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6459A - 배송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배송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6459A
KR20120076459A KR20100117711A KR20100117711A KR20120076459A KR 20120076459 A KR20120076459 A KR 20120076459A KR 20100117711 A KR20100117711 A KR 20100117711A KR 20100117711 A KR20100117711 A KR 20100117711A KR 20120076459 A KR20120076459 A KR 20120076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elivery
image
lo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17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훈
김현국
송재관
김동호
정훈
박종흥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20100117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6459A/ko
Priority to US13/204,312 priority patent/US20120127202A1/en
Publication of KR20120076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4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79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7Output of additional, non-guidance related information, e.g. low fuel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물류 배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최적의 배달 경로 생성 및 배달률 향상을 통한 물류 배송의 효율화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달원이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기, 물류 정보 시스템 및 이통사 서버로 구성되며, 배달원이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배달 예정 지역을 영상 스캔하면 설정된 구역 단위별로 지역 내 배달점의 상세 배달 정보 및 고객이 주소지 인근에 위치하는지를 모바일 기기에서 표시해 주고, 최적의 배달 경로를 생성해 준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류 배달에 필요한 해당 지역 배달점들의 최적 배달 경로와 수신인이 배달점 혹은 인근에 존재하는지를 파악하여 배달원에 알려주므로 배달 실패율을 낮추고 해당 지역에 새로 부임하는 배달원이라도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배달 업무를 완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배송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elivery information}
본 발명은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을 이용하여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택배, 우편 등의 물류 업무를 수행하는 배달원은 다량의 배달 물품을 차량에 적재하고 출발하거나 특정 지역에 도착하였을 때 경험에 의해 배달 경로를 설정한다. 이러한 경우에 새로운 배달 지역을 담당하는 직원은 해당 지역의 경로나 물류 특성을 이해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으며 익숙해지기까지 많은 시간을 소모해야 한다. 또한, 수신 고객이 부재시에 재방문하거나 경비실에 위탁하는 등의 부가 업무를 수행해야 하고, 이러한 번거로움을 방지하기 위해 사전에 일일이 전화를 하는 등의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따라서, 다량의 물류 배달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증강현실 및 위치 확인 기술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다량 물품 배달을 위한 최적의 경로를 생성하는 배송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물류 배달원이 배달하고자 하는 지역에 가서 배달 예정 지역을 영상 스캔하면 설정된 구역 단위별로, 예컨대 건물별이나 블록별로, 지역 내 배달점의 상세 배달 정보와, 예컨대 상세주소, 수신인명, 가상 전화번호, 물품명 등과, 최적의 배달 경로를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표시해주며, 영상 인식부와 GPS 모듈을 갖추어 지역 내 배달점의 주소 매핑 정보를 생성하는 모바일 단말기;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배달 지역 매핑 정보를 배달 예정 주소 리스트와 함께 비교하여 해당 상세 배달 정보 및 최적 경로를 모바일 단말기에 제공하는 물류 정보 시스템; 및 수신 고객이 현재 배달지 인근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해주는 이통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물류 배달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물류 정보 시스템과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획득부; 촬영한 영상의 위치를 파악하는 GPS 모듈; 및 영상 정보와 GPS 위치 정보를 결합한 후 해당 영상에 해당하는 주소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GPS 정보 매핑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류 정보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 및 이통사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물류를 배달 혹은 픽업할 주소, 수신인 및 발신인 성명, 전화번호, 품목 등의 정보를 포함한 배달정보 DB;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주소 정보를 제공받아 배달 정보 DB 상의 배달 및 픽업 예정 리스트와 비교하여 배달 혹은 픽업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비교부;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발송인 및 수신인의 전화번호를 가상으로 생성 및 보관하는 가상 전화번호 관리부; 생성된 배달 혹은 픽업 주소의 순서 경로를 최적화하여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통사 서버는, 물류 정보 시스템과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배달원이 물류 정보 시스템을 통해 수신인 혹은 발송인이 해당 주소지 인근 허용 범위 내에 위치하는 지를 확인해주는 휴대전화 기반의 위치 확인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물류 배달 방법에 있어서, 물류 배달을 수행하는 배달원이 아파트, 건물 들 특정 지역에 도착하면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배달 예정 지역을 스캔하는 단계; 스캔한 지역의 영상 및 GPS 정보를 결합한 후 주소를 매핑하여 배달점 주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주소 정보를 물류 정보 시스템의 정보 비교부로 전송하는 단계; 정보 비교부에서 수신받은 배달점 주소 정보를 배달 정보 DB 상의 배달 혹은 픽업할 주소 리스트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부합하는 배달 혹은 픽업 주소에 대해 경로 생성부에서 최적의 순로를 생성하는 단계; 순로에 포함된 배달 혹은 픽업 주소지의 고객이 주소지 인근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이통사 서버의 위치 확인부에 요청하는 단계; 위치 확인부에서 고객의 주소지 위치 존재 여부를 물류 정보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 정보 비교부에서 고객 위치 여부를 포함한 스캔한 지역의 배달 및 순로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모바일 단말기에서 배달 및 순로 정보를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화면 상에서 배달원이 볼 수 있도록 표시하는 단계; 배달원이 고객의 주소지 혹은 인근 위치 여부에 관계없이 제시된 순로대로 배달하고자 할 경우(ex. 이웃 배달점 위탁 혹은 고객이 원하는 인근 장소 보관 등)에 배달을 수행하는 단계; 만약 배달원이 고객이 주소지 혹은 인근에 위치하지 않는 배달점에 대해 추후 혹은 별도 배달을 선택하는 경우, 물류 정보 시스템의 경로 생성부에 고객 부재 배달점 삭제 등의 순로 조정을 요청하는 단계; 경로 생성부는 해당 배달점을 제외한 배달점 리스트에 대해 최적의 순로를 조정하여 재생성하는 단계; 정보 비교부에서는 조정된 순로에 기반한 해당 지역의 배달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재전송하는 단계; 및 배달원은 표시된 배달 정보 및 순로대로 배달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물류 배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증강현실 및 위치 확인 기술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다량 물품 배달을 위한 최적의 경로를 생성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물류를 배달하는 배달원이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예정된 배달 지역의 이미지를 스캔하는 동작만으로 해당 지역의 배달 주소, 수신인 정보 등의 배달 정보와 고객의 주소지 위치 여부 및 최적의 배달 순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배달 과정에서 픽업 요청이 들어오면 실시간으로 순로의 재조정이 가능해지며, 물류 배송 및 픽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세째, 배달원의 경험에 의존하지 않고 IT 시스템이 배달 업무를 지원함으로써 해당 지역에 신규로 배치된 배달원도 손쉽게 효과적으로 배달 업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회 비용을 창출하고 시간 절감이 가능해진다. 네째, 배달 직전에 수신인에게 일일이 전화로 재택 여부나 방문했는데 부재한 관계로 재방문하겠다는 연락을 취하지 않아도 되며, 이에 따라 통신 비용 절감 및 업무 부하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다섯째, 배달 전용, 픽업 전용, 배달 및 픽업 혼용 등 다양한 시스템 활용이 가능해지며, 효과적인 물류 배송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송 정보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물류 배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물류 배달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상세 구성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물류 배달 시스템을 구성하는 물류 정보 시스템에 대한 상세 구성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물류 배달 시스템을 구성하는 이통사 서버에 대한 상세 구성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송 정보 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물류 배달 시스템에서 물류 배달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송 정보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배송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영상 획득부(110), 배송 경로 생성부(111), 표시부(112) 및 주제어부(113)를 포함한다.
영상 획득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건물을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 획득부(110)는 물건을 배송하는 자가 휴대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한다.
배송 경로 생성부(111)는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얻은 목적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적합한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배송 경로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에서, 목적지는 물건 수신처를 의미한다.
표시부(112)는 생성된 배송 경로를 현재 위치와 목적지가 모두 포함된 실사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더불어, 표시부(112)는 물건 수신자의 물건 수신 가능 여부도 함께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주제어부(113)는 배송 정보 제공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각 부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배송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위치 획득부(120)와 어드레스 값 생성부(121)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위치 획득부(120)는 영상이 획득된 장소나 획득된 영상에 있는 건물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어드레스 값 생성부(121)는 획득된 위치 정보를 획득된 영상에 맵핑시켜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일 지점에 대한 어드레스 값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배송 정보 제공 시스템(100)이 위치 획득부(120)와 어드레스 값 생성부(121)를 더욱 포함함을 고려할 때, 배송 경로 생성부(111)는 주소 추출부(111a)와 경로 생성부(111b)를 포함할 수 있다. 주소 추출부(111a)는 생성된 어드레스 값에 대한 주소 정보를 미리 저장된 주소 정보들 중에서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경로 생성부(111b)는 추출된 주소 정보를 기초로 물건 수신처 또는 물건 수신자의 위치에 근거한 배송 경로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에서, 물건 수신처에 근거한 배송 경로는 예컨대 물건 배달 장소까지의 경로일 수 있다. 물건 수신자의 위치에 근거한 배송 경로는 예컨대 물건 수신자와의 픽업 장소까지의 경로일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물건 수신자와의 픽업 장소까지의 경로는 물건 수신자와의 통화를 통해 임의 지정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배송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가상 정보 관리부(130)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가상 정보 관리부(130)는 물건의 발송을 의뢰한 자 또는 물건 수신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가상 정보로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상 정보 관리부(130)는 물건 수신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가상 정보로 생성할 때 가상 정보로 가상 전화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가상 정보 관리부(130)는 영상이 획득되면 생성된 가상 전화번호를 물건 수신자가 사용중인 실제 전화번호로 변환하여 물건 수신자의 위치를 요청한다. 한편, 가상 정보 관리부(130)는 물건의 배송 완료가 확인되면 생성된 가상 정보를 삭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상 정보 관리부(130)가 물건 수신자의 위치를 요청하는 점을 고려할 때, 배송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위치 인식부(140), 위치 판단부(141) 및 알림부(142)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인식부(140)는 가상 정보 관리부(130)의 요청에 근거하여 물건 수신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위치 판단부(141)는 인식된 위치가 물건 수신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알림부(142)는 인식된 위치 또는 판단 결과값을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배송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수신 여부 결정부(143)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알림부(142)로부터 인식된 위치가 수신되면, 수신 여부 결정부(143)는 인식된 위치가 물건 수신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한 뒤 판단에 따른 결과를 기초로 물건 수신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반면, 알림부(142)로부터 판단 결과값이 수신되면, 수신 여부 결정부(143)는 판단 결과값에 기초하여 물건 수신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배송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수신 가능 판단부(미도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수신 가능 판단부는 생성된 가상 정보에 기초하여 물건 수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신 가능 판단부는 가상 정보로 가상 전화번호가 생성되면 가상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한다. 이후, 대화 내용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특정값을 입력하면 그 입력값에 따라 물건 수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거나, 대화 내용을 음성 인식을 통해 분석하여 물건 수신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바람직한 형태의 배송 정보 제공 시스템을 일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송 정보 제공 시스템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물류 배달 시스템으로서, 물품을 배송하는 배달원이 GPS 모듈과 카메라가 내장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배달하고자 하는 지역에 가서 배달 예정 지역을 영상 스캔하면 설정된 구역 단위별로 지역 내 배달점의 상세 배달 정보, 고객이 주소지 인근에 위치하는지 여부, 최적의 배달 경로 등을 생성하여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표시해주는 시스템이다. 본 시스템에 따르면, 배달원은 현장에서 해당 지역의 배달 리스트를 단말 상에서 일목요연하게 확인하고 효과적인 배달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구역 단위는 예컨대 건물이나 블록이 기준이 될 수 있으며, 상세 배달 정보로는 상세 주소, 수신인명, 가상 전화번호, 물품명 등이 있다.
물류 배송을 위해 번거로운 과정을 생략하고 효과적인 방법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물류 배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모바일 단말기(200)는 GPS 모듈과 카메라를 포함하며, 주소로 매핑한 영상 및 위치 정보를 물류 정보 시스템(210)으로 전송한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200)는 물류 정보 시스템(210)으로부터 제공받은 상세 배달 정보를 표시해 준다. 모바일 단말기(200)는 통신 인터페이스, 영상 획득부, GPS 모듈 및 영상/GPS 정보 매핑부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물류 정보 시스템(210)과 통신을 하기 위한 것이다. 영상 획득부는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다. GPS 모듈은 촬영한 영상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다. 영상/GPS 정보 매핑부는 영상 정보와 GPS 위치 정보를 결합한 후 해당 영상에 해당하는 주소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모바일 단말기(200)의 내부 구성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내용을 참조한다.
물류 정보 시스템(210)은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받은 배달 지역 매핑 정보를 배달 예정 주소 리스트와 비교하여 해당 상세 배달 정보 및 경로를 모바일 단말기(200)에 제공해 준다. 물류 정보 시스템(210)은 통신 인터페이스, 배달 정보 DB(DataBase), 정보 비교부, 가상 전화번호 관리부 및 경로 생성부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모바일 단말기(200) 및 이통사 서버(220)와 통신하는 것이다. 배달 정보 DB는 물류를 배달 혹은 픽업할 주소, 수신인 및 발신인 성명, 전화번호, 품목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정보 비교부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주소 정보를 제공받아 배달 정보 DB 상의 배달 및 픽업 예정 리스트와 비교하여 배달 혹은 픽업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가상 전화번호 관리부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발송인 및 수신인의 전화번호를 가상으로 생성 및 보관하는 것이다. 경로 생성부는 생성된 배달 혹은 픽업 주소의 순서 경로를 최적화하여 생성하는 것이다. 물류 정보 시스템(210)의 내부 구성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내용을 참조한다.
이통사 서버(220)는 이동통신사 서버를 의미하며, 수신 고객이 현재 배달지 인근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해 준다. 이통사 서버(220)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위치 확인부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물류 정보 시스템(210)과 통신하는 것이다. 위치 확인부는 배달원이 물류 정보 시스템(210)을 통해 수신인 혹은 발송인이 해당 주소지 인근 허용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해 주는 휴대 전화 기반의 것이다. 이통사 서버(220)의 내부 구성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내용을 참조한다.
배달원이 휴대하는 모바일 단말기(200)는 네트워크(230)를 통하여 물류 정보 시스템(210) 및 이통사 서버(220)와 연결되어 있다. 모바일 단말기(200), 물류 정보 시스템(210) 및 이통사 서버(220)는 기본적인 자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포함하고, 구성요소 상호간의 인터넷 통신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인터넷 통신 기술을 사용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모바일 단말기(200)에 대한 상세 구성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모바일 단말기(200)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201), 영상 획득부(202), GPS 모듈(203) 및 영상/GPS 정보 매핑부(204)를 포함한다.
제1 통신 인터페이스(201)는 네트워크(230)를 이용하여 물류 정보 시스템(210), 이통사 서버(220)와 통신한다.
영상 획득부(202)는 모바일 단말기(200)가 물류를 배달하고자 하는 빌딩 혹은 지역의 영상 정보를 얻고자 할 때, 해당 지역의 영상 정보를 획득한다.
GPS 모듈(203)은 영상 획득부(202)가 획득하는 빌딩 혹은 지역의 영상 정보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영상/GPS 정보 매핑부(204)는 영상 정보와 위치 정보를 결합 및 매핑하여 주소 정보를 생성하며, 이를 제1 통신 인터페이스(201)를 통해 물류 정보 시스템(210)으로 전송한다.
도 4는 물류 정보 시스템(210)에 대한 상세 구성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물류 정보 시스템(210)은 제2 통신 인터페이스(211), 배달 정보 DB(212), 가상 전화번호 관리부(213), 정보 비교부(214) 및 경로 생성부(215)를 포함한다.
제2 통신 인터페이스(211)는 네트워크(230)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200) 및 이통사 서버(220)와 통신한다.
배달 정보 DB(212)는 배달 혹은 픽업할 물류의 발송인/수신인 주소, 성명, 전화번호 및 품목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가상 전화번호 관리부(213)는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배송할 물품에 부착되는 운송장 및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보여지는 발송인/수신인의 전화번호를 1회용의 가상으로 생성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배송 완료 후에 자동 으로 삭제한다. 또한, 가상 전화번호 관리부(213)는 배달원이 모바일 단말기(200) 상에서 특정 건물이나 지역을 스캔하면 해당 지역에 포함된 배달 주소 정보의 가상 전화번호를 실제 전화번호로 변환하여 이통사 서버(220)에 고객이 위치에 있는지 확인을 요청한다.
정보 비교부(214)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211)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주소 정보와 배달 정보 DB(212) 상의 배달 혹은 픽업할 주소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주소 리스트를 생성한다.
경로 생성부(215)는 정보 비교부(214)에서 생성된 주소 리스트에 대해 최적의 배달 혹은 픽업이 포함된 순로를 생성하여 제2 통신 인터페이스(211)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도 5는 이통사 서버(220)에 대한 상세 구성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통사 서버(220)는 제3 통신 인터페이스(221)와 위치 확인부(222)를 포함한다.
제3 통신 인터페이스(221)는 네트워크(230)를 이용하여 물류 정보 시스템(210)과 통신한다.
위치 확인부(222)는 제3 통신 인터페이스(221)를 통해 물류 정보 시스템(210)으로부터 물류 수신인이 배달 주소지 혹은 인근에 위치하는지 휴대 전화번호를 통해 확인 요청을 받으면 여부를 확인하여 물류 정보 시스템(210)으로 알려준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물류 배송을 담당하는 배달원이 배송 예상 지역에 모바일 단말기를 대고 스캔하면, 증강현실 기술에 기반하여 해당 지역에 배달 내지는 픽업할 물품이 있을 경우 주소, 수신인, 가상 전화번호, 품목 등 배달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동시에 표시된 가상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수신인이 배달점 혹은 인근에 위치하는 배달점에 대해서 배달이 가능하다는 정보와 함께 최적의 순로를 표시해 주므로 배송에 걸리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한편, 가상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이유는 고객의 개인정보라고 할 수 있는 휴대전화 번호가 물품에 부착되는 운송장 및 배달원에 노출되어 개인정보 유출이 될 수 있기에 물류 정보 시스템에서 랜덤하게 생성하는 것이며, 배달 완료와 동시에 가상 전화번호는 사라지게 된다. 또한, 수신 고객 혹은 발송 고객의 위치 추적과 관련해서도 고객이 정확히 해당 주소지에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범위를 두어 해당 영역에 있는지를 확인만 해주는 것으로, 배달원에게 직접적인 고객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닌 지금 배달을 할 경우 고객이 주소지 혹은 인근에 있으므로 직접 전달이 가능하다는 정보만을 전달하기에, 중요한 물품의 경우 경비실 혹은 인근에 위탁할 필요가 없고, 배송 직전에 고객이 일일이 주소지에 있는지 전화하여 확인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 및 시간적인 측면에서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배송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배송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송 정보 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6을 참조한다.
먼저, 적어도 하나의 건물을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한다(영상 획득 단계, S600). 영상 획득 단계(S600)는 물건을 배송하는 자가 휴대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한다. 이후,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얻은 목적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적합한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배송 경로를 생성한다(배송 경로 생성 단계, S610). 이후, 생성된 배송 경로를 현재 위치와 목적지가 모두 포함된 실사 이미지 상에 표시하며, 물건 수신자의 물건 수신 가능 여부를 표시한다(표시 단계, S620).
바람직하게는, 영상 획득 단계(S600)와 배송 경로 생성 단계(S610)의 중간 단계로서, 위치 획득 단계와 어드레스 값 생성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위치 획득 단계는 영상이 획득된 장소나 획득된 영상에 있는 건물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어드레스 값 생성 단계는 획득된 위치 정보를 획득된 영상에 맵핑시켜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일 지점에 대한 어드레스 값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위치 획득 단계와 어드레스 값 생성 단계가 수행될 경우, 배송 경로 생성 단계(S610)는 주소 추출 단계와 경로 생성 단계로 세분될 수 있다. 주소 추출 단계는 생성된 어드레스 값에 대한 주소 정보를 미리 저장된 주소 정보들 중에서 추출하는 단계이다. 경로 생성 단계는 추출된 주소 정보를 기초로 물건 수신처 또는 물건 수신자의 위치에 근거한 배송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는, 영상 획득 단계(S600)의 이전 단계로서 가상 정보 관리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가상 정보 관리 단계는 물건의 발송을 의뢰한 자 또는 물건 수신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가상 정보로 생성하는 단계이다. 본 실시예에서 가상 정보 관리 단계는 영상 획득 단계(S600)와 배송 경로 생성 단계(S610)의 중간 단계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가상 정보 관리 단계는 물건 수신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가상 정보로 생성할 때 가상 정보로 가상 전화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가상 정보 관리 단계에서는 영상이 획득된 뒤 생성된 가상 전화번호를 물건 수신자가 사용중인 실제 전화번호로 변환하여 물건 수신자의 위치를 요청할 수 있다. 한편, 가상 정보 관리 단계는 물건의 배송 완료가 확인되면 생성된 가상 정보를 삭제한다.
가상 정보 관리 단계에서의 물건 수신자 위치 요청을 고려할 때, 위치 인식 단계, 위치 판단 단계 및 알림 단계가 더욱 수행될 수 있다. 위치 인식 단계는 상기 요청에 근거하여 물건 수신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이다. 위치 판단 단계는 인식된 위치가 물건 수신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알림 단계는 인식된 위치 또는 판단 결과값을 알려주는 단계이다. 위치 인식 단계, 위치 판단 단계 및 알림 단계는 가상 정보 관리 단계 이후에 수행되되, 영상 획득 단계와 배송 경로 생성 단계의 중간 단계로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알림 단계 이후에는 수신 여부 결정 단계가 더욱 수행될 수 있다. 수신 여부 결정 단계는 인식된 위치가 수신되면 인식된 위치가 물건 수신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한 뒤 판단에 따른 결과를 기초로 물건 수신 가능 여부를 결정하며, 판단 결과값이 수신되면 판단 결과값에 기초하여 물건 수신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한편, 가상 정보 관리 단계의 이후 단계로서 수신 가능 판단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수신 가능 판단 단계는 생성된 가상 정보에 기초하여 물건 수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배송 정보 제공 방법의 일례로써 증강현실을 이용한 물류 배달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물류 배달 시스템에서 물류 배달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물류 배달 방법은 배달원이 배달 현장에서 배달 예정 지역을 스캔하면 배달 및 최적 순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 배달 방법은, 다수의 물품을 배송하는 배달원이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배달 예정 지역에서 영상 스캔하는 제1 단계, 스캔한 지역의 영상 및 GPS 정보를 결합한 후 주소를 매핑하여 배달점 주소 정보를 생성하는 제2 단계, 생성된 주소 정보를 물류 정보 시스템의 정보 비교부로 전송하는 제3 단계, 정보 비교부에서 수신받은 배달점 주소 정보를 배달 정보 DB 상의 배달 혹은 픽업할 주소 리스트 정보와 비교하는 제4 단계, 부합하는 배달 혹은 픽업 주소에 대해 경로 생성부에서 최적의 순로를 생성하는 제5 단계, 순로에 포함된 배달 혹은 픽업 주소지의 고객이 주소지 인근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이통사 서버의 위치 확인부에 요청하는 제6 단계, 위치 확인부에서 고객의 주소지 위치 존재 여부를 물류 정보 시스템에 전송하는 제7 단계, 고객이 주소지 내지는 인근에 위치하지 않는 배달 주소의 경우 차후 배달 등으로 처리하고 나머지 주소에 대해 배달 순로를 재조정하는 제8 단계, 배달 순로 상의 주소 정보에 배달 정보 DB의 부가 정보를 더하여 최종 배달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9 단계,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신한 배달 정보를 포함한 순로 정보를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배달원이 볼 수 있도록 표시하는 제10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물류 배달을 수행하는 배달원이 아파트나 건물 등 특정 지역에 도착하면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배달 예정 지역을 스캔한다(S701). 스캔하면, 영상 획득부 및 GPS 모듈에서는 영상 정보 및 해당 영상 정보에 대한 GPS 기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S702). 이후, 영상/GPS 정보 매핑부에서는 영상 정보와 위치 정보를 결합하고 이에 대응하는 주소 정보를 생성한다(S703). 이후, 생성된 주소 정보를 제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물류 정보 시스템(210)으로 전송한다(S704).
물류 정보 시스템(210)의 정보 비교부에서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받은 주소 정보와 배달 정보 DB 상의 주소 리스트를 비교한다(S705). 비교 후, 경로 생성부에서는 부합하는 주소 리스트에 대해 최적의 배달 순로를 생성한다(S706). 발송인/수신인의 실제 전화번호와 1회용으로 생성된 가상 전화번호를 가지고 있는 가상 전화번호 관리부에서는 수신인의 가상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실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제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통사 서버(220)의 위치 확인부에 고객이 주소지 혹은 인근에 위치하는지 확인 요청한다(S707).
위치 확인부에서는 고객의 주소지 위치 존재 여부를 제3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물류 정보 시스템(210)으로 전송한다(S708).
정보 비교부에서는 고객 위치 여부를 포함한 스캔한 지역의 배달 및 순로 정보를 제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에 전송한다(S709).
모바일 단말기(200)에서는 배달 및 순로 정보를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화면 상에서 배달원이 볼 수 있도록 표시한다(S710). 배달원이 고객의 주소지 혹은 인근 위치 여부에 관계없이 제시된 순로대로 배달하고자 할 경우(S711), 예컨대 이웃 배달점 위탁 혹은 고객이 원하는 인근 장소 보관 등일 경우, 배달을 수행한다(S715). 배달원이 고객이 주소지 혹은 인근에 위치하지 않는 배달점에 대해 추후 혹은 별도 배달을 선택하는 경우(S711), 물류 정보 시스템(210)의 경로 생성부에 고객 부재 배달점 삭제 등의 순로 조정을 요청한다(S712). 이 경우 경로 생성부는 해당 배달점을 제외한 배달점 리스트에 대해 최적의 순로를 조정하여 재생성한다(S713). 이후, 정보 비교부에서는 조정된 순로에 기반한 해당 지역의 배달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200)로 재전송한다(S714). 이후, 배달원은 표시된 배달 정보 및 순로대로 배달을 수행한다(S715).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 물류 배달 시스템에 증강현실 기술과 위치 인식 기술을 접목시킨 것으로서, 배달원이 현장에서 해당 지역의 배달 리스트를 단말 상에서 일목요연하게 확인하고 효과적인 배달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기존 물류 배달 시스템을 개선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100 : 배송 정보 제공 시스템 110 : 영상 획득부
111 : 배송 경로 생성부 111a : 주소 추출부
111b : 경로 생성부 112 : 표시부
113 : 주제어부 120 : 위치 획득부
121 : 어드레스 값 생성부 130 : 가상 정보 관리부
140 : 위치 인식부 141 : 위치 판단부
142 : 알림부 143 : 수신 여부 결정부
200 : 모바일 단말기 201 : 제1 통신 인터페이스
202 : 영상 획득부 203 : GPS 모듈
204 : 영상/GPS 정보 매핑부 210 : 물류 정보 시스템
211 : 제2 통신 인터페이스 212 : 배달 정보 DB
213 : 가상 전화번호 관리부 214 : 정보 비교부
215 : 경로 생성부 220 : 이통사 서버
221 : 제3 통신 인터페이스 222 : 위치 확인부
230 : 네트워크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건물을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얻은 목적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적합한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배송 경로를 생성하는 배송 경로 생성부; 및
    생성된 배송 경로를 현재 위치와 목적지가 모두 포함된 실사 이미지 상에 표시하며, 물건 수신자의 물건 수신 가능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영상이 획득된 장소나 획득된 영상에 있는 건물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획득부; 및
    획득된 위치 정보를 획득된 영상에 맵핑시켜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일 지점에 대한 어드레스 값을 생성하는 어드레스 값 생성부
    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정보 제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경로 생성부는,
    생성된 어드레스 값에 대한 주소 정보를 미리 저장된 주소 정보들 중에서 추출하는 주소 추출부; 및
    추출된 주소 정보를 기초로 물건 수신처 또는 물건 수신자의 위치에 근거한 상기 배송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정보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물건의 발송을 의뢰한 자 또는 상기 물건 수신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가상 정보로 생성하는 가상 정보 관리부
    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정보 제공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정보 관리부는 상기 물건 수신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가상 정보로 생성할 때 상기 가상 정보로 가상 전화번호를 생성하며, 영상이 획득되면 생성된 가상 전화번호를 상기 물건 수신자가 사용중인 실제 전화번호로 변환하여 상기 물건 수신자의 위치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정보 제공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물건 수신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 인식부;
    인식된 위치가 물건 수신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 및
    인식된 위치 또는 판단 결과값을 알려주는 알림부
    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정보 제공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인식된 위치가 수신되면 인식된 위치가 물건 수신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한 뒤 판단에 따른 결과를 기초로 물건 수신 가능 여부를 결정하며, 판단 결과값이 수신되면 판단 결과값에 기초하여 물건 수신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수신 여부 결정부
    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정보 제공 시스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정보 관리부는 물건의 배송 완료가 확인되면 생성된 가상 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정보 제공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부는 물건을 배송하는 자가 휴대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정보 제공 시스템.
  10. 제 4 항에 있어서,
    생성된 가상 정보에 기초하여 물건 수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수신 가능 판단부
    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정보 제공 시스템.
  11. 적어도 하나의 건물을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단계;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얻은 목적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적합한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배송 경로를 생성하는 배송 경로 생성 단계; 및
    생성된 배송 경로를 현재 위치와 목적지가 모두 포함된 실사 이미지 상에 표시하며, 물건 수신자의 물건 수신 가능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정보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영상이 획득된 장소나 획득된 영상에 있는 건물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획득 단계; 및
    획득된 위치 정보를 획득된 영상에 맵핑시켜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일 지점에 대한 어드레스 값을 생성하는 어드레스 값 생성 단계
    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정보 제공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경로 생성 단계는,
    생성된 어드레스 값에 대한 주소 정보를 미리 저장된 주소 정보들 중에서 추출하는 주소 추출 단계; 및
    추출된 주소 정보를 기초로 물건 수신처 또는 물건 수신자의 위치에 근거한 상기 배송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정보 제공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물건의 발송을 의뢰한 자 또는 상기 물건 수신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가상 정보로 생성하는 가상 정보 관리 단계
    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정보 제공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정보 관리 단계는 상기 물건 수신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가상 정보로 생성할 때 상기 가상 정보로 가상 전화번호를 생성하며, 영상이 획득되면 생성된 가상 전화번호를 상기 물건 수신자가 사용중인 실제 전화번호로 변환하여 상기 물건 수신자의 위치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정보 제공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물건 수신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 인식 단계;
    인식된 위치가 물건 수신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 단계; 및
    인식된 위치 또는 판단 결과값을 알려주는 알림 단계
    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정보 제공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인식된 위치가 수신되면 인식된 위치가 물건 수신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한 뒤 판단에 따른 결과를 기초로 물건 수신 가능 여부를 결정하며, 판단 결과값이 수신되면 판단 결과값에 기초하여 물건 수신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수신 여부 결정 단계
    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정보 제공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정보 관리 단계는 물건의 배송 완료가 확인되면 생성된 가상 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정보 제공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 단계는 물건을 배송하는 자가 휴대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정보 제공 방법.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생성된 가상 정보에 기초하여 물건 수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수신 가능 판단 단계
    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정보 제공 방법.
KR20100117711A 2010-11-24 2010-11-24 배송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7645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17711A KR20120076459A (ko) 2010-11-24 2010-11-24 배송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13/204,312 US20120127202A1 (en) 2010-11-24 2011-08-05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elivery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17711A KR20120076459A (ko) 2010-11-24 2010-11-24 배송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459A true KR20120076459A (ko) 2012-07-09

Family

ID=46063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17711A KR20120076459A (ko) 2010-11-24 2010-11-24 배송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127202A1 (ko)
KR (1) KR201200764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4307A1 (ko) * 2015-06-15 2016-12-22 주식회사 메쉬코리아 배송 정보를 처리하고 출근을 확인하는 방법과 서버
US11468638B2 (en) 2020-12-22 2022-10-11 Kyndryl, Inc. Augmented reality object movement assista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805B1 (ko) * 2010-08-18 2013-11-18 주식회사 팬택 증강 현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4484787A (zh) * 2014-12-16 2015-04-01 四川创物科技有限公司 一种信息推送方法
WO2017087314A1 (en) * 2015-11-18 2017-05-26 Wal-Mart Stores, Inc. Apparatus to provide a 3-d stimulation-experience for a non-point-of-sale logistics and supply chain challenge
CN106651525B (zh) * 2016-12-28 2020-11-10 上海趣立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电商平台的增强现实位置导引方法及其系统
CN107169703A (zh) * 2017-05-08 2017-09-15 重庆金康特智能穿戴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智能穿戴设备及基于智能穿戴设备的物流管理方法
CN107464074B (zh) * 2017-06-19 2021-03-30 广东中冶地理信息股份有限公司 一种精确物流配送方法和系统
CN110705926A (zh) * 2018-07-09 2020-01-17 菜鸟智能物流控股有限公司 一种物流对象配送信息的获取方法、装置和系统
KR102577677B1 (ko) 2019-01-29 2023-09-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물류센터 자동화 시스템
CN112187299B (zh) * 2020-10-14 2021-04-16 九江数字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物流物联网定位校准系统
CN113014642B (zh) * 2021-02-24 2022-06-28 北京邮电大学 一种智能快件预约投递和取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4220B2 (en) * 2007-02-21 2012-07-31 Weiss Kenneth P Universal secure registry
US20090296990A1 (en) * 2008-05-30 2009-12-03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Evaluating driver walk distances and building types using overhead imager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4307A1 (ko) * 2015-06-15 2016-12-22 주식회사 메쉬코리아 배송 정보를 처리하고 출근을 확인하는 방법과 서버
US11468638B2 (en) 2020-12-22 2022-10-11 Kyndryl, Inc. Augmented reality object movement assist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27202A1 (en) 201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6459A (ko) 배송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202354B (zh) 隐患信息管理方法和系统
CN103416079B (zh) 用于获得与用户有关的视频内容的方法和装置
KR101735276B1 (ko) 택배 배송 시스템 및 택배 배송 방법
JPH04280139A (ja) 文書配送方法
KR20100092482A (ko) 소포 배달 시스템
CN102647396A (zh) 一种快递邮件收发系统及其方法
CN104751311A (zh) 一种快递预约的方法及系统
CN109255573A (zh) 一种在因特网环境下的快递柜投递方法
CN110675097A (zh) 物流对象管理设备以及物流对象投递、寄送控制方法及装置
CN112036790A (zh) 无人配送方法及装置
US20030220979A1 (en) Virtual mobile phone - SMS box
US20150172336A1 (en) Method of synchronous image sharing
CN110611908A (zh) 一种中间号保护用户号码隐私方法
US7650295B2 (en) Method, apparatus, and medium for remote approval of a delivery if the recipient is absent from the delivery location
KR20160022720A (ko) 운송장 자동 정리를 위한 택배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CN113298586A (zh) 订单信息处理方法及装置
CN115884444A (zh) 一种多个智能设备建立即时性无线通信交互网络的方法
JP2009120367A (ja) 荷物配送システム及び荷物配送方法
KR20160052249A (ko)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 및 시스템
JP2009017174A (ja) 情報提供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および移動通信端末
CN210895598U (zh) 门禁管理系统
CN112489315A (zh) 快递柜寄件方法、装置、智能设备和存储介质
CN111507666A (zh) 智能快递柜三合一投递系统
US8265254B2 (en) Auto-matching of a phone extension to a tracked individual within a dom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