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2140A -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2140A
KR20120072140A KR1020100133952A KR20100133952A KR20120072140A KR 20120072140 A KR20120072140 A KR 20120072140A KR 1020100133952 A KR1020100133952 A KR 1020100133952A KR 20100133952 A KR20100133952 A KR 20100133952A KR 20120072140 A KR20120072140 A KR 20120072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image
gamut
image capturing
output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3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7782B1 (ko
Inventor
조맹섭
이송우
김진서
유주연
권순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33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782B1/ko
Priority to US13/332,653 priority patent/US8666163B2/en
Publication of KR20120072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2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3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signal generator or the picture reprodu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16Conversion to subtractive colour signals
    • H04N1/6019Conversion to subtractive colour signals using look-up t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3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signal generator or the picture reproducer
    • H04N1/6052Matching two or more picture signal generators or two or more picture reproducers
    • H04N1/6055Matching two or more picture signal generators or two or more picture reproducers using test pattern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77Colour balance, e.g. colour cast 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6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image enhancement, e.g. vertical detail restoration, cross-colour elimination, contour correction, chrominance trapping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영상 촬영수단 및 영상 출력수단 각각의 색역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촬영수단 및 영상 출력수단 각각의 색 변환을 위한 특성화 모델을 생성하는 특성화 모델 생성부, 특성화 모델을 이용하여 영상 촬영수단의 색역에 해당되는 모든 색들을 영상 출력수단의 색역에 해당되는 색들로 변환하는 색 변환부, 영상 촬영수단과 영상 출력수단 사이의 룩업 테이블을 생성하는 룩업 테이블 생성부, 및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영상 촬영수단으로부터의 입력 영상과 색 일치된 영상 출력수단의 출력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변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matching colors between heterogeneous image device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 입출력 기기 사이에 색 일치된 영상을 제공하도록 하는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시네마의 촬영 단계에서부터 편집단계를 거쳐, 최종 상영 단계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사용되는 영상 입출력장치(디지털 카메라, 모니터, 스크린)들은 같은 제조사에 같은 모델이라고 하여도 장비의 컬러 표현에 있어 서로 상이함을 보인다. 이는 장비의 특성과 장비가 가진 색역(Gamut)의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이다.
영상 장비의 컬러 불일치 문제로 인해 각 상영관에서 사용하는 프로젝터가 동일할지라도 상영되는 영상이 상영관 마다 다른 색으로 관객에게 보여질 수 있다. 이는 영화의 촬영, 후반작업 동안에 감독이 의도했던 색이 제대로 관객에게 전해지지 않는 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영화 제작에 참여한 작업자간에 서로 다른 색의 영상을 대상으로 각자 작업하게 되어 각 작업물에 대해 색보정을 새로이 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시네마의 촬영 단계에서 상영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사용되는 컬러 입출력 장비 간에 색 일치된 영상을 제공하도록 하는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촬영 및 후반작업(편집, 합성, DI 등)의 작업자와 상영관을 찾은 관람객 모두가 동일한 색의 영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디지털 시네마 영상을 간편하게 변환할 수 있는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장치는, 영상 촬영수단 및 영상 출력수단 각각에 대한 색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촬영수단 및 상기 영상 출력수단 각각의 색 변환을 위한 특성화 모델을 생성하는 특성화 모델 생성부, 상기 특성화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촬영수단의 색역에 해당되는 모든 색들을 상기 영상 출력수단의 색역에 해당되는 색들로 변환하는 색 변환부, 상기 영상 촬영수단의 색역에 해당되는 색들의 색 변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 촬영수단과 상기 영상 출력수단 사이의 룩업 테이블을 생성하는 룩업 테이블 생성부, 및 상기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촬영수단으로부터의 입력 영상과 색 일치된 상기 영상 출력수단의 출력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성화 모델은 상기 영상 촬영수단 또는 상기 영상 출력수단의 RGB 공간에 해당되는 색들을 CIEXYZ 공간의 색들로 변환하는 변환 행렬 또는 상기 변환 행렬의 역행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색 변환부는 상기 영상 촬영수단의 특성화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촬영수단의 색역에 해당되는 상기 RGB 공간의 색을 상기 CIEXYZ 공간의 색으로 변환하고, 상기 CIEXYZ 공간의 색으로 변환 색을 상기 영상 출력수단의 특성화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출력수단의 색역에 해당되는 상기 RGB 공간의 색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장치는, 상기 영상 촬영수단의 특성화 모델 및 상기 영상 출력수단의 특성화 모델을 이용한 색 변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 촬영수단의 색역에 해당되는 색과 일치하는 상기 영상 출력수단의 색을 맵핑하는 색역 맵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룩업 테이블 생성부는 상기 색역 맵핑부의 색역 맵핑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룩업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룩업 테이블은 RGB 공간의 색에 대하여 각 채널별로 10 bit의 색상 깊이(color depth)를 갖는 압축되지 않은 Full 3D 룩업 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 변환부는 상기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촬영수단으로부터의 입력 영상에 포함된 색들을 상기 영상 출력수단의 색역에 해당되는 색들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장치는, 상기 영상 촬영수단에서 색역 정보 추출의 기준이 되는 색상 패치를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상기 영상 촬영수단에 대한 색역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영상 출력수단의 화면에 출력된 상기 색상 패치 영상의 색상 계측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 출력수단에 대한 색역 정보를 추출하는 색역 추출부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방법은, 영상 촬영수단 및 영상 출력수단 각각에 대한 색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촬영수단 및 상기 영상 출력수단 각각의 색 변환을 위한 특성화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특성화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촬영수단의 색역에 해당되는 모든 색들을 상기 영상 출력수단의 색역에 해당되는 색들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영상 촬영수단의 색역에 해당되는 색들의 색 변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 촬영수단과 상기 영상 출력수단 사이의 룩업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촬영수단으로부터의 입력 영상과 색 일치된 상기 영상 출력수단의 출력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성화 모델은 상기 영상 촬영수단 또는 상기 영상 출력수단의 RGB 공간에 해당되는 색들을 CIEXYZ 공간의 색들로 변환하는 변환 행렬 또는 상기 변환 행렬의 역행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촬영수단의 특성화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촬영수단의 색역에 해당되는 상기 RGB 공간의 색을 상기 CIEXYZ 공간의 색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CIEXYZ 공간의 색으로 변환 색을 상기 영상 출력수단의 특성화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출력수단의 색역에 해당되는 상기 RGB 공간의 색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방법은, 상기 영상 촬영수단의 특성화 모델 및 상기 영상 출력수단의 특성화 모델을 이용한 색 변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 촬영수단의 색역에 해당되는 색과 일치하는 상기 영상 출력수단의 색을 맵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룩업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맵핑하는 단계의 색역 맵핑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룩업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룩업 테이블은 RGB 공간의 색에 대하여 각 채널별로 10 bit의 색상 깊이(color depth)를 갖는 압축되지 않은 Full 3D 룩업 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촬영수단으로부터의 입력 영상에 포함된 색들을 상기 영상 출력수단의 색역에 해당되는 색들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방법은, 상기 영상 촬영수단에서 색역 정보 추출의 기준이 되는 색상 패치를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상기 영상 촬영수단에 대한 색역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영상 출력수단의 화면에 출력된 상기 색상 패치 영상의 색상 계측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 출력수단에 대한 색역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든 작업자가 동일한 색을 각자의 출력수단을 통해 관찰하며 작업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상영관에 상영되는 영상의 색이 동일하기 때문에 색에 대한 감독의 의도가 모든 상영관에서 관객에게 동일하게 전달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룩업 테이블을 생성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룩업 테이블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변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장치(이하, '색 일치 장치'라 칭함)는 이기종의 영상기기에 대한 색역(gamut)을 맵핑하여 이기종의 영상기기 간 색 일치 작업을 수행한다.
영상기기에는 영상 입력수단과 영상 출력수단(20)이 포함된다. 이 경우, 색 일치 장치(100)는 영상 입력수단과 영상 출력수단(20) 사이에서 영상 입력수단의 색역과 영상 출력수단(20)의 색역을 맵핑하여, 입력 영상과 출력 영상에 대한 색 일치 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서, 영상 입력수단으로는 카메라, 캠코더 등의 영상 촬영수단(10)이 해당 될 수 있다. 또한, 영상 출력수단(20)으로는 프로젝터, TV,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수단이 해당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영상 촬영수단(10)과 영상 출력수단(20) 사이에서의 색 일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따라서, 색 일치 장치(100)는 영상 촬영수단(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복수의 영상 출력수단(20)에 의해 출력되는 경우, 영상 촬영수단(10)에서 촬영된 영상의 색역 그대로 각각의 영상 출력수단(20)들에서 출력되도록 색 변환을 수행한다. 색 일치 장치(10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설명은 도 2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색 일치 장치(100)는 제어부(110), 영상 입력부(120), 저장부(130), 색역 추출부(140), 특성화 모델 생성부(150), 색 변환부(160), 색역 맵핑부(170), 룩업 테이블 생성부(180), 및 영상 변환부(19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색 일치 장치(100)의 각 부 동작을 제어한다.
영상 입력부(120)는 영상 촬영수단(10)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입력 받는다. 영상 촬영수단(10)은 영상 촬영수단(10)의 색역 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색 변환의 기준이 되는 색상 패치(color patch)를 촬영한다. 이 경우, 영상 입력부(120)는 영상 촬영수단(10)에 의해 촬영된 색상 패치를 입력 받는다.
저장부(130)는 색 일치 장치(100)로 입력된 영상이 저장되며, 색 일치 장치(100)에 의해 색 변환된 출력 영상이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130)는 영상 촬영수단(10) 및 영상 출력수단(20) 각각에 대한 색역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130)는 색 일치 장치(100)에서 입력 영상의 색 변환을 위한 룩업 테이블이 저장된다.
색역 추출부(140)는 영상 촬영수단(10)에 의해 촬영된 색상 패치가 입력되면, 영상 촬영수단(10)으로부터 입력된 색상 패치로부터 해당 영상 촬영수단(10)의 색역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색역 추출부(140)는 영상 출력수단(20)의 색상 패치 출력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영상 출력수단(20)의 색역 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영상 출력수단(20)은 색상 패치 영상을 입력받아 화면에 출력한다. 이때, 색 일치 장치(100)는 별도의 계측 기기를 통해 영상 출력수단(20)의 색상 패치 출력 상태를 계측한다. 따라서, 색역 추출부(140)는 계측 기기로부터의 계측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영상 출력수단(20)의 색역 정보를 추출한다.
특성화 모델 생성부(150)는 기기 의존적 컬러 공간을 기기 독립적 컬러 공간으로 변환 시키기 위한 특성화 모델을 생성한다. 다시 말해, 특성화 모델 생성부(150)는 RGB 공간(기기 의존적 컬러 공간)의 색을 CIEXYZ 공간(기기 독립적 컬러 공간)의 색으로 변환할 수 있는 특성화 모델을 생성한다.
여기서, CIEXYZ 공간은 국제조명위원회(CIE)가 제안한 좌표계 상의 수학적 위치값, 즉, 3차원 좌표계이다. 이때, CIEXYZ 공간에서는 사람의 눈으로 인식할 수 있는 모든 색의 표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특성화 모델은 영상 촬영수단 또는 영상 출력수단의 RGB 공간에 해당되는 색들을 CIEXYZ 공간의 색들로 변환하는 변환 행렬 또는 변환 행렬의 역행렬이다.
특성화 모델 생성부(150)는 색역 추출부(140)로부터 추출된 영상 촬영수단(10)과 영상 출력수단(20)의 색역 정보를 이용하여 특성화 모델을 생성한다.
이때, 영상 촬영수단(10)의 특성화 모델은 RGB 공간의 색을 CIEXYZ(이하, 'XYZ'라 칭함) 공간의 색으로 변환하는 행렬이다. 한편, 영상 출력수단(20)의 특성화 모델은 XYZ 공간의 색을 RGB 공간의 색으로 변환하는 행렬이다. 여기서, 영상 출력수단(20)의 특성화 모델은 영상 촬영수단(10)의 특성화 모델의 역행렬 형태를 갖는다. 특성화 모델 생성부(150)는 특성화 기법에 따른 계수들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색 변환부(160)는 특성화 모델 생성부(150)의 특성화 모델을 이용하여RGB 공간의 색을 XYZ 공간의 색으로 변환하고, XYZ 공간의 색으로 변환된 색을 다시 RGB 공간의 색으로 변환한다.
즉, 색 변환부(160)는 영상 촬영수단(10)의 특성화 모델을 이용하여 영상 촬영수단(10)의 색역에 해당되는 RGB 공간의 색을 XYZ 공간의 색으로 변환한다. 또한, 색 변환부(160)는 영상 촬영수단(10)의 특성화 모델을 이용하여 색 변환 된 XYZ 공간의 색을 영상 출력수단(20)의 특성화 모델을 이용하여 영상 출력수단(20)의 색역에 해당되는 RGB 공간의 색으로 변환한다.
이때, 영상 출력수단(20)의 특성화 모델을 이용하여 색 변환된 RGB 공간의 색은 영상 촬영수단(10)의 RGB 공간의 색과는 다른 R'B'G' 공간의 색으로 변환된다.
색역 맵핑부(170)는 색상 패치에 대하여 영상 촬영수단(10)의 특성화 모델 및 영상 출력수단(20)의 특성화 모델의 색 변환 정보에 근거하여 영상 촬영수단(10)과 영상 출력수단(20)의 색역을 맵핑한다.
일 예로서, 색역 맵핑부(170)는 영상 촬영수단(10)의 색역 중 R0G0B0의 색을 영상 촬영수단(10)의 특성화 모델 및 영상 출력수단(20)의 특성화 모델을 이용하여 색 변환했을 경우의 R'0G'0B'0과 맵핑한다.
마찬가지로, 색역 맵핑부(170)는 영상 촬영수단(10)의 색역 중 RnGnBn의 색을 영상 촬영수단(10)의 특성화 모델 및 영상 출력수단(20)의 특성화 모델을 이용하여 색 변환했을 경우의 R'nG'nB'n과 맵핑한다.
룩업 테이블 생성부(180)는 색역 맵핑부(170)에 의해 영상 촬영수단(10)과 영상 출력수단(20) 사이에 색역 맵핑 정보를 이용하여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을 생성한다.
디지털 시네마 영상의 고속 변환을 위해서 룩업 테이블사용은 필수 조건이다. 디지털 시네마를 위한 룩업 테이블은 RGB 색상의 각 채널별로 10bit의 색상 깊이(color depth)를 갖고 압축되지 않은 Full 3D 룩업 테이블을 사용해야만 영상 데이터의 손실이 없는 고속의 영상 변환이 가능하다.
이때, 색상 깊이 10bit의 RGB 색상은 약 10억 개(1024*1024*1024)의 색을 표현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룩업 테이블 또한 10억 개 색에 대한 맵핑 값을 가져야만 한다.
따라서, 색역 맵핑부(170)는 영상 촬영수단(10)과 영상 출력수단(20)의 색역이 갖는 모든 색에 대하여 색역 맵핑을 수행하고, 룩업 테이블은 모든 색에 대한 룩업 테이블을 생성한다.
영상 변환부(190)는 Full 3D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영상 촬영수단(10)과 영상 출력수단(20) 사이의 색 일치 작업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영상 변환부(190)는 영상 촬영수단(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입력되면, 입력 영상에 포함된 색들을 모두 추출한다. 또한, 영상 변환부(190)는 입력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색들에 대하여 Full 3D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영상 출력수단(20)의 색역에 해당되는 RGB 공간의 색으로 변환함으로써, 영상 촬영수단(10)과 영상 출력수단(20) 사이의 색 일치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영상 출력수단(20)은 영상 촬영수단(10)과 색 일치된 영상을 출력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룩업 테이블을 생성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색 일치 장치(100)는 Device#1의 색역 정보#1과 Device#2의 색역 정보#2를 이용하여 Device#1과 Device#2의 색역을 맵핑한다.
이때, Device#1은 소스 기기(source device)로서, 카메라 등의 영상 촬영수단(10)이 해당된다. 또한, Device#2는 타겟 기기(target device)로서, 모니터 등의 영상 출력수단(20)이 해당된다.
여기서, 색 일치 장치(100)는 색역 정보#1과 색역 정보#2로부터 Device#1과 Device#2 각각에 대한 특성화 모델을 생성하고, 생성된 각각의 특성화 모델을 이용하여 Device#1의 RGB 공간의 색을 Device#2의 R'G'B' 공간의 색과 맵핑한다.
다시 말해, 색 일치 장치(100)는 Device#1의 특성화 모델을 이용하여 Device#1의 RGB 공간의 색에 대한 기기 독립적 색공간 변환(RGB to XYZ)을 수행한다. 또한, 색 일치 장치(100)는 타겟 기기인 Device#2의 특성화 모델을 이용하여 기기 종속적 색공간 변환(XYZ to RGB)을 수행함으로써, Device#1와 Device#2의 색역을 맵핑한다.
이때, 색 일치 장치(100)는 Device#1과 Device#2의 색역 맵핑 정보에 근거하여 Full 3D Look-up table을 생성한다. Full 3D Look-up table의 실시예는 도 4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룩업 테이블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Full 3D Look-up table은 소스 기기인 Device#1과, 타겟 기기인 Device#2에 대하여 생성된다.
일 예로서, Device#1의 색역 중 R0G0B0의 색은 Device#2의 색역 중 R'0G'0B'0에 대응된다. 또한, Device#1의 색역 중 R1G1B1의 색은 Device#2의 색역 중 R'1G'1B'1에 대응될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Device#1의 색역 중 RnGnBn의 색은 Device#2의 색역 중 R'nG'nB'n에 대응된다. 즉, Device#2에서 Device#1의 RnGnBn과 일치하는 색은 R'nG'nB'n이 된다.
따라서, 색 일치 장치(100)는 Device#1의 색역에 해당되는 모든 색과 일치하는 Device#2의 색을 대응시킴으로써 Full 3D Look-up table을 완성한다.
물론, Device#1을 통해 촬영한 영상을 Device#2 외의 다른 영상 출력수단(20)인 Device#n을 통해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색 일치 장치(100)는 Device#1과 Device#n에 대한 룩업 테이블을 생성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변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색 일치 장치(100)는 도 4의 Full 3D Look-up table을 적용하여 소스 기기로부터의 입력 영상을 색 변환하고, 색 변환된 영상을 타겟 기기로 출력함으로써, 소스 기기와 타겟 기기 간 색 일치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3 및 도 4의 Device#1로부터 촬영된 영상이 색 일치 장치(100)로 입력되면, 색 일치 장치(100)는 Device#1과 Device#2 사이에 생성된 Full 3D Look-up table을 이용하여 Device#1로부터 촬영된 영상의 색들을 Device#2의 색역에 해당되는 색들로 변환한다.
색 일치 장치(100)는 Device#1와 Device#2 사이에 색 일치된 영상을 Device#2로 출력한다. 따라서, Device#2는 Device#1과 색 일치된 영상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 6은 색 일치를 위한 룩업 케이블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영상 촬영수단(10)을 통해 색역 정보 추출의 기준이 되는 색상 패치가 촬영되면(S100), 색 일치 장치(100)는 색상 패치 영상을 통해 해당 영상 촬영수단(10)의 색역 정보를 추출한다(S110).
이때, 색 일치 장치(100)는 'S110' 과정에서 추출된 색역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촬영수단(10)의 특성화 모델, 즉, 변환 행렬을 생성한다(S120).
한편, 영상 출력수단(20)은 색역 정보 추출의 기준이 되는 색상 패치 영상을 화면을 통해 출력하도록 하고, 이때 계측 기기를 이용하여 영상출력수단의 화면에 출력된 색상 패치 영상을 계측한다. 색 일치 장치(100)는 계측 기기에 의해 계측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영상 출력수단(20)의 색역 정보를 추출한다(S130).
이때, 색 일치 장치(100)는 'S130' 과정에서 추출된 색역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출력수단(20)의 특성화 모델, 즉, 변환 행렬을 생성한다(S140).
색 일치 장치(100)는'S120' 과정에서 생성된 영상 촬영수단(10)의 특성화 모델을 이용하여 영상 촬영수단(10)의 색역에 해당되는 RGB 공간의 색들을 XYZ 공간의 색들로 변환한다(S150).
또한, 색 일치 장치(100)는 'S140' 과정에서 생성된 영상 출력수단(20)의 특성화 모델을 이용하여 'S150' 과정에서 변환된 색들을 다시 영상 촬영수단(10)의 색역에 해당되는 RGB 공간의 색들로 변환한다(S160).
따라서, 색 일치 장치(100)는 'S150' 및 'S160' 과정의 색 변환 정보에 근거하여 영상 촬영수단(10)과 영상 출력수단(20)의 색역을 맵핑한다(S170). 이후, 색 일치 장치(100)는 'S170' 과정의 색역 맵핑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촬영수단(10)과 영상 출력수단(20) 사이의 룩업 테이블을 생성한다(S180).
한편, 도 7은 도 6에서 생성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색 일치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 일치 장치(100)는 영상 촬영수단(10)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이 입력되면(S200), 입력 영상에 포함된 색들을 모두 추출한다.
이후, 색 일치 장치는 도 6의 'S180' 과정에서 생성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입력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색들을 영상 출력수단(20)의 색역에 해당되는 색들로 변환한다(S210). 이때, 색 일치 장치(100)는 'S210' 과정에서 색 변환된 영상을 영상 출력수단(20)으로 전송함으로써, 영상 출력수단(20)을 통해 색 변환된 영상을 출력하게 된다(S220).
이로써, 사용자는 이기종의 영상 출력수단(20)들을 통해 촬영 영상의 색역 그대로 출력 영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장치 및 그 방법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10: 영상 촬영수단 20: 영상 출력수단
100: 색 일치 장치 110: 제어부
120: 영상 입력부 130: 저장부
140: 색역 추출부 150: 특성화 모델 생성부
160: 색 변환부 170: 색역 맵핑부
180: 룩업 테이블 생성부 190: 영상 변환부

Claims (16)

  1. 영상 촬영수단 및 영상 출력수단 각각에 대한 색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촬영수단 및 상기 영상 출력수단 각각의 색 변환을 위한 특성화 모델을 생성하는 특성화 모델 생성부;
    상기 특성화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촬영수단의 색역에 해당되는 모든 색들을 상기 영상 출력수단의 색역에 해당되는 색들로 변환하는 색 변환부;
    상기 영상 촬영수단의 색역에 해당되는 색들의 색 변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 촬영수단과 상기 영상 출력수단 사이의 룩업 테이블을 생성하는 룩업 테이블 생성부; 및
    상기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촬영수단으로부터의 입력 영상과 색 일치된 상기 영상 출력수단의 출력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특성화 모델은,
    상기 영상 촬영수단 또는 상기 영상 출력수단의 RGB 공간에 해당되는 색들을 CIEXYZ 공간의 색들로 변환하는 변환 행렬 또는 상기 변환 행렬의 역행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색 변환부는,
    상기 영상 촬영수단의 특성화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촬영수단의 색역에 해당되는 상기 RGB 공간의 색을 상기 CIEXYZ 공간의 색으로 변환하고,
    상기 CIEXYZ 공간의 색으로 변환 색을 상기 영상 출력수단의 특성화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출력수단의 색역에 해당되는 상기 RGB 공간의 색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수단의 특성화 모델 및 상기 영상 출력수단의 특성화 모델을 이용한 색 변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 촬영수단의 색역에 해당되는 색과 일치하는 상기 영상 출력수단의 색을 맵핑하는 색역 맵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 생성부는,
    상기 색역 맵핑부의 색역 맵핑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룩업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은,
    RGB 공간의 색에 대하여 각 채널별로 10 bit의 색상 깊이(color depth)를 갖는 압축되지 않은 Full 3D 룩업 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변환부는,
    상기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촬영수단으로부터의 입력 영상에 포함된 색들을 상기 영상 출력수단의 색역에 해당되는 색들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수단에서 색역 정보 추출의 기준이 되는 색상 패치를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상기 영상 촬영수단에 대한 색역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영상 출력수단의 화면에 출력된 상기 색상 패치 영상의 색상 계측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 출력수단에 대한 색역 정보를 추출하는 색역 추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장치.
  9. 영상 촬영수단 및 영상 출력수단 각각에 대한 색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촬영수단 및 상기 영상 출력수단 각각의 색 변환을 위한 특성화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특성화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촬영수단의 색역에 해당되는 모든 색들을 상기 영상 출력수단의 색역에 해당되는 색들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영상 촬영수단의 색역에 해당되는 색들의 색 변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 촬영수단과 상기 영상 출력수단 사이의 룩업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촬영수단으로부터의 입력 영상과 색 일치된 상기 영상 출력수단의 출력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특성화 모델은,
    상기 영상 촬영수단 또는 상기 영상 출력수단의 RGB 공간에 해당되는 색들을 CIEXYZ 공간의 색들로 변환하는 변환 행렬 또는 상기 변환 행렬의 역행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촬영수단의 특성화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촬영수단의 색역에 해당되는 상기 RGB 공간의 색을 상기 CIEXYZ 공간의 색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CIEXYZ 공간의 색으로 변환 색을 상기 영상 출력수단의 특성화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출력수단의 색역에 해당되는 상기 RGB 공간의 색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수단의 특성화 모델 및 상기 영상 출력수단의 특성화 모델을 이용한 색 변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 촬영수단의 색역에 해당되는 색과 일치하는 상기 영상 출력수단의 색을 맵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맵핑하는 단계의 색역 맵핑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룩업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방법.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은,
    RGB 공간의 색에 대하여 각 채널별로 10 bit의 색상 깊이(color depth)를 갖는 압축되지 않은 Full 3D 룩업 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방법.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출력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촬영수단으로부터의 입력 영상에 포함된 색들을 상기 영상 출력수단의 색역에 해당되는 색들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방법.
  16.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수단에서 색역 정보 추출의 기준이 되는 색상 패치를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상기 영상 촬영수단에 대한 색역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영상 출력수단의 화면에 출력된 상기 색상 패치 영상의 색상 계측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 출력수단에 대한 색역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방법.
KR1020100133952A 2010-12-23 2010-12-23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장치 및 그 방법 KR101747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952A KR101747782B1 (ko) 2010-12-23 2010-12-23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장치 및 그 방법
US13/332,653 US8666163B2 (en) 2010-12-23 2011-12-21 Apparatus and method for matching colors between various image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952A KR101747782B1 (ko) 2010-12-23 2010-12-23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140A true KR20120072140A (ko) 2012-07-03
KR101747782B1 KR101747782B1 (ko) 2017-06-19

Family

ID=46316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3952A KR101747782B1 (ko) 2010-12-23 2010-12-23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66163B2 (ko)
KR (1) KR1017477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5024A (ja) * 2013-02-07 2014-08-25 Japan Display Inc 色変換装置、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色変換方法
US20150135250A1 (en) * 2013-10-22 2015-05-14 J. Michael James Color synchronizer for streaming media
JP6282357B2 (ja) 2014-01-06 2018-02-21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カラーガマットリサンプリングに基づく放送信号送受信方法及び装置
EP3067882A1 (en) * 2015-03-10 2016-09-14 Thomson Licensing Adaptive color grade interpolation method and device
KR20190081559A (ko) 2017-12-29 2019-07-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카메라를 이용한 색료 조합 방법 및 장치
EP3984209A4 (en) * 2019-06-13 2023-01-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LOR MATCHI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9494A (ja) * 2005-08-10 2007-02-2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色変換テーブルの作成方法、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形成装置及び記録媒体
US7573607B2 (en) * 2005-10-13 2009-08-11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 of selecting inks for use in imaging with an imaging apparatus
KR100834762B1 (ko) 2006-09-29 2008-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 기종간 색역 사상 방법 및 장치
JP2009278538A (ja) * 2008-05-16 2009-11-26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63717A1 (en) 2012-06-28
KR101747782B1 (ko) 2017-06-19
US8666163B2 (en) 201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1185B1 (ko) 컬러 공간에서의 강제된 컬러 팔레트
US11037522B2 (en) Method for radiometric display, corresponding system,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1747782B1 (ko) 이기종 영상기기 간 색 일치 장치 및 그 방법
CN108476326B (zh) 视频系统及方法、介质、摄像机系统和视频转换器
TWI542941B (zh) 用於照相機中之分佈式影像處理以使在拼接影像中之假影最小化之方法及設備
US11553138B2 (en) Signal processing device, signal processing method, camera system, video system, and server
EP1578140A2 (en) System and method for color management
US11212461B2 (en) Image pickup system, image pickup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generating video signals having first and second dynamic ranges
WO2014130575A1 (en) Image appearance framework and applications for digital image creation and display
US11356633B2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video signal processing system
JP2010016803A (ja) 複数のカラーカメラ間の色調整装置および方法
JP5950756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5523078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KR20110023694A (ko) 촬영된 영상의 컬러 변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925370B1 (ko) 영상 투영 장치에 대한 색 보정 장치 및 방법
JP2008072340A (ja) 色処理装置
EP2204980B1 (en) Image processing system, imaging system, and microscope imaging system
JP5295022B2 (ja) 色補正装置及び色補正方法
US12003865B2 (en) Signal processing device, signal processing method, camera system, video system, and server
JP6355431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システム
JP2018088618A (ja) 撮像装置
Elsaadany et al. The role of (ACES) color space in controlling the color quality of digital cinema image.
JP201906709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im et al. Colour correction and matching between scenes using 3D LUT
JP2015070602A (ja) 映像変換装置および映像変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