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3427A - 마그네슘 주조롤의 이형제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마그네슘 주조롤의 이형제 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3427A
KR20120073427A KR1020100135193A KR20100135193A KR20120073427A KR 20120073427 A KR20120073427 A KR 20120073427A KR 1020100135193 A KR1020100135193 A KR 1020100135193A KR 20100135193 A KR20100135193 A KR 20100135193A KR 20120073427 A KR20120073427 A KR 20120073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agent
roll
casting roll
nozzle
head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5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2895B1 (ko
Inventor
한범수
최효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135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895B1/ko
Publication of KR20120073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22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formed by two cast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1/00Casting non-ferrous metals or metallic compounds so far as their metallurgical properties are of importance for the casting procedure; Selection of compositions therefor
    • B22D21/02Casting exceedingly oxidisable non-ferrous metals, e.g. in inert atmosphere
    • B22D21/04Casting aluminium or magnes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그네슘 주조롤의 이형제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한쌍의 주조롤로 이형제를 균일하게 분사시킴으로써, 주조졸에 용탕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마그네슘 주조롤의 이형제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그네슘 주조롤의 이형제 분사장치{APPARATUS FOR JETTING PARTING AGENT INTO MAGNESIUM CASTING ROLL}
본 발명은 마그네슘 주조롤의 이형제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한쌍의 주조롤로 이형제를 균일하게 분사시킴으로써, 주조졸에 용탕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마그네슘 주조롤의 이형제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박판의 주조방법에는 용강을 턴디쉬를 통하여 연속주조방법으로 슬라브를 제조하고, 이를 압연 및 사상작업을 거쳐 박판으로 제조하는 연속주조방법과, 회전하는 쌍롤에 직접용강을 퉁비하여 상기 롤을 통하여 슬라브의 압연 및 사상 작업없이 직접 박판을 제조하는 쌍롤식 박판주조방법이 있는데, 상기 후자는 연속주조방식의 여러공정을 거치지 않으면서도 박판을 직접 제조할 수 있어 원가측면에서 상당한 비용절감 및 공정을 줄일 수 있어 쌍롤식 박판주조방식에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이와 같은 종래의 쌍롤식 박판주조장치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속도로 회전하는 2개의 롤(10) 사이에 용강 저장용기(20)의 하측으로 설치된 침적노즐(22)을 통하여 용강(2)이 공급되면, 공급된 용강(2)이 롤(10)과 접촉하면서 응고각(A)를 형성하고, 상기 롤(10)이 회전함에 따라 롤 최근접점에서 주편(30)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박판주조장치에 있어서는, 롤(10)의 표면에 생성되는 오염물질인 용강(2)의 산화스케일이나 용강중의 기화성분이 Mn등이 산화하여 MnO증의 형태로 롤표면에 증착하고, 여기에 고온의 용강상부에 존재하는 슬래그 등이 반응하여 단단한 피막을 형성한다.
이때,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롤(10) 표면의 피막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롤(10) 외곽으로 그 표면에 접촉하는 브러쉬롤(4)을 설치하여 상기 롤표면에 생성된 피막을 제거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롤(10) 표면에 밀착 회전하는 브러쉬롤(4)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브러쉬롤(4)이 롤(10) 표면의 피막 즉, 흑피부분을 연마하여 이를 제거하기도 하지만, 별도의 연주 공정없이 용강에서 직접 박판을 제조하는 쌍롤(10)의 표면에 접촉하면서 오히려 롤표면(10)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것이다.
특히, 주편 표면에 균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일정한 조도를 부여하는데 조도가 손상을 받으면 주편 표면에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주조가 진행될수록 롤표면에 생성되는 흑피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이와 동시에, 단단하여져 상기와 같은 브러쉬롤(4)만으로는 상기 롤표면의 흑피를 완전하게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한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롤표면에 용탕이 응고되면, 판재의 품질 유지가 곤란하여 조업이 중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주조작업전에 수작업으로 롤표면에 이형제를 스프레이하여 주조초기 롤에 용탕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수작업으로 인한 불균일 분사로 롤 표면오염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였으며 조업중에는 분사가 곤란하여 롤에 용탕이 응고되면 판재 품질 유지가 곤란하여 조업 중단사례가 빈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마그네슘 판재 주조시 주조롤에 이형제를 연속적으로 분사시킴으로써, 주조롤에 용탕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마그네슘 주조롤의 이형제 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형제를 주조롤에 균일하게 분사시킬 수 있는 마그네슘 주조롤의 이형제 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주조롤의 이형제 분사장치는 주조롤 또는 압연롤이 구비된 롤스탠드 상에 설치되며, 주조롤 또는 압연롤로 분사되는 이형제의 분사각도를 조정토록 제공된 이형제 분사부; 및 롤스탠드 상에서 이형제 분사부가 좌우로 이동되도록 제공된 노즐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형제 분사부는 이형제를 수용한 공급수단에 연계되며, 상기 공급수단으로부터 제공받은 이형제를 상기 주조롤 또는 압연롤로 분사토록 제공된 복수 개의 노즐이 구비된 헤더몸체; 헤더몸체에 연계되어, 헤더몸체의 각도를 조정토록 제공된 각도조정핸들; 및 노즐에 연계되어, 노즐의 개폐를 조정토록 제공된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급수단은 이형제를 수용한 공급탱크; 공급탱크에 연계되어, 노즐의 이형제 분사량을 조절토록 공급탱크 내로 가압된 공기를 주입하는 가압유닛; 및 공급탱크와 노즐을 연결하는 배관 상에 설치되어, 배관을 유동하는 이형제의 질량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측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헤더몸체에 연계되어, 헤더몸체로 공급되는 이형제를 가열토록 제공된 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급수단에 연계되어, 헤더몸체 및 공급수단을 세척토록 제공된 세척부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마그네슘 판재 주조시 주조롤에 이형제를 연속적으로 분사시킴으로써, 주조롤에 용탕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형제를 주조롤에 균일하게 분사시킬 수 있어, 마그네슘 판재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쌍롤식 박판 주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주조롤의 이형제 분사장치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노즐이송부와 이형제분사부의 연결관계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주조롤의 이형제 분사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주조롤의 이형제 분사장치는 주조롤 또는 압연롤에 구비된 롤스탠드에 설치되어, 주조롤 또는 압연롤에 용탕이 부착되지 않도록, 주조롤 또는 압연롤에 이형제를 분사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주조롤의 이형제 분사장치는 주조롤 또는 압연롤이 구비된 롤스탠드에 연계된다.
한편, 주조롤 또는 압연롤이 구비된 롤스탠드는 공지된 구조물이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도면번호 50은 용강(M1)이 수용된 도가니를 말하며, 도면번호 60은 롤스탠드, 도면번호 61, 62는 롤스탠드에 구비된 한쌍의 압연롤 또는 주조롤을 말하며, 도면번호 70은 도가니 내의 용강을 한쌍의 주조롤롤 공급하는 노즐장치를 지칭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번호 S는 한쌍의 압연롤 또는 주조롤(61, 62)를 통과한 판재를 지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형제(M2)는 수용성 그라파이트와 물이 1:5 내지 1:100의 비율로 혼합된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주조롤의 이형제 분사장치(100)는 노즐이송부(110, 150), 이형제 분사부(120, 160), 가열부(130, 170), 세척부(140, 180), 공급수단(190)을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주조롤 중 상부주조롤(61)에 인접하게 위치된 노즐이송부를 제 1 노즐이송부(110)라 지칭하고, 하부주조롤(62)에 인접하게 위치된 노즐이송부를 제 2 노즐이송부(150)라 지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 1 노즐이송부(110)에 연계된 이형제분사부를 제 1 이형제분사부(120)라 지칭하고, 제 2 노즐이송부(150)에 연계된 이형제분사부를 제 2 이형제분사부(160)라 지칭하기로 한다.
아울러, 제 1 이형제분사부(120)에 연계된 가열부를 제 1 가열부(130)라 지칭하고, 제 2 이형제분사부(160)에 연계된 가열부를 제 2 가열부(170)라 지칭한다. 그리고, 제 1 이형제분사부(120)에 연계된 세척부를 제 1 세척부(140)라 지칭하고, 제 2 이형제분사부(160)에 연계된 세척부를 제 2 세척부(180)라 지칭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노즐이송부(110)는 상부주조롤(61)과 인접하게 위치된 롤스탠드(60)의 상단에 설치된다. 제 1 노즐이송부(110)는 제 1 지지프레임(111), 제 1 이송축(112), 제 1 이송조정핸들(113) 및 제 1 이송몸체(114)를 구비한다.
제 1 지지프레임(111)은 상부주조롤(61)이 인접하게 위치된 롤스탠드(60)의 상단에 고정된다. 이때, 제 1 지지프레임(111)은 상부주조롤(61)의 축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프레임(111)에는 제 1 지지프레임(111)의 양단을 연결하고, 제 1 이송몸체(114)가 연계된 제 1 이송축(112)이 설치된다.
여기서, 제 1 이송몸체(114)에는 케이블컨베이어(114a)가 연결되어, 제 1 이송축(112)을 따라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이송몸체(114)는 제 1 이송축(112)을 따라 이동하는 케이블컨베이어(114a)에 의해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지지프레임(111)의 일단에는 제 1 이송축(112)과 연계된 제 1 이송조정핸들(113)이 위치된다. 여기서, 제 1 이송조정핸들(113)은 제 1이송축을 회전시켜 제 1 이송몸체(114)가 좌우로 이동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는 제 1 이송몸체(114)에 연계된 제 1 이형제분사부(120)의 위치를 조정하는 부재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이형분사부(120)는 제 1 각도조정몸체(121), 제 1 각도조정핸들(123), 및 제 1 헤더몸체(1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각도조정몸체(121)는 제 1 각도조정핸들(123)에 의해 각도가 조정되도록 제 1 이송몸체(114)에 연계된다. 그리고, 제 1 각도조정몸체(121)는 제 1 이송몸체(114)의 이동시 함께 이동되도록 제 1 이송몸체(114)에 연계된다.
아울러, 제 1 각도조정몸체(121)에는 내부에 복수 개의 노즐을 구비한 제 1 헤더몸체(125)가 고정된다. 제 1 헤더몸체(125)는 제 1 각도조정몸체(121)의 각도 조정에 의해, 이형제(M2)의 분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노즐의 분사속도는 5cc/min 내지 50cc/min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 1 헤더몸체(125)에는 제 1 헤더몸체(125) 내부로 유입된 이형제(M2)를 상부주조롤(61)로 분사토록 제공된 복수 개의 노즐이 구비된다. 이때, 노즐에는 노즐개폐부재(미도시)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은 노즐개폐부재에 의해 주기적으로 개폐됨에 따라, 이형제(M2)로 인한 노즐의 막힘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노즐개폐부재는 제 1 제어유닛(미도시)에 연결되어, 제 1 제어유닛(미도시)에 의해 개폐 주기가 결정된다. 제 1 제어유닛(미도시)에는 노즐개폐부재(미도시)를 주기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설정된다.
그리고, 제 1 헤더몸체(125)에는 이형제(M2)를 제 1 헤더몸체(125) 내부로 공급하는 제 1 공급배관(195)이 연결된다. 여기서, 제 1 공급배관(195)은 제 1 헤더몸체(125)와 공급탱크(191)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아울러, 제 1 공급배관(195)이 제 1 헤더몸체(125)에 연결된 부분에는 제 1 가열부(130)가 설치된다. 제 1 가열부(130)는 제 1 공급배관(195)을 통해 제 1 헤더몸체(125) 내부로 유입되는 이형제(M2)를 가열하여, 굳어진 이형제(M2)에 의해 제 1 공급배관(195) 및/또는 노즐이 폐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 1 공급배관(195)에는 공급탱크(191)에서 제 1 헤더몸체(125)로 이송되는 이형제(M2)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 1 유량측정유닛(196)이 설치된다. 그리고, 제 1 유량측정유닛(196)에 이웃하게, 제 1 공급배관(195)을 개폐하는 제 1 밸브(195a)가 설치된다. 제 1 유량측정유닛(196)과 제 1 밸브(195a)의 작동방식에 대해서는 이형제(M2)의 순환 방식을 설명할때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급수단(190)은 이형제(M2)가 수용된 공급탱크(191), 공급탱크(191)로 공기압을 가하는 가압유닛(193), 공급탱크(191)에 연계된 제 1 공급배관(195) 및 제 2 공급배관(197)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공급배관(195)은 제 1 헤더몸체(125)와 공급탱크(191)를 연결하는 이형제(M2) 공급배관이고, 제 2 공급배관(197)은 제 2 헤더몸체와 공급탱크(191)를 연결하는 이형제(M2) 공급배관이다.
그리고, 제 2 공급배관(197)에는 상술한 제 1 유량측정유닛(196)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 2 유량측정유닛(198)이 연결되고, 더불어, 상기의 제 1 밸브(195a)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 2 밸브(197a)가 연결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노즐이송부(150)는 하부주조롤(62)과 인접하게 위치된 롤스탠드(60)의 상단에 설치된다. 제 2 노즐이송부(150)는 제 2 지지프레임, 제 2 이송축, 제 2 이송몸체 및 제 2 이송조정핸들을 구비하며, 이는 상술한 제 1 지지프레임(111), 제 1 이송축(112), 제 1 이송몸체(114)와 제 1 이송조정핸들(113)에 대응되는 구성인 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제 2 지지프레임은 하부주조롤(62)이 인접하게 위치된 롤스탠드(60)의 측면에 고정된다. 이때, 제 2 지지프레임은 하부주조롤(62)의 축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이형제분사부(160)는 제 2 각도조정몸체, 제 2 각도조정핸들, 제 2 헤더몸체, 및 제 2 공급배관(197)을 포함하며, 이는 상술한 제 1 이형분사부(120)의 제 1 각도조정몸체(121), 제 1 각도조정핸들(123), 제 1 헤더몸체(125) 및 제 1 공급배관(195)과 대응되는 구성인 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주조롤의 이형제 분사장치(100)를 이용한 이형제 분사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공급탱크(191) 내에 수용된 이형제(M2)는 공급탱크(191)에 연결된 가압유닛(193)에 의해 가압되어, 제 1 공급배관(195)과 제 2 공급배관(197)으로 유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주조롤의 이형제 분사장치(100)는 가압유닛(193)을 통해 냉각탱크 내부 압력이 제어됨에 따라, 제 1 공급배관(195)과 제 2 공급배관(197) 내부를 유동하는 이형제(M2)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 1 공급배관(195)과 제 2 공급배관(197)을 따라 유동하여 상부주조롤(61)과 하부주조롤(62)로 분사되는 이형제(M2)는 동일한 과정을 거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제 1 공급배관(195)을 따라 유동하는 이형제(M2)의 유동흐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공급탱크(191)를 나온 이형제(M2)는 제 1 공급배관(195)을 따라 유동하면서, 제 1 가열부(130)를 거친 후, 제 1 헤더몸체(125)로 유입된 후, 제 1 헤더몸체(125)에 구비된 복수 개의 노즐을 통해 상부주조롤(61)로 분사된다.
이때, 제 1 공급배관(195)을 유동하는 이형제(M2)의 유량은 제 1 공급배관(195)에 연결된 제 1 유량측정유닛(196)에 의해 측정된다. 이때, 제 1 공급배관(195)을 유동하는 이형제(M2)의 유량이 과한 경우에는 가압유닛(193)에서 공급탱크(191)로 가해지는 공기압을 저감시켜 제 1 공급배관(195)을 유동하는 이형제(M2)의 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
반대로, 제 1 공급배관(195)을 유동하는 이형제(M2)의 유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가압유닛(193)에서 공급탱크(191)에 가하는 공기압을 증가시킴으로써, 제 1 공급배관(195)을 유동하는 이형제(M2)의 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공급배관(195)에는 제 1 밸브(195a)가 구비되며, 여기서 제 1 밸브(195a)는 제 1 공급배관(195)을 통해 제 1 헤더몸체(125)로 공급되는 이형제(M2)의 유동을 차단 및 허용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 1 공급배관(195)을 세척하고자 할 때, 제 1 밸브(195a)를 폐쇄상태로 하여, 제 1 세척부(140)에서 제공된 물과 이형제(M2)가 혼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세척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제 1 헤더몸체(125)는 제 1 각도조정몸체(121)에 구비된 제 1 각도조정핸들(123)에 의해 각도가 조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주조롤의 이형제 분사장치(100)는 상부주조롤(61)로 분사되는 이형제(M2)의 분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헤더몸체(125)는 제 1 각도조정몸체(121)에 연결된 제 1 이송몸체(114)와 연계되어, 상부주조롤(61)의 축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주조롤의 이형제 분사장치(100)는 상부주조롤(61)의 축방향을 따라 고르게 이형제(M2)를 분사시킬 수 있어, 상부주조롤(61)에 용탕이 고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주조롤의 이형제 분사장치(100)는 제 1 헤더몸체(125)로 공급되는 이형제(M2)가 제 1 공급배관(195) 내에서 응고되지 않도록, 이형제(M2)를 가열하도록 제공된 제 1 가열부(130)가 작동된다.
제 1 가열부(130)에 의해, 제 1 공급배관(195)을 통해 제 1 헤더몸체(125)로 공급되는 이형제(M2)는 일정한 농도로 제 1 헤더몸체(125)로 유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주조롤의 이형제 분사장치(100)는 제 1 헤더몸체(125)에 구비된 노즐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부조주롤로 이형제(M2)를 균일하게 분사시킬 수 있음으로써, 판재(S)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 1 헤더몸체(125)에 구비된 노즐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형제(M2)가 일정온도로 유지토록 구비된 제 1 가열부(130) 외에, 노즐을 세척하는 제 1 세척부(140)를 구비한다. 제 1 세척부(140)를 통한, 제 1 공급배관(195)과 제 1 헤더몸체(125)의 세척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제 1 밸브(195a)가 제 1 공급배관(195)을 폐쇄하여, 제 1 공급배관(195)을 통해 이형제(M2)가 제 1 헤더몸체(125)로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주조롤의 이형제 분사장치(100)는 제 1 세척부(140)를 작동시켜, 세척수탱크 내의 세척수가 세척수공급배관을 통해 제 1 공급배관(195)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제 1 공급배관(195)으로 유입된 세척수는 제 1 헤더몸체(125)로 유입된 후, 제 1 헤더몸체(125)에 구비된 복수 개의 노즐을 통과하여 상부주조롤(61)로 분사된다. 이에 따라, 노즐에 끼인 이형제(M2)가 세척수에 의해 쓸려 노즐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제 1 공급배관(195) 및 제 1 헤더몸체(125) 내의 노즐이 세척되어, 이형제(M2)로 인한 노즐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주조롤의 이형제 분사장치(100)는 이형제(M2)를 균일하게 상부주조롤(61) 및 하부주조롤(62)로 분사시킬 수 있다.
위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한적이기보다는 본 발명의 모든 관점들 내에서 설명적인 것이 되도록 의도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들에 의하여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된 설명들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많은 변형 및 상세한 실행이 가능하다.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된 바와 같이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100: 마그네슘 주조롤의 이형제 분사장치
110: 제 1 노즐이송부
120: 제 1 이형제분사부
150: 제 2 노즐이송부
160: 제 2 이형제분사부

Claims (5)

  1. 주조롤 또는 압연롤이 구비된 롤스탠드 상에 설치되며, 상기 주조롤 또는 압연롤로 분사되는 이형제의 분사각도를 조정토록 제공된 이형제 분사부; 및
    상기 롤스탠드 상에서, 상기 이형제 분사부가 좌우로 이동되도록 제공된 노즐이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주조롤의 이형제 분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 분사부는
    이형제를 수용한 공급수단에 연계되며, 상기 공급수단으로부터 제공받은 이형제를 상기 주조롤 또는 압연롤로 분사토록 제공된 복수 개의 노즐이 구비된 헤더몸체;
    상기 헤더몸체에 연계되어, 상기 헤더몸체의 각도를 조정토록 제공된 각도조정핸들; 및
    상기 노즐에 연계되어, 상기 노즐의 개폐를 조정토록 제공된 제어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주조롤의 이형제 분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은
    상기 이형제를 수용한 공급탱크;
    상기 공급탱크에 연계되어, 상기 노즐의 이형제 분사량을 조절토록 상기 공급탱크 내로 가압된 공기를 주입하는 가압유닛; 및
    상기 공급탱크와 상기 노즐을 연결하는 상기 배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배관을 유동하는 이형제의 질량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측정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주조롤의 이형제 분사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몸체에 연계되어, 상기 헤더몸체로 공급되는 이형제를 가열토록 제공된 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주조롤의 이형제 분사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에 연계되어, 상기 헤더몸체 및 공급수단을 세척토록 제공된 세척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주조롤의 이형제 분사장치.
KR1020100135193A 2010-12-27 2010-12-27 마그네슘 주조롤의 이형제 분사장치 KR101242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193A KR101242895B1 (ko) 2010-12-27 2010-12-27 마그네슘 주조롤의 이형제 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193A KR101242895B1 (ko) 2010-12-27 2010-12-27 마그네슘 주조롤의 이형제 분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427A true KR20120073427A (ko) 2012-07-05
KR101242895B1 KR101242895B1 (ko) 2013-03-12

Family

ID=46707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5193A KR101242895B1 (ko) 2010-12-27 2010-12-27 마그네슘 주조롤의 이형제 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8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8801B1 (ko) 2016-12-19 2018-10-16 주식회사 포스코 주조롤장치
KR102131711B1 (ko) 2018-11-01 2020-07-13 (주)용암금속 이형제 분사장치
KR102328518B1 (ko) 2019-10-23 2021-11-18 (주)용암금속 장축 단조품의 이형제 분사장치
KR102297631B1 (ko) 2020-01-06 2021-09-03 (주)용암금속 장축 수직단조품 이형제 분사용 텔레스코픽 노즐
KR102639387B1 (ko) 2021-07-20 2024-02-23 동국제강 주식회사 복수의 티타늄 슬라브가 적층된 팩 슬라브의 열간압연 후 티타늄 합금 박판재를 분리하기 위한 이형제, 슬라브의 이형제 도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슬라브의 이형제 도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1875A (ja) * 2006-12-27 2008-07-17 Mitsubishi Alum Co Ltd 表面性状に優れる鋳造材を得るのに最適な鋳造用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鋳造材の製造方法とマグネシウム合金
JP2010242149A (ja) 2009-04-03 2010-10-28 Mitsubishi Alum Co Ltd マグネシウム合金及びマグネシウム合金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2895B1 (ko) 2013-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895B1 (ko) 마그네슘 주조롤의 이형제 분사장치
JP2008522830A (ja) 薄鋳造ストリップにおける熱流束の限局的制御方法及び装置
KR101200075B1 (ko) 균일한 두께 조절이 가능한 액체 코팅 장치
JP2005532169A5 (ko)
KR101189515B1 (ko) 스케일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101281222B1 (ko) 주조롤 폴리머 코팅장치
JPH0724924B2 (ja) ドラム式連鋳機
JPS6049846A (ja) 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パウダ−供給装置
KR101051292B1 (ko) 슬라브용 스케일 제거장치
JP2019155384A (ja) 荒引き線の製造方法、荒引き線、および荒引き線の製造装置
KR20090009993U (ko) 스케일 제거 장치
JP4234827B2 (ja) 金属ストリップ鋳造方法、金属ストリップを鋳造するストリップ鋳造装置、及び双ロールストリップ鋳造装置
JP2008531281A5 (ko)
JP3694389B2 (ja) 連続鋳造用鋳型のパウダ−付着防止方法
KR20010065234A (ko) 브라이들 롤의 응고 솔트 제거장치
KR100605697B1 (ko) 쌍롤박판주조기에서 양호한 박판의 제조방법과 이에이용되는 박판주조기의 증기블로어 장치
EP0931606B1 (en) Apparatus for preparing permanent molds in casting units
JP2850539B2 (ja) 高圧溶融金属供給装置
KR20100082236A (ko) 연속주조장치
KR101536763B1 (ko) 금형 부식방지용 코팅장치
US5927377A (en) Method of wiping and application of mold release solution to a rotary chill casting wheel
JP2008073725A (ja) ダイキャストの溶湯供給装置とその方法
JPH0735641Y2 (ja) ベルト式連続鋳造機用ロールブラシ
JPS63207452A (ja) 金属薄帯の連続鋳造方法及び装置
JPH0929398A (ja) ベルト式連続鋳造装置及びベルト式連続鋳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