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8927A -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8927A
KR20120078927A KR1020110000233A KR20110000233A KR20120078927A KR 20120078927 A KR20120078927 A KR 20120078927A KR 1020110000233 A KR1020110000233 A KR 1020110000233A KR 20110000233 A KR20110000233 A KR 20110000233A KR 20120078927 A KR20120078927 A KR 20120078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onship diagram
relationship
book conten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0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환
정원배
최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0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8927A/ko
Priority to JP2011265747A priority patent/JP2012141959A/ja
Priority to EP11195312A priority patent/EP2472494A1/en
Priority to CN201110446310.2A priority patent/CN102568264B/zh
Priority to US13/342,679 priority patent/US20120171653A1/en
Publication of KR20120078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89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2Combinations of audio and printed presentations, e.g. magnetically striped cards, talking books, magnetic tapes with printed texts there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8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8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 G09B5/1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with provision for individual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관계도 생성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현재 페이지에서 관계도 작성 요청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관계도 작성 요청이 있으면 이전 페이지에 상응하는 관계도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이전 페이지에 상응하는 관계도가 있으면 해당 작성창에 이를 표출하는 단계와, 상기 작성창에 표출된 관계도가 수정되고 저장이 요청되면 수정된 관계도를 현재 페이지에 상응하게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E-BOOK CONTENTS IN READER}
본 발명은 전자책(e-book)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부가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책(e-book)은 도서로 간행되었거나 간행될 수 있는 저작물의 내용이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해 전자 기록매체?저장장치에 수록된 뒤, 유무선 정보통신망을 통해 컴퓨터나 휴대단말기로 그 내용을 읽고 보고 들을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도서를 총칭한다. 이러한 전자책은 해당 분야의 목적에 맞게 다양한 컨텐츠 형태로 제공된다.
전자책은 종이책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온라인 구매를 통해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필요한 부분만 별도로 구입할 수도 있다. 최근 이러한 전자책은 독서를 하면서 동영상을 보거나 배경음악을 들을 수도 있고, PDA나 휴대용 단말기 등에 저장하여 언제 어디서나 쉽게 원하는 책을 찾아볼 수도 있다. 근래 들어, 전자책 산업은 빠르게 발전해 향상된 스크린 해상도, 다양한 편집기능 등을 갖추어 클릭만으로도 페이지를 넘길 수 있고, 메모는 물론 텍스트의 확대 및 축소, 인터넷 서점이나 도서관의 문서 검색 및 내용 다운로드 등도 가능하게 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책이 점점 향상되어감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기에는 과부하가 따른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책 컨텐츠의 이해를 돕기 위한 부가 정보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부가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하여 생성한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자가 학습하거나 첨삭 지도를 받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견지로서,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관계도 생성 방법에 있어서, 현재 페이지에서 관계도 작성 요청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관계도 작성 요청이 있으면 이전 페이지에 상응하는 관계도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이전 페이지에 상응하는 관계도가 있으면 해당 작성창에 이를 표출하는 단계와, 상기 작성창에 표출된 관계도가 수정되고 저장이 요청되면 수정된 관계도를 현재 페이지에 상응하게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2 견지로서,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하여 작성한 부가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참조할 부가정보를 함께 표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참조 부가정보를 참조하면서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3 견지로서,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해당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및 해당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를 상기 서버로 업로드하거나 상기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4 견지로서,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학습 방법에 있어서, 해당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작성하는 단계와, 작성한 부가 정보를 멘토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멘토로부터 첨삭받은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5 견지로서, 본 발명은 네트워크의 해당 서버에 접속한 단말들에 의하여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를 작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 작성에 필요한 툴 및 대화방을 구비하고 사용자들이 참가할 수 있는 사이버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들의 사용자들이 상기 사이버 공간에서 해당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를 함께 실시간으로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6 견지로서, 본 발명은 네트워크의 서버에 접속한 학습 수혜자 단말과 학습 제공자 단말 사이의 원격 학습 방법에 있어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 작성에 필요한 툴, 첨삭 지도에 쓰이는 첨삭툴 및 대화방을 구비하고 허가된 사용자들이 참가할 수 있는 사이버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 제공자 단말의 사용자는 상기 학습 수혜자 단말의 사용자가 제공한 해당 전자책 컨텐츠의 부가정보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첨삭 지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7 견지로서,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관계도 생성 장치에 있어서, 표시하는 대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화상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와, 동작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현재 페이지에서 관계도 작성 요청이 있고 이전 페이지에 상응하는 관계도가 있으면 해당 작성창에 이를 표출시키며, 상기 작성창에 표출된 관계도가 수정되고 저장이 요청되면 갱신된 관계도를 현재 페이지에 상응하게 저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8 견지로서,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하여 작성한 부가정보를 갱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표시하는 대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화상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와, 동작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부가정보 갱신 요청이 있으면 참조할 부가정보를 함께 표출시키고, 해당 부가정보가 수정되고 저장이 요청되면 갱신된 부가정보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9 견지로서,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를 공유하는 장치에 있어서, 표시하는 대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화상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와, 동작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부가정보 공유 요청에 따라, 해당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를 상기 서버로 업로드하거나 상기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0 견지로서, 본 발명은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학습 시스템에 있어서, 해당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를 작성하는 학습 수혜자 단말과, 상기 학습 수혜자 단말에서 작성된 해당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를 첨삭하는 학습 제공자 단말 및 상기 학습 수혜자 단말이 작성한 부가 정보를 상기 학습 제공자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학습 제공자 단말이 첨삭한 부가 정보를 상기 학습 제공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1 견지로서, 본 발명은 네트워크의 해당 서버에 접속한 단말들에 의하여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를 작성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 작성에 필요한 툴 및 대화방을 구비하고 사용자들이 참가할 수 있는 사이버 공간을 생성하는 서버 및 상기 사이버 공간에 참여하여 해당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를 함께 실시간으로 작성하는 단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2 견지로서, 본 발명은 네트워크의 서버에 접속한 학습 수혜자 단말과 학습 제공자 단말 사이의 원격 학습 시스템에 있어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 작성에 필요한 툴, 첨삭 지도에 쓰이는 첨삭툴 및 대화방을 구비하고 허가된 사용자들이 참가할 수 있는 사이버 공간을 생성하는 서버 및 상기 사이버 공간에 참여하여 해당 전자책 컨테츠의 부가정보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첨삭지도 받는 학습 수혜자 단말과 첨삭지도하는 학습 제공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자책 컨텐츠의 부가 정보를 생성하여 이해를 도울 수 있고, 이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책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책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생성하는 절차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책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작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화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책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수정하는 절차의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책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관계도에서 객체를 삭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화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책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관계도에서 객체를 추가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화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책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관계도를 작성 및 수정하기 위한 작성창을 표출시키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관계도를 작성하는 작성창이 표출된 화면;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관계도 작성창에서 해당 객체에 종속되는 부연 설명을 기재하는 화면;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관계도 작성창에서 해당 객체에 종속되는 관계도를 작성하는 화면;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책 컨텐츠의 해당 페이지에서 큐가 표시된 개체를 통한 관계도의 미리보기 화면;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책 컨텐츠의 해당 페이지에서 큐가 표시된 개체를 통한 관계도의 미리보기 화면;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책 컨텐츠의 해당 페이지에서 큐가 표시된 개체를 통한 관계도의 미리보기 화면;
도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책 컨텐츠의 해당 페이지에서 큐가 표시된 개체를 통한 관계도의 열람 화면;
도 9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관계도를 열람하는 화면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들이 작성한 전자책 컨텐츠의 부가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책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의 부가 정보를 공유하기 위하여 마련한 서버에 접속하여 부가 정보를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하는 화면;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책 단말기에서 동일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하여 작성한 관계도들을 비교하기 위한 열람창;
도 1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책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의 관계도에 대하여 토론하기 위하여 해당 서버에 접속한 화면;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원격으로 학습을 지도 받을 수 있는 절차의 흐름도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책 단말기가 원격 학습을 위한 해당 서버에 접속한 화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책 컨텐츠의 이해를 돕도록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활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부가 정보는 페이지 흐름에 따라 작성된다. 현재 페이지의 부가 정보는 이전 페이지의 부가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한 것이거나 이전 페이지의 부가 정보를 갱신 없이 저장한 것일 수 있다. 또한, 현재 페이지의 부가 정보는 이전 페이지와 연관하지 않은 새로운 부가 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전자책 컨텐츠의 부가 정보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공유할 수 있다. 언급하겠지만, 사용자는 본인이 작성한 부가 정보와 타인이 작성한 부가 정보를 비교하는 과정에 따른 학습을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본인이 작성한 부가 정보를 타인으로부터 첨삭 받을 수 있고, 차후 이를 위한 학습 시스템이 창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책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책 단말기는 표시하는 대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1)와, 상기 저장부(11)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화상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2)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13)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14)와, 동작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5)를 포함한다.
저장부(11)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과 단말기의 제어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가 정보 생성을 위한 프로그램 및 이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되,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부가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활용하는 알고리즘들을 수행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15)의 동작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책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생성하는 절차의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5)는 현재 페이지에서 부가 정보 작성이 요청되는지 확인한다(201 단계).
201 단계에서 현재 페이지에서 부가 정보 작성이 요청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5)는 이전 페이지에 상응하는 부가 정보가 있는지 확인한다(219 단계). 이전 페이지에 상응하는 부가 정보가 있으면, 상기 제어부(15)는 다음 페이지로 전환됨을 확인(221 단계) 후 이전 페이지에 상응하는 부가 정보를 현재 페이지에 상응하게 저장한다. 즉, 현재 페이지는 이전 페이지의 부가 정보가 갱신 없이 적용된다.
201 단계에서 부가 정보 작성이 요청되면, 상기 제어부(15)는 새로운 부가 정보의 작성이 요청되는지 확인한다(203 단계). 후술하겠지만, 203 단계는 현재 페이지의 부가 정보를 이전 부가 정보를 갱신하여 생성할 것인지 아님 이전 부가 정보와 연관하지 않는 새로운 부가 정보로 생성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이다.
203 단계에서 새로운 부가 정보의 작성이 요청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5)는 이전 페이지에 상응하는 부가 정보가 있는지 확인한다(205 단계). 이전 페이지에 상응하는 부가 정보가 있으면, 상기 제어부(15)는 해당 작성창에 이전 페이지에 상응하는 부가 정보를 표출한다(207 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15)는 이전 페이지에 상응하는 부가 정보가 수정되는 것을 확인한다(209 단계). 이후, 저장이 요청되면(211 단계), 상기 제어부(15)는 수정된 부가 정보를 현재 페이지에 상응하게 저장한다(213 단계). 다음, 부가 정보 작성의 종료가 요청되면(215 단계), 상기 제어부(15)는 작성창을 닫는다(217 단계). 부가 정보 작성의 종료가 요청되지 않으면(215 단계), 상기 제어부(15)는 209 단계 이하의 과정을 수행한다.
203 단계에서 새로운 부가 정보 작성이 요청되면, 즉, 이전 페이지에 상응하는 부가 정보와 연관하지 않는 새로운 부가 정보 작성이 요청되면, 상기 제어부(15)는 작성창을 표출하고(225 단계) 표출된 작성창에서 부가 정보가 작성되는 것을 확인한다(227 단계). 이후, 저장이 요청되면(229 단계), 상기 제어부(15)는 작성한 부가 정보를 현재 페이지에 상응하게 저장한다(231 단계). 다음, 부가 정보 작성의 종료가 요청되면(232 단계), 상기 제어부(15)는 작성창을 닫는다(217 단계). 부가 정보 작성의 종료가 요청되지 않으면(232 단계), 상기 제어부(15)는 227 단계 이하의 과정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책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작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여기서, 부가 정보의 작성이 요청되면 해당 작성창이 표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작성창에서 작성하는 부가 정보는 사물, 인물, 장소, 시간 등의 객체들 간의 상관 관계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후, 관계도라 칭함)이라 가정한다.
도 3을 참조하면, 5 페이지에서 관계도 작성이 요청되지 않으면, 5 페이지의 관계도는 이전 페이지(4 페이지)의 관계도를 갱신 없이 저장한 것이 된다.
이후, 6 페이지에서 관계도 작성이 요청되되 새로운 관계도 작성이 요청된 것이 아니라면, 즉, 이전 페이지의 관계도와 연관되는 관계도 작성이 요청되면 해당 작성창은 이전 페이지(5 페이지)의 관계도를 표출시키고 이를 갱신할 준비를 한다. 작성창에 표출된 5 페이지의 관계도는 사용자에 의하여 갱신되고 6 페이지에 상응하게 저장된다.
차후, 선택한 페이지에서 관계도의 열람을 요청하면, 선택한 페이지에 상응하는 관계도만을 열람할 수 있다. 일 예로, 현재 페이지에서는 이전 및 이후 페이지의 관계도를 확인할 수 없다. 즉, 페이지 흐름에 따른 관계도를 열람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이는 사용자의 학습을 유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책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수정하는 절차의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5)는 해당 페이지에 대한 관계도 수정의 요청을 확인한다(401 단계).
해당 페이지에 대한 관계도의 수정이 요청되면, 상기 제어부(15)는 작성창에 해당 페이지의 관계도를 표출시킨다(403 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15)는 해당 페이지의 관계도에서 객체가 삭제 또는 추가되는지 확인한다(405 단계). 관계도에서 객체는 상호 관계되는 대상을 말하는 것으로 이하 도면에서 설명될 것이다. 해당 객체가 삭제되고 저장이 요청되면(407 단계), 상기 제어부(15)는 표출된 관계도와 연관하는 이전 또는 이후 페이지들의 관계도에서 해당 객체를 삭제한다(409 단계). 해당 객체가 추가되고 저장이 요청되면(415 단계), 상기 제어부(15)는 표출된 관계도와 연관하는 이후 페이지들의 관계도에 상기 객체를 추가한다(417 단계).
다음, 종료가 요청되면(411 단계), 상기 제어부(15)는 작성창을 닫는다(413 단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책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관계도에서 객체를 삭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8 페이지의 관계도(8-1)에서 객체 D를 삭제하면 이와 연관된 9 페이지의 관계도(9-1)에서도 객체 D가 삭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책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관계도에서 객체를 추가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9 페이지의 관계도(9-1)에서 객체 E가 추가되면 이와 연관된 이후 페이지들(10 페이지, 11 페이지)의 관계도(10-1, 11-1)에 객체 E가 추가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책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관계도를 작성 및 수정하기 위한 작성창을 표출시키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전자책 단말기가 제공하는 메뉴를 통해서 작성창을 표출시키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책 컨텐츠의 개체를 통해서 작성창을 표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책 컨텐츠의 개체는 표출되는 글자, 그림 등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Christopher Robin'이란 글자 개체에서 관계도 기능 메뉴를 포함하는 메뉴들을 표출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Christopher Robin'이란 글자를 블럭으로 지정하면 상기 메뉴들이 표출되고, 관계도 기능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작성창으로 화면이 전환된다. 작성창에는 'Christopher Robin'이라는 글자 개체가 관계도의 객체로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차후, 사용자는 작성창에 생성된 상기 'Christopher Robin'이란 객체를 자유롭게 배치하고, 타 객체와의 관계사항을 직접 기입하거나 기 등록된 것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작성한 관계도를 저장하고 작성창을 닫으면, 해당 페이지로 화면이 전환된다. 이때, 블럭 지정한 'Christopher Robin'이란 글자 개체는 관계도에 포함되었다는 큐(queue)를 제공할 수 있다. 큐가 표시된 'Christopher Robin' 글자 개체에서 관계도의 미리보기 또는 관계도 열람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이때, 큐가 표시된 'Christopher Robin' 글자 개체를 통한 관계도의 미리보기는 해당 페이지에 상응하는 관계도 전체를 보여주거나 'Christopher Robin' 객체와 직접적으로 관계하는 객체와의 관계만을 부분적으로 보여줄 수도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관계도를 작성하는 작성창(이하, 관계도 작성창이라 칭함)이 표출된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관계도 작성창은 관계도 작성에 관련된 다양한 작성 도구를 제공한다. 상기 작성 도구는 글틀, 도형, 그림, 화살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작성 도구를 끌어놓기(drag and drop)하여 손쉽게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작성 도구를 이용하여 인물 관계도를 작성하는 예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전자책 컨텐츠의 'Christopher Robin' 글자 개체를 통해서 관계도 작성창을 표출시킨다. 이때, 'Christopher Robin' 글자 개체는 관계도 작성창에 자동으로 삽입되어 객체로 표시될 수 있다. 아니면, 사용자는 글틀을 선택하고 이 글틀에 'Christopher Robin'을 기입하여 객체로 만들 수 있다. 사용자는 객체를 배치 후 타 객체와의 관계 구조를 표시하는 화살표를 삽입하고 및 관계 사항을 기재한다. 이때, 객체가 만들어지면 화살표와 관계 사항을 적는 기재란이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자동으로 생성된 화살표를 변형하여 타 객체와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관계도 작성창이 인물 관계도에 관하여 특화된 것이라면 미리 준비된 관계사항을 나열하는 목록(이하, 관계사항목록이라 칭함)(예 ; 엄마, 아빠, 친구 등)을 표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관계사항을 직접 기입하지 않고 해당 목록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 인물 A와 인물 B가 화살표로 연결되면 미리 준비된 관계사항목록이 도출되며 이 관계사항목록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인물 관계도의 인물 객체에 부연 설명을 기입할 수도 있다. 일 예로, 'Christopher Robin' 인물 객체의 나이, 착용하고 있는 옷 등을 기재할 수 있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관계도 작성창에서 해당 객체에 종속되는 부연 설명을 기재하는 화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작성 도구 중 메모를 이용하여 부연 설명을 기입할 수 있다. 부연 설명을 가지는 객체는 이의 열람을 제공하는 큐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관계도 열람 중 'Christopher Robin' 객체를 터치하면 부연 설명이 표시된다.
더욱이, 사용자는 인물 관계도의 인물 개체에 종속되는 관계도를 작성할 수 있다. 일 예로, 'Christopher Robin' 인물 객체의 가족 관계도, 장소 이동에 관한 관계도 등을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작성할 수 있다.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관계도 작성창에서 해당 객체에 종속되는 관계도(이하, 종속 관계도라 칭함)를 작성하는 화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메모란에 전술한 방법에 의하여 관계도를 작성할 수 있다. 관계도를 가지는 객체는 이의 열람을 제공하는 큐를 가진다. 일 예로, 사용자가 관계도 열람 중 'Christopher Robin' 객체를 터치하면 종속 관계도가 표시된다.
이후, 사용자가 저장 버튼을 누르면 작성된 인물 관계도는 해당 페이지에 상응하게 저장된다. 다음, 사용자가 종료 버튼을 누르면 관계도 작성창은 닫히고 전자책 컨텐츠의 해당 페이지 화면으로 다시 전환된다. 이때, 관계도 작성창으로 진입하게 한 전자책 컨텐츠 상의 'Christohpher Robin'이란 개체는 차후 관계도 미리 보기, 관계도 열람, 관계도 작성창 진입을 제공하는 큐가 표시된다.
이러한 인물 관계도 뿐만 아니라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할 수 다양한 관계도를 작성할 수 있겠다. 이러한 관계도로는 조직도, 플로우챠트, 도표 등이 될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책 컨텐츠의 해당 페이지에서 큐가 표시된 개체를 통한 관계도의 미리보기 화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해당 페이지에서 큐가 표시된 글자 개체 'Christopher Robin'을 터치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페이지에 상응하는 관계도가 미리보기 된다. 이때, 큐를 제공한 글자 개체 'Christopher Robin'에 상응하는 관계도 상의 객체가 상대적으로 두드러지게 표시될 수 있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책 컨텐츠의 해당 페이지에서 큐가 표시된 개체를 통한 관계도의 미리보기 화면이다.
도 9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해당 페이지에서 큐가 표시된 글자 개체 'Christopher Robin'을 터치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페이지에 상응하는 관계도가 미리보기 된다. 이때, 큐를 제공하는 글자 개체 'Christopher Robin'에 상응하는 관계도 상의 객체와, 이와 직접적으로 관계하는 객체('Winnie the Pooh')의 관계가 두드러지게 표시될 수 있다.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책 컨텐츠의 해당 페이지에서 큐가 표시된 개체를 통한 관계도의 미리보기 화면이다.
도 9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해당 페이지에서 큐가 표시된 글자 개체 'Christopher Robin'을 터치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페이지에 상응하는 관계도가 미리보기 된다. 특히, 관계도에서 큐를 제공하는 글자 개체 'Christopher Robin'에 상응하는 객체와, 이와 직접적으로 관계하는 타 객체('Winnie the Pooh') 및 이들의 관계사항을 보여주는 부분만이 미리보기 된다.
도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책 컨텐츠의 해당 페이지에서 큐가 표시된 개체를 통한 관계도의 열람 화면이다.
도 9d를 참조하면, 해당 페이지에서 큐가 표시된 글자 개체 'Christopher Robin'을 통해서 해당 페이지에 상응하는 관계도가 표출되는 열람창(이하, 관계도 열람창이라 칭함)으로 화면이 전환된다. 상기 관계도 열람창은 작성자, 작성일, 페이지 등의 세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하였듯이, 현재 페이지에서 관계도 열람을 요청하면, 현재 페이지에 상응하는 관계도만을 열람할 수 있다. 일 예로, 현재 페이지에서는 이전 및 이후 페이지의 관계도를 확인할 수 없다. 즉, 상기 관계도 열람창은 페이지 흐름에 따른 관계도를 열람한다. 후술하겠지만, 이는 사용자의 학습을 유발한다. 또한, 상기 관계도 열람창은 관계도를 수정하기 위하여 8a에서 전술한 관계도 작성창으로 전환하기 위한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환된 관계도 작성창에서 해당 페이지의 관계도를 수정할 수 있다. 차후 수정된 내용은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관되는 타 페이지의 관계도에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관계도 열람창은 이를 제3자에서 전송하기 위한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제3자는 해당 서버, 타 단말 등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현재 페이지에 상응하는 관계도를 열람 중 전송 버튼을 누르면 현재 페이지에 상응하는 관계도만이 제3자로 전송되거나, 현재 페이지의 관계도와 연관하는 이전 페이지들의 관계도을 포함하여 제3자로 전송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관계도 열람창은 인쇄 등의 기능을 위한 버튼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차후, 사용자가 관계도 열람창을 닫으면 전자책 컨텐츠의 해당 페이지로 화면이 전환된다.
도 9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관계도를 열람하는 화면이다.
도 9e를 참조하면, 앞서 도 9d에서와 같이 해당 페이지를 열람하는 가운데 관계도를 표출시키는 것이 아니라, 관계도만을 따로 열람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지 흐름에 따라 해당 페이지에 상응하는 관계도가 표출된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들이 작성한 전자책 컨텐츠의 부가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10a를 참조하면, 다수의 전자책 단말기(10-1, 10-2, 10-3,...,10-n)의 사용자들은 해당 서버(100)를 통하여 전자책 컨텐츠의 부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0)가 이러한 부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와, 이를 관리하는 장치들을 구비함을 자명하다. 후술하겠지만, 사용자는 타인이 작성한 부가 정보로부터 해당 전자책 컨텐츠의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동일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하여 타인이 작성한 부가 정보와 본인이 작성한 부가 정보를 비교할 수 있고, 이는 학습 과정을 창출할 수 있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책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의 부가 정보를 공유하기 위하여 마련한 서버에 접속하여 부가 정보를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하는 화면이다.
도 10b를 참조하면, 사용자들은 본인이 작성한 전자책 컨텐츠의 관계도를 해당 서버로 업로드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전자책 컨텐츠(Winnie the Pooh)에 대하여 작성한 관계도(Winnie the Pooh's Diagram)들은 등록일 순, 파일 크기 순 등을 기준으로 목록화되어 표시된다. 이러한 기준들은 탭들로 표시되고, 사용자는 해당 탭을 눌러 관계도들을 재목록화할 수 있다. 일 예로, 가장 최신의 관계도를 검색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등록일' 탭을 누르면, 가장 최신의 것부터 차례대로 나열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검색으로부터 해당 관계도 선택 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책 단말기에서 동일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하여 작성한 관계도들을 비교하기 위한 열람창이다.
도 10c를 참조하면, 열람창은 동일 페이지에 해당하는 관계도들을 표출한다. 일 예로, 왼쪽에 표시된 관계도는 자신이 작성한 것이고, 오른쪽에 표시된 관계도는 타인이 작성한 것으로 가정한다. 타인이 작성한 관계도가 정답이고 본인이 작성한 관계도가 올바르지 않다면, 사용자는 관계도 작성창으로 전환하여 이를 수정할 수 있다. 이에 국한되지 않고, 사용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인이 작성한 관계도 위에 수정할 사항 등을 자유 그리기로 메모할 수도 있다. 이렇게 메모가 기입된 관계도는 저장, 인쇄할 수도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사용자는 타인의 관계도를 참조하여 학습할 수 있다. 이러한 정답 관계도는 일반적으로 해당 전자책 컨텐츠의 저자 또는 출판사에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해당 학습 기관에서 이러한 정답 관계도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책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의 관계도에 대하여 토론하기 위하여 해당 서버에 접속한 화면이다.
도 10d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토론방을 개설하고 토론 대상이 될 해당 페이지의 관계도를 불러와 표출시킨다. 토론방의 참가자들은 표시된 관계도에 대하여 대화(chatting)하고, 사용자는 수정할 사항을 첨삭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대화 중 관계도 작성창으로 전환하여 관계도를 수정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기능을 실행시켜 수정할 사항을 관계도 위에 자유 그리기로 메모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대화 참가자에게 관계도를 수정하거나 관계도에 메모하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다. 즉, 단말기들과 서버 사이의 데이터 동기로 참가자들이 함께 관계도를 수정 및 작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환경 설정에 의하여 해당 관계도의 접근 권한 여부, 공개 여부를 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해당 관계도의 공개 여부를 전체 공개, 비공개, 지정공개 중 하나로 지정할 수 있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원격으로 학습을 지도 받을 수 있는 절차의 흐름도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학생(학습 수혜자)은 해당 전자책 컨텐츠에 대하여 작성한 관계도를 선생님(학습 제공자)에게 제출한다(1111 단계). 선생님은 학생이 작성한 관계도에 대하여 첨삭 지도한다(1113 단계). 일 예로, 선생님은 학습 서버에 해당 컨텐츠에 대한 관계도를 작성하는 과제를 기한까지 제출할 것을 공지한다. 해당 학습 서버가 이 공지를 학생의 전자책 단말기로 알려주고 학생은 이를 확인한다. 또는, 학생이 전자책 단말기로 학습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공지를 직접 확인할 수도 있다. 이후, 학생이 전자책 단말기에서 해당 관계도를 작성 후 이를 상기 학습 서버로 업로드한다. 상기 학습 서버는 학생으로부터 과제가 제출되었다는 것을 선생님의 전자책 단말기로 알려줄 수 있다. 또는, 선생님이 전자책 단말기로 상기 학습 서버에 직접 접속하여 학생으로부터 과제가 제출되었다는 것을 직접 확인할 수도 있다. 선생님은 학생이 제출한 관계도를 다운로드하여 열람하고, 전술한 방법을 통해서 첨삭할 수 있다. 선생님은 첨삭한 관계도를 상기 학습 서버에 업로드하고 이를 공지한다. 상기 학습 서버는 이 공지를 학생의 전자책 단말기로 알려주고 학생은 이를 확인한다. 또는, 학생이 전자책 단말기로 상기 학습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공지를 직접 확인할 수도 있다. 학생은 첨삭된 관계도를 다운로드하여 첨삭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선생님으로부터 첨삭 지도 과정은 도 10d에서 전술하였듯이, 학습 서버에 개설된 토론방에서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책 단말기가 원격 학습을 위한 해당 서버에 접속한 화면이다. 상기 서버는 전자책 컨텐츠에 관한 자료실, 게시판, 관계도 작성에 관한 툴, 첨삭 지도에 필요한 툴, 대화방 등을 구비하는 사이버 학습 공간을 생성한다. 도 10d에서 전술한 방법을 통하여 학생은 선생님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첨삭 지도를 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44)

  1.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관계도 생성 방법에 있어서,
    현재 페이지에서 관계도 작성 요청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관계도 작성 요청이 있으면 이전 페이지에 상응하는 관계도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이전 페이지에 상응하는 관계도가 있으면 해당 작성창에 이를 표출하는 단계;
    상기 작성창에 표출된 관계도가 수정되고 저장이 요청되면 수정된 관계도를 현재 페이지에 상응하게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현재 페이지에서 관계도 작성 요청이 없으면 이전 페이지에 상응하는 관계도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이전 페이지에 상응하는 관계도가 있으면 이를 현재 페이지에 상응하게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도 작성 요청은,
    기 구비된 키 또는 전자책 컨텐츠가 표시하는 해당 개체를 통해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책 컨텐츠의 개체는,
    글자, 이미지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전자책 컨텐츠의 개체를 통해 관계도 작성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작성창에 상기 개체에 대한 관계도 객체를 자동으로 생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책 컨텐츠의 해당 개체는,
    갱신된 관계도에 대한 미리보기 기능 또는 열람 기능 또는 수정 기능을 위한 큐(Queue)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보기 기능은,
    현재 페이지 화면에 소정의 비율로 축소된 관계도를 표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보기 기능은,
    현재 페이지의 관계도에서, 큐를 제공하는 개체에 상응하는 객체와 이와 직접적으로 관계하는 타 객체 및 이들의 관계사항을 보여주는 부분만이 현재 페이지 화면에 표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열람 기능은,
    해당 열람창으로 화면을 전환하고, 상기 열람창에 현재 페이지에 대한 관계도를 표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 기능은,
    상기 작성창으로 화면을 전환하고, 상기 작성창에 현재 페이지에 대한 관계도를 표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도는,
    종속되는 부연 설명 또는 관계도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창에 표출된 관계도가 수정되고 저장이 요청되면 갱신된 관계도를 현재 페이지에 상응하게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작성창에 표출된 관계도에 객체가 추가 또는 삭제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객체가 추가되고 저장이 요청되면 표출된 관계도와 연관하는 이후 페이지의 관계도에도 이 객체를 추가하고, 객체가 삭제되고 저장이 요청되면 표출된 관계도와 연관하는 페이지의 관계도에서 이 객체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도는,
    객체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Diagram)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하여 작성한 부가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참조할 부가정보를 함께 표출시키는 단계;
    상기 참조 부가정보를 참조하면서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부가정보는,
    네트워크의 해당 서버에서 다운로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해당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및
    해당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를 상기 서버로 업로드하거나 상기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학습 방법에 있어서,
    해당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작성하는 단계;
    작성한 부가 정보를 멘토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멘토로부터 첨삭받은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한 부가 정보를 멘토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작성한 부가 정보를 해당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가 이를 상기 멘토에게 알림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멘토로부터 첨삭 받은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첨삭 받은 부가 정보를 해당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가 이를 상기 단말기에게 알림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네트워크의 해당 서버에 접속한 단말들에 의하여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를 작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 작성에 필요한 툴 및 대화방을 구비하고 사용자들이 참가할 수 있는 사이버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단말들의 사용자들이 상기 사이버 공간에서 해당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를 함께 실시간으로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들의 사용자들은,
    환경 설정에 따라 작성에 참여할 수 있는 사용자와 그렇지 않은 사용자로 분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네트워크의 서버에 접속한 학습 수혜자 단말과 학습 제공자 단말 사이의 원격 학습 방법에 있어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 작성에 필요한 툴, 첨삭 지도에 쓰이는 첨삭툴 및 대화방을 구비하고 허가된 사용자들이 참가할 수 있는 사이버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학습 제공자 단말의 사용자는 상기 학습 수혜자 단말의 사용자가 제공한 해당 전자책 컨텐츠의 부가정보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첨삭 지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관계도 생성 장치에 있어서,
    표시하는 대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화상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와, 동작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현재 페이지에서 관계도 작성 요청이 있고 이전 페이지에 상응하는 관계도가 있으면 해당 작성창에 이를 표출시키며, 상기 작성창에 표출된 관계도가 수정되고 저장이 요청되면 갱신된 관계도를 현재 페이지에 상응하게 저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페이지에서 관계도 작성 요청이 없으면 이전 페이지에 상응하는 관계도가 있는지 확인하고, 이전 페이지에 상응하는 관계도가 있으면 이를 현재 페이지에 상응하게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도 작성 요청은,
    기 구비된 키 또는 전자책 컨텐츠가 표시하는 해당 개체를 통해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책 컨텐츠의 개체는,
    글자, 이미지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자책 컨텐츠의 개체를 통해 관계도 작성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작성창에 상기 개체에 대한 관계도 객체를 자동으로 생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책 컨텐츠의 해당 개체에 갱신된 관계도에 대한 미리보기 기능 또는 열람 기능 또는 수정 기능을 위한 큐(Queue)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보기 기능은,
    현재 페이지 화면에 소정의 비율로 축소된 관계도를 표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보기 기능은,
    현재 페이지의 관계도에서, 큐를 제공하는 개체에 상응하는 객체와 이와 직접적으로 관계하는 타 객체 및 이들의 관계사항을 보여주는 부분만이 현재 페이지 화면에 표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열람 기능은,
    해당 열람창으로 화면을 전환하고, 상기 열람창에 현재 페이지에 대한 관계도를 표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 기능은,
    상기 작성창으로 화면을 전환하고, 상기 작성창에 현재 페이지에 대한 관계도를 표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도는,
    종속되는 부연 설명 또는 관계도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성창에 표출된 관계도에 객체가 추가되고 저장이 요청되면 표출된 관계도와 연관하는 이후 페이지의 관계도에도 이 객체를 추가하고, 객체가 삭제되고 저장이 요청되면 표출된 관계도와 연관하는 페이지의 관계도에서 이 객체를 삭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도는,
    객체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Diagram)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하여 작성한 부가정보를 갱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표시하는 대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화상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와, 동작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부가정보 갱신 요청이 있으면 참조할 부가정보를 함께 표출시키고, 해당 부가정보가 수정되고 저장이 요청되면 갱신된 부가정보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부가정보는,
    네트워크의 해당 서버에서 다운로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8.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를 공유하는 장치에 있어서,
    표시하는 대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화상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와, 동작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부가정보 공유 요청에 따라, 해당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를 상기 서버로 업로드하거나 상기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9.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학습 시스템에 있어서,
    해당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를 작성하는 학습 수혜자 단말;
    상기 학습 수혜자 단말에서 작성된 해당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를 첨삭하는 학습 제공자 단말;
    상기 학습 수혜자 단말이 작성한 부가 정보를 상기 학습 제공자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학습 제공자 단말이 첨삭한 부가 정보를 상기 학습 제공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
  40.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학습 수혜자 단말로부터 상기 작성한 부가정보를 수신하였다는 것을 상기 학습 제공자 단말에게 알림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1.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학습 수혜자 단말로부터 상기 첨삭한 부가정보를 수신하였다는 것을 상기 학습 수혜자 단말에게 알림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2. 네트워크의 해당 서버에 접속한 단말들에 의하여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를 작성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 작성에 필요한 툴 및 대화방을 구비하고 사용자들이 참가할 수 있는 사이버 공간을 생성하는 서버;
    상기 사이버 공간에 참여하여 해당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를 함께 실시간으로 작성하는 단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3.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환경 설정에 따라 작성에 참여할 수 있는 단말과 그렇지 않은 단말로 분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4. 네트워크의 서버에 접속한 학습 수혜자 단말과 학습 제공자 단말 사이의 원격 학습 시스템에 있어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 작성에 필요한 툴, 첨삭 지도에 쓰이는 첨삭툴 및 대화방을 구비하고 허가된 사용자들이 참가할 수 있는 사이버 공간을 생성하는 서버;
    상기 사이버 공간에 참여하여 해당 전자책 컨테츠의 부가정보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첨삭지도 받는 학습 수혜자 단말과 첨삭지도하는 학습 제공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110000233A 2011-01-03 2011-01-03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KR20120078927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233A KR20120078927A (ko) 2011-01-03 2011-01-03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JP2011265747A JP2012141959A (ja) 2011-01-03 2011-12-05 電子書籍コンテンツに対する付加情報の生成、更新、共有方法及び装置並びにこれを利用したシステム
EP11195312A EP2472494A1 (en) 2011-01-03 2011-12-22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e-book contents in reader
CN201110446310.2A CN102568264B (zh) 2011-01-03 2011-12-28 阅读器中创建电子书内容的附加信息的方法和装置
US13/342,679 US20120171653A1 (en) 2011-01-03 2012-01-03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e-book contents in rea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233A KR20120078927A (ko) 2011-01-03 2011-01-03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927A true KR20120078927A (ko) 2012-07-11

Family

ID=45491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0233A KR20120078927A (ko) 2011-01-03 2011-01-03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171653A1 (ko)
EP (1) EP2472494A1 (ko)
JP (1) JP2012141959A (ko)
KR (1) KR20120078927A (ko)
CN (1) CN10256826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8217A1 (ko) * 2012-10-08 2014-04-17 Kook Jung Jin 이북의 재생순서 및 애드온 제공방법
KR101699728B1 (ko) * 2016-07-19 2017-01-25 (주)플래니토리 학교 정보에 기초한 서적 매매 매칭 지원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894B1 (ko) * 2010-10-08 2017-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489806B2 (en) 2012-01-06 2019-11-26 Level 3 Communic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converting sales opportunities
US8904304B2 (en) 2012-06-25 2014-12-02 Barnesandnoble.Com Llc Creation and exposure of embedded secondary content data relevant to a primary content page of an electronic book
USD757053S1 (en) 2013-01-04 2016-05-24 Level 3 Communications,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71079S1 (en) * 2013-01-04 2016-11-08 Level 3 Communications,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71078S1 (en) 2013-01-04 2016-11-08 Level 3 Communications,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9619250B2 (en) 2013-08-02 2017-04-11 Jujo, Inc., a Delaware corporation Computerized system for creating interactive electronic books
JP2015035162A (ja) * 2013-08-09 2015-02-19 株式会社日立ソリューションズ東日本 文書閲覧システム及び文書閲覧方法
US10218652B2 (en) 2014-08-08 2019-02-26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a chat function into an e-reader application
US10395175B1 (en) * 2014-12-12 2019-08-27 Amazon Technologies, Inc. Determination and presentment of relationships in content
TWI726900B (zh) 2015-08-04 2021-05-11 美商陶氏農業科學公司 用於氟化化合物之過程
US10579689B2 (en) 2017-02-08 2020-03-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sualization and augmentation of human knowledge construction during material consumption
CN107066437B (zh) * 2017-02-22 2020-11-27 深圳市天朗时代科技有限公司 数字作品标注的方法及装置
WO2023033826A1 (en) * 2021-09-02 2023-03-09 Al Thani Mariam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interactive electronic books over a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3473B2 (ja) * 1999-08-16 2004-11-2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電子ブックコンテンツとメモ情報の共有方法および電子ブック閲覧用プログラムの記録媒体
US7028267B1 (en) * 1999-12-07 2006-04-1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and rendering text annotations for non-modifiable electronic content
JP2001175673A (ja) * 1999-12-20 2001-06-29 Sharp Corp 電子書籍表示装置及び電子書籍表示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2001195412A (ja) * 2000-01-12 2001-07-19 Hitachi Ltd 電子書籍システム及びそのコンテンツ表示方法
JP2001265791A (ja) * 2000-03-15 2001-09-28 Sharp Corp 電子書籍表示装置及び電子書籍表示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TW518482B (en) * 2000-11-10 2003-01-21 Future Display Systems Inc Method for taking notes on an article displayed by an electronic book
CN1354427A (zh) * 2000-11-20 2002-06-19 未来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在一电子书上对该电子书所显示的文章作笔记的方法
KR20010068143A (ko) * 2001-04-28 2001-07-13 송용호 컴퓨터를 이용한 양방향 원격교육 방법
US7246118B2 (en) * 2001-07-06 2007-07-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collaboration using electronic book highlights and notations
JP2004029250A (ja) * 2002-06-24 2004-01-29 Kansai Tlo Kk 対話形電子テキストシステム
JP4018651B2 (ja) * 2004-02-23 2007-12-05 合資会社ゼビューコーポレーション 一言語から他言語への翻訳の添削・採点を行うコンピュータ・ネットワーク型翻訳添削講座システム
CN1815521A (zh) * 2005-11-07 2006-08-09 薛萍 电子书包及其制作方法
CN101063971A (zh) * 2006-04-26 2007-10-31 英福达科技股份有限公司 可分享笔记及内容勘误差异更新电子书的制作方法及系统
US8219374B1 (en) * 2007-02-21 2012-07-10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Symbolic switch/linear circuit simulator systems and methods
CN201036937Y (zh) * 2007-03-27 2008-03-19 邱绍军 可笔记的电子书阅读装置
CN101477754A (zh) * 2008-12-29 2009-07-08 华中师范大学 一种无线课堂系统
JP5391788B2 (ja) * 2009-04-08 2014-01-15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書籍表示装置、電子書籍表示方法および電子書籍表示プログラム
CN101882384A (zh) * 2010-06-29 2010-11-10 汉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在电子书上进行笔记管理的方法及电子书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8217A1 (ko) * 2012-10-08 2014-04-17 Kook Jung Jin 이북의 재생순서 및 애드온 제공방법
KR101699728B1 (ko) * 2016-07-19 2017-01-25 (주)플래니토리 학교 정보에 기초한 서적 매매 매칭 지원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72494A1 (en) 2012-07-04
JP2012141959A (ja) 2012-07-26
CN102568264B (zh) 2016-08-31
US20120171653A1 (en) 2012-07-05
CN102568264A (zh) 201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8927A (ko)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US8799765B1 (en) Systems for sharing annotations and location references for same for displaying the annotations in context with an electronic document
US10356364B2 (en) Registering and displaying visual attention metadata in a web video conferencing and seminar system
US20150206448A1 (en) On-line education system with synchronous lectures
US201501186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management
US11190557B1 (en) Collaborative remote interactive platform
US20130239020A1 (en) Electronic-book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additional page information thereof
WO2013016719A1 (en) Management and provision of interactive content
US11349889B1 (en) Collaborative remote interactive platform
Daniels et al. Community as resource: Crowdsourcing transcription of an historic newspaper
US201301176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 content discussions
KR101928524B1 (ko) 강의 콘텐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Lee et al. Supportive Learning: Linear Learning and Collaborative Learning.
Garner Presenting with an iPad
US1094969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provided with mobile terminal that can play back data written on page
US11310292B2 (en) Application aware annotations in online collaborative sessions
Anderson The Tech-Savvy Administrator: How Do I Use Technology to be a Better School Leader?(ASCD Arias)
Clay Preparing for effective adoption and use of ebooks in education
US2015012118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ation Version Management
WO2011148872A1 (ja) グループウェア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11748556B1 (en) System and method of enhancing PDF documents
US20220383765A1 (en) A method of synchronizing a subject in a class timetable to the particular session in the advanced digital text book
JP2012255997A (ja) 教育システム
Waghmare Creating New Horizons of Digital Communication
TW201642186A (zh) 管理互動內容之系統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