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7221A - 자동차 매트용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매트 원단 - Google Patents

자동차 매트용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매트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7221A
KR20120077221A KR1020100139106A KR20100139106A KR20120077221A KR 20120077221 A KR20120077221 A KR 20120077221A KR 1020100139106 A KR1020100139106 A KR 1020100139106A KR 20100139106 A KR20100139106 A KR 20100139106A KR 20120077221 A KR20120077221 A KR 20120077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efin
latex
bcf
bcf yar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9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현정
박건수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9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7221A/ko
Publication of KR20120077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72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06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olefin as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2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crimped or curled structure; with a special structure to simulate wool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4Pig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7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for making fire- or flame-proof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01F1/103Agents inhibiting growth of microorganism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01F1/106Radiation shielding agents, e.g. absorbing, reflect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6Yarns or threads for use in automotive appl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1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heat-resistant or fireproof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colour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4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optical functions other than colour, e.g. comprising light-emitting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7/00Woven p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arp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용융 혼합물을 방사시켜 형성한 50~120개의 필라멘트 가닥을 합사한 후 크림핑(crimping) 공정으로 벌키성을 부여한 BCF 원사로서, 상기 용융 혼합물 내에서 폴리에틸렌 함량은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45 중량부이고, 상기 용융 혼합물 내에서 자외선 차단제 함량은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2~1.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매트용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매트 원단은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로 형성된 다수의 파일을 구비하고 있어서, 나일론계 BCF 원사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제조비용이 약 20~25% 저렴하여 경제성 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매트 원단은 내광 견뢰도 및 수용성 오염물에 대한 내오염성이 우수하여 사용자에게 품질에 대한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균일한 색상의 유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염색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아 염색 폐수로 인한 환경 오염 문제를 유발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자동차 매트용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매트 원단{Polyolefin bulked continuous filament yarn and fabric for vehicle ma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 매트용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매트 원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자동차 매트의 원단에 이용되는 종래의 나일론계 BCF 원사를 대체할 수 있는 자동차 매트용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 및 상기 원사로 형성된 다수의 파일을 구비하는 자동차 매트 원단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자동차에는 자동차 바닥의 오염 방지 및 청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매트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매트는 상면이 카펫 원단으로 구성되며, 그 하면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또는 고무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자동차 매트의 카펫 원단은 직물 형태의 기포지에 나일론계 BCF 원사(예를 들어 나일론 6 BCF 원사 또는 나일론 6,6 BCF 원사)를 터프팅(Tufting) 하여 파일을 형성하고 기포지 하면을 라텍스로 코팅시키는 방법으로 제직한 후 염색 등의 가공을 통해 제조된다.
그러나, 나일론계 BCF 원사를 사용하는 자동차 매트의 카펫 원단은 나일론계 BCF 원사의 원가 상승에 따른 제조비용의 증가 및 염색 가공 등에서 발생하는 폐수 및 오염물 등에 의해 환경 오염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나일론계 BCF 원사는 광에 노출되었을 때 색상이 변화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나일론계 BCF 원사를 사용하는 자동차 매트의 카펫 원단은 만족할만한 수준의 내광 견뢰도를 가지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또한, 나일론계 BCF 원사는 약 4%의 수분 흡수율을 가지기 때문에, 나일론계 BCF 원사를 사용하는 자동차 매트의 카펫 원단은 수용성 오염물의 침투가 용이하고 침투한 오염물의 제거가 어려워 얼룩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내광 견뢰도 및 수용성 오염물에 대한 내오염성이 우수하고 전체적으로 균일한 색상의 유지가 가능하여 나일론계 BCF 원사를 대체할 수 있는 자동차 매트용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로 형성된 다수의 파일을 구비하는 자동차 매트 원단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일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용융 혼합물을 방사시켜 형성한 50~120개의 필라멘트 가닥을 합사한 후 크림핑(crimping) 공정으로 벌키성을 부여한 BCF 원사로서, 상기 용융 혼합물 내에서 폴리에틸렌 함량은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45 중량부이고, 상기 용융 혼합물 내에서 자외선 차단제 함량은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2~1.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매트용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를 제공한다.
자동차 매트용 BCF 원사는 1.5 gf/데니어 이상의 인장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데,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매트용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는 이를 달성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섬도가 900~1600 데니어(Denier),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0~1500 데니어(Denie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동차 매트용 BCF 원사는 내광 견뢰도 및 수용성 오염물에 대한 내오염성을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가지는 것이 중요한데,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매트용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는 이를 달성하기 위해 용융 혼합물의 주원료로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한다. 이때, 자외선 차단제의 함량은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2~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3~0.7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외선 차단제의 함량이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2 중량부 미만인 경우 자외선 차단제의 첨가에 따른 BCR 원사의 내광 견뢰도 개선 효과가 미비하고, 자외선 차단제의 함량이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제조 원가의 상승에 따른 경제성이 떨어지고 방사성이 불량하여 원사의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사용되는 자외선의 차단제제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1) 벤조산계 자외선 차단제
예컨대 파라아민 벤조산(이하, PABA라고 약칭함), PABA 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N,N-디프로폭시 PABA 에틸에스테르, N,N-디에톡시 PABA 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 PABA 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 PABA 부틸에스테르, N,N-디메틸 PABA 에틸에스테르 등.
(2)안트라닐산계 자외선 차단제
예컨대, 호모멘틸-N-아세틸안트라닐레이트 등.
(3) 살리실산계 자외선 차단제
예컨대 아밀살리실레이트, 멘틸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살리실레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페닐살리실레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p-이소프로판올페닐살리실레이트 등.
(4) 신남산계 자외선 차단제
예컨대 옥틸신나메이트, 에틸-4-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5-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에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p-메톡시신나메이트(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톡시에틸-p-메톡시신나메이트, 시클로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2-에틸헥실-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글리세릴모노-2-에틸헥사노일-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등.
(5) 트리아진계 자외선 차단제
예컨대 비스{〔4-(2-에틸헥실옥시)-2-히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4-(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아닐리노} 1,3,5-트리아진 등의 예컨대 비스레졸시닐트리아진.
(6)기타 자외선 차단제
예컨대 3-(4'-메틸벤질리덴)-d,l-캄퍼, 3-벤질리덴-d,l-캄퍼, 2-페닐-5-메틸벤족사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디벤잘아진, 디아니소일메탄, 4-메톡시-4'-t-부틸디벤조일메탄, 5-(3,3-디메틸-2-노르보닐리덴)-3-펜탄-2-온 등. 디모르폴리노피리다지논 등의 피리다진 유도체. 산화 아연, 이산화 티탄 등의 금속 산화물.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매트용 BCF 원사에 있어서, 상기 용융 혼합물은 BCF 원사에 다양한 기능을 부과하기 위해 산화 방지제, 난연제, 착색제, 및 항균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보조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융 혼합물 내에서 보조 첨가제의 함량은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2.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산화 방지제는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02~0.05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고, 착색제(예를 들어 안료)는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1~2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으며, 난연제는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0.5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사용되는 난연제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사용자의 건강을 위해 비할로겐계 난연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매트용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는 바람직하게는 1.5 gf/데니어 이상의 인장 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5~5 gf/데니어의 인장 강도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다른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포지; 상기 기포지 상에 전술한 본 발명의 자동차 매트용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가 터프팅되어 형성된 다수의 파일로 이루어진 파일층; 및 상기 기포지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형성된 지지층을 포함하는 자동차 매트 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다른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포지; 상기 기포지 상에 전술한 본 발명의 자동차 매트용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 복수 가닥을 연사시킨 합연사가 터프팅되어 형성된 다수의 파일로 이루어진 파일층; 및 상기 기포지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형성된 지지층을 포함하는 자동차 매트 원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 매트 원단에서, 상기 기포지는 폴리올레핀 섬유의 직포, 폴리올레핀 섬유의 부직포, 폴리에스터 섬유의 직포, 또는 폴리에스터 섬유의 부직포 등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직포 등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자동차 매트 원단에서, 다수의 파일을 형성하는 BCF 원사들은 바람직하게는 치수 변화율의 편차가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치수 변화율은 KS K 0215의 표준방법에 의해 측정된 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매트 원단의 파일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원사 자체의 치수 변화율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약 1~20% 범위일 수 있다. 그러나, 자동차 매트 원단 파일 전체의 균일한 색상 및 품위를 유지하기 위해서 원사들 간의 최대 치수 변화율과 최소 치수 변화율의 차이는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 매트 원단에서, 상기 지지층은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수지 라텍스, 에폭시 수지 라텍스, 폴리우레탄 라텍스, 스티렌-부타디엔 러버(SBR) 라텍스, 또는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etate, EVA) 라텍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라텍스를 기포지 하부면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형성한 코팅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매트 원단은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로 형성된 다수의 파일을 구비하고 있어서, 나일론계 BCF 원사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제조비용이 약 20~25% 저렴하여 경제성 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매트 원단은 내광 견뢰도 및 수용성 오염물에 대한 내오염성이 우수하여 사용자에게 품질에 대한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균일한 색상의 유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염색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아 염색 폐수로 인한 환경 오염 문제를 유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로 형성된 다수의 파일을 구비하는 자동차 매트 원단의 내광 견뢰도 시험 전 사진(왼쪽) 및 시험 후 사진(오른 쪽)이고, 도 2는 대조군으로 사용된 나일론 BCF 원사로 형성된 다수의 파일을 구비하는 자동차 매트 원단의 내광 견뢰도 시험 전 사진(왼쪽) 및 시험 후 사진(오른 쪽)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로 형성된 다수의 파일을 구비하는 자동차 매트 원단에 수용성 오염물을 적하한 직후의 사진(왼쪽) 및 수용성 오염물건포로 닦아낸 후의 사진(오른쪽)이고, 도 4는 대조군으로 사용된 나일론 BCF 원사로 형성된 다수의 파일을 구비하는 자동차 매트 원단에 수용성 오염물을 적하한 직후의 사진(왼쪽) 및 수용성 오염물건포로 닦아낸 후의 사진(오른쪽)이다.
이하, 하기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의 제조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 폴리에틸렌 3.5 중량부, 자외선 차단제 0.1 중량부, 및 안료 1.5 중량부를 혼합하고 용융시켜 용융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용융 혼합물을 110개의 필라멘트 가닥으로 방사하고 상기 110개의 필라멘트 가닥에 공기로 압력을 가해 합사한 후 연신하고 크림핑 공정으로 벌키성(bulkiness)이 부여하여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의 물성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의 섬도, 인장 강도, 인장 신율 및 치수 변화율을 측정하여, BCF 원사의 물성을 평가하였다.
(1) 측정 방법
원사의 인장 강도 및 인장 신율은 KS K ISO 5079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원사의 치수 변화율은 KS K 0215의 7.12.1 B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2) 측정 결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는 섬도가 1400 데니어(Denier), 인장 강도가 2.2 gf, 인장 신율이 113%, 및 치수 변화율이 2.06% 이었다.
실시예 2 : 자동차 매트 원단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를 기포지(폴리프로필렌 섬유의 직포)에 터프팅하여 파일을 형성하고, 기포지의 하부면에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etate, EVA) 라텍스를 도포하고 건조시켜 자동차 매트 원단을 제조하였다. 이때, 기포지 상의 파일 높이는 6㎜이었고, 파일 밀도는 기포지의 단위제곱 미터당 170,500개 이었다.
시험예 2. 자동차 매트 원단의 물성 평가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자동차 매트 원단의 내광 견뢰도 및 수용성 오염물에 대한 내오염성을 평가하였다.
(1) 내광 견뢰도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자동차 매트 원단 및 대조군으로 나일론 BCF 원사로 형성된 다수의 파일을 구비하는 자동차 매트 원단의 내광 견뢰도를 평가하였다. 내광 견뢰도는 제논 아크(Xenon Arc)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ISO 105(또는 JIS L 0843)에 규정된 시험 장비를 사용하였으며, 시험 조건은 다음과 같다.
설정 조건 : 42 MJ/㎡
BLACKPNL 온도 : 89±3℃
조내 상대 습도 : 50±5%
조사 조도 : 65~100 W/㎡, 300~400 ㎚(이때, 320㎚ 이하의 조사 조도는 조사 조도 총량의 1.5% 미만임
판정 기준으로 MS 210-05[현대 자동차의 차량용 매트 시험 규격으로서,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을 기준으로 색상 변화를 통해 5급(매우 양오)에서 1급(매우 불량)까지 판정함]를 사용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로 형성된 다수의 파일을 구비하는 자동차 매트 원단의 내광 견뢰도 시험 전 사진(왼쪽) 및 시험 후 사진(오른 쪽)이고, 도 2는 대조군으로 사용된 나일론 BCF 원사로 형성된 다수의 파일을 구비하는 자동차 매트 원단의 내광 견뢰도 시험 전 사진(왼쪽) 및 시험 후 사진(오른 쪽)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매트 원단은 내광 견뢰도가 5급으로 판정되어 장시간 햇빛에 노출되더라도 색상 변화가 전혀 발생하지 않음을 시사하였고, 대조군으로 사용된 자동차 매트 원단은 내광 견뢰도가 3급으로 판정되어 장시간 햇빛에 노출될 때 색상 변화가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2) 수용성 오염물에 대한 내오염성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자동차 매트 원단 및 대조군으로 나일론 BCF 원사로 형성된 다수의 파일을 구비하는 자동차 매트 원단의 수용성 오염물에 대한 내오염성을 평가하였다. 수용성 오염물에 대한 내오염성은 자동차 매트 원단 위에 약 3㎖의 수용성 오염물(인스턴트 커피 5% 수용액)을 적하하고 건포로 닦아낸 후 잔여 오염 정도를 관찰하는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로 형성된 다수의 파일을 구비하는 자동차 매트 원단에 수용성 오염물을 적하한 직후의 사진(왼쪽) 및 수용성 오염물건포로 닦아낸 후의 사진(오른쪽)이고, 도 4는 대조군으로 사용된 나일론 BCF 원사로 형성된 다수의 파일을 구비하는 자동차 매트 원단에 수용성 오염물을 적하한 직후의 사진(왼쪽) 및 수용성 오염물건포로 닦아낸 후의 사진(오른쪽)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매트 원단은 건포로 닦아내는 단순 제거 방법만으로 수용성 오염물의 대부분이 제거된 반면, 대조군으로 사용된 나일론 BCF 원사로 형성된 다수의 파일을 구비하는 자동차 매트 원단에는 상당량의 잔여 오염물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는 수분 흡수율이 거의 0%에 가깝기 때문에,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로 형성된 다수의 파일을 구비하는 자동차 매트 원단은 그 내부로 수용성 오염물이 거의 침투하지 못하고 오염물의 제거가 매우 용이하며 이로 인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질적인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많은 변형을 실시하여 특정 상황 및 재료를 본 발명의 교시내용에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계획된 최상의 양식으로서 개시된 특정 실시 태양으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실시 태양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용융 혼합물을 방사시켜 형성한 50~120개의 필라멘트 가닥을 합사한 후 크림핑(crimping) 공정으로 벌키성을 부여한 BCF 원사로서,
    상기 용융 혼합물 내에서 폴리에틸렌 함량은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45 중량부이고,
    상기 용융 혼합물 내에서 자외선 차단제 함량은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2~1.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매트용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CF 원사의 섬도는 900~1600 데니어(Deni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매트용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혼합물은 산화 방지제, 난연제, 착색제, 및 항균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보조 첨가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용융 혼합물 내에서 보조 첨가제의 함량은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2.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매트용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CF 원사는 1.5~5 gf/데니어의 인장 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매트용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
  5. 기포지;
    상기 기포지 상에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자동차 매트용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가 터프팅되어 형성된 다수의 파일로 이루어진 파일층; 및
    상기 기포지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형성된 지지층을 포함하는 자동차 매트 원단.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아크릴 수지 라텍스, 에폭시 수지 라텍스, 폴리우레탄 라텍스, 스티렌-부타디엔 러버(SBR) 라텍스 또는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etate, EVA) 라텍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라텍스를 기포지 하부면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형성한 코팅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매트 원단.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파일을 형성하는 BCF 원사들 간의 최대 치수 변화율과 최소 치수 변화율의 차이가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매트 원단.
  8. 기포지;
    상기 기포지 상에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자동차 매트용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 복수 가닥을 연사시킨 합연사가 터프팅되어 형성된 다수의 파일로 이루어진 파일층; 및
    상기 기포지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형성된 지지층을 포함하는 자동차 매트 원단.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아크릴 수지 라텍스, 에폭시 수지 라텍스, 폴리우레탄 라텍스, 스티렌-부타디엔 러버(SBR) 라텍스 또는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etate, EVA) 라텍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라텍스를 기포지 하부면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형성한 코팅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매트 원단.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파일을 형성하는 BCF 원사들 간의 최대 치수 변화율과 최소 치수 변화율의 차이가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매트 원단.
KR1020100139106A 2010-12-30 2010-12-30 자동차 매트용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매트 원단 KR201200772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106A KR20120077221A (ko) 2010-12-30 2010-12-30 자동차 매트용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매트 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106A KR20120077221A (ko) 2010-12-30 2010-12-30 자동차 매트용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매트 원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221A true KR20120077221A (ko) 2012-07-10

Family

ID=46710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9106A KR20120077221A (ko) 2010-12-30 2010-12-30 자동차 매트용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매트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722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430A (ko)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 섬유로 이루어지는 카펫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37452A (ko) * 2019-09-27 2021-04-0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용 부직포 복합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430A (ko)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 섬유로 이루어지는 카펫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37452A (ko) * 2019-09-27 2021-04-0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용 부직포 복합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3984B2 (en) Recyclable single polymer floorcovering article
KR101856832B1 (ko) 플라스틱에서의 적용을 위한 백색 광물질의 신규한 표면 처리
KR101930560B1 (ko) 심초 복합섬유, 동 심초 복합섬유로 이루어지는 가연 가공사 및 그의 제조방법, 및 그들 섬유로 구성된 직편물
US20120156416A1 (en) Pilling-resistant artificial leather
US20090208695A1 (en) Spun-dyed, crimped polylactic acid fiber,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and carpet
KR20120077221A (ko) 자동차 매트용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매트 원단
AU2016258018B2 (en) Synthetic fibers with enhanced soil resistance and methods for production and use thereof
ES2536113T3 (es) Método para fabricar un revestimiento de suelos
JP6426347B2 (ja) 抗菌防炎性ポリエステル繊維および抗菌防炎性ポリエステル布帛および繊維製品
JP2013142210A (ja) 弾性織編布帛及び自動車用座席
CA2581210A1 (en) Coloured polypropylene/polystyrene support
JP2009112781A (ja) モップ用基布
US20220025575A1 (en) Polyester Yarn Cushioned Rug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KR20120077227A (ko) 자동차 매트용 폴리올레핀계 bcf 원사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매트 원단
JP3982332B2 (ja) 人造イグサ及びそれを用いた製織物
JP7385490B2 (ja) 成形体着色用樹脂組成物、成形体およびマスターバッチ
EP1644573B1 (en)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wning fabrics
JP4804092B2 (ja) カーペット
Grigoriu Aurelia Grigoriu
JPH0984685A (ja) ポリエステル繊維製ラグ
JPH09268479A (ja) ポリエステル繊維製玄関マット
JP4345883B2 (ja) 立毛布帛
JPH07189129A (ja) メッシュ状樹脂加工布
JP2016027212A (ja) 機能性繊維
JPH02145816A (ja) 防汚性原着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