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6726A - 연료 탱크 리저버 - Google Patents

연료 탱크 리저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6726A
KR20120076726A KR20100138404A KR20100138404A KR20120076726A KR 20120076726 A KR20120076726 A KR 20120076726A KR 20100138404 A KR20100138404 A KR 20100138404A KR 20100138404 A KR20100138404 A KR 20100138404A KR 20120076726 A KR20120076726 A KR 20120076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ilter
reservoir
pump
fuel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38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현민
윤찬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비스
Priority to KR20100138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6726A/ko
Priority to US13/337,663 priority patent/US20120168006A1/en
Priority to CN2011104513417A priority patent/CN102562386A/zh
Priority to BRPI1105732A priority patent/BRPI1105732A2/pt
Publication of KR20120076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7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2Feeding by means of suction apparatus, e.g. by air flow through carburettors
    • F02M37/025Feeding by means of a liquid fuel-driven je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 F02M37/10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submerged in fuel, e.g. in reservoir
    • F02M37/106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submerged in fuel, e.g. in reservoir the pump being installed in a sub-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 F02M37/44Filte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 F02M37/50Filters arranged in or on fuel tan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94With means for separating solid material from the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 탱크 리저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 내의 이물질이 연료 송출관의 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이를 통해 리저버의 유지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해 주는 연료 탱크 리저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연료 탱크 리저버는, 연료 탱크(300) 내에 구비되는 리저버(100)로서, 엔진(200)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송출관(120)이 연결되며 연료를 수용하는 수용부(110)와, 상기 연료 송출관(120)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110) 내에 수용된 연료를 상기 엔진(300)으로 송출시키는 펌프(130)와, 상기 수용부(110)에 연결되어 상기 연료 탱크(300) 내의 연료를 상기 수용부(110) 내로 공급하는 공급부(140)와, 상기 수용부(110) 내에 수용된 연료의 양을 측정하는 측정부(150)를 포함하는 리저버(100)에 있어서, 상기 펌프(130)의 흡입부 위치에 구비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160) 및 상기 공급부(140)가 그 내부에 수용되도록 배치 형성되는 선행 필터(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료 탱크 리저버 {Reservoir for Fuel Tank}
본 발명은 연료 탱크 리저버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연료 탱크에서 엔진으로의 연료 공급은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은 당연하다. 이에 따라 엔진으로의 연료 공급이 원활하면서 또한 원하는 양만큼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많은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히 일반적인 주행 조건이 아닌 경우, 즉 연료 탱크에 연료가 적당히 차 있고 차량 자체는 운행 중인 경우의 조건이 아닌 경우에, 이와 같이 원활하고 안정적인 연료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차량이 막 시동되었을 때나 연료 탱크에 연료가 많이 차 있지 않았을 때와 같은 경우에, 일반적인 주행 조건에서의 연료 공급 구조만으로는 엔진으로의 연료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어렵다. 이에 따라 연료 탱크에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경우에서의 원활한 연료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인 리저버가 구비되어 있다.
리저버는 연료 탱크에 연결되어 있는 연료 공급관에 구비되는 소형 연료 수용부 형태로 된 것으로서, 리저버에는 연료 탱크에 수용된 연료의 양과는 상관없이 항상 소정 분량 이상의 연료가 수용되어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연료 탱크에 수용된 연료의 양이 극히 적을 때나, 차량이 급경사 길을 장시간 운행하는 등과 같이 연료 탱크 내 연료 수면이 정상적이지 않은 상태가 될 때와 같은 경우에도, 리저버에 의하여 엔진에 연료가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리저버의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리저버(100')는 연료 탱크(300') 내에 구비되되, 엔진(200')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송출관(120')이 연결되며 연료를 수용하는 수용부(110')와, 상기 연료 송출관(120')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110') 내에 수용된 연료를 상기 엔진(300')으로 송출시키는 펌프(130')와, 상기 수용부(110')에 연결되어 상기 연료 탱크(300') 내의 연료를 상기 수용부(110') 내로 공급하는 공급부(140')와, 상기 수용부(110') 내에 수용된 연료의 양을 측정하는 측정부(15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공급부(140')는 일반적으로 제트 펌프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제트 펌프는 상기 연료 탱크(300')의 형태와 구조 등에 따라 1개가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그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측정부(150')는 일반적으로 수위를 측정하는 가장 간단한 구조 중 하나인 플로트(float)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리저버(100')에는 이외에도 상기 엔진(300')으로부터 리턴되는 연료를 다시 상기 리저버(100')의 상기 수용부(110') 내로 배출하는 리턴 연료 배출관이 연결되는 구조가 구비되기도 한다. 또한, 상기 공급부(140')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제트 펌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펌프(130')로부터 상기 공급부(140')로 일부 연료를 공급하여 상기 공급부(140')에서의 제트 펌프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차량에 사용되는 연료는 휘발유, 디젤유 등이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바이오디젤유 등과 같은 것들도 사용되고 있다. 물론 통상적으로 연료가 상품화되는 과정에서 여과를 수행하여 연료 내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을 거치기는 하나, 이물질이 완벽하게 제거되기는 어려우며 따라서 실제로는 연료 내에 이물질이 혼입되어 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더불어 디젤유는 물질 특성상 휘발유에 비하여 온도가 떨어짐에 따라 좀 더 응고가 빨리 일어나는 편이며, 더불어 그 생산 과정의 특성상 수분이 상대적으로 많이 함유되기 때문에 특히 저온 환경 시 연료 내에 수분이 얼어서 덩어리진 형태로 포함되어 있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이 때 리저버에, 이물질이 혼입되어 있거나, 연료 내 수분이 얼거나 응고되어 덩어리가 생긴 연료가 유입되는 경우, 이러한 이물질, 연료 자체 또는 연료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이 얼어서 발생된 응고물 등은, 리저버 내의 연료를 연료 송출관을 통해 엔진으로 공급하기 위해 작동되는 펌프의 흡입부에 걸리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이물질이 펌프에 걸리게 되면 당연히 연료 송출관으로의 연료 흡입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며, 따라서 엔진으로의 연료 공급 역시 불량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종래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조가 개시되었다. 도 2(A)는 한국특허등록 제0898217호("연료펌프의 이물질 제거구조", 이하 선행기술 1)로서, 선행기술 1에서는 엔진으로부터 리턴되는 연료의 압력에 의한 연료탱크 내의 연료가 유입 가능하도록 연료유입부가 구비된 리저버컵; 상기 리저버컵 내부의 연료유입부 측에 설치되는 체크밸브; 상기 연료탱크 내의 연료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리저버컵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프리필터; 및 상기 리저버컵 내의 연료 유량이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체크밸브를 폐쇄시키고,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체크밸브를 개방시키는 개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의 이물질 제거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도 2(B)는 한국특허공개 제1998-0060428호("자동차 연료 탱크의 리저버 컵 구조", 이하 선행기술 2)로서, 선행기술 2에서는 연료 탱크에 내재된 리저버 컵과, 상기 리저버 컵 내에 다수 설치되고 상측부의 일측 위치에 배출구가 형성된 보조 리저버실과, 엔진에서 회송되는 연료가 상기 리저버 컵과 다수의 보조 리저버실에 각각 회송되도록 중간에서 분기되는 리턴 파이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 탱크의 리저버 컵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선행기술 1 및 선행기술 2에서는, 각각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펌프의 흡입부 위치에 필터(도 2(A)의 도면부호 30, 도 2(B)의 도면부호 54)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펌프로 유입되는 연료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펌프에 직접 구비되는 필터의 경우,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펌프의 흡입부 위치에 구비되기 때문에 이물질이 누적되었을 때 이를 세척하거나 또는 교체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필터에 이물질이 누적되게 되면, 펌프가 연료를 흡입하기 어려워지게 되어 연료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는 여전히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필터의 교체나 세척 작업을 하여야만 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그 구조적 특성상 이러한 작업에 시간 및 비용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 또한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 내의 이물질이 연료 송출관의 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이를 통해 리저버의 유지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해 주는 연료 탱크 리저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료 탱크 리저버는, 연료 탱크(300) 내에 구비되는 리저버(100)로서, 엔진(200)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송출관(120)이 연결되며 연료를 수용하는 수용부(110)와, 상기 연료 송출관(120)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110) 내에 수용된 연료를 상기 엔진(300)으로 송출시키는 펌프(130)와, 상기 수용부(110)에 연결되어 상기 연료 탱크(300) 내의 연료를 상기 수용부(110) 내로 공급하는 공급부(140)와, 상기 수용부(110) 내에 수용된 연료의 양을 측정하는 측정부(150)를 포함하는 리저버(100)에 있어서, 상기 펌프(130)의 흡입부 위치에 구비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160) 및 상기 공급부(140)가 그 내부에 수용되도록 배치 형성되는 선행 필터(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선행 필터(170)는 상기 선행 필터(170)에서 여과 가능한 최소 입자 크기가 상기 필터(160)에서 여과 가능한 최소 입자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행 필터(170)는 상기 리저버(10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료 탱크 내에 구비되는 리저버에 있어서, 리저버 내로 연료를 공급하는 공급부 주변에 선행 필터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엔진으로 연료를 송출하는 펌프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막히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는 큰 효과가 있다. 종래에도 펌프의 흡입부 부근에 필터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기도 하였으나, 본 발명의 선행 필터가 더 구비됨으로써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걸러낼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펌프에 구비되는) 필터의 경우 구조나 위치상 교체, 세척 등이 어려운 문제가 있어 걸러낸 이물질의 양이 누적되어 필터가 막힐 경우 엔진으로의 연료 공급이 불안정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선행 필터에 의해 일차적으로 연료 내 이물질들이 걸러진 후 펌프로 흡입되도록 하기 때문에 펌프에 구비되는 필터의 수명을 훨씬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선행 필터가 쉽게 탈착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해 줌으로써, 선행 필터에 많은 이물질이 누적되어 리저버로의 연료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선행 필터를 교체하거나 빼내어 세척 후 다시 조립하여 주기만 하면 되므로, 차량의 유지 관리 시간 및 비용을 크게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선행 필터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이에 따라 기존의 다양한 형태의 리저버에 유연하게 적용이 가능한 높은 호환성을 가지며, 또한 이러한 장점들에 의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이 뛰어난 큰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연료 탱크 리저버.
도 2는 종래의 연료 탱크 리저버.
도 3은 본 발명의 연료 탱크 리저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연료 탱크 리저버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연료 탱크 리저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리저버(100)의 기본적인 형태는 종래의 리저버와 동일하다. 즉 본 발명의 리저버(100)도 기본적으로는 연료 탱크(300) 내에 구비되는 리저버(100)로서, 엔진(200)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송출관(120)이 연결되며 연료를 수용하는 수용부(110)와, 상기 연료 송출관(120)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110) 내에 수용된 연료를 상기 엔진(300)으로 송출시키는 펌프(130)와, 상기 수용부(110)에 연결되어 상기 연료 탱크(300) 내의 연료를 상기 수용부(110) 내로 공급하는 공급부(140)와, 상기 수용부(110) 내에 수용된 연료의 양을 측정하는 측정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물론 본 발명의 리저버(100) 역시, 상기 공급부(140)는 (상기 연료 탱크(300)의 형태에 따라) 적어도 1개 이상의 제트 펌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엔진(200)으로부터 리턴되는 연료가 배출되는 유로가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는 등, 다른 구조를 더 채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 때, 본 발명의 리저버(100)는, 상기 펌프(130)의 흡입부 위치에 구비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160) 및 상기 공급부(140)가 그 내부에 수용되도록 배치 형성되는 선행 필터(pre-filter, 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즉 본 발명의 리저버(100)에서는 상기 필터(160)를 이용하여 상기 펌프(130)로 흡입되는 연료의 이물질이 여과되도록 하되, 그 이전에 상기 선행 필터(170)를 이용하여 상기 필터(160)를 통과하기 전에 연료를 1차적으로 먼저 여과하도록 하는 것이다.
연료의 흐름에 따라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필터(160) 및 상기 선행 필터(170)가 없는 기본적인 리저버(100')의 경우, 즉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리저버(100')의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연료 탱크(300')에 수용되어 있는 연료는 먼저 상기 공급부(140')를 통해 상기 리저버(100')의 상기 수용부(110') 내로 공급된다. 상기 수용부(110') 내에 수용된 연료는 상기 펌프(130')에 의하여 흡입되어, 상기 연료 송출관(120')을 통해 상기 엔진(200')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 때, 특히 연료가 디젤유인 경우 연료 내에 이물질이나 저온으로 인한 응고물 등이 혼합되어 존재하게 되고, 이러한 이물질 등이 상기 엔진(200')으로 직접 공급될 경우 연비가 떨어지게 되거나 작동 불량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고, 또한 이물질 등으로 인하여 상기 연료 송출관(120')이나 상기 펌프(130') 흡입부가 막히게 되는 경우 상기 엔진(200')으로의 연료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큰 문제가 발생한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연료 송출관(120') 또는 상기 펌프(130')를 세척하거나 교체하여야 하는 등의 작업을 해야 해서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가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펌프(130)의 흡입부에 상기 필터(160)가 구비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공급부(140)를 둘러싸는 상기 선행 필터(170)가 구비되도록 하여 이물질을 이중으로 걸러내도록 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서의 연료의 흐름은, 먼저 상기 공급부(140)를 통해 연료가 흡입되어 오면, 먼저 상기 선행 필터(170)를 통과함으로써 1차적으로 이물질 등이 걸러지고, 다음으로 상기 펌프(130)의 흡입부로 빨려들어가는 과정에서 다시 상기 필터(160)를 통과함으로써 2차로 이물질이 걸러져서 상기 펌프(130)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중으로 연료가 여과됨으로써, 상기 연료 송출관(120)을 통해 상기 엔진(200)으로 유입되는 연료는 이물질이 없는 깨끗한 연료가 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료는 상기 선행 필터(170)를 먼저 통과하면서 1차 여과되고, 다음으로 상기 필터(160)를 통과하면서 2차 여과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기 선행 필터(170)는 상기 선행 필터(170)에서 여과 가능한 최소 입자 크기가 상기 필터(160)에서 여과 가능한 최소 입자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선행 필터(170)에서 일단 큰 입자들을 먼저 걸러내도록 하고, 이후 상기 필터(160)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들을 걸러내도록 함으로써, 이중 여과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또다른 장점을 상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종래기술들의 경우, 본 발명에서의 상기 필터(160)에 해당되는 필터만이 채용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필터(160)만 존재하는 경우, 이물질이 상기 필터(160) 하나로만 여과되기 때문에 상기 필터(160)에 이물질이 집중적으로 누적되게 됨은 당연하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160)에의 이물질 누적량이 너무 많아지면 결국 상기 필터(160)가 막히거나 또는 거의 막힌 상태의 상기 필터(160)를 통해 연료를 빨아들이기 위해 상기 펌프(130)에서 지나친 에너지 소비가 일어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필터(160)를 세척하거나 교체하는 작업을 해야 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160)는 상기 펌프(130)의 흡입부 위치, 즉 상기 펌프(130)와 상기 수용부(110) 바닥 사이의 좁은 공간에 설치되기 때문에, 작업 공간이 매우 협소하고 분해 및 조립 또한 난해하여 역시 세척이나 교체 등의 작업을 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필터(160) 뿐만 아니라 상기 선행 필터(170)를 채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선행 필터(1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140)를 둘러싸도록, 즉 상기 공급부(140)가 상기 선행 필터(170) 내에 수용된 형태로 배치되도록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선행 필터(170)는 물론 당연히 상기 리저버(10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한다. 그 구비되는 위치나 형태 등으로도 알 수 있듯이, 상기 선행 필터(170)는 상기 공급부(140)를 둘러쌀 수 있도록만 형성되면 되기 때문에 제작이 간편하고 또한 상기 리저버(100)에 조립하거나 분해하기 쉽도록 만들기가 매우 용이하다. 일례로 상기 선행 필터(170)를 함체 형태로 만들어서 상기 수용부(110)에 볼트 결합을 시키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수용부(110)의 벽면 및 바닥면에 탭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선행 필터(170)의 가장자리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는 등, 착탈이 편리하면서도 매우 간단한 구조를 쉽게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행 필터(170)가 구비되는 위치는 상기 필터(160)가 구비되는 위치에 비해 훨씬 작업 공간이 넓고 시야가 용이하게 확보되는 위치이므로, 이러한 분해 및 조립 작업 등이 훨씬 쉽게 이루어질 수 있어, 시간과 비용이 크게 절약될 수 있다.
즉, 상기 선행 필터(170)를 구비시킴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입자 크기가 큰 이물질은 상기 선행 필터(170)에서 1차적으로 걸러지게 되므로, 이물질의 여과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이물질 누적량이 많아져서 상기 선행 필터(170)가 막히게 된다고 해도 이를 세척 또는 교체하는 작업이 훨씬 용이해져서, 이러한 작업에 드는 시간 및 비용의 비약적인 저감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에 따라 상기 필터(160)에 세척 또는 교체가 필요할 때까지 이물질이 누적되는 시간이 훨씬 길어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필터(160)의 수명을 크게 연장시켜 주는 효과 또한 얻을 수 있다.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선행 필터(170)는 매우 간단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어, 기존의 다양한 형태의 리저버에 매우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에 따르면, 리저버를 새로 설계하지 않고도 기존의 리저버에 쉽게 본 발명의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본 발명의) 리저버 110: 수용부
120: 연료 송출관 130: 펌프
140: 공급부 150: 측정부
160: 필터 170: 선행 필터
200: 엔진 300: 연료 탱크

Claims (3)

  1. 연료 탱크(300) 내에 구비되는 리저버(100)로서, 엔진(200)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송출관(120)이 연결되며 연료를 수용하는 수용부(110)와, 상기 연료 송출관(120)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110) 내에 수용된 연료를 상기 엔진(300)으로 송출시키는 펌프(130)와, 상기 수용부(110)에 연결되어 상기 연료 탱크(300) 내의 연료를 상기 수용부(110) 내로 공급하는 공급부(140)와, 상기 수용부(110) 내에 수용된 연료의 양을 측정하는 측정부(150)를 포함하는 리저버(100)에 있어서,
    상기 펌프(130)의 흡입부 위치에 구비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160) 및
    상기 공급부(140)가 그 내부에 수용되도록 배치 형성되는 선행 필터(1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리저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 필터(170)는
    상기 선행 필터(170)에서 여과 가능한 최소 입자 크기가 상기 필터(160)에서 여과 가능한 최소 입자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리저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 필터(170)는
    상기 리저버(10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리저버.
KR20100138404A 2010-12-30 2010-12-30 연료 탱크 리저버 KR2012007672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8404A KR20120076726A (ko) 2010-12-30 2010-12-30 연료 탱크 리저버
US13/337,663 US20120168006A1 (en) 2010-12-30 2011-12-27 Reservoir for fuel tank
CN2011104513417A CN102562386A (zh) 2010-12-30 2011-12-29 燃料箱储存器
BRPI1105732A BRPI1105732A2 (pt) 2010-12-30 2011-12-30 reservatório para tanque de combustív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8404A KR20120076726A (ko) 2010-12-30 2010-12-30 연료 탱크 리저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726A true KR20120076726A (ko) 2012-07-10

Family

ID=46379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38404A KR20120076726A (ko) 2010-12-30 2010-12-30 연료 탱크 리저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168006A1 (ko)
KR (1) KR20120076726A (ko)
CN (1) CN102562386A (ko)
BR (1) BRPI110573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6688B2 (en) * 2013-02-28 2018-10-02 Gvs Filtration Inc. In-tank suction filter as the reserve cavity for a fluid delivery module assembly
FR3085278B1 (fr) * 2018-09-05 2023-01-06 Plastic Omnium Advanced Innovation & Res Reservoir pour retenir un contaminant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575Y2 (ja) * 1987-04-07 1995-02-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タンク用フィルタ装置
US5070849A (en) * 1991-02-15 1991-12-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Modular fuel delivery system
US5218942A (en) * 1992-11-30 1993-06-15 General Motors Corporation Modular fuel sender for motor vehicle
DE4242242C2 (de) * 1992-12-15 2003-04-30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Versorgen der Brennkraftmaschine eines Kraftfahrzeuges mit in einem Vorratstank vorhandenem Kraftstoff
JP3556983B2 (ja) * 1994-12-28 2004-08-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US5647328A (en) * 1995-06-30 1997-07-15 Walbro Corporation In-tank fuel pump and reservoir
JP2839861B2 (ja) * 1995-07-18 1998-12-16 株式会社デンソー インタンク式燃料ポンプ装置
JP2810020B2 (ja) * 1996-07-16 1998-10-15 オーエム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燃料取出装置
FR2798164B1 (fr) * 1999-09-07 2001-11-23 Marwal Systems Dispositif de puisage de carburant pour reservoir de vehicule automobile
DE29922474U1 (de) * 1999-12-22 2001-05-03 Bosch Gmbh Robert Kraftstoffversorgungseinrichtung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eines Kraftfahrzeugs
EP1486662A1 (en) * 2002-03-18 2004-12-1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Fuel supply
US6913002B2 (en) * 2002-12-13 2005-07-05 Hitachi, Ltd. Fuel feed system
JP2006336524A (ja) * 2005-06-01 2006-12-14 Hitachi Ltd 燃料供給装置
US20110041931A1 (en) * 2009-08-21 2011-02-24 Gm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iesel Fuel Pump Module with Fuel Wax By-Pass
US8469008B2 (en) * 2009-12-17 2013-06-25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Return fuel diffusion device and fuel guide
KR101222021B1 (ko) * 2010-01-15 2013-02-08 주식회사 코아비스 연료송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62386A (zh) 2012-07-11
BRPI1105732A2 (pt) 2016-03-29
US20120168006A1 (en)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53075B1 (en) Automatic water drain for suction fuel water separators
KR101425391B1 (ko) 유체 연료에 존재하는 물, 특히 디젤 오일로부터 물을 분리및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4701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fuel within fuel tank
US201402313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Fuel Within Fuel Tank
US8460542B2 (en) Suction filter and fuel supply device
CN204436898U (zh) 一种液压油箱
KR20120076726A (ko) 연료 탱크 리저버
KR100985415B1 (ko) 연료펌프모듈
KR200477233Y1 (ko) 자동차의 흡기장치를 클리닝하는 흡기 클리닝 장치
KR101295912B1 (ko) 연료 탱크 리저버
US20040069700A1 (en) Fuel filter assembly, and a method of changing a fuel filter within a fuel system
CN111120848A (zh) 一种商用车润滑系统清洗换油设备
CN201650530U (zh) 手压泵除水滤清器
KR20090033664A (ko) 외장형 연료필터가 장착된 가스차량용 연료공급장치
US11020693B2 (en) Fuel filter for cleaning fuel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205638749U (zh) 燃油泵总成、燃油供给系统及车辆
CN103089751A (zh) 一种改进的油过滤器
CN105986594A (zh) 挖土机
CN219025291U (zh) 一种发电机油箱清洗装置
CN207980578U (zh) 一种过滤效率高的柴油滤芯
CN214118282U (zh) 发动机系统及车辆
CN220495686U (zh) 一种水利清淤疏通装置
CN201362173Y (zh) 燃油供给装置以及具有该燃油供给装置的燃油供给系统
CN208260333U (zh) 一种方形泥沙过滤装置
CN206814508U (zh) 燃油机水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