로 형성됨;
- 고체의 스트랜드 쉘(strand shell)을 형성하면서 몰드 내에 있는 용융물을 냉각하는 단계;
- 적어도 부분 경화된 스트랜드를 몰드 밖으로 인출하는 단계;
- 스트랜드 지지 장치 내에서 상기 인출된 스트랜드를 가이드, 지지 그리고 냉각하는 단계.
연속 주조기에서 금속 용융물을 연속 주조된 예비 제품들로 주조하기 위한 장치는 대체로
- 용융물이 주입되는 몰드, 이 경우 상기 몰드 내에는 메니스커스 및 부분 경화된 스트랜드가 형성됨;
- 스트랜드를 가이드, 지지 그리고 냉각하기 위한 스트랜드 지지 장치, 이 경우 적어도 부분 경화된 스트랜드가 몰드 밖으로 인출됨; 및
- 몰드 내 용융물의 메니스커스 영역에 있는 다수의 바형(bar-shaped) 삽입부들을 포함한다.
연속 주조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게는, 연속 주조기에서 금속 용융물을 연속 주조된 예비 제품들로 주조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으며, 이 경우 용융물은 자유 분사 주조 공정(예를 들어 WO 0010741 A1호, US 3,833.050호, US 3,840,062호 및 JP 48-9251 A호 참조)에 의해 또는 침지 노즐(SEN: submerged entry nozzle)을 이용해서 몰드 내로 주입된다. 두 가지 경우에, 용융물의 메니스커스가 몰드 내에 형성되고, 이 경우 상기 자유 분사 주조 공정으로서 제 1 경우에서는 용융물이 침지 노즐에 의한 가이드 없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몰드 내로 주입되고, 상기 침지 노즐을 이용한 제 2 경우에서는 용융물이 SEN에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배출 개구로부터 몰드 내로 주입된다. 용융물이 몰드 내로 주입되는 방식에 상관없이, 몰드 내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흐름이 단일- 또는 이중 와류 형태로 형성된다. 단일 와류의 경우에, 메니스커스 아래에 있는 용융물은 메니스커스 방향으로 배출되고, 이 경우 이러한 흐름은 메니스커스 영역에서 또는 메니스커스 아래에서 스트랜드 이동 방향(하향)으로 전향된다; 이중 와류의 경우에는, 메니스커스 아래에 있는 용융물이 몰드벽의 방향으로 배출되며, 이때는 용융물이 정체 지점에서 메니스커스 방향(상향)으로의 흐름과 스트랜드 이동 방향(하향)으로의 흐름으로 분할된다. 단일- 및 이중 와류에 대한 추가의 세부 사항들은 예를 들어 출판물, DAUBY, P.H. 및 KUNSTREICH, S.: Electromagnetic stirring in slab caster molds: What and why. Iron & steelmaker, 30권, ll호, 21-29페이지, ISSN 0275-8687, 2003에서 얻을 수 있다.
고체의 스트랜드 쉘을 형성하면서 몰드 내에 있는 용융물을 냉각한 후에는, 적어도 부분 경화된 스트랜드가 몰드 밖으로 인출되고, 상기 스트랜드는 스트랜드 이동 방향으로 몰드 다음에 배치된 스트랜드 지지 장치에서 가이드, 지지 그리고 계속해서 냉각된다.
단일- 또는 이중 와류 형태로 이루어지는 몰드 내 용융물 흐름의 독특한 형성은 연속 주조된 예비 제품(예를 들어 박슬래브(thin-slab), 슬래브(slab) 또는 잉곳(ingot))의 품질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흐름이 메니스커스의 안정화, 스트랜드의 균일한 경화, 주조 분말의 용융 조건 및 분배 조건 그리고 용융물 내 입자들의 석출 거동(precipitation behavior)을 책임지기 때문이다. 그밖에 이러한 흐름의 불안정한 동작에 의해서는 메니스커스의 변동 또는 스트랜드의 불충분한 윤활 상태가 야기될 수 있다. 메니스커스 변동은 표면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충분히 용융되지 않은 주조 분말에 기인한 불충분한 스트랜드 윤활(lubrication)은 소위 스트랜드 교착(sticking)을 야기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스트랜드 파괴 또는 주조 중단이 초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흐름의 안정된 동작은 스트랜드 주조 공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몰드 내 용융물의 흐름 상태에 대한 분석을 보면, 단일- 또는 이중 와류 형태의 흐름이 불안정한 상태를 띄고, 주기적인 진동 경향을 크게 보인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특히 주조가 시작된 직후에는 이러한 흐름이 매우 불안정하고, 준-안정 상태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 소정의 시간(전형적으로 수 분(several minutes))이 필요하다.
JP 02-015852호에는 연속 주조시 메니스커스 영역에 열관(heat pipe)들을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부재들에 의해서는 의도한 대로 금속 용융물로부터 열이 배출되고, 그 결과 몰드 내에서 용융물의 경화가 가속화되고, 설비의 생산성이 상승될 수 있다. 어떠한 방식과 형태로 몰드 내 용융물의 흐름이 안정화될 수 있는지는 상기 간행물에 나타나 있지 않다.
본 발명의 과제는, 몰드 내 용융물의 보다 더 안정된 흐름을 단일- 또는 이중 와류 형태로 행할 수 있는, 도입부에 언급된 방식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그로 인해
- 메니스커스의 안정화가 상승되고;
- 몰드 내 입자들의 석출 거동이 개선되며; 그리고
- 주조 분말의 보다 더 균일한 용융 조건 및 분배 조건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과제는, 단일- 또는 이중 와류 형태로 되기까지 몰드 내 용융물의 흐름의 과도 시간(transient time)을 줄이는 것이며, 그럼으로써 주조 시작부터 연속 주조 설비의 상태가 준-안정적인 정상 작동까지의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이러한 과제는 도입부에 언급된 방식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해결되며, 상기 방법에서는 단일 와류 또는 이중 와류 형태의 용융물의 흐름이 메니스커스 영역에 있는 다수의 바형 삽입부들에 의해서 안정화된다. 이 경우 단일- 또는 이중 와류 형태의 흐름은(하기에서는 순환 흐름으로도 언급됨), 경우에 따라서 삽입부당 상이한 침지 깊이만큼 몰드 내 용융물 속으로 침지되고 예를 들어 SEN의 좌우에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바형 삽입부들에 의해 그 속도가 둔화되며, 이러한 현상은 불안정한 흐름의 안정화를 유도하고, 그럼으로써 얻어지는 안정화된 흐름이 정상적인 것으로 간주 될 수 있다. 이러한 안정화는 메니스커스의 안정과 개선된 입자들의 석출 거동을 유도한다. 또한, 그로 인해 주조 분말의 균일한 용융 조건 및 분배 조건이 달성되고, 이러한 현상은 스트랜드의 개선된 표면 품질을 유도하며 스트랜드 교착 형성 및 더불어 파괴 위험 요소를 저지한다. 개선된 석출 거동에 의해서는 전자기 교반- 또는 브레이킹 장치(electromagnetic stirring or braking device)가 생략될 수 있고, 이러한 상황은 한편으로는 투자 비용을 줄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연속 작동시 에너지 비용을 줄인다.
본 발명에 따른 한 실시 예에서는 용융물이 자유 분사 주조 또는 침지 노즐에 의해 몰드 내로 주입되며, 침지 노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메니스커스 아래에 있는 용융물이 하나 또는 다수의 배출 개구를 통해 침지 노즐 밖으로 배출된다.
다양한 작동 조건들(예를 들어, 상이한 스트랜드 인출 속도 또는 스트랜드 횡단면)은 하기 단계들에 의해 간단한 방식으로 매칭될 수 있다:
- 측정값 센서에 의해 스트랜드 주조 공정의 상태 변수를 측정함으로써 측정값을 측정하는 단계;
- 측정값을 고려하면서 제어 장치를 통해 시간-가변적인 조절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 상기 조절 신호를 작동기에 공급하는 단계, 이 경우 작동기는 메니스커스와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바형 삽입부의 침지 깊이 또는 몰드 측벽과 관련한 바형 삽입부의 위치를 변화시킴.
상기 실시 예에 의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바형 삽입부의 침지 깊이 또는 위치가 측정값에 따라 제어 장치(예를 들어 특성 필드 제어 장치)에 의해 조절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한 실시 변형 예에서는 측정값으로서 스트랜드 인출 속도, 몰드 측벽의 온도 또는 몰드 내로 주입된 용융물의 질량 유량(mass flow)이 사용된다. 상기 측정값은 바람직하게 영구적인 측정을 통해 실시간으로 검출되며, 제어 장치는 이를 기초로 삼는다.
다양한 작동 조건들에 대한 고정밀의 견실한 매칭은 계속해서 하기의 단계들을 통해 가능하다:
- 측정값 센서에 의해 스트랜드 주조 공정의 상태 변수를 측정함으로써 측정값을 측정하는 단계;
- 제어 규칙을 사용하여 그리고 상기 측정값의 목표값을 고려하면서 조절 장치를 통해 시간-가변적인 조절값을 검출하는 단계;
- 상기 조절값을 작동기에 공급하는 단계, 이 경우 작동기는 메니스커스와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바형 삽입부의 침지 깊이 또는 몰드 측벽과 관련한 바형 삽입부의 위치를 변화시킴.
상기 실시 예에 의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바형 삽입부의 침지 깊이 또는 위치가 조절 장치에 의해 조절되고, 그 결과 적어도 하나의 바형 삽입부의 침지 깊이 또는 위치의 변동에 의해 측정값이 대체로 목표값에서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한 실시 변형 예에서는 측정값으로서 몰드 측벽의 온도 또는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메니스커스에 대해 평행한 몰드 내 용융물의 흐름 속도가 사용된다. 상기 측정값은 바람직하게 영구적인 측정을 통해 실시간으로 검출되며, 조절 장치는 이를 기초로 삼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한 실시 예에서 용융물의 자유 분사는 침지 노즐 밖으로 배출시에 바형 삽입부들에 의해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럼으로써 간단한 방법으로, 주조 분말의 용융이 흐름의 열 에너지에 의해 악영향을 받지 않도록 또는 메니스커스의 결빙이 방지되도록 보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한 추가 실시 예서는 용융물이 적어도 하나의 바형 삽입부에 의해 냉각되며, 이 경우 상기 바형 삽입부는 냉각 회로(cooling circuit)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냉각 회로는 바람직하게 열 사이펀(thermosyphon) 또는 열관으로서 구현되며, 그럼으로써 한편으로는 많은 양의 액상 금속의 용융열이 배출되며, 그로 인해 예비 제품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가급적 직접적인 전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바형 삽입부가 메니스커스와 관련한 바형 삽입부의 침지 깊이를 변경하기 위한 작동기 또는 몰드 측벽과 관련한 바형 삽입부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작동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한 실시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연속 주조기의 상태 변수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 센서 및 상기 측정값 센서와 연결된 제어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며, 이 경우 작동기는 각각 제어 장치 및 바형 삽입부에 연결될 수 있다.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연속 주조기의 상태 변수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 센서 및 상기 측정값 센서와 연결된 조절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며, 이 경우 작동기는 각각 조절 장치 및 바형 삽입부에 연결될 수 있다.
바로 앞에서 언급한 상기 두 가지 실시 예에 의해서는, 다양한 작동 조건들에 대한 바형 삽입부의 침지 깊이 및/또는 위치의 자동적인, 즉 자발적인 매칭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한 실시 예에서 바형 삽입부들은 몰드 메니스커스의 표면을 50% 미만으로 덮는데, 다시 말해 메니스커스와 모든 바형 삽입부들의 교차점(intersection)은 메니스커스의 표면의 50% 미만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 실시 예에서는 바형 삽입부가 원형, 타원형(oval), 렌즈형(lens-shaped) 또는 다각형 횡단면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한 추가 실시 예에서 바형 삽입부는 냉각 회로를 갖는다. 그럼으로써 예비 제품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한 실시 예에서, 작동기는 가압 매개 실린더 또는 전기 액추에이터(electric actuator)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 매개 실린더뿐만 아니라 전기 액추에이터도 제어 또는 조절을 위한 작동기로서 우수하게 적합하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몰드 내에서 단일 와류 또는 이중 와류 형태의 용융물의 흐름을 안정화하기 위해, 연속 주조기에서 용융물로부터 만들어진 예비 제품, 바람직하게는 강철로 된 슬래브 또는 박슬래브를 제조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추가 장점들 및 특징들은 제한되지 않는 실시 예들의 후속하는 상세 설명에 나타나 있으며, 이 경우 하기의 도면들이 참고로 인용된다:
도 1은 다수의 바형 삽입부들을 갖는, 슬래브들을 연속 주조하기 위한 몰드의 절단면이고,
도 2는 도 1과 관련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바형 삽입부들의 상이한 침지 깊이를 갖는, 슬래브들을 연속 주조하기 위한 몰드의 절단면이다.
도 1에는 강철 슬래브들을 연속 주조하기 위한 몰드의 절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액상의 강철 용융물은 몰드(1) 위에 설치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분배 용기로부터 침지 노즐(6)을 통해 두 개의 좁은 측벽(narrow side wall)(2) 및 두 개의 넓은 측벽(wide side wall)으로 형성된(도 2 참조) 몰드(1) 내부로 흐르며, 상기 몰드에서는 용융물이 냉각되어 고체의 스트랜드 쉘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고, 적어도 부분 경화된 스트랜드는 몰드(1) 밖으로 인출되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스트랜드 지지 장치에서 가이드, 지지 그리고 계속해서 냉각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니스커스(5) 아래에 있는 용융물은 서로 마주 놓인 다수의 배출 개구(7)들을 통하여 침지 노즐 밖으로 배출되며, 이 경우 용융물의 흐름은 각각 이중 와류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각각 1회의 자유 분사(8)는 몰드(1)의 좁은 측벽(2)의 방향으로 배출되고, 상기 자유 분사는 정체 지점(9)들에서 스트랜드 인출 방향으로의 흐름(도면에서는 하향)과 메니스커스(5) 방향으로의 흐름(도면에서는 상향)으로 분할된다. 메니스커스(5) 방향으로의 흐름들에 특히 큰 의미가 부여되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흐름들이 상부로부터 메니스커스 위에 추가되는 주조 분말의 분배 조건들 및 용융을 책임지기 때문이다.
이중 와류 형태의 순환 흐름들은 30개의 바형 삽입부(10)(주조 분배기로부터 볼 때, 몰드(1) 메니스커스의 좌 및 우의 반평면당 각 3행(
Figure pct00001
) 5열, 도 2와 비교)들에 의해 안정화되며, 이 경우 이중 와류 형태의 흐름들의 속도는 특수하게 메니스커스(5) 영역에서 줄어든다. 바형 삽입부(10)의 침지 깊이는 가압 매개 실린더로서 형성된 - 개관의 용이함을 이유로 하나의 바형 삽입부만 묘사됨 - 작동기(11)에 의해 조절되고, 그 결과 용융물 흐름의 배출되는 자유 분사(8)가 공간을 형성하며, 다시 말해 용융물이 대체로 영향받지 않고 침지 노즐(4)로부터 몰드(1)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물론 대안적인 실시 예에서는 메니스커스(5)와 관련한 바형 삽입부의 침지 깊이 대신, 몰드(1)의 좁은 측벽(2) 또는 넓은 측벽(3)과 관련한 바형 삽입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바형 삽입부(10)들의 위치들은 스트랜드 인출 속도로서 형성된 측정값에 따라 조절되며, 이 경우 상기 측정값(도면에 도시되지 않고 그리고 작동되지 않은, 스트랜드 지지 장치의 스트랜드 가이드 롤러의 회전 속도)은 측정 센서(회전 속도 센서)에 의해 측정되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제어 장치로 공급된다. 상기 제어 장치는 측정값을 고려하면서 특성 필드에 의해, 작동기(11)들에 공급되는 다수의 조절 신호들을 검출하며, 그 결과 메니스커스(5)와 관련한 바형 삽입부(10)들의 침지 깊이들이 변경된다.
도 3에는 바형 삽입부(10)들의 상이한 침지 깊이들을 갖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작동기(11)들의 도시는 개관의 용이함을 이유로 생략되었다).
1: 몰드 2: 좁은 측벽
3: 넓은 측벽 4: 침지 노즐
5: 메니스커스 6: 중심축
7: 배출 개구 8: 자유 분사
9: 정체 지점 10: 바형 삽입부
11: 작동기

Claims (14)

  1. 금속 용융물을 연속 주조된 예비 제품들로 주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용융물을 몰드(1) 내로 주입하는 단계, 이때 상기 몰드(1) 내 용융물의 메니스커스(5) 및 상기 몰드(1) 내 용융물의 적어도 하나의 흐름은 단일 와류 또는 이중 와류 형태로 형성됨;
    - 고체의 스트랜드 쉘을 형성하면서 상기 몰드(1) 내 용융물을 냉각하는 단계;
    - 적어도 부분 경화된 스트랜드를 상기 몰드(1) 밖으로 인출하는 단계;
    - 스트랜드 지지 장치 내에서 상기 인출된 스트랜드를 가이드, 지지 그리고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 측정값 센서에 의해 스트랜드 주조 공정의 상태 변수를 측정함으로써 측정값을 측정하고,
    - 측정값을 고려하면서 제어 장치를 통해 시간-가변적인 조절 신호를 검출하며,
    - 상기 조절 신호를 작동기(11)에 공급하며, 이때 상기 작동기(11)는 상기 메니스커스(5)와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바형 삽입부의 침지 깊이 또는 상기 몰드(1)의 측벽(2, 3)과 관련한 바형 삽입부의 위치를 변화시키며, 그 결과 용융물의 흐름이 상기 메니스커스(5)의 영역에서 다수의 바형 삽입부들(10)에 의해 단일 와류 또는 이중 와류 형태로 안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용융물을 연속 주조된 예비 제품들로 주조하기 위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측정값으로서 스트랜드 인출 속도, 상기 몰드(1)의 측벽(2, 3) 온도 또는 상기 몰드(1) 내부로 주입된 용융물의 질량 유량(mass flow)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용융물을 연속 주조된 예비 제품들로 주조하기 위한 방법.
  3. 금속 용융물을 연속 주조된 예비 제품들로 주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용융물을 몰드(1) 내로 주입하는 단계, 이때 상기 몰드(1) 내 용융물의 메니스커스(5) 및 상기 몰드(1) 내 용융물의 적어도 하나의 흐름은 단일 와류 또는 이중 와류 형태로 형성됨;
    - 고체의 스트랜드 쉘을 형성하면서 상기 몰드(1) 내 용융물을 냉각하는 단계;
    - 적어도 부분 경화된 스트랜드를 상기 몰드(1) 밖으로 인출하는 단계;
    - 스트랜드 지지 장치 내에서 상기 인출된 스트랜드를 가이드, 지지 그리고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 측정값 센서에 의해 스트랜드 주조 공정의 상태 변수를 측정함으로써 측정값을 측정하고;
    - 제어 규칙을 사용하여 그리고 상기 측정값의 목표값을 고려하면서 조절 장치를 이용하여 시간-가변적인 조절값을 검출하며;
    - 상기 조절값을 작동기(11)에 공급하며, 이때 상기 작동기(11)는 상기 메니스커스(5)와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바형 삽입부(10)의 침지 깊이 또는 상기 몰드(1)의 측벽(2, 3)과 관련한 바형 삽입부의 위치를 변화시키며, 그 결과 용융물의 흐름이 상기 메니스커스(5) 영역에서 다수의 바형 삽입부(10)들에 의해 단일 와류 또는 이중 와류 형태로 안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용융물을 연속 주조된 예비 제품들로 주조하기 위한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측정값으로서 상기 몰드(1)의 측벽(2, 3) 온도 또는 바람직하게 대체로 상기 메니스커스(5)에 대해 평행한, 상기 몰드(1) 내 용융물의 흐름 속도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용융물을 연속 주조된 예비 제품들로 주조하기 위한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융물의 자유분사(8)는 상기 침지 노즐(4) 밖으로 배출시에 상기 바형 삽입부(10)들에 의해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용융물을 연속 주조된 예비 제품들로 주조하기 위한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융물이 적어도 하나의 바형 삽입부(10)에 의해 냉각되고, 이때 상기 바형 삽입부(10)는 냉각 회로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용융물을 연속 주조된 예비 제품들로 주조하기 위한 방법.
  7. - 용융물이 주입되는 몰드(1), 이때 상기 몰드(1) 내에는 메니스커스(5) 및 부분 경화된 스트랜드가 형성됨;
    - 스트랜드를 가이드, 지지 그리고 냉각하기 위한 스트랜드 지지 장치, 이때 상기 적어도 부분 경화된 스트랜드가 상기 몰드(1) 밖으로 인출됨;
    - 상기 몰드(1) 내 용융물의 메니스커스(5) 영역에 있는 다수의 바형 삽입부(10)들을 포함하는, 연속 주조기에서 금속 용융물을 연속 주조된 예비 제품들로 주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바형 삽입부(10)가 상기 메니스커스(5)와 관련한 바형 삽입부(10)의 침지 깊이를 변경하기 위한 작동기 또는 상기 몰드(1)의 측벽(2, 3)과 관련한 바형 삽입부(10)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작동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용융물을 연속 주조된 예비 제품들로 주조하기 위한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연속 주조기의 상태 변수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 센서 및 상기 측정값 센서와 연결된 제어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며, 이때 상기 작동기(11)는 각각 상기 제어 장치 및 바형 삽입부(10)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용융물을 연속 주조된 예비 제품들로 주조하기 위한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연속 주조기의 상태 변수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 센서 및 상기 측정값 센서와 연결된 조절 장치를 가지며, 이때 상기 작동기(11)는 각각 상기 조절 장치 및 바형 삽입부(10)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용융물을 연속 주조된 예비 제품들로 주조하기 위한 장치.
  10.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형 삽입부(10)들이 상기 몰드(1)의 메니스커스(5) 표면의 50% 미만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용융물을 연속 주조된 예비 제품들로 주조하기 위한 장치.
  11. 제 7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형 삽입부(10)가 원형, 타원형(oval), 렌즈형(lens-shaped) 또는 다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용융물을 연속 주조된 예비 제품들로 주조하기 위한 장치.
  12. 제 7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형 삽입부(10)가 냉각 회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용융물을 연속 주조된 예비 제품들로 주조하기 위한 장치.
  13. 제 7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11)가 가압 매개 실린더 또는 전기 엑추에이터(electric actuator)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용융물을 연속 주조된 예비 제품들로 주조하기 위한 장치.
  14. 몰드(1) 내에서 용융물의 흐름을 단일 와류 또는 이중 와류 형태로 안정화하기 위해, 연속 주조기에서 용융물로 된 예비 제품들을, 특히 강철로 된 슬래브들 또는 박슬래브들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제 7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의 용도.
KR1020127010466A 2009-09-23 2010-09-09 연속 주조기에서 금속 용융물을 주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200794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1495/2009 2009-09-23
ATA1495/2009A AT508790B1 (de) 2009-09-23 2009-09-23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giessen von metallischer schmelze zu stranggegossenen vorprodukten in einer stranggiessmas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469A true KR20120079469A (ko) 2012-07-12

Family

ID=42983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0466A KR20120079469A (ko) 2009-09-23 2010-09-09 연속 주조기에서 금속 용융물을 주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480356B1 (ko)
KR (1) KR20120079469A (ko)
CN (1) CN102497944A (ko)
AT (1) AT508790B1 (ko)
WO (1) WO20110360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58691A1 (en) * 2013-02-19 2015-12-30 ABB Technology Ltd. Method, controller and tundish control system for a continuous casting process
CN106077543B (zh) * 2015-05-12 2018-04-10 马鞍山尚元冶金科技有限公司 一种结晶器液面波动抑制装置的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3050A (en) 1968-06-17 1974-09-03 V Kashuba Installation for the continuous casting of non-ferrous metals in a protective gas atmosphere
US3840062A (en) 1968-07-18 1974-10-08 M Kenney Continuous steel casting method
DE2657406C3 (de) * 1976-12-17 1982-01-07 Naučno-proizvodstvennoe ob"edinenie Tulačermet, Tula Vorrichtung zum Reinigen der Schmelze beim horizontalen Stranggießen
JPS5443832A (en) * 1977-09-14 1979-04-06 Hitachi Ltd Continuous steel casting
JPS5794457A (en) * 1980-12-02 1982-06-11 Nippon Steel Corp Immersion nozzle for continuous casting
AU1420183A (en) * 1983-05-03 1984-11-08 Aikoh Co. Ltd. Tundish for steel casting
JPS62212045A (ja) * 1986-03-10 1987-09-18 Nippon Steel Corp 連続鋳造法におけるパウダ−巻込み防止方法
JPH0215852A (ja) * 1988-07-04 1990-01-19 Nkk Corp 鋼の連続鋳造法
JPH0377758A (ja) * 1989-08-16 1991-04-03 Kawasaki Steel Corp 連続鋳造の鋳込開始方法
FR2671102A1 (fr) * 1990-12-27 1992-07-03 Siderurgie Fse Inst Rech Procede et dispositif de fluidisation du laitier liquide a la surface d'un bain de metal en fusion.
EP0832704A1 (en) * 1996-09-19 1998-04-01 Hoogovens Staal B.V. Continuous casting machine
JPH11104789A (ja) * 1997-09-29 1999-04-20 Sumitomo Metal Ind Ltd 連続鋳造方法
AT409227B (de) 1998-08-17 2002-06-25 Voest Alpine Ind Anlagen Verfahren und anlage zur herstellung von warmgewalztem stahlband aus einer stahlschmelze
AT408962B (de) * 2000-05-31 2002-04-25 Voest Alpine Ind Anlagen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tranggegossenen vorproduktes
CN2873365Y (zh) * 2006-02-27 2007-02-28 沈阳东北大学冶金技术研究所 湍流控制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80356B1 (de) 2016-06-01
CN102497944A (zh) 2012-06-13
EP2480356A1 (de) 2012-08-01
AT508790A1 (de) 2011-04-15
WO2011036060A1 (de) 2011-03-31
AT508790B1 (de) 201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78758C (zh) 连续铸造期间用电磁场控制金属流动的方法和装置
KR20120079469A (ko) 연속 주조기에서 금속 용융물을 주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344901B1 (ko) 연속주조 시 강의 품질 제어 방법
KR101400044B1 (ko) 연주 공정에서의 주조속도 제어 방법
KR101368351B1 (ko) 연속주조 시 응고쉘 두께 예측 방법
KR101388056B1 (ko) 연속주조 시 강의 품질 예측 방법
KR101505406B1 (ko) 주편 품질 예측 방법
KR20130099334A (ko) 고품질 주편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204960B1 (ko) 탕면 유동 검사 장치,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159605B1 (ko) 조절형 탕면 프로파일 측정 장치
KR101388071B1 (ko) 연속주조용 몰드의 냉각 방법
KR101482225B1 (ko) 몰드 내의 용탕 표면 온도 유지 장치 및 방법
KR101443586B1 (ko) 연연주 방법
KR101204944B1 (ko) 연주공정에서 몰드의 진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400047B1 (ko) 극저탄소강 주조 제어방법
KR101443585B1 (ko) 침지노즐 막힘 정도 추정 방법
KR101435117B1 (ko) 연속주조 공정에서의 탕면 안정화 방법
KR101368352B1 (ko) 주조 온도 제어방법
KR101477114B1 (ko) 연연주 방법
KR101499432B1 (ko) 연속주조 시 냉각수 분사 노즐 배치 방법
KR101377484B1 (ko) 용강의 탄소픽업량 예측방법
KR101400036B1 (ko) 고청정강 주편의 선별 방법
KR20140017144A (ko) 연속주조시 응고쉘의 수축량 예측 방법
KR20130120882A (ko) 연주공정에서의 배관 내 가스 누기 예측 장치 및 방법
KR20130034270A (ko) 연속주조 몰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