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8485A -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8485A
KR20120078485A KR1020100140801A KR20100140801A KR20120078485A KR 20120078485 A KR20120078485 A KR 20120078485A KR 1020100140801 A KR1020100140801 A KR 1020100140801A KR 20100140801 A KR20100140801 A KR 20100140801A KR 20120078485 A KR20120078485 A KR 20120078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integer
chemical formula
polyest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40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연
구본창
Original Assignee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40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8485A/ko
Publication of KR20120078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848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3Terephtha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6Ethers; Acetals; Ketals; Ortho-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면조도가 우수하고, 저휘발 특성 및 알루미늄 증착력이 우수하여 자동차 헤드램프 베젤용으로 적합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Polyester resins composition}
본 발명은 자동차 헤드램프 베젤용으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및 각종 산업용 헤드램프 베젤의 경우 우수한 표면특성은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특성인 만큼 현재까지 꾸준한 기술 개발이 진행되어온 상황이나 자동차사의 보증기간 연장에 따른 품질향상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추가적으로 저휘발 특성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휘발물질이 많이 발생시에는 사출작업 후 공정인 다이렉트 알루미늄 증착성 특성이 나빠져 알루미늄 증착용 헤드램프베젤로의 사용이 불가능 하며 자동차 헤드램프 부품으로 사용시 장기간 사용할 때 내부 온도가 약 150~180℃까지 상승함에 따라 소재에 적용된 저분자 물질이나 기타 여러 성분에 의해 외부와 접촉되는 렌즈 부분에 휘발성분에 의한 미세 휘발성 물질이 붙어 렌즈의 투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로 대표적인 것은 PET와 PBT를 들 수 있다. 그러나, PET의 경우에 장기내열성은 우수하나 수지의 결정화속도가 느리고, 결정화도가 낮기 때문에 금형을 이용한 가공으로의 사출, 압출가공에서 생산성, 이형성 등의 어려움이 발생한다.
또한, PBT 경우에는 PET에 비하여 장기 내열성은 떨어지나 빠른 결정화속도로 인하여 성형 생산성이 향상되어 빠른 속도로 시장이 확대되었다. 그러나, PBT는 결정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강화제를 다량 첨가할 경우 강화제의 표면표출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강화제가 첨가된 경우 위와 같은 문제로 인해 다이렉트 알루미늄 증착이 불가능 하다.
한편, 표면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공지의 방법으로는 PBT와 비결정 영역이 많은 PET를 제품에 따라 적정비율로 용융 혼합함으로써 PBT의 내열성을 개선시키고 결정화도 및 결정화속도를 조절하여 표면특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성에 충진제(Filler)가 함유된 경우에는 충진제에 의한 저휘발성 물질로 인하여 표면조도가 나빠질 뿐만아니라 다이렉트 알루미늄 증착력 또한 감소하며 PET의 효과가 감소하는데, 예를 들면 유리섬유의 경우는 성형품의 표면으로 표출이 발생하여 성형품에 있어서 표면백화가 발생하는 등 표면특성을 현격히 감소시킨다. 따라서, 우수한 표면 조도와 다이렉트 알루미늄 증착력이 요구되는 제품에는 미네랄과 유리강화 섬유등과 같은 충진제를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종래 기술로는 PBT 와 PET가 혼합(Alloy)된 조성물의 문제점, 즉 PET부분이 많으면 결정화 속도가 늦어져 사출성형시 성형 시간이 길어지고 후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를 개선하고자 한국 공개특허 2005-0131858호에는PBT 와 PET 블랜드물에 폴리카보네이트, 인산, 아인산, 포스폰산, 포스포늄 화합물, 이미다졸 화합물 종류의 안정제와 폴리그리시딜에테르, 테트라히드록시 비스페놀F형 등의 에폭시 화합물, 무기 및 유리강화 섬유를 첨가한 기술이 있고, 한국 공개특허 2010-0078847에는 PBT 와 PET 블랜드물에 인산, 트리페닐포스페이트, 차인산등의 안정제와 불소화 올레핀게 활제, 카올린 무기충진제를 이용하여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상기의 기술들은 사용된 무기 충진제와 저분자 물질에 의해 표면 상태가 불량하여 다이렉트 알루미늄 증착용 제품으로의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나타내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중 비결정성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경우, 광택성, 평활성은 우수하나 고온, 즉 160℃이상에서 휘발성분이 과다하며 내열성의 부족으로 램프 베젤용 보다는 램프 외곽 커버용으로 적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헤이즈 특성, 표면조도 및 다이렉트 알루미늄 증착력이 우수하여, 자동차 헤드램프 베젤용으로 적합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바람직한 제1 구현예로서, 폴리부틸렌텔레프탈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위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10 ~ 60 중량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단위구조를 포함하는 내열제 0.1 ~ 0.8 중량부; 및 화학식 3로 표시되는 몬탄산계 화합물 0.1 ~ 0.8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m은 2 또는 4이고, n은 50 내지 300인 정수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여기서, R1은 메틸기이고, R2 및 R3는 서로 같거나 다른 탄소수 1 ~ 5의 알킬기이며 n은 1 ~ 5의 정수이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3
여기서, n은 25 ~ 35인 정수이고, x + y=1.0이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헤이즈 특성이 10% 미만 (200℃ x 4hr 에이징(aging)후)이고, 표면조도(Ra)가 10nm 미만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저휘발 특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헤드램프 부품으로서의 베젤용으로 사용시 휘발성분이 낮아 기존에 휘발성분에 의한 렌즈표면이 불투명해지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저휘발 특성 및 표면조도가 우수하고 다이렉트 알루미늄 증착 특성이 우수하므로 자동차 헤드램프 베젤 용도 및 고온의 환경 조건에서 사용되는 산업용의 다이렉트 알루미늄 증착 부품의 용도로 사용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성형품의 표면조도가 우수하며, 저휘발 특성 및 다이렉트 알루미늄 증착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서, 폴리부틸렌텔레프탈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위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10 ~ 60 중량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단위구조를 포함하는 내열제 0.1 ~ 0.8 중량부; 및 화학식 3로 표시되는 몬탄산계 화합물 0.1 ~ 0.8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4
여기서, m은 2 또는 4이고, n은 50 내지 300인 정수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5
여기서, R1은 메틸기이고, R2 및 R3는 서로 같거나 다른 탄소수 1 ~ 5의 알킬기이며 n은 1 ~ 5의 정수이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6
여기서, n은 25 ~ 35인 정수이고, x + y=1.0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열변형온도가 160 ~ 190 ℃, 성형수축율이 2.3 ~ 2.5%, 다이렉트 알루미늄 증착 특성이 100%이며 헤이즈(Haze) 특성이 10% 미만 (200℃ x 4hr aging후)을 만족해야 한다. 또한 베젤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강도 조건은 인장강도가 500 ~ 650 kg/cm2, 충격강도 3 ~ 5 kg.cm/cm이다.
일반적으로, 헤이즈 %가 낮을수록 고온 평가 조건하에서 휘발 성분이 적은 것을 의미 하며 따라서 투명성 및 표면 조도가 우수하다.
자동차 헤드램프 베젤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160℃초과의 열변형온도와 2.3~2.5% 미만의 성형수축율, 100%의 알루미늄 증착력을 갖는 다이렉트 알루미늄 증착 특성, 적합한 인장강도 및 충격강도가 역시 요구된다. 이는 기본적으로 자동차 베젤용 성형물은 크기가 큰 반면 두께는 얇아 사출성형후 뒤틀림 현상 및 조립시 물성이 낮으면 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며 열변형온도가 160℃ 미만일 경우 다이렉트 알루미늄 증착시 공정시 고온으로 인해 소재의 비틀림 변형이 발생하여 제품으로의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열변형온도는 160℃초과이어야 하며 성형수축율의 경우 2.3~2.5%미만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성형수축율이2.3% 미만의 경우 실제 단품의 크기보다 작아 사용이 어려우며2.5% 초과일 경우 사출 성형시 이동판 박힘 현상과 헤드램프 베젤 어셈블리 조립시 간접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조건들을 만족 시키기 위해서는 핵제 및 이형제, 1,2차 내열제들을 첨가해야 하는데 이들 물질의 경우 헤이즈 특성이 나빠 저휘발 특성 및 투명성을 오히려 저해한다.
<폴리부틸렌텔레프탈레이트(PBT)>
본 발명에 사용된 PBT수지는 1.4-부탄디올과 테레프탈산 또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를 단량체로 사용하여 직접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교환 반응을 통하여 축중합에 의해서 생성되며, 그 고유점도는 0.8~1.4 dl/g정도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병용할 경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0 중량부 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60 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는데 좋기로는 15내지 35중량부이다.
이때, 혼합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첨가되지 않는 조성은 내열특성인 열변형온도에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지 못한다. 또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0 중량부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60 중량부를 초과하면 사출성형시 결정화속도가 너무 느려지므로 성형사이클이 길어지고 이형 등의 문제가 있고 10중량부 미만이면 너무 빠른 고화속도로 표면조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위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일종으로, 그 제조는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제조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제조한 예를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반기가 장착된 스텐레스 반응용기에 산성분과 글리콜성분, 그리고 촉매 및 각종 안정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투입하고, 반응관의 온도를 200~230℃로 유지하면서 저분자량의 에스테르 축합부산물을 계외로 제거함과 동시에 에스테르반응을 진행시키는데, 이 에스테르 반응의 전환율은 저분자량 에스테르부산물의 이론 유출량의 통상 95% 이상이 유출된 싯점을 기준으로 반응을 종결하고, 상기 에스테르 반응이 종결되면 관내 온도를 250~280℃로 상승시키면서 관내 압력을 1mmHg이하로 감소시켜 폴리에스테르의 축중합을 유도한다. 그리고 이렇게 축중합을 진행시키다가 적당한 교반 부하에서 반응을 중단하고, 질소로서 진공을 파괴하고 반응물을 토출하여 본 발명에서 원하는 폴리에스테르 기본 수지를 얻었다. 여기서 사용할 수 있는 산성분은 주로 테레프탈산 또는 저급알킬에스테르화물 단독이나 소량의 이소프탈산, 오르소프탈산테레프탈 또는 지방족디카본산 또는 이들의 저급알킬에스테르화물과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글리콜성분으로서는 주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혹은 부틸렌글리콜 단독이나 이들의 혼합물 또는 그외 소량의 1.6-핵산디올, 1.4-사이클로핵산 디메탄올등과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촉매로서는 주로 안티몬의 산화물 또는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네이트등과 같은 유기티탄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통상의 방법이고, 그외 유기 주석화합물 단독 또는 이들과 유기티탄화합물과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그외 알칼리금속이나 아세테이트화물등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유기티탄화합물을 사용할 때에는 마그네슘아세테이트 혹은 리튬아세테이트 등을 공촉매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주성분과 촉매 이외에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각종 첨가제등과 같은 부원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경우 0.5~0.7의 고유점도를 가지고 있고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경우 0.4~1.21의 고유점도를 나타낸다. 고온 환경에서의 휘발 성분중에는 폴리에스테르의 미반응 단량체 또한 상당량을 차지하는 관계로 저휘발특성을 발현하기 위해서 분자량을 향상시켜야한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분자량 조절을 통한 저휘발 특성의 발현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 고분자량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제조하기 위해, 용융중합을 통해 얻어진 칩을 고상중합을 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고상 중합을 통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유점도는 0.8~1.5이다. 고상중합은 용융 중합으로 얻어진 고체상태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칩을 유리전이 온도 이상, 융점미만의 온도에서 고상중합을 행하는 방법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칩을 용매에 녹인 후에 용액중합하는 방법이 있으나 후자의 방법은 고분자량의 칩을 제조하기는 유리하지만 반응 종료 후에 용매 회수 비용이 많이 들고 생성물이 분말 상태로 얻어지므로 압출 및 사출 가공공정에는 사용하기 부적합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고점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고유점도 0.8내지 1.5로 0.8 미만의 경우 휘발특성이 불량하고 1.5초과시는 성형성이 불량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고상 중합은 용융중합을 통해 얻어진 칩을 160℃에서 2시간 방치과정을 통하여 표면 결정화를 시키고 210℃에서 2시간 방치하는 예비가열 조건을 거친 후 200℃에서 50시간동안 고상중합을 실시하여 얻는다. 고유점도는 코오롱사의 OCP법인 오르소메타페놀용액에 1g/100ml의 농도로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우벨로드 점도계를 이용하여 용액점도 측정을 시행한 후, 오르소메타페놀용액을 서서히 첨가하여 저농도의 용액점도를 측정하고 0%농도에 외삽하여 측정하였다.
<내열제>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 베젤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조성물에 포함된 휘발물질에 대한 내열성을 보강하기 위해, 내열제로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단위구조를 포함하는 내열제를 첨가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내열제는 열에 의한 저항성을 갖는 우수한 장기 내열성을 갖게 하여 우수한 저휘발성 특성과 미려한 표면특성을 갖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와같은 내열제의 첨가량은 PBT수지 100중량부에 대해서 0.1~0.8중량부 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 하게는 0.2~0.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만일, PBT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서 0.1중량부 미만이면 장기내열성 얻을 수 없고, 0.8중량부를 초과하면 그 미만 사용시와의 내열 효과측면에서 미미한 결과 및 표면특성을 저해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열안정성이 우수하지 못한, 즉 고휘발성인 내열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이축 압출기를 통하는 과정에서 심하게 분해되어 내열제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거나 압출기의 선단부의 토출부에서 저분자물질을 제거하는 진공시스템에 의해 첨가된 내열제 다량이 빠져 수지내에는 존재하지 않거나 제품상태로 고온 환경에 적용시 휘발성분으로 작용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몬탄산계 화합물>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 베젤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조성물에 사출성형시 이형성을 보강하기 위해, 이형제로서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단위구조를 포함하는 몬탄산계 화합물을 첨가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몬탄산계 화합물은 이형성을 갖게 하여 우수한 저휘발성 특성과 미려한 표면특성을 갖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와같은 이형제의 첨가량은 PBT수지 100중량부에 대해서 0.1~0.8중량부 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 하게는 0.2~0.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만일, PBT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서 0.1 중량부 미만이면 이형성 얻을 수 없고, 0.8중량부를 초과하면 그 미만 사용시와의 이형 효과측면에서 미미한 결과 및 표면조도를 저해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술할 때 첨가량은 별도의 기술의 없을 경우 중량부를 나타내며, 제조방법과 시험편의 성형 및 분석 평가 방법은 다음 방법에 따라 수행 하였다.
[실시예 1]
220 ~ 280℃로 가열된 이축 압출기를 이용해 원료 투입구로 PBT(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5중량부, 내열제로 사용 되는 내열제0.3중량부, 몬탄산계 화합물을 0.3 중량부를 투입하고, 열용융 혼련공정을 통해 펠렛으로 제조하였고, 제조된 펠렛상의 칩을 제습형 건조기로 온도 110℃에서 5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건조된 펠렛상의 재료를 표면특성 평가용을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또한 건조된 칩 상태로 휘발특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110℃에서 5 시간 동안 제습형 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한 후 250~280℃로 가열된 스크류식 사출기를 사용하여 ASTM 규격 평가용 시험편을 제작,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3 , 비교예 1 ~ 8>
PBT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PET 수지, 내열제와 몬탄산계 화합물의 함량만을 변화시키고, 다른 조건 및 조성은 위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 1과 같이 실시하였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상기에서 언급한 조건으로 동일하게 통상의 방법대로 실시한 후 아래의 평가방법에 의해 결과를 측정 하였다
그 조성 및 결과를 각각 표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조성
폴리에스테르수지 내열제
몬탄산계
화합물
PBT PET
실시예 1 100 15 0.3 0.3
실시예 2 100 25 0.3 0.3
실시예 3 100 35 0.2 0.3
비교예 1 100 5 0.3 0.3
비교예 2 100 65 0.3 0.3
비교예 3 100 15 - 0.3
비교예 4 100 15 1.0 0.3
비교예 5 100 15 0.3 -
비교예 6 100 15 0.3 1.0
PET : 고유점도(IV) 0.8 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내열제 : Tetrakis〔methylene-3(3,5-di-t-butyl-4-hydrox-
phenyl)propionate〕methane
몬탄산계 화합물 : Montanic acid
[평가방법]
1) 성형수축율
성형수축율 평가는 ASTM- D-955에 의거하여 용융, 혼련 후 만든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칩 상태로 제습형 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한 후 엘지(LG)사의 350톤급 사출 성형기로 지름이10cm, 두께가 3.2mm인 원판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온도 275℃, 금형온도 60℃로 고정한 후 사출압 800kg/cm2과 보압 400kg/cm2을 가한 조건에서 이형되어 나오는 시편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2) 헤이즈 및 광투과도
휘발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헤이즈 % 및 광투과도를 평가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칩 상태로 건조한 후 5g씩 계량하고 이를 샤알레에 각각 담아 투명한 유리로 덮는다. 이 샤알레를 200℃로 고정된 핫플레이트에 4시간 가열을 시킨 후 샤알레 두껑을 헤이즈 분석기를 이용하여 광투과도 및 헤이즈 % 정도를 평가하였다.
헤이즈 % 평가는 ASTM D1003-61에 의거하여 23±2℃, 상대 습도 50±5%의 조건 에서 실시하였다. 결과값은 헤이즈 % 및 광투과도로 표시하며 아래식에 의해 얻어 질 수 있다.
Haze Percent = T d / T t × 100
T d = 〔 T 4 - T 3 ( T 2 / T 1 )〕/ T 1   ,    T t = T 2 / T 1    
Tt  : 전체 광투과도
Td  : 전체 광산란도
T1 : 입사광량
T2 : 시험편에 의한 전체 투과광량
T3 : 계측기에 의한 산란광량
T4 : 시험편과 계측기에 의한 산란광량
헤이즈10% 미만을 양호로 판단하였다.
헤이즈 % 가 적을수록, 광투과도가 높을수록 고온 평가 조건하에서 휘발성분이 적은 것을 의미한다.
3) 표면조도
표면 조도 측정은 시사출 한 단품 중 깨끗한 부분을 3cm x 3cm 크기의 사각형으로 잘라 모두 5부분을 KOSAKA SEF-3500K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5번의 측정된 값의 평균값을 이용하였다. 측정된 조도 값 중 중심선 평균 값인 Ra의 값이 낮을수록 거칠기가 양호 하며 이로 인해 수지 위에 바로 증착하는 알루미늄 증착 특성이 우수해진다.
4) Al부착력
Al부착성은 시사출한 단품을 1mm두께의 크로스 컷터를 이용하여 크로스-컷(cross-cut) 방법으로 가로×세로가 1mm×1mm인 사각형을 100개 만들어 시중에 판매하는 OPP 테이프를 이용하여 전체 칸에 접합시켰다가 5초 후 테이프를 떼어냈을 때 100개의 칸 중에서 테이프에 의해서 떨어져 나온 칸의 개수(3회 평가 후 평균치)를 측정하였으며, 이때 떨어져 나온 칸의 개수가 적을수록 수지와 다이렉트 알루미늄 증착력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 다이렉트 알루미늄 증착력→ ◎ : 아주 우수 , ○ : 우수 , × : 불량
5) 인장 특성 및 충격 특성 측정
인장강도 : ASTM-D-638에 의거 측정하였다
충격강도(Izod Impact Strength): ASTM-D-256에 의거 측정하였다
6) 열변형 온도
열변형 온도는 ASTM-D-64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구분 헤이즈
(%)
표면조도
(nm)
Al 부착력
(%)
실시예 1 3 5.6
실시예 2 4.5 6.3
실시예 3 5 7.1
비교예 1 6.5 12
비교예 2 15 15
비교예 3 12 6.8
비교예 4 23.1 17 ×
비교예 5 11 5.3
비교예 6 32 21 ×
물성평가결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수지 조성물의 성형수축율, 인장, 충격 특성, 열변형온도, 등을 평가한 결과 다이렉트 알루미늄 증착 헤드 램프 베젤의 특성을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 3에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헤이즈 특성이 10% 미만이고, 표면조도가 10nm 미만인 특성을 동시에 만족할 뿐만 아니라, Al 부착력도 아주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교예 1 ~ 6에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헤이즈 특성과 표면조도가 실시예에 비해 높고, Al 부착력도 불량이거나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시예 1 ~ 3에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헤이즈 특성이 10% 미만인 저휘발 특성을 나타내고 표면조도와 다이렉트 알루미늄 증착력도 우수하여, 자동차 헤드램프 베젤용으로 적합함을 알 수 있다.

Claims (2)

  1. 폴리부틸렌텔레프탈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위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10 ~ 60 중량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단위구조를 포함하는 내열제 0.1 ~ 0.8 중량부; 및
    화학식 3로 표시되는 몬탄산계 화합물 0.1 ~ 0.8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7

    여기서, m은 2 또는 4이고, n은 50 내지 300인 정수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8

    여기서, R1은 메틸기이고, R2 및 R3는 서로 같거나 다른 탄소수 1 ~ 5의 알킬기이며 n은 1 ~ 5의 정수이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9

    여기서, n은 25 ~ 35인 정수이고, x + y=1.0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헤이즈 특성이 10% 미만 (200℃, 4hr 에이징(aging)후)이고,
    표면조도(Ra)가 10nm 미만인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20100140801A 2010-12-31 2010-12-31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201200784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801A KR20120078485A (ko) 2010-12-31 2010-12-31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801A KR20120078485A (ko) 2010-12-31 2010-12-31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485A true KR20120078485A (ko) 2012-07-10

Family

ID=46711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40801A KR20120078485A (ko) 2010-12-31 2010-12-31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84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5701A (ko) 2019-03-08 2020-10-0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을 이용한 제습건조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5701A (ko) 2019-03-08 2020-10-0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을 이용한 제습건조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32863B2 (ja) メタライズドポリエステル組成物
KR101527422B1 (ko) 강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의 물품
JPH0564991B2 (ko)
JP2008163334A (ja) ポリエステル系樹脂組成物及びプラスチック成形品
JP2008214558A (ja) 無機強化ポリエステル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の表面外観改良方法。
JP6179161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2179895A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CN115011081A (zh) 一种结晶快速的玻纤增强pet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4296021A (en) Reinforced thermoplastic polyester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high voltage breakdown resistance
KR20090062786A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TW201542676A (zh) 聚對苯二甲酸環己烷二甲醇酯樹脂組合物
JP3500279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KR20110072824A (ko)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20120078485A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JPH10158490A (ja)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系樹脂組成物
JP5226655B2 (ja) 樹脂製光反射体用基体
JP7088915B2 (ja) 樹脂ベルト材料用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エラストマ樹脂組成物および樹脂ベルト成形体
JPS6361045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951252B2 (ja) ランプリフレクター
JP3761598B2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製成形品
KR100853119B1 (ko)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KR100687984B1 (ko) 저휘발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JP3040578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3122550B2 (ja) 樹脂組成物
KR20140017564A (ko)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에스테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물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